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573A -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573A
KR20160122573A KR1020150052681A KR20150052681A KR20160122573A KR 20160122573 A KR20160122573 A KR 20160122573A KR 1020150052681 A KR1020150052681 A KR 1020150052681A KR 20150052681 A KR20150052681 A KR 20150052681A KR 20160122573 A KR20160122573 A KR 20160122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groove
block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환
Original Assignee
임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환 filed Critical 임정환
Priority to KR102015005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573A/ko
Publication of KR2016012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54Soundproof supporting of building elements, e.g. stairs, floor slabs or beams, on a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근된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을 상기 제1 철근과 제2 철근에 고정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방음블록을 직접 강제로 움직이지 않게 거푸집에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고,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블록몸체를 형성하여 층간 소음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슬래브용 방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방음블록을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블록몸체의 중앙부에 고정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블록몸체의 하면에 격자 형태로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격자 형태로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Sundproofing block for slab and manufacuring method threof}
본 발명은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근된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을 상기 제1 철근과 제2 철근에 고정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방음블록을 직접 강제로 움직이지 않게 거푸집에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고,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블록몸체를 형성하여 층간 소음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층간소음은 물건이 낙하됨에 따른 충격이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이 고체 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고체 전달음과 충격력이 층간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층간소음은 아파트나 빌라 등의 공동주택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층간소음에 관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상기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 데시벨(dB) 이하, 중량충격음은 50 데시벨(dB) 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상기한 층간소음의 문제 해결을 위해 종래에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격자 형태로 배근된 철근에 방음패널을 고르게 배치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방음패널이 내장된 층간 슬래브를 시공하게 되나, 최초 고르게 배치된 방음패널들이 콘크리트 타설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이동하여 한쪽에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해 방음패널에 의한 층간 소음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국내 등록특허 제1272189호,2013.06.07.공고)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거푸집 바닥판(1)의 상부로부터 다수개 안치된 받침블럭(2) 상에 격자형으로 배근되는 제1철근(3)이 안착되고, 제1철근(3)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방음패널(4)이 배열 안착되며, 방음패널(4) 상부에 격자형으로 배근되는 제2철근(5)이 안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6)의 타설로서 건물의 슬래브(10)를 이루는 슬래브용 방음패널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바닥판(1)에는 일정간격의 통공(1a)이 형성되는 한편, 통공(1a)에는 상기 제2철근(5)을 걸어 방음패널(4)의 배열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지지구(20) 및 통공(1a)의 저면 측에서 철근지지구(20)를 지지하는 핀부재(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근지지구(20)는, 제2철근(5)을 걸어 지지하기 위한 걸이부(21)와, 상기 걸이부(21)의 하부에 형성되어 통공(1a)을 막는 받침부(22)와, 상기 받침부(2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일측으로부터 핀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핀홀(23a)이 형성된 고정부(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부(22)와 고정부(23) 사이에는 받침부(22)로부터 고정부(23)를 타격하여 고정부(23)를 제거하기 위한 절단부(2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는 제1 철근(3)의 제1 종방향 철근(3a)과 제1 횡방향 철근(3b), 또는 제2 철근(5)의 제2 종방향 철근(5a)과 제2 횡방향 철근(5b)을 격자로 배열하여 고정할 때, 통상 가는 철선으로 서로 교차되는 부분을 묶어 고정하므로 제1 철근(3)의 제1 종방향 철근(3a)과 제2 철근(5)의 제2 종방향 철근(5a)이 방음패널(4)의 격자형 지지홈(4a)에 삽입되더라도 방음패널(4)에 대한 고정력이 크지 않다. 이때, 제1 철근(3)의 제1 횡방향 철근(3b)과 제2 철근(5)의 제2 횡방향 철근(5b)은 방음패널(4)의 격자형 지지홈(4a)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방음패널(4)의 격자홈 지지홈(4a)에 삽입된 제1 종방향 철근(3a)과 제2 종방향 철근(5a) 상부에 위치되어 가는 철선, 즉 와이어에 의해 제1 종방향 철근(3a)과 제2 종방향 철근(5a)에 묶인 상태가 된다.
상기 와이어에 의한 철근 간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해 고리 형태로 된 철근 지지구(20)의 걸이부(21)를 제2 철근(5)의 제2 횡방향 철근(5b)에 걸어 당긴 후 철근 지지구(20)의 하단부를 거푸집 바닥판(1)에 고정하여 제2 횡방향 철근(5b)이 방음패널(4)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분사되는 콘크리트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제1 철근(3)과 제2 철근(5)의 사이에서 이동되어 방음패널이 슬래브에 고르게 분포 및 배열되지 못하고 편중됨으로써 층간 소음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방음패널은 속이 찬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역시 고체 전달음이 발생해 층간 소음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지 못함으로써 층간 소음 방지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272189호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2013.06.07.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근된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을 상기 제1 철근과 제2 철근에 고정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방음블록을 직접 강제로 움직이지 않게 거푸집에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고,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블록몸체를 형성하여 층간 소음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블록 간에 서로 연결 및 지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철근과 제2 철근이 방음블록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틈새를 주어 콘크리트 타설시 그 틈새를 콘크리트로 채움으로써 방음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도록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슬래브용 방음블록의 한 형태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슬래브용 방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방음블록을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블록몸체의 중앙부에 고정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블록몸체의 하면에 격자 형태로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격자 형태로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블록은,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 상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측으로 개방된 제1 철근 고정홈을 갖는 복수개의 제1 철근 고정리브와; 상기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 상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제2 철근 고정홈을 갖는 복수개의 제2 철근 고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블록은,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 각각의 양단부에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개방형의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종향방 철근과 제1 횡방향 철근의 상부를 받쳐주는 제1 철근 삽입홈을 갖는 제1 철근 받침구와; 상기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 각각의 양단부에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개방형의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종방향 철근과 제2 횡방향 철근의 하부를 받쳐주는 제2 철근 삽입홈을 갖는 제2 철근 받침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블록은, 상기 블록몸체의 일측 가로면과 세로면의 각 중간에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측 양외측으로 제1,2 고정턱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돌부 및 제2 고정돌부와; 상기 제1,2 고정턱을 갖는 상기 제1 고정돌부 및 제2 고정돌부의 단부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블록몸체의 타측 가로면과 세로면의 각 중간에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고정홈부 및 제2 고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래브용 방음블록의 제조방법의 한 형태는, 상호 형합되어 소정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하부형판과, 상기 캐비티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형판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캐비티 내로의 수지의 주입을 위한 수지주입구가 형성된 가스 사출금형에서, 상기 수지주입구를 통하여 용융된 수지를 캐비티 용적의 70%∼90% 정도가 채워지도록 충진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수지주입구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2 공정과, 상기 가스공급수단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노즐을 상승시킨 후 캐비티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3 공정에 의한 질소 가스의 주입후 다시 상기 액츄에이터를 하강시켜 성형품 내의 가스를 하부형판의 하부측으로 배출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상하부형판을 분리하여 성형품을 취출하는 제5 공정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을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를 형성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근된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을 상기 블록몸체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격자 형태로 형성된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에 안착되게 하고,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철근 고정리브와 제2 철근 고정리브에 제1 철근과 제2 철근을 와이어 철선으로 묶어 고정하며, 방음블록 간에 서로 연결 및 지지되게 하고, 방음블록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블록고정부재를 이용해 상기 방음블록을 직접 거푸집에 강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타 타설압력에 의한 방음블록의 이동으로 인한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방음블록의 시공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음블록을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블록몸체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 각각의 양단부에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보다 높게 반원형의 제1 철근 삽입홈 및 제2 철근 삽입홈을 갖는 제1 철근 받침구 및 제2 철근 받침구를 형성하여 제1 철근과 제2 철근이 방음블록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되어 그 틈새를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로 채워지게 함으로써 방음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음블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음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음블록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음블록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가스 사출금형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슬래브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철근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음블록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블록(100)은 거푸집 바닥판(1)의 상부측 제1 철근(3)과 제2 철근(5)의 사이에 1차로 고정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홀(111)을 통해 블록고정부재()가 삽입되어 방음블록(100)을 2차로 고정하여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고, 또다른 특징은 상기 방음블록(100)을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110)를 형성하여 내부의 공기층(110a)에 의해서 층간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방음블록(100)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음블록(100)은 속이 빈 합성수지 재질의 통체로 블록몸체(110)를 형성하여 내부에 공기층(110a)을 갖는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110)의 중앙부에 고정홀(11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1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와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과, 상기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 상에 각각 각각 하부측으로 개방된 제1 철근 고정홈(141a)을 갖는 복수개의 제1 철근 고정리브(140a)와, 상부측으로 개방된 제2 철근 고정홈(141b)을 갖는 복수개의 제2 철근 고정리브(140b)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과, 상기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과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 각각의 양단부에 각각 제1 철근 받침구(150a)와 제2 철근 받침구(150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철근 받침구(150a)와 제2 철근 받침구(150b)는 각각 하부 개방형의 반원형 홈으로 형성된 제1 철근 삽입홈(151a)과 상부 개방형의 반원형 홈으로 형성된 제2 철근 삽입홈(151b)을 포함한다.
이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음블록(100)은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또는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에 제1 철근(3)의 제1 종방향 철근(3a) 또는 제1 횡방향 철근(3b)이 삽입되고, 상기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또는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에 상기 제2 철근(5)의 제2 종방향 철근(5a) 또는 제2 횡방향 철근(5b)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철근(3)의 제1 종방향 철근(3a) 또는 제1 횡방향 철근(3b)은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또는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 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철근 고정리브(140a)의 제1 철근 고정홈(141a)과 각각의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철근 받침구(150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철근(5)의 제2 종방향 철근(5a) 또는 제2 횡방향 철근(5b)은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또는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 상에 일체로 형성된 제2 철근 고정리브(140b)의 제2 철근 고정홈(141b)과 각각의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2 철근 받침구(150b)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 철근 고정리브(140a)의 제1 철근 고정홈(141a)에 삽입된 상기 제1 철근(3)의 제1 종방향 철근(3a) 또는 제1 횡방향 철근(3b)은 철선 와이어를 이용해 제1 철근 고정리브(140a)에 감겨져 고정되고, 제2 철근 고정리브(140b)의 제2 철근 고정홈(141b)에 삽입된 상기 제2 철근(5)의 제2 종방향 철근(5a) 또는 제2 횡방향 철근(5b)도 철선 와이어를 이용해 제1 철근 고정리브(140a)에 감겨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철근 받침구(150a) 및 제2 철근 받침구(150b)는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또는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또는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또는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또는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에 삽입된 제1 철근(3)의 제1 종방향 철근(3a) 또는 제1 횡방향 철근(3b)과 제2 철근(5)의 제2 종방향 철근(5a) 또는 제2 횡방향 철근(5b)은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또는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또는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에 밀착되지 않게 들떠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침투하여 틈새를 채우게 됨으로써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음블록(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블록(100) 간에 연결 및 지지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블록(100) 각각의 측면을 따라 제1 고정돌부(160a) 및 제2 고정돌부(160b)와, 제1 고정홈부(170a) 및 제2 고정홈부(170b)가 형성된다.
제1 고정돌부(160a)와 제2 고정돌부(160b)는 블록몸체(110)의 일측 가로면과 세로면의 각 중간에 서로 직정홈부(170b)는 상기 제1,2 고정턱(161a)(161b)을 갖는 제1 고정돌부(160a) 및 제2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부(170a) 및 제2 고정홈부(170b)는 블록몸체(110)의 타측 가로면 및 세로면의 각 중간에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돌부(160a) 및 제2 고정돌부(160b)는 단부측에 양외측으로 돌출된 제1,2 고정턱(161a)(161b)을 가지며, 상기 제1 고정홈부(170a) 및 제2 고 고정돌부(160b)의 단부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 방음블록(100)의 제1 고정홈부(170a)에 타측 방음블록(100)의 제1 고정돌부(160a)를 연결할 때에는 상기 제1 고정돌부(160a)를 제1 고정홈부(170a)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삽입하거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삽입하여 끼워 연결함으로써 서로 지지 및 고정되게 하는 구조를 이룬다.
한편, 본 발명의 방음블록(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110)를 형성하여 블록몸체(110)의 내부에 공기층(110a)을 갖는다. 이때, 상기 공기층(110a)은 틈새가 없도록 밀폐된 상태이고, 차음 효율을 높이기 위해 블록몸체(110)의 두께를 얇게 하여 공기층(110a)을 두껍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블록몸체(110)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이렇게 상기 방음블록(100)이 밀폐된 공기층(110a)을 갖도록 하고, 공기층(110a)을 두껍게 하기 위해 방음블록(100)의 블록몸체(110)는 가스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스 사출성형은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수지에 압력을 주어 성형하는 것으로, 압력에 의해 주입된 플라스틱 수지의 밀도가 증가되어 수축되면서 발생하는 이상변형없이 일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사출품보다 2배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은 상호 형합되어 소정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하부 형판과, 상기 캐비티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 형판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캐비티 내로의 수지의 주입을 위한 수지주입구가 형성된 가스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수지주입구와 대향되는 측의 형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공급수단에 의한 가스의 공급시 상기 수지주입구를 차단함으로써 그 수지주입구 내로의 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유출 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이를 첨부된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고정판(310)에 고정된 서포트(311)에 의해 지지된 하부형판(312)이 고정되고 이 하부형판(312)은 그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지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고정판(314)에 지지된 상부형판(315)과 결합되어 소정의 케비티(316)와 러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형판(315)에는 용융된 수지를 주입할수 있도록 수지주입구(318)가 마련된 스프루부시(319)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지주입구(318)는 러너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데, 이 수지주입구(318)는 절두 원추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형판(312)에는 상기 러너에는 고압의 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가스공급수단(320)이 설치되는데, 이 가스공급수단(320)은 상기 하부형판(3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러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321)과 상기 하부 형판(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노즐을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32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 사출금형은 상기 수지주입구(318)를 통하여 용융된 수지를 캐비티(316) 용적의 70%∼90% 정도가 채워지도록 충진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수지주입구(318)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2 공정과, 상기 가스공급수단(320)의 액츄에이터(322)를 작동시켜 노즐(321)을 상승시킨 후 캐비티(316)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3 공정에 의한 질소 가스의 주입후 다시 상기 액츄에이터(322)를 하강시켜 성형품 내의 가스를 하부형판(312)의 하부측으로 배출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상하부형판(315)(312)을 분리하여 성형품을 취출하는 제5 공정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바닥판(1)의 상부측 제1 철근(3)과 제2 철근(5)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100)을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110)를 형성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110a)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거푸집 바닥판의 상부측에 상하 간격을 두고 배근된 제1 철근과 제2 철근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을 상기 블록몸체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격자 형태로 형성된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에 안착되게 하고,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철근 고정리브와 제2 철근 고정리브에 제1 철근과 제2 철근을 와이어 철선으로 묶어 고정하며, 방음블록 간에 서로 연결 및 지지되게 하고, 방음블록의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블록고정부재를 이용해 상기 방음블록을 직접 거푸집에 강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타 타설압력에 의한 방음블록의 이동으로 인한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방음블록의 시공에 따른 층간 소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방음블록을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을 갖도록 블록몸체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 각각의 양단부에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과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보다 높게 반원형의 제1 철근 삽입홈 및 제2 철근 삽입홈을 갖는 제1 철근 받침구 및 제2 철근 받침구를 형성하여 제1 철근과 제2 철근이 방음블록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되어 그 틈새를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로 채워지게 함으로써 방음블록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방음블록
110: 블록몸체 111: 고정홀
112: 횡대 안착홈 120a: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
120b: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 130a: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
130b: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 140a,140b: 제1,2 철근 고정리브
141a,141b: 제1,2 철근 고정홈 150a,150b: 제1,2 철근 받침구
160a,160b: 제1,2 고정돌부 161a,161b: 제1,2 고정턱
170a,170b: 제1,2 고정홈부
200: 블록고정부재
210: 수직봉 220: 횡대
230: 로킹부 231: 쐐기 삽입홀
232: 쐐기 240: 지지판
250: V형 노치
300: 가스 사출금형
310: 하부고정판 311: 서포트
312: 하부형판 314: 상부고정판
315: 상부형판 316: 캐비티
318: 수지주입구 319: 스푸루부시
320: 가스공급수단 321: 노즐
322: 액츄에이터

Claims (5)

  1.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바닥판(1)의 상부측 제1 철근(3)과 제2 철근(5)의 사이에 구비되는 슬래브용 방음블록에 있어서,
    상기 방음블록(100)을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110)를 형성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110a)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블록몸체(110)의 중앙부에 고정홀(11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며, 상기 블록몸체(110)의 하면에 격자 형태로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 및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을 형성하고, 상면에 격자 형태로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 및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블록(100)은,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 상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측으로 개방된 제1 철근 고정홈(141a)을 갖는 복수개의 제1 철근 고정리브(140a)와;
    상기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과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 상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제2 철근 고정홈(141b)을 갖는 복수개의 제2 철근 고정리브(140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블록(100)은,
    상기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 각각의 양단부에 제1 철근 종방향 안착홈(120a)과 제1 철근 횡방향 안착홈(120b)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개방형의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종향방 철근(3a)과 제1 횡방향 철근(3b)의 상부를 받쳐주는 제1 철근 삽입홈(151a)을 갖는 제1 철근 받침구(150a)와;
    상기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과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 각각의 양단부에 제2 철근 종방향 안착홈(130a)과 제2 철근 횡방향 안착홈(130b)보다 높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개방형의 반원형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종방향 철근(5a)과 제2 횡방향 철근(5b)의 하부를 받쳐주는 제2 철근 삽입홈(151b)을 갖는 제2 철근 받침구(150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블록(100)은,
    상기 블록몸체(110)의 일측 가로면과 세로면의 각 중간에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측 양외측으로 제1,2 고정턱(161a)(161b)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돌부(160a) 및 제2 고정돌부(160b)와;
    상기 제1,2 고정턱(161a)(161b)을 갖는 상기 제1 고정돌부(160a) 및 제2 고정돌부(160b)의 단부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블록몸체(110)의 타측 가로면과 세로면의 각 중간에 서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1 고정홈부(170a) 및 제2 고정홈부(170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
  5. 상호 형합되어 소정의 캐비티(316)를 형성하는 상하부형판(315)(312)과, 상기 캐비티(316)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수단(320)을 구비하며, 상기 상하부형판(315)(312)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캐비티(316) 내로의 수지의 주입을 위한 수지주입구(318)가 형성된 가스 사출금형에서, 상기 수지주입구(318)를 통하여 용융된 수지를 캐비티(316) 용적의 70%∼90% 정도가 채워지도록 충진시키는 제1 공정과, 상기 수지주입구(318)를 차단하도록 하는 제2 공정과, 상기 가스공급수단(320)의 액츄에이터(322)를 작동시켜 노즐(321)을 상승시킨 후 캐비티(316)에 고압의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3 공정에 의한 질소 가스의 주입후 다시 상기 액츄에이터(322)를 하강시켜 성형품 내의 가스를 하부형판(312)의 하부측으로 배출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상하부형판(315)(312)을 분리하여 성형품을 취출하는 제5 공정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 바닥판(1)의 상부측 제1 철근(3)과 제2 철근(5)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음블록(100)을 속이 빈 통체로 블록몸체(110)를 형성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기층(110a)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래브용 방음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50052681A 2015-04-14 2015-04-14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2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81A KR20160122573A (ko) 2015-04-14 2015-04-14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81A KR20160122573A (ko) 2015-04-14 2015-04-14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73A true KR20160122573A (ko) 2016-10-24

Family

ID=5725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681A KR20160122573A (ko) 2015-04-14 2015-04-14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25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89B1 (ko) 2013-01-02 2013-06-07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89B1 (ko) 2013-01-02 2013-06-07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876B2 (en) Mold for modular units for insulating concrete forms
US8549811B2 (en) Interlocking masonry block
AU6030700A (en) Lost mould element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concrete flat slabs
EP0481937B1 (en) A modular construction joist made up of a high-strength plastic material, particularly suitable for realizing grids, and closure members subjected to pedestrian and vehicle traffic
KR101987327B1 (ko) 복합단면을 갖는 고무튜브 몰드를 이용한 대단면 속빈 pc부재 제조 방법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CN210282675U (zh) 混凝土预制件成型模具
KR101431749B1 (ko)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KR20160122573A (ko) 슬래브용 방음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082481B1 (ko) 연속 시공형 pc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68857B1 (ko) 원추형 기초용기
CN217298965U (zh) 用于砌块间补空的十字砌块及带有补空砌块的护坡
KR20120066878A (ko)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1086885B1 (ko) 다수의 대형 콘크리트 블록 제조 방법
KR101677233B1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RU2561396C2 (ru) Стеновой блок, угол стены и стена
KR10161044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거푸집 장치
JP6196088B2 (ja) 一体式基礎型枠および基礎型枠連結構造
KR101912308B1 (ko) 발코니를 일체로 형성하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
CN102400512B (zh) 一种用于空腹楼盖的钢筋泡沫组合填充构件
CN109440980A (zh) 一种层高填充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202492963U (zh) 一种分体式保温砌块
KR102429151B1 (ko) 역u형 본체부와 바닥판이 결합된 pc모듈러 구조물
CN210858089U (zh) 一种砖混结构中新增墙体与原墙体的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