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202A - 커피 드립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드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202A
KR20160121202A KR1020150050898A KR20150050898A KR20160121202A KR 20160121202 A KR20160121202 A KR 20160121202A KR 1020150050898 A KR1020150050898 A KR 1020150050898A KR 20150050898 A KR20150050898 A KR 20150050898A KR 20160121202 A KR20160121202 A KR 2016012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ring
shaped rotary
water
rot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황금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황금나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황금나무
Priority to KR102015005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202A/ko
Publication of KR2016012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구획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분쇄된 커피를 여과하는 여과부재가 안착되는 호퍼와, 호퍼의 상단 테두리를 둘러 설치되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형 회전부재와, 링형 회전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링형 회전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자유단을 이루며, 호퍼의 반경범위 내에서 신축 이동하는 바형 이동부재와, 바형 이동부재의 타단부 하단에 결합되어, 호퍼 내에 수용된 커피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링형 회전부재 및 바형 이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드립 장치{COFFEE DRIP DEVICE}
본 발명은 커피 드립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추출 과정에서 커피가루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물의 공급 방향 및 공급량을 조절하여 커피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풍미와 본질적인 맛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두커피 고유의 풍부한 커피 맛을 즐기려면 핸드드립(hand-drip)이라는 전형적인 추출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면, 깔때기 모양의 용기(이를 '호퍼'라 함)에 여과지를 넣고, 그 내부에 분쇄된 커피를 담는다. 이어서, 분쇄된 커피에 물을 부운 후 커피를 추출한다.
이때, 물을 붓는 작업에는 주로 주전자가 이용되게 되는데, 주전자의 경우 제품마다 꼭지의 형상 및 크기가 조금씩 상이한 까닭에, 아무리 숙련자라 하여도 커피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유량으로 물을 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만일,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이 공급되는 방향(즉, 물 공급 방향)이나 물이 공급되는 양(즉, 물 공급량)에 오차가 있을 경우, 아무리 우량품종의 커피콩을 사용한다 하여도 그 고유의 풍미를 살릴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깔때기 모양의 호퍼에 담긴 분쇄커피의 수용 형태를 고려하여 설정된 방향 및 유량에 따라 정해진 방식에 따라 물 공급이 가능하여, 커피 고유의 풍미와 본질적인 맛을 살릴 수 있는 커피 드립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3570호
본 발명은 커피 추출 과정에서 커피가루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물의 공급 방향 및 공급량을 조절하여 커피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풍미와 본질적인 맛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커피 드립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구획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분쇄된 커피를 여과하는 여과부재가 안착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상단 테두리를 둘러 설치되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형 회전부재; 상기 링형 회전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호퍼의 반경범위 내에서 신축 이동하는 바형 이동부재;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타단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 내에 수용된 커피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커피 드립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내부유로 사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라인; 및 상기 물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물 공급량을 조절하는 물 공급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링형 회전부재 및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바형 이동부재를 신축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이동 조절부; 및 상기 링형 회전부재 및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노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커피를 향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 내에 수용된 커피의 상부 면적을 화상을 통해 검출하는 화상검출부와, 상기 여과부재 내에 수용된 커피의 수용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검출부 및 상기 높이검출부에서 검출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서 피드백하여 상기 링형 회전부재 및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구동 및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검출부는, 상기 본체의 구획된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호퍼에 마주하여 설치되되, 상기 호퍼의 높이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선형가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선형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분쇄된 커피의 투입량에 따라 수동으로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물 공급 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분쇄된 커피의 투입량에 따라 물이 공급되어야 할 커피의 상부 면적을 수동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피 추출 과정에서 커피가루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물의 공급 방향 및 공급량을 조절함은 물론, 물줄기의 굵기, 물의 낙차, 온도 등 여러 요소를 연동 제어하여 커피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풍미와 본질적인 맛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의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커피 드립'은 커피 고유의 풍부한 맛을 즐기기 위하여, 핸드드립(hand-drip)이라는 전형적인 추출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깔때기 모양의 용기(이를 '호퍼'라 함)에 여과지를 넣고, 그 내부에 분쇄된 커피를 담는다. 이어서, 분쇄된 커피에 물을 부운 후 커피를 추출해내는 방식을 말한다.
그런데,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이 공급되는 방향(즉, 물 공급 방향)이나 물이 공급되는 양(즉, 물 공급량)에 오차가 있을 경우, 아무리 우량품종의 커피콩을 사용한다 하여도 그 고유의 풍미를 살릴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깔때기 모양의 호퍼에 담긴 분쇄커피의 수용 형태를 고려하여 설정된 방향 및 유량에 따라 정해진 방식에 따라 물 공급이 가능하여, 커피 고유의 풍미와 본질적인 맛을 살릴 수 있는 커피 드립 장치를 안출해 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는, 본체(110), 호퍼(130), 링형 회전부재(150), 바형 이동부재(160), 노즐(170), 그리고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케이스 등으로 일컬어질 수 있는 부재로서, 도시된 형태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호퍼(130) 및 상기 호퍼(130)의 하부에 놓여 커피 추출물(L)을 담을 수 있는 그릇 용기(이하, 수용부재라 함)(10)가 구비되는 제1공간(113)과, 제어부(180) 등의 구성이 구비되는 제2공간(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공간(115)은 습기 또는 물기 등에 취약한 전자부품 등이 수납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공간(113)과 제2공간(115)을 나누어 구획하는 구획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호퍼(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호퍼(130)는 깔때기 모양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110)의 구획된 내부공간, 즉 제1공간(113)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호퍼(130)의 내측으로는 분쇄된 커피를 담아 물 공급 시 커피 추출물을 배출하고 남은 커피 찌꺼기를 분리하는 여과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호퍼(130)의 하단 중앙을 통해 출측단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재(140)를 통해 걸러진 커피 추출물(L)은 상기 출측단부(131)를 통해 아래로 낙하하며, 낙하된 커피 추출물(L)은 상기 호퍼(130)의 하부에 놓인 수용부재(10)에 모아진다.
또한, 상기 호퍼(130)의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확장단턱을 구비하는 거치단부(133)가 형성되어, 상기 호퍼(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링형 회전부재(150)는 상기 호퍼(110)의 상단 테두리를 둘러 결합되는데, 설정된 방향(예: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동작 메커니즘은 관용의 구성에 따르며, 특정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링형 회전부재(150)는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구동모터(151)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동력 전달 부재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형 이동부재(160)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의 중심을 향하여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호퍼(130)의 상단 테두리의 반경범위 내에서 신축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는 상기 호퍼(130)의 중심을 향하여 길이가 신장되거나 또는 상기 호퍼(130)의 상단 테두리 쪽으로 길이가 축소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기능을 갖는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형 이동부재(160)는 관용의 구성에 따라 길이 신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의 길이 신축에 관여하는 별도의 엑츄에이터(151)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의 타단부 하단에 노즐(17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170)의 출구는 상기 호퍼(110)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호퍼(110) 내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C)를 향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는, 물 저장탱크(120), 물 공급라인(121), 물 공급밸브(123)를 포함한다.
물 저장탱크(120)는 본체(110)의 내,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정수된 물을 바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정수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물 저장탱크(120)에서 제공된 물은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의 내부유로(160a)을 거쳐 상기 노즐(170)을 통해 호퍼(130) 내부의 커피(C)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의 내부유로(160a)과 상기 노즐(170)의 통로(170a)는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공급라인(121)은 상기 물 저장탱크(120)로부터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의 내부유로(160a) 사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배관 또는 호스 등의 부재를 말한다.
한편, 상기 물 공급라인(121)에는 물 공급밸브(12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물 공급밸브(123)는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 및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노즐(170)을 통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회전 조절부(181, 도 3 참조), 이동 조절부(183, 도 3 참조), 유량 조절부(185, 도 3 참조), 그리고 시간 조절부(187,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도 3의 설명 시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호퍼(130)의 안쪽에 분쇄된 커피(C)가 놓일 수 있는데, 이 커피(C)를 향해 바형 이동부재(160)의 자유단에 설치된 노즐(170)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노즐(17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커피(c)의 상부면을 통해 설정된 방향 및 속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와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는 도면부호 W 방향으로 신축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는 상기 호퍼(13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도면부호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와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는 상기 제어부(180)를 통해 서로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노즐(170)에 의한 물 공급량까지도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호퍼(130)의 내부에 분쇄된 커피(C)가 채워지고, 상기 커피(C)의 상부면적을 통해 소정의 방향(예를 들면, 내부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는 나선 형태)을 따라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 공급 동작은 전술한 제어부(180, 도 2 참조), 링형 회전부재(150, 도 2 참조), 바형 이동부재(160, 도 2 참조), 그리고 노즐(170, 도 2 참조)에 의해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호퍼(130)는 내부에 분쇄된 커피(C)가 채워지고, 이의 내부 중심(C. L)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a1, a2, a3 구간마다 커피(C)가 채워진 양(즉, 커피가 채워진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a1 구간에서는 a2, a3 구간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a2 구간에서는 a3 구간에 비해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호퍼(130)를 통해 커피(C)가 채워진 모양을 고려하여 물 공급량을 변화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는, 상기 여과부재(140) 내에 수용된 커피(C)의 상부 면적을 화상을 통해 검출하는 화상검출부(220)와, 상기 여과부재(140) 내에 수용된 커피(C)의 수용 높이(H)를 검출하는 높이검출부(210)를 포함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회전 조절부(181), 이동 조절부(183), 유량 조절부(185), 그리고 시간 조절부(187)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조절부(181)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1)를 제어하여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조절부(183)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를 신축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16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 조절부(185)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 및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노즐(17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노즐(170)을 통해 커피를 향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간 조절부(187)는 상기 호퍼(130),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과부재(140) 내부의 커피(C)를 향해 물이 공급되고 커피 추출물(L)이 이의 하부에 놓인 수용부재(10)에 채워질 때까지 지연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커피 고유의 풍미와 맛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높이검출부(210)와 화상검출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부재(140) 내에 수용된 커피(C)의 채워진 형태를 파악해 낼 수 있는데, 커피(C)의 상부 면적과, 커피(C)가 수용된 높이(H)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물 공급방향 및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높이검출부(210)와 상기 화상검출부(220)를 통해 획득된 정보(S1, S2)는 상기 제어부(180)로 피드백 되고, 이와 같이 피드백 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80)에서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150), 상기 바형 이동부재(160) 및 상기 물 공급밸브(123, 도 1 참조)의 동작을 제어하여 커피(C)를 향해 정확한 양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상기 화상검출부(220)는 비전 시스템(vision system) 등으로 관용적으로 알려진 구성으로서, CCD를 이용하여 커피(C)의 상부 화상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커피(C)의 상부 면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검출부(210)는 상기 본체(110)의 구획된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호퍼(130)에 마주하여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호퍼(130)의 높이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선형가이드(201)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형 가이드(201)는 상기 본체(110)의 내벽에 상하로 길게 설치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호퍼(130)에 투입되는 커피의 투입량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물 공급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커피 추출 과정에서 커피가루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물의 공급 방향 및 공급량을 조절함은 물론, 물줄기의 굵기, 물의 낙차, 온도 등 여러 요소를 연동 제어하여 커피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풍미와 본질적인 맛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았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분쇄된 커피
L: 커피 추출물
10: 수용부재
110: 본체
111: 구획부재
113, 115: 내부공간
120: 물 저장탱크
121: 물 공급라인
123: 물 공급밸브
130: 호퍼
131: 출측단부
133: 거치단부
140: 여과부재
150: 링형 회전부재
151: 구동모터
160: 바형 이동부재
161: 엑츄에이터
170: 분사노즐
180: 제어부
201: 선형가이드
210: 높이검출부
220: 화상검출부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구획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분쇄된 커피를 여과하는 여과부재가 안착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상단 테두리를 둘러 설치되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형 회전부재;
    상기 링형 회전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자유단을 이루며, 상기 호퍼의 반경범위 내에서 신축 이동하는 바형 이동부재;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타단부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호퍼 내에 수용된 커피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커피 드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탱크;
    상기 물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내부유로 사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라인; 및
    상기 물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물 공급량을 조절하는 물 공급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회전부재 및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피 드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형 회전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
    상기 링형 회전부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바형 이동부재를 신축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이동 조절부; 및
    상기 링형 회전부재 및 상기 바형 이동부재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노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커피를 향해 분사되는 물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커피 드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 내에 수용된 커피의 상부 면적을 화상을 통해 검출하는 화상검출부; 및
    상기 여과부재 내에 수용된 커피의 수용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부를 포함하는 커피 드립 장치.
KR1020150050898A 2015-04-10 2015-04-10 커피 드립 장치 KR20160121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98A KR20160121202A (ko) 2015-04-10 2015-04-10 커피 드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98A KR20160121202A (ko) 2015-04-10 2015-04-10 커피 드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02A true KR20160121202A (ko) 2016-10-19

Family

ID=5725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898A KR20160121202A (ko) 2015-04-10 2015-04-10 커피 드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2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160A (zh) * 2016-10-25 2017-02-01 佛山市顺德区宏泽电器制造有限公司 全自动咖啡壶螺旋下水结构
JP2020103892A (ja) * 2018-12-27 2020-07-09 萬物智得股▲ふん▼有限公司 ポアーオーバーコーヒー抽出の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256417A1 (ko) * 2019-06-18 2020-12-24 주식회사 드립플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WO2023101082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570A (ko) 2009-05-14 2010-11-24 김명기 드립커피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570A (ko) 2009-05-14 2010-11-24 김명기 드립커피머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1160A (zh) * 2016-10-25 2017-02-01 佛山市顺德区宏泽电器制造有限公司 全自动咖啡壶螺旋下水结构
CN106361160B (zh) * 2016-10-25 2023-08-25 广东宏日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咖啡壶螺旋下水结构
JP2020103892A (ja) * 2018-12-27 2020-07-09 萬物智得股▲ふん▼有限公司 ポアーオーバーコーヒー抽出の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0256417A1 (ko) * 2019-06-18 2020-12-24 주식회사 드립플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KR20200144263A (ko) * 2019-06-18 2020-12-29 (주)드립플랜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장치
WO2023101082A1 (ko) * 2021-12-03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648B1 (ko) 핸드 드립 커피머신
KR20160121202A (ko) 커피 드립 장치
JP7012666B2 (ja) カプセルホルダからのカプセルの取り除き
KR101468906B1 (ko) 자동 커피 드립장치
US9737168B2 (en) Hand drip coffee maker
KR101693261B1 (ko)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CN105592757B (zh) 制备饮料的装置
CN102215725B (zh) 用于制备咖啡饮料的***以及相关方法
CN102046049B (zh) 一种具有预泡制装置的爱斯普利索咖啡机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JP2018526084A (ja) 人間工学的排出口を備えた飲料マシン
KR101281650B1 (ko) 커피머신
JP2017511729A5 (ko)
CN104188516B (zh) 咖啡机进水装置
JPH04218117A (ja) コーヒー機
EP3253264B1 (en) Coffee machine and relative control method
JP7339027B2 (ja) コーヒーマシンおよびフィルタコーヒー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CN110636786A (zh) 饮料供给装置
JP2016215079A (ja) 固液抽出装置、及び固液抽出方法
KR101489809B1 (ko) 스마트 추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KR102212235B1 (ko) 음료 추출 장치
CN108463145A (zh) 用于自动化饮料酿造设备的酿造篮体
CN115701924A (zh) 用于分配研磨咖啡的方法
CN114630607A (zh) 用于清洁研磨器的器械和方法
KR20210136550A (ko) 커피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