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226A -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226A
KR20160117226A KR1020160035750A KR20160035750A KR20160117226A KR 20160117226 A KR20160117226 A KR 20160117226A KR 1020160035750 A KR1020160035750 A KR 1020160035750A KR 20160035750 A KR20160035750 A KR 20160035750A KR 20160117226 A KR20160117226 A KR 20160117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coating film
grain
form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로 고바야시
고지 사와다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2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wood grain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과제]
입체감이나 가공된 목재의 감촉의 외관을 갖는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건축판은,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과 교차하는 제 2 줄눈형상 홈으로 구획된 모양 영역과,
상기 모양 영역에 나뭇결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서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의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상기 모양 영역에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형의 교차 오목부와,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 위에 형성된 제 1 도막과,
상기 교차 오목부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도막보다도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BUILD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출원은 2015년 3월 31일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5-74161호에 기초하며, 이들은 전체로서 참고를 위해 본원에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 내벽 등을 구성하는 건축판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축물의 구조 골조에 복수의 건축판을 시공하여, 건축물의 외벽, 내벽 등을 구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 같은 나뭇결(wood grain) 텍스쳐의 의장 외관을 갖는 건축판을 시공하는 것도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53299호
하지만, 최근, 건축판의 외관의 의장성에 대한 요망은 높고, 나뭇결 텍스쳐라도 보다 입체감이나 가공한 목재의 감촉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입체감이나 가공된 목재의 감촉의 외관을 갖는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건축판은,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과 교차하는 제 2 줄눈형상 홈으로 구획된 모양 영역과,
상기 모양 영역에 나뭇결 모양을 표현하기 위하여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의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상기 모양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나뭇결 모양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형의 교차 오목부와,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 위에 형성된 제 1 도막과,
상기 교차 오목부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도막보다도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감이나 가공된 목재의 감촉을 갖는 건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판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1B 부분을 확대하여 화상 처리한 도면이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건축판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건축판은 나뭇결 텍스쳐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갖는 기판의 표면에 제 1 도막, 제 2 도막이 형성된 건축판을 제공한다.
기판의 표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교차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는 좌우로 연장되어 있고, 교차 오목부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좌우로 분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는 제 1 도막이 형성되어 있고, 교차 오목부에는 제 2 도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도막의 명도는 상기 제 2 도막의 명도보다도 높다. 이들 특징에 의해, 본 형태의 건축판은 입체적인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형태에 있어서,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의 적어도 한쪽 편은 톱날 형상이고, 제 2 도막의 좌우 단부의 적어도 한쪽 편은 톱날 형상이다. 이것에 의해, 수가공의 목재의 인상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형태에 있어서,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의 적어도 한쪽 편은 직선 형상이며, 이것에 따라, 제 2 도막의 좌우 단부의 적어도 한쪽 편은 직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형태에 있어서, 교차 오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어도 좋고,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상의 형태에 있어서, 교차 오목부에 형성된 제 2 도막의 좌우 방향의 폭은 일정해도 좋고,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이상의 형태에 있어서, 제 1 도막의 아래에 제 2 도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 2 도막의 아래에 제 1 도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에서는 나뭇결 텍스쳐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의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갖는 기판의 표면에 제 1 도막, 제 2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조 방법은 2가지 형태가 있다.
제 1 제조 방법의 형태는 기판의 표면에 제 1 도막을 형성하는 제 1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과, 제 2 도막을 형성하는 제 2 도료를 도포하는 공정과, 제 2 도료가 경화하기 전에 제 2 도료의 일부를 긁어내는 공정을 갖는다.
기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교차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는 좌우로 연장되어 있고, 교차 오목부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좌우로 분단하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료의 명도는 제 2 도료의 명도보다도 높다.
제 1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2 도막의 아래에 제 1 도막이 형성된다.
제 2 제조 방법의 형태는 기판의 표면에 제 2 도막을 형성하는 제 2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과,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도장 롤을 프레스하여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제 1 도막을 형성하는 제 1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을 갖는다.
기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교차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는 좌우로 연장되어 있고, 교차 오목부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좌우로 분단하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도료의 명도는 제 2 도료의 명도보다도 높다.
제 2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1 도막의 아래에 제 2 도막이 형성된다.
제 1, 제 2 어느 제조 방법의 형태에 있어서도,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한쪽 편)는 톱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한쪽 편)가 직선 형상이면, 인접한 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단부가 보다 눈에 띄고, 보다 입체적인 외관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의 교차 오목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어도 좋지만,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기판의 교차 오목부의 좌우 방향의 폭은 일정해도 좋고,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건축판은 기판(base material board)의 표면에 제 1 도막, 제 2 도막이 형성된 것이다.
기판은 판 형상의 부재이며, 기판의 재질은 나무 섬유 보강 시멘트판, 섬유 보강 시멘트판, 섬유 보강 시멘트·규산 칼슘판, 슬래그(slag) 석고판 등의 요업계 사이딩 보드(siding board)나, 금속계 사이딩 보드, ALC(Autoclaved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보드 등이 있다.
기판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판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판은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하고, 설명상, 기판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도 1a 참조).
기판 위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줄눈 홈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줄눈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줄눈 홈으로 구획된 직사각형의 모양 영역에 나뭇결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기판은 복수의 제 1 줄눈 홈과 제 2 줄눈 홈으로 구획된 복수의 모양 영역을 갖는다. 그러나, 기판이 하나의 모양 영역만을 갖는 경우에는, 기판의 좌우 방향의 한 쌍의 변이 한 쌍의 제 1 줄눈 홈을 구성하고, 기판의 상하 방향의 한 쌍의 변이 한 쌍의 제 2 줄눈 홈을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기판의 표면 위의 모양 영역에는 나뭇결 텍스쳐를 표현하기 위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이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대하여 낮은 부분인 나뭇결 형성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나뭇결 형성 볼록부 및 나뭇결 형성 오목부가 형성하는 나뭇결 모양을 횡단하도록 연장된 교차 오목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 나뭇결 형성 오목부, 및 교차 오목부는 기판을 프레스 성형하는 방법이나, 기판을 절삭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나뭇결 텍스쳐를 나타내 위한 요철 형상이란 예를 들어, 나무의 연륜, 금(cracks), 마디 등의 강조 표현이며, 그 볼록부가 나뭇결 형성 볼록부이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는 어느 형상도 기판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뭇결을 표현하기 위해서, 나뭇결 형성 볼록부가 다양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깊이가 다른 나뭇결 형성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교차 오목부는 가늘고 긴 홈 형상이면 좋고, 예를 들어, 직선 형상, 사선 형상, 원호 형상 등이 있다.
어느 교차 오목부도 나뭇결 모양, 즉,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좌우로 분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교차 오목부는 연속하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연속 교차 오목부로 해도 좋고, 불연속의 홈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불연속 교차 오목부로 해도 좋다. 불연속 교차 오목부의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목재를 잘라낸 것 같은 감촉이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교차 오목부의 좌우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으로서는 V형상, 사각 형상, 원호 형상 등이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는 톱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교차 오목부의 한쪽의 단부를 톱날 형상으로 하고, 다른 쪽의 단부를 직선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양쪽의 단부를 톱날 형상으로 해도 좋다. 톱날 형상이란 톱의 날로 깎은 것 같은 자잘한 칼자국 모양이며, 소위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교차 오목부의 좌우 방향의 폭은 일정하게 해도 좋지만, 불규칙하게 폭을 변화시켜도 좋고,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교차 오목부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눈에 띄게 하기 위해서, 교차 오목부의 깊이의 대부분은 나뭇결 형성 볼록부가 형성하는 나뭇결 모양의 깊이(나뭇결 형성 오목부)보다 얕게 형성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는 제 1 도막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막은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교차 오목부에는 제 2 도막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도막은 교차 오목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제 1 도막을 분단하는 것 같은 외관으로 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있어서, 제 1 도막은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건축판의 표면에 드러나 있으면 좋고, 제 1 도막의 아래에 제 2 도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교차 오목부에 있어서는, 제 2 도막이 교차 오목부를 따라 건축판의 표면에 드러나 있으면 족하고, 제 2 도막의 아래에 제 1 도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드러나는 제 2 도막의 형상은 교차 오목부의 형상에 의존한다. 상세하게는,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의 한쪽측이 톱날 형상이며, 다른 쪽측이 직선 형상일 경우에는, 각각 대응하는 제 2 도막의 한쪽측이 톱날 형상이 되고, 다른 쪽측이 직선 형상이 된다.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의 양측이 모두 톱날 형상일 경우에는, 제 2 도막의 좌우 단부의 양측도 모두 톱날 형상이 된다.
그리고, 제 1 도막의 명도는 제 2 도막의 명도보다도 높다. 그에 의해, 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제 1 도막은 눈에 띄는 동시에, 교차 오목부의 제 2 도막은 음영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제 1 도막 및 제 2 도막은 아크릴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사이클로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아크릴 수지 등의 고내후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면, 보다 내후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은 표면에 미소한 세공을 갖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 1 도막 및 제 2 도막은 탄산칼슘, 클레이, 아크릴 비즈 등의 충전제를 함유하면, 충전제가 상기 무기질 기재의 세공에 충전되어,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흡수를 멈출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수지 비즈,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면, 도막이 쿠션성을 갖는 동시에, 자외선 열화나 광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조 방법에 의해 건축판을 제조한다.
제 1 제조 방법은 기판의 표면에 제 1 도막을 형성하는 제 1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 1 도료 도포 공정과, 제 1 도막 위에 제 2 도막을 형성하는 제 2 도료를 도포하는 제 2 도료 도포 공정과, 제 2 도료가 경화하기 전에 제 2 도료의 일부를 긁어 내는 제 2 도료 긁어내기 공정을 갖는다.
미리, 기판의 표면에는 나뭇결 텍스쳐를 나타내기 위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 및 나뭇결 형성 오목부와, 이것들을 분단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교차 오목부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 나뭇결 형성 오목부, 및 교차 오목부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제 1 도료 도포 공정에서는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제 1 도료를 도포한다. 제 1 도료로서는 제 2 도료보다도 명도가 높은 도료를 사용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등의일반적인 도장 수단이 행해진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상온 건조, 드라이어 등에 의한 가온(加溫) 건조 등이 행해진다.
제 2 도료 도포 공정에서는 제 1 도막이 형성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제 2 도료를 도포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스프레이, 플로우 코팅 등의 일반적인 도장 수단이 행해진다.
제 2 도료 긁어내기 공정에서는 제 2 도료가 도포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롤 등의 긁어내기 부재를 기판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기판의 표면에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 교차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긁어내기 부재를 접촉시키면,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도포된 제 2 도료가 긁혀서 떨어져나가, 제 1 도막이 드러나게 된다. 한편, 교차 오목부 및 나뭇결 형성 오목부에 있어서는 제 2 도료가 긁혀서 떨어져 나가기 어려우므로, 제 2 도막이 남고,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제조 방법에서는 제 2 도막의 아래에 제 1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긁어내기 부재는 기판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치에 의해, 도료의 긁어내기가 좌우 방향으로 행해지므로, 좌우 방향으로 도막 두께의 변화가 생겨, 좌우 방향으로 색조 변화가 많고, 보다 입체적으로 보이는 동시에, 교차 오목부의 좌우 단부가 눈에 띄고, 보다 입체적으로 보인다. 또한,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도포된 제 2 도료의 긁어내기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 제조 방법은 기판의 표면에 제 2 도막을 형성하는 제 2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 2 도료 도포 공정과,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도장 롤을 프레스하고, 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제 2 도막 위에 제 1 도막을 형성하는 제 1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제 1 도료 도포 공정을 갖는다.
미리 기판의 표면에는 나뭇결 텍스쳐를 나타내기 위한 나뭇결 형성 볼록부 및 나뭇결 형성 오목부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교차 오목부가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나뭇결 형성 오목부, 및 교차 오목부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우선, 제 2 도료 도포 공정이 행해진다. 즉,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제 2 도료를 도포한다. 제 2 도료로서는 제 1 도료보다도 명도가 낮은 도료가 사용된다.
다음에, 제 1 도료 도포 공정이 행해진다. 즉, 제 2 도막이 형성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도장 롤이 프레스된다. 기판의 표면에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장 롤을 접촉시키면,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제 1 도료가 전사되어,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제 1 도막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교차 오목부에 있어서는 제 1 도료가 전사되기 어려우므로, 제 2 도막이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제 2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도막의 아래에 제 2 도막이 형성된다.
또한, 도장 롤은 기판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치에 의해, 도료의 전사가 좌우 방향으로 행해지므로, 좌우 방향으로 도막 두께의 변화가 생기고, 좌우 방향으로 색조 변화가 많아, 보다 입체적으로 보인다. 또한, 나뭇결 형성 볼록부로의 제 1 도료의 전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 제 2 어느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나뭇결 형성 볼록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1 도막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교차 오목부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를 좌우로 분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2 도막은 제 1 도막을 좌우로 분단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제 1 도료는 제 2 도료보다 명도가 높으므로, 제 1 도막의 명도는 제 2 도막의 명도보다도 높다. 따라서, 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제 1 도막이 눈에 띄는 동시에, 제 2 도막은 음영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제 2 도막은 교차 오목부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교차 오목부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이므로, 제 2 도막이 액센트(accent)가 되어, 제 1 도막의 형상(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형상)이 보다 눈에 띄는 것이 된다.
또한, 제 1, 제 2 어느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제 2 도막의 형상은 교차 오목부의 형상을 반영한 것이 된다.
교차 오목부의 우단부가 톱날 형상의 기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 2 도막의 우단부도 톱날 형상이 되고, 나뭇결 형성 볼록부에 톱날 모양의 액센트를 부가하는 것이 되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교차 오목부의 좌단부를 톱날 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교차 오목부의 좌우 양단부가 톱날 형상의 경우에는, 제 2 도막의 좌우 단부도 톱날 형상이 된다.
톱날 모양 외에도, 교차 오목부의 우단부가 직선 형상의 것으로 한 경우에는, 제 2 도막의 우단부도 직선 형상이 되어, 우단부에 인접한 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단부가 눈에 띄어 바람직하다.
교차 오목부의 좌우 방향의 폭을 대략 일정하게 한 경우에는, 제 2 도막의 좌우 방향의 폭도 대략 일정하게 된다. 교차 오목부의 좌우 방향의 폭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제 2 도막의 좌우 방향의 폭도 불규칙해지고, 수작업에 의한 가공을 행한 것 같은 질감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교차 오목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제 2 도막도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이 된다. 한편, 교차 오목부가 상하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 2 도막도 상하 방향으로 불연속적이 되고, 수작업에 의한 가공을 행한 것 같은 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하에 도 1 내지 4를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4에 있어서 건축판(1 내지 4)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제 1 방향),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제 2 방향)으로 한다.
도 1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판(1)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1B부분을 확대하여, 명도가 높은 제 1 도막의 부분을 희뿌연 색으로 화상 처리하고,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의 부분을 거무스름한 색으로 화상 처리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1b에 있어서, 모양 영역의 높이가 높은 부분일수록, 명도가 높은 제 1 도막이 남으므로, 희뿌연 색이 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에 대하여, 높이가 낮은 부분일수록,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남으므로, 거무스름한 색이 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 도 1b에 도시한 건축판(1)은 기판으로서 나무 섬유 보강 시멘트판을 사용하고 있다. 기판의 표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줄눈형상 홈(31)과, 상하로 연장된 제 2 줄눈형상 홈(3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은 제 1 줄눈형상 홈(31)으로 구획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을 붙인 외관을 표현하는 동시에, 제 2 줄눈형상 홈(3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을 붙인 외관을 표현하고 있다. 이 가늘고 긴 판 형상의 영역이 모양 영역이다. 그리고, 제 1 줄눈형상 홈(31)과 제 2 줄눈형상 홈(32)으로 구획된 각각의 모양 영역에는 건축판(1)의 표면에 연륜, 금 등의 나뭇결이 요철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요철 형상의 볼록부가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이며, 오목부가 나뭇결 형성 오목부이다. 도 1b에 있어서, 나뭇결 형성 볼록부(11)는 모양 영역의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은 부분이 되기 때문에, 희뿌연 부분(110)으로서 나타난다. 또한, 나뭇결 형성 오목부는, 후술하는 교차 오목부(21, 22)와 마찬가지로, 모양 영역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낮은 부분이 되기 때문에, 거무스름한 부분(112)로서 나타난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11), 나뭇결 형성 오목부 모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줄눈형상 홈(31), 제 2 줄눈형상 홈(32)의 깊이는 통상 이들 줄눈형상 홈(31, 32)으로 구획된 모양 영역 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나뭇결 형성 오목부 및 후술하는 교차 오목부(21, 22)의 깊이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제 1 줄눈형상 홈(31)의 깊이는 나뭇결 형성 오목부 및 교차 오목부(21, 22)의 깊이보다도 깊게 형성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한 건축판(1)에서는 나뭇결 모양, 즉, 나뭇결 형성 볼록부(11)를 분단하도록,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1)는 가늘고 긴 형상이며, 좌단부는 직선 형상으로 연속하고 있고, 우단부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의 단부 형상에 의해 기복이 많다. 즉, 연속 교차 오목부(21)의 우단부는 직선 형상이 아니라, 톱날로 깎은 것 같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는 가늘고 긴 형상이고 단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의 단부 형상에 의해 기복이 많고, 톱날로 깎은 것 같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도 1b에 있어서,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는 모양 영역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낮은 부분이 되기 때문에, 거무스름한 부분으로서 나타나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11), 연속 교차 오목부(21), 불연속 교차 오목부(22)에 형성된 도막에 대하여 이하에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건축판(1)은 상기한 제 1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제 1 도료 도포 공정, 제 2 도료 도포 공정, 제 2 도료 긁어내기 공정을 차례로 행한다. 좌우 방향이란 나뭇결 형성 볼록부(11)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다.
제 1 도료의 도포 공정에서는,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제 1 도료로서, 옅은 갈색의 아크릴 실리콘 도료를 스프레이에 의해 7g/척2(1척(尺)=303.03mm) 도포한 후, 100 내지 115℃의 드라이어로 기판을 건조시켰다.
이어서, 제 2 도료의 도포 공정으로서, 제 1 도료를 도포한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제 2 도료로서 제 1 도료보다도 명도가 낮은 짙은 갈색의 아크릴 실리콘 도료를 스프레이에 의해 7g/척2 도포하였다.
그리고, 제 2 도료의 긁어내기 공정으로서, 제 2 도료가 경화하기 전에, 기판의 표면에 기판의 진행 방향(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한 고무 롤을 접촉시키고, 기판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고무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제 2 도료의 긁어내기를 행하였다. 이후, 85 내지 100℃의 드라이어로 기판을 건조시켜, 일부가 긁혀서 떨어진 제 2 도막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건축판(1)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에는 옅은 갈색의 제 1 도막이 드러나고,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에는 짙은 갈색의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상세하게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1)는 다른 부분보다도 높으므로, 고무 롤에 의해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에 도포된 제 2 도료는 긁혀서 떨어지고,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에는 명도가 높은 제 1 도막이 드러나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1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1 도막도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드러나 있다. 도 1b에서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1)는 도면 번호 110 부분과 같이 희뿌연 색으로 되어 있다. 한편,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는 움푹 들어가 있으므로, 고무 롤에 의해 긁혀서 떨어져 나가지 않은 부분이 많이 존재하고,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에는 제 2 도료가 남고,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에는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도 1b에서는,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는 거무스름한 색으로 되어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1)는 연속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단부는 직선 형상, 우단부는 자잘한 칼자국이 있는 들쭉날쭉한 형상이므로, 연속 교차 오목부(21)에 형성되는 제 2 도막도 연속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단부는 직선 형상, 우단부는 자잘한 칼자국이 있는 들쭉날쭉한 형상이 된다.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는 단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자잘한 칼자국이 있는 들쭉날쭉한 형상이기 때문에, 불연속 교차 오목부(22)에 형성되는 제 2 도막도 단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단부는 자잘한 칼자국이 있는 들쭉날쭉한 형상이 된다.
또한, 제 1 줄눈형상 홈(31), 제 2 줄눈형상 홈(32), 나뭇결 형성 오목부도 움푹 들어가 있고, 고무 롤에 의해 긁혀서 떨어져 나가지 않은 부분이 많이 존재하므로, 제 2 도료가 남고,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도 1b에서는, 제 1 줄눈형상 홈(31) 및 제 2 줄눈형상 홈(32)은 그 바닥부가 거무스름한 색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판(1)은 제 1 줄눈형상 홈(31) 및 제 2 줄눈형상 홈(32)으로 구획된 영역에 나뭇결 형성 볼록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목판을 복수 붙인 것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일부의 영역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교차 오목부(21, 22)에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도막보다도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교차 오목부(21, 22)가 액센트가 되어, 제 1 도막의 형상(나뭇결 형성 볼록부(11)의 형상)이 보다 눈에 띄고, 입체감이 있는 나뭇결 텍스쳐의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는 단부가 톱날로 깍은 것 같은 형상을 가지므로, 톱 등을 사용한 수작업에 의한 가공과 같은 질감이 표현된다.
또한, 단부가 직선 형상인 연속 교차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단부에 인접한 나뭇결 형성 볼록부(11)의 단부가 한층 눈에 띄고, 보다 입체감이 있는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도 1b의 건축판(1)에서는 일부의 영역에만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를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뭇결 형성 볼록부(11)가 형성된 모든 나뭇결 모양의 영역에 연속 교차 오목부(21)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2)를 형성해도 좋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건축판(2)의 정면도이다. 건축판(2)에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1)가 형성된 모든 영역에 연속 교차 오목부(21)를 형성하고 있다. 건축판(2)에 있어서도, 건축판(1)과 마찬가지로, 연속 교차 오목부(21)에 의해 제 1 도막의 형상(나뭇결 형성 볼록부(11)의 형상)이 보다 눈에 띄고, 입체적인 나뭇결 텍스쳐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건축판(3)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건축판(3)도 기판으로서 나무 섬유 보강 시멘트판을 사용하고 있다. 기판의 표면은 제 1 줄눈형상 홈(3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구획되는 동시에, 제 2 줄눈형상 홈(3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복수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된 각각의 영역의 표면에는 나뭇결의 연륜, 금 등을 표현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그 볼록부가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이며, 오목부가 나뭇결 형성 오목부이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13), 나뭇결 형성 오목부 모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건축판(3)에서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3)를 분단하도록,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3)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속해서 상하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모두 직선 형상이 아니고,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의 단부 형상에 의해 기복이 많고, 톱날로 깎은 것 같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불연속 교차 오목부(24)는 가늘고 긴 형상이고 단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의 단부 형상에 의해 기복이 많고, 톱날로 깎은 것 같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13),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에 형성된 도막에 대하여, 이하에 제조 방법을 기술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건축판(3)은 상기한 제 2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제 2 도료 도포 공정, 제 1 도료 도포 공정을 차례로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좌우 방향이란 나뭇결 형성 볼록부(13)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다. 기판의 표면 전체에는 제 2 도료로서, 제 1 도료보다도 명도가 낮은 짙은 갈색의 아크릴 실리콘 도료를 스프레이에 의해 7g/척2 도포한 후, 85 내지 100℃의 드라이어로 기판을 건조시켰다. 이어서, 제 2 도막이 형성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에 기판의 진행 방향(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한 도장 롤을 프레스하여, 명도가 높은 옅은 갈색의 아크릴 실리콘 도료를 7g/척2 도포한 후, 0 내지 115℃의 드라이어로 기판을 건조시켜 제 1 도막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건축판(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에는 옅은 갈색의 제 1 도막이,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에는 짙은 갈색의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상세하게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3)는 다른 부분보다도 높으므로, 나뭇결 형성 볼록부(13)가 도장 롤과 접촉하게 되고, 도장 롤 위의 제 1 도료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에 전사된다. 따라서,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에는 제 1 도막이 드러나 있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1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1 도막도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드러나 있다. 한편,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는 움푹 들어가 있으므로, 도장 롤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존재하고,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에는 제 2 도료가 남고,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에는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3)는 연속해서 상하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부는 들쭉날쭉한 형상이므로, 연속 교차 오목부(23)에 형성되는 제 2 도막도 연속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부는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불연속 교차 오목부(24)는 단속적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므로, 불연속 교차 오목부(24)에 형성되는 제 2 도막도 단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부는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또한, 제 1 줄눈형상 홈(31), 제 2 줄눈형상 홈(32), 나뭇결 형성 오목부도 움푹 들어가 있어, 도장 롤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존재하므로,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판(3)은 제 1 줄눈형상 홈(31) 및 제 2 줄눈형상 홈(32)으로 구획된 영역에 나뭇결 형성 볼록부(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목판을 복수 붙인 것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일부의 영역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에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도막보다도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가 액센트가 되어, 제 1 도막의 형상(나뭇결 형성 볼록부(13)의 형상)이 보다 눈에 띄어, 입체적인 나뭇결 텍스쳐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연속 교차 오목부(23)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4)는 단부가 톱날로 깍은 것 같은 형상을 가지므로, 톱 등을 사용한 수작업으로 가공한 것 같은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또 다른 건축판(4)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건축판(4)은 기판으로서 금속판을 사용하고 있다. 기판의 표면은 제 1 줄눈형상 홈(3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는 동시에, 제 2 줄눈형상 홈(32)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된 각각의 영역의 표면에는 연륜, 금 등의 나뭇결을 표현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그 볼록부가 나뭇결 형성 볼록부(14)이며, 오목부가 나뭇결 형성 오목부이다. 나뭇결 형성 볼록부(14), 나뭇결 형성 오목부 모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건축판(4)에서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4)를 분단하도록, 연속 교차 오목부(25)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6)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5)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속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모두 직선 형상이 아니고, 나뭇결 형성 볼록부(14)의 단부 형상에 의해 기복이 많고, 톱날로 깎은 것 같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불연속 교차 오목부(26)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단속적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나뭇결 형성 볼록부(14)의 단부 형상에 의해 기복이 많고, 톱날로 깎은 것 같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건축판(4)은 상술한 건축판(3)과 같은 제 2 제조 방법에 의해 도장된다. 즉,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기판의 표면 전체에 제 2 도료로서 제 1 도료보다도 명도가 낮은 짙은 갈색의 아크릴 실리콘 도료를 스프레이에 의해 7g/척 2 도포한 후, 85 내지 100℃의 드라이어로 건조시켰다. 이어서, 제 2 도막이 형성된 기판을 좌우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나뭇결 형성 볼록부(14)에 기판의 진행 방향(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한 도장 롤을 프레스하여, 명도가 높은 옅은 갈색의 아크릴 실리콘 도료를 7g/척2 도포한 후, 100 내지 115℃의 드라이어로 건조시켜서 제 1 도막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얻어진 건축판(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뭇결 형성 볼록부(14)에는 명도가 높은 옅은 갈색의 제 1 도막이 드러나고, 연속 교차 오목부(25)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6)에는 명도가 낮은 짙은 갈색의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5)는 연속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부는 들쭉날쭉한 형상이므로, 연속 교차 오목부(25)에 형성되는 제 2 도막도 연속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부는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불연속 교차 오목부(26)는 단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은 들쭉날쭉한 형상이므로, 불연속 교차 오목부(26)에 형성되는 제 2 도막도 단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좌우 양단부는 들쭉날쭉한 형상이다.
또한, 제 1 줄눈형상 홈(31), 제 2 줄눈형상 홈(32), 및 나뭇결 형성 오목부(14)도 움푹 들어가 있어, 도장 롤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많이 존재하므로,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드러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판(4)은 제 1 줄눈형상 홈(31) 및 제 2 줄눈형상 홈(32)으로 구획된 영역에 나뭇결 형성 볼록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목판을 복수 붙인 것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일부의 영역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연속 교차 오목부(25)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6)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속 교차 오목부(25)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6)에는 나뭇결 형성 볼록부(14)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도막보다도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속 교차 오목부(25)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6)가 액센트가 되어, 제 1 도막의 형상(나뭇결 형성 볼록부(14)의 형상)이 보다 눈에 띄고, 입체적인 나뭇결 텍스쳐의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연속 교차 오목부(25) 및 불연속 교차 오목부(26)는 단부가 톱날로 깍은 것 같은 형상을 가지므로, 톱 등으로 수작업으로 가공한 것 같은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과 교차하는 제 2 줄눈형상 홈으로 구획된 모양 영역과,
    상기 모양 영역에 나뭇결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서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의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상기 모양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나뭇결 모양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형의 교차 오목부와,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 위에 형성된 제 1 도막과,
    상기 교차 오목부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막보다도 명도가 낮은 제 2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건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르는 톱날 형상인 건축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대략 직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대략 직선 형상인 건축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다른 쪽의 측부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 및 상기 대략 직선 형상의 각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 및 대략 직선 형상인 건축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은 불연속인 건축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은 불연속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인 건축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은 연속적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인 건축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나뭇결 모양의 깊이보다 얕고,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2 줄눈형상 홈의 적어도 한쪽의 깊이는 상기 교차 오목부의 깊이보다 깊은 건축판.
  9.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과 교차하는 제 2 줄눈형상 홈으로 구획된 모양 영역을 갖는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모양 영역에는 나뭇결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서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의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상기 나뭇결 모양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형의 교차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에 제 1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기판의 표면에 제 1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도막이 형성된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에 상기 제 1 도료보다 명도가 낮은 제 2 도료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도료가 경화하기 전에, 상기 제 2 도료의 일부를 긁어내어,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 위에 상기 제 1 도막을 노출시키고, 상기 교차 오목부 위에 상기 제 2 도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도막을 노출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건축판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다른 쪽의 측부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 및 상기 대략 형상의 각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 및 대략 직선 형상인 건축판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은 불연속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인 건축판의 제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은 연속적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인 건축판의 제조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나뭇결 모양의 깊이보다 얕고,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2 줄눈형상 홈의 적어도 한쪽의 깊이는 상기 교차 오목부의 깊이보다 깊은 건축판의 제조 방법.
  14.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과 교차하는 제 2 줄눈형상 홈으로 구획된 모양 영역을 갖는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모양 영역에는 나뭇결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서 형성된 복수의 볼록형의 나뭇결 형성 볼록부와, 상기 나뭇결 모양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형의 교차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에 제 2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기판의 표면에 제 2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에 도장 롤을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표면에 상기 제 2 도료보다 명도가 높은 제 1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교차 오목부 위에 상기 제 2 도막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뭇결 형성 볼록부의 표면에 제 1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건축판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다른 쪽의 측부는 대략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 및 상기 대략 직선 형상의 각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 및 대략 직선 형상인 건축판의 제조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은 불연속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인 건축판의 제조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은 연속적이고,
    상기 교차 오목부의 띠 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쪽의 측부는 톱날 형상이며,
    상기 제 2 도막은 상기 교차 오목부의 상기 톱날 형상의 상기 측부를 따라서 톱날 형상인 건축판의 제조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나뭇결 모양의 깊이보다 얕고,
    상기 제 1 줄눈형상 홈 및 상기 제 2 줄눈형상 홈의 적어도 한쪽의 깊이는 상기 교차 오목부의 깊이보다 깊은 건축판의 제조 방법.
KR1020160035750A 2015-03-31 2016-03-25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172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4161 2015-03-31
JP2015074161A JP6742075B2 (ja) 2015-03-31 2015-03-31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226A true KR20160117226A (ko) 2016-10-10

Family

ID=5569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750A KR20160117226A (ko) 2015-03-31 2016-03-25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289975A1 (ko)
EP (1) EP3075565B1 (ko)
JP (1) JP6742075B2 (ko)
KR (1) KR20160117226A (ko)
CN (1) CN106013677B (ko)
AU (1) AU2016201616B2 (ko)
CA (1) CA2923510C (ko)
DK (1) DK3075565T3 (ko)
LT (1) LT3075565T (ko)
RU (1) RU269704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620259U (zh) * 2017-07-19 2018-07-17 上海协承昌化工有限公司 一种板材及其装饰面板
CN113710476A (zh) * 2019-03-29 2021-1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装饰材料及其制造方法
US20210372137A1 (en) * 2020-06-02 2021-12-02 Gaylen Haas Two zone si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299A (ja) 2003-05-29 2004-12-16 Nichiha Corp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4827A (en) * 1968-11-12 1971-01-12 Eidai Co Ltd Method of forming a decorative panel
JPS5675809A (en) * 1979-11-24 1981-06-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nufacture of aggregate wood
JPS5794359A (en) * 1980-12-04 1982-06-11 Asahi Ishiwata Kogyo Kk Manufacture of polychromic patterned board
JPS60259444A (ja) * 1984-12-28 1985-12-21 朝日特殊合板株式会社 木目出し化粧板の製造方法
JPS6233606A (ja) * 1985-08-07 1987-02-1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複合模様を有する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8683A (zh) * 1992-05-09 1993-11-24 A泡沫材料有限公司 具有仿木纹表面的成型模制法
CN1070776C (zh) * 1993-10-25 2001-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装饰板
US5755068A (en) * 1995-11-17 1998-05-26 Ormiston; Fred I. Veneer panels and method of making
JP3658714B2 (ja) * 1996-02-09 2005-06-08 アイン興産株式会社 木質合成板の模様形成方法
SE516696C2 (sv) * 1999-12-23 2002-02-12 Perstorp Flooring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ytelement vilka innefattar ett övre dekorativt skikt samt ytelement framställda enlit förfarandet
SE0101620D0 (sv) * 2001-05-10 2001-05-10 Pergo Ab Embossed decorative boards
US7367166B2 (en) * 2003-01-17 2008-05-06 Masonite Corporation Door skin, a method of etching a plate, and an etched plate formed therefrom
JP3744500B2 (ja) * 2003-02-28 2006-02-08 ニチハ株式会社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2621947Y (zh) * 2003-06-27 2004-06-30 上海金禧木业有限公司 具有凹凸花纹的组合式实木装饰面板构件
JP4521213B2 (ja) * 2004-03-30 2010-08-11 ニチハ株式会社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4764B2 (ja) * 2005-06-29 2011-05-18 ニチハ株式会社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1925461B1 (en) * 2006-10-05 2013-11-06 Spanolux N.V. Div. Balterio Method of manufacturing a large surface panel, and a large surface panel
EP1908608A1 (en) * 2006-10-05 2008-04-09 Spanolux N.V. Div. Balteri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nel and produced panel
JP4158943B1 (ja) * 2007-10-23 2008-10-01 株式会社ユーサイ 化粧材の製造方法
JP5420869B2 (ja) * 2008-09-12 2014-02-19 ニチハ株式会社 無機質系化粧建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04482B4 (de) * 2009-01-09 2012-03-29 Fritz Egger Gmbh & Co. Bauelement aus Holzwerkstoff mit aufgedrucktem Dekor und unterschiedlichem Glanzgrad
US20110146179A1 (en) * 2009-12-17 2011-06-23 Cantley Richard W Molded panel simulating multiple boards
US20110151193A1 (en) * 2009-12-17 2011-06-23 Cantley Richard W Article with inverse wood grain pattern
JP5756317B2 (ja) * 2011-03-31 2015-07-29 ニチハ株式会社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299A (ja) 2003-05-29 2004-12-16 Nichiha Corp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075565T3 (en) 2017-07-24
US20160289975A1 (en) 2016-10-06
RU2697040C2 (ru) 2019-08-08
CN106013677A (zh) 2016-10-12
JP2016194211A (ja) 2016-11-17
RU2016109251A (ru) 2017-09-20
AU2016201616B2 (en) 2020-05-14
CN106013677B (zh) 2020-02-28
AU2016201616A1 (en) 2016-10-20
EP3075565A1 (en) 2016-10-05
LT3075565T (lt) 2017-08-10
RU2016109251A3 (ko) 2019-05-30
CA2923510A1 (en) 2016-09-30
EP3075565B1 (en) 2017-05-17
CA2923510C (en) 2021-01-05
JP6742075B2 (ja)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0827B2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17226A (ko)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686679B2 (ja) 金属サイディング
KR101379975B1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6194211A5 (ko)
JP2007270605A (ja) 板状建材の施工方法
KR102081985B1 (ko)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N205712887U (zh) 一种复合型高强度吊顶板
JP5784385B2 (ja) パネル材、建物、及びパネル材の製造方法
JP2015016663A (ja) 化粧板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US2024013998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panel
JP2018193668A (ja) 建築物の外壁構造、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パネル作製用受け台
RU188959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KR20090119797A (ko) 이미지가 조각된 건축용 칼라강판
JP7349220B2 (ja) 建築板
WO2018020843A1 (ja) 化粧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79694A (ja) 外装材、外壁の目地構造および目地の施工方法
JP2015140595A (ja) 建築板
JP2014058855A (ja) サイディング材
KR20130046416A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H167979B (th) แผ่นเทอร์โมพลาสติกเรซินผ่านการอัดลาย ลูกกลิ้งชนิดแกะสลักลาย วิธีการผลิตลูกกลิ้งชนิดแกะสลักลายชั้นกลางของกระจกชนิดลามิเนต และกระจกชนิดลามิเนต
ITBO20080479A1 (it)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elementi di rivestimento decorativi, ed elemento di rivestimento decorativo così fabbricato
ITVR20070065A1 (it) Piastrella da pavimentazioni e/o da rivestimento di tipo composito
IT201600091751A1 (it) Lastra decorativa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ITMO20000058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da rivestimentodi superfici e manufatto cosi' ottenu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