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620A - Apparatus having internal power sourc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having internal power sourc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620A
KR20160127620A KR1020150128668A KR20150128668A KR20160127620A KR 20160127620 A KR20160127620 A KR 20160127620A KR 1020150128668 A KR1020150128668 A KR 1020150128668A KR 20150128668 A KR20150128668 A KR 20150128668A KR 20160127620 A KR20160127620 A KR 2016012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unit
power
water
c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근
권혁규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유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유니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유니츠
Publication of KR2016012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6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9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cathodic or alkaline water, e.g. for re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including an internal pow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electrolyzed water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receiving an action command from a user; checking out the status of power of the power unit; offering the user with an indication without power application to an electrolyzation unit if the status of power is lower than a first threshold; supplying the electrolyzation unit with a first amount of electricity for one hour if the status of power is lower than a second threshold; and supplying a second amount of electricity to the electrolyzation unit for two hours if the status of power is higher than a second threshold.

Description

내부 전원부를 가진 전해수 제조장치{APPARATUS HAVING INTERNAL POWER SOURC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internal power supply unit,

본 발명은 내부 전원부를 가진 전해수 제조장치 및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and an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having an internal power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applying power to an electrolytic unit using an internal power source.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전기분해 장치는 본체 내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설치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각 각 외부전원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한다. 본체 내에 전해질을 충전시킨 후 원수를 주입하고 전원을 인가하면, 양극에서는 산화반응으로 산소를 얻을 수 있고, 음극에서는 환원반응으로 수소를 얻을 수 있다. An electrolytic apparatus using electrolysis of water is provided wit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n a main body, and connect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of each external power source. When raw water is injected into the main body and then power is applied, oxygen can be obtained by the oxidation reaction at the anode, and hydrogen can be obtained by the reduction reaction at the cathode.

일반적으로 수산기는 물(H2O) 분자가 강력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소 원자(H+) 하나가 떨어질 때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general, hydroxyl groups are known to be formed when one hydrogen atom (H +) falls during the process of separation of water (H2O) molecules by strong electrical energy.

또한, 산소분자(O2)가 같은 방식으로 분리되면서 발생하는 O-, O2-,O3- 등의 산소 음이온 중에서 O2-(Super Oxide Anions)가 부유 중인 오염물질과 결합하여 산화 반응하는 과정에서도 일부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산기 (Hydroxyl Radical)가 산화작용을 하고 다시 물로 환원되는 데는 통상 대기중 상온에서 2~5시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In addition, O2- (Super Oxide Anions) among oxygen anions such as O-, O2-, and O3- which occur when oxygen molecules (O2) are separated in the same way are combined with floating contaminants, . Hydroxyl Radical is known to oxidize and be reduced to water usually at room temperature for 2 to 5 hours.

그동안 연구된 결과에 의해 구체적으로, 전기화학적 수 분해를 위한 전극의 제작의 방법에 있어서 종래에는 침상형, 선형, 환상형, 인쇄극판형 등의 여러 형태의 방전 전극이 발명되었다.According to the results thus far studied, various methods of producing electrodes for electrochemical hydrolysis have conventionally been invented, such as needle-shaped, linear, annular, and printing electrode plates.

그러나 침상형은 시간이 지나면서 전기적, 화학적 산화에 의한 재료의 표면 석출로 침이 마모되면서 짧은 시간에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needle-like type h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needle-shaped type is redu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the needle is worn out due to the surface deposition of the material due to the electrical and chemical oxidation over time.

또한, 판상형은 대향전극인 판 사이의 간격을 아주 가깝게 할 경우 판 사이에서 발생된 기포들이 외부로 방출되기 힘들며, 방열효과의 저하로 산소계활성 종의 발생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plates, which are opposite electrodes, is made very close,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plates are difficul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efficiency of generation of oxygen-based active species is deteriorated due to a decrease in heat radiation effect.

따라서 전극의 여러 형태 중 선형이 방전효율이 가장 높고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선형 전극 역시 짧은 시간의 사용에도(12~500시간) 불구하고 단선이 되거나, 극간 간격이 1mm 이내로 매우 좁기 때문에 방전열이나 외부 충격으로 도선이 약간만 늘어져도 단락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among the various types of electrodes, the linear type has the highest discharge efficiency and is known to be economical. However, since the linear electrode is also short-circuited even after a short period of time (12 to 500 hours) or the interval between the gaps is very narrow within 1 mm, there is a problem that even if the wire is slightly elongated due to discharge heat or external impact, a short circuit occur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가정용을 비롯한 수소수 발생장치의수소 생성을 위한 전해조의 구조 및 전해조를 포함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별히 판상형 대향전극인 판 사이의 간격을 아주 가깝게 할 경우 판 사이에서 발생된 기포들이 외부로 방출되기 힘들며, 방열효과의 저하로 산소계활성 종의 발생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해부의 모양과 전해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이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부와 제어부, 독특한 구조와 위치를 갖는 제 1 바디부와 제 1 바디부의 고도로 계산된 형상으로서 기존 제품의 단가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structural feature including an electrolytic cell and a structure of an electrolytic cell for hydrogen generation of a hydrogen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home use. In particular,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plates are hardly released to the outside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plate-like counter electrodes is very close to each other and the efficiency of generation of oxygen-based active species is lowered due to the decrease in heat radiation effect,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guide unit, a controller unit for operating the guide unit, a highly computed shape of the first body unit and the first body unit having a unique structure and position, There 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전해부; 상기 제 1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해부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도록 구성하여 물이 전기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유속을 발생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전해부에 발생한 기포가 빠르게 제거되고 방열 효과를 극대화 하도록 설계하였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body part including a power supply part and a control part; A first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wat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first guide part for supporting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a second body part surrounding the first body part,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first guide part, wherein the first electrolytic part is provided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the second cut surface is dir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ydrogen-water generating devi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is dir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ydrogen-water generating device so that the bubbles generated while the water is electrolyzed are generated It is designed to maximiz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by rapidly removing the air bubbles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part by inducing the flow of water naturally.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olution of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the solution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에 일 양상에 의하면 물이 전기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유속을 발생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전해부에 발생한 기포가 빠르게 제거되고 방열 효과를 극대화 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로써 기존 제품의 단가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bbles generated by electrolysis of water are used as a power for generating a flow rate to naturally induce a flow of water to quickly remove bubbles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part and to maximize the heat radiation effect. This allows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roducts even though we maintain the price of existing products.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부위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도 측정부 위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도 측정 방법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 입수 여부에 따른 전원제어 방법 순서도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view of a hydrogen-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positions of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izes of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lectrolyt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lytic part and a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ytic part and a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n electrolyt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ositional diagram of a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of a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generally used in general term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However, if a specific term is defined as an arbitrary meaning,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the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전해부, 상기 제 1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해부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comprising: a first body including a power unit and a control unit; a first electrolytic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electrolyze water; a first electrolytic unit for supporting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a second body part surrounding the first body part,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first guide part, wherein the first electrolytic part is provided in a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the first electrolytic part The first cut surfa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may face the upper end of the water producing devi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may face the lower end of the hydrogen generating device.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may surround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는 이격이 존재하며 상기 이격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iquid and the gas can flow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상기 제 1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너비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너비는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Wherein the width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ortion .

상기 제 1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큰도록 할 수 있다. The radius of the first body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radius of the second body part may be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first electrolytic part.

상기 제 1 전해부의 두께는 상기 이격보다 작고, 상기 너비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과의 거리이며 상기 띠는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the spacing, and the width i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ut surfa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and the b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전원부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2 전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해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보다 반경이 크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전해부를 감싸며 위치하고 상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도록 구성할 수 있다. And a second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wat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Wherein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has a width and a thickness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is larger in radius than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is spaced from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t a substantially constant interval and surrounds the first electrolytic part, The radius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body portion.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각각 캐소드 전극 과 에노드 전극 혹은 에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으로서 물을 전기분해 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극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electrolyze water as a cathode electrode and a node electrode or a 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des can be switch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may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water.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관통해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어긋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area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area of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penetrate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are shifted from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1 개수구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2 개수구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A first water pipe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ydrogen water producing device and capable of allowing water to flow in before and after electrolysis, And a second water inlet located between the water outle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generating device to allow water to flow in before or after electrolysis.

상기 제 1 개수부와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과 상기 제 2 개수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cut section and the first cut section of the first electrolytic sec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ut section of the first electrolytic section and the second cut sec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 1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And a second guide portion supporting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wherein the first guide portion is located along the first cut surface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located along the second cut surface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can do.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전기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form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water before and after the electrolysis can flow in and out.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3 절단면과 제 4 절단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상기 제 1 절단면과 상기 제 2 절단면 길이의 8분의 1 이하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further has a third cut surface and a fourth cut surface, the third cut surface and the fourth cut surface are facing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and the third cut surface and the fourth cut surface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ut surface The length of the second cut surface is not more than one-eighth of the length of the second cut surface.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 혹은 교체식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를 물의 유입으로 보호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member for protecting the controller and the power supply unit from the inflow of water.

상기 제 1 바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개수구로부터 나오는 전기분해된 물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출수방향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이 작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adapted to switch the flow direction of electrolyzed water from the first outflow port, wherein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unit has a larger radius than the first body, The radius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radius.

상기 제 1 바디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일부, 상기 제 2 개수구는 연결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A part of the first body part and a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 따른 전자 기기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대한 구조도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국 공개특허제 10-2011-0104829호에 따르면, 기존의 휴대용 혹은 소형 수소수 제조장치는 살균용으로 공개되어 있으며, 휴대용 무선살균기(100)는 관통공(121)이 다수 개 형성되는 커버(110)와, 커버(110) 내부에 수용되는 살균모듈(150), 배터리(170) 및 PCB(130)로 구성하여 있고, 커버(110)는 관통공(12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120)와, 이 상부커버(120)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60)로 구성하여 있다.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104829, a conventional portable or small-sized water producing apparatus is disclosed for sterilization, and the portable wireless sterilizer 100 includes a cover 110 A battery 170 and a PCB 130 accommodated in the cover 110. The cover 110 includes an upper cover 120 and a lower cover 120 on which the through holes 121 are formed, And a lower cover 160 coupled to the upper cover 120.

배터리(170)는 하부커버(160)의 맨 아래쪽에 놓여 있으며, PCB(130)는 하부커버(160)의 밑면에 장착된 ON/OFF 스위치의 입력을 받아 배터리(170)의 전원을 살균모듈(15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지하는 제어를 한다.살균모듈(150)은 플라즈마발생기로 구비되어 있다. The battery 170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cover 160 and the PCB 130 receives power from the ON / OFF switch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cover 160 to power the battery 170 through the sterilizing module 150. The sterilizing module 150 is provided with a plasma generator.

이와 같은 구조의 수소수 발생장치는,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별도의 전원 케이블 없이 자체 전원부로 동작을 하기 때문에 휴대용으로 제작이 가능했다. The water generating device of such a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can be manufactured for portable use because it operates with its own power source without a separate power cable.

하지만, 살균모듈에 의해 물이 전기분해 되면서 미세한 기포가 발생하면서 살균모듈 근처의 물 속에 수소의 용존률이 일시적으로 올라가고 물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전체적인 수소 용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as the water is electrolyzed by the sterilizing module, minute bubbles are generated, and the hydrogen dissolution rate temporarily increases in the water near the sterilizing module, and the water circulation is not smooth and the overall hydrogen dissolution efficiency deteriorates.

뿐만 아니라, 물의 전기 분해시 살균모듈에서 주위에서 열이 발생하는 데 살균모듈을 냉각하는 구조가 부재하여 발생하는 열이 순환되는데 한계가 있어 수소의 용존 효율을 높이는데 장애가 되었다.
In addition, in the electrolysis of water, heat is generated in the sterilization module, and there is no structure for cooling the sterilizing module, which limits the circulation of heat generated, thereby hindering the improvement of the hydrogen dissolution efficiency.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구조도이다.2 is a structural view of a hydrogen-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positions of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202)와 제어부(201)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디부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를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200 including a power unit 202 and a controller 201. The first body part is configur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the power source part and the control part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1 바디부(200)의 구조물은 플라스틱, 혹은 금속 주조물일 수 있으며 사출, 압출, 압착, 3D 프린팅 등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first body part 200 may be plastic or metal casting and may be manufactured by a method that can be us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such as injection, extrusion, compression, 3D printing, and the like.

상기 제 1 바디부(200) 내부의 일정한 공간은 원통형일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공간에 원형 혹은 사각의 회로부와 전원부를 위치할 수 있다.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first body 200 may be cylindrical, and a circular or square circuit part and a power part may be located in the cylindrical space.

상기 제 1 바디부(200)의 내부는 상기 수소주 제조장치가 물에 뜨지 않도록 일정한 질량의 추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회로부와 전원부를 제외한 공간을 동일한 소재로 채울 수 있다. The interior of the first body 200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of a predetermined mass so that the water-containing stock manufacturing apparatus does not float on the water, or may fill a space excluding the circuit portion and the power source portion with the same material.

상기 제 1 바디부는 밀폐되어 물에 잠기더라도 물이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수부재(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ing member 203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into the first body part even if the first body part is hermetically sealed.

상기 방수부재는 제 1 바디부의 하판(200a)과 상판(200b) 사이에 고무링이나 접착제, 개스킷 등의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The waterproof me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rubber ring, an adhesive, or a gasket between the lower plate 200a of the first body and the upper plate 200b.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하판과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로 큰 원형 링 형상의 나사 구조물 일 수 있다. The first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part 204 for fixing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of the first body part. The coupling portion may be a circular ring-shaped screw structure that is large enough to cover the power source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상기 전원부(202)는 외부 전원공급부(250)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식 배터리 이거나, 교체형 배터리 일 수 있다. 혹은 별도의 배터리 없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아 회로부로 전달하는 전선 혹은 단자 등이 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02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charged through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250, or a replaceable battery. Or a wire or a terminal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s it to the circuit portion without a separate battery.

상기 전원부(202)는 외부 무선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식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02 may be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and wirelessly charges the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전원부(202)는 외부 무선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비 충전식으로 직접 작동하는 무선 전력 공급형 장치일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02 may be a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that is powered by a wireless power supply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supply unit and operates directly in a non-rechargeable manner.

상기 전원부(202)는 자가발전식으로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전달받아 소형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발생하여 충전지에 저장할 수 있다. The power unit 202 receives a physical force from the outside in a self-powered manner, turns the small generator, generates electricity, and stores the generated electricity in a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수소수 제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해부(220)로 전달한다. The control unit 20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The controller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and transmits the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22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소수 제어장치의 동작 및 중지, 충전 및 대기 등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ntrol apparatus and the states such as stop, charge, and standb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소부 제어장치의 상태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LED 등 발광장치를 사용한 라이팅 장치일 수 있으며, LCD 등을 비롯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혹은 진동이나 소리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an indicator or the lik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hydrogen control unit. The indicator may be a lighting device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or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LCD or the like. Or vibration or sound.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control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이머에 의해 상기 수소수 발생장치의 동작과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timer, and the timer may control the operation and the stop of the hydrostatic generator.

상기 수소수 제조 장치는 물을 감지하거나 물의 성분을 센싱하는 각종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소수 제어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water produc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s for sensing water or sensing components of water, and the controller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sens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ntrol apparatus.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may include an electrolytic unit 220 for electrolyzing wat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전해부는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로 구성 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may include a first electrolytic unit and a second electrolytic unit.

상기 전기분해의 일 실시례로,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는 1mm 이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에 인가된 DC전류에 의해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 사이에 방전하면 전계 내에 위치한음전극(Cathode) 끝에 서 국부적인 방전열이 발생하고, 접촉된 물이 기화되면서 형성된 기포가 그 크기가 커지는 과정에서 미약한 전계에 의해서 방전을 일으켜 액체 유전체의 급속한 파괴를 유도하며, 이러한 수중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다량의 수산화이온(OH-)을 비롯한 산소계활성종(O-, O2, O3,HO2, H2O2,OH)을 만드는 전해부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electrolysis,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re spaced apart at substantially constant intervals within 1 mm, and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re separated by a DC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 local discharge heat is generated at the end of the cathode located in the electric field, and a bubble formed by vaporization of the contacted water is discharged due to a weak electric fiel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bubble. (O-, O2, O3, HO2, H2O2, OH) including a large amount of hydroxyl ions (OH-) by inducing rapid destruction of liquid dielectrics.

상기 제 1 전해부 혹은 제 2 전해부에 수 Kv의 전압을 인가하여 수중에서 물 분자를 파괴하여 수소 이온과 오존, 산소이온들을 생성하는 전해부일 수 있다. And may be an electrolytic unit which generates hydrogen ions, ozone, and oxygen ions by applying a voltage of several Kv to the first electrolytic unit or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to break water molecules in water.

상기 제 1 전해부 혹은 제 2 전해부는 수중에서 코로나(CORONA)방전에 의한 저전압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전기적, 화학적, 물리적 작용에 의해 강력한 산화력과 살균력을 가진 수산기(Hydroxyl Radical)를 생성시키는 전해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저전압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수산기를 생성시킴으로써 살균된 물을 만들거나 상수 및 오폐 수를 정수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unit or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is a electrolytic unit which generates a low-voltage low-temperature plasma by corona discharge in water and generates a hydroxyl radical having strong oxidizing and sterilizing power by an electrical, chemical, By generating the low-voltage low-temperature plasma to generate a hydroxyl group, it is possible to make sterilized water or to purify water and water.

상기 전해부는 침상형, 선형, 환상형, 인쇄극판형, 링형 등의 여러 형태의 방전 전극일 수 있으며 복수의 형태가 복합된 형태일 수 있다.The electrolytic unit may be a discharge electrode of various types such as an acicular shape, a linear shape, a ring shape, a printing electrode plate shape, a ring shape, or the like, and may be a composite shape of a plurality of shapes.

상기 전해부의 재료로는 페라이트(FERRITE), 음전극에는 백금(Pt), 로듐, 이리듐 등 백금 족 귀금속류, 황금(Au), 스텐레스304(SUS) 등이 사용될 수 있다.Platinum group precious metals such as rhodium and iridium, gold (Au), stainless 304 (SUS)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ic part, ferrite as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ic part, platinum (Pt)

전류는 캐소드(Cathode음극)에서 애노드(Anode양극) 방향으로 흐르면서 수중방전을 하게 되고, 양극전극에서 산소계 활 성종 클러스터 이온들이 기포상태로 발생한다. 이때 이온화된 불순물(유기물)과 전해 분리된 음이온(무기물의)이 양전극에 부착되어 장시간 사용시 전극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The electric current flows from the cathode (cathodic cathode) to the anode (anode anode) and discharges in water, and the oxygen-based active cluster ions are generated in the bubble state at the anode electrode. At this time, ionized impurities (organic matter) and anions separated by electrolysis (inorganic matter) adhere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efficiency of the electrode is deteriorated during prolonged use.

그러므로 DC전압만을 그대로 인가할 경우 음극전극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양극전극은 사용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양극전극을 더 크게 하거나 전극을 주기적으로 혹은 일정 알고리즘에 의해 교환해줄 수 있다. Therefore, if only the DC voltage is directly applied, the cathode electrod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ut the life time of the anode electrode is shortened. Therefore, the anode electrode can be made larger or the electrode can be replaced periodically or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상기 전해부는 순티타늄 와이어(직경 0.1~0.5mm)를 일반적인 스테인레스망(mesh) 직조기에서 셀 공극을 0.15 (100mesh)~ 1.2mm(16mesh), 공간 비율을 50% 내외로 하여 평직 사각 그물형태로 직조하여 매쉬(mesh 망)형태로 제작하여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제작한 것일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was fabricated in the form of plain weave net in the form of plain weave net with a cell gap of 0.15 (100mesh) to 1.2 mm (16mesh) and a space ratio of 50% in a general stainless steel mesh weaving machine with pure titanium wire (diameter 0.1-0.5 mm) And may be manufactured by cutting the mesh into a required size.

상기 제작된 전해부는 백금을 1~5(미크롬 μm) 두께로 이온도금한 것일 수 있다.The produced electrolytic part may be plated with platinum to a thickness of 1 to 5 (micrometers μm).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unit may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water.

상술한 전해부의 재료 및 제작방법 등은 일 실시례일 뿐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에 한정되거나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루고하 하는 목적을 실시하는데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혹은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되어 적용할 수 있는 물 혹은 다른 액체류의 전기분해 방법을 포괄하여 포함한다.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lytic part described above are merely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am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electrolytic methods of water or other liquids that can be modified and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제 1 전해부 혹은 제 2 전해부 사이에 전극분리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n electrode separation network between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상기 전극분리망은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내산성, 내식성이 강하고 인체에 전혀 무해한 실리콘, PP, 테프론 소재의 부도체를 망 형태로 제작하여 삽입할 수 있다. The electrode separating net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icon, PP, or Teflon, which is strong in acid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is complete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전극 분리망의 셀 규격은 3~15mm 일 수 있으며, 전극에 인가되는 전하의 세기, 전극의 크기에 따라 분리망의 두께는 0.1~2mm가 적당하다. The cell standard of the electrode separation network may be 3 to 15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network is suitably 0.1 to 2 mm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charge applied to the electrode and the size of the electrode.

상기 전극분리망의 역할은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적화하고, 두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role of the electrode separation network is to optimiz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to prevent shorting of the two electrodes.

상기 전해부는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의 8분의 1 이하인 직사각형의 망 형태일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art may have a rectangular net shape whose longitudinal length is equal to or less than one-eighth of the lateral length.

이 때 가로 길이의 절단면 두 개와 세로 길이의 절단면 두 개가 발생하며 상기 두 개의 가로 길이의 절단면은 원형으로 구부러져 띠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wo cutting surfaces of the transverse length and two cutting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length are generated, and the cutting surfaces of the two transverse lengths are bent into a circular shape to form a band shape.

이 때 세로 길이의 절단면 두 개는 서로 마주보게 되며 서로 겹치거나 이어지지 않고 간격을 두고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띠 모양의 전해부는 원형 띠가 상기 간격만큼 미완성된 원형의 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cut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length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or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spacing.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and-shaped electrolytic portion has a ring-shaped band shape in which the ring-shaped band is not filled up by the interval.

상기 전해부의 서로 마주 본 세로방향 절단면 부근에서 각 전극이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electrodes has a contac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in the vicinity of the longitudinally cut surface of the electrolysis part facing each other.

상기 직사각형 망은 둥근 띠 형태로 구부러져 높이가 낮고 직경이 큰 원통형 모양일 수 있다. The rectangular net may be bent into a round band shape to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mall height and a large diameter.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띠 모양을 형성하고 있을 때 상기 원형 띠의 제 1 영역에서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관통구멍이 상호 겹치고, 상기 원형 띠의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전극의 관통구멍과 상기 제 2 전극의 관통구멍이 상호 어긋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물의 흐름을 아래에서 위로 유도하는 한편 상기 관통구멍의 일치 부분과 어긋난 부분에서의 기포발생의 차이에 의해 물의 흐름에 회전이 발생하여 물의 흐름과 수소수 용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may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When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form a ring-shaped band at a certain interval, the first zone of the ring- The through hol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verlap each oth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electrode are mutually shifted in the second region of the ring-shaped band. Thereby, the flow of water is induced by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portion from below and the rotation of the water flow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bubbles gener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s are misaligned,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부의 위치와 모양 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guide unit 230 for guiding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electrolytic unit.

상기 가이드부(230)는 상기 전해부와 물리적으로 결속되거나 가이부의 홈 혹은 고리 등에 상기 전해부(22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해부가 기 설정된 모양과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230 may be physically bound to the electrolytic part or may be fixed to the electrolytic part 220 such as a groove or a ring of the can part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shape and position of the electrolytic part.

상기 가이드부(230)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230 may further include a gap maintaining part 231 for maintaining a constant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부재는 사기 가이드 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판이나 띠, 막대 등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판이나 띠, 막대 등일 수 있다. The member for keep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s constant may be a separate plate, a band, a rod, etc.,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fraud guide, and may be a plate, a band, a rod or the lik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해부의 적어도 두 개의 절단면을 따라 전해조를 지지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may support the electrolytic bath along at least two cut surfaces of the electrolytic portion.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절단면은 상기 전해부의 세로 절단면이며, 상기 세로 절단면은 원형의 띠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The at least two cut surfaces may be vertical cut surfaces of the electrolytic portion, and the vertical cut surfaces may be curved in a circular band shape.

상기 두 개의 세로 절단면의 하나는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을 향해 있고, 나머지 한개는 상기 수소수 생성기의 하단 즉 바닥면을 향해 있을 수 있다. One of the two longitudinal cut surfaces may face the top of the hydrogen generating device and the other may face the bottom or bottom surface of the hydrogen generator.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두 개의 세로 절단면의 적어도 하나의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두 개의 세로 절단면 모두를 따라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을 향해 있는 전해부를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단 즉, 바닥을 향한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can guide along at least one cut surface of the two vertical cut surfaces, and the guide portion can guide along both the vertical cut surfaces. That is, a guide may be formed along the electrolytic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hydrogen-water generating device, and a guide may be formed along a cut surface toward the bottom of the hydrogen-water generating device.

상기 전해부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전극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포개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의 두 배 만큼 원주의 크기가 큰 띠를 형성하며 전해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ar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two electrodes, the two electrodes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band having a large circumference may be formed twice as long as the interval to form an electrolytic part.

이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두 개의 전극의 세로 절단면을 따라 상단 또는/그리고 하단에서 가이드할 수 있다. At this time, likewise, the guide portion can be guided along the vertical cut surface of the two electrodes at the top and / or bottom.

상기 가이드부는 물이 출입을 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 혹은 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해부의 제 1 세로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하고 있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전해부의 제 2 세로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하고 있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각각 물이 출입을 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 혹은 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멍 혹은 틈을 통해 전기분해될 물이 입수하거나 전기분해된 물이 출수하게 된다. 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or gaps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n and out. The guide part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guiding along the first vertical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art and a second guide part guiding along the second vertical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art,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or gaps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n and out, respectively. Water to be electrolyz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or gaps is obtained or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이 위를 향하게 물 속에 넣고 동작할 경우, 바닥면을 향한 제 2 가이드부의 구멍 혹은 틈은 입수구로부터 입수된 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단을 향한 제 1 가이드부는 전기분해된 물이출수구(로 출수되도록 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When the upper end of the hydrogen-water generating device is placed in the water and operated, the hole or gap of the second guide portion facing the bottom serves to allow the water received from the inlet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first guide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The electrolytic water serves to let water pass through to the outlet.

반면,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단이 위를 향하게 물 속에 넣고 동작할 경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바닥면을 향한 제 2 가이드부의 구멍 혹은 틈은 전기분해된 물의 출수구 역할을 하고,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을 향한 제 1 가이드부는 전기분해 될 물의 입수구 역할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end of the water producing device operates in a state of being directed upward, the hole or gap of the second guide portion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roducing device acts as a water outlet of the electrolyzed water, The first guide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generating device serves as a water inlet for the water to be electrolyzed.

상기 전해부는 두 개의 가로 절단면이 서로 간격이 형성된 채로 미완성된 띠 형태를 띠고 있는 반면, 상기 가이드부는 온전한 띠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electrolytic unit forms an incomplete band shape while the two horizontal cut surfac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제 2 바디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상기 전해부(220)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 및 상기 전해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includes a second body 210. The second body part surrounds the first body part 200 and the electrolytic part 220 and may protect the first body part and the electrolytic part from external impacts.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판과 하판의 구성으로 결속되거나 하나의 바디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바디부 혹은 상기 전해부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or the electrolytic part by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r may be composed of one body.

상기 제 2 바디부는 제 1 바디부와 하나의 연결된 사출물 혹은 주조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제 1 바디부의 방수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The second body part may be produced as a single connected body or casting with the first body part. This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and effectively increasing the waterproof effect of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부 및 상기 제 1 바디부와 하나의 연결된 사출물 혹은 주조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제 1 바디부의 방수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second body part may be produced as one connected article or casting with the guide part and the first body part. This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and effectively increasing the waterproof effect of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전해조의 입수구와 출수구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전기분해 전의 물과 전기분해 후의 물을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전기분해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second body por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electrolysis by physically separating water before electrolysis and water after electrolysis by allowing the inlet and outlet of the electrolyzer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전해조의 너비보다 넓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electrolyzer.

상기 제 2 바디부는 입수구(310)와 출수구(320)로부터 멀어질 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입수구로 들어가는 물과 출수구로 들어가는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전기분해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in thickness as the distance from the water inlet 310 and the water outlet 320 increases.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hysically separate the water entering the inlet and the water entering the outlet,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electrolysis.

상기 제 2 바디부는 원형의 띠 혹은 도넛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꼭지점에 곡률이 존재하는 다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모서리의 일부에 곡률을 가하여 물 속에 있는 야채 등 소독을 원하는 대상물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body may be formed in a circular band or a donut shape, and may have a polygonal shape having a curvature at a vertex. Or a curvature is applied to a part of the corner so that it is easy to insert between the objects desired to be disinfected such as vegetables in the water.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 상단 혹은 하단에는 전기분해 후 물과 기포가 함께 상기 수소수 제조장치로부터 빠져나올 때 출수의 흐름 방향을 변환시켜주는 출수방향 변환부(240)를 가질 수 있다.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water producing apparatus may have a water outflow direction changing unit 240 that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water outflow when water and air bubbles come out from the water producing apparatus after electrolysis.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240)는 입수구(310)로부터 전기분해 전의 물이 입수하여 전해부에서 전기분해되어 물과 기포가 발생하여 물의 상승 흐름이 발생하고 상단의 출수구로 물과 기포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승 흐름의 물과 기포가 출수방향 변환부에 의해 물의 흐름이 상승 흐름에서 상승 흐름의 수직 방향의 힘을 받게되어 출수 흐름의 방향이 변하게 된다. The water flow direction conversion unit 240 receives water before electrolysis from the water inlet 310 and is electrolyzed in the electrolysis unit to generate water and air bubbles so that water flows upward and water and air bubbles are discharged to the upper water outlet . At this time, the rising water and the bubbles are subjected to the vertical force of the upward flow in the upward flow and the direction of the outflow flow by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이는 생성된 수소수가 수직 흐름에 의해 물의 표면에 도달하는 거리를 증가시켜 수소수의 용존 효율을 높이고 수소수가 보다 넓게 세척 대상으로 퍼지도록 유도한다. This increases the distance by which the generated hydrogen reaches the surface of the water by the vertical flow, thereby increasing the dissolution efficiency of the water and promoting the spread of the hydrogen to the cleaning object more widely.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최상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outflow direction conversion unit may b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body unit 200 and may constitute a top end surface of the hydrogen-water generation apparatus.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에서 출수구에 위치한 곳에는 경사면(241)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면(241)은 곡률을 가지고 있을 경우 출수방향 변환 효과 및 수소수 용존률 향상에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상승흐름의 전기분해 후의 물과 기포가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에 의해 부딪히지 않고 부드럽게 흐름 방향을 바꾸는데 도움이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pe face 241 is located at the exit port of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and the slope face 241 has a curvature to help improve the outward direction change effect and the water drinking water dissolution rate. Further, water and air bubbles after the electrolysis of the rising flow do not hit by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and help smoothly change the flow direction.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부(22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30),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상기 전해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may include a guide unit 230 for supporting the electrolytic unit 220, and a second body unit for surrounding the first body 200, the electrolytic unit, and the guide unit.

상기 전해부(220)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The electrolytic unit 220 is provided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the electrolytic unit includes a first cut surface and a second cut surface, the first cut surface is dir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ydrogen- May be dir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상기 전해부(220), 상기 가이드부(230) 및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200)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art 220, the guide part 230, and the second body part may surround the first body part 200.

상기 전해부(220)는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상기 제 2 바디부(210)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는 이격이 존재하며 상기 이격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22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200 and the second body part 210.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izes of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hydrogen-water 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해부(220)의 너비(330)는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331)보다 작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331)는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332)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332)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333)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The width 330 of the electrolytic part 220 is smaller than the width 331 of the guide part and the width 331 of the guide part is smaller than the width 332 of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width of the second body part 332 332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333 of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1 바디부의 반경(340)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341)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바디부의 반경(342)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큰도록 할 수 있다. The radius 340 of the first body part is smaller than the radius 341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first electrolysis part and the radius 342 of the second body part is smaller than the radius 341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first electrolysis part It can be made larger than the radius.

상기 제 1 전해부의두께(350)는 상기 이격(351)보다 작고,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과의 거리이며 상기 띠는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350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the spacing 351, and the width of the electrolytic portion i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ut surfa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and the band may have a circular shape.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이다.
5 is an electrolyt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전해부는 상기 전원부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2 전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해부(220b)는 상기 제 1 전해부(22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of the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ectrolytic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electrolyze water.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220b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nd thickness as the first electrolytic part 220a and may have different lengths.

상기 제 2 전해부(220b)는상기 제 1 전해부(220a)보다 반경이 크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전해부를 감싸며 위치하고 상기 제 2 바디부(210)보다 반경이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220b has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electrolytic unit 220a and is spaced from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t a substantially constant interval and surrounds the first electrolytic unit. The radius can be made small.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관통해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어긋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area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area of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penetrate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are shifted from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상기 전해부는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출수구(320)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입수구(310)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is located at an upper part of the water producing device and has a water outlet 320 through which water can be introduced before or after electrolysis, And an inlet (310) located between the second body and located below the water generating device to allow water to flow in before or after electrolysis.

상기 출수구와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과 상기 입수구는 서로 인접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utflow port and the first cut surface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ut surface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the inlet port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가이드부(230) 상기 전해부(220)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230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230a)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230b)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guide part 230 further includes a second guide part 230b for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art 220. The first guide part 230a is located along the first cut surface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2 guide portion 230b may be positioned along the second cut surface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전기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501)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may form a plurality of holes 501 through which water before and after electrolysis can flow in and out.

상기 제 1 전해부의 일측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전극(510a)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일측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 2 전극(5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electrode 510a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econd electrode 510b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on one side of the second electrolysis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electrolysis unit.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 혹은 교체식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를 물의 유입으로 보호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member for protecting the controller and the power supply unit from the inflow of water.

상기 제 1 바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개수구로부터 나오는 전기분해된 물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출수방향 변환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이 작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water outflow direction conversion unit (240) connected to the first body unit and configured to convert a flow direc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wherein the water outflow direction conversion unit has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radiu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ody part.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상단에 접합되거나 상기 제 1 바디부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may be join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portion.

상기 제 1 바디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일부, 상기 제 2 개수구는 연결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A part of the first body part and a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ar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lytic part and a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부위별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lytic part and a guid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n electrolyt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 1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전해부(220a),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 2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2 전해부(220b),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230a),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230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water genera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body including a power unit and a control unit, a first electrolytic unit 220a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power unit through the first power source,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include a first cut surface and a second cut surface and are located on a first cut surface of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 first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the electrolytic cell, a first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the electrolytic cell, a first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the electrolytic cell, a first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the electrolytic cell, And a second guide portion 230b.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re provided in a circular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the first cut face faces the upper end of the water producing apparatus and the second cut f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Lt; / RTI >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2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part,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may surround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61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gap maintaining portion 610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ortion.

상기 간격 유지부(610)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gap holding part 610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protrud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있기에 상기 전해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은 돌기가 있는 부위(710)과 돌기가 없는 부위(720, 730)로 나뉠 수 있으며, 돌기가 없는 부위는 다시 상기 다수의 구멍(501)이 있는 부위(720)과 상기 다수의 구멍(510)이 없는 부위(730)으로 나뉠 수 있다. Since the protrusions protru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cross section of the electrolytic part and the guide part can be divided into the protruding part 710 and the protruding parts 720 and 730, A portion 72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501 and a portion 730 having no plurality of holes 510.

상기 간격 유지부가 상기 다수의 구멍(501)이 없는 모든 부위에 위치하고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spacing maintaining portion to be located in all the portions without the plurality of holes 501.

상기 돌기는 직사각형 모양이거나, 둥근 모양이거나, 한 면이 사선인 사각형이거나, 삼각형일 수 있다. The protrusion may be a rectangular shape, a round shape, a quadrangular shape with one side being diagonal, or a triangle.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구멍(50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501 formed alo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은 실질적으로 일직선(720) 상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은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을 관통하고 위치(720)해 있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second guide portion are located on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720 and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second guide portion (72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는 원형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띠의 원주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 상기 원형띠의 일부가 단락되어 있을 수 있다(600).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re formed in a circular band shape and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band, so that a part of the circular band may be short-circuited (600).

상기 제 2 전해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보다 반경이 크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전해부를 감싸며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Wherein the second electrolytic portion has a width and a thickness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is larger in radius than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is substantially spaced from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surrounds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각각 캐소드 전극과 에노드 전극이거나물을 전기분해 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에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may be a node electrode or a cathode electrode, respectively, or electrolyze water, and may switch the 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water.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관통해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어긋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area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area of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penetrate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through hole of the second area of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are shifted from each other can do.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3 절단면과 제 4 절단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상기 제 1 절단면과 상기 제 2 절단면 길이의 8분의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further has a third cut surface and a fourth cut surface, the third cut surface and the fourth cut surface are facing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and the third cut surface and the fourth cut surface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ut surface The length of the second cut surface is preferably one-eighth or less of the length of the second cut surface.

상기 제 1 전해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전해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electrolytic portion.

상기 제 1 전해부 또는 상기 제 2 전해부는 상기 제 1 절단면에서 상기 제 2 절단면 방향으로 혹은 상기 제 2 절단면에서 상기 제 1 절단면 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흐름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or the second electrolytic portion may form a flow guide so that the flow of water from the first cut surface toward the second cut surface or from the second cut surface to the first cut surface smoothly flows.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2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econd body part surrounding the first body part, the first electrolytic part,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는 이격이 존재하며 상기 이격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iquid and the gas can flow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상기 제 1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a width of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width of the second body part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1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dius of the first body part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radius of the second body part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first electrolytic part.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1 개수구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2 개수구를 구비할 수 있다. A first water pipe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ydrogen water producing device and capable of allowing water to flow in before and after electrolysis, And a second water tap that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producing device and is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water before and after electrolysis.

상기 제 1 바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개수구로부터 나오는 전기분해된 물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출수방향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comprising an outflow direction chang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configured to switch the flow direction of electrolyzed water from the first outflow port, wherein the outflow direction changing unit has a larger radius than the first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is smaller than the radius.

상기 수소수 생성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전원부의 전원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로 인가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후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로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generating hydrogenated water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power state of a power source unit by a control unit; apply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unit to a first electrolytic unit and a second electrolytic unit by a control unit; And disconnecting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는 제 1 바디부 안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는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2 전해부 및 상기 가이드부는 제 2 바디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power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located in a first body part, and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re supported by a guide unit, and the first electrolytic unit,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The guide portion may be surrounded by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first electrolytic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cut section of the first electrolytic section and the second electrolytic section is dir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ydrogen generation device and the second cut section of the first electrolytic section and the second electrolytic section is dir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ydrogen- can do.

상기 전해부는 원형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정에서 야채등을 세척하는 세정기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 그 지름(800)은 70내지 120 밀리미터가 적당하다. The electrolytic unit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band shape, and the diameter (800) of the electrolytic unit is preferably 70 to 120 millimeters when used a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vegetables and the like at home.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의 두께(810)은 0.4 내지 1 밀리미터가 적당하며 이때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820)은 0.5 내지 1.6 밀리미터가 적당하다. The thickness 810 of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is suitably 0.4 to 1 millimeter, and the interval 820 between the first electrolytic part and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is preferably 0.5 to 1.6 millimeters.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3 절단면과 제 4 절단면 사이의 간격(600)은 5내지 20 밀리미터가 적당하다. The distance (600) between the third electrolytic part and the third and fourth cut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lytic part is suitably from 5 to 20 millimeters.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간격(600)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상기 간격(600)은 서로 어긋나도록 설계하며 전극(510a, 510b)이 연결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600 of the first electrolytic unit and the interval 600 of the second electrolytic unit are design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and the electrodes 510a and 510b are designed to be connec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례로, 전해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including a power source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and an electrolytic portion for electrolyzing wat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portion, A first guide portion including a cut surface and positioned on a first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ortion to support the electrolytic port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located on a second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ortion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ortion.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입수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출되는 출수부, 전해수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 1 농도 측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body portion, the electrolytic portio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liquid and gas flowing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fir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900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The fir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900 ma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상기 전해수의 농도는 수소의 용존 농도와 산소의 용존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may be at least one of a dissolved concentration of hydrogen and a dissolved concentration of oxygen.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900)는 상기 출수부 보다 상기 입수부에 더 근접한 것일 수 있다. The fir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900 may be closer to the water inlet than the water outlet.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900)에서 측정된 값이 제 1 스레시홀드 이상일 경우 상기 전해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9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lytic unit can be cut off.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제 2 스레시 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When the value measured by the fir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unit.

상기 입수부보다 상기 출수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 제 2 농도 측정부(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econd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910 positioned closer to the water outlet than the water inlet.

상기 제어부는 제 1 농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농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제 2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first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first density measuring unit and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density measur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부에 인가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lytic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easured value and the second measured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fined threshold.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이고,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이 기 정의된 값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And notifying a us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easured value and the second measured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threshold and the first measured value and the second measured value are less than a predefined value.

상기 알림은 상기 전해조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것일 수 있다. The notification may indicat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tic cell.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중력의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력의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사이의 물과 기체의 통로가 입수부이며 상기 중력의 방향으로 위에 위치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사이의 물과 기체의 통로가 출수부로 정의할 수 있다. Wherei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gravity sensor for sensing a direction of gravity and a passage of water and gas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located below the gravity direction is an inlet portion, A path of water and gas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which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can be defined as an outflow part.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와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 2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fir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concentratio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lytic unit and when the electrolytic unit is powered off,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n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lytic unit have.

상기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The electrolytic unit is provided in a circular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출수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입수부를 향하고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cut surface has a first cut surfa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and the first cut surface faces the outlet portion and the second cut surface faces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격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so that liquid and gas can flow.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may surround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 속에 잠겼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The first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may measure whether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is submerged in water.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해부 액체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liquid and the gas can flow.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water.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Wherein a width of the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ortion.

본 명세서의 제 일 실시례로, 전해수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1000), 제 1 농도 측정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010),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1020),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1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1030), 상기 측정 값에 기초하여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1080), 제 2 농도 측정부에서 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2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0150), 상기 제 1 용존농도와 상기 제 2 용존농도의 비교값에 의해 상기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107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method includes a step (1000) of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a step 1010 (10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is immersed in water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concentration measurement unit A step 1020 of measuring the first dissolved concentration of oxygen or hydrogen in the water, a step 1080 of controlling the power application of the electrolytic unit based on the measured value, Measuring a second dissolved concentration of oxygen or hydrogen in water in the second concentration measuring unit (Step 0150), controlling power application of the electrolytic unit based on a comparison value between the first dissolved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dissolved concentration 1070).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는 전해부, 상기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입수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출되는 출수부, 상기 전해부가 물에 잠긴 여부를 측정하는 입수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including a power source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an electrolytic portion including a first cut surface and a second cut surface, A first guide part located on a first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art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art, a second guide part positioned on a second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art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art, A second body portion enclosing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 liquid-receiving portion into which liquid and gas are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 liquid-absorb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n outflow section through which the gas flows out, and a water intake measuring section which measures whether the electrolytic section is immersed in water.

상기 입수 측정부는 물을 감지하는 별도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로 구성하여 전해부의 각 위치를 별도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intake measuring unit may be constituted by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water, and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ensors so that each position of the electrolytic unit can be separately controlled.

상기 입수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에 인가된 전원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전해부가 물에 잠긴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The input measuring unit may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electrolytic unit and measure whether the electrolytic unit is immersed in the electrolytic unit.

상기 입수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를 따라 적어도 복수개의 별도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measur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a plurality of separate sensors along the electrolytic unit.

상기 입수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전해부가 물에 잠긴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The input measuring unit may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o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electrolytic unit and measure whether the electrolytic unit is immersed in the electrolytic unit.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입수 여부에 따라 상기 전해부의 일부는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전해부의 다른 일부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A part of the electrolytic unit may apply power and another part of the electrolytic unit may not apply powe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ensor is sensed by the plurality of sensors.

상기 입수 측정부에 의해 제 1 영역의 전해부가 물에 잠겼다고 판단(1120)되는 부분은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고 제 2 영역의 전해부가 물에 잠기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은 전원 인가를 차단(1130)할 수 있다. A portion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lytic portion of the first region is immersed in the water is determined by the water intake measuring portion 1120 and a portion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lytic water of the second region is not immersed is blocked by the power supply 1130 can do.

상기 제 2 영역의 전해부는 일정 간격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 2 영역의 전해부가 입수되었는지를 재측정(1140)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of the second area may apply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re-measure 1140 whether the electrolytic unit of the second area is acquired.

상기 입수 측정부에 의해 상기 전해수 생정장치가 일정 시간 입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하거나 전원 절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lytic water gen- erating unit is judged that the electrolytic water gen- erating unit has not been ob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water intake measuring unit, the power can be shut off or the power saving mode can be switched.

상기 전해수 생성장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일정 시간이 도래하기 이전에 상기 입수 측정부에 의해 상기 전해부가 입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site is automatically cut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power being applied. I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site is determined by the water intake measurement unit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arrives,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site can be shut off.

상기 입수 측정부에 의해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일정 시간 이상 입수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달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And a signal for transmitting an alarm to the user whe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has been ob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상기 입수 측정부에 의해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입수 상태에서 출수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일정 시간 상기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is judged by the water intake measuring unit to be changed from the water supply state to the water outflow stat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water un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The electrolytic unit is provided in a circular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출수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입수부를 향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cut surface and the second cut surface may be directed to the outgoing portion and the incoming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격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so that liquid and gas can flow.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may surround the first body part.

상기 입수 측정부는 전해수의 전해농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The water intake measuring unit can measure the electrolytic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together.

상기 가이드부는 액체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liquid and gas can flow.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water.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Wherein a width of the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ortion.

상기 전해수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입수 측정부에 의해 제 1 영역의 전해부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2 입수 측정부에 의해 제 2 영역의 전해부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수 측정부에 이해 상기 제 1 영역의 전해부가 입수하였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 1 영역의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 2 입수 측정부에 이해 상기 제 2 영역의 전해부가 입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 2 영역의 전해부에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2 입수 측정부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의 전해부의 입수 여부를 재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lectrolytic adduct of the first region is immersed in the water by the first water intake measur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lytic unit of the first region has been received by the first water quantity measurement unit,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of the first region, The step of disconnecting power to the electrolytic part of the second area when it is judged that the electrolytic part of the second area has not been obtained, whether or not the electrolytic part of the second area is obtained from the second watertest measurement par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n remeasuring the measurement data.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제 1 바디부 내부에 물이 침수 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별도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may include a separate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water is submerged in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입수구와 출수구로 유동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flow rat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flow rate flowing into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상기 유량 센서는 입수구, 혹은 출수구 막힘이나 얕은 물 등 물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The flow sensor can measur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environment such as the inlet, the clogging of the outlet, or the shallow water.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침수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수압을 측정하거나, 초음파나 광센서에 의해 측정하거나, 시간별 물의 수소 혹은 산소의 농도 변화를 계산하여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can measure the amount of water immersed i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measure the water pressure, measure it by ultrasonic waves or photosensors, or calculate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or oxygen in the water per hour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may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water.

상기 물의 온도에 따라 구동하는 전해부의 전류, 전압, 혹은 구동 시간을 달리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온도가 높을 경우 용존 수소량 혹은 용존 산소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물의 온도가 낮을 때보다 더 높은 전류, 혹은 더 높은 전압, 혹은 더 오랜 동안 전원을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urrent, voltage, or driving time of the electrolytic unit drive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an be set differently. For example, if the water temperature is high, the amount of dissolved hydrogen or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s reduced, so that a higher current, higher voltage, or a longer time may be applied to the power than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l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는 전해부, 상기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입수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출되는 출수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body including a power unit and a controller, an electrolytic unit including a first cut surface and a second cut surface for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power unit to electrolyze water, A first guide portion positioned on a first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ortion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ortion, a second guide portion positioned on a second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ortion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ortion,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a second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 first body portion having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pply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로 외부 전원소스로 부터 유선방식 혹은 무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The power unit is a rechargeable battery, and can be power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상기 무선방식은 자기 공명식 방법 혹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며 상기 전해부의 원형 형상을 따라 원형으로 도체 코일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The radio system may be a magnetic resonance method or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ystem, and a conductor coil may be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circular shape of the electrolysis unit.

상기 외부의 전원 소스는 태양광 집전판으로 상기 태양광 집전판은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의 상단면의 일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태양광을 전기로 전환시켜 상기 충전식 배터리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 solar collecting plate. The solar collecting plate is locat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and can convert solar light into electricity to apply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전원부는 교체식 배터리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의 일부가 분해되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is disassembled by a replaceable battery so that the battery can be replaced.

상기 전원부는 발전기를 포함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battery including a generator.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호 엇갈려서 회전할 경우 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The generator may generate electricity wh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rotated alternately.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를 상하 혹은 좌우로 흔들었을 경우 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The generator may generate electricity whe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is shaken up or down or right and left.

상기 전해부는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인디테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may measure the charged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transmit the measured amount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have an indicator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상기 전원부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에 충전된 충전량에 따라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의 전해수 생성 전원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량이 기 정의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수로 인가하는 전원을 낮추고 인가 시간을 늘리도록 할 수 있다. The power unit controls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power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harged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When the charged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fined charged amount,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water is lowered and the application time is increased.

상기 전해부의 전원이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를 동작시켰을 경우 사용자에게 인디케이트 해줄 수 있다. If the power of the electrolytic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fined threshold,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can be indicated to the user whe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is operated.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부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가동되었을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is operated in a state that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by wire, the power supply unit may charge the battery and apply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상기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The electrolytic unit is provided in a circular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출수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입수부를 향하고 있을 수 있다. The first section may have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and the first section may face the outflow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may face the intake section.

상기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격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so that liquid and gas can flow.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may surround the first body part.

상기 전원부는 원형기둥 모양일 수 있다. The power unit may have a circular columnar shape.

상기 가이드부는 액체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liquid and gas can flow.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electrolytic unit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water.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Wherein a width of the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ortion.

상기 전해수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전원부의 전원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가 제 1 스레시홀드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고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가 제 2 스레시 홀드 이하일 경우 제 1 전력량을 전해부에 제 1 시간동안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가 제 2 스레시 홀드 이상일 경우 제 2 전략량을 전해부에 제 2 시간동안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checking a power state of a power source; providing an indication to a user when the power state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threshold; Applying a first amount of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for a first time when the power supply st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value and supplying a second strategy amount to the electrolytic unit for a second time when the power supply st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And a step of applying a voltage.

상기 제 1 전력량은 상기 제 2 전력량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제 2 시간보다 클 수 있다. The first amount of power may be less than the second amount of power, and the first time period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time perio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는 전해부;
상기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입수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출되는 출수부;
상기 전원부는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In an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A first body part including a power part and a control part;
An electrolytic unit including a first cut surface and a second cut surface for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power unit to electrolyze water;
A first guide part located on a first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art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art;
A second guide part located on a second cut surface of the electrolytic part and supporting the electrolytic part;
A second body part surrounding the first body part, the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liquid and gas are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 water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liquid and gas flow out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Wherein the power uni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pplies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로 외부 전원소스로 부터 유선방식 혹은 무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충전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s a rechargeable battery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charges the pow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방식은 자기 공명식 방법 혹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며 상기 전해부의 원형 형상을 따라 원형으로 도체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전해수 생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adio system is a magnetic resonance method or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ystem and a conductor coil is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circular shape of the electrolysis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전원 소스는 태양광 집전판으로 상기 태양광 집전판은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의 상단면의 일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태양광을 전기로 전환시켜 상기 충전식 배터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 solar collecting plate and the solar collecting plate is located on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and converts solar light into electricity to apply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교체식 배터리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의 일부가 분해되어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전해수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unit is a replaceable battery, and a part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is disassembled to replace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발전기를 포함한 배터리로 구성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comprises a battery including a generat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가 상호 엇갈려서 회전할 경우 전기를 발생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enerator generates electricity wh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rotat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를 상하 혹은 좌우로 흔들었을 경우 전기를 발생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enerator generates electricity whe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device is shaken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량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인디테이터를 가지고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lytic unit measures an amount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transmits the measured amount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has an indicator for informing a user of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에 충전된 충전량에 따라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의 전해수 생성 전원을 제어하며 상기 충전량이 기 정의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수로 인가하는 전원을 낮추고 인가 시간을 늘리는 전해수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controls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power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harged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decreases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lytic water and increases the application time when the charged amoun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fined charged amou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의 전원이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를 동작시켰을 경우 사용자에게 인디케이트 해주는 전해수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s operated when the power source of the electrolytic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fined threshol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 전원부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가동되었을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함과 동시에 상기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charges power to the battery and applies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whe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is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unit by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출수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입수부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ic unit is provided in a circular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Wherein the first cut surface has a first cut surface and a second cut surface, the first cut surface faces the outflow portion, and the second cut surface faces the incom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격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lytic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so that liquid and gas can fl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lytic part,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surround the first body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원형 기둥의 형태인 전해수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unit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colum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액체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liquid and gas can fl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lytic unit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o widen the contact area with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the electrolytic portion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body portion, Wherei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dy portion.
전해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전원부의 전원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가 제 1 스레시홀드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인디케이션을 제공하고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가 제 2 스레시 홀드 이하일 경우 제 1 전력량을 전해부에 제 1 시간동안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원상태가 제 2 스레시 홀드 이상일 경우 제 2 전략량을 전해부에 제 2 시간동안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량은 상기 제 2 전력량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기간은 상기 제 2 시간보다 큰 전해수 생성 방법.
In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method,
Receiv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Checking a power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Providing an indication to the user and not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when the power state is below a first threshold;
Applying a first amount of power to the electrolytic unit for a first time if the power stat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cond threshold;
And applying a second strategy amount to the electrolytic unit for a second time when the power supply st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Wherein the first amount of power is less than the second amount of power and the first time period is greater than the second time.
KR1020150128668A 2015-04-27 2015-09-11 Apparatus having internal power sourc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KR201601276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8616 2015-04-27
KR1020150058616 2015-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20A true KR20160127620A (en) 2016-11-04

Family

ID=5753006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340A KR20160127611A (en) 2015-04-27 2015-05-11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hydrogen water
KR1020150065656A KR20160127612A (en) 2015-04-27 2015-05-11 Apparatus having electrolysis electrod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KR1020150106509A KR20160127617A (en) 2015-04-27 2015-07-28 Apparatus having consentration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KR1020150128667A KR20160127619A (en) 2015-04-27 2015-09-11 Apparatus having partial eletric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KR1020150128668A KR20160127620A (en) 2015-04-27 2015-09-11 Apparatus having internal power sourc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340A KR20160127611A (en) 2015-04-27 2015-05-11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hydrogen water
KR1020150065656A KR20160127612A (en) 2015-04-27 2015-05-11 Apparatus having electrolysis electrod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KR1020150106509A KR20160127617A (en) 2015-04-27 2015-07-28 Apparatus having consentration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KR1020150128667A KR20160127619A (en) 2015-04-27 2015-09-11 Apparatus having partial eletric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6012761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19A (en)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카이샷 Oxygen generation and generated hydrogen water drinking device by water electrolysis of portable water bott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10B1 (en) 2017-11-06 2019-06-07 임채호 Hydrogen Water Face Cleanser
CN114667368B (en) * 2019-11-01 2024-01-19 龚水明 Hydrogen production device with self-generating function by utilizing centrifugal force
KR20220058013A (en) 2020-10-30 2022-05-09 박우영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erilization water of high concentration using plasma dischar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19A (en)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카이샷 Oxygen generation and generated hydrogen water drinking device by water electrolysis of portable water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17A (en) 2016-11-04
KR20160127612A (en) 2016-11-04
KR20160127619A (en) 2016-11-04
KR20160127611A (en)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7620A (en) Apparatus having internal power source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KR101980383B1 (en) Electrolytic on-site generator
KR100660941B1 (en) Apparatus using for manufacturing sterilized water by electrosis in the water
US20130048491A1 (en) Continuous electrolyzed oxidizing/reduction water generator device
KR2013007383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water
CN107046807B (en) Hydrogen water generator
JP6252955B2 (en) Nanobubble sterilization method and nanobubble generator used therefor
KR100756662B1 (en) Instantaneous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apparatus
US8491762B2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process for purifying water
JP2017205755A (en) Liquid treatment device and liquid treatment method
JP3616079B2 (en) Electrolytic ozone water production system
JP4789988B2 (en) Water sterilizer, air conditioner, hand dryer, humidifier using the water sterilizer
US9512018B1 (en) Safe clean drinking water, the worldwide challenge of preventing waterborne illnesses
JP7114285B2 (en)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terminal
ES2816248T3 (en) Procedure for the control of an electrolytic cell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of ozone and a device for the disinfection of water
JP2014100648A (en) Cleaning water generator
KR20120133230A (en) Control system of the quantity of electricity
KR101919571B1 (en) Electrode structure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enriching hydrogen concentration in freshwater or tap water, and wireless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the same
JP5425007B2 (en) Water sterilization method, water sterilizer, and air conditioner, hand dryer and humidifier using water sterilizer
KR100864379B1 (en) Noblemetal nano colloid maker
KR20110134584A (en) Complex sterilzed water producing device for tap water
JP2007278762A (en) Water flow measuring apparatus and water cell
US20180141833A1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KR20060124794A (en) Device for instantaneously producing silver ion(ag+) water
EP1926869B1 (en) Pool cleaner with integral chlorine gen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