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974A - Assembled block structure and unlocking tool - Google Patents

Assembled block structure and unlock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974A
KR20160105974A KR1020167020939A KR20167020939A KR20160105974A KR 20160105974 A KR20160105974 A KR 20160105974A KR 1020167020939 A KR1020167020939 A KR 1020167020939A KR 20167020939 A KR20167020939 A KR 20167020939A KR 20160105974 A KR20160105974 A KR 20160105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ss
portions
support blo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4646B1 (en
Inventor
히데아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고 푸라스팃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고 푸라스팃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고 푸라스팃쿠
Publication of KR2016010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15Stackable frames, or frame elements, with upright parts connected by inserting the ends or tips of the uprights, e.g. at the corners, into the uprights of the next frame or frame element, e.g. coaxial tubula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7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6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snap-a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bayone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조립한 블록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조립식 블록 구조 (10) 는, 복수개의 봉상 부재 (40) 로 구성하는 횡프레임 (14) 과, 상기 횡프레임 (14) 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 블록 (20) 을 상하로 연결하여 형성한 지지 프레임 (13) 을 구비한다. 지지 블록 (20) 은,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 (41) 에 걸어맞춰 봉상 부재 (40) 를 지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지지용 절결부 (23) 와,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를 삽입 가능한 수입용 절결부 (26) 를 구비한다. 복수의 지지용 절결부 (23) 를 지지 블록 (20) 의 횡방향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각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장부부 (42) 를 형성하고, 지지용 절결부 (23) 에 형성한 도브테일 홈 (24) 에, 상기 장부부 (42) 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한다.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includes a transverse frame 14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od-shaped members 40 and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0 connected up and down to support the transverse frame 14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upport frame (13) formed thereon. The support block 20 includes a support cutout portion 23 having an engagement portion which engages the end portion 41 in a state where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 member 40 is inserted and supports the rod- And an import cut-out portion 26 into which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shaped member 40 can be inserted. A plurality of support cutouts (23)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20). A long portion 4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end portion 41 of each rod member 4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dovetail groove 24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23 has the long portion 42 So as to be insertable.

Description

조립식 블록 구조 및 로크 해제구{ASSEMBLED BLOCK STRUCTURE AND UNLOCKING TOOL}ASSEMBLED BLOCK STRUCTURE AND UNLOCKING TOOL [0002]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구조 및 로크 해제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and an unlocking opening.

특허문헌 1 에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조립식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선반은, 복수의 지지 블록을 조합함으로써, 나사나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선반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선반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각 봉상 부재의 각 단부 (端部) 를,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수입용 (受入用) 절결부에 삽입한 후, 하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지지용 절결부에 걸어맞춰 용이하게 조립식 선반을 조립할 수 있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prefabricated lathe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 The assembly type shelf can form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shelf portion without using screws or nut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Further, after each end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r-shaped members constituting the shelf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for receiving the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assembled shelf easily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일본 특허 제5235789호Japanese Patent No. 5235789

특허문헌 1 의 기술에서는, 부재가 봉상 부재나 지지 블록이므로 분해 상태에서 곤포 (梱包) 하면, 컴팩트화할 수 있어, 운반이나 수납에 편리하다. 또 조립이 용이함과 함께, 사용 목적에 맞춰 폭이나 높이 등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나아가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개선점이 있었다.In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member is a rod-like member or a support block, it can be compacted when it is packed in a disassembled state, which is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In addi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the width, height, and the like can be easi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se. However, there has been an improvement to use more effectively.

예를 들어, 선반부를 형성하는 봉상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가, 지지용 절결부에 형성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구성이지만, 봉상 부재의 단부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각설 (刻設) 된 홈부이므로, 강도적으로 약해져 버린다.For example, th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end portion of the rod-shaped member forming the shelf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support notch, but the rod- ), The strength becomes weak.

또한, 복수의 지지 블록을 상하로 연결할 때, 각 지주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폴부가 각 지주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한 폴 수용 홈에 걸어맞추는 구조이다. 그러나, 각 폴부와 각 폴 수용 홈은, 지지 블록을 상하로 연결할 때에 걸리지만, 분해할 때에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걸림대 (代) (걸어맞춤대) 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각 폴부와 각 폴 수용 홈의 위치 관계는 미묘한 조정을 필요로 한다. 또, 사용 빈도가 많아지면, 각 폴부와 각 폴 수용 홈이 마모되기 때문에 연결 정도를 강하게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 조립한 지지 블록을 분해할 때, 걸어맞추어져 있는 각 폴부와 각 폴 수용 홈을 해제하는 것이 그다지 간단하지 않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are vertically connected, a pole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r an upper portion of each support portion, and each of the pole portions is engaged with a pole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each support. However, each of the pawl portions and each of the pole receiving grooves is caught when the support block is vertically connected, bu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awl (engaging pawl) smaller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remove the support block. Therefor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ch pole portion and each pole receiving groove requires a subtle adjustment. Further, as the frequency of use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to increase the degree of connection because each of the pole portions and each of the pole receiving grooves wears off. In addition, when disassembling the assembled support block, it is not so simple to release each of the pawl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each of the pole receiving grooves.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립한 블록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조립한 블록 구조를 분해하는 것이 용이한 조립식 블록 구조 및 로크 해제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and a lock releasing portion that are easy to disassemble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and improve the strength of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봉상 부재로 구성하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 블록을 상하로 연결하여 형성한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봉상 부재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에 걸어맞춰 상기 봉상 부재를 지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지지용 절결부와, 상기 봉상 부재의 단부를 삽입 가능한 수입용 절결부를 구비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지지용 절결부를 지지 블록의 횡방향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복수의 상기 수입용 절결부를 지지 블록의 횡방향의 하부에, 상기 각 지지용 절결부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조립식 블록 구조로서, 상기 각 봉상 부재의 단부에 형성한 피걸어맞춤부가, 상기 지지용 절결부에 형성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구성이고, 상기 피걸어맞춤부가, 상기 봉상 부재의 단부에 형성한 장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지지용 절결부에 상기 장부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한 도브테일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ransverse fram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rod-like members, and a support frame formed by vert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for supporting the transverse frame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support block includes a support notch portion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r-shaped member by engaging the end portion of the bar-shaped member while the end portion of the bar-shaped member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cutout portion for inserting the end portion of the bar- And a plurality of the support cutout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a plurality of the cutouts for import are arranged at a lower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form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bar-shaped members, And the to-be-engaged portion is a dovetail groove formed in the end portion of the rod-shaped member, and the engagement portion is a dovetail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cut- To provide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상기 지지 블록은,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보스부를 구비함과 함께, 하부에 보스용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스부가,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하부에 구비한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보스용 구멍부가, 하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보스부를 삽입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보스부의 둘레면에 폴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용 구멍부에, 상기 폴부와 걸어맞추는 폴 수용부를 구비한 로크용 구멍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block includes a boss portion extending upwardly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hole portion for a boss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e boss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a boss hole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side Wherein the hole for the boss has a structure capable of inserting a boss portion extending upwardly on an upper portion of a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lower side, a pole portion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ck hole portion having a pole accommodating portion to be fitted is formed.

상기 폴부는, 상기 보스부를 상기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하는 방향의 반대를 향하여 서서히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wl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which is inclined so as to gradually protrude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of inserting the boss portion into the bore hole portion.

상기 지지 블록은,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측면에, 복수의 가새 고정용 구멍을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lo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racing fixing hol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sid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지지 블록에 있어서의 상기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한 장착용 보스부를 갖는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용 보스부의 둘레면에, 상기 보스용 구멍부의 폴 수용부에 걸어맞추는 폴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caster having a mounting boss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oss hol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a pol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 of the boss hole portion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boss portion .

또, 본 발명은, 상기 어느 조립식 블록 구조에 있어서의 복수의 지지 블록을 상하로 연결할 때, 상기 지지 블록의 보스부를, 상측에 배치한 지지 블록의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하고, 상기 보스부의 둘레면에 형성한 폴부가 상기 보스용 구멍부의 로크용 구멍부의 폴 수용부에 걸어맞춘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상태를 언로크하기 위한 로크 해제구로서, 상기 로크용 구멍부에 삽입하여 상기 폴부의 외면에 구비한 경사부에 접촉시키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 상기 폴부의 경사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접촉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해제구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in the above-described block type block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ss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is inserted into the boss hol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side, Wherein the lock portion is a lock releasing portion for unlocking the lock state in a lock state in which a pawl formed on a face of the boss is engaged with a pawl accommodating portion of a lock hole portion of the bore hole, And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inclined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wherein a contact inclined portion which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law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ntact portion.

로크 해제구는, 만곡 형성한 유지부 본체를 구비하고, 2 개의 상기 접촉부를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유지부 본체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nlocking opening has a curved retaining portion main body and the two contact portions are arranged in the retaining portion main body so as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 블록을 조합함으로써, 나사나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소정 높이의 지지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지지 블록의 상부에 구비한 보스부를,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의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한다. 보스부의 폴부가 대응하는 보스용 구멍부의 로크용 구멍부에 삽입하여 폴 수용부에 걸어맞춰 간단하게 로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upport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ithout using screws or nut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At this time, the boss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is inserted into the boss hol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e boss can be easily locked by engaging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 by inserting the corresponding boss portion into the boss hol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boss hole portion.

또, 횡프레임은 봉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봉상 부재의 각 단부의 장부부를, 각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수입용 절결부에 삽입한 후, 하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지지용 절결부에 이동시켜 도브테일 홈에 걸어맞추게 하면 용이하게 횡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브테일 홈 및 장부부는, 단순한 걸어맞춤편 (片) 이나 홈부에 비해, 지지용 절결부의 걸어맞춤부 및 봉상 부재의 단부에 있어서 강도적으로 강해져, 횡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verse frame is made of a rod-shaped member, and a long portion of each end of each of the rod-like members is inserted into an import cutout portion of a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side constituting each support frame, The transverse frame can be easily formed by engaging with the dovetail groove. In addition, the dovetail groove and the shoulder portion are stronger 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cutout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bar-like member than the simple engagement piece and the groove p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can be improved.

또, 폴부의 외면에 경사부를 형성했으므로, 보스부를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할 때에 폴부가 자동적으로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되어, 로크용 구멍부의 폴 수용부에 걸어맞춰 간단하게 로크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inclin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wl portion, when the boss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 boss, the pawl portion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hole for the boss and can be locked simply by engaging with the pawl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lock hole portion.

또, 2 개의 가새를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교차시켜 고정시키고, 2 개의 가새의 양단을 조립식 블록 구조의 배면에 장착할 때, 조립식 블록 구조에 있어서의 지지 블록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측면에 횡방향으로 배치한, 복수의 가새 고정용 구멍 중 어느 것에 맞춰 물림쇠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2 개의 가새는 자유도를 가지고 가새 고정용 구멍에 적절히 맞출 수 있어, 작업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When the two braces are fix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fixed and both ends of the two braces are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The claws are inserted and fixed in accordance with any of a plurality of bracing fastening holes arranged in the direction. The two bracings can be properly fitted to the bracing fixing holes with a degree of freedom,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 조립식 블록 구조에 있어서의 최하의 지지 블록의 보스용 구멍부에, 캐스터를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동식의 조립식 블록 구조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a castor into the boss hole portion of the lowermost support block in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make a movable assembled block structure.

또, 본 발명의 로크 해제구에 의하면, 조립식 블록 구조에 있어서의 복수의 지지 블록끼리를 연결한 로크 상태, 혹은 캐스터를 지지 블록에 연결한 로크 상태를 용이하게 언로크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unlock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unlock the lock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or the lock state in which the caste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lock.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립식 블록 구조로서 이동식 랙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립식 블록 구조로서 조립식 선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조립식 블록 구조에서 사용한 지지 블록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의 (a) ∼ (d) 는, 지지 블록끼리를 연결, 혹은 지지 블록과 캐스터를 연결할 때의 로크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5 의 (a) 는, 도 1 의 이동식 랙에서 사용한 지지 블록의 하측에서 본 도면이고, 캐스터의 보스부를 장착한 단면도이다. (b) 는, 캐스터의 보스부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및 도 2 의 조립식 블록 구조에서 사용한 봉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로크 해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의 (a) ∼ (c) 는, 로크 해제구를 사용하여, 지지 블록끼리의 연결 혹은 지지 블록과 캐스터의 연결을 언로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립식 블록 구조로서 조립식 선반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 의 (a) 는, 지지 블록에 있어서의 복수의 가새 고정용 구멍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b) 는, 가새의 평면도이다. (c) 는, 물림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립식 블록 구조로서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2 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보스부를 구비한 지지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a) 는 사시도, (b) 는 평면도, (c) 는 정면도, (d) 는 좌측면도, (e) 는 저면도, (f) 는 (c) 의 A-A 단면도, (g) 는 (c) 의 B-B 단면도, (h) 는 우측면도, (i) 는 (g) 의 E 부 확대도이다.
도 13 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보스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최상부 배치용의 지지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a) 는 사시도, (b) 는 평면도, (c) 는 정면도, (d) 는 좌측면도, (e) 는 저면도, (f) 는 (c) 의 A-A 단면도, (g) 는 (c) 의 B-B 단면도, (h) 는 우측면도이다.
도 14 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로크 해제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a) 는 사시도, (b) 는 평면도, (c) 는 정면도, (d) 는 저면도, (e) 는 (c) 의 A-A 단면도, (f) 는 우측면도, (g) 는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mobile rack as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prefabricated shelf as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ing block used in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of Figs. 1 and 2 and a state of assembling. Fig.
4 (a) to 4 (d)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locking operation when connecting the support blocks or connect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caster.
Fig. 5 (a) is a bottom view of the support block used in the mobile rack of Fig. 1,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ters with the bosses mounted thereon. Fig.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ss portion of the caste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r-shaped member used in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of Figs. 1 and 2.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 releas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to 8C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unlocking the connection of the support blocks or the connec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the caster by using the unlocking tool.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helf as viewed from the rear, as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lurality of bracing holes in the support block. (b) is a plan view of the brace.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ple.
11 is a rear view of a prefabricated shelf as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plan view, (c) is a front view, (d) is a left side view, and (e)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 block having a boss portion used in the embodiment. Fig. (G) is a BB sectional view (c), (h) is a right side view, and (i) is an enlarged view of an E part of (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Fig. 13 (b) is a plan view, Fig. 13 (c) is a front view, and Fig. 13 (F) is an AA sectional view of (c), (g) is a BB sectional view of (c), and (h) is a right side view.
(C) is a front view, (d) is a bottom view, and (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releasing tool used in the embodiment.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F) is a right side view, and (g) is a rear view.

이하,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조립식 블록 구조 (10) 인 이동식 랙 (11)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조립식 블록 구조 (10) 인 조립식 선반 (12) 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어느 조립식 블록 구조 (10) 도, 지지 프레임 (13) 과 횡프레임 (14)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obile rack 11, which is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assembled shelf 12 which is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s 10 is constituted by a support frame 13 and a transverse frame 14.

지지 프레임 (13) 은, 복수의 지지 블록 (20) 을 조합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예에서는, 지지 블록 (20) 을 복수개 상하 방향으로 겹쳐 쌓아 하나의 지지 프레임 (13) 을 형성하고 있다.The support frame 13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0.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0 are piled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one support frame 13. Fig.

지지 블록 (20) 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지주부 (21), 격벽부 (22), 지지용 절결부 (23), 수입용 절결부 (26) 를 가지고 있다. 지주부 (21) 는, 지지 블록 (2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지주부 (21) 는, 수 ㎝ 내지 수십 ㎝ 정도의 높이이고, 단면 대략 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단면 형상 등은 임의이며, 대략 원형 등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지지 블록 (20) 의 경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6 개의 지주부 (21) 중, 일단에 위치하는 지주부 (21a) 는, 단면 대략 방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에 위치하는 지주부 (21b) 는, 단면 대략 반타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각 지주부 (21) 를 구성하는 측면 (21c) 은 가능한 한 하단 가장자리 가까운 곳까지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강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바람직하다.3, the support block 20 includes a support portion 21, a partition wall portion 22, a support cutout portion 23, an import cutout portion 26, Lt; / RTI >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2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20).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21 has a height of about several centimeters to several tens of centimeters and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in cross s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upport block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six support portions 2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block 20 is located at one end The main portion 21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21b located at the other end is formed in a roughly semi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ide surface 21c constituting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21 so as to be locat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bottom edge,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격벽부 (22) 는, 지지 블록 (20) 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근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지주부 (21, 21)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지주부 (21, 21) 사이에 있어서, 격벽부 (22) 를 사이에 둔 상하에 2 개의 절결부 (지지용 절결부 (23), 수입용 절결부 (26)) 가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portion 22 is formed so as to extend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21 and 21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near the center of the support block 20 in the height direction. As a result, two cutouts (support cutouts 23, import cutouts 26)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between the adjoining support members 21, 21 with the partition wall 22 therebetween do.

지지용 절결부 (23) 는, 격벽부 (22) 의 상부에 형성된 상면 개구의 절결이고, 후술하는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가 들어가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용 절결부 (23) 의 내측면은, 후술하는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상기 피걸어맞춤부는,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에 형성한 장부부 (42) 이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장부부 (42) 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한 도브테일 홈 (24) 이다.The support notch 23 is a notch of the upper surfac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22 and is formed to have a size such that the end portion 41 of the later described bar-shaped member 40 is inserte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cutout portion 23 is formed with an engagement portion for engaging with a to-be-engaged portion formed on the end portion 41 of the later-described rod-like member 40. The to-be-engaged portion is a long portion 42 formed on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shaped member 40,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engaging portion is a dovetail groove 24 in which the long portion 42 is insertable.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지주부 (21) 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벽 (25) 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용 절결부 (23) 는, 상기 연결벽 (25) 을 사이에 둔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지지용 절결부 (23) 에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가 삽입되는 삽입 길이는, 지주부 (21) 의 두께로부터 연결벽 (25) 의 두께를 뺀 것의 대략 반에 상당하는 길이가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nnection wall 25 connecting the intermediate port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21 is formed. The support cut-out portion 23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walls 25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ertion length at which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 member 4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support cutouts 23 is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wall 25 from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21 It is about half the length of things.

수입용 절결부 (26) 는, 격벽부 (22) 의 하부에 형성된 하면 개구의 절결이고, 정면에서 봐서, 후술하는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를 삽입 가능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cutaway portion 26 for import is formed by cutting the bottom opening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22 and has an area where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 member 40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s viewed from the front.

지지 프레임 (13) 은, 복수개의 지지 블록 (20) 을 상하로 연접하여 형성한다. 그 때문에, 지지 블록 (20) 의 각 지주부 (21) 에 있어서의 상부 및 하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다른 지지 블록 (20) 의 각 지주부 (21) 의 하부 및 상부와 각각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지주부 (21) 의 상부의 외경을 하부의 내경보다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하로 지지 블록 (20) 을 연접하면,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20) 의 상부가,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20) 의 하부의 둘레벽 내에 끼워지게 된다.The support frame 13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0 vertical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ortions 20 of the support block 20 are respectively fittable with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portions 20 of the other support blocks 20 disposed up and down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1 is mad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Therefore, when the support block 20 is vertically connecte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lower side is fitted into the lower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20) 의 쓰러짐을 억제하기 위해, 지주부 (21) 중 어느 적어도 하나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지주부 (21a) 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보스부 (27a) 가,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a)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a) 에 삽입된다. 또한 길이 방향의 타단에 위치하는 지주부 (21b) 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보스부 (27b) 가,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b)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b) 에 삽입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 (13) 의 상단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20) 중, 가장 상부에 배치 형성되는 것 (도 1 에 나타낸 부호 20A 의 지지 블록) 은, 미관상,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부 (27a, 27b) 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uppress the collapse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s 2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20 is formed so as to extend upward in the support portion 21a locat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ormed boss portion 27a is inserted into the boss hole portion 33a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 portion 21a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 boss portion 27b formed to extend upward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21b locat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ss portion 21b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support portion 20b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33b. In addition, among the support blocks 2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3, the support blocks 20 arrang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he support block 20A shown in Fig. 1) are aesthetically shaped, for example, Likewise, it is preferable to use those that do not have the boss portions 27a and 27b.

여기서, 보스부 (27a, 27b) 를 구비한 지지 블록 (20) 과, 보스부 (27a, 27b) 를 구비하지 않은 최상부에 배치 형성되는 지지 블록 (20A) 의 외관 구성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12 의 (a) ∼ (i) 에 전자의 지지 블록 (20) 의 전체 구성을, 도 13 의 (a) ∼ (h) 에 후자의 지지 블록 (20A) 의 전체 구성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Here, in order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block 20 provided with the bosses 27a and 27b and the support block 20A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without the bosses 27a and 27b, 12A to 12I illustrat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electron support block 20 and FIGS. 13A to 13H refer to the entire structure of the latter support block 20A. Respectively.

보스부 (27a) 는 중공의 단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벽면에는, 폴부 (28a, 28b)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부 (28a, 28b) 가, 보스부 (27a) 의 정면측과 배면측에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boss portion 27a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hollow, and the pole portions 28a and 28b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surf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are disposed at positions substantially opposed to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boss portion 27a.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의 일부에 역 U 자형의 절결을 형성하고, 역 U 자형의 절결의 내측편이 탄력성을 갖는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이 된다.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은, 하부가 보스부 (27a) 의 둘레벽과 일체이고, 상부가 내측이나 외측으로 휘어지는 스프링성을 갖는 것이 된다.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의 상단부의 외측에는 상기 폴부 (28a, 28b) 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폴부 (28a, 28b) 를 내측을 향하여 가압하면,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에 의해, 폴부 (28a, 28b) 를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an inverted U-shaped notch is formed in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inside piece of the inverted U-shaped notch becomes the spring piece 29a, 29b for the pawl portion having elasticity. The spring pieces 29a and 29b for the pawl portion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eripheral wall of the boss portion 27a and have a spring property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bent inward or outward. The pawl portions (28a, 28b)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spring pieces (29a, 29b) for the pawl portion. Therefore, when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are pressed inward, an elastic forc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outward is generated by the claw portions 29a and 29b for claw portions.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부 (28a, 28b) 는, 보스부 (27a) 의 둘레벽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보스부 (27a) 를 보스용 구멍부 (33a) 에 삽입하는 방향에 대해, 그 반대인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돌출되는 방향으로 아래쪽 부분이 퍼지게 경사지도록, 그 폴부 (28a, 28b) 의 외면에 경사부 (31a, 31b) 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protrude outward from the peripheral wal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27a,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ss portion 27a is inserted into the boss hole portion 33a is opposite The inclined portions 31a and 31b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pawl portions 28a and 28b such that the lower portion is inclined so as to sprea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wl portions 28a and 28b gradually protrude toward the lower portion.

한편,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a)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a) 는, 상기 폴부 (28a, 28b) 와 걸어맞추는 폴 수용부 (35a, 35b) 를 구비한 로크용 구멍부 (34a, 34b) 를 형성하고 있다. 요컨대,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의 하반원 (下半圓) 의 부분이 폴 수용부 (35a, 35b) 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로크용 구멍부 (34a, 34b) 가, 보스용 구멍부 (33a) 의 정면측과 배면측에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ss hole portion 33a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 portion 20a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provided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for engaging with the pole portions 28a and 28b Thereby forming one lock hole portion 34a, 34b. That is, the portions of the lower half circle of the lock hole portions 34a and 34b become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 holes 34a and 34b are disposed at positions substantially opposed to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boss hole portion 33a.

따라서, 상하로 지지 블록 (20) 을 연접할 때, 하측의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a, 21b) 의 보스부 (27a, 27b) 가, 상측의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a, 21b) 가 대응하는 보스용 구멍부 (33a, 33b) 에 삽입된다. 지주부 (21a, 21b) 의 구조는, 거의 동일하므로, 지주부 (21a)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boss portions 27a and 27b of the support portions 20a and 21b of the lower support block 20 are engaged with the support portions 20 of the upper support block 20 21a, 21b a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boss hole portions 33a, 33b. Since the structures of the support portions 21a and 21b are almost the same, the support portion 21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측의 지지 블록 (20) 의 보스부 (27a) 의 폴부 (28a, 28b) 는,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지지 블록 (20) 의 보스용 구멍부 (33a) 의 내주의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삽입하면, 도 4 의 (b),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용 구멍부 (33a) 의 단가장자리가, 보스부 (27a) 의 폴부 (28a, 28b) 의 경사부 (31a, 31b) 를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가압한다. 더 삽입하면, 도 4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의 외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보스부 (27a) 의 폴부 (28a, 28b) 가 대응하는 보스용 구멍부 (33a) 의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에 삽입되어 폴 수용부 (35a, 35b) 에 걸어맞춰진다.The pawl portions 28a and 28b of the boss portion 27a of the lower support block 20 are form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ss hole portion 33a of the upper support block 20 As shown in Fig. The end edge of the hole 33a for the boss is tilted by the inclined portions 31a and 31b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of the boss 27a as shown in Figures 4 (b) and 4 (c) Is urged inwar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ieces 29a, 29b for the pawl part. The fulcrum portions 28a and 28b of the boss portion 27a are pressed against the corresponding boss holes 29a and 29b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ieces 29a and 29b for the pole portions,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s 34a and 34b of the locking portion 33a and engaged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또한, 보스부 (27b) 는, 전술한 보스부 (27a) 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컨대, 폴부 (28a, 28b) 를 구비한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을 갖는다. 또,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b)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b) 는, 전술한 보스용 구멍부 (33a) 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컨대, 폴 수용부 (35a, 35b) 를 구비한 로크용 구멍부 (34a, 34b) 를 갖는다.Since the boss portion 27b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oss portion 27a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n short, it has spring portions 29a and 29b for the pawl portion including the pawl portions 28a and 28b. The boss hole portion 33b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support portion 20b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boss hole portion 33a described above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n other words, it has lock hole portions 34a and 34b provided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따라서, 상하로 지지 블록 (20) 을 연접하면, 보스부 (27a) 의 폴부 (28a, 28b) 가 대응하는 보스용 구멍부 (33a) 의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의 폴 수용부 (35a, 35b) 에 걸어맞춰진다. 또, 보스부 (27b) 의 폴부 (28a, 28b) 도 대응하는 보스용 구멍부 (33b) 의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의 폴 수용부 (35a, 35b) 에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상하의 지지 블록 (20) 의 연결 정도를 한층 높일 수 있으므로, 지지 블록 (20) 의 쓰러짐 억제 기능이 향상된다.Therefore, wh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lock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law portions 28a, 28b of the boss portion 27a are engaged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4a, 34b of the locking holes 34a, 34b of the corresponding boss hole portion 33a 35a, 35b.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of the boss portion 27b also engage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of the corresponding locking hole portions 34a and 34b of the boss hole portion 33b. As a result, since the degree of conn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locks 20 can be further increased, the fall-down suppressing function of the support block 20 is improved.

도 1 및 도 3 에 나타낸 양태에서는, 지지 프레임 (13) 의 최하부의 지지 블록 (20) 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위치하는 지주부 (21a)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a) 와, 타단에 위치하는 지주부 (21b)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b) 에 캐스터 (50) 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캐스터 (50) 는, 도 5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용 구멍부 (33a, 33b)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삽입 가능한 장착용 보스부 (51) 를 구비하고 있다.1 and 3, the boss hole portion 33a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 portion 21a locat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most support block 20 of the support frame 13, The caster 50 is mounted on the hole 33b for the boss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peripheral portion 21b.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caster 5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boss portion 51 that can be inserted into any of the boss holes 33a and 33b.

최하부의 지지 블록 (20) 에 있어서,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주부 (21a) 의 단면 대략 방형상의 보스용 구멍부 (33a) 에는, 이웃하는 지주부 (21) 측에 위치하는 둘레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긴 2 개의 가이드 레일부 (36, 36) 를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보스용 구멍부 (33a) 에는, 2 개의 가이드 레일부 (36, 36) 의 둘레벽면과 대향하는 둘레벽면에, 2 개의 가이드 레일부 (37, 37) 를 돌출시키고 있다. 한편, 지주부 (21b) 의 단면 대략 반타원상의 보스용 구멍부 (33b) 에는, 이웃하는 지주부 (21) 측에 위치하는 둘레벽면에, 상기 보스용 구멍부 (33a) 와 동일한 상하 방향으로 긴 2 개의 가이드 레일부 (36, 36) 를 돌출시키고 있다.5 (a), in the boss hole portion 33a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1a, on the side of the adjacent support portion 21 Two guide rail portions 36, 36, which ar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truded. Two guide rail portions 37 and 37 protrude from the bore hole portion 33a on the peripheral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peripheral wall surface of the two guide rail portions 36 and 36. On the other hand, in the boss hole portion 33b on the approximately semi-elliptic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1b, the boss hole portion 33b is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surface located on the side of the adjacent support portion 21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hole portion 33a for the boss Two long guide rail portions 36 and 36 are projected.

캐스터 (50) 의 장착용 보스부 (51) 는, 지주부 (21b) 의 단면 대략 반타원상의 보스용 구멍부 (33b) 에 삽입 가능한 단면 대략 반타원상으로 형성하고, 그 단면 대략 반타원상의 평면부에, 전술한 2 개의 가이드 레일부 (36, 36) 를 가이드하기 위한 2 개의 가이드 홈부 (52, 52)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대략 반타원상의 둘레면에는, 전술한 2 개의 가이드 레일부 (37, 37) 를 가이드하기 위한 2 개의 가이드 홈부 (53, 53) 를 형성하고 있다.The mounting boss portion 51 of the caster 50 is formed in a roughly half-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which is insertable into the boss hole portion 33b on the approximately half-elliptic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1b, Two guide groove portions 52 and 52 for guiding the above-described two guide rail portions 36 and 36 are formed. Two guide groove portions 53, 53 for guiding the two guide rail portions 37, 37 are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approximately semi-elliptical shape.

또한, 캐스터 (50) 의 장착용 보스부 (51) 는 중공의 단면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벽면에는, 전술한 보스부 (27a, 27b) 와 동일하게, 폴부 (28a, 28b) 를 구비한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을 형성하고 있다.The mounting boss portion 51 of the caster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section with a hollow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peripheral wall surface with the claw portions 27a and 27b having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And the spring pieces 29a and 29b for the pawl part are formed.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스부 (27a) 의 폴부 (28a, 28b) 와, 보스부 (27b) 의 폴부 (28a, 28b) 와, 장착용 보스부 (51) 의 폴부 (28a, 28b) 는, 위치 관계나 크기를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지주부 (21a)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a) 의 폴 수용부 (35a, 35b) 와, 지주부 (21b) 의 둘레벽 내의 보스용 구멍부 (33b) 의 폴 수용부 (35a, 35b) 는, 위치 관계나 크기를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캐스터 (50) 는, 지주부 (21a) 의 보스용 구멍부 (33a) 와, 지주부 (21b) 의 보스용 구멍부 (33b) 중 어느 것에도 간단하게 장착 가능해진다. 그 장착의 방법은, 도 4 의 (a) ∼ (d) 에 나타낸 지주부 (21a) 와 동일하다.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of the boss portion 27a and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of the boss portion 27b and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of the mounting boss portion 51 are located at positions The relationship and size are the same.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of the boss hole portion 33a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support portion 21a and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of the boss hole portion 33b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support portion 21b 35a and 35b have the same positional relationship and size. The caster 50 can be easily attached to either the boss hole portion 33a of the support portion 21a or the boss hole portion 33b of the support portion 21b. The mounting method is the same as that of the support portion 21a shown in Figs. 4 (a) to 4 (d).

횡프레임 (14) 은, 복수개의 봉상 부재 (40) 에 의해 형성된다. 봉상 부재 (40)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부 (41, 41) 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한 장부부 (42, 42)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장부부 (42) 는, 전술한 지지용 절결부 (23) 에 형성한 걸어맞춤부인 도브테일 홈 (24) 에 걸어맞추는 피걸어맞춤부로서 기능한다. 도브테일 홈 (24) 및 장부부 (42) 는, 단순한 걸어맞춤편이나 홈부에 비해, 지지용 절결부 (23) 의 걸어맞춤부 및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에 있어서 강도적으로 강해져, 횡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transverse frame 14 is formed by a plurality of rod-shaped members 40. As shown in Fig. 6, the rod-shaped member 40 is formed with side portions 42 and 4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s of the end portions 41 and 41, respectively. The holding portion 42 functions as a to-be-engaged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dovetail groove 24, which is an engagement portion formed in the support notch 23 described above. The dovetail groove 24 and the long portion 42 are made stronger at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upport cutout portion 23 and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 member 40 than the simple engagement piece or groove portion , The strength of the transverse frame can be improved.

또, 각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는, 수입용 절결부 (26) 의 각각을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지지용 절결부 (23) 에 걸어맞추는 단부 (41) 의 단면적이 이와 같은 조건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단부 (41) 이외의 부분의 단면적 (내지는 외경) 은 그것보다 커도 상관없다.The end portion 41 of each rod-shaped member 40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case where the cut-away portions 26 are viewed from the front. Howev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d portion 41 engaging with the support notch 23 should satisfy this conditio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r the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end portion 41 may be larger.

각 봉상 부재 (40) 는, 삼나무나 노송나무 등의 간벌재 (間伐材) 로 형성하면, 간벌재의 유효 이용이 도모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봉상 부재 (40) 의 재료가 간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목재 (제재 (製材) 의 단재 (端材) 등도 포함한다), 합성 수지, 금속제의 파이프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량화, 자원의 유효 이용, 비용의 관점을 종합하면, 상기와 같이 간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each rod-like member 40 is made of a thinning material such as cedar or cypress tree because the thinning material can be effectively used. However, the material of the rod-like member 40 is not limited to the thinning material. Other woods (including end materials of a material), synthetic resin, metal pipe materials, and the like may be used. However, in terms of weight reduction, effective use of resources, and cos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n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블록 (20) 을 상하로 연접해 간다. 이 때, 상기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 블록 (20) 의 보스부 (27a, 27b) 를,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 블록 (20) 의 양단의 지주부 (21a, 21b) 의 보스용 구멍부 (33a, 33b) 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4 의 (a) ∼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부 (21a) 에 있어서는, 보스부 (27a) 의 폴부 (28a, 28b) 가 대응하는 보스용 구멍부 (33a) 의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에 삽입하여 폴 수용부 (35a, 35b) 에 걸어맞춰 간단하게 로크된다. 지주부 (21b) 에 있어서도, 지주부 (21a) 와 동일하게 간단하게 로크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block 20 is connected vertically. At this time, the bosses 27a and 27b of the support block 20 located at the lower side as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into the hole portions for bosses 21a and 21b of the support portions 20 at both ends of the upper side support block 20 33a, 33b. 4 (a) to 4 (d), in the support portion 21a, the claw portions 28a, 28b of the boss portion 27a are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boss hole portions 33a for locking And inserted into the hole portions 34a and 34b to be engaged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to be easily locked. The retaining portion 21b is simply locked similarly to the retaining portion 21a.

이상과 같이, 간이한 구조의 지지 블록 (20) 을 사용하여, 나사나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소정 높이의 지지 프레임 (13) 이 형성된다. 또,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20) 의 지지용 절결부 (23) 와,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20) 의 수입용 절결부 (26) 가 상하로 연통되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구멍과 같이 된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support block 20 having a simple structure, the support frame 13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without using screws or nuts. The support cutout portions 23 of the support blocks 20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cutouts 26 for importing the support blocks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re vertical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t becomes like a hole as shown.

이어서, 소정 높이의 지지 프레임 (13) 을 2 개 대향 배치하고, 2 개의 지지 프레임 (13, 13) 사이에 봉상 부재 (40) 를 지지시킨다. 지지 프레임 (13) 은, 상하로 쌓아 올려진 지지 블록 (20, 20) 끼리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지지용 절결부 (23) 와 수입용 절결부 (26) 가 상하로 연통되어 있다. 그래서, 먼저,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를, 상측에 배치되는 지지 블록 (20) 의 수입용 절결부 (26) 에 삽입한다. 이 때, 수입용 절결부 (26) 의 정면에서 본 면적이,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의 단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봉상 부재 (40) 의 양단부 (41, 41) 를, 대향하는 수입용 절결부 (26, 26) 에 삽입한 후, 그대로 눌러, 각 단부 (41, 41) 의 장부부 (42, 42) 를 각각 지지용 절결부 (23, 23) 의 도브테일 홈 (24, 24) 에 걸어맞추게 한다. 이로써, 나사나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는 지지용 절결부 (23) 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된다. 봉상 부재 (40) 는, 깊이 방향으로 기호하는 개수를 배치하면, 소정폭의 횡프레임 (14) 이 형성된다.Next, two supporting frames 13 of a predetermined height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rod-shaped member 40 is supported between the two supporting frames 13, 13. The support frame 13 is vertically communicated with the support cutout portion 23 and the import cutout portion 26 i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blocks 20 and 20 as described above. Thus, first,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shaped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26 for import of the support block 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t this time, the area seen from the front face of the import cut-away portion 26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shaped member 40,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After the end portions 41 and 41 of the rod member 40 are inserted into the facing cutouts for import 26 and 26 and then the raw sheets 42 and 42 of the end portions 41 and 41 are pressed, 24 to the dovetail grooves 24, 24 of the support cutouts 23, 23, respectively. Thus,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shaped member 40 is reli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cutout portion 23 without using screws or nuts. When the number of the rod-shaped members 40 to be marked in the depth direction is arranged, a transverse frame 14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이상과 같이, 수입용 절결부 (26) 의 정면에서 본 면적이, 봉상 부재 (40) 의 단부 (41) 의 단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2 개의 지지 프레임 (13, 13) 사이에 다른 봉상 부재 (40) 가 몇 개가 이미 배치된 상태, 즉, 2 개의 지지 프레임 (13, 13) 사이의 대향 거리가 확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봉상 부재 (40) 를 임의의 지지용 절결부 (23) 에 삽입하거나, 혹은 삽입이 끝난 것을 취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횡프레임 (14) 을 형성하는 봉상 부재 (40) 의 배치, 제거의 자유도가 매우 높고, 사용자가 기호하는 크기, 형상의 조립식 블록 구조 (10) 가 얻어진다. 또, 지지 프레임 (13) 의 높이도, 지지 블록 (20) 의 연결수에 의해 임의의 높이로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ea seen from the front face of the importing cut-out portion 26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d portion 41 of the rod-shaped member 40, The rod-like member 40 is inserted into any of the support cutouts 23, or the other support frame 13, 13 is position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3, , Or that the insertion has been completed. Therefore, the assembly type block structure 10 having a very high degree of freedom in disposition and removal of the rod-shaped member 40 forming the transverse frame 14 and of a size and shape that the user likes is obtained.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13 can be set to any height by the number of connections of the support block 20.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낮은 높이의 이동식 랙 (11) 으로서 사용하거나, 보다 높게 설정하여,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책장으로서 사용하거나, 용도의 자유도가 매우 높다. 그 밖에, 텔레비전대, 짐 선반, 의자, 침대의 설치대 부분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부품의 최소 단위가 지지 블록 (20) 또는 봉상 부재 (40) 이기 때문에, 이들을 분해했을 때에는 매우 컴팩트화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수납에 편리하다.For this reason, for example, it is used as a movable rack 11 of a low height as shown in Fig. 1 or higher, and is used as a bookcase as shown in Fig. 2, or the degree of use is very high.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television stand, a baggage rack, a chair, a mounting table portion of a bed, and the like. Further, since the minimum unit of the components is the support block 20 or the rod-like member 40, they can be made very compact when they are disassembled, which is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또, 지지 블록 (20) 으로서, 길이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복수 종류 준비하거나, 혹은 봉상 부재 (40) 로서 길이가 상이한 것을 복수 종류 준비하거나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상 부재 (40) 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조립식 블록 구조 (10) 의 폭 (지지 프레임 (13, 13) 사이의 간격) 을 장소에 따라 상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식 블록 구조 (10) 의 용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또, 설치하는 방의 크기 등에 맞춰 여러 가지 어레인지할 수 있다.As the support block 20,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plurality of kinds of different length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o prepare a plurality of kinds of the rod-like members 40 having different length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by using different lengths of the rod-like members 40, the width of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frames 13, 13) So that the use of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can be further widened. In addition, various arrangement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room to be install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로크 해제구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lock releas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로크 해제구 (60) 는, 도 1 및 도 2 의 조립식 블록 구조 (10) 에 있어서의 복수의 지지 블록 (20, 20) 끼리를 연결한 로크 상태, 혹은 캐스터 (50) 를 지지 블록 (20) 에 연결한 로크 상태를, 언로크하기 위한 로크 해제구 (60) 이다.The unlocking tool 60 is in a locked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0 and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shown in Figs. To unlock the lock st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unlocking mechanism.

또한, 전술한 조립식 블록 구조 (10) 는, 전술한 설명과 같이, 복수의 지지 블록 (20) 을 상하로 연결할 때, 지지 블록 (20) 의 보스부 (27a, 27b) 를, 상측에 배치한 지지 블록 (20) 의 보스용 구멍부 (33a, 33b) 에 삽입한다. 상기 보스부 (27a, 27b) 의 둘레면에 형성한 각각의 폴부 (28a, 28b) 가 보스용 구멍부 (33a, 33b) 의 각각의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의 폴 수용부 (35a, 35b) 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로크 상태가 된다.The above-described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ss portions 27a and 27b of the support block 20 are arrang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0 are connected up and down as described above Into the hole portions 33a, 33b for the boss of the support block 20. The respective claw portions 28a and 28b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oss portions 27a and 27b are engaged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4b of the lock hole portions 34a and 34b of the boss hole portions 33a and 33b, , And 35b to be in the locked state.

로크 해제구 (60)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블록 (20) 의 폭방향의 양측면에서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평면에서 U 자 형상으로 만곡된 유지부 (61) 와, 상기 유지부 (61) 의 양 선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접촉부 (62a, 62b) 와, 상기 각 접촉부 (62a, 62b) 의 선단면에 형성한 접촉용 경사부 (63a, 63b) 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1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locking tool 60 includes a retaining portion 20, which is curved in a U-shape in a plane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both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20, (62a, 62b)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holding part (61), and contact slopes (63a, 63b) formed on the distal end surfaces of the respective contact parts (62a, 62b) .

상기 접촉부 (62a, 62b) 는, 예를 들어,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a) 의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에 삽입하여 폴부 (28a, 28b) 의 외면에 구비한 경사부 (31a, 31b) 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접촉용 경사부 (63a, 63b) 는, 접촉시키는 폴부 (28a, 28b) 의 경사부 (31a, 31b) 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반대 방향으로 경사」 란, 폴부 (28a, 28b) 의 경사부 (31a, 31b) 가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돌출되는 아래쪽 부분이 퍼지게 경사지는 데에 대해, 접촉용 경사부 (63a, 63b) 가, 상부가 가장 내방으로 돌출되고,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외방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도 8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부 (28a, 28b) 의 경사부 (31a, 31b) 와 접촉용 경사부 (63a, 63b) 끼리는,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면접촉하게 된다.The contact portions 62a and 62b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s 34a and 34b of the support portion 20a of the support block 20 so that the inclined portion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31a, 31b). The contact inclined portions 63a and 63b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ed portions 31a and 31b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cidentally, the term "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means that the inclined portions 31a and 31b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are inclined so that the low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downward is spread, Means that the upper portion is the most inwardly protruded and the inclined surface gradually faces downward toward the outside. Therefore, as shown in Fig. 8 (a), the inclined portions 31a and 31b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and the contact inclined portions 63a and 63b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ontact state.

로크 해제구 (60) 는,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로크 상태의 지지 블록 (20) 의 지주부 (21a) 의 폭방향의 양측면에서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접촉부 (62a, 62b) 를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에 삽입한다. 접촉부 (62a, 62b) 의 선단면의 접촉용 경사부 (63a, 63b) 를, 폴부 (28a, 28b) 의 외면의 경사부 (31a, 31b) 에 접촉시킨다.8A, the unlocking tool 60 is sandwiched between both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21a of the support block 20 in a locked state, for example, (62a, 62b)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s (34a, 34b). The contact inclined portions 63a and 63b of the distal end surfaces of the contact portions 62a and 62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s 31a and 31b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다음으로, 접촉부 (62a, 62b) 를 가압하면,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 (62a, 62b) 가, 보스부 (27a) 의 폴부 (28a, 28b) 의 경사부 (31a, 31b) 를 폴부용 스프링편 (29a, 29b)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내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도 8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 (62a, 62b) 의 접촉용 경사부 (63a, 63b) 가, 폴부 (28a, 28b) 의 경사부 (31a, 31b) 를 미끄러져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접촉부 (62a, 62b) 가 로크용 구멍부 (34a, 34b) 를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폴부 (28a, 28b) 가 로크용 구멍부 (34a, 34b) 의 폴 수용부 (35a, 35b) 로부터 떨어져 간단하게 언로크할 수 있다.8 (b), the contact portions 62a and 62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s 31a and 32b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of the boss portion 27a, respectively, when the contact portions 62a and 62b are pressed, 31b are pressed inwar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ieces 29a, 29b for the pawl part. 8 (c), the contact slopes 63a and 63b of the contact portions 62a and 62b slide on the slopes 31a and 31b of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respectively, The contact portions 62a and 62b move the lock hole portions 34a and 34b relatively upward. As a result, the claw portions 28a and 28b can be easily unlocked from the pole receiving portions 35a and 35b of the lock hole portions 34a and 34b.

조립식 블록 구조 (10) 는,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식 선반 (12) 의 배면측에 가새 (70) 를 형성함으로써 안정된다. 그래서, 지지 블록 (20) 은, 도 3 및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측면에, 복수의 가새 고정용 구멍 (38) 을 횡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복수의 가새 고정용 구멍 (38) 은, 상하 방향으로 적절히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의 가새 고정용 구멍 (38, 38, 38) 을 형성하고 있다.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10 is stabilized, for example, by forming a brace 70 on the back side of the assembled shelf 12, as shown in Fig. 3 and 10 (a),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lock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acing fixing holes 38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sid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brace fixing holes 38 may be arrang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brace fixing holes 38, 38, and 38 are formed.

가새 (70) 는,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상을 이루고 있고,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교차점 고정용 구멍부 (71) 를 배치하고, 양단부에 상기 교차점 고정용 구멍부 (71) 로부터 동일한 거리의 위치에 단부 고정용 구멍부 (72)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새 (70) 를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교차점 고정용 구멍부 (71) 와 단부 고정용 구멍부 (72) 를 형성한 지점을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다른 지점을 단면 대략 원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단부 고정용 구멍부 (72) 와 가새 고정용 구멍 (38) 에는, 도 10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물림쇠 (73) 를 삽입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0 (b), the braces 7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and the crossing point fixing holes 71 are disposed at the center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rossing point fixing holes 71 An end fixing hole portion 72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e 7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For example, a point where the crossing point fixing hole portion 71 and the end portion fixing hole portion 72 are formed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 And other points may be formed by a substantially circular section or the like, and the sectional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claw 73 as shown in Fig. 10 (c) can be inserted into the end fixing hole portion 72 and the bight fixing hole 38. [

2 개의 가새 (70, 70) 를 교차점 고정용 구멍부 (71) 에서,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 등의 고정구 (74) 로 고정시켜, 2 개의 가새 (70, 70) 를 교차시킨다. 그 2 개의 가새 (70, 70) 를,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식 선반 (12) 의 배면측에 장착한다. 그 때, 각 가새 (70, 70) 의 단부의 4 개의 단부 고정용 구멍부 (72, 72, 72, 72) 는, 조립식 선반 (12) 에 있어서의 지지 블록 (20) 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배치한 3 개의 가새 고정용 구멍 (38, 38, 38) 중 어느 것에 맞춰 물림쇠 (73) 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다.The two braces 70 and 70 are fixed by the fastening holes 74 such as bolts and nuts at the intersection fixing holes 71 so as to intersect the two braces 70 and 70. The two braces 70 and 70 are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assembled shelf 12,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At this time, the four end fixing holes 72, 72, 72, 72 at the ends of the bracings 70, 70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20 of the prefabricated shelf 12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laws 73 are inserted and fixed to any of the three bracing fixing holes 38, 38, and 38 arrang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새 고정용 구멍 (38) 이 복수 병렬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 개의 가새 (70) 의 각 단부를, 1 쌍의 지지 프레임 (13, 13) 사이의 간격 (봉상 부재 (40) 의 길이), 지지 프레임 (13) 의 높이, 횡프레임 (14) 의 상하 간격 등에 의해, 병렬되어 있는 가새 고정용 구멍 (38)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고, 조립 작업의 작업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 plurality of bracing fixing holes 38 are formed in parallel, the ends of the two bracings 7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13, (The length of the rod-shaped member 40), the height of the support frame 13, the vertical spacing of the transverse frame 14, and the like, , The work efficiency of the assembly work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조립식 블록 구조는, 상기와 같이 책장, 텔레비전대, 짐 선반, 의자, 침대의 설치대 부분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세로, 가로, 높이를 각각 수 m 내지 수십 m 가 되도록 지지 블록을 배치하여, 간이한 조립식 창고, 소옥 (小屋) 등을 제조할 수도 있다.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ookcase, a television stand, a baggage rack, a chair, and a mounting base portion of a b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lock is arranged so as to have a length, a width, , Simple prefabricated warehouses, and so on.

10 조립식 블록 구조
13 지지 프레임
14 횡프레임
20 지지 블록
20A 지지 블록 (최상부 배치용)
23 지지용 절결부
24 도브테일 홈
26 수입용 절결부
27a, 27b 보스부
28a, 28b 폴부
29a, 29b 폴부용 스프링편
31a, 31b 경사부
33a, 33b 보스용 구멍부
34a, 34b 로크용 구멍부
35a, 35b 폴 수용부
38 가새 고정용 구멍
40 봉상 부재
41 단부
42 장부부
50 캐스터
51 장착용 보스부
60 로크 해제구
61 유지부
62a, 62b 접촉부
63a, 63b 접촉용 경사부
70 가새
71 교차점 고정용 구멍부
72 단부 고정용 구멍부
73 물림쇠
74 고정구
10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13 Support frame
14 transverse frame
20 support block
20A support block (for top placement)
23 support cutout
24 dovetail home
26 Imports cutout
27a and 27b,
28a, 28b,
29a, 29b Spring parts for the pole part
31a and 31b,
33a, 33b hole portion for boss
34a and 34b,
35a and 35b,
38 Bracket fixing hole
40 bar member
41 end
42 couples
50 casters
51 Mounting boss part
60 Unlocking port
61 holding section
62a and 62b,
63a, 63b,
70 Braces
71 Crosshead fixing hole
72 end fixing hole
73 Chucks
74 fixture

Claims (7)

복수개의 봉상 부재로 구성하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을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 블록을 상하로 연결하여 형성한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봉상 부재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에 걸어맞춰 상기 봉상 부재를 지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지지용 절결부와, 상기 봉상 부재의 단부를 삽입 가능한 수입용 절결부를 구비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지지용 절결부를 지지 블록의 횡방향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복수의 상기 수입용 절결부를 지지 블록의 횡방향의 하부에, 상기 각 지지용 절결부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조립식 블록 구조로서,
상기 각 봉상 부재의 단부에 형성한 피걸어맞춤부가, 상기 지지용 절결부에 형성한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구성이고,
상기 피걸어맞춤부가, 상기 봉상 부재의 단부에 형성한 장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지지용 절결부에 상기 장부부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한 도브테일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구조.
A support frame formed by vert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to support the transverse frame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support block includes a support notch portion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r-shaped member by engaging the end portion of the bar-shaped member while the end portion of the bar-shaped member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cutout portion for inserting the end portion of the bar- And a plurality of the support cutout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a plurality of the cutouts for import are arranged at a lower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block,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blocks,
The engaged portions form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rod-like members ar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s formed in the support notches,
Wherein the to-be-engaged portion comprises a lo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rod-like member, and the engagement portion is a dovetail groove in which the long portion is insertable into the support no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보스부를 구비함과 함께, 하부에 보스용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스부가, 상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하부에 구비한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보스용 구멍부가, 하측에 배치된 지지 블록의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보스부를 삽입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보스부의 둘레면에 폴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용 구멍부에, 상기 폴부와 걸어맞추는 폴 수용부를 구비한 로크용 구멍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lock includes a boss portion extending upwardly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oss hole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Wherein the boss portion is insertable into a boss hole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boss hole portion is capable of inserting a boss portion extending upward in an upper portion of a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a hole portion for boss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and a hole for locking having a pole accommodat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ole portion is formed in the boss hol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부는, 상기 보스부를 상기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하는 방향의 반대를 향하여 서서히 돌출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wl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so as to gradually protrude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of inserting the boss portion into the bore hole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측면에, 복수의 가새 고정용 구멍을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구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upport block has a plurality of bracing fixing hole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ateral direction on a sid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에 있어서의 상기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한 장착용 보스부를 갖는 캐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용 보스부의 둘레면에, 상기 보스용 구멍부의 폴 수용부에 걸어맞추는 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a caster having a mounting boss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boss hol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a pole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ole receiving portion of the boss hole portion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boss portion A prefabricated block structur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식 블록 구조에 있어서의 복수의 지지 블록을 상하로 연결할 때, 상기 지지 블록의 보스부를, 상측에 배치한 지지 블록의 보스용 구멍부에 삽입하고, 상기 보스부의 둘레면에 형성한 폴부가 상기 보스용 구멍부의 로크용 구멍부의 폴 수용부에 걸어맞춘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상태를 언로크하기 위한 로크 해제구로서,
상기 로크용 구멍부에 삽입하여 상기 폴부의 외면에 구비한 경사부에 접촉시키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의 선단에, 상기 폴부의 경사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접촉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해제구.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in the assembled block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s vertically connected, the boss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is inserted into the boss hol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lock releasing portion for unlocking the lock state when the pawl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portion is in a locked state engaged with the pawl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lock hole portion of the bore hole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ck hole portion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inclined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le portion, and a contact inclined portion which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pole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ntact portion Lt; / RTI >
제 6 항에 있어서,
만곡 형성한 유지부 본체를 구비하고, 2 개의 상기 접촉부를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유지부 본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해제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taining portion main body has a curved shape, and the two contact portions are disposed in the retaining portion main body so as to face each other.
KR1020167020939A 2013-12-29 2014-12-25 Unlocking tool used in assembled block structure KR1018946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73714 2013-12-29
JP2013273714A JP6313596B2 (en) 2013-12-29 2013-12-29 Unlocking tool used for assembly block structure
PCT/JP2014/084236 WO2015099007A1 (en) 2013-12-29 2014-12-25 Assembled block structure and unlock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974A true KR20160105974A (en) 2016-09-08
KR101894646B1 KR101894646B1 (en) 2018-09-03

Family

ID=5347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939A KR101894646B1 (en) 2013-12-29 2014-12-25 Unlocking tool used in assembled block structur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13596B2 (en)
KR (1) KR101894646B1 (en)
CN (1) CN105849424B (en)
WO (1) WO201509900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1521A4 (en) * 2015-07-10 2019-04-03 Garza-Montemayor, José-Guadalupe Releasable coupling system
CN107432565A (en) * 2016-12-30 2017-12-05 广州酬建电器有限公司 A kind of Novel storage cabinet
CN107432566A (en) * 2016-12-30 2017-12-05 广州酬建电器有限公司 A kind of locker with fire monitoring device
CN107432562A (en) * 2016-12-30 2017-12-05 广州酬建电器有限公司 A kind of locker with pulley
CN107432563A (en) * 2016-12-30 2017-12-05 广州酬建电器有限公司 A kind of locker for being easy to mo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5789A (en) 1975-09-17 197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Humidity-exchange type ozone generator
JP3026233U (en) * 1995-12-22 1996-07-02 株式会社伸和 Fitting device for connecting member and furniture including the device
JP3128281U (en) * 2006-09-01 2007-01-11 株式会社シービージャパン Assembly shelf
JP2010279469A (en) * 2009-06-03 2010-12-16 Sogo Plastic:Kk Knock-down shelf
GB2478742A (en) * 2010-03-16 2011-09-21 Opening The Book Promotions Ltd Modular shelving unit with improved 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8856A (en) * 1957-04-05 1960-09-21 Ft Products Ltd An improved fastener
JPS4416965Y1 (en) * 1965-06-26 1969-07-23
JPH0717231Y2 (en) * 1989-07-17 1995-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Unit cable connection
JP3026233B2 (en) * 1991-05-15 2000-03-27 コニカ株式会社 Daylighting bright frame finder
JP3128281B2 (en) * 1991-09-09 2001-01-29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New compounds and separating agents
ATE288547T1 (en) * 1999-11-10 2005-02-15 Tetsuro Saito CONNECTION STRUCTURE FOR VARIOUS PARTS
DE10243196B4 (en) * 2002-09-18 2007-03-22 Kaindl Flooring Gmbh Panels with connection bracket
JP2008045727A (en) * 2006-08-17 2008-02-28 Yky:Kk System equipment and material for display
CN201047370Y (en) * 2007-06-13 2008-04-16 欧维国际贸易(上海)有限公司 Tank-type connecting component
CN201683325U (en) * 2010-06-11 2010-12-29 北京华澳伟业家具有限公司 Desk adopting a dovetail ten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5789A (en) 1975-09-17 197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Humidity-exchange type ozone generator
JP3026233U (en) * 1995-12-22 1996-07-02 株式会社伸和 Fitting device for connecting member and furniture including the device
JP3128281U (en) * 2006-09-01 2007-01-11 株式会社シービージャパン Assembly shelf
JP2010279469A (en) * 2009-06-03 2010-12-16 Sogo Plastic:Kk Knock-down shelf
GB2478742A (en) * 2010-03-16 2011-09-21 Opening The Book Promotions Ltd Modular shelving unit with improved st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49424A (en) 2016-08-10
CN105849424B (en) 2017-10-27
KR101894646B1 (en) 2018-09-03
WO2015099007A1 (en) 2015-07-02
JP6313596B2 (en) 2018-04-18
JP2015126844A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646B1 (en) Unlocking tool used in assembled block structure
AU2005300063B2 (en) Tool rack set fastener
US3760744A (en) Expansible shelf addition
JP3218606U (en) Assembled rack frame structure with hook body
JP7176049B1 (en) Assembled storage rack
US20110220603A1 (en) Easily assembled shelving system of small overall size
US11627801B2 (en) Combined storage shelf
US20180116394A1 (en) Configurable shelf assembly
CN115336859B (en) Combined shelf
US4288130A (en) Filing systems and other collapsible structural units
KR20170037199A (en) Assembly typed support frame for a table
KR102186586B1 (en) Boltless frame furniture
EP1369060B1 (en) Connection system for furniture structural elements
KR100949400B1 (en) Assembling type hamper
US20030037712A1 (en) Vertical support panel for use with a wire shelf
CA2694846A1 (en) Multifunctional support, system and accessories
KR102422832B1 (en) Pin combine type shelf
JP7390766B1 (en) assembly shelf
JPH0620423Y2 (en) rack
KR102306170B1 (en) Multi-purpose Corner Bracket
KR101621319B1 (en) Storage closet
KR101613820B1 (en) Connector for various furniture assembly
JP3052039U (en) Multiple racks that hold drawer containers in multiple stages
CA1175013A (en) Shelving unit
JP2019083912A (en) Connecting structure of rod material, and top plate lifting/lowering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