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752A -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752A
KR20160123752A KR1020150054310A KR20150054310A KR20160123752A KR 20160123752 A KR20160123752 A KR 20160123752A KR 1020150054310 A KR1020150054310 A KR 1020150054310A KR 20150054310 A KR20150054310 A KR 20150054310A KR 20160123752 A KR20160123752 A KR 20160123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hash value
stored
authentication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
나기현
변준석
심규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자치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자치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자치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자치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자치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5005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752A/ko
Priority to PCT/KR2016/001151 priority patent/WO2016126090A1/ko
Priority to US15/547,924 priority patent/US20180026790A1/en
Publication of KR2016012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17/300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통한 디지털 정보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 SNS, 메시지의 디지털 데이터의 내용(사진, 대화내용)을 화면을 캡쳐할 때 직전에 실행한 프로그램 정보와 화면 캡쳐 날짜 및 시간, 캡쳐된 화면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지문(해쉬값)을 계산한다. 스마트폰에서 계산된 전자지문(해쉬값) 또는 전자지문(해쉬값) + 캡쳐 화면 데이터를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한다.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는 전송받은 데이터(전자지문, 또는 전자지문 + 캡쳐 화면)에 대해 인증 ID를 발부하고, 전송받은 데이터들의 특정 단위(하루 단위) 데이터 전체에 대한 전자지문을 공개된 매체(신문, 홈페이지 등)에 공개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원본을 입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화면을 캡쳐한 후, 캡쳐된 화면이 원본 형태의 것인지 입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Smart phone having certificationdd funstion of smart phone screen capture im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통한 디지털 정보 인증 시스템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카카오톡, SNS, 메시지의 디지털 데이터의 내용(사진, 대화내용)을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사용하여 캡쳐된 화면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캡쳐된 이미지 데이터 생성 단계부터 입증단계까지 캡쳐될 때 실행직전에 실행되었던 프로그램 목록, 캡쳐 날짜, 시간, 캡쳐 화면들의 전자지문(해쉬 값)이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로부터 스마트폰으로 인증ID를 발급받고 추후에 캡쳐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입증할 수 있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공개번호 10-2014-0111143에서 '포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포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다고 판단할 때, 상기 이미지에 제1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정보가 삽입된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인증 서비스 시스템 블록도이다.
이미지 인증 서비스 시스템(1)은 휴대용 장치(20)와 서버(30)를 포함한다.
휴대용 장치(20)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카메라를 장착한 장치이다. 휴대용 장치(20)는 포토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앱(app) 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라고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장치(3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토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휴대용 장치(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휴대용 장치(20)는 객체(10)를 촬영하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객체(10)는 사람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객체는 사물 또는 동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는 사진과 같은 정지 이미지(still image), 또는 동영상으로 호칭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의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도 2와 같이 휴대용 장치(2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20)의 화면은 인터페이스들(21, 2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인터페이스(21)는 휴대용 장치(20)의 렌즈에 의해 나타나는 객체(10)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한다. 제2인터페이스(23)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때, 아이콘(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아이콘(25)을 눌러 이미지를 생성할 때, 상기 생성된 이미지는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아이콘(25)은 서버(30)에서 상기 이미지의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장치(20)의 화면 인터페이스는 다양할 수 있다. 아이콘(25)을 누름으로써 상기 이미지에 정보(3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아이콘(25)을 눌러 휴대용 장치(20)가 이미지를 생성할 때, 상기 생성된 이미지는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는 휴대용 장치(20)로부터 이미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서버(30)로 수신되는 이미지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가 수신하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는 휴대용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서 정보(33)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보(33)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될 때만 삽입될 수 있다. 정보(33)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이미지에서 정보(33)가 존재할 때, 서버(30)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다고 판단한다.
서버(30)는 상기 이미지에서 이미지 정보(31)를 삽입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31)는 광고(AD), 로고(LOGO), 또는 텍스트(TEXT) 일 수 있다. 이미지 정보(31)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용 장치(2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TEXT)나 이미지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이미지를 휴대용 장치(50 또는 60)를 소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가 모르는 사람인 불특정인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불특정 다수들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미지에 관심있는 불특정 다수와 상기 사용자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인증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버(30)는 사용자가 휴대용 장치(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수신한다(S10).
서버(30)는 이미지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S20). 즉, 서버(30)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서버(30)는 생성된 이미지에서 정보(33)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보(33)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될 때만 삽입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이미지에서 정보(33)가 존재할 때, 서버(30)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다고 판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는 휴대용 장치(20)로부터 이미지 뿐만아니라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가 생성된 시각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일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정보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정보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함은 서버(30)가 상기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 또는 상기 수신된 정보 데이터가 유요한 데이터인지 여부를 의미한다.
서버(30)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었다고 판단할 때, 서버(30)는 상기 이미지에서 이미지 정보(31)를 삽입할 수 있다(S30). 이미지 정보(31)는 광고(AD), 로고(LOGO), 또는 텍스트(TEXT)를 의미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31)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서버(30)와 접속된 데이터베이스(4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서버(30)는 이미지 정보(31)를 상기 이미지에 삽입 후 서버(30)는 상기 이미지를 휴대용 장치(50 또는 60)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가 상기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2로써, 특허공개번호 10-2009-0122657에서 '문자 인식을 통한 공개키 기반의 문서위조 방지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문서위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 장착된 카메라나 개인 컴퓨터에 연결된 스캐너 등과 문서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오프라인 문서의 내용을 인식함으로써 문서내용에 대한 전자서명을 생성하고 추가적으로 문서에 기록하여 문서 내용을 보증할 뿐만 아니라 문서 내용과 전자서명을 검증하여 문서의 위변조를 판단할 수 있는 문서위조 방지 기술을 제공한다. 이 기술에 따르면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인쇄된 문서나 직접 수기로 작성한 문서를 전자서명할 수 있으며, 전자서명된 문서를 지닌 경우 문서를 촬영하는 것만으로 문서의 위변조 여부를 즉석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서명된 문서 발급 시에 전자서명값이나 공개키 포함 인증서를 바코드로 출력하여 원본 문서에 부착할 경우 전자서명값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수신자가 공개키를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스마트폰으로 계약사항, 주요 업무, 사실 관계 내용들을 카카오톡, SNS, 문자 메시지 등의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주고 받는다. 이러한 스마트폰으로 주고받는 사진, 대화내용 등을 화면 캡쳐를 통해 저장함으로써 추후 사실 입증을 하고자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화면 캡쳐 영상은 이후 위변조가 용이하며, 위변조를 입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여러 연예인들의 사례들을 비추어 보았을 때,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SNS, 문자 메시지의 대화내용 캡쳐, 증거 사진 캡쳐를 통해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하지만, 대화 내용, 증거 사진 등이 포함된 디지털 데이터는 공개하는 사람이 유리하도록 편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위변조의 의심을 받고 있으나,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그 특성상 정교한 위변조가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11143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122657호 공개특허공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 SNS, 문자 메시지 사용시 캡쳐 시점부터 중요한 디지털 데이터(사진, 대화 내용)를 화면 캡쳐를 통해 저장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카카오톡, SNS, 메시지의 디지털 데이터의 내용(사진, 대화내용)을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사용하여 캡쳐된 화면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캡쳐된 이미지 데이터 생성 단계부터 입증단계까지 캡쳐될 때 실행직전에 실행되었던 프로그램 목록, 캡쳐 날짜, 시간, 캡쳐 화면들의 전자지문(해쉬 값)이 서버로 전송되며, 서버로부터 스마트폰으로 인증ID를 발급받고 추후에 캡쳐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입증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캡쳐한 후, 캡쳐된 화면이 원본 형태의 것인지 입증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화면을 캡쳐할 때 직전에 실행한 프로그램 정보와 화면 캡쳐 날짜 및 시간, 캡쳐된 화면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지문(해쉬값)을 계산한다. 스마트폰에서 계산된 전자지문(해쉬값), 또는 전자지문(해쉬값)과 캡쳐 화면 데이터를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한다.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는 전송받은 데이터(전자지문 또는 전자지문과 캡쳐 화면)에 대해 인증 ID를 발부하고, 전송받은 데이터들의 특정 단위(하루 단위) 데이터 전체에 대한 전자지문을 공개된 매체(신문, 홈페이지 등)에 공개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원본을 입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은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스마트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는 해쉬 알고리즘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구동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부를 통하여 화면 캡쳐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이 캡쳐되어 이미지로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며 이미지 데이터는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은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은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스마트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는 해쉬 알고리즘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며, 상기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에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서버 저장부 및 인증 ID를 발급하고 위변조를 확인하는 위변조 확인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버 저장부에는 해쉬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구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를 인증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에서 실행되며, 스마트폰 화면 캡쳐 단계와 캡쳐된 이미지 인증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화면 캡쳐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를 통한 화면 캡쳐 명령이 입력에 의하여 화면이 캡쳐되어 캡쳐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캡쳐 이미지 저장 단계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1 해쉬값 저장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해쉬값이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는 제1 전송 단계와, 서버에서는 인증키에 의하여 전송된 해쉬값이 암호화되어 인증 ID가 생성되어 서버 저장부에 해쉬값과 함께 저장되는 인증 데이터 저장 단계와, 인증 ID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인증 ID 전송 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쳐된 이미지 인증 단계는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 캡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해쉬값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해쉬값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ID와 함께 상기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2 전송 단계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ID와 같은 인증 ID가 서버 저장부에서 검색되어 전송받은 해쉬값과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 해쉬값이 비교되는 해쉬값 비교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통한 디지털 정보 인증 시스템은,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 SNS, 문자메시지 사용시에 중요한 개인 정보(사진, 대화내용 등)를 자주 주고받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화면 캡쳐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고 캡쳐 당시 직전에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 목록도 함께 해쉬값으로 변환되어 저장되므로, 이후 해당 내용이 원본이라는 것을 입증하여 사실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 디지털 데이터가 정교한 위변조로 인해 증거물로써 효력을 상실할 수 있으나,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통한 디지털 정보 인증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가 위변조 되지 않았음을 입증하여 수사 및 개인, 기업 간의 분쟁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를 통한 디지털 정보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캡쳐 직전에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캡쳐되었음을 명확하게 입증할 수 있으므로, 캡쳐된 이미지의 위변조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인증 서비스 시스템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가 수신하는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인증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스마트폰과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의 구성도이며,
도 6은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카카오톡의 표시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저장의 실행 순서도이며,
도 8은 화면 캡쳐시, 스마트폰으로부터 캡쳐된 이미지 데이터, 프로그램 정보, 전자지문 값(해쉬값)을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고, 위변조 확인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폰으로 인증 ID를 발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이미지 데이터의 위변조 입증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캡쳐 화면의 정보(캡쳐 화면 이미지 데이터, 직전 실행 프로그램 목록, 캡쳐 날짜)를 이용하여 검증용 전자지문(해쉬값)을 생성하고, 선택된 검증용 전자지문(해쉬값)과 인증 ID을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캡쳐한 화면의 이미지가 원본인지를 입증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화면을 캡쳐할 때 직전에 실행한 프로그램 정보와 화면 캡쳐 날짜 및 시간, 캡쳐된 화면 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자지문(해쉬값)을 연산한다. 스마트폰에서 연산된 전자지문(해쉬값) 또는 전자지문(해쉬값)과 캡쳐 화면 데이터를 위변조 시스템에 전송한다. 위변조 시스템에서는 전송받은 데이터(전자지문 또는 전자지문과 캡쳐 화면)에 대해 인증 ID를 발부하고, 전송받은 데이터들의 특정 단위(하루 단위)로 데이터 전체에 대한 전자지문을 공개된 매체(신문, 홈페이지 등)에 공개함으로써, 데이터의 원본을 입증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폰 캡쳐 이미지의 위변조 입증 시스템은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110, 이하에서 '스마트폰'이라 한다)과, 스마트폰(110)과 통신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명시하는 스마트폰(110)은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스마트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표시부(111)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는 해쉬 알고리즘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구동되며, 화면 캡쳐 기능을 가지며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110)에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화면 캡쳐 명령을 입력하면, 캡쳐된 화면 이미지 데이터와, 캡쳐 명령 입력 직전에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함께 해쉬값으로 연산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하에서 '실행 어플리케이션'이라 한다)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어 실행된다.
스마트폰(110)에서 사용자가 화면 캡쳐된 디지털 데이터(사진, 캡쳐된 대화 내용 화면)을 인증하고자 하는 내용은 도 9와 같은 데이터 플로우를 통하여 전송되어 원본임이 입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은 스마트폰(110)과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를 인증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며,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은 스마트폰 화면 캡쳐 단계와 캡쳐된 이미지 인증 단계로 이루어진다.
스마트폰(110)에서 카카오톡, SNS, 문자 메시지 등의 사진 또는 대화내용이 포함된 화면이 캡쳐될 때,
(1) 스마트폰(110) 사용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화면(대화내용, 사진 등)의 스마트폰(110)의 화면을 캡쳐하는 명령을 입력부에 입력하면,
(2)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캡쳐된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와 화면 캡쳐 직전에 실행되었던 프로그램 정보를 결합하여 전자지문(해쉬값; 제1 해쉬값)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자지문(해쉬값; 제1 해쉬값)은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에서 화면 캡쳐 직전에 실행되었던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캡쳐 날짜와 시간이 더 포함되어 전자지문(해쉬값; 제1 해쉬값)으로 생성될 수 있다.
캡쳐 직전의 실행되었던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직전에 실행되었던 프로그램 목록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해쉬값에 직전에 실행되었던 프로그램 목록을 넣어야만 캡쳐된 화면이 대화 어플리케이션에서 바로 캡쳐한 사진인 것을 명확하게 하고, 스마트폰 사진 편집 어플리케이션이나, 타 어플리케이션에서 캡쳐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화면 캡쳐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를 통한 화면 캡쳐 명령이 입력(ST-110)에 의하여 화면이 캡쳐되어 캡쳐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화면 캡쳐 이미지 저장 단계(ST-120)와, 상기 화면 캡쳐 이미지 데이터와 직전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전자지문(해쉬값)으로 생성되어(ST-130)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1 해쉬값 저장 단계(ST-140)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카카오톡에서 본인과 대화 상대방이 채팅시에 스마트폰 표시부에 리스트되는 상대방의 카카오톡 사진(111a), 카카오톡 이름(111b), 대화내용(111c)과 본인의 대화내용(111d)를 도시한 화면이다.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에서 본인과 대화 상대방이 채팅시에 사용하는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진과 대화내용의 화면 캡쳐 이미지가 디지털 증거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대화를 하던 중 카카오톡 화면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캡쳐 명령을 입력부에 입력하면, 캡쳐된 화면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결합되어 전자지문(해쉬값; 제1 해쉬값)으로 생성된다. 이때 직전에 실행되었던 프로그램은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이 된다.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해쉬값이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가 실행된다. 상기 (2)단계에서 연산된 전자지문(해쉬값; 제1 해쉬값)과 함께 캡쳐 화면 이미지 데이터(디지털 데이터)(D10)를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에 함께 전송한다. 네트워크의 사정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자지문만 전송될 수도 있다.
(4) 그리고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에서는 인증키에 의하여 전송된 해쉬값이 암호화되어 인증 ID가 생성되어 서버 저장부에 해쉬값과 함께 저장되는 인증 데이터 저장 단계와, 인증 ID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인증 ID 전송 저장 단계가 실행된다.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에 전송된 후, 전송 결과로써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로부터 스마트폰(110)으로 인증 ID(D20)가 전송되고, 스마트폰(110)에서 인증 ID(D20)가 수신됨으로써 화면 캡쳐 및 전송 단계는 종료된다.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에서는 스마트폰(110)에서 전송받은 전자지문(해쉬값)을 공개된 매체(신문,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여 추후 입증시 원본임을 입증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위의 순서대로 스마트폰의 실행 프로그램은 화면을 캡쳐할 때 캡쳐 화면, 직전 실행 프로그램 목록, 캡쳐 날짜 및 시간을 결합하여 전자지문 생성 후 위변조 시스템에 전송하고, 이후 입증시에는 수신된 인증 ID와 전자지문을 전송하면 위변조 시스템에 위변조 여부를 전송하여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캡쳐된 이미지 인증 단계는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 캡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해쉬값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해쉬값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ID와 함께 상기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로 전송되어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2 전송 단계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ID와 같은 인증 ID가 서버 저장부에서 검색되어 전송받은 해쉬값과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 해쉬값이 비교되는 해쉬값 비교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9는 이미지 데이터의 위변조 입증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카카오톡, SNS, 문자 메시지)에서 캡쳐 화면의 정보(캡쳐 화면 이미지 데이터, 직전 실행 프로그램 목록, 캡쳐 날짜)를 이용하여 검증용 전자지문(해쉬값)을 생성하고, 선택된 검증용 전자지문(해쉬값)과 인증 ID을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120)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2 전송 단계에서는 해쉬값 및 인증 ID와 함께 캡쳐 이미지 데이터 및 실행 프로그램 정보가 스마트폰에서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다.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에서는 전송받은 캡쳐 이미지 데이터와 실행 프로그램 정보가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제2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며(제2 해쉬값 저장 단계); 상기 해쉬값 비교 단계에서는 위변조 확인부에 의해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인증 ID와 함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 저장된 해쉬값과 상기 해쉬값(제2 해쉬값)이 비교된다. 비교된 결과는 스마트폰(110)으로 전송되어 원본여부가 입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SNS, 문자 메시지의 중요한 개인 정보(사진, 대화내용 등)를 자주 주고받는 스마트폰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진 또는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화면 캡쳐를 하고, 이후 해당 내용이 원본이라는 것을 입증하여 사실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 디지털 파일이 정교한 위변조로 인해 증거물로써 효력을 상실할 수 있으나,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가 위변조 되지 않았음을 입증하여 디지털 증거로써 수사 및 개인, 기업 간의 분쟁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카카오톡, SNS, 문자 메시지의 중요한 개인 정보(사진, 대화내용 등)를 자주 주고받는 스마트폰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진 또는 대화 내용을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화면 캡쳐를 하고, 이후 해당 내용이 원본이라는 것을 입증하여 사실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 디지털 파일이 정교한 위변조로 인해 증거물로써 효력을 상실할 수 있으나,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가 위변조 되지 않았음을 입증하여 디지털 증거로써 수사 및 개인, 기업 간의 분쟁에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스마트폰
120: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

Claims (7)

  1.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스마트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는 해쉬 알고리즘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구동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부를 통하여 화면 캡쳐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이 캡쳐되어 이미지로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며 이미지 데이터는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실행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전자지문)으로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 캡쳐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 캡쳐 날짜와 시각 정보가 캡쳐되어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며, 화면을 캡쳐할 때 실행 프로그램 정보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캡쳐 날짜와 시각 정보도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4.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은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스마트폰 저장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는 해쉬 알고리즘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며, 상기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에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서버 저장부 및 인증 ID를 발급하고 위변조를 확인하는 위변조 확인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버 저장부에는 해쉬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구동되며;
    상기 스마트폰과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를 인증하는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에서 실행되며, 스마트폰 화면 캡쳐 단계와 캡쳐된 이미지 인증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화면 캡쳐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를 통한 화면 캡쳐 명령이 입력에 의하여 화면이 캡쳐되어 캡쳐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캡쳐 이미지 저장 단계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1 해쉬값 저장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해쉬값이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는 제1 전송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는 인증키에 의하여 전송된 해쉬값이 암호화되어 인증 ID가 생성되어 서버 저장부에 해쉬값과 함께 저장되는 인증 데이터 저장 단계와, 인증 ID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인증 ID 전송 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쳐된 이미지 인증 단계는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 캡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해쉬값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해쉬값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ID와 함께 상기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는 제2 전송 단계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인증 ID와 같은 인증 ID가 서버 저장부에서 검색되어 전송받은 해쉬값과 서버 저장부에 저장된 해쉬값이 비교되는 해쉬값 비교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쉬값 저장 단계에서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실행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 저장 단계에서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캡쳐 날짜와 시각 정보가 캡쳐되는 이미지와 함께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제1 해쉬값 저장 단계에서는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캡쳐 날짜와 시각 정보 및 실행 프로그램 정보가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스마트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단계에서는 해쉬값 및 인증 ID와 함께 캡쳐 이미지 데이터 및 실행 프로그램 정보가 스마트폰에서 위변조 확인 시스템 서버로 전송되어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며; 서버에서는 전송받은 캡쳐 이미지 데이터와 실행 프로그램 정보가 해쉬 알고리즘에 의하여 해쉬값(제2 해쉬값)으로 생성되어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며(제2 해쉬값 저장 단계); 상기 해쉬값 비교 단계에서는 위변조 확인부에 의해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인증 ID와 함께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서버 저장부에 기 저장된 해쉬값과 상기 해쉬값(제2 해쉬값)이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KR1020150054310A 2015-02-02 2015-04-17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KR20160123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10A KR20160123752A (ko) 2015-04-17 2015-04-17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PCT/KR2016/001151 WO2016126090A1 (ko) 2015-02-02 2016-02-02 스마트폰을 사용한 디지털 파일 위변조 입증 시스템 및 방법과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US15/547,924 US20180026790A1 (en) 2015-02-02 2016-02-02 Evidence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whether digital file is forged or falsified by using smart phone and smart phone having certification function of smart phone screen capture imag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10A KR20160123752A (ko) 2015-04-17 2015-04-17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682A Division KR20160124053A (ko) 2016-10-13 2016-10-13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52A true KR20160123752A (ko) 2016-10-26

Family

ID=5725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10A KR20160123752A (ko) 2015-02-02 2015-04-17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7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416A1 (ko) * 2017-03-07 2018-09-13 변진영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09808A (ko) * 2018-09-28 2018-10-08 변진영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9041192A (ja) * 2017-08-23 2019-03-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データ改ざん検出装置、データ改ざん検出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のデータ構造
KR20200038133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카카오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콘텐츠를 증명 저장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20230086497A (ko) 2021-12-08 2023-06-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증거자료 공증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657A (ko) 2008-05-26 2009-12-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 인식을 통한 공개키 기반의 문서위조 방지 방법
KR20140111143A (ko) 2013-03-07 2014-09-18 김중태 이미지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657A (ko) 2008-05-26 2009-12-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 인식을 통한 공개키 기반의 문서위조 방지 방법
KR20140111143A (ko) 2013-03-07 2014-09-18 김중태 이미지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416A1 (ko) * 2017-03-07 2018-09-13 변진영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0603561A (zh) * 2017-03-07 2019-12-20 边真咏 艺术作品伪造变造防止用电子指纹管理***及方法、艺术作品的伪造变造辨别方法及其计算机程序
CN110603561B (zh) * 2017-03-07 2023-11-03 边真咏 防止艺术作品伪造变造的电子指纹管理***及方法
JP2019041192A (ja) * 2017-08-23 2019-03-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データ改ざん検出装置、データ改ざん検出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のデータ構造
KR20180109808A (ko) * 2018-09-28 2018-10-08 변진영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38133A (ko)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카카오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콘텐츠를 증명 저장하는 방법, 이를 구현한 서버, 사용자 단말,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KR20230086497A (ko) 2021-12-08 2023-06-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증거자료 공증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20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ttestation of information using a centralized or distributed ledger
US20180026790A1 (en) Evidence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whether digital file is forged or falsified by using smart phone and smart phone having certification function of smart phone screen capture image and method thereof
JP6296060B2 (ja) e文書に署名するための追加的な確認を備えたアナログデジタル(AD)署名を使用する方法
CN106792267B (zh) 一种图片及视频信息真实性标识及鉴别的***和方法
KR20160123752A (ko)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US2009019018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US201503176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KR20220061919A (ko) 안면인식 기반 전자서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US20160197903A1 (en) Signature system portal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US20150067347A1 (en) Signature system portal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WO2015188478A1 (zh) 一种远程面签的实现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7398463B2 (ja) 汎用認証及び認定契約方法
JP7112320B2 (ja) 検証装置及び検証方法
JP6541311B2 (ja) 暗号情報コードを利用した復号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70054848A (ko)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통신 기기의 외부 정보 인증 방법
TWI809552B (zh) 整合生物辨識資訊之電子文件自動簽名裝置、系統及其方法
CN114666133A (zh) 一种基于原笔迹签名的远程问询取证***及方法
CN112104652B (zh) 身份验证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60124053A (ko)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GB2555167A (en) Method for the electronic signature of a document
KR20150044150A (ko) 문서 이미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11582044B2 (en) Systems and methods to timestamp and authenticate digital documents using a secure ledger
US11977661B2 (en) System for generating a digital handwritten signature using a mobile device
KR20240046108A (ko) 비디오 서명 라이브 컨트랙 시스템 및 그 방법
JP4638204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