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496A -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496A
KR20160123496A KR1020150053576A KR20150053576A KR20160123496A KR 20160123496 A KR20160123496 A KR 20160123496A KR 1020150053576 A KR1020150053576 A KR 1020150053576A KR 20150053576 A KR20150053576 A KR 20150053576A KR 20160123496 A KR20160123496 A KR 20160123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tabs
tab
uni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314B1 (ko
Inventor
오세운
임성윤
김현민
심정아
이호섭
정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5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14B1/ko
Priority to PCT/KR2016/000910 priority patent/WO2016167457A1/ko
Priority to JP2017516686A priority patent/JP6557330B2/ja
Priority to CN201680002999.0A priority patent/CN107431232B/zh
Priority to EP16780180.2A priority patent/EP3185346B1/en
Priority to US15/513,692 priority patent/US10615398B2/en
Priority to TW105103769A priority patent/TWI628834B/zh
Publication of KR2016012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72Vertically superposed cells with vertically dispose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01M2/1027
    • H01M2/2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둘 이상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유닛셀들; 및 배열된 유닛셀들의 평면 크기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셀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극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닛셀들의 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은 탭-리드 결합부에 의해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공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Coupling Part between Electrode Tabs and Electrode Lead Located at Space Portion}
본 발명은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나 청정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
현재 이러한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일정한 단위 크기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양극(음극)/분리막/음극(양극)/분리막/양극(음극) 구조의 바이셀(bicell)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다.
또한, 기존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공정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형태의 이차전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열되어 접합(lamination)되어 있는 단위셀들을 적층한 구조의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도 개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이차전지 중 리튬 이차전지는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소비자의 고에너지 밀도의 배터리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리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그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여전히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차전지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이차전지의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충분한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특히, 복수의 극판들 및 분리막들이 적층되어 있는 형태의 전지에 있어서, 이러한 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이 차지하는 부피 및 이러한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를 연결하는 결합부가 차지하는 부피를 절감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이 또한 충분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따라서, 복수의 극판들 및 분리막들이 적층되어 있는 형태의 전지에 있어서, 전반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에너지 밀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닛셀들의 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은 탭-리드 결합부에 의해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공간부에 위치하는 경우,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가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둘 이상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유닛셀들; 및 배열된 유닛셀들의 평면 크기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셀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극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닛셀들의 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은 탭-리드 결합부에 의해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공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전극 탭들과 탭-리드 결합부가 돌출 되어 일정한 부피를 차지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용량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공간이 존재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이차전지의 용량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전극 탭들과 탭-리드 결합부를, 일종의 사공간(dead space)인 공간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 탭들은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전극 탭들은 하나의 전극 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전극 탭들을 분리하여 서로 다른 전극 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고려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 경우,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를 연결하는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탭-리드 결합부가 차지하는 부피가 더욱 증가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다.
또한,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전기적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제조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전극 탭들은 평면 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의 공간부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유닛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세하게는 전극 탭들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유닛셀의 외측에 공간부가 위치하는 경우, 일종의 사공간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이용하게 되므로, 에너지 밀도 증가의 효과가 크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유닛셀들의 외측에 공간부가 위치하는 경우, 사공간을 활용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탭-리드 결합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의 증가가 크지 않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 탭들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위치한 유닛셀들의 단부들의 상호 불일치한 배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둘 이상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유닛셀들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이른 바, 계단형 전극조립체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전극 탭들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위치한 유닛셀들의 단부들이 상호 일치하도록 배열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는 있지만, 공간부를 활용하여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는 없다.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전극 탭들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위치한 단부들의 상호 불일치한 배열에 의해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탭-리드 결합부를 위치시키는 구성은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 상식을 벗어나는 것이며,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면서도, 에너지 밀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 탭들은 동일한 극성의 전극 탭들이 평면상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만 하면, 상기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의 돌출방향은 평면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은 평면상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 일 수도 있고, 또한, 양극 탭들이 전극조립체의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음극 탭들은 양극 탭들의 대향측에 위치하면서 대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전극 탭들이 차지하는 부피를 절감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의 전극 탭들이 절곡된 상태로 공간부에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닛셀들은 전극조립체를 필요로하는 디바이스의 구조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유닛셀의 두께, 너비 및 폭 중의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으며, 유닛셀의 형상은 평면 상으로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리드는 극판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종래의 전극조립체와 전반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제조 설비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닛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극판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최소한 하나의 극판 및 하나의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셀들은 둘 이상의 극판들 및 분리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극판들 및 분리막들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유닛셀들은,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동일한 유닛셀, 또는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다른 유닛셀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닛셀은, 예를 들어, 극판/분리막, 분리막/극판/분리막, 제1극판/분리막/제2극판, 분리막/제1극판/분리막/제2극판, 제1극판/분리막/제2극판/분리막, 분리막/제1극판/분리막/제2극판/분리막, 제1극판/분리막/제2극판/분리막/제1극판, 분리막/제1극판/분리막/제2극판/분리막/제1극판, 및 분리막/제1극판/분리막/제2극판/분리막/제1극판/분리막 등의 구조일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극판들과 분리막들이 배열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분리막들은 극판들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극 탭들은, 극판들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분리막 잉여부들에 의해 극판들의 단부들에 비접촉된 상태에서, 탭-리드 결합부 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극 탭들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절곡되도록, 분리막 잉여부들도 전극 탭들과 함께 탭-리드 결합부 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막들의 구조에 의해 전극 탭들이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더라도 다른 극성을 가지는 극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막들의 구조에 의해 전극 탭들을 전극조립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고,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에서 탭-리드 결합부와 밀착되는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위치하는 극판은 탭-리드 결합부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차전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탭-리드 결합부와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외치하는 극판 사이를 절연시킬 필요가 있고,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탭-리드 결합부와 전극조립체의 외면은 절연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절연성 필름은 분리막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일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소재인 경우에는 전극조립체의 제조 과정에서 사용된 분리막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공정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서로 상이한 소재인 경우에는 전극조립체의 최외곽에 기계적 강성을 더욱 보강하거나, 절연성을 더욱 증가시켜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정위치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탭-리드 결합부를 전극조립체의 공간부에 위치시킨 후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극 리드가 정위치에서 이탈하면 이차전지의 외관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를 통해 탭-리드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경우, 이차전지의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탭-리드 결합부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어, 기타 다른 부위보다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바, 고정부재 등으로 외면을 감싸서 이러한 결합 구조를 보강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 탭들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상기 전극 탭들은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공간부와 극판들 사이의 거리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구조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탭-리드 결합부에서 전극 탭들의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탭들의 길이가 서로 동일한 경우, 동일한 종류의 극판을 사용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 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극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공정 효율성이 높다.
다만, 필요 이상으로 긴 길이의 전극 탭들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전극 탭들은 이차전지 내부에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전극 탭들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이한 종류의 극판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 경우,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서로 다른 종류의 극판을 사용해야 하는 점에 있어서는 공정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는 전극 탭들의 길이가 동일한 극판을 사용하여 공정 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고, 제조 과정에서 전극 탭들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탭들의 길이는 5 mm 내지 25 mm, 상세하게는 6 mm 내지 23 mm일 수 있고, 상기 탭-리드 결합부의 길이는 0.5 mm 내지 5 mm, 상세하게는 1 mm 내지 4 mm일 수 있지만, 이는 구체적인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그 구조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스택형 전극조립체,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또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조 방법은,
(a)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유닛셀들을, 평면 크기의 차이에 의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과정;
(b) 상기 유닛셀들의 전극 탭들의 적어도 일부를 공간부 쪽으로 절곡하는 과정;
(c) 상기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탭-리드 결합부를 형성하는 과정; 및
(d) 상기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전극 탭들을 절곡하는 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과정(b) 이후에 하기 과정(b-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b-1) 상기 전극 탭들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절단하는 과정.
상기 과정(b-1)를 포함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는 전극 탭들의 길이가 동일한 극판을 사용하여 공정 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고, 제조 과정에서 전극 탭들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전극 리드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고, 전극 탭들 및 탭-리드 결합부가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상기 전극 탭들 및 탭-리드 결합부가 전지케이스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전지셀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에너지 밀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전지셀의 외부 공간을 활용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전지셀의 내부 및 외부 공간을 모두 활용하여, 전지셀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금속 차단층의 일면(외면)에 내구성이 우수한 수지 외곽층이 부가되어 있고, 타면(내면)에 열용융성의 수지 실란트층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지 외곽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소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내후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수지 외곽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연신 나일론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차단층은 가스, 습기 등 이물질의 유입 내지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전지케이스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실란트층의 고분자 수지로는 열융착성(열접착성)을 가지고, 전해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흡습성이 낮으며,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거나 침식되지 않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금속과의 접착력이 낮으므로, 상기 금속 차단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금속층과 수지 실란트층 사이에 접착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접착력 및 차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소재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urethane)계 물질, 아크릴(acryl)계 물질, 열가소성 일래스토머(elastomer)를 함유하는 조성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지케이스는 탭-리드 결합부가 위치하는 부위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단차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지케이스에는 전극조립체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일 수 있다.
상기 극판은 양극과 음극을 통칭하며, 이하, 상기 이차전지의 기타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가 혼합된 양극 합제를 도포하여 제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양극 합제에 충진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 300 ㎛의 두께로 제조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타늄, 및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타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 한 것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xMn2-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V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양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반면에, 음극은 음극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 합제를 도포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충진제 등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극 집전체의 두께는 3 내지 300 ㎛의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마이크로미터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 마이크로미터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액은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질일 수 있고, 상기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질은 비수 전해질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비수 전해질로는 비수계 유기용매, 유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수계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푸란,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설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수 전해질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FEC(Fluoro-Ethylene Carbonate), PRS(Propene sultone)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LiPF6, LiClO4, LiBF4, LiN(SO2CF3)2 등의 리튬염을, 고유전성 용매인 EC 또는 PC의 환형 카보네이트와 저점도 용매인 DEC, DMC 또는 EMC의 선형 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에 첨가하여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넷북, 태블릿 PC, 휴대폰, MP3, 웨어러블 전자기기,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탭-리드 결합부가 일종의 사공간(dead space)인 공간부에 위치하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조 설비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지셀의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유닛셀들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는 전지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지셀에 포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지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수직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지셀의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0)은 적층부(11), 전극 탭(12, 13), 및 전극 리드(16, 17)를 포함하고 있고, 전지케이스(20)은 전극조립체 수납부(21), 라미네이트 시트의 외부 피복층(22), 내부 실란트층(23), 및 커버부(24)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10)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가 둘 이상 반복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판상형의 적층부(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양극과 음극 집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탭들(12, 13)이 전극조립체(10)의 상대적으로 좁은 면에 돌출되어 있다.
동일한 극성의 전극 탭들(12, 13)이 각각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전극 탭들(12, 13)은 전극 리드(16, 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지케이스(2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케이스로, 라미네이트 시트의 외부에는 내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피복층(22), 내부에는 열융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실란트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피복층(22)과 내부 실란트층(23)의 사이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베리어층이 형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20)에는 전극조립체(10)와 전해액을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전극조립체 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전극조립체(10)와 전해액을 수납한 채로, 커버부(24)로 전극조립체 수납부(21)를 덮은 다음, 내부 실란트층(23)을 열융착하여 밀봉하면, 하나의 독립된 전지셀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에는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유닛셀들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내장하고 있는 전지셀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전지셀에 포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의 수직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의 전지셀의 수직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전지셀(101)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유닛셀들(110, 120)을 포함하고 있고, 유닛셀(110)의 좌측에는 2개의 전극 리드(130)가 전지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큰 유닛셀(110)이 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유닛셀(120)이 유닛셀(1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유닛셀들(110, 120)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전지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다.
특히, 유닛셀들(110, 120)은 전극 리드가 위치하고 있는 좌측 단부들은 상호 일치하지만, 우측 단부는 서로 불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00)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유닛셀들(110, 120)을 포함하고 있고, 유닛셀(110)은 3개의 극판들(111) 및 4개의 분리막들(115)을 포함하고, 유닛셀(120)은 3개의 극판들(121) 및 3개의 분리막들(125)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극판들(111, 121)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140)은 탭-리드 결합부(131)에 의해 전극 리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극 리드(130)는 전극 탭들(140)보다 좌측에 위치하며, 탭-리드 결합부(131)는 전극 립드(130)와 전극 탭들(14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전극 탭들(140)은 각각의 극판들(111, 121)로부터 탭-리드 결합부(131)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지셀(101)은 2개의 유닛셀들(110, 120)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고 있는 전지케이스(150)를 포함하고 있다.
유닛셀들(110, 120)은 적층된 상태로 전지케이스(15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전극 리드(130)의 좌측 단부가 전지케이스(15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전극 탭들(140) 및 탭-리드 결합부(131)는 전지케이스(15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전극 탭들(140) 및 탭-리드 결합부(131)가 전지케이스(150) 내부에서 V1만큼의 부피를 차지하고 있으며, V1에 해당하는 부피는 전지셀(101)의 전지 용량에 기여하지 못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수직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비교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00)는 평면 크기가 다른 2개의 유닛셀들(210, 220) 및 유닛셀들(210, 220)의 평면 크기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부(260)를 포함하고 있다.
전극 리드(230)는 극판들(211, 221)에 대해 평행하게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유닛셀들(210, 220)은 두께와 폭은 서로 동일하나, 너비가 상이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유닛셀들(210, 220)은 각각 3개의 극판들(211, 221)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극판들(211, 221)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240, 241)은 탭-리드 결합부(231)에 의해 전극 리드(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탭-리드 결합부(230)는 공간부(260)에 위치하고 있다.
공간부(260)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유닛셀(2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세하게는 유닛셀(220)의 전극 탭들(241)이 돌출되어 있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극 탭들(241)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인 좌측에 위치하는 유닛셀들(210, 220)의 단부들은 상호 불일치한 배열에 의해 공간부(260)를 형성하고 있고, 특히, 도 3의 전극조립체(100)와 비교하면, 유닛셀들(110, 120)의 좌측 단부들이 일치하는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이와 같이 전극 탭들(241)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공간부(260)를 위치시키는 것은, 전극 탭들(241)의 절곡 구조만을 복잡하게 하여 공정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구성으로 여겨졌다.
반면에, 본 발명은 종래의 기존의 통념과 달리, 공간부(260)를 형성하고, 탭-리드 결합부(231)를 공간부(260)에 위치시키는 것이,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고, 전극 탭들(240, 241)을 불필요하게 연장할 필요가 없으며, 탭-리드 결합부(231)을 위치시키는 공정이 간소화되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분리막들(215, 225)은 극판들(211, 221)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전극 탭들(240, 241)은, 극판들(211, 221)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분리막 잉여부들(216)에 의해 극판들의 단부들에 비접촉된 상태에서, 탭-리드 결합부(231) 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전극 탭들(240, 241)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조립체(20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절곡되도록, 분리막 잉여부들(216)도 전극 탭들(240, 241)과 함께 탭-리드 결합부(231) 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전극 탭들(240, 241)이 특정 방향으로 절곡되더라도 다른 극성을 가지는 극판들(211, 22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이차전지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막들(215, 225)의 구조에 의해 전극 탭들(240, 241)을 전극조립체(200)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고,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탭-리드 결합부(231)와 전극조립체(200)의 외면은 절연성 필름(213)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있다. 절연성 필름(213)에 의해 전극조립체(200)의 외면과 탭-리드 결합부(231)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의 수직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비교하여 도 6을 참조하면, 전지셀(201)은 전극 탭들(240, 241) 이 전극 리드(230)와 탭-리드 결합부(2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전지케이스(250)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극 리드(230)의 좌측 단부가 전지케이스(25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때, 전지셀(201)에서 전극 탭들(240, 241) 및 탭-리드 결합부(231)가 차지하는 부피는 V2이며, 전지셀(101)에서 전극 탭들(140) 및 탭-리드 결합부(131)가 차지하는 부피 V1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201)은 동일한 전지 용량 대비 대략적으로 V1과 V2의 차이만큼 부피를 절감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규격의 전지셀을 예로 들면, 평면상으로 가로 100.0 mm, 세로 315.0 mm, 및 두께 10.6 mm일 때, 전극 탭들 및 탭-리드 결합부에 의해 세로의 길이가 7.5 mm 증가한다. 이러한 전지셀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세로 길이에서 7.5 mm가 절감되고, 대신 탭-리드 결합부가 위치하는 일부분의 두께가 0.9 mm 증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리드 결합부는 일종의 사공간인 공간부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두께 증가의 영향 또한 거의 없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의 용량은 일반적인 전지셀 대비 약 5%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7 및 도 8에는 도 5의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2개의 유닛셀들(210, 220)을, 평면 크기의 차이에 의해 공간부(260)를 형성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배열한다.
유닛셀들(210, 220)의 전극 탭들(240, 241)의 적어도 일부를 공간부(260) 쪽으로 절곡하고, 상세하게는 전극 탭들(240, 241)의 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한다. 특히, 전극 탭들(240)은 공간부(260) 쪽으로 1회 절곡하고, 전극 탭들(241)은 1회 내지 3회 절곡하여 공간부(260)를 경유하여 전극 탭들(240)의 단부들이 위치한 쪽으로 절곡한다.
이때, 전극 탭들(240, 241)의 길이가 동일한 극판들을 사용하여, 절곡 후 전극 탭들(240, 241)의 단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전극 탭들(240, 241) 의 잉여부에 의해 불필요한 공간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 탭들(240, 241)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절취선(A)를 따라 절단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극 탭들(240, 241)은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공간부(260)와 극판들 사이의 거리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구조가 된다.
다음으로, 전극 탭들(240, 241)과 전극 리드(230)의 단부를 일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탭-리드 결합부(231)을 형성한 후, 화살표(B) 방향으로 전극 탭들(240, 241)을 절곡하여 탭-리드 결합부(231)를 공간부(260)에 위치시켜 도 5의 전극조립체(2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6)

  1.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둘 이상은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유닛셀들; 및
    배열된 유닛셀들의 평면 크기의 차이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셀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극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닛셀들의 극판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들은 탭-리드 결합부에 의해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공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들은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전극 탭들은 하나의 전극 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전극 탭들은 평면 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공간부는 상대적으로 평면 크기가 작은 유닛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세하게는 전극 탭들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들이 돌출되어 있는 방향에 위치한 유닛셀들의 단부들의 상호 불일치한 배열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의 돌출방향은 평면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의 전극 탭들이 절곡된 상태로 공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는 극판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들은 유닛셀의 두께, 너비 및 폭 중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들은 둘 이상의 극판들 및 분리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극판들 및 분리막들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들은 극판들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극 탭들은, 극판들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분리막 잉여부들에 의해 극판들의 단부들에 비접촉된 상태에서, 탭-리드 결합부 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들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조립체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절곡되도록, 분리막 잉여부들도 전극 탭들과 함께 탭-리드 결합부 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들은,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동일한 유닛셀, 또는 양면에 위치한 전극의 종류가 다른 유닛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리드 결합부와 전극조립체의 외면은 절연성 필름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리드 결합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정위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들은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들은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공간부와 극판들 사이의 거리 증가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스택형 전극조립체,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9. 제 1 항에 따른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전극 리드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고, 전극 탭들 및 탭-리드 결합부가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탭-리드 결합부가 위치하는 부위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단차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지케이스에는 전극조립체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3. 제 19 항에 따른 전지셀을 단위전지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4. 제 23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유닛셀들을, 평면 크기의 차이에 의해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과정;
    (b) 상기 유닛셀들의 전극 탭들의 적어도 일부를 공간부 쪽으로 절곡하는 과정;
    (c) 상기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탭-리드 결합부를 형성하는 과정; 및
    (d) 상기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전극 탭들을 절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b) 이후에 하기 과정(b-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b-1) 상기 전극 탭들의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절단하는 과정.
KR1020150053576A 2015-04-16 2015-04-16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KR10187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76A KR101870314B1 (ko) 2015-04-16 2015-04-16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PCT/KR2016/000910 WO2016167457A1 (ko) 2015-04-16 2016-01-28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JP2017516686A JP6557330B2 (ja) 2015-04-16 2016-01-28 電極タブと電極リードのタブ−リード結合部が空間部に位置する電極組立体
CN201680002999.0A CN107431232B (zh) 2015-04-16 2016-01-28 包含位于空隙部分的电极接头与电极引线之间的联结部的电极组件
EP16780180.2A EP3185346B1 (en) 2015-04-16 2016-01-28 Electrode assembly having space part in which tab-lead coupling part of electrode tabs and electrode lead is located
US15/513,692 US10615398B2 (en) 2015-04-16 2016-01-28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coupling part between electrode tabs and electrode lead located in space portion
TW105103769A TWI628834B (zh) 2015-04-16 2016-02-04 包括介於電極片及位於空間部分之電極導線之間的偶合部件之電極組合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76A KR101870314B1 (ko) 2015-04-16 2015-04-16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496A true KR20160123496A (ko) 2016-10-26
KR101870314B1 KR101870314B1 (ko) 2018-06-22

Family

ID=5712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576A KR101870314B1 (ko) 2015-04-16 2015-04-16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15398B2 (ko)
EP (1) EP3185346B1 (ko)
JP (1) JP6557330B2 (ko)
KR (1) KR101870314B1 (ko)
CN (1) CN107431232B (ko)
TW (1) TWI628834B (ko)
WO (1) WO20161674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065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6006A (ko) *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수납부 크기가 상이한 전지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5410B2 (ja) * 2016-12-06 2021-06-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CN110036520A (zh) * 2016-12-06 2019-07-1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二次电池
DE102016225252A1 (de) * 2016-12-16 2018-06-21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insbesondere Batteriezelle, mit Bauraum-optimierter Elektrodenverschaltung
WO2018131398A1 (ja) * 2017-01-12 2018-07-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
KR101783703B1 (ko) 2017-03-17 2017-10-11 주식회사 리베스트 보강 탭 결합 구조 및 전극 리드 굽힘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KR101789066B1 (ko) * 2017-05-25 2017-10-23 주식회사 리베스트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JP2021503707A (ja) * 2017-11-21 2021-02-12 リベ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Libest Inc. 最外郭電極が陰極で配置された電極組立体及び前記電極組立体を有す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DE112019001560T5 (de) * 2018-03-28 2021-01-21 Honda Motor Co., Ltd. Feststoff-Batteriemodul
KR20200058173A (ko) * 2018-11-19 2020-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9547906B (zh) 2019-01-05 2023-12-0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CN112447937A (zh) * 2019-09-04 2021-03-0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具有高长宽比电极的电化学电芯
KR102570970B1 (ko) * 2020-03-20 2023-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EP4142038A4 (en) * 2020-03-25 2023-06-21 Dongguan Poweramp Technology Limited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4552136A (zh) * 2020-11-20 2022-05-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源组件及其制作方法
DE102021106975A1 (de) 2021-03-22 2022-09-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KR20230048764A (ko) * 2021-10-05 2023-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15832443B (zh) * 2022-02-10 2023-12-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电设备、电池、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
KR20230163673A (ko) * 2022-05-24 2023-12-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16544523B (zh) * 2023-07-04 2024-02-27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用电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998B1 (ko) * 2010-02-19 2013-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348562B1 (ko) * 2006-09-08 2014-01-07 엔이씨 에너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전지의 제조방법
KR20140100032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40114803A (ko) * 2012-04-05 2014-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0103A (ja) * 1995-03-13 1996-09-27 Nippondenso Co Ltd 角形電池の製造方法
JP2002298825A (ja) 2001-03-29 2002-10-11 Tdk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化学デバイス
KR100440934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869740B2 (ja) 2006-03-02 2012-02-08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
KR100848788B1 (ko) 2006-07-24 200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합부에서 전극 탭들의 크기가 동일한 전극조립체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전기화학 셀
US8940429B2 (en) * 2010-07-16 2015-01-27 Apple Inc.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JP5830953B2 (ja) * 2010-11-17 2015-12-0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20130236768A1 (en) * 2012-03-08 2013-09-12 Lg Chem, Ltd. Battery pack of stair-like structure
KR101383629B1 (ko) * 2012-03-14 2014-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관통 구멍이 형성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119700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 방법과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30132231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20130135017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US9318733B2 (en) * 2012-12-27 2016-04-19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CN103474703B (zh) * 2013-09-12 2016-01-06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62B1 (ko) * 2006-09-08 2014-01-07 엔이씨 에너지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전지의 제조방법
KR101292998B1 (ko) * 2010-02-19 2013-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20140114803A (ko) * 2012-04-05 2014-09-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20140100032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065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86006A (ko) *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수납부 크기가 상이한 전지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1232A (zh) 2017-12-01
US10615398B2 (en) 2020-04-07
EP3185346B1 (en) 2018-09-19
TWI628834B (zh) 2018-07-01
KR101870314B1 (ko) 2018-06-22
CN107431232B (zh) 2020-08-25
EP3185346A1 (en) 2017-06-28
JP6557330B2 (ja) 2019-08-07
WO2016167457A1 (ko) 2016-10-20
JP2018514049A (ja) 2018-05-31
EP3185346A4 (en) 2018-02-21
US20180026254A1 (en) 2018-01-25
TW201703314A (zh)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14B1 (ko)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KR101822841B1 (ko) 탭-리드 결합부가 일측에 접하는 구조를 가진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셀 및 이의 제조방법
EP3312925B1 (en) Pouch-type battery cell comprising unit electrode having plurality of electrode tabs
KR20170121635A (ko) 규격화된 구조에 기반하여 제조 공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전극리드의 절연 성능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266109B1 (ko)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
EP2958178B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sloped structure,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KR101995292B1 (ko) 중심에 노칭부를 포함하는 전극 시트를 이용하여 전극판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107900A (ko) 전지케이스의 외형 변형이 적은 이차전지셀
KR101750382B1 (ko) 전지 케이스로 연결된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팩의 제조 방법
KR101794939B1 (ko) 서로 다른 크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86766A (ko) 실링 외주변의 기계적 강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70049136A (ko) 충방전 시 발생하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는 잉여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70043240A (ko) 집전체 중심 부위에 높은 활물질 로딩량을 가지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170022589A (ko) 전지 소자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단위셀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262086B1 (ko)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
KR20170022289A (ko) 활물질 로딩량의 구배를 가진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852764B1 (ko) 전지 케이스로 연결된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38542B1 (ko) 전극조립체 고정용 필름을 포함하는 전지셀
KR20180085144A (ko) 분지된 전극 탭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20170036203A (ko) 둘 이상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20170094646A (ko) 전지셀들이 직교 배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팩
KR20170059103A (ko) 분리 유도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717194B1 (ko) 경사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91432B1 (ko) 집전체의 일부로 이루어진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180086006A (ko)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수납부 크기가 상이한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