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945A -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945A
KR20160128945A KR1020160131909A KR20160131909A KR20160128945A KR 20160128945 A KR20160128945 A KR 20160128945A KR 1020160131909 A KR1020160131909 A KR 1020160131909A KR 20160131909 A KR20160131909 A KR 20160131909A KR 20160128945 A KR20160128945 A KR 20160128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artridge
liquid material
reservoir chamber
storage chamber
targe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재호
최기창
Original Assignee
고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호 filed Critical 고재호
Priority to KR102016013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945A/en
Publication of KR2016012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9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6Chemiluminescence; Bioluminescence
    • G01N21/763Biolumin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5Mechanical control of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4Batch operation; multisampl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and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ing method using the same, capable of having a highly reliable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comprises: a housing which includes a first storage chamber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ccommodating a first liquid substance, a second storage chamber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being connected with the first storage chamber having open upper and lower parts, and accommodating a second liquid substance, a first separation film being arrang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mutually separating the first liquid substance from the second liquid substance, a perforating body forming a hole in the first separation film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storage chamber i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being arranged to face the first storage chamber, sensing chemiluminescence generat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measuring an intensity of light, accommodates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having at least one section capable of being mixed with the first liquid substance as the second liquid substance flows into the first storage chamber through a hole of the first separation film perforated by the perforating body, and blocks external light from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 storage box arrang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storing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 push unit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drilling a hole in the first separation film by pushing the perforating body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when closing the storage box of storing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 motor which pushes the push unit downwards;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driving of the motor, receives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calculates the result.

Description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ridge for analyzing a target material,

본 발명은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물 카트리지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nd analysis method capable of analyzing signals generated in a subject cartridge.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광역경제권연계협력사업(2013년 부정맥 질환 진단/치료기기 개발 및 상용화 지원사업, 과제번호 R0002625)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project for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2013,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rrhythmia diagnosis / treatment equipment, Project No. R0002625).

최근에, 검출하고자 하는 성분들의 농도를 사용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고 이 결과를 즉시 반영하고자 하는 현장진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람의 질병을 빠르고 간단하게 진단, 분석할 수 있는 진단카트리지, 바이오칩 등에 대한 구체화된 요구가 우리 일상과 의료현장 등에서 증대되고 있다.Recent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on-site diagnostics to directly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the components to be detected at the site of use and to immediately reflect the results. Particularly, specific needs for diagnostic cartridges and biochips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diagnosing and analyzing human diseases are increasing in our everyday and medical fields.

이에 발맞추어 생체 시료를 손쉽고 빠르게 진단 분석하기 위한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경우 외부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편차가 큰 신호를 발생하므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신호를 보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분석장치 또는 분석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ctively developed a detection cartridge for a subject to easily and quickly diagnose and analyze a biological sample. However, in the case of a cartridge for detecting a sample, a signal having a large devi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environment or a condition is gener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nalyzing apparatus or an analyzing method capable of correcting and analyzing a signal in order to obtain a reliable resul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다른 신호값을 발생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신호값을 보정하여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signal values of a subject detection cartridge which generates different signal values according to external environment or conditions, And a method for analyzing a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제1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제1저장챔버와,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제2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2저장챔버,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액상물질과 상기 제2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1분리막,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제2저장챔버를 통과하여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낼 수 있는 천공체 및 상기 제1저장챔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저장챔버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을 감지하고 광도를 측정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액상물질이 상기 천공체에 의해 천공된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로 유입되어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될 수 있는 섹션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로부터 외부 빛을 차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수납한 수납함이 닫히면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뚫게하는 푸쉬부; 상기 푸쉬부를 아래로 밀어주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수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analyzing a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servoir chamber having an open top and receiving a first liquid material; a second reservoir chamber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a second reservoir chamber in which a lower portion is opened and a second liquid material is accommodate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the first liquid material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A perforated body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t the top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nd capable of puncturing the first separator membrane, and a second reservoir chamber disposed to face the first reservoir chamber, Wherein the second liquid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torage chamber through a hole of the first separator pierced by the perforated body so that the first liquid At least one housing for receiving a cartridge having the target material is detected that the sections that can be mixed with the material, and blocks external light from the detection target material cartridge; A hous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 push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pushing a puncture body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ng membrane when the receptac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detecting cartridge is closed; A motor for pushing the push portion downwar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tor, receiving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calculating the result.

상기 수납함은 서랍형태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개폐될 수 있다.The receptacle may be opened or closed from the housing in the form of a drawer.

상기 푸쉬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천공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푸쉬바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눌려지고 상기 푸쉬바가 상기 천공체를 밀 수 있다.The push portion includes a plate and a push ba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ed body on the plate, the plate being pressed by driving the motor and the push bar being able to push the perforated body.

상기 푸쉬바를 감싸고 있는 용수철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미는 힘이 줄어들면 상기 푸쉬바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The push bar further includes a spring surrounding the push bar, and 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plate is reduced, the push bar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는 상기 제2저장챔버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제3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3저장챔버;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3저장챔버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액상물질과 상기 제3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2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는 상기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 및 제2분리막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Wherein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further comprises: a third storage chamber located above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the third storage chambe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receiving a third liquid material; And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locat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and separating the second liquid material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can be punched.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는 조건에 따른 기준시료의 상기 화학발광의 광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표적물질을 포함하는 시료의 측정된 광도를 조건에 맞게 보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Wherein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further comprises a database for storing the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chemiluminescence of the reference sample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the control unit is operable to condition the measured luminous intensity of the sample including the target material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And can be calibrated and calculated accordingly.

일면에 상기 제어부가 산출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results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on one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은 상부가 개방되고 제1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제1저장챔버와,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제2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2저장챔버,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액상물질과 상기 제2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1분리막,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제2저장챔버를 통과하여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낼 수 있는 천공체 및 상기 제1저장챔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저장챔버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을 감지하고 광도를 측정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액상물질이 상기 천공체에 의해 천공된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로 유입되어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될 수 있는 섹션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수납함에 수납하는 과정; 상기 수납함이 닫히면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푸쉬부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뚫는 과정; 상기 제2액상물질이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되어 혼합물이 생성되면, 상기 혼합물의 화학발광의 광도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수광센서가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가 전달받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nalyzing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including: a first reservoir chamber having an open top and receiving a first liquid material; a second reservoir cha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a second reservoir chamber in which a lower portion is opened and a second liquid material is accommodate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the first liquid material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A perforated body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t the top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nd capable of puncturing the first separator membrane, and a second reservoir chamber disposed to face the first reservoir chamber, Wherein the second liquid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storage chamber through a hole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punctured by the perforated body, The material and the process for storing a section which may be mixed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having at least one holder in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A step of pushing the perforated body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by the push portion by driving the moto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ing device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ng membrane when the receptacle is closed; A step of measuring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chemiluminescence of the mixture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when the second liquid material is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to generate the mixture; And analyzing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by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은 상부가 개방되고 제1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제1저장챔버와,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다른 제1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2저장챔버,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제3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3저장챔버,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액상물질과 상기 제2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1분리막,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3저장챔버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액상물질과 상기 제3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2분리막, 상기 제3저장챔버의 상면에서 상기 제2분리막 및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낼 수 있는 천공체 및 상기 제1저장챔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저장챔버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을 감지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섹션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에 제1액상물질을 상기 제1저장챔버에 마련하고, 제2액상물질을 상기 제2저장챔버에 마련하고, 제3액상물질을 상기 제3저장챔버에 마련하여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수납함에 수납하는 과정; 상기 수납함이 닫히면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푸쉬부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2분리막에 구멍을 뚫는 과정; 상기 제3액상물질이 상기 제2분리막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2액상물질과 혼합되어 제1혼합물이 생성되면, 상기 푸쉬부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뚫는 과정; 상기 제1혼합물이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저장챔버 내에서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되어 제2혼합물이 생성되면, 상기 제2혼합물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의 광도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수광센서가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가 전달받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for analyzing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orage chamber having an open top and receiving a first liquid material; a second storage chamb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A second reservoir chamber in whic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opened and another first liquid material is accommodated, a second reservoir chamber located above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 third storage chamber, a first separation membran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for separating the first liquid material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for separating the second liquid material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I can make a hole in And a s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section including a perforated body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arranged to face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sensing chemiluminescence generat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Providing a second liquid material in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nd providing a third liquid material in the third reservoir chamber to accommodate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in a receptacle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When the receptacle is closed, pushing the puncture body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by driving the moto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to puncture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When the third liquid material is mixed with the second liquid material through the hole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to generate the first mixture, the push portion pushes the porous material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process; Wherein when the first mixture is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through the orifice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to produce a second mixture, the intensity of the chemiluminescence generated in the second mixture, A process of measuring the light receiving sensor of the detection cartridge; And analyzing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by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가 전달받아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기준시료의 광도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시료의 광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당시의 조건을 특정하고, 표적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측정된 광도 데이터를 상기 측정당시의 조건에 맞게 보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nalyzes the luminous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by using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reference sample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measurement can be compared and the measured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can be calculated by correcting it according to the condi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다른 신호값을 발생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신호값을 보정하여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signal values of a detection cartridge for generating a signal value according to an external environment or a condition to obtain a reliable result, and a target material detection A cartridge analysis method can be provide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수납함에 수납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작용기전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하우징 내부 에 마련된 푸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개방된 하우징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개방된 하우징의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화학발광 광량변화 그래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housed in a receptacle, and Fig. 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 action mechanism of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ush portion provided inside a housing of a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of an open housing of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view of an open housing of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nalyzing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nalyzing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chemiluminescence emitted from the detection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I want to explain.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 the text,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Represent similar component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rawings and claims,

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poetic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ed techniqu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figures, may be arranged, arranged, combined, or arrang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expressly contemplated,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an element, etc.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에 배치"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 deploy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the case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dispos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the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 between " and " between "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는 수납함(20), 하우징(10), 표시부(30)를 포함한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20, a housing 10, and a display unit 30. As shown in FIG.

수납함(20)은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하우징(1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의 정면에 마련되어 후술할 하우징(10)으로부터 서랍처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 수납함(20)은 후술할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내부에 수납하여 본 발명의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가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분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수납함(20)은 여닫이가 쉽도록 손잡이(22)를 마련할 수 있다.The housing 20 is a structu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ing apparatus, preferably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and can be opened or closed like a drawer from the housing 10 to be described later. The storage box 20 accommodates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o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he storage box 20 can be provided with a handle 22 so that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도 3은 수납함(20)에 수납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작용기전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housed in the receptacle 20, and Fig. 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 action mechanism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는 제1저장챔버(110), 제2저장챔버(120), 제3저장챔버(130), 제1분리막(150a), 제2분리막(150b), 천공체(140)를 포함한다. 3 and 4,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includes a first storage chamber 110, a second storage chamber 120, a third storage chamber 130, a first separation membrane 150a,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150b ), And a perforated body (140).

제3저장챔버(130)는 제2저장챔버(120)와 연결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며, 후술할 제2분리막(150b)을 통해 제3액상물질(80)이 수용된다. 일례로, 제3저장챔버(13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저장챔버(12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3저장챔버(130)는 제2저장챔버(1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때 제3저장챔버(130)의 하단은 제2저장챔버(120)과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2분리막(150b)과 밀착되면서 동시에 제2저장챔버(120)의 상단과도 밀착되어 제2액상물질(70)이 제2저장챔버(120)에 기밀성 있게 수용될 수 있다.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opened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is accommodated through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150b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as shown in FIG. In this process, 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by a screw coupling metho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50b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n the process of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n a screw- So that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can be receiv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n an airtight manner.

제2분리막(150b)은 제3저장챔버(130)의 하단과 제2저장챔버(12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제3액상물질(80)과 제2액상물질(70)을 서로 격리한다. 이를 통하여 미리 제2저장챔버(120)에 진단에 필요한 정량이 제공된 제2액상물질(70)을 다른 물질과 격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사용자는 피검체의 검출이 필요한 시점에 제2분리막(150b)의 제거 또는 파괴를 통하여 제3액상물질(80) 및 제2액상물질(70)을 혼합하여 제1액상혼합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50b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to isolate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from each other .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provided in advance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for diagnosis can be isolated from other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subject detection cartridg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remove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through removal or destruc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50b May be mixed to produce a first liquid mixed material.

제2저장챔버(120)는 제3저장챔버(130) 및 제1저장챔버(110)와 연결되고, 상단 및 하단이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connected to 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and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개방된 구조로, 후술할 제1 분리막(150a)을 이용해 제2액상물질(70)이 수용된다. 한편, 제2저장챔버(120)는 도 4에서 실시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체(140)를 이용하여 제3액상물질(80) 및 제2액상물질(70)의 액상혼합물질인 제1액상혼합물질이 제1액상물질(60)과의 혼합과정에서 제1저장챔버(110)로 용이하게 주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저장챔버(120)의 하단은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opened structure,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is accommodated using the first separating film 150a to be described later. 4,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may be formed of a liquid mixture material of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by using the perforated body 14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may b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its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goes down to allow the one liquid mixture material to be easily injected into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n the course of mixing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 Lt; / RTI >

제1분리막(150a)은 제2저장챔버(120)의 하단 및 제1저장챔버(11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제2액상물질(70)과 제1액상물질(60)을 서로 격리한다. 이를 통하여 미리 제1저장챔버(110)에 진단에 필요한 정량이 제공된 제1액상물질(60)을 다른 물질과 격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사용자는 피검체의 검출이 필요한 시점에 제1분리막(150a)의 제거 또는 파괴를 통하여 제1액상혼합물질을 제1액상물질(60)과 혼합하여 제2액상혼합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빛, 열 또는 전기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제3액상물질(80)의 피검체를 검출할 수 있다.The first separator 150a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servoir chamber 110 and isolates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and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from each other .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provided in advance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for diagnosis can be isolated from other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 user of the subject detection cartridge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ixes the first liquid mixture material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through the removal or destruction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50a at the time when the detection of the subject is required A second liquid-phase mixed material can be produced. The object of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the light, heat or electric signal generated in this process.

제1저장챔버(110)는 상단이 개방되며, 제1액상물질(10)이 수용된다. 제1저장챔버(11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60)에 적어도 1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저장챔버(110)는 제1액상물질(10), 제2액상물질(20) 및 제3액상물질(30)의 혼합이 일어나 제2액상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장소의 역할을 한다.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s opened at the top, and the first liquid material 10 is accommodated. As shown in FIG. 3, at least one first storage chamber 110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160.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serves as a place where mixing of the first liquid material 10, the second liquid material 20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30 occurs to generate the second liquid mixture material.

제1액상물질(60)은 진단 분석 대상의 종류, 방식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필요한 정량이 제1저장챔버(110)에 공급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액상물질(60)에는 제3액상물질(80)을 진단하여 분석할 수 있는 감지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3액상물질(80)에는 진단을 위한 피검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피검물은 예로서 표적물질이 들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상 물질로 물, 콧물, 침, 소변, 혈액 등일 수 있으며, 상기 표적물질은 상기 피검물에 포함된 나트륨(Na), 칼륨(K), 혈당, 특이 단백질, 독성물질, 각종 바이오 마커 등일 수 있다. 제2액상물질(70)에는 촉매 등의 반응촉진제 또는 앱타머 등의 반응매개제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반응촉진제는 상기 액상혼합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1액상물질(60) 및 제3액상물질(80)의 반응을 촉진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매개제는 상기 액상혼합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1액상물질(60)과 제3액상물질(80)간의 직접적인 반응이 어려울 경우 이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3액상물질(80)은 먼저 상기 반응매개제와 결합을 하고, 제3액상물질(80)과 결합한 상기 반응매개제가 제1액상물질(60)과 반응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반응매개제로서 다양한 앱타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상기 앱타머와 제3액상물질(80)이 반응하는 과정에서 제3액상물질(80)에 포함된 표적물질과 상기 앱타머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적물질과 상기 앱타머와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앱타머에서 전기적 에너지의 변위, 화학 극성의 변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앱타머와 제1액상물질(10)의 반응과정에서 빛, 열 또는 전기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액상물질(60), 제2액상물질(70) 및 제3액상물질(8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액상혼합물질의 혼합과정에서 빛, 열 또는 전기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제1저장챔버(11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센서(170)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70)로부터 감지된 신호와 메모리 등 저장장치(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샘플분석용 카트리지는 제3액상물질(80)을 진단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170)는 제1액상물질(60), 제2액상물질(70) 및 제3액상물질(80)의 혼합과정에서 발생하는 빛을 감지하여 제3액상물질(80)을 진단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저장챔버(110)는 광투과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liquid material 60 may be supplied an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n a predetermined amount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method, or the like of the diagnosis target. For example,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may include a sensing material capable of diagnosing and analyzing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may contain an analyte for diagnosis. The target substance may be sodium, potassium (K), potassium (K), sodium (K), sodium (K) Blood glucose, specific proteins, toxic substances, various biomarkers, and the like.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may include a reaction promoter such as a catalyst or a reaction medium such as an aptamer. The reaction promoter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moting the reaction of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liquid mixture material. The reaction mediator may act as a mediator when a direct reaction between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is difficult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liquid mixture material. That is,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first performs the function of binding with the reaction medium and helping the reaction medium, which is combined with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react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In general, various aptamers are used as the reaction mediator. For example, the aptamer may be combined with the target material contained in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during the reaction between the aptamer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of the electric energy and the displacement of the chemical polarity may occur in the aptamer during the binding process between the target substance and the aptamer. Thereafter, light, heat or electric signals may be generated during the reaction of the aptamer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10.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light, heat or electric signals may be generated in the mixing process of the liquid mixed material. The sensor 170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can sense this.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170 can be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stored in a storage device (not shown) such as a memory. Whereby the sample analyzing cartridge disclosed herein can diagnose and analyze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For example, the sensor 170 senses light generated in the mixing process of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to detect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 In this case,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천공체(140)는 제3저장챔버(13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2분리막(150b)을 천공하고, 제2저장챔버(12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1분리막(150a)을 관통한다. 이 과정에서 제3액상물질(80)은 천공체(140)에 의해 천공된 제2분리막(150b)의 구멍을 통하여 제2저장챔버(120)로 유입되어 제2액상물질(70)과 혼합되어 제1액상혼합물질이 생성되고, 제1액상혼합물질은 천공체(140)에 의해 관통된 제1분리막(150a)을 경유하여 제1저장챔버(110)로 유입되어 제1액상물질(60)과 혼합되어, 제2액상혼합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일례로, 천공체(140)는 제1저장챔버(110)로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천공체(140)의 끝단은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2분리막(150b) 및 제1분리막(150a)을 효과적으로 뚫을 수 있다. The perforated body 140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and punctures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50b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50a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flows into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120 through the hole of the second separator 150b pierced by the perforated body 140 and is mixed with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The first liquid mixed material is generated and flows into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via the first separator 150a penetrated by the perforated body 140 to form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To form a second liquid-phase mixed material. For example, the perforated body 14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perforated body 140 is narrowe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f movement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110. In particular, the end of the perforated body 140 may have a pointed shape, and through which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50b and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150a can be effectively pierced.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제1저장챔버, 제2저장챔버(120) 및 제3저장챔버(130)를 포함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저장챔버(120)를 생략하고 제1저장챔버 및 제3저장챔버(130)를 포함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저장챔버(130)에는 상기 피검물과 상기 반응촉진제 또는 상기 반응매개제가 혼합된 액상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3 and 4 show a sample detection cartridge including a first storage chamber, a second storage chamber 120 and a third storage chamber 130, but the second storage chamber 120 is omitted, A storage chamber and a third storage chamber 130 may also be applied. In this case, the third storage chamber 130 may contain a liquid material in which the test substance and the reaction promoter or the reaction medium are mixed.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부피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다. 하우징(10)은 내부에 위치한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에 외부 빛이 입사되지 않도록 암실처럼 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again to Figures 1 and 2, the housing 10 is the portion that occupies most of the volume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0 completely block the light as a dark room so that external light does not enter into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located therei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검체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하우징(10)의 내부 에 마련된 푸쉬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검체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개방된 하우징(1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검체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개방된 하우징(10)의 후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푸쉬부(45)는 모터(41), 로터(46), 플레이트(44), 푸쉬바(42)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41)는 모터(41)와 연결된 로터(46)를 회전하게 하는 구동주체이다. 로터(46)는 모터(4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부분으로 형상은 타원형이나 물방울 모양 등 장축과 단축이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가 내장된 수납함(20)이 닫히면 로터(46)가 회전하면서 로터(46)의 장축이 아래로 향하며 회전할 때 로터(46)의 장축부분이 플레이트(44)를 아래로 밀어준다. 그리하여 플레이트(44)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바(42)가 아래로 내려가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각 섹션에 구비되는 천공체(140)를 미는 구조일 수 있다. 푸쉬바(42)의 위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140)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푸쉬바(42)에는 용수철(43)이 구비되어 로터(46)의 회전에 의해 플레이트(44)가 눌려지면 푸쉬바(42)가 아래로 내려갔다가 플레이트(44)를 누르는 힘이 줄어들면 용수철(43)의 복원력에 의해 푸쉬바(42)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도 있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ush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of the analyte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of an open housing 10 of a analyte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view of the opened housing 10 of the analyte detecting cartridge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the push portion 45 includes a motor 41, a rotor 46, a plate 44, and a push bar 42. As shown in Fig. The motor 41 is a driving subject that rotates the rotor 46 connected to the motor 41. The rotor 46 is connected to the motor 41 and rotates. The rotor 46 is preferably a structure having a major axis and a minor axis such as an oval shape or a water droplet shape. When the receptacle 20 with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is closed, the long axis portion of the rotor 46 pushes the plate 44 downward as the rotor 46 rotates and the long axis of the rotor 46 rotates downward . So that at least one push bar 42 connected to the plate 44 is pushed downward to push the perforated body 140 provided in each section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he position of the push bar 4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ed body 140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he push bar 42 is provided with a spring 43. When the plate 44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46 and the push bar 42 is lowered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plate 44 is reduced, The push bar 42 may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push bar 42. [

제어부(50)는 푸쉬부(45)의 모터(41)의 구동을 제어하고, 수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부분이다. 제어부(50)에 의해 산출된 결과는 표시부(30)에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표시부(30)가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타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41 of the pushing unit 45 and receives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calculates the result. The result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5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 1 and 2, the display unit 30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피검물 검출 카트리지를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수납함(20)에 수납한다(S300). 피검물 검출카트리지의 구조는 위에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and 9 are flowcharts showing the flow of a method for analyzing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inspected object detection cartridge is housed in the receptacle 20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S300). Since the structure of the inspection object detection cartridg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 수납함(20)이 닫히면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모터(41)의 구동에 의해 푸쉬부(45)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140)를 밀어 상기 제2분리막(150b)에 구멍을 뚫는다(S310). 모터(41)와 연결된 로터(46)가 회전하면서 플레이트(44)를 아래로 밀어준다. 그리하여 플레이트(44)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푸쉬바(42)가 아래로 내려가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각 섹션에 구비되는 천공체(140)를 밀게 된다. 푸쉬바(42)의 위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140)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Next, when the receptacle 20 is closed, the push portion 45 pushes the perforated body 140 of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by driving the motor 41 of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zing device, (S310). The rotor 46 connected to the motor 41 rotates and pushes the plate 44 downward. Thus, at least one push bar 42 connected to the plate 44 is lowered to push the perforated body 140 provided in each section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he position of the push bar 42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ed body 140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제2분리막(150b)에 구멍이 뚫리면, 제3저장챔버(130)에 담겨있는 제3액상물질(80)이 구멍을 통해 제2저장챔버(120)에 흘러내리면서 제2저장챔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제2액상물질(70)과 혼합된다.The third liquid material 80 contained in the third reservoir chamber 130 flows into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120 through the hole and flows into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120, Is mixed with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stored in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다음, 상기 푸쉬부(45)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140)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150a)에 구멍을 뚫는다(S315). 상기 제3액상물질(80)과 상기 제2액상물질(70)의 혼합물이 상기 제1분리막(150a)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저장챔버 내에서 상기 제1액상물질(60)과 혼합된다. Next, the push portion 45 pushes the perforated body 140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or 150a (S315). A mixture of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is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separator 150a.

제3액상물질(80)과 제2액상물질(70)의 혼합물이 다시 제1액상물질(60)과 혼합되면 제1액상물질(60)에 포함된 발광물질에 의해 화학발광을 하게된다. When the mixture of the third liquid material 80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70 is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the chemiluminescence is cau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contained in the first liquid material 60.

다음, 화학발광의 광도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수광센서가 측정한다(S320).Next, the light-receiving senso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measures the luminous intensity of chemiluminescence (S320).

다음, 수광센서가 측정한 화학발광의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50)가 전달받아 분석한다(S330).Next, the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chemiluminescence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received and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50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S330).

이 과정에서 화학발광의 광도는 동일한 농도의 시료의 경우에도 온도나 습도 등 측정 환경 또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화학발광의 광도는 측정에 사용되는 센서(170)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센서(170)가 사용되는 환경조건, 즉, 온도, 습도 등에 따라 정적인 특성 및 동적인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조과정 등에 따라 특성이 변화될 수 있어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감도오차(sensitivity error), 감도변동(sensitivity drift), 오프셋(offset) 발생, 영점 변동(zero or null drift) 등과 같은 오차의 교정이 필요하다. 이에 기준시료의 광도를 먼저 측정하여 표준치를 산출하고, 피검물이 있는 시료의 광도를 측정하여 보정된 값으로 화학발광의 광도 데이터를 산출한 다음 제어부(50)를 통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먼저, 기준시료의 측정 및 피검물의 측정에 사용되는 각각의 센서(170)의 오차를 파악하여 이를 교정한다. 이후, 측정 환경 또는 조건 별로 광도를 미리 알고 있는 기준시료에 대하여 광도를 측정한다. 이후, 기준시료에 대하여 측정한 광도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시료의 화학발광 광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센서(170)의 오프셋을 특정한다. 이후, 표적물질이 포함된 시료에 대한 측정을 통하여 얻어진 광도에 센서(170)의 상기 오프셋을 반영하여 상기 측정 당시의 조건에 맞게 표적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측정된 광도를 보정하여 산출한다. 이후, 보정하여 산출된 표적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측정된 광도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표적물질의 화학발광 광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표적물질의 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정리하면, 수광센서(170)가 측정한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50)가 전달받아 분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어부(50)는 수광센서(170)가 측정한 기준시료의 광도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시료의 화학발광 광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 당시의 조건을 특정한다. 이 과정에서 오프셋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표적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측정된 광도를 상기 측정 당시의 조건에 맞게, 즉 산출된 오프셋을 반영하여 표적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측정된 광도를 보정하여 보정된 광도를 산출한다. 산출된 보정된 광도를 기준으로 시료의 농도를 분석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chemiluminescence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environment or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even for the sample of the same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chemiluminescence can be changed in static characteristics and dynam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which the sensor 170 is used, that is, temperature, humidity, etc., even though the sensor 170 used for measurement is the same. In addition, characteristic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errors such as a sensitivity error, a sensitivity drift, an offset, and zero or null drift du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libration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first measure the brightness of the reference sample to calculate the standard value, to measure the brightness of the sample having the test object, to calculate the brightness data of the chemiluminescence with the corrected value, and then to analyze it through the control unit 50. More specifically, first, the errors of the respective sensors 170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reference sample and the measurement of the analyte are grasped and corrected. Then, the luminous intensity is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ample whose luminous intensity is known in advanc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or condition. Thereafter, the light intensity measured for the reference sample is compared with the chemiluminescence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reference sampl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o specify the offset of the sensor 170. Thereafter, the measured light intensity of the sample including the target material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offset of the sensor 170 to the light intensity obtain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sample including the target material,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ereafter, the measured luminous intensity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calibrated target material can be compared with the chemiluminescent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target material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material. In summary,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receiving sensor 170 by the control unit 50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is as follows. The control unit 50 compares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reference sample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170 with the chemiluminescence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reference sampl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o specify conditions at the time of measurement. In this process, the offset can be calculated. Thereafter, the measured light intensities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substance are corr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at is, the calculated intensities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substance are ref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ed offsets.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can b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corrected light intensity.

도 10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피검체 검출카트리지의 화학발광 광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외부조건의 변화에 따른 기준시료와 표적물질이 들어있는 시료의 광량의 차이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기준시료와 표적물질이 들어있는 시료의 화학발광의 광도 측정은 복수의 섹션이 구비되어 있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각각의 섹션에 각각의 시료를 준비하여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단일 섹션으로 된 표적물질 검출 카트리지 복수 개에 기준시료와 표적물질이 들어있는 시료를 따로 따로 담고, 먼저 기준시료의 화학발광의 광도를 측정하고, 다음 표적물질이 들어있는 시료의 화학발광 광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FIG. 10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chemiluminescence emitted from a sample detection cartridge which changes according to a con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amounts of the reference sample and the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according to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is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Or can be specified by a formula. The photometric measurement of the chemiluminescence of the reference sample and the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by preparing each sample in each section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hav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a single section of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the reference sample and the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substance are separately contained in a plurality of detection cartridges. The luminosity of the chemiluminescence of the reference sample is measured first, and the chemiluminescence intensity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following target substance is measured It can also be measur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 설명한 피검물 검출카트리지에서 제2저장챔버가 생략되고 제1저장챔버와 제3저장챔버가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따라서 도 8을 이용한 설명과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nalyzing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torage chamber is omitted in the inspection object cartridge described in Fig. 8, and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the third storage chamb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ince it is similar to the explanation using FIG.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ssible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is disclosure.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but true ideas and scope will b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상부가 개방되고 제1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제1저장챔버와,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제2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2저장챔버,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액상물질과 상기 제2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1분리막,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제2저장챔버를 통과하여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낼 수 있는 천공체 및 상기 제1저장챔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저장챔버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을 감지하고 광도를 측정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액상물질이 상기 천공체에 의해 천공된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로 유입되어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될 수 있는 섹션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로부터 외부 빛을 차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수납한 수납함이 닫히면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뚫게하는 푸쉬부;
상기 푸쉬부를 아래로 밀어주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수광센서에 의해 측정된 화학발광의 광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A first reservoir chamber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receiving a first liquid material; a second reservoir chamber located above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 first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reservoir chamber,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for separating the first liquid material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A perforated body passing through the second storage chamber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arranged to face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detecting chemiluminescence generat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measuring the luminous intensity Wherein the second liquid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reservoir chamber through the orifice of the first separator pierced by the perforator to be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Receiving a detection cartridge, and the housing to block the external light from the detection target material cartridge;
A hous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 push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pushing a puncture body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ng membrane when the receptac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detecting cartridge is closed;
A motor for pushing the push portion downward; And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receiving the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chemiluminescence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calculating a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서랍형태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개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ptacle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housing in the form of a dra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천공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푸쉬바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눌려지고 상기 푸쉬바가 상기 천공체를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portion includes a plate and a push ba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ed body on the plate so that the plate is pressed by the motor and the push bar pushes the perforated bod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바를 감싸고 있는 용수철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미는 힘이 줄어들면 상기 푸쉬바가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ring surrounding the push bar, wherein when the pushing force of the plate is reduced, the push ba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는
상기 제2저장챔버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제3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3저장챔버;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3저장챔버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액상물질과 상기 제3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2분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는 상기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 및 제2분리막에 구멍을 뚫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The cartrid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 third reservoir chamber located above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reservoir chamber being opened, and a third liquid material being accommodated;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parator locat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third reservoir chamber for separating the second liquid material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Wherein the pushing portion pushes the puncturing member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ng membrane and the second separating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는 조건에 따른 기준시료의 상기 화학발광의 광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표적물질을 포함하는 시료의 측정된 광도를 조건에 맞게 보정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further comprises a database for storing the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chemiluminescence of the reference sample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the control unit is operable to condition the measured luminous intensity of the sample including the target material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And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is calibrated and corrected.
제1항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제어부가 산출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sult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on one surface of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상부가 개방되고 제1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제1저장챔버와,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제2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2저장챔버,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액상물질과 상기 제2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1분리막,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제2저장챔버를 통과하여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낼 수 있는 천공체 및 상기 제1저장챔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저장챔버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을 감지하고 광도를 측정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액상물질이 상기 천공체에 의해 천공된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로 유입되어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될 수 있는 섹션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수납함에 수납하는 과정;
상기 수납함이 닫히면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푸쉬부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뚫는 과정;
상기 제2액상물질이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되어 혼합물이 생성되면, 상기 혼합물의 화학발광의 광도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수광센서가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가 전달받아 분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
A first reservoir chamber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receiving a first liquid material; a second reservoir chamber located above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 first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reservoir chamber,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for separating the first liquid material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A perforated body passing through the second storage chamber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arranged to face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detecting chemiluminescence generat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measuring the luminous intensity Wherein the second liquid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reservoir chamber through the orifice of the first separator pierced by the perforator to be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detection cartridge in the holde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A step of pushing the perforated body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by the push portion by driving the moto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ing device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ng membrane when the receptacle is closed;
A step of measuring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chemiluminescence of the mixture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when the second liquid material is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to generate the mixture; And
A process of analyzing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receiving the light intensity data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Wherein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is a cartridge.
상부가 개방되고 제1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제1저장챔버와,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다른 제1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2저장챔버,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저장챔버와 연결되고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제3액상물질이 수용되는 제3저장챔버, 상기 제1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2저장챔버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액상물질과 상기 제2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1분리막, 상기 제2저장챔버의 상부 및 상기 제3저장챔버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액상물질과 상기 제3액상물질을 서로 분리하는 제2분리막, 상기 제3저장챔버의 상면에서 상기 제2분리막 및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낼 수 있는 천공체 및 상기 제1저장챔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저장챔버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을 감지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섹션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에 제1액상물질을 상기 제1저장챔버에 마련하고, 제2액상물질을 상기 제2저장챔버에 마련하고, 제3액상물질을 상기 제3저장챔버에 마련하여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를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수납함에 수납하는 과정;
상기 수납함이 닫히면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푸쉬부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2분리막에 구멍을 뚫는 과정;
상기 제3액상물질이 상기 제2분리막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2액상물질과 혼합되어 제1혼합물이 생성되면, 상기 푸쉬부가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천공체를 밀어 상기 제1분리막에 구멍을 뚫는 과정;
상기 제1혼합물이 상기 제1분리막의 구멍을 통해 상기 제1저장챔버 내에서 상기 제1액상물질과 혼합되어 제2혼합물이 생성되면, 상기 제2혼합물에서 발생하는 화학발광의 광도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의 수광센서가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가 전달받아 분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
A first reservoir cha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a different first liquid material accommodated therein; A second reservoir chamber, a third reservoir chamber located above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the third reservoir chambe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receiving a third liquid material, A first separation membran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servoir cha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eservoir chamber for separating the first liquid material and the secon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for separating the second liquid material and the third liquid material from each other, a perforator capable of piercing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and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A first liquid material is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liquid material is provid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in a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having at least one section including at least one section including a light receiving sensor for detecting chemiluminescence generat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a third liquid material is provided in the third storage chamber to store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in a storage box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sis apparatus;
When the receptacle is closed, pushing the puncture body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by driving the motor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to puncture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When the third liquid material is mixed with the second liquid material through the hole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to generate the first mixture, the push portion pushes the porous material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to puncture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process;
Wherein when the first mixture is mixed with the first liquid material in the first storage chamber through the orifice of the first separation membrane to produce a second mixture, the intensity of the chemiluminescence generated in the second mixture, A process of measuring the light receiving sensor of the detection cartridge; And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received and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Wherein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is a cartridge.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광도 데이터를 상기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장치의 제어부가 전달받아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광센서가 측정한 기준시료의 광도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시료의 화학발광 광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당시의 조건을 특정하고, 표적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측정된 광도를 상기 측정당시의 조건에 맞게 보정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카트리지 분석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light intensity data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received and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target material detection cartridge analyzer,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reference sample measur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with the chemiluminescence luminous intensity data of the reference sampl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o specify the condi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and measures the measured luminous intensity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target material at the time of the measurement Wherein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is calib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the target substance detection cartridge.
KR1020160131909A 2016-10-12 2016-10-12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KR201601289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09A KR20160128945A (en) 2016-10-12 2016-10-12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09A KR20160128945A (en) 2016-10-12 2016-10-12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423A Division KR101746498B1 (en) 2015-04-28 2015-04-28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45A true KR20160128945A (en) 2016-11-08

Family

ID=5752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09A KR20160128945A (en) 2016-10-12 2016-10-12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94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304A (en) * 2019-01-31 2020-08-07 青岛海尔生物医疗股份有限公司 Blood bag storage box and blood quality detec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304A (en) * 2019-01-31 2020-08-07 青岛海尔生物医疗股份有限公司 Blood bag storage box and blood quality detection method
CN111498304B (en) * 2019-01-31 2022-04-19 青岛海特生物医疗有限公司 Blood bag storage box and blood quality dete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9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ammonia and ammonium in fluids
JP4160674B2 (en) Liquid sample analysis system
US11226327B2 (en) Linear, cartridge-based glucose measurement system
JPH0933537A (en) Quality control method and liquid used in method thereof
US20090149725A1 (en) Integrated fluid analyte meter system
CA2457500A1 (en) Methods of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an analyte in a fluid test sample
US20080087819A1 (en) Method for analyzing a fluid sample
US20150108341A1 (en) Mass spectrometer and mass spectrometry
US11391676B2 (en) Test element analysis system for the analytical examination of a sample
KR101746498B1 (en)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JP2014526705A (en) Biosensor and measuring device thereof
KR20160128945A (en) Apparatus for analyzing cartridge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using thereof
US3404962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constituent in a mixture
CN104237217A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detecting various trace heavy metal ions based on visualization technology
KR20150066722A (en)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of test apparatus
US10328429B2 (en) Test element analysis system for the analytical examination of a sample
US20080275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LLY AUTOMATED CLOSED SYSTEM pH MEASUREMENT
WO2003038433A1 (en) Test apparatus
KR20160135695A (en) cartridge for containing specimen sample
KR101756515B1 (en) cartridge and method for analytes detection using chemiluminescence
WO2016158139A1 (en) Electrical characteristic measurement device, electrical characteristic measurement method, blood condition analysis system,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 measurement program for computerizing said method
EP3992611A1 (en) Device and process for analysing gas effects in samples
CA3143250C (en) System and method of measurement and calibration of analyte testing
KR2016012848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optical measuring instrument
KR20160064278A (en) cartridge for containing specimen s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