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184A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184A
KR20160117184A KR1020160029381A KR20160029381A KR20160117184A KR 20160117184 A KR20160117184 A KR 20160117184A KR 1020160029381 A KR1020160029381 A KR 1020160029381A KR 20160029381 A KR20160029381 A KR 20160029381A KR 20160117184 A KR20160117184 A KR 2016011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etecting
energizing
plug
wall por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가와모토
나오토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플러그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도, 복수의 통전핀에서의 발열을 양호한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는, 전벽부(311) 및 전벽부(3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주벽부(312)를 가지는 플러그 본체(30)와, 플러그 본체(30)에 수납되는 복수의 통전핀(10)과, 주벽부(312)의 양측에 노출되는 한 쌍의 접촉편(21) 및 플러그 본체(30) 내에서 한 쌍의 접촉편(21)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22)을 가지는 접지 레일(20)과, 복수의 통전핀(10)의 온도를 검지하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구비한다. 연결편(22)은, 전벽부(311)에 대향하는 오목부(25)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오목부(25)는, 전벽부(311)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37)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통전핀에서의 발열을 검지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플러그는, 전벽부(前壁部) 및 전벽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의 주벽부(周璧部)를 가지는 플러그 본체와, 각각의 전단부(前端部)가 전벽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플러그 본체에 수납되는 복수의 플러그 핀과, 주벽부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한 쌍의 단자부 및 플러그 본체 내에 있어서 한 쌍의 단자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접지 단자를 구비한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플러그는, 둥근 막대형의 한 쌍의 플러그 핀과, 한 쌍의 플러그 핀의 온도를 검지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구비한다. 특허 문헌 2의 플러그를 이용하면,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촉 불량에 기인하는 한 쌍의 플러그 핀에서의 발열을 검지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14/91552호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14-38785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플러그는, 서미스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한 쌍의 핀에서의 발열을 검지할 수 없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의 플러그에, 특허 문헌 2와 같이 서미스터를 설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특허 문헌 1의 플러그에서는, 플러그 본체 내에 접지 단자의 연결부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특허 문헌 1의 플러그에 서미스터를 설치하는 경우, 서미스터는, 접지 단자에 접촉하지 않도록, 접지 단자의 후방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플러그 본체는, 접지 단자의 후방에 배치되는 서미스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지 않으면 안되어, 플러그 본체의 대형화를 피할 수가 없다. 또한, 서미스터가 접지 단자의 후방에 배치되면, 서미스터와 플러그 핀의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한 쌍의 플러그 핀에서의 발열을 양호한 정밀도로 검지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플러그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도, 복수의 통전핀에서의 발열을 양호한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형태의 플러그는, 전벽부 및 상기 전벽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의 주벽부를 가지는 플러그 본체와, 각각의 전단부가 상기 전벽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에 수납되는 복수의 통전핀과, 상기 주벽부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장척형(長尺形)의 한 쌍의 접촉편 및 상기 플러그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편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는 접지 레일과, 상기 플러그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전핀과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통전핀의 온도를 각각 검지하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편은, 상기 전벽부에 대향하는 오목부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전벽부와 상기 접지 레일 사이에 상기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를 수용한는 수용 스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본체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도, 복수의 통전핀에서의 발열을 양호한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접지 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내부 구조의 전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내부 구조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의 플러그를 설명한다. 그리고, 도 1은 도 3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단, 도 1에서는, 플러그의 구성을 일부 생략한다. 또한, 도 10은 도 4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는, CEE7/7에 적합한 플러그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는,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통전핀(10)(플러그 핀)과, 1개의 접지 레일(20)(접지 단자)과, 플러그 본체(30)와,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온도 검지 소자(40)와, 케이블(50)을 구비한다. 이하, 필요에 따라 2개의 통전핀(10)의 한쪽을 제1 통전핀(10A)이라 하고, 다른 쪽을 제2 통전핀(10B)이라 한다. 또, 필요에 따라 2개의 온도 검지 소자(40)의 한쪽을 제1 온도 검지 소자(40A)라 하고, 다른 쪽을 제 2 온도 검지 소자(40B)라 한다.
케이블(5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전선(51∼55)과, 5개의 전선(51∼55)을 덮는 시스(56)(sheath)를 구비한다. 케이블(50)의 제1 단(端)에서는 5개의 전선(51∼55)이 시스(56)로부터 노출되고, 케이블(50)의 제2 단은 임의의 기기(예를 들면, 플러그, 리셉터클 등)에 접속된다. 5개의 전선(51∼55)은, 2개의(제1 및 제2) 통전선(51, 52)과, 접지선(53)과, 2개의(제1 및 제2) 신호선(54, 55)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통전선(51)은 전압선이며, 제2 통전선(52)은 중성선이다. 제1 통전선(51)은 제1 통전핀(10A)에, 제2 통전선(52)은 제2 통전핀(10B)에, 접지선(53)은 접지 레일(20)에, 제1 신호선(54)은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에, 제2 신호선(55)은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통전핀(10A) 및 제2 통전핀(10B)의 각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에 의해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전핀(10)은, 예를 들면, 컨택트(11)와 전선 접속부(12)를 구비한다. 컨택트(11)는 둥근 막대형이다. 즉, 통전핀(10)은 둥근 핀이다. 컨택트(11)의 선단측은,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리셉터클과의 전기적 접속에 사용된다. 전선 접속부(12)는, 컨택트(11)의 후단측에 형성된다. 전선 접속부(12)는 직사각형 막대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통전핀(10)은,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통전핀(10A) 및 제2 통전핀(10B)은, 플러그의 전후 방향인 제1 방향(도 4 및 도 5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고,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예를 들면, 플러그의 좌우 방향, 도 3에서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접지 레일(20)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 레일(20)은, 소정 형상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접지 레일(20)은,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편(21)과,연결편(22)과, 전선 접속부(23)와, 접지핀 용기(24)를 구비한다. 이하,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접촉편(21)의 한쪽을 제1 접촉편(21A)이라 하고, 다른 쪽을 제2 접촉편(21B)이라 한다.
한 쌍의 접촉편(21)은, 각각, 장척형이다. 한 쌍의 접촉편(21)은,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촉편(21A) 및 제2 접촉편(21B)은, 제1 방향(도 4 및 도 5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예를 들면, 플러그의 상하 방향, 도 3에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제1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접촉편(21)은, 동일 위치에 위치한다.
연결편(22)은, 한 쌍의 접촉편(21)끼리를 연결한다. 연결편(22)은, 중앙부가 후방으로 움푹 패어 있고, 이로써, 전방을 향한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22)은, 한 쌍의 세로편(221)과, 한 쌍의 가로편(222)과, 접속편(223)을 구비한다. 이하,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세로편(221)의 한쪽을 제1 세로편(221A)이라 하고, 다른 쪽을 제2 세로편(221B)이라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한 쌍의 가로편(222)의 한쪽을 제1 가로편(222A)이라 하고, 다른 쪽을 제2 가로편(222B)이라 한다.
제1 세로편(221A)은 한 쌍의 접촉편(21)의 한쪽[제1 접촉편(21A)]으로부터 다른 쪽[제2 접촉편(21B)]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제2 세로편(221B)은 한 쌍의 접촉편(21)의 다른 쪽[제2 접촉편(21B)]으로부터 한쪽[제1 접촉편(21A)]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세로편(221A)은 제1 접촉편(21A)의 후단으로부터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세로편(221B)은 제2 접촉편(21B)의 후단으로부터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세로편(221A)이 제2 세로편(221B)보다 길다. 그러나, 제1 세로편(221A)은 제2 세로편(221B)보다 짧아도 되고, 제2 세로편(221B)과 같은 길이여도 된다.
제1 가로편(222A)은, 제1 세로편(221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가로편(222B)은, 제2 세로편(221B)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가로편(222A)은 제1 세로편(221A)의 선단으로부터 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접촉편(21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가로편(222B)은 제2 세로편(221B)의 선단으로부터 제1 방향에 있어서 제2 접촉편(21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로편(222A)과 제2 가로편(222B)은 서로 평행하고, 같은 길이를 가진다.
접속편(223)은, 제1 가로편(222A)과 제2 가로편(222B)을 연결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속편(223)은,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1 가로편(222A)과 제2 가로편(222B)의 선단끼리를 연결한다. 그리고, 접속편(223)과 제1 세로편(221A)과 제2 세로편(221B)의 길이의 합계는, 한 쌍의 접촉편(21) 사이의 거리에 대략 동등하다.
상기 연결편(22)은, 제1 가로편(222A)과 제2 가로편(222B)과 접속편(223)으로 둘러싸인 스페이스인 오목부(25)를 형성한다.
전선 접속부(23)는, 접지선(53)의 접속에 사용된다. 전선 접속부(2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이며, 연결편(22)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접속부(23)는, 연결편(22)의 제1 가로편(222A)으로부터 제3 방향에 있어서 제2 가로편(222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 접속부(23)는, 제1 가로편(222A) 이외의 연결편(22)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접지핀 용기(24)는,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에 임의로 설치되는 접지핀의 접속에 사용된다. 접지핀 용기(24)는, 한 쌍의 스프링 편(spring portion)(241)을 구비하고 있다. 접지핀 용기(24)는, 한 쌍의 스프링 편(241) 사이에서 접지핀을 유지한다. 한 쌍의 스프링 편(241)은, 연결편(22)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스프링 편(241)은, 제1 세로편(221A)의 양측(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전방[제1 방향에 있어서 제1 접촉편(21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각각은,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감지부(temperature sensitive portion)(41)와 한 쌍의 단자(42, 43)(리드 단자)를 구비한다. 온도감지부(41)는, 주위 온도를 검지하는 부위이다. 온도감지부(41)는, 평판형이며, 평탄한 온도 검지면(44)을 가진다. 온도 검지 소자(40)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PTC 서미스터이다. 따라서, 온도감지부(41)는, 주위 온도에 따라, 그 저항값이 변화한다.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단자(43)와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단자(43)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와 제2 온도 검지 소자(40B)는 직렬로 접속된다.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의 단자(43)는, 출력 단자이며, 각각, 제1 신호선(54) 및 제2 신호선(5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는, 복수의 통전핀(10)과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의 통전핀(10)의 온도를 각각 검지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는,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와,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와는 별도의 제2 온도 검지 소자(40B)를 포함한다.
제1 온도 검지 소자(40A)는, 제1 통전핀(10A)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온도 검지면(44)은, 제1 통전핀(10A)의 전선 접속부(12)에 대향한다.
제2 온도 검지 소자(40B)는, 제2 통전핀(10B)의 온도를 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온도 검지면(44)은, 제2 통전핀(10B)의 전선 접속부(12)에 대향한다.
플러그 본체(30)는,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31)(앞쪽 커버)와, 바디 블록(32)과, 제2 커버(33)(뒷쪽 커버)와, 쉘(shell)(34)과, 한 쌍의 나사(35)와, 접촉 방지 부재(36)를 구비한다. 또한, 플러그 본체(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37)를 가진다.
제1 커버(31)와, 바디 블록(32)과, 제2 커버(33)와, 쉘(34)과, 접촉 방지 부재(36)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된다.
제1 커버(31)는, 주로 플러그 본체(30)의 앞쪽 부분을 구성한다. 제1 커버(31)는, 전벽부(311)와 주벽부(312)를 구비한다.
전벽부(311)는, 플러그 본체(30)의 전벽부로 된다. 전벽부(311)는, 대략 원반형이다. 전벽부(3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통전핀 삽통공(揷通孔)(3111)과, 접지핀용 수용공(3112)을 가진다. 이하, 필요에 따라 2개의 통전핀 삽통공(3111)의 한쪽을 제1 통전핀 삽통공(3111A)이라 하고, 다른 쪽을 제2 통전핀 삽통공(3111B)이라 한다. 통전핀 삽통공(3111)은, 통전핀(10)의 컨택트(11)를 통과하지만 전선 접속부(12)를 통과하지 않는 크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전핀 삽통공(3111)은 원형이다. 접지핀용 수용공(3112)은, 전술한 접지핀을 통과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지핀 용수공(3112)은, 원형이다.
주벽부(312)는, 플러그 본체(30)의 주벽부로 된다. 주벽부(312)는 통형이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부(312)는 각통형이다. 주벽부(312)는, 전벽부(3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주벽부(312)는, 한 쌍의 접촉편(21)을 노출시키기 위한 한 쌍의 홈(3121)[(3121A, 3121B)]을 가진다. 한 쌍의 홈(3121A, 3121B)은, 제3 방향에서의 주벽부(312)의 양측에 형성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홈(3121A, 3121B)은, 제3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홈(3121A, 3121B)은, 제2 방향에 있어서 제1 통전핀 삽통공(3111A)과 제2 통전핀 삽통공(3111B) 사이에 위치한다. 한 쌍의 홈(3121A, 3121B)의 후단은 개방되어 있다. 주벽부(312)는, 제3 방향에서의 양면의 각각에, 제2 방향으로 이간된 한 쌍의 제1 끼워맞춤부(3122)를 가진다. 제1 끼워맞춤부(3122)는, 제1 커버(31)와 바디 블록(32)의 결합에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서는, 제1 통전핀(10A), 제2 통전핀(10B), 및 접지 레일(20)이 제1 커버(31)에 장착된다.
접지 레일(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편(21A, 21B)이 주벽부(312)의 한 쌍의 홈(3121A, 3121B) 내에 위치하도록, 전벽부(311)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써, 전벽부(311)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수용 스페이스(37)가 형성된다. 접지 레일(20)의 연결편(22)의 오목부(25)는, 전벽부(311)에 대향하고 있고, 수용 스페이스(37)의 일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부)를 구성한다.
제1 통전핀(10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부[컨택트(11)]가 제1 통전핀 삽통공(3111A)을 통해 전벽부(3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 커버(31)에 장착된다. 제2 통전핀(10B)은, 전단부[컨택트(11)]가 제2 통전핀 삽통공(3111B)을 통해 전벽부(3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제1 커버(31)에 장착된다. 이로써, 제1 통전핀(10A) 및 제2 통전핀(10B)은, 제2 방향에 있어서 수용 스페이스(37)의 양측에 위치한다. 즉, 수용 스페이스(37)는, 제1 통전핀(10A)과 제2 통전핀(10B)과 한 쌍의 접촉편(21A, 21B)으로 둘러싸여 있다.
바디 블록(32)은, 주로 플러그 본체(30)의 뒷쪽 부분을 구성한다. 한 쌍의 측벽부(321)[(321A, 321B)]와, 한 쌍의 측벽부(321) 사이에 위치하는 수납부(32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측벽부(321)는 각각 판형이다. 한 쌍의 측벽부(321)의 각각은, 오목부(3211)와, 한 쌍의 제2 끼워맞춤부(3212)를 가진다. 오목부(3211)는, 통전핀(10)의 전선 접속부(12)를 수용한다. 오목부(3211)는, 측벽부(321)의 외면[측벽부(321)의 수납부(322)와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끼워맞춤부(3212)는, 제3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바디 블록(32)은, 합계 4개의 제2 끼워맞춤부(3212)를 가진다. 제2 끼워맞춤부(3212)는, 바디 블록(32)과 제1 커버(31)의 결합에 사용된다.
수납부(32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제1 온도 검지 소자(40A, 4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수납부(322)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복수의 통전핀(10) 및 접지 레일(2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납부(322)는, 서로 평행한 2개의 벽부(3221)[(3221A, 3221B)]를 가진다. 2개의 벽부(3221)는 각각 평판형이다. 수납부(322)는, 예를 들면, 일면(도 10에서의 상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상자형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부(3221A)의 외면[수납부(322)의 외측을 향한 면, 도 10에서의 오른쪽 면]이 측벽부(321A)의 오목부(3211)의 바닥면이 되고, 벽부(3221B)의 외면[수납부(322)의 외측을 향한 면, 도 10에서의 왼쪽 면]이 측벽부(321B)의 오목부(3211)의 바닥면이 된다.
제2 커버(33)는, 바디 블록(32)과의 사이에서 케이블(50)을 유지하도록, 바디 블록(32)의 뒷쪽에 장착된다. 제2 커버(33)는 평판형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커버(33)는, 한 쌍의 나사(35)를 사용하여, 바디 블록(32)에 고정된다.
쉘(34)은, 제1 커버(31)의 일부와, 바디 블록(32)과, 제2 커버(33)와, 케이블(50)의 제1 단(端)을 덮는다. 쉘(34)은, 미리 준비된 부품이 아니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이다. 그러므로, 쉘(34)은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접촉 방지 부재(36)는, 접지 레일(20)과 각 온도 검지 소자(40)의 출력 단자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서는,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40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벽부(311)와 접지 레일(20) 사이의 수용 스페이스(37)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와 제1 신호선(54)을 접속하기 위하여,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출력 단자(42)는 접지 레일(20)[특히 연결편(22)]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출력 단자(42)는 접지 레일(20)[(특히 연결편(22)]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접촉 방지 부재(36)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촉 방지부(361)[(361A)]와, 제2 접촉 방지부(361)[(361B)]와, 제1 접촉 방지부(361A) 및 제2 접촉 방지부(361B)를 연결하는 연결부(362)를 구비한다.
제1 접촉 방지부(361A)는,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출력 단자(42)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접촉 방지부(361A)는, 출력 단자(42) 전체를 덮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2 접촉 방지부(361B)는,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출력 단자(42)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접촉 방지부(361B)는, 출력 단자(42) 전체를 덮는 크기로 형성된다.
연결부(362)는, 바디 블록(32)의 일부와 끼워맞추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그러므로, 접촉 방지 부재(36)는, 연결부(362)에 의해 바디 블록(32)에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의 조립 방법은 하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케이블(50)의 제1 통전선(51)이 제1 통전핀(10A)의 전선 접속부(12)에 접속되고, 제2 통전선(52)이 제2 통전핀(10B)의 전선 접속부(12)에 접속되고, 제1 신호선(54)이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출력 단자(42)에 접속되고, 제2 신호선(55)이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출력 단자(42)에 접속된다.
다음에, 온도 검지 소자(40A, 40B)가 바디 블록(32)의 수납부(322)에 수납된다. 이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온도 검지면(44)이 벽부(3221A)에 대향하고,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온도 검지면(44)이 벽부(3221B)에 대향한다. 또한, 접촉 방지 부재(36)가 바디 블록(32)에 장착된다.
또한, 제1 통전핀(10A)의 전선 접속부(12)가 바디 블록(32)의 측벽부(321A)의 오목부(3211)에 배치되고, 제2 통전핀(10B)의 전선 접속부(12)가 바디 블록(32)의 측벽부(321B)의 오목부(3211)에 배치된다.
이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온도 검지면(44)이 제1 통전핀(10A)의 전선 접속부(12)에 대향하고, 또한 벽부(3221A)가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온도 검지면(44)과 제1 통전핀(10A)의 전선 접속부(12)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온도 검지면(44)이 제2 통전핀(10B)의 전선 접속부(12)에 대향하고, 또한 벽부(3221B)가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온도 검지면(44)과 제2 통전핀(10B)의 전선 접속부(12)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에, 접지 레일(20)이 바디 블록(32)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바디 블록(32)의 수납부(322)는, 접지 레일(20)의 한 쌍의 접촉편(21A, 21B) 및 연결편(22)으로 둘러싸인 공간[수용 스페이스(37)]에 위치한다.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출력 단자(42)의 각각은, 접지 레일(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제1 접촉 방지부(361A)가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출력 단자(42)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접촉 방지부(361B)는,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출력 단자(42)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케이블(50)의 접지선(53)이 접지 레일(20)의 전선 접속부(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제1 커버(31)가 바디 블록(32)의 앞쪽에 장착되고, 제2 커버(33)가 바디 블록(32)의 뒷쪽에 장착된다.
제1 커버(31)를 바디 블록(32)에 장착하는 경우, 제1 통전핀(10A) 및 제2 통전핀(10B)의 컨택트(11)가 각각 제1 통전핀 삽통공(3111A) 및 제2 통전핀 삽통공(3111B)에 삽입된다. 또한, 접지 레일(20)의 한 쌍의 접촉편(21A, 21B)이 한 쌍의 홈(3121A, 3121B)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접지 레일(20)의 접지핀 용기(24)가 접지핀용 수용공(3112)에 삽입된다. 제1 커버(31)는, 주벽부(312)의 4개의 제1 끼워맞춤부(3122)와 바디 블록(32)의 4개의 제2 끼워맞춤부(3212)를 각각 끼워맞춤으로써, 바디 블록(32)에 고정된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검지 소자(40)가 수용 스페이스(37)에 수용된다.
제2 커버(33)는, 한 쌍의 나사(35)를 사용하여 바디 블록(32)의 뒷쪽에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쉘(34)이 형성된다.
이로써,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는, 전벽부(311) 및 전벽부(3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의 주벽부(312)를 가지는 플러그 본체(30)와, 각각의 전단부[컨택트(11)]가 전벽부(3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플러그 본체(30)에 수납되는 복수의 통전핀(10)과, 플러그 본체(30) 내에 있어서 복수의 통전핀(10)과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의 통전핀(10)의 온도를 각각 검지하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와, 주벽부(312)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장척형의 한 쌍의 접촉편(21) 및 플러그 본체(30) 내에 있어서 한 쌍의 접촉편(21)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22)을 가지는 접지 레일(20)을 구비한다. 연결편(22)은, 전벽부(311)에 대향하는 오목부(25)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오목부(25)는, 전벽부(311)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37)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서는, 연결편(22)은, 한 쌍의 접촉편(21)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편(221)과, 세로편(221)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가로편(222A)과, 한 쌍의 접촉편(21)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가로편(222B)과, 제1 가로편(222A)과 제2 가로편(222B)을 연결하는 접속편(223)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오목부(25)는, 제1 가로편(222A)과 제2 가로편(222B)과 접속편(223)으로 둘러싸인 공간이다.
요컨대,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에서는, 연결편(22)은, 전벽부(311)에 대향하는 오목부(25)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서는, 오목부(25)가 수용 스페이스(37)의 일부가 아니라 전부를 구성해도 된다. 요컨대, 오목부(25)가 수용 스페이스(3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면, 플러그 본체(3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는, 접지 레일(20)을 가로질러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에게 접속되는 제1 신호선(54)과, 접지 레일(20)을 가로질러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에 접속되는 제2 신호선(55)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플러그 본체(3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제1 접촉 방지부(361A) 및 제2 접촉 방지부(361B)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1 접촉 방지부(361A)는, 제1 신호선(54)과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해도 된다. 제2 접촉 방지부(361B)는, 제2 신호선(55)과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해도 된다.
제1 접촉 방지부(361A) 및 제2 접촉 방지부(361B)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접지 레일(20)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에서는, 온도 검지 소자(40)의 온도감지부(41)의 출력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배선과 접지 레일(20) 사이에,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는, 케이블(50)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플러그는, 케이블(50)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단자 블록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는, 쉘(34)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서는, 플러그 본체(30)가 거치형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의 플러그에서는, 온도 검지 소자(40)는, NTC 서미스터이어도 된다. 요컨대, 온도 검지 소자(4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는, 반드시 CEE7/7에 적합한 플러그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는, CEE7/7 이외의 규격(CEE7/4 등)에 적합한 플러그이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접지 레일을 가지는 플러그에 적용 가능하다. 케이블(50)의 전선의 수는, 통전핀(10)의 수, 접지핀 용기(24)의 유무, 핀(통전핀이나 접지핀)의 배치도 규격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통전핀(10)의 형상도 규격에 따라 변경된다. 예를 들면, 통전핀(10)은 직사각형 막대형이어도 된다. 즉, 통전핀(10)은 각 핀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형태)
이상의 실시 형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1 형태의 플러그는, 전벽부(311) 및 상기 전벽부(3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의 주벽부(312)를 가지는 플러그 본체(30)와, 각각의 전단부[컨택트(11)]가 상기 전벽부(3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30)에 수납되는 복수의 통전핀(10)과, 상기 주벽부(312)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장척형의 한 쌍의 접촉편(21) 및 상기 플러그 본체(30) 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편(21)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22)을 가지는 접지 레일(20)과, 상기 플러그 본체(30) 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전핀(10)과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통전핀(10)의 온도를 검지하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편(22)은, 상기 전벽부(311)에 대향하는 오목부(25)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오목부(25)는, 상기 전벽부(311)와 상기 접지 레일(20) 사이에 상기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37)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제1 형태의 플러그에 의하면, 접지 레일(20)의 연결편(22)은 벽부(311)에 대향하는 오목부(25)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오목부(25)는 전벽부(311)와 접지 레일(20) 사이에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37)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는 접지 레일(20)의 후방이 아니라 접지 레일(20)의 전방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플러그 본체(30)의 대형화가 방지된다. 또한, 온도 검지 소자(40)를 보다 통전핀(10)의 전단부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전핀(10)에서의 발열은 전단부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통전핀(10)에서의 발열의 검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통전핀(10)의 온도를 각각 검지하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를 구비하므로, 복수의 통전핀(10)에 대하여 1개의 온도 검지 소자밖에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복수의 통전핀(10)에서의 발열을 양호한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본체(30)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도, 복수의 통전핀(10)에서의 발열을 양호한 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형태의 플러그는, 제1 형태와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제2 형태에서는, 상기 연결편(22)은, 상기 한 쌍의 접촉편(21)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세로편(221A)과, 상기 한 쌍의 접촉편(21)의 다른 쪽으로부터 한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세로편(221B)과, 상기 제1 세로편(221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가로편(222A)과, 상기 제2 세로편(221B)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가로편(222B)과, 상기 제1 가로편(222A)과 상기 제2 가로편(222B)을 연결하는 접속편(223)을 가진다. 상기 오목부(25)는, 상기 제1 가로편(222A)과 상기 제 2가로편(222B)과 상기 접속편(223)으로 둘러워싸인 공간이다.
제2 형태의 플러그에 의하면, 제1 통전핀(10A)과 제2 통전핀(10B)과 한 쌍의 접촉편(21)으로 둘러싸인 스페이스에,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와 제2 온도 검지 소자(40B)가 수용된다. 그러므로, 플러그 본체(30)의 대형화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제3 형태의 플러그는,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와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제3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통전핀(10)은, 제1 통전핀(10A)과, 제2 통전핀(1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전핀(10A) 및 상기 제2 통전핀(10B)은, 상기 플러그 본체(30)의 전후 방향에 따른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접촉편(21A, 21B)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핀(10A)과 상기 제2 통전핀(10B)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40)는, 상기 제1 통전핀(10A)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와, 상기 제2 통전핀(10B)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2 온도 검지 소자(40B)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 스페이스(37)는, 상기 제1 통전핀(10A)과 상기 제2 통전핀(10B)과 상기 한 쌍의 접촉편(21A, 21B)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3 형태의 플러그에 의하면, 제1 통전핀(10A)과 제2 통전핀(10B)과 한쌍의 접촉편(21, 21)으로 둘러싸인 스페이스에,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와 제2 온도 검지 소자(40B)가 수용된다. 그러므로, 플러그의 소형화가 더욱 도모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4 형태의 플러그는, 제3 형태와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제4 형태에서는, 상기 플러그 본체(3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제1 접촉 방지부(361A) 및 제2 접촉 방지부(361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40A)및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각각은, 상기 접지 레일(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출력 단자(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 방지부(361A)는,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의 상기 출력 단자(42)와 상기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접촉 방지부(361B)는,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의 상기 출력 단자(42)와 상기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한다.
제4 형태의 플러그에 의하면,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40B)가 접지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러그의 온도 검지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5 형태의 플러그는, 제3 형태와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제5 형태에서는,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접지 레일(20)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40A)에 접속되는 제1 신호선(54)과, 상기 접지 레일(20)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에 접속되는 제2 신호선(55)을 더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본체(3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제1 접촉 방지부(361A) 및 제2 접촉 방지부(361B)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접촉 방지부(361A)는, 상기 제1 신호선(54)과 상기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접촉 방지부(361B)는, 상기 제2 신호선(55)과 상기 접지 레일(20) 사이에 위치한다.
제5 형태의 플러그에 의하면,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40B)가 접지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러그의 온도 검지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제6 형태의 플러그는, 제3 형태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제6 형태에서는, 상기 플러그 본체(3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제1 벽부(3221A) 및 제2 벽부(3221B)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벽부(3221A)는, 상기 제1 통전핀(10A)과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벽부(3221B)는, 상기 제2 통전핀(10B)과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40B) 사이에 위치한다.
제6 형태의 플러그에 의하면, 제1 통전핀(10A) 및 제2 통전핀(10B)과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40B)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또한, 제1 벽부(3221A) 및 제2 벽부(3221B)에 의해 열이 제1 통전핀(10A) 및 제2 통전핀(10B)으로부터 제1 온도 검지 소자((40A) 및 제2 온도 검지 소자(40B)에 전달되기 쉬워지므로, 제1 통전핀(10A) 및 제2 통전핀(10B)에서의 발열의 검지 정밀도가 향상된다.
10 : 통전핀
10A : 제1 통전핀
10B : 제2 통전핀
20 : 접지 레일
21 : 접촉편
22 : 연결편
221A : 제1 세로편
221B : 제2 세로편
222A : 제1 가로편
222B : 제2 가로편
223 : 접속편
25 : 오목부
30 : 플러그 본체
311 : 전벽부
312 : 주벽부
3221A : 제1 벽부
3221B : 제2 벽부
361A : 제1 접촉 방지부
361B : 제2 접촉 방지부
37 : 수용 스페이스
40 : 온도 검지 소자
40A : 제1 온도 검지 소자
40B : 제2 온도 검지 소자
42 : 출력 단자
54 : 제1 신호선
55 : 제2 신호선

Claims (6)

  1. 전벽부 및 상기 전벽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의 주벽부를 가지는 플러그 본체,
    각각의 전단부가 상기 전벽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에 수납되는 복수의 통전핀,
    상기 주벽부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장척형의 한 쌍의 접촉편 및 상기 플러그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편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는 접지 레일, 및
    상기 플러그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전핀과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통전핀의 온도를 각각 검지하는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
    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편은, 상기 전벽부에 대향하는 오목부를 가지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전벽부와 상기 접지 레일 사이에 상기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를 수용하는 수용 스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한 쌍의 접촉편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세로편,
    상기 한 쌍의 접촉편의 다른 쪽으로부터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세로편,
    상기 제1 세로편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가로편,
    상기 제2 세로편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가로편, 및
    상기 제1 가로편과 상기 제2 가로편을 연결하는 접속편
    을 가지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가로편과 상기 제2 가로편과 상기 접속편으로 둘러싸인 공간인, 플러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전핀은, 제1 통전핀과, 제2 통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전핀 및 상기 제2 통전핀은, 상기 플러그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편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핀과 상기 제2 통전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온도 검지 소자는, 상기 제1 통전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1 온도 검지 소자, 및 상기 제2 통전핀의 온도를 검지하는 제2 온도 검지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스페이스는, 상기 제1 통전핀과 상기 제2 통전핀과 상기 한 쌍의 접촉편으로 둘러싸여 있는, 플러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제1 접촉 방지부 및 제2 접촉 방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 및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의 각각은, 상기 접지 레일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출력 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1 접촉 방지부는,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접지 레일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촉 방지부는,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접지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플러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레일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에 접속되는 제1 신호선, 및
    상기 접지 레일을 가로질러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에 접속되는 제2 신호선
    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제1 접촉 방지부 및 제2 접촉 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 방지부는,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접지 레일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촉 방지부는, 상기 제2 신호선과 상기 접지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플러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제1 벽부 및 제2 벽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1 벽부는, 상기 제1 통전핀과 상기 제1 온도 검지 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제2 통전핀과 상기 제2 온도 검지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플러그.




KR1020160029381A 2015-03-31 2016-03-11 플러그 KR201601171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4238 2015-03-31
JP2015074238A JP6507446B2 (ja) 2015-03-31 2015-03-31 プラ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84A true KR20160117184A (ko) 2016-10-10

Family

ID=5570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381A KR20160117184A (ko) 2015-03-31 2016-03-11 플러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76496B1 (ko)
JP (1) JP6507446B2 (ko)
KR (1) KR20160117184A (ko)
RU (1) RU20161111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3118A (ja) * 2015-05-12 2016-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グ
JP6748968B2 (ja) * 2016-12-19 2020-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グ
AT521095B1 (de) * 2018-03-16 2020-12-15 Feller Gmbh Stecker
JP2020202072A (ja) * 2019-06-10 2020-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外部接続構造
DE102020124513A1 (de) * 2020-09-21 2022-03-24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laden einer fahrzeugbatterie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laden einer fahrzeugbatterie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8785A (ja) 2012-08-20 2014-02-27 Fuji Densen Kogyo Kk 防水プラグ、及び防水プラグ付コード
WO2014091552A1 (ja) 2012-12-11 2014-06-19 富士電線工業株式会社 差込プラグ、及び差込プラグ付コー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64Y2 (ko) * 1988-05-13 1993-02-15
JP6497602B2 (ja) * 2012-09-11 2019-04-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コード
JP6057324B2 (ja) 2012-11-02 2017-01-11 三甲株式会社 コンテナセット
JP6145769B2 (ja) * 2013-06-05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8785A (ja) 2012-08-20 2014-02-27 Fuji Densen Kogyo Kk 防水プラグ、及び防水プラグ付コード
WO2014091552A1 (ja) 2012-12-11 2014-06-19 富士電線工業株式会社 差込プラグ、及び差込プラグ付コ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07446B2 (ja) 2019-05-08
JP2016195038A (ja) 2016-11-17
EP3076496A1 (en) 2016-10-05
EP3076496B1 (en) 2018-08-15
RU2016111122A (ru)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7184A (ko) 플러그
US9634438B2 (en) Electrical apparatus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housed in a support element
TWI571019B (zh) 電源線
DK1830437T3 (en) Electrical contact
US8956167B2 (en) Cable end connector with connecting bar
US10522944B2 (en) Disposabl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11228145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US2015021467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onductive element for connecting grounding layers of the cable together
US9997872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ligned solder tails for connecting to resistor
EP3093926B1 (en) Power plug including temperature sensors
TW201807895A (zh) 插頭連接器
CN108206346B (zh) 插头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WI575821B (zh) Usb插座
US6869306B1 (en) Serial ATA interface connector
US20100144212A1 (en) Wiring device assembly with contact stabilizing structure
JP6894767B2 (ja) 中継端子モジュール
JP6497618B2 (ja) プラグ
TW201315026A (zh) 插頭
CN116111393A (zh) 用于充电座的引线框架、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KR20080024718A (ko) 저항 측정이 가능한 컨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