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820A -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820A
KR20160133820A KR1020150066848A KR20150066848A KR20160133820A KR 20160133820 A KR20160133820 A KR 20160133820A KR 1020150066848 A KR1020150066848 A KR 1020150066848A KR 20150066848 A KR20150066848 A KR 20150066848A KR 20160133820 A KR20160133820 A KR 20160133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emergency
information
user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윤정
강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플러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플러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플러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06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820A/ko
Publication of KR2016013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Q50/24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개인용 휴대 단말을 사용해서 응급 상황에서 생체 정보를 체크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휴대용 단말또는 관제 서버 에 전송하고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상기 생체 정보에 상응하는 응급 처치 정보를 출력하여 개인용 휴대 단말 소지자의 건강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응급 처치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SYSTEM FOR URGENT RESCUE USING PORTABLE DEVICE AND TREATING SERVICE OF URGENT RESCU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 환자에 따라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신속하게 대상 환자의 정보를 추출하고 그에 상응하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진단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개인이 질병이나 부상을 이유로 진료를 받기 희망하는 경우, 직접 병원을 찾아가야 하며, 질병의 판단이나 병원의 선택에 있어서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에 근거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진료 기록 등의 관리를 위해서는 별도로 병원이 마련한 웹 페이지 등을 통하거나 유선상으로 연락을 취하여 확인하는 방법만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이동 통신 등의 발달로 인한 원격 진료 등의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이용이 제한적이고,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진단이 이루어진 뒤, 진료가 수행되거나 오프 라인 상에서 우선 1차적으로 진료가 이루어진 뒤, 후발적인 조치를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인간의 생체 상태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진단하고 그에 따른 응급 처치를 취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은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선행 문헌 한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4-0028929호(이동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에서도 사용자가 이상 증상을 인지할 때, 진단을 도와주고,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을 찾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 있지만 생체 정보 인식장치와 연동하여 휴대용 단말의 통신기능을 이용해서 응급 처치 등을 취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제공은 이루어지지 않고 잇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온계, 심박 수 측정계, 심전도 측정계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정보 인식장치로부터 획득된 생체 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고, 관제 서버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응급 처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휴대용 단말 사용자의 건강에 대한 위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수단을 줄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 처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응급 처치용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인식 장치; 및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와 연동되며, 응급처치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응급 처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 상황 판단 부와, 상기 응급 상황 판단 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관제 서버에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부 및 상기 응급 신호가 전송되면, 빛, 메시지 또는 소리의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부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은, (a)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생체 정보 인식 장치를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단계(S10)와, (b)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에서 제공받은 생체 정보를 휴대용 단말 또는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0)와, (c)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응급 상황 판단 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및 (d)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응급 상황을 보호자에게 전송하거나, 응급 처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구급차를 출동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는, 심박 수 측정계, 체온 측정계, 심전도 계, 활동량 센서, 혈압계, 혈당량 계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은, (a) 뼈나 관절의 연속성이 상실된 골절, 의식을 잃은 의식 혼절, 치통 급작스런 복통, 화상 또는 낙상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키보드로 또는 음성인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음성으로 입력 받는 단계(S110)와, (b) 상기 휴대용 단말에 입력된 상황 정보와 병에 따른 사용자의 가족력, 치료 이력, 투약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돌발 상황용 정보를 휴대용 단말 또는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20) 및 (c) 상기 돌발 상황 용 정보를 보호자 또는 관제 서버에 전송 후, 관제 서버에서 응급 처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구급차를 출동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의 생체 정보 인식 장치가 평상시에 늘 구동되어있는 상황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응급 상황에 대한 판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원절약을 실현할 수 있는 응급 처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어플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의 진행 순서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 콜이 전송되는 과정 중에 구급차가 출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 처치용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인식 장치(10,11,12) 및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와 연동되며, 응급처치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처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로부터 제공받은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 상황 판단 부(120)와, 상기 응급 상황 판단 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관제 서버에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부(140) 및 상기 응급 신호가 전송되면, 빛, 메시지 또는 소리의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 시스템은,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장치(11, 12,13)는 심박 계, 체온계, 심전도 계, 활동량 센서, 혈압계, 혈당량 측정계 또는 산소포화도 측정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은, 상기 생체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장치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110)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DB에는 사용자의 가족력, 치료 이력, 투약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생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용 단말(100)의 응급 상황 판단 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관제 서버(500)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500)는 응급 상황 판단 부(120)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응급 처치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 처치 정보 제공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500)로부터 받은 기준 정보 등의 데이터는 사용자 DB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가 가지고 있던 과거의 데이터와 융합하여 비교하고 응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알림 신호 추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신호는 휴대용 단말(100)의 출력 부(130)를 통해서 빛, 소리 또는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출력 부(130)는 휴대용 단말(100)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상황 판단부(120)는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으로부터 제공 받은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상황 판단부(120)는 휴대용 단말(100)의 상기 비교하는 기능의 수행 결과 응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응급 신호를 전송 부(140)를 통해서 관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100)은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로부터 각각의 생체 신호 프로토콜 포맷에 맞는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100)은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고, 또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 휴대용 정보 처리 장치에 생체 정보 인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가 별개의 데이터인 경우 각각의 데이터인 생체 신호 프로토콜 포맷에 맞는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구비하여 융합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은 다수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은 본 발명의 응급 처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거나 그 주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심박 수, 체온, 심전도, 활동량, 혈압, 혈당량 등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 및 휴대용 단말(100)과 연동하는 관제 서버(500)는 상기 생체 신호, 심박 수, 체온, 심전도, 활동량, 혈압, 혈당량에 대한 분석 및 검토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생산할 수 있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신호는 응급 처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응급 처치 정보는 동영상, 애니메이션(animation), 텍스트(text), 보이스 코칭(Voice Coaching) 또는 그림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응급 처치 정보에는 음성 신호 응급 콜이 전송되고 난 후, 응급 콜에 의한 구급차가 오는 동안(이를 “골든 타임”이라고 한다), 상기 응급 처치 정보에는 응급 상황에서 취해야 할 내용에 대한 동영상, 애니메이션, 텍스트, 보이스 코칭 또는 그림 파일 등의 정보가 포함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응급 처치 정보에는 사용자의 연령별, 증상 별 응급 처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100)과 연동되는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로부터 즉각적으로 수신되는 정보에는, 경우에 따라, 담당하는 의사 또는 관제 서버(500)와 통신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당 의사의 연락처, 담당 의사가 소재하는 장소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출혈 등의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관제 서버와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뼈나 관절의 연속성이 상실된 골절, 의식을 잃은 의식 혼절., 치통 급작스런 복통, 화상 또는 낙상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키보드 또는 음성인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음성으로 입력하는 단계(S110)와, 상기 휴대용 단말에 입력된 상황 정보와 병에 따른 사용자의 가족력, 치료 이력, 투약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돌발 상황용 정보를 휴대용 단말(100) 또는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20) 및 상기 돌발 상황 용 정보를 관제 서버에 전송 후, 관제 서버에서 응급 처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구급차를 출동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은, 인식 구간 추출부와 잡음 처리부를 갖는 전처리부와, 특징 부와 비교부를 가지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결과를 출력하는 인식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특징부는 상기 인식 구간 추출부에서 추출되고, 상기 잡음 처리부에서 잡음이 제거된 데이터에 대하여 특징이 되는 단어를 분석하고 추출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특징부에서 추출된 단어에 대하여 음성 인식 모델 DB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후보 단어 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병의 명칭을 결정하고, 상기 인식 결과부는 상기 인식 부에서 결정된 상기 병의 명칭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은,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e) 상기 휴대용 단말의 출력 부를 통해서 빛, 메시지 또는 소리의 형태로 응급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2) 및 (f) 상기 응급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가 전송 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4)를 포함하는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상황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입력 받았을 때, (d) (d) 상기 응급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 부를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S112) 및 (e) 상기 휴대용 단말의 출력 부를 통해서 알림 신호를 빛, 메시지 또는 소리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은 수동적으로 응급 조치를 취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처치 시스템은 자동 응급 처치 시스템 또는 수동 응급 처치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동 응급 처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미스 버튼 등에 대하여 기정해진 시간 내에 취소할 수 있는 기능(S36/S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은, (a)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생체 정보 인식 장치를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단계(S10)와, (b)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로부터 얻어진 생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와, (c) 상기 생체 정보를 이상 유무 판정 기준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S30)와, (d) 이상 신호 판정 시, 응급 처치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고 구급차를 출동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정보를 추출하여 휴대용 단말(100)에 전송하고 전문 서버 혹은 관제 서버 (500)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절차 도이다.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는 체온계, 심박수 측정계, 활동량 측정계, 혈압계, 혈당량 측정계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온계는 주변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므로 아날로그 출력 형태를 갖는 전자 온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혈압계는 PPG 신호를 이용한 비관혈적인 혈압 측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혈당량 측정계는 무채혈 방법으로 대상체의 라만 산란 시그널을 획득하여 혈관의 최대 이완기와 최대 수축 기의 혈관상태를 기초로 보정인자를 획득하여 혈당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라만 산란 시그널을 사용할 경우, 라만 산란방식으로 주기적으로 혈당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생체 정보는 도 1에서 전술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휴대용 단말(100)에 전송될 수 있다(S10, S2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은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예를 들면 체온이 40℃ 이상일 경우) 휴대용 단말(100)의 출력 부(1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는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서 휴대용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관제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DB 또는 인터넷 망(world wide web)을 통해서 근처에 있는 병원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병원 정보에는 병원 예약 가능 상황, 또는 구급차 출동 여부에 대한 확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는 결과가 응급 상황이라는 판정인 경우, 응급 신호를 관제 서버(500)에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응급신호는 빛 또는 소리(벨) 등의 형태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응급 신호를 전송 부(140)를 통해서 송신하고 난 후 취소 버튼을 눌러 취소할 수도 있다. 응급 신호를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보호자 또는 관제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서버(500)는 상기 휴대용 단말(100)과 이격되어 근처의 가까운 장소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응급 신호 송신과 동시에 상기 응급 상황에 맞는 응급 처치 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100)에 수신될 수 있다(S40).
좀 더 구체적으로 생체 정보 인식 장치(11, 12, 13)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예를 들면 체온이 40℃ 이상일 경우)에 대하여 이상 신호라는 판정이 내려진 경우 이러한 데이터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100)의 출력 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S32).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신호는 메시지, 빛 또는 소리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00)의 응급 상황 판단부(120)의 해석 결과 응급 상황이라고 판정되는 경우 알림 신호라는 내용을 출력 부를 통해 판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100)의 지피에스 모듈을 통해 환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가 이상 신호에 대한 판정 후, 응급 신호를 관제 서버(500)에 전송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응급 신호에 대한 판정 결과 구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S36),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빛이나 소리 등의 출력이 발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림 신호에 대한 출력 후 기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는 취소하는 버튼을 눌러 취소할 수도 있다(S36).
지피에스 모듈은 부가적으로 근처에서 응급 상황에 맞는 병원을 검색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된 사용자 DB에는 소정 지역에 위치하는 병원 정보를 저장하는 병원 정보 DB와 소정 지역에 위치한 약국 정보를 저장하는 약국 정보 D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지피에스 모듈을 사용하여 환자 또는 휴대용 단말(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결과, 환자 또는 휴대용 단말(100)의 위치에서 구급차(600)가 출동할 수 있는 병원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는 상기 응급 환자에 대응할 수 있는 병원에 통화를 통해서 응급 구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응급 콜 등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응급 처치 정보에는 응급 처치 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텍스트 보이스 코칭(Voice Coaching) 또는 그림 파일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응답 정보에는, 병원과의 거리 기반 정보, 사용자의 이력 기반 정보 또는 사용자의 증상 기반 정보를 포함힐 수 있다.
상기 응급 처치 정보의 수신과 동시에 관제 서버(500)가 위치한 장소에서 구급차가 출동될 수 있다(S40). 이때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구급콜(call) 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콜이 전송되는 과정 중에 구급차가 출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목에 혈압 등을 잴 수 있는 혈압계 커프(320)가 감겨있고, 혈압계 커프(320)를 통해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면 혈압계 커프(320)가 묶여 있는 사용자의 혈압 정보는 휴대용 단말(1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100)에는 혈압에 대한 정보를 읽고 표시(display)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혈압에 대한 정보에 대한 판독 결과 이상적으로 고혈압이라든가 저혈압이라든가 라는 판정이 이루어지면,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는 응급 신호를 보낼 것인가 아니면 동영상 등의 응급 처치 정보에 따른 조치를 취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상기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자동적인 실행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혈압에 대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할 수 도 있지만 휴대용 단말(100)에 내장되어 있는 전송 부(140)를 통해서 관제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통신 과정을 통해서 응급 콜에 대한 응급 처치 정보가 휴대용 단말(100)에 수신되면 응급 조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응급 콜에 대한 응급 답변에 따른 응급 처치와 응급 신호에 따른 구급차(600)의 출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12, 13: 생체 정보 인식 장치
100: 휴대용 단말 110: 응급 처치용 어플리케이션
120: 응급 상황 판단부 130: 출력 부
140: 전송 부 320: 혈압계 커프
500: 관제 서버 600: 구급차

Claims (12)

  1. 응급 처치용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인식 장치; 및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와 연동되며, 응급처치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응급 처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응급 상황 판단 부;
    상기 응급 상황 판단 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관제 서버에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부; 및
    상기 응급 신호가 전송되면, 빛, 메시지 또는 소리의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처치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응급 상황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응급 처치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 처치 정보 제공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처치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처치 정보는,
    동영상, 애니매이션, 텍스트(text), 보이스 코칭(Voice Coaching) 또는 그림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의 연령, 병력, 가족력. 치료 이력 또는 투약 이력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처치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생체 정보 인식 장치는,
    심박 수 측정계, 체온 측정계, 심전도 계, 활동량 센서, 혈압계, 혈당량 계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용 시스템.
  5.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생체 정보 인식 장치를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단계(S10);
    (b)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에서 제공받은 생체 정보를 휴대용 단말 또는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20);
    (c) 상기 휴대용 단말의 응급 상황 판단 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및
    (d)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응급 상황을 전송하거나, 응급 처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구급차를 출동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정보 인식 장치는,
    심박 수 측정계, 체온 측정계, 심전도 계, 활동량 센서, 혈압계, 혈당량 계 및 산소포화도 측정기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e) 상기 응급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가 전송 부를 통해서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2); 및
    (f) 상기 휴대용 단말의 출력 부를 통해서 빛, 메시지 또는 소리의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전송 부를 통해서 응급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g) 기정해진 시간 내에 취소할 수 있는 단계(S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8.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에 있어서,
    (a) 뼈나 관절의 연속성이 상실된 골절, 의식을 잃은 의식 혼절, 치통 급작스런 복통, 화상 또는 낙상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키보드로 또는 음성인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음성으로 입력 받는 단계(S110);
    (b) 상기 휴대용 단말에 입력된 상황 정보와 병에 따른 사용자의 가족력, 치료 이력, 투약 이력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돌발 상황용 정보를 휴대용 단말 또는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120); 및
    (c) 상기 돌발 상황 용 정보를 보호자 또는 관제 서버에 전송 후, 관제 서버에서 응급 처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구급차를 출동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를 휴대용 단말에 입력 받았을 때,
    (d) 상기 응급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기 응급 신호를 전송 부를 통해서 전송하는 단계(S112); 및
    (e) 상기 휴대용 단말의 출력 부를 통해서 알림 신호를 빛, 메시지 또는 소리의 형태로 출력하는 단계(S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송 부를 통해서 응급 신호를 송신 하고 난 후,
    (g) 기정해진 시간 내에 취소할 수 있는 단계(S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11.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처치 정보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텍스트(text), 보이스 코칭(Voice Coaching) 또는 그림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의 연령 또는 병력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어플리케이션은,
    인식 구간 추출부와 잡음 처리부를 갖는 전처리부;
    특징 부와 비교부를 가지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결과를 출력하는 인식 결과를 포함하되,
    상기 특징부는 상기 인식 구간 추출부에서 추출되고, 상기 잡음 처리부에서 잡음이 제거된 데이터에 대하여 특징이 되는 단어를 분석하고 추출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특징부에서 추출된 단어에 대하여 음성 인식 모델 DB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후보 단어 들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병의 명칭을 결정하고, 상기 인식 결과부는 상기 인식 부에서 결정된 상기 병의 명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 처치 방법.
KR1020150066848A 2015-05-13 2015-05-13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KR20160133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48A KR20160133820A (ko) 2015-05-13 2015-05-13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48A KR20160133820A (ko) 2015-05-13 2015-05-13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820A true KR20160133820A (ko) 2016-11-23

Family

ID=575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848A KR20160133820A (ko) 2015-05-13 2015-05-13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38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945B1 (ko) * 2017-08-07 2018-08-31 임희재 생체 및 음성정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00102792A (ko) * 2019-02-22 2020-09-01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수술지원 시스템
KR20200112520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원드롭 영상 통화 중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8306B1 (ko) * 2021-12-30 2022-06-15 주식회사 누리온 인공지능 기반의 상황 감시 및 응급 호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945B1 (ko) * 2017-08-07 2018-08-31 임희재 생체 및 음성정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00102792A (ko) * 2019-02-22 2020-09-01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수술지원 시스템
WO2020171665A3 (ko) * 2019-02-22 2020-10-22 이태경 치과 임플란트 수술지원 시스템
KR20200112520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원드롭 영상 통화 중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8306B1 (ko) * 2021-12-30 2022-06-15 주식회사 누리온 인공지능 기반의 상황 감시 및 응급 호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184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agnosis and personalized abnormalities alerts and for providing adaptive responses in clinical trials
US11918386B2 (en) Device-based maneuver and activity state-based physiologic status monitoring
JP7355826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非依存のリアルタイム医療データ表示システム
US9044136B2 (en)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RU26697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лучшения надежности измерений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EP34742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error of bio-information sens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US20170007126A1 (en) System for conducting a remote physical examination
US20120022886A1 (en) Medical Data Acquisition, Diagnostic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60696A (ko)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방법
JP2012222443A (ja) 救命救急補助システムとその方法とユーザ端末装置と救命救急補助装置
WO2012127884A1 (ja) 制御装置および認証方法
US20210142913A1 (en) Diagnosis support device, diagnosis suppor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diagnosis support program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Michard Toward smart monitoring with phones, watches, and wearable sensors
CN11444994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和信息处理方法
CN114649088A (zh) 紧急征兆早期检测、警告和响应***及其使用方法
JP2004351184A (ja) ユビキタス式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McGillion et al. Beyond wellness monitoring: continuous multiparameter remote automated monitoring of patients
KR20190061826A (ko)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복합 생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193558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128576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20150089144A (ko) 원격 건강 진단 시스템
US20230200648A1 (en)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status remotely
Yoon et al. Blood Pressure Measurement Based on the Camera and Inertial Measurement Unit of a Smartphone: Instrument Validation Study
KR102570064B1 (ko) 통합형 의료 검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