KR20160134393A -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393A
KR20160134393A KR1020150068387A KR20150068387A KR20160134393A KR 20160134393 A KR20160134393 A KR 20160134393A KR 1020150068387 A KR1020150068387 A KR 1020150068387A KR 20150068387 A KR20150068387 A KR 20150068387A KR 20160134393 A KR20160134393 A KR 2016013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ing
discharge
vibrating
oscil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덕
Original Assignee
드림식품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식품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드림식품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393A/ko
Publication of KR2016013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세척장치는, 개폐되는 차폐부를 경계로 구획되는 제1 세척부와 제2 세척부; 및 상기 제2 세척부와 컨베이어로 연결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대상물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유닛; 및 상기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가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 장치{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대상물을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미자나 복분자와 같이 다양한 맛을 지닌 식용열매는 그 재배과정에 있어 과수를 식해(食害) 하는 멸구, 진딧물, 잎벌레와 같은 각종 해충이나 유해성 환경으로 인하여 병충해(病蟲害)가 발행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수차례에 걸쳐 농약과 같은 화학약품을 살포할 수 있다.
수차례에 걸친 농약 살포에 의해 식용열매의 표면에는 농약이 잔류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농약이 묻어있는 식용열매를 그대로 소비자가 섭취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체에 상당한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식용열매를 채취한 이후에 통상적으로 음용수와 같은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된다. 하지만, 식용열매의 표면에 응고상태로 달라붙은 잔류 농약이나 각종 유해성물질 또는 세균을 전량 깨끗하게 제거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잔류분의 유해성 물질이 그대로 인체에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오미자나 복분자를 액기스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다량의 식용열매를 채취하여 일일이 손수 수작업으로 세척할 수 없다.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경우에는 세척 효율이 떨어지고 세척에 따른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용열매의 표면에 묻어있는 유해성 물질을 완전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세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세척장치는, 개폐되는 차폐부를 경계로 구획되는 제1 세척부와 제2 세척부; 및 상기 제2 세척부와 컨베이어로 연결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대상물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유닛; 및 상기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가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척부는, 상기 대상물이 액체에 잠길 수 있게 형성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진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한 상기 대상물이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가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진부는 상하방향으로 가진되고,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가진부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진부는 제1 가진 유닛과 제2 가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제1 토출팬과 제2 토출팬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진부는 제1 가진 유닛과 제2 가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제1 에어나이프와 제2 에어나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물의 이동을 막는 제1 도어부와 제2 도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부는 제1 가진 유닛과 제2 가진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제2 가진 유닛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세척장치는 세척의 각 단계에서 대상물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이후에 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며, 각 단계에서 세척량과 건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세척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세척부의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부의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또 다른 건조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세척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세척기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세척부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조부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부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척장치(100)는 세척부들(110, 120)과 건조부(150)를 포함한다.
세척부들(110, 120)은 차폐부(115)를 경계로 제1 세척부(110)와 제2 세척부(120)로 구획된다. 차폐부(115)는 제1 세척부(110)와 제2 세척부(120) 사이로 저수조(10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딩 걔폐될 수 있다. 대상물들은 컨베이어(1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세척부(110)와 제2 세척부(120)는 컨베이어(14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세척부(110)에 있던 대상물들의 세척이 완료되면, 차폐부(115)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며 컨베이어(140)를 따라 대상물이 제2 세척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세척부(120)는 컨베이어(140)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로 물줄기를 뿜도록 형성된다. 제2 세척부(120)는, 세척수가 흐르도록 형성된 관 및 관에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세척수는 관을 통해 유입되어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다. 일정 압력 이상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면, 컨베이어(140)를 따라 이동하는 대상물을 2차로 세척할 수 있다. 즉,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대상물이 1차 세척된 후, 차폐부(115)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대상물들이 컨베이어(140)를 따라 이동하다가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로 2차 세척된다.
사용자는 차폐부(115)의 개폐 시간과 컨베이어(140)의 이동을 조작하여 1차 세척 시간과 2차 세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건조부(150)는 토출유닛(156a, 156b)과 가진부(153a, 153b)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유닛(156a, 156b)과 가진부(153a, 153b)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한다.
제2 세척부(120)와 건조부(150) 사이에 에어분사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분사부는 특정 지역에 좁은 분사구를 통해 고압의 가스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에어분사부는 에어나이프(air knife), 에어팬이나 링블로워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분사압력이 높고 분사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나이프가 바람직하다.
에어분사부를 통해 고압의 가스가 대상물에 분사되면, 대상물에 잔존하는 물기를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를 통해 2차로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세척부(110)는 저수조(101)와 기포 발생부(130)를 포함한다. 저수조(101)는 세척수가 담겨져 있으며, 대상물이 저수조(101)에 채워지면 기포 발생기를 통해 대상물을 1차로 세척하게 된다. 저수조(101)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기포 발생부(130)는 저수조(10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포를 형성하여 저수조(101)로 배출한다. 저수조(101)는 기포과 통과하도록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통공부(113)를 구비한다.
저수조(101)의 일측에는 배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11)는 다수의 통공(112)을 구비하며, 이물질이 통공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통공은 대상물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대상물을 제외한 이물질이 통공을 따라 배출된다. 배출된 이물질은 사용자가 임의로 제거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건조부(150)는 토출유닛(156a, 156b)과 가진부(153a, 153b)를 구비한다.
컨베이어(140)를 통해 이동된 대상물은 파츠 피더(parts feeder, 157)의 일면으로 이동한다. 파츠 피더(157)는 대상물들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가진부(153a, 153b)는 베이스(152), 플레이트(154) 및 구동부(151)를 포함한다. 베이스(152)와 플레이트(154)는 스프링으로 서로 연결된다. 플레이트(154)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플레이트(154)는 파츠 피더(157)에 일체로 형성된다. 구동부(151)는 모터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플레이트(154)와 연결되어 플레이트(154)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가진시킨다.
토출유닛(156a, 156b)은 가진부(153a, 153b)의 상부(특히, 가진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156a, 156b)은 팬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가진부(153a, 153b)의 상부에서 가진부(153a, 153b)를 향해 일정 압력의 공기를 배출한다.
토출유닛(156a, 156b)의 토출 방향과 가진부(153a, 153b)의 가진 방향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물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상물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가진부(153a, 153b)와 토출유닛(156a, 156b)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진부(153a, 153b)는 제1 가진 유닛(153a)과 제2 가진 유닛(153b)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유닛(156a, 156b)은 제1 토출팬(156a)과 제2 토출팬(156b)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진부(153a, 153b)와 토출유닛(156a, 156b)이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대상물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거의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부(155a)와 제2 도어부(15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들은 플레이트(154)의 일측에 형성되어 대상물이 도어부들을 통과하여 지나가는 것을 막도록 형성된다. 즉, 대상물의 자유로운 이동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제1 도어부(155a)는 제1 가진 유닛(153a)과 제2 가진 유닛(153b) 사이에 배치되고, 제2 도어부(155b)는 제2 가진 유닛(153b)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들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어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정해진 시간동안 대상물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제거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각 구성들의 동작은 제어부(15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컴을 구비하여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세척부(110)에서 기포 발생부(130)의 동작과 제2 세척부(120)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양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가진부(153a, 153b)와 토출유닛(156a, 156b)의 동작과 도어부들의 개폐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또 다른 건조부의 평면도이다.
도 4와 달리, 토출유닛(156a', 156b')은 제1 에어나이프(156b')와 제2 에어나이프(156b')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세척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수가 담긴 저수조(101)에 대상물들이 채워지면, 기포를 발생시켜 정해진 시간동안 대상물들을 1차로 세척한다. 1차 세척이후에는 차폐부(115)를 열어 컨베이어(140)를 따라 대상물들을 이동시킨다. 일정 위치에 대상물들이 도착하면, 대상물들은 제2 세척부(120)의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2차로 세척된다.
2차 세척이 완료된 이후에 대상물들은 파츠 피더(157)로 이동하게 되고, 파츠 피더(157)는 대상물들을 가진부(153a, 153b)로 이동시킨다. 가진부(153a, 153b)들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가진 유닛(153a) 상에 대상물들이 배치되고 제1 가진 유닛(153a)에 의해 가진된다. 이 때, 대상물들의 이동은 제1 도어부(155a)에 의해 차단된다. 제1 가진 유닛(153a)의 동작과 동시에 제1 토출팬(156a)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진 유닛(153a)의 동작 이후에 제1 토출팬(156a)이 동작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한 이후에는 제1 도어부(155a)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며, 파츠 피더(157)에 의해 대상물들이 이동한다. 그리고, 제2 가진 유닛(153b) 상에 대상물들이 배치되고 제2 가진 유닛(153b)에 의해 가진된다. 이 때, 대상물들의 이동은 제2 도어부(155b)에 의해 차단된다. 제2 가진 유닛(153b)의 동작과 동시에 제2 토출팬(156b)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진 유닛(153b)의 동작 이후에 제2 토출팬(156b)이 동작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한 이후에는 제2 도어부(155b)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며, 파츠 피더(157)에 의해 대상물들이 이동한다.
여기서, 제1 토출팬(156a)과 제2 토출팬(156b)는 제1 에어나이프(156b')와 제2 에어나이프(156b')로 교체되고 나머지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르는 세척장치는 세척의 각 단계에서 대상물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이후에 대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며, 각 단계에서 세척량과 건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세척장치(10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개폐되는 차폐부를 경계로 구획되는 제1 세척부와 제2 세척부; 및
    상기 제2 세척부와 컨베이어로 연결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대상물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유닛; 및
    상기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부는,
    상기 대상물이 액체에 잠길 수 있게 형성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일측에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낙하한 상기 대상물이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가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상하방향으로 가진되고,
    상기 토출유닛은 상기 가진부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제1 가진 유닛과 제2 가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제1 토출팬과 제2 토출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부는 제1 가진 유닛과 제2 가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유닛은 제1 에어나이프와 제2 에어나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이동을 막는 제1 도어부와 제2 도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부는 제1 가진 유닛과 제2 가진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어부는 제2 가진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20150068387A 2015-05-15 2015-05-15 세척 장치 KR20160134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87A KR20160134393A (ko) 2015-05-15 2015-05-15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87A KR20160134393A (ko) 2015-05-15 2015-05-15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393A true KR20160134393A (ko) 2016-11-23

Family

ID=5754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87A KR20160134393A (ko) 2015-05-15 2015-05-15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3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101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게 세척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101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게 세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690B1 (ko) 약제를 나노포그 미립화 상태로 분무하여 최상 방제 효과를 얻고 농약중독 예방이 가능한 무인방제시스템
JP4491475B2 (ja) 野菜の洗浄方法及び野菜の洗浄装置
KR200449276Y1 (ko) 다기능 식품 세척기
CN105534451B (zh) 水槽式清洗机的洗涤方法
KR100927000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092699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KR20130062087A (ko) 초음파 세척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KR20160003321U (ko) 부추 및 대파 세척기
JP3979374B2 (ja) 霧化発生装置を備えた食器洗い機
KR20160134393A (ko) 세척 장치
KR101435263B1 (ko) 가공 칩 세정 장치
KR101516494B1 (ko) 알껍질 제거장치
CA2584895A1 (en) Lift/immersion bath
JP2007228981A (ja) 果菜食品等の手洗い機
KR20210015541A (ko) 식판 담금형 애벌세척기
JP4009909B2 (ja) 果菜食品等の手洗い機
KR100923099B1 (ko) 일조식(一槽式) 초음파 세척장치
JP2002177899A5 (ko)
CN205761930U (zh) 一种自动化喷胶机
JP3811493B1 (ja) 洗浄装置
CN100490727C (zh) 餐具清洗机
KR101692239B1 (ko) 작물 세척기
KR20090031886A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JP3133277U (ja) 養殖網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