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045A - 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045A
KR20160109045A KR1020150032690A KR20150032690A KR20160109045A KR 20160109045 A KR20160109045 A KR 20160109045A KR 1020150032690 A KR1020150032690 A KR 1020150032690A KR 20150032690 A KR20150032690 A KR 20150032690A KR 20160109045 A KR20160109045 A KR 20160109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ttery module
coupling
rack hous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6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0278B1 (en
Inventor
김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032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278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ck housing can provide an effect to stably store a battery module in an electric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can provide an effect to increase assemblability and maintenability, as well as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s since the number of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reduced by forming the rack housing having the battery module received and stored therein to be only composed of a main frame, a supplement frame unit, a connection frame, a mounting frame, and so on.

Description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서 배터리 모듈을 다단으로 수납시켜 좁은 공간에서 많은 수의 배터리 모듈을 보관할 수 있고, 부품수를 현저하게 줄여 조립성 및 정비성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housing module for housing a battery module in a plurality of stages in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to store a large number of battery modules in a narrow space, To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device that can reduce assembling, maintenance, and manufacturing costs.

일반적으로, 거치용 배터리(stationary battery)는 특히 부동(float)용, 즉 전력 부족시에 비상 전력용으로 고안되었다. 거치용 배터리는 일정하게 미리 셋팅된 전압에서 부동(floating)함으로써 보통 완전 충전 상태에서 언제든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거치용 배터리는 통신분야, 유틸리티, 상업용 건물의 비상등 및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를 위한 비상용 또는 작동 전원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stationary batteries have been devised for emergency power, especially for float, that is, power shortage. The stationary battery is usually kept in a fully charged state at all times by floating at a constant preset voltage. Mounting batteries are used as emergency or operational power sources for telecommunications, utility, commercial building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무정전 전원 장치는 컴퓨터와 통신망을 백업(back-up)하는 시스템이다. 밀폐형 납-산 전지 및/또는 배터리는 전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정전 전력원은 정전같은, 주 전력원에 갑작스런 중단이 생길 때 순차적으로 컴퓨터를 끌 수 있도록 하고 통신망에 백업 전력을 공급한다.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is a system that backs up computers and communication networks. The sealed lead-acid battery and / or battery may include a power source. Uninterruptible power sources, such as power outages, allow computers to be turned off sequentially when there is a sudden interruption of the main power source and provide backup power to the network.

전력 요구량이 상당한 산업 설비에 사용되는 밀폐형 납-산 거치용 전지 및/또는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용량과 전력 요구량에 맞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서로 연결된 수 개 내지 수많은 밀폐형 납-산 전지로 구성된다. 원하는 용량과 전력 요구량에 맞는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각각의 밀폐형 납-산 전지는 직렬로, 병렬로, 또는 직렬과 병렬의 적당한 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연결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전지의 음극과 양극 간에 이루어진다.Closed lead-acid batteries and / or batteries used in industrial installations with significant power requirements typically consist of several to several sealed lead-acid batteries connected together to form a battery that meets the desired capacity and power requirements. To create a battery that meets the desired capacity and power requirements, each sealed lead-acid battery can be connected in series, in parallel, or in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series and parallel. External connections are typically made between the cathode and anode of each cell.

그리고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이들 대용량 전지들은 공간 요건을 최소화하기 위해 랙이나, 캐비넷,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수납된다. And because of space constraints, these large batteries are housed in racks, cabinets, or the like to minimize space requirements.

한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4338호(공고일 : 2013.05.14)에는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저장장치는, 나란히 배열된 배터리 트레이들과,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1 덕트와,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2 덕트와, 강제적으로 외기를 제1 덕트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재, 및 제2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64338 (Publication Date: 2013.05.14) discloses a rack housing assembly and an electric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Such an electric storage device includes a first duct having battery trays arranged side by side, first opening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trays, and second opening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trays, Two ducts, an air inflow member for forcibly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first duct, and an air exhaust member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second duct to the outside.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5243호(공고일 : 2013.04.16)호에는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5243 (Publication Date: 2013.04.16) discloses a rack housing assembly and a power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그러나 이러한 전력저장장치의 랙 하우징 조립체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조립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rack housing assembly of such a power storage device is problematic in that the assembly work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and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is increas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4338호(공고일 : 2013.05.14)Korean Patent No. 10-1264338 (Notification: 2013.05.14)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55243호(공고일 : 2013.04.1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5243 (Notification date: Apr. 14,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서 배터리 모듈을 다단으로 수납시켜 좁은 공간에서 많은 수의 배터리 모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현저하게 줄여 조립성 및 정비성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ably store a large number of battery modules in a narrow space by storing battery modules in a multi-stage in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to reduce assembly parts, And to provide a means to do so.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이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은 구조가 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입구 양쪽에 한쌍의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의 일측에는 다각형의 지지부가 형성되며, 랙 하우징의 각 코너에서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기둥 역할을 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 상기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메인 프레임이 쌍을 이루어 일체화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메인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서 양쪽의 결합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지지 프레임에 의해 결합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결합단에 지그재그로 각각 결합되어 쌍을 이루는 양쪽 메인 프레임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 프레임으로 이루어는 보강 프레임부; 상기 보강 프레임부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 두 쌍의 메인 프레임의 지지부 상,하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두 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터리 모듈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프레임; 및 양단에 걸림단을 구비하고, 한 쪽 변에는 배터리 모듈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안착단이 같은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의 걸림단이 서로 마주보는 각 상기 메인 프레임의 지지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다수개의 안착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long connector in a lengthwise direction, A main frame having a support part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rack housing so as to stand vertically so that the inlets face each other and serve as pillars; An upper and a lower support frame,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both ends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main frame facing each other such that the main frames are arranged in pairs so that the main frames facing each other face each other; A reinforcement frame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frames joined to the joint ends of the main frames coupled by the support frame in a zigzag manner to reinforce the pair of main frames; A connecting frame for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between the two pairs of main frames, the connecting frame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two pairs of main frames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the reinforcing frame portion; And a locking step at both ends. A seating end for seating a battery modu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frame, and two pairs of seating ends are formed. The seating ends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And a plurality of seating bracket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s of the main frames facing each other. The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 안정되게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바닥 브라켓이 결합되되, 상기 바닥 브라켓은, 바닥에 밀착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된 지지단; 및 상기 지지단 사이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기 결합단에 볼트로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 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floor bracket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frame to maintain a state where the main frame stably stands vertically, wherein the floor bracket has supporting ends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pair of bracket coupling ends bent upward to face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support ends and bolted to the coupling ends.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1,2 측면에, 상기 안착 브라켓의 걸림단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의 걸림공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과 반대방향의 상기 지지부 한쪽에 형성되는 제3 측면에는, 보강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쪽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이 볼트로 결합되기 위한 연결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에는 상기 상,하부 지지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이 볼트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the main frame, a locking hole having a wide shape at the upper part and a narrow shape at the lower part is form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end of the seating bracket,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at a third side of the third sid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end, and connection holes for coupling the connection frame with the bolt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engaging holes for engag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frames and the reinforcing frame with bolts may be formed at the coupling ends while maintaining equal sp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상,하부 지지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면은, 강도가 높도록 "

Figure pat00001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frame are formed so as to have a "
Figure pat00001
"Can be formed.

상기 메인 프레임은 롤 포밍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main frame may be manufactured by roll forming.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서 배터리 모듈을 다단으로 안정적으로 수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stably storing the battery module in multiple stages in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또한, 배터리 모듈이 수납되어 저장되는 랙 하우징의 부품이 메인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부, 연결 프레임 및 안착 프레임 등으로만 구성됨으로써, 부품수가 현저하게 줄어 조립성 및 정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parts of the rack housing, in which the battery modules are housed and stored, are constituted only by the main frame, the reinforcing frame part,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seat frame, the number of parts is remarkably reduced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and maintainabi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ductio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front view of the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rack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6 is a plan view of the rack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ack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rack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rack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10)은, 기둥 역할을 하는 4개의 메인 프레임(20)과, 2개의 메인 프레임(20)이 쌍을 이루어 일체화되도록 연결하고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프레임부(30)와, 서로 결합된 두 쌍의 메인 프레임(20)을 각각 연결하여 그 사이에 배터리 모듈(40)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프레임(50)과, 수납공간 내에서 양쪽의 메인 프레임(20)에 양단이 걸림 결합되고 배터리 모듈(40)이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6, a rack housing 10 for a battery module of a power storage device includes four main frames 20 serving as pillars and two main frames 20 paired and integrated A reinforcing frame portion 30 for connecting and reinforcing the battery module 40 and a pair of main frames 20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nec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 40 therebetween, And a seat frame 60 to which both ends of the main frame 20 are engaged in the storage space and on which the battery module 40 is seated.

이러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1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rack housing 10 for a battery module of such a power storag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메인 프레임(20)은, 랙 하우징(10)의 기둥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은 구조의 단면을 갖도록 다중 절곡되어, 입구 양쪽에 한쌍의 결합단(22)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단(22)의 일측에는 다각형의 지지부(24)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되, 결합단(22)으로 이루어진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서로 쌍을 이루는 것으로 렉 하우징(10)은 2 쌍의 메인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The main frame 20 serves to serve as a pillar of the rack housing 10. The main frame 2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ulti-folded so as to have a narrow entrance and a wide cross-section, 22)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 polygonal support portion (2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end (22). Two main frames 20 are arranged in pairs, two of which are vertically erect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entrance formed by the joining end 22 fac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two main frames 20 are paired with each other. The rack housing 10 includes two pairs of main frames 20.

이와 같은 메인 프레임(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4)의 양쪽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1,2 측면(24A,24B)에, 안착 브라켓(60)의 걸림단(62)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의 걸림공(24C)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된다. 1, the main frame 20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24A and 24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24 by engaging the engaging end 62 of the seating bracket 60 Are formed so that they are spaced equidistant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결합단(22)과 반대방향의 지지부(24) 한쪽에 형성되는 제3 측면(24D)에는, 보강부(24E)가 절곡 형성되며, 보강부(24E)의 양쪽에는 연결 프레임(50)이 볼트로 결합되기 위한 연결 결합공(24F)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된다. The reinforcing portion 24E is bent and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24D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4 opposite to the coupling end 22. The reinforcing portion 24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frame 50, And coupling joint holes 24F for coupling with the bolt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결합단(22)에는 상,하부 지지 프레임(32,34) 및 보강 프레임(36)의 양단이 각각 볼트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2A)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upling end 22, coupling holes 22A for respectively coupling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32, 34 and the reinforcing frame 36 with bolts are formed while being equally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20)의 양쪽 결합단(22)에 결합공(22A)이 형성되고, 제3 측면(24D)에 연결 결합공(24F)이 각각 형성되며, 제1,2 측면(24A,24B)에는 걸림공(24C)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안착 프레임(60)이 직접 걸림공(24C)에 걸려 결합될 수 있고, 연결 프레임(50)과 상,하부 지지 프레임(32,34) 및 보강 프레임(36)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ngaging holes 22A are formed at both the engaging ends 22 of the main frame 20, the engaging holes 24F are formed at the third side face 24D, And 24B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hooking holes 24C so that the seat frame 60 can be directly engaged with the latching holes 24C and the connection frame 50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32, The reinforcing frame 36 can be easily engaged.

메인 프레임(20)은 롤 포밍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즉, 강판을 롤 포밍 장치로 통과시켜 다중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한 후, 천공기로 각 결합공과 걸림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20)을 롤 포밍으로 제조하는 것은, 메인 프레임(20)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The main frame 20 is manufactured by a roll forming apparatus. That is, the steel sheet is passed through a roll forming apparatus to form a multi-folded shape, and then each of the engaging holes and the engaging holes are formed by a perforator. The mainframe 20 is manufactured by roll forming in order to make the main frame 20 have sufficient rigidity and is easy to manufacture.

보강 프레임부(30)는, 2개의 메인 프레임(20)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기 위한 것으로, 양쪽 결합단(22) 사이의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각각의 메인 프레임(20)이 쌍을 이루어 일체화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메인 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에서 양쪽의 결합단(22) 사이로 양단이 삽입되어 각각 볼트로 결합되는 상부 지지 프레임(32) 및 하부 지지 프레임(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하부 지지 프레임(32,34)에 의해 결합되어 서로 거리를 유지하고 쌍을 이루는 양쪽 메인 프레임(20)의 결합단(22)에 지그재그로 각각 결합되어 쌍을 이루는 양쪽 메인 프레임(20)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 프레임(36)를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frame portion 30 is for connecting the two main frames 20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frames 20 are arranged so that the entrances between the two engaging ends 22 face each other And an upper support frame 32 and a lower support frame 24, both ends of which are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ends 22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frame 20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bolted together. The two main frames 20 are coupled by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32 and 34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coupling ends 22 of the pair of main frames 20 in a zigzag manner,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frames 36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36.

이와 같은 상,하부 지지 프레임(32,34) 및 보강 프레임(36)의 단면은, "

Figure pat00002
"형상을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하부 지지 프레임(32,34) 및 보강 프레임(36)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The cross sec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32, 34 and the reinforcing frame 36 are "
Figure pat00002
&Quot;, which is intend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32 and 34 and the reinforcement frame 36. [

특히,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양쪽 메인 프레임(20)의 결합단(22)에 각 양단이 결합되므로, 쌍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20)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고, 결합상태가 현저하게 보강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중량물인 배터리 모듈(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Particularly, since the both ends of the main frame 20 are joined to the coupling ends 22 of the main frames 20 in a zigzag manner, the twist of the main frame 20 can be prevented, and the coupling state can be remarkably reinforced do. This is for stably supporting the heavy battery module 40.

연결 프레임(50)은, 보강 프레임부(30)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 두 쌍의 메인 프레임(20)들을 지지부(24) 상,하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두 쌍의 메인 프레임(20) 사이에 배터리 모듈(4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에 각각 체결단(52)이 각각 형성되어 제3 측면(24D)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 결합공(24F)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이다. The connection frame 50 is constructed such that two pairs of main frames 20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the reinforcing frame portion 3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portion 24 on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battery module 4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end 52 at both ends thereof and is fastened to the third side face 24D with bolts .

이러한 연결 프레임(50)의 단면도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Sectional view of this connection frame 50. [
Figure pat00003
Quot; shape and has sufficient strength.

안착 브라켓(60)은, 배터리 모듈(40)이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 "┗"자로 절곡된 소정 길이(양쪽 메인 프레임의 제1 측면 사이의 거리 또는 제2 측면 사이의 거리)의 몸체 양단에 걸림단(62)이 배면 하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몸체의 한 쪽 변에는 배터리 모듈(4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64)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걸림단(62)들은 걸림공(24C)의 상부로 삽입되어 하향으로 이동한 후 걸리도록 안착단(64)과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후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seating bracket 60 is provided for seating the battery module 40 a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mechanism for latching both ends of the body of a predetermined length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s of the two main frames o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s) And a mounting end 64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uch that the mounting end 64 is bent horizontally. The latching ends 62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ing hole 24C, bent down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ating end 64 so as to move downward, and then protrude downward.

그리고, 안착단(64)에는 안착되는 배터리 모듈(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나 이탈방지공와 같은 이탈방지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detachment prevent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detachment protrusion or a detachment prevention hol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module 40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terminal 64 may be respectively formed.

이와 같은 안착 프레임(60)은,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양쪽 안착 프레임(60)의 각 안착단(64)이 같은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의 걸림단(62)이 서로 마주보는 각 지지부(24)의 제1 측면(24A) 또는 제2 측면(24B)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Such a seat frame 60 is formed by a pair of two so that the respective seating ends 64 of the seating frames 60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so that the respective supporting ends 62 The first side surface 24A or the second side surface 24B.

이와 같이 배터리 모듈(40)이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60)의 장착구조를 걸림단(62)이 걸림공(24C)에 삽입되어 걸리는 것만으로 장착되도록 한 것은 안착 프레임(6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eat frame 60 on which the battery module 40 is seated is mounted with the latching end 62 inserted into the latching hole 24C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of the seat frame 60 .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0)의 하단부에는, 메인 프레임(20)이 안정되게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바닥 브라켓(70)이 결합된다. 1, a bottom bracket 7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20 to maintain the main frame 20 stably vertically erected.

이 바닥 브라켓(70)은, 바닥에 밀착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된 지지단(72)과, 지지단(72)들 사이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결합단(22)을 감사면서 볼트로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 결합단(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ottom bracket 70 is bent so as to face upward at a support end 72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middle portion between the support ends 72, And a pair of bracket coupling ends 74 that are coupled to the brackets 74a and 74b.

바닥 브라켓(70)은, 양쪽의 지지단(72) 사이로 각 메인 프레임(20)의 결합단(22)이 삽입된 상태로 볼트 체결되므로, 메인 프레임(20)은 메인 프레임(20)의 단면적보다 큰 지지단(72)에 의해 안정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랙 하우징(10)의 각 코너에서 기둥 역할을 하는 각 메인 프레임(20)의 하단부가 지지단(72)을 갖는 바닥 브라켓(70)과 결합되므로, 랙 하우징(10)은 안정된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main bracket 70 is bolted to the main bracket 70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ends 22 of the main frames 20 ar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ends 72 of the main bracket 70, And stably standing by the large supporting end 72 is maintained. That is, since the lower end of each main frame 20 serving as a pillar at each corner of the rack housing 10 is engaged with the bottom bracket 70 having the support end 72, the rack housing 10 is in a stable upright state .

이와 같이 구성된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rack housing 10 for a battery modul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4개의 메인 프레임(20)을 세워서 각각 배치하되, 쌍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20)들의 각 결합단(22)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배치한 후 서로 마주보는 메인 프레임(20)들을 상,하부 지지 프레임(32,34)을 이용하여 서로 일체화 되도록 결합하고, 각 보강 프레임(36)을 이용하여 서로 일체화된 메인 프레임(20)들의 결합상태를 보강한다. First, four main frames 20 are placed upright, and each of the coupling ends 22 of the pair of main frames 2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n, the main frames 20 facing each other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And the reinforcing frame 36 is used to reinforce the combined state of the main frames 20 integrat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과정으로 서로 일체화된 2 쌍의 메인 프레임(20)들의 상,하부를 각각의 연결 프레임(50)으로 연결한다. 즉, 각 연결 프레임(5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단(52)을 양쪽 메인 프레임(20)의 제3 측면(24D)에 형성된 연결 결합공(25F)에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wo pairs of main frames 20 integrated with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frame 50 in this manner. That is, the coupling ends 52 formed at the ends of the connecting frames 50 are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s 25F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s 24D of the main frames 20 by bolts.

각 연결 프레임(50) 양단의 체결단(52)이 메인 프레임(20)의 상단과 하단의 지지부(24)에 결합되므로, 쌍을 이루는 양쪽 메인 프레임(320)이 거리를 유지하여 결합된다. 이 과정으로 메인 프레임(20)들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40)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coupling ends 52 at both ends of each connection frame 50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rtions 24 of the main frame 20 so that the pair of main frames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In this proces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module 40 is formed between the main frames 20 as shown in FIG.

이때, 메인 프레임(20)의 한쪽에는 결합공(22A)을 구비한 결합단(22)이 형성되고, 지지부(24)에는 걸림공(24C)과 연결 결합공(24F)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구성요소가 없어도 연결 프레임(50)과, 상,하부 지지 프레임(32,34) 및 보강 프레임(36)이 직접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a coupling end 22 having a coupling hole 2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20, and a coupling hole 24C and a coupling hole 24F are formed in the supporting portion 24, The connecting frame 50,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frames 32 and 34, and the reinforcing frame 36 can b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양쪽 결합단(22)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걸림공(24C)에 안착 브라켓(60)의 걸림단(62)을 걸어 각각의 안착 브라켓(60)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같은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한다. 즉, 각 걸림단(62)을 걸림공(24C)의 넓은 상부 영역으로 삽입한 후 하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단(62)이 걸림공(24C)의 좁은 하부 영역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걸림단(6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걸림공(24C)의 하부 영역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brackets 60 of the seating brackets 60 are engaged with the holding holes 24C formed on the both ends of the coupling ends 22 so as to face each other, Let's face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That is, each of the latching ends 62 is inserted into a wide upper region of the latching hole 24C and then moved downward so that the latching end 62 is caught in the narrow lower region of the latching hole 24C. At this time, since the latching end 62 is formed in the shape of '┓' as shown in FIG. 1, the downwardly protruding portion is caught in the lower region of the latching hole 24C.

각각의 안착 브라켓(60)이 각 걸림공(24C)에 걸려 설치되면, 각 메인 프레임(20)의 하단부에 바닥 브라켓(70)을 결합시켜 랙 하우징(10) 자체가 안정된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When the respective seating brackets 60 are hung on the respective holding holes 24C, the floor brackets 70 are engaged with the lower ends of the main frames 20 so that the rack housing 10 itself maintains a stable upright state .

전술한 과정으로 각각의 안착 브라켓(60)이 각 걸림공(24C)에 걸려 설치되면, 양쪽의 안착 브라켓(60) 사이에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므로, 배터리 모듈(40)을 양쪽 안착단(64)에 안착시킴으로써, 배터리 모듈(40)은 안정된 수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단(64)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에 의해 안착단(64)에 안착된 배터리 모듈(40)이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된 수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se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ating brackets 60 when the seating brackets 60 are hung on the respective holding holes 24C so that the battery module 4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eating ends 64, The battery module 40 maintains a stable storage stat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attery module 40,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end 64 by the release preventing means provided on the seating end 64, is kept in a stowed state while being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랙 하우징(10)의 기둥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2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결합공(22A)이 형성된 결합단(22)과 다중 절곡되어 강도가 보강되고 연결 결합공(24F) 및 걸림공(24C)이 형성된 지지부(24)로 구성됨으로써, 각 메인 프레임(20)과 연결 프레임(50) 및 보강 프레임부(30)가 직접 결합되고, 안착 브라켓(60)이 메인 프레임(20)에 직접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각 메인 프레임(20)을 연결하고 결합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나, 안착 브라켓(60)을 설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게 되어 렉 하우징(10)의 구성 부품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ain frames 20 constituting the pillars of the rack housing 10 are paired with the coupling ends 22 formed with the coupling holes 22A, so that the strength is reinforced and the coupling holes The main frame 20 and the connecting frame 50 and the reinforcing frame portion 30 ar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mounting bracket 6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 So that additional components for connecting and joining the main frames 20 and additional components for installing the seating brackets 60 become unnecessary,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is remarkably reduced.

또한, 각 메인 프레임(20)의 하단부에 바닥 브라켓(70)이 각각 결합됨으로서, 렉 하우징(10)의 직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bottom bracket 7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each main frame 20, so that the upright state of the rack housing 10 can be stably maintain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렉 하우징 20 : 메인 프레임
22 : 결합단 22A : 결합공
24 : 지지부
24A : 제1 측면 24B : 제2 측면
24C : 걸림공 24D : 제2 측면
24E : 보강부 24F : 연결 결합공
30 : 보강 프레임부 32,34 : 상,하부 지지 프레임
36 : 보강 프레임 40 : 배터리 모듈
50 : 연결 프레임 52 : 체결단
60 : 안착 브라켓 62 : 걸림단
64 : 안착단 70 : 바닥 브라켓
72 : 지지단 74 : 브라켓 결합단
10: Rack housing 20: Main frame
22: coupling end 22A: coupling ball
24:
24A: first side 24B: second side
24C: latching hole 24D: second side
24E: reinforced portion 24F: connecting joint ball
30: reinforcing frame parts 32, 34: upper and lower supporting frames
36: reinforcing frame 40: battery module
50: connection frame 52: fastening end
60: seating bracket 62:
64: seat 70: bottom bracket
72: supporting end 74: bracket connecting end

Claims (5)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이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은 구조가 되도록 다중 절곡되어 입구 양쪽에 한쌍의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의 일측에는 다각형의 지지부가 형성되며, 랙 하우징의 각 코너에서 서로 쌍을 이루어 상기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기둥 역할을 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
상기 입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메인 프레임이 쌍을 이루어 일체화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메인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서 양쪽의 결합단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지지 프레임에 의해 결합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결합단에 지그재그로 각각 결합되어 쌍을 이루는 양쪽 메인 프레임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 프레임으로 이루어는 보강 프레임부;
상기 보강 프레임부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 두 쌍의 메인 프레임의 지지부 상,하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두 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에 배터리 모듈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프레임; 및
양단에 걸림단을 구비하고, 한 쪽 변에는 배터리 모듈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안착단이 같은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의 걸림단이 서로 마주보는 각 상기 메인 프레임의 지지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다수개의 안착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
And a pair of coupling en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a polygonal support pa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end, A main frame arranged vertically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e corners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serving as a pillar;
An upper and a lower support frame, both ends of which are coupled to both ends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main frame facing each other such that the main frames are arranged in pairs so that the main frames facing each other face each other; A reinforcement frame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frames joined to the joint ends of the main frames coupled by the support frame in a zigzag manner to reinforce the pair of main frames;
A connecting frame for form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battery module between the two pairs of main frames, the connecting frame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two pairs of main frames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the reinforcing frame portion; And
The battery pack includes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module. The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module,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module. And a plurality of seating brackets fixed to the respective supporting portions of the main frames facing each other.
Rack housing for battery module of power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이 안정되게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바닥 브라켓이 결합되되,
상기 바닥 브라켓은,
바닥에 밀착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된 지지단; 및
상기 지지단 사이의 중간부에서 상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기 결합단에 볼트로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 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A bottom bracket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so as to maintain a stable vertical standing state,
The bottom bracket
A supporting end formed on both side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And a pair of bracket coupling ends bent upward to face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support ends and bolted to the coupling ends.
Rack housing for battery module of power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의 양쪽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1,2 측면에, 상기 안착 브라켓의 걸림단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상의 걸림공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단과 반대방향의 상기 지지부 한쪽에 형성되는 제3 측면에는, 보강부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양쪽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이 볼트로 결합되기 위한 연결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단에는 상기 상,하부 지지 프레임 및 보강 프레임이 볼트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eating bracket is inserted and engag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wide and the lower portion is narrow and the engagement holes are equally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on the third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portion.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ortion with coupling holes for the coupling frame to be engaged with the bolts, And,
Wherein the coupling end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holes for coupling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and the reinforcing frame by bolts are formed, respectively,
Rack housing for battery module of power storage un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지지 프레임과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단면은,
강도가 높도록 "
Figure pat00004
"형상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pper and lower support frames,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High intensity "
Figure pat00004
"Shaped < / RTI >
Rack housing for battery module of power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롤 포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frame is manufactured by roll forming.
Rack housing for battery module of power storage unit.


KR1020150032690A 2015-03-09 2015-03-09 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 KR101720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90A KR101720278B1 (en) 2015-03-09 2015-03-09 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690A KR101720278B1 (en) 2015-03-09 2015-03-09 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45A true KR20160109045A (en) 2016-09-21
KR101720278B1 KR101720278B1 (en) 2017-03-28

Family

ID=5708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690A KR101720278B1 (en) 2015-03-09 2015-03-09 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2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085A (en)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Energy storage system
WO2021060735A1 (en)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each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3825A (en) * 2022-08-16 2024-0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98A (en) * 1995-08-03 1997-02-1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Storage battery housing cubicle
JP2000090900A (en) * 1998-09-17 2000-03-31 Araco Corp Battery carrier of electric vehicle
JP2001516497A (en) * 1998-01-13 2001-09-25 パッソーニ パオロ エ フィグリ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Modular assemblable stand especially suitable for storage batteries, etc., provided with seismic holding means
US20020192543A1 (en) * 1998-11-17 2002-12-19 C&D Charter Holding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KR200452429Y1 (en) * 2009-09-10 2011-02-25 이종녕 support for absorbing pulse battery base
KR101255243B1 (en) 2011-04-15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64338B1 (en) 2011-07-14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98A (en) * 1995-08-03 1997-02-1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Storage battery housing cubicle
JP2001516497A (en) * 1998-01-13 2001-09-25 パッソーニ パオロ エ フィグリ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Modular assemblable stand especially suitable for storage batteries, etc., provided with seismic holding means
JP2000090900A (en) * 1998-09-17 2000-03-31 Araco Corp Battery carrier of electric vehicle
US20020192543A1 (en) * 1998-11-17 2002-12-19 C&D Charter Holding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KR200452429Y1 (en) * 2009-09-10 2011-02-25 이종녕 support for absorbing pulse battery base
KR101255243B1 (en) 2011-04-15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264338B1 (en) 2011-07-14 2013-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085A (en)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Energy storage system
WO2021060735A1 (en)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each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278B1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278B1 (en) Rack housing for module battery of power storage system
CN103493241A (en) Battery storage apparatus and sub-storage apparatus used therein, and battery pack using same
KR20160024304A (en)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roge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50030889A1 (en) Power storage device
EP2827401B1 (en) Battery housing and power-storage device
JP2017073270A (en) Storage battery unit and storage battery housing device
US20150044512A1 (en) Power storage device
US20070042263A1 (en) Single cell module system
KR101850076B1 (en) A battery rack
CN202602331U (en) Charging battery rack
US20220285779A1 (en) Battery rack having fixing frame and energy storage system
US20070018612A1 (en) Standalone bus bar kit system
CN114614185A (en) Energy storage frame and battery cluster
US20050281002A1 (en) Battery storage system
CN218039518U (en) Modular assembly type energy storage battery cluster support and energy storage battery system
CN219498051U (en) Stacked energy storage battery
JP7041812B2 (en) Battery pack fixing device
CN219086132U (en) Stacked energy storage power supply
CN208446982U (en) A kind of column for supporting card base and being adapted to the support card base
CN211860867U (en) Frame and detachable electrical equipment assembly suitable for plateau environment
CN211210145U (en) Base of energy storage cabinet and energy storage cabinet
CN217035857U (en) Energy storage frame and battery cluster
CN213753527U (en) Fixed partition cabinet
CN107994159A (en) Battery modules
KR102146002B1 (en) A earthquake-proof battery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