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584A - 접착식 무선전력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식 무선전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584A
KR20160116584A KR1020150044494A KR20150044494A KR20160116584A KR 20160116584 A KR20160116584 A KR 20160116584A KR 1020150044494 A KR1020150044494 A KR 1020150044494A KR 20150044494 A KR20150044494 A KR 20150044494A KR 20160116584 A KR20160116584 A KR 20160116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ousing
outer skin
weigh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네일픽스
Priority to KR102015004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584A/ko
Publication of KR20160116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5/005
    • H02J7/025
    • H04B5/00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전력수신체에 구비된 전력수신코일에 유도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송신코일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력송신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력송신부; 상기 전력송신코일 및 상기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하우징;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수신체가 부착가능한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설치면에 부착가능한 제2 점착성 외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착식 무선전력장치{ADHESIVE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접착식 무선전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나 화상통화 및 문서작업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이 휴대하기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캠핑과 같이 야외에서 활동할 경우 램프 또는 선풍기와 같은 일반 생활용 전자기기의 사용빈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또는 일반 생활용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전력선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공공장소나 야외에 있을 경우 전력 공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행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0867405)과 같이,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배터리 충전 장치는 RFID 리더기와 배터리 셀이 분리되어 있으며, 차량과 같이 이동하는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RFID 리더기와 배터리 셀이 분리되어 전력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흔들리는 환경 또는 이동하는 환경에서도 전력을 공급받는 대상물과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충전장치가 분리되지 않아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무선전력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7405(등록일: 2008.10.31)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받는 대상물에 점착되어 흔들리거나 이동하는 과정에도 대상물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장소에 부착이 가능하며, 대상물을 사용하기 용이한 각도로 거치가 가능한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력수신체에 구비된 전력수신코일에 유도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송신코일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력송신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력송신부; 상기 전력송신코일 및 상기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하우징;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수신체가 부착가능한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설치면에 부착가능한 제2 점착성 외피부를 포함하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상기 제2 점착성 외피부의 재질은 점착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성 폴리우레탄은, 한 분자당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주제 내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75중량퍼센트 이상 95중량퍼센트 이하이고, 상기 경화제 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30중량퍼센트 이상 60중량퍼센트 이하인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는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 내 함량이 13중량퍼센트 이상 4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1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분자량이 2500이상 5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 내 함량이 40중량퍼센트 이상 77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2폴리프로필렌글리콜; 상기 주제 내 함량이 0.2중량 퍼센트 이상 12중량퍼센트 이하인 촉매; 상기 주제 내 함량이 0.1중량퍼센트 이상 13중량퍼센트 이하인 쇄 연장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29중량퍼센트 이상 49중량퍼센트 이하인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32 중량퍼센트 이상 52중량퍼센트 이하인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5중량퍼센트 이상 2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3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상기 제2 점착성 외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와 상기 하우징의 경계에서 돌출된 돌출턱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일측의 맞은 편의 하우징 내측면에 상기 전력송신부를 상기 하우징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는 상기 전력송신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공간을 채우는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력송신부의 끝단은, 상기 전력송신부의 끝단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출원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수신체에 점착되어 흔들리거나 이동하는 환경에서도 전력수신체와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어 전력수신체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제2 점착성 외피부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므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직사광선, 고온 및 습기 등으로부터 전력송신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점착성 외피부가 생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다.
도 5는 하우징과 전력송신코일 사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걸림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사용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전력송신부(110), 하우징(130),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포함한다.
전력송신부(110)는 전력수신체에 구비된 전력수신코일(미도시)에 유도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송신코일(111)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송신코일(111)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기판(113)을 포함한다.
즉, 전력송신부(11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수신체는 예를 들어, 핸드폰 또는 램프나 선풍기와 같은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력 전력수신체는 전력수신코일이 구비된 전자기기 일 수 있다.
무선전력송신에 사용되는 회로기판(113)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하우징(130)에는 전력송신코일(111) 및 회로기판(113)이 구비된다. 이 때 케이블(115)은 전력송신부(110)와 연결되어 하우징(130)의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전력송신부(110)에 외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점착성 외피부(150)는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력수신체가 부착가능하다.
제2 점착성 외피부(170)는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하우징(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설치면에 부착가능하다.
제1 점착성 외피부(150)와 제2 점착성 외피부(170)는 점착성을 이용하여 전력수신체가 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점착성에 의해 설치면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통해 전력수신체 및 설치면에 점착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전력수신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성 외피부(150)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전력수신체와 전력송신부(110)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전력이 무선으로 전력송신코일(111)과 전력수신코일 사이에 효율적으로 송수신되려면 전력송신코일(111)과 전력수신코일의 위치가 중요하다. 또한 전력이 송수신되는 과정에서 전력송신코일(111)과 전력수신코일의 위치가 변화되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제1 점착성 외피부(150)에 전력수신체가 부착되어 하우징(130) 내부의 전력송신코일(111)과 전력수신체의 전력수신코일 사이의 위치 변화가 줄어들거나 최소화됨으로써 전력송수신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점착성 외피부(170)가 설치면에 부착가능하므로 자동차나 기차와 같이 진동이 있거나 흔들리는 장소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이 있거나 흔들리는 장소에서도 전력송신코일(111)과 전력수신코일 사이의 위치 변화가 줄어들거나 최소화됨으로써 전력송수신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높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자동차나 기차와 같이 움직이는 장소 이외에 가구나 벽면과 같이 고정된 장소에도 역시 설치가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착성 외피부(150)는 반투명 재질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30) 내부에 구비된 전력송신코일(111)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다.
이하,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의 재질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는 점착성을 가져 점착력에 의해 전력수신체 및 설치면에 부착되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 또는 실리콘(SILICONE)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둘의 복합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가 점착성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은 한 분자당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주제 내 폴리올의 함량은 75중량퍼센트 이상 95중량퍼센트 이하이고, 경화제 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30중량퍼센트 이상 60중량퍼센트 이하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폴리올의 함량이 75중량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의 점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전력수신체와 부착하거나 또는 설치면에 부착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으로 폴리우레탄에 먼지 등이 달라붙어 점착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중성세제나 물로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세척하면 폴리우레탄에 부착된 먼지 등이 모두 제거되고 점착성이 복원되어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수분에 민감한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진 전력송신부(110)는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밀봉되므로 세척 시 수분의 침투 우려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폴리올의 함량이 95중량퍼센트 이하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이 설치면에 달라붙어 설치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이나 의류 표면으로부터 폴리우레탄을 떼어내기 위해 큰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어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에테르폴리올 및 에스테르 폴리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에테르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을 에테르화한것을 의미한다.
이하,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의 어느 하나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구현예1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현예1에서 주제를 이루는 폴리올은 2종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할 수 있으며,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 내 함량이 13중량퍼센트 이상 4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1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분자량이 2500이상 5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주제 내 함량이 40중량퍼센트 이상 77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2폴리프로필렌글리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제 2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한 폴리올에 촉매, 쇄 연장제 및 가소제를 첨가제로서 첨가함에 따라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다.
촉매는 주제의 화합물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제 내 함량이 0.2중량 퍼센트 이상 12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쇄 연장제는 후술할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쇄 연장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하여 주제 내 함량이 0.1중량퍼센트 이상 13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잔량으로서 가소제가 혼합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구현하기 위한 어느 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현예 1에 따른 주제와 혼합되는 경화제를 이루는 이소시아네이트는 2종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병용할 수 있으며, 경화제 내 함량이 29중량퍼센트 이상 49중량퍼센트 이하인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32 중량퍼센트 이상 52중량퍼센트 이하인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을 포함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5중량퍼센트 이상 2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3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첨가함에 따라 경화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를 구현하기 위한 구현예 2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주제를 이루는 폴리올은 2종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할 수 있으며, 분자량이 1500이상 2500이하이고, 상기 주제 내 함량이 30중량퍼센트 이상 50중량퍼센트 이하인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분자량이 3500이상 5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 내 함량이 25중량퍼센트 이상 45중량퍼센트 이하인 폴리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폴리올에 촉매, 쇄 연장제 및 가소제를 첨가제로서 첨가함에 따라 주제를 제조할 수 있다.
촉매는 주제의 화합물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제 내 함량이 0.2중량 퍼센트 이상 12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쇄 연장제는 후술할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써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쇄 연장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하여 주제 내 함량이 0.5중량퍼센트 이상 1.5중량퍼센트 이하를 차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잔량으로서 가소제가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30중량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의 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전력수신체에 의해 눌렸던 점착패드(300)의 체적이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복원되어 외력의 방향을 따라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60중량퍼센트 이하인 경우에는, 폴리우레탄이 단단하지 않고 우수한 쿠션감을 가지므로 굴곡이 있는 벽면 표면 차량의 콘솔이나 데시보드에 보다 잘 밀착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현예 2에 따른 주제와 혼합되는 경화제를 이루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패드(300)에 적용되는 폴리우레탄은 전술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중합반응 시킴에 따라 제조됨으로써 피착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정도의 부착강도와 중성세제나 물로 세척하여도 반복사용 할 수 있는 풍부한 점성을 가지면서, 전력수신체 및 설치면과 맞닿음으로 인해 눌렸던 체적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뛰어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비율이나 분자량이 조절되거나 첨가량이 조절됨에 따라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의 점성과 탄성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선풍기나 낙하시 파손이 우려되는 스마트 폰 등의 전력수신체를 탈락없이 부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한 점성을 가진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강한 점성을 가진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제조하는 구현예에 따라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다.
반면에, 중량이 비교적 가벼운 램프 등의 부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한 점성을 가진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점성을 가진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제조하는 실시예에 따라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양한 점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여 이를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에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점착성 외피부(150)가 생략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및 제2 점착성 외피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와 하우징(130)의 경계에서 돌출된 돌출턱(131)이 하우징(13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돌출턱(131)이 하우징(1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또는 제2 점착성 외피부(170)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은 하우징(1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도포되는데, 이 때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또는 제2 점착성 외피부(170)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은 큰 유동성을 지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질은 도포되는 과정에서 적정 영역을 벗어날 수 있으며, 이를 제1 점착성 외피부(150) 또는 제2 점착성 외피부(17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적정 영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돌출턱(131)이 하우징(13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하우징(130) 내부를 나타낸다. 도 4에는 제2 점착성 외피부(170)가 형성되는 하우징(13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전력송신부(110)는 회로기판(113)과 전력송신코일(111) 사이에 위치하여 회로기판(113)과 전력송신코일(111)을 분리하는 분리판(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117)은 회로기판(113)과 전력송신코일(111)이 비정상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로기판(113)과 전력송신코일(111) 사이에 단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117)은 전력송신코일(11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전력송신코일(111)의 지지판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0) 일측의 맞은 편의 하우징(130) 내측면에 전력송신부(110)를 하우징(130)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113) 및 분리판(117)에는 받침부(133)가 삽입되는 삽입홀(119)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부(133)는 회로기판(113)과 분리판(117)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여 전력송신부(110)를 이격시키는 삽입리미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리미터(135)의 직경은 삽입홀(119)에 삽입되는 받침부(133) 일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삽입홀(119)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삽입리미터(135)의 길이만큼 회로기판(113)과 분리판(117)이 하우징(13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점착성 외피부(150)는 전력송신부(110)와 하우징(130) 내측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점착성 외피부(150)는, 하우징(130)의 일측에 형성된 도 3의 개구부(137)를 덮으며, 상기 공간을 채우는 제1 점착성 외피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113) 및 전력송신코일(111)을 포함하는 전력송신부(110)는 제1 점착성 외피부(150)에 의하여 밀봉되므로 외부의 습기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30)의 개구부(137)와 받침부(133)가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제조과정을 고려한 구조이다. 즉,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공정 상에서 제1 점착성 외피부(150)의 재질은 큰 유동성을 지니므로, 제1 점착성 외피부(150)의 재질이 개구부(137)를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흐를 수 있다.
제1 점착성 외피부(150)의 재질이 계속하여 개구부(137)로 주입되면, 제1 점착성 외피부(150)의 재질이 상기 공간을 채우고, 이어서 회로기판(113) 및 전력송신코일(111)까지 감싸게 된다.
제1 점착성 외피부(150) 재질은 앞서 설명된 돌출턱(131)을 넘지 않을 때까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30)의 개구부(137)를 통하여 제1 점착성 외피부(150)의 재질이 주입되어 상기 공간을 채워야 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송신부(110)의 끝단은, 전력송신부(110)의 끝단과 마주보는 하우징(130)의 측면과 미리 설정된 간격(D)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점착성 외피부(150)의 재질이 개구부(137)를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흐르기 위하여 하우징(130) 내부에 구비된 전력송신코일(111)의 끝단과 개구부(137)의 둘레가 미리 설정된 거리(d)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스토퍼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115)이 회로기판(113)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15)은 하우징(13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재(139)에 연결되고, 하우징(130) 내부에 걸림부재(139)가 걸리는 걸림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림홀(141)의 형상은 걸림부재(139)의 외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부재(139)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하우징(130)에 부착될 수 있으나, 걸림부재(139)의 부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공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외부에서 케이블(115)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걸림부재(139)가 케이블(115)과 회로기판(113)의 연결 부위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케이블(115)이 회로기판(113)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사용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700)의 데시보드(71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720)을 작동하여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할 경우, 핸드폰(720) 전력 소모가 많아 핸드폰(720) 사용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폰(720)을 사용함과 동시에 핸드폰(720)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할 수 있도록 자동차(700) 데시보드(710)에 본 발명의 점착식 무선전력장치의 제2 점착성 외피부(170)를 부착한 후 핸드폰(720)을 제1 점착성 외피부(15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무선전력장치는 점착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 및 다양한 대상물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 대상물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전력송신부(110)
전력송신코일(111)
회로기판(113)
케이블(115)
분리판(117)
삽입홀(119)
하우징(130)
돌출턱(131)
받침부(133)
삽입리미터(135)
개구부(137)
걸림부재(139)
걸림홀(141)
제1 점착성 외피부(150)
제2 점착성 외피부(170)

Claims (10)

  1. 전력수신체에 구비된 전력수신코일에 유도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송신코일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력송신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력송신부;
    상기 전력송신코일 및 상기 회로기판이 구비되는 하우징;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수신체가 부착가능한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점착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어 설치면에 부착가능한 제2 점착성 외피부
    를 포함하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상기 제2 점착성 외피부의 재질은 점착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성 폴리우레탄은,
    한 분자당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주제 내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75중량퍼센트 이상 95중량퍼센트 이하이고, 상기 경화제 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은 30중량퍼센트 이상 60중량퍼센트 이하인 조성을 갖는 부착형 무선전력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프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착형 무선전력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 내 함량이 13중량퍼센트 이상 4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1폴리프로필렌글리콜;
    분자량이 2500이상 5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주제 내 함량이 40중량퍼센트 이상 77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2폴리프로필렌글리콜;
    상기 주제 내 함량이 0.2중량 퍼센트 이상 12중량퍼센트 이하인 촉매;
    상기 주제 내 함량이 0.1중량퍼센트 이상 13중량퍼센트 이하인 쇄 연장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부착형 무선전력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29중량퍼센트 이상 49중량퍼센트 이하인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32 중량퍼센트 이상 52중량퍼센트 이하인 헥사 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
    분자량이 2500이상 3500이하이고, 한 분자당 3개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며, 상기 경화제 내 함량이 5중량퍼센트 이상 20중량퍼센트 이하인 제 3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잔량으로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부착형 무선전력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 및 상기 제2 점착성 외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와 상기 하우징의 경계에서 돌출된 돌출턱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일측의 맞은 편의 하우징 내측면에 상기 전력송신부를 상기 하우징 내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는 상기 전력송신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공간을 채우는 상기 제1 점착성 외피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송신부의 끝단은,
    상기 전력송신부의 끝단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KR1020150044494A 2015-03-30 2015-03-30 접착식 무선전력장치 KR20160116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94A KR20160116584A (ko) 2015-03-30 2015-03-30 접착식 무선전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94A KR20160116584A (ko) 2015-03-30 2015-03-30 접착식 무선전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84A true KR20160116584A (ko) 2016-10-10

Family

ID=5714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494A KR20160116584A (ko) 2015-03-30 2015-03-30 접착식 무선전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5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05B1 (ko) 2007-02-09 2008-11-06 (주)애니쿼터스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05B1 (ko) 2007-02-09 2008-11-06 (주)애니쿼터스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31785A (en) Polishing pad with high optical transmission window
KR20120034256A (ko) 무용제형 부가형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성 물품
GB9902856D0 (en) Organosiloxane compositions
KR20160005837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116584A (ko) 접착식 무선전력장치
KR101680060B1 (ko) 점착식 무선전력장치
CN107154677A (zh) 一种车载长距离无线充电装置和充电方法
EP2501574A1 (en) Item of hardware and method of making and bonding same
KR20040095702A (ko) 이동체용 실리콘 고무 접착제 조성물
EP2000364A8 (en) A dashboard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680058B1 (ko) 부착형 무선전력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670111A (zh) 用于车辆中的移动电话的固定装置
CN108791106A (zh) 一种嵌入式手机导航车联网***
US20140256380A1 (en) Vehicle mounted cell phone docking station
KR200484442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CN102575039A (zh) 橡胶类树脂闭孔发泡片及其制造方法
KR100761012B1 (ko) 거치대
CN105762901A (zh) 附着型无线电力供给装置
CN104794871A (zh) 电器装置遥控***及其信号转换装置与该装置控制方法
CN208344116U (zh) 一种嵌入式手机导航车联网***
KR101498636B1 (ko) 스마트 패드
CN205723204U (zh) 卡合的无线开关
US10353439B2 (en) Mobile terminal, hous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903832B2 (ja) 車載機器の取り付け具及び装置
JP6449913B2 (ja) バイオミメティック材を有す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