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108A -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108A
KR20160105108A KR1020150028358A KR20150028358A KR20160105108A KR 20160105108 A KR20160105108 A KR 20160105108A KR 1020150028358 A KR1020150028358 A KR 1020150028358A KR 20150028358 A KR20150028358 A KR 20150028358A KR 20160105108 A KR20160105108 A KR 20160105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theter
distal
sensing
prox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4003B1 (en
Inventor
박을준
오정수
박재형
장현환
송승우
원종석
조지용
제이 캄파 그레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독칼로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5002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003B1/en
Publication of KR2016010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39Bioelectrical parameters, e.g. ECG,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63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catheter which can be advantageously miniaturized,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and processed, has excellent insulation, reproducibility, and assembling properties, and has improved stability and treating functions.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mutated, coupled, and fixed distal and proximal support members separated at a particular distance from each other, in which at least one thereof is formed into a cylinder shape having a hollow part, and the support members exten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hollow 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llow part; an operation member lengthily extended in one direction, having a distal end connected with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moving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each of which has one side end connected with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with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having at least a part bent when a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s narrowed by the operation member, so the bent part is made to be farther from a center member; a plurality of electrodes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bent pa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and generating heat; an electrical power supplying line electrically connected with each of the electrodes, and providing an electrical power supplying path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s; one or more sensing member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s; and a sensing line connected with the sensing members, and providing a path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members.

Description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0001]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본 발명은 카테터(cathe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병 치료를 위한 의료용 카테터, 특히 신경의 일부에 열 자극을 가하여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신경차단용 카테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catheter for treating a disease, in particular, a nerve blocking catheter for allowing nerve conduction to be inactivated by applying a thermal stimulus to a part of the nerve, .

신경 차단술은 지각 신경이나 자율 신경 등 여러 신경에 대하여 자극이나 정보가 전달되지 않도록 신경 경로의 일부를 차단하는 시술법이다. 이러한 신경 차단술은, 부정맥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치료나 통증 완화, 성형 등을 위해 점차 널리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Neural blockade is a procedure in which a part of the nerve pathway is blocked so that stimulation or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nerve such as the sensory nerve or autonomic nerve. Such neural blockade is becoming increasingly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arrhythmia, pain relief, and molding.

특히, 근래에는 고혈압의 치료에 이러한 신경 차단술이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러한 신경 차단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Particularly, recen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such neural blockade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and efforts to apply such neural blockade as a method for effectively treating hypertension have been attempted.

고혈압의 경우,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대부분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많은 고혈압 환자들이 약물에 의존하여 고혈압을 치료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약물에 의해 혈압을 낮추는 방법은, 약물을 계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불편, 비용적 측면, 그리고 약물의 장기간 복용으로 인한 장기 손상과 같은 부작용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고혈압 환자는, 약물로서 혈압 조절이 되지 않는 난치성 고혈압을 앓고 있다. 이러한 난치성 고혈압은, 약물로서도 치료가 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뇌졸중, 부정맥, 신장 질환 등과 같은 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커서, 난치성 고혈압의 치료는 매우 심각하고 시급한 문제라 할 것이다.In the case of hypertension, since most of the blood pressure can be controlled as a drug, many hypertension patients are currently being treated for hypertension depending on the drug. However, such a method of lowering blood pressure by drugs has various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of continuous drug taking, cost aspect, and side effects such as organ damage due to prolonged use of the drug. In addition, some hypertensive patients suffer from refractory hypertension that is not controlled by blood pressure as a drug. Such refractory hypertension is not treated as a drug, and therefore, there is a great risk of causing an accident such as stroke, arrhythmia, kidney disease, etc., and treatment of intractable hypertension is a serious and urgent problem.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신경 차단술은,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신경 차단술은, 신장 신경, 즉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에 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신경 전도가 비활성화되도록 하여 신장 신경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장 신경이 활성화되면 신장에 의한 레닌 호르몬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이는 곧 혈압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경우 신경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이 최근 여러 실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In this situation, neural blockade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breakthrough method for treating hypertension. In particular, neural blockade for treating hypertension can be accomplished in such a way that the kidney nerve is blocked by allowing the nerve conduction to be inactivated by applying thermal stimulation to the sympathetic nerve around the kidney, i. Activation of the kidneys increases renal hormone production by the kidneys, which can lead to elevated blood pressure. Therefore, it has recently been shown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at hypertension can be treated, as nerve conduction can not be achieved by blocking these kidney nerves.

이처럼,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신장 신경을 차단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은, 카테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신체의 일부, 이를테면 허벅지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혈관을 따라 신장 동맥에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서 RF(Radio Frequency) 에너지 등을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신장 동맥 주변의 교감 신경을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a typical method of blocking the kidney nerve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is to use a catheter. Neuroprotection using a catheter is a technique in which a catheter is inserted into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thigh, and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is placed in the renal artery along the blood vessel. Thereby blocking the sympathetic nerve around the renal artery.

이와 같은 카테터를 이용한 신경 차단술은 개복 수술을 통한 신경 차단술에 비해 훨씬 작은 부위를 절개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합병증과 부작용이 크게 줄어들 수 있으며, 부분 마취로 인한 치료 및 회복 시간이 매우 짧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고혈압 치료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These catheter-based neuroblastomas are much smaller than neural blockade through open surgery,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potential complications and side effects, and the advantages of partial anesthesia treatment and recovery time are very shor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reatment for hypertension.

하지만, 이와 같이 신경 차단술 등에 적용하기 위한 카테터 관련 기술은, 아직까지 개발 정도가 미흡하여 많은 개선될 부분을 갖고 있다.However, the catheter-related technology for applying to the neural blockade and the like has not ye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and has many parts to be improved.

특히, 카테터는 혈관의 내부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하므로 그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이러한 카테터를 소형화시키는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In particular, the catheter must be small enough to be able to move freely along the interior of the blood vessel, so that its size should be very small.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downsizing such a catheter.

더욱이, 종래 개발 내지 제안된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전극과 작동을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 및 작동을 위한 각종 와이어도 포함될 수 있다. 때문에, 이들을 모두 구비하면서 그 크기가 작은 카테터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라 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developed or proposed in the past, various devices for operating with one or more electrodes are provided, and various wires for power supply and operation to such electrodes can also be includ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very easy to manufacture a catheter having both of these and small size.

또한, 카테터, 특히 가장 전단에 위치하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은, 그 자체의 크기가 작아야 하기 때문에, 그에 들어가는 다양한 구조물들 역시 그 크기가 미세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미세한 구조물을 취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In addition, since the catheter, particularly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positioned at the most distal end, must be small in size, the various structures that enter it are also inevitably small in size and it is not easy to handle such a fine structure.

또한, 종래 카테터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헤드와 시술자 사이에 여러 와이어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카테터의 이동이나 작동 중에 이러한 여러 와이어들이 카테터의 헤드나 몸통 부분에서 서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atheter configuration, various wire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d of the catheter and the operator. However, during the movement or operation of the catheter,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se various wires are twisted at the head or trunk portion of the catheter.

뿐만 아니라, 카테터의 헤드나 몸통 부분에서 와이어들 사이에 절연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전극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센싱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insulation is not properly secured between the wires in the head or the body of the catheter, power may not be supplied to the electrodes or a sensing signal may not be transmitted.

따라서, 종래 이와 같은 미세한 구조물들을 이용하여 카테터 헤드를 제조하는 것은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여, 재현성이 높지 않게 되므로, 카테터의 품질 및 제조 수율이 낮아지고 카테터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Therefore, manufacturing a catheter head using such fine structures in the past requires complicated processes, high precision, and high reproducibility, so that the catheter quality and manufacturing yield are lowered and the safety and stability of the catheter is poor It can cause problems.

또한, 종래 카테터의 경우, 온도 센싱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재가 카테터 헤드 부분에 마련되는 경우가 있으나, 그 기능에 제한이 있고, 카테터 자체의 구조 상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theter, there is a case where a member for performing a function such as temperature sensing is provided in the catheter head. However, its function is limited,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providing various sensors in the structure of the catheter itself.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형화에 유리하고, 조작 및 공정이 간편하며, 절연성, 재현성 및 조립성 등이 우수하며, 안전성 및 치료 성능이 개선된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theter that i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advantageous in downsizing, simple operation and process, excellent in insulation, reproducibility and assemblability, and improved in safety and therapeutic performanc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가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된 원위 지지부재 및 근위 지지부재;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원위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원위 지지부재와 상기 근위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센터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부재; 및 상기 센싱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 부재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센싱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hollow, and two A transversely-coupled fixed distal support member and proximal support member; An operat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whose distal end is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to move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t least one portion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s narrowed by the actuating member,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figured to move away from the center member; A plurality of electrodes provided at respective bend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o generate heat; A power supply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provide a power supply path for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t least one sensing memb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a sensing line connected to the sensing member and providing a path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member.

여기서, 상기 센싱 부재는, OCT 센서, 유속측정 센서, IVUS 센서 및 생체전기신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CT sensor, a flow velocity sensor, an IVUS sensor, and a bioelectric signal sensor.

또한,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Further, the flow rate measuring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distal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내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 이상의 높이를 갖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member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r in the vicinit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having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electrode.

또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mber may be bent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n a curved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전원입력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라인을 분기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ultiplexer for branching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input line and the sensing line.

또한,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된 부분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될 수 있다.Also,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nsing line may be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가 외측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센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such that the distal or proximal support member has an outer surface And a center member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센터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터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member may be formed such that a center reces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thereof in a concave shape from the outside to the inner side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operation member is inserted in the center re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근위 지지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격 부분이 상기 샤프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형성되도록 구성된 코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is locat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has an inner spac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haft body receiving a supply lin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ng line; And at least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body and a part of at least a part of an inner surface of the shaft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spaced portion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body To the proximal end from the distal end.

또한, 상기 코어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코어 오목부가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member may have a core reces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in the form of a recess conca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and the actuat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core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And can be mov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은, 상기 작동부재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nsing line may be inserted into core recesse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member.

또한, 중공을 구비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코어 오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중공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패싱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member,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ns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in the hollow of the shaft body, One or more of which may be used.

또한,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Further, the distal support member is fixed in position,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ctuating member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by oper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And the distal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ctuating member and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by actu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또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mber may be bent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n a curved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 팁; 및 상기 단부 팁에 구비되어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팁 센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d ti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a tip sensing member provided on the end tip for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또한, 상기 단부 팁은 상기 팁 센싱 부재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팁 센싱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 인입되거나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Also, the end tip may be formed with an inner space for receiving the tip sensing member, and the tip sensing member may be drawn into the inner space or drawn out from the inner space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지고,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atheter head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an be facilitated.

특히, 본 발명의 일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를 먼저 넓은 플레이트 형태의 2차원적으로 제작한 후, 벤딩 과정을 통해 3차원적인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공정이 더욱 간소화되면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and / or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are first formed in a two-dimensional shape in a wide plate shape and then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through a bending process, . ≪ / RTI >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원위 지지부재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의 내부에 전기적 경로로서 배선이 하나 이상 인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와이어나 센싱부재로부터 센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센싱 와이어를 별도로 구비하여 원위 지지부재나 근위 지지부재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Furthermore, in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wirings may be printed as an electrical path inside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 power supply wir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de or a sensing wire for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member,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the sensing wire into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소형화에 보다 유리할 수 있으므로, 작은 직경을 갖는 혈관 내부를 카테테 헤드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고, 카테터로 인한 혈관 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테터를 혈관 내부에 곧바로 삽입하지 않고 쉬스(sheath)와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를 혈관 내부에 삽입한 후 이러한 쉬스 내부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형태의 시술에도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eter head can be more advantageously miniaturized, so that the catheter head can be easily moved inside the vessel having a small diameter, and damage to the vessel wall due to the cathete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cathete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by inserting a separate component such as a sheath without inserting the catheter directly into the blood vessel, and then moving the catheter into the sheath. .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에 의하면, 카테터 제조에 대한 재현성이 높아져 카테터의 품질을 높이고 불량률을 낮추며, 안전성 내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s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oducibility for manufacturing the catheter is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atheter, lowering the defect rate, and improving safety or stabil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서 와이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와이어를 삽입하거나 이러한 와이어를 전극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대한 모듈화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can be removed from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there is no need to insert a wire into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or connect the wire to the electrode,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에 의해 다양한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경의 위치, 병변의 크기나 깊이, 혈류 속도, 전극의 밀착 정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ens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the cathe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nerve, the size and depth of the lesion, the blood flow velocity, and the degree of adhesion of the electrode.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카테터에 의한 신경 차단술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시술 중에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여, 환자의 치료율이 높아지고 안전을 확보하며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racy of the neural blockade by the catheter can be improved and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can be performed during the procedure, and the treatment rate of the patient is increased, safety is secured, and side effects due to the procedure can be prevent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원위 지지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카테터 구성에서 원위 지지부재의 전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근위 지지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구성에서 카테터 헤드와 샤프트 바디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2-A2'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포함된 코어 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코어 부재가 샤프트 바디에 포함된 구성의 단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A3-A3'선에 대한 절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d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ben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1-A1 'in FIG.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end por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in the catheter configuration of Fig. 1;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ximal support member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veloped view of a head portion of a cathe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d por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atheter head and the shaft body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2-A2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re member included in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re member is included in a shaft body.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ben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6;
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t-off configuration taken along the line A3-A3 'in Fig.
19 schematically shows a protruding configuration of a sens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schematically shows a protruding configuration of a sens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1-A1'선에 대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d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ben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1-A1 'in FIG.

본 명세서에서, 카테터의 헤드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카테터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시술 부위에 도달하는 측의 단부를 의미하며, 카테터 팁(tip)이나 원위 단부(distal end)와 같은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카테터는 이러한 카테터의 헤드와 반대 측 단부로서, 원위 단부보다 시술자 측에 위치하는 근위 단부(proximal end)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터에 포함되는 여러 구성요소 중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양 단부를 구비한 여러 구성 요소에 대하여, 양 단부를 구별하기 위해 카테터의 헤드 측, 즉 원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원위 단부로 지칭하고 카테터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한 단부를 근위 단부로 지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카테터 헤드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 양 단부가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로 지칭될 수 있다.Herein, the head of the catheter refers to the end of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 of the catheter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the treatment site, and is referred to as a catheter tip or a distal end . And, such a catheter may have a proximal end located at the operator side than the distal end, as opposed to the head of the catheter. Hereinafter, for the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included in the cathet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and having both ends, the end portion located on the head side, i.e., the distal end side of the catheter, is referred to as a distal end And the end locat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catheter is referred to as the proximal end. For example, even in the catheter head, both longitudinal ends can be referred to as distal end and proximal en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작동 부재(300), 연결 부재(400), 전극(500), 전원공급라인(600), 센싱 부재(700) 및 센싱라인(8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al support member 100, a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 operation member 300, a connection member 400, an electrode 500, A sensing member 600, a sensing member 700, and a sensing line 800.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와 상기 근위 지지부재(200)는,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위 지지부재(100)는 근위 지지부재(200)보다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원위 단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distal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located on the end side.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200)는,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a hollow. That is,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have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both ends thereof may be opened.

특히,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200)는,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wo side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ollow to the other end are coupled and fix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는 도 1에서 원위 지지부재(100)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in FIG. 1, and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원위 지지부재(100)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에까지 중공(V1)이 길게 연장 형성된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의 일측에는, D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결합 부분이 이러한 중공(V1)의 길이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hollow V1 is extended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 coupling portion as indicated by D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may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V1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figure).

이러한 결합 부분(D1)은, 원위 지지부재(100)의 서로 이격된 다른 변이 서로 체결 고정된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D1 부분의 결합을 해제하고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원위 지지부재(100)를 펼치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넓은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is engagement portion D1 may be a portion where the other mutually spaced apart portions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r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Thus, by releasing this D1 portion and unfolding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in the direction of arrows E1 and E2,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ide plate as shown in Fig.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 형태의 부재에 대하여, 서로 이격된 2개의 변(도면의 상변 및 하변)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이 형성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변은,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벤딩됨으로써 서로 만나게 될 수 있으며, 서로 만난 상태에서 체결 고정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wo sides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draw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wide plate-shaped member to form a hollow shape as shown in FIG. . To this end, the two sides to be joined to each oth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bending in the directions of the arrows E1 'and E2', and can be fastened and fixed in mutual contact.

여기서,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변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고, 일부 표면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변은, 서로 접촉하지는 않지만 인접한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Here, the two side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fixedly engaged with each other, or a part of the surfaces may be fixedly coupled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two sides joined to each other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may be engaged and fixed in an adjacent state.

한편,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원위 지지부재(100)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근위 지지부재(2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근위 지지부재(200) 역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넓은 판 형태의 부재를 벤딩시킴으로써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변이 서로 맞닿아 결합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4 and 5,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applied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s well. That is,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also b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wo mutually spaced apart sides are in contact with and fixed to each other by bending a member in the form of a wide plate, similar to the one shown in Figs. 4 and 5.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판 형태의 부재를 관 형태로 벤딩시키는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즉, 원통형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5의 E1'나 E2'로 표시된 바와 같은 벤딩 공정이 곡선 형태로 한 번에 이루어질 수 있고 별도의 모서리를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벤딩을 통한 실린더 형상의 형성이 보다 쉬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로 인해 혈관 내부에 손상이나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s. 4 and 5.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bending the plate-shaped member into the tube shape can be made easier. That is, in order to form the cylindrical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bending process as indicated by E1 'or E2' in FIG. 5 can be performed in a curved shape at one time, The formation of the cylinder shape through bending can be made easi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damage or stimulation to the inside of the blood vessel due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다양한 다른 형태, 이를테면 단면이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과 같은 각형 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at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such as rectangular tubular shapes such as rectangular or hexagonal It is possible.

또한,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돌기가 삽입홈에 삽입 체결되는 방식으로 2개의 변이 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구성에서, 판 형태의 원위 지지부재(100)의 상부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변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판 형태의 원위 지지부재(100)를,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원형으로 만곡시켜 상변과 하변이 서로 인접하게 된 후, 상변의 돌기가 하변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원위 지지부재(100)가 원통형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jection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5, projection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shaped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n, the plate-like distal support member 100 is curved in the circular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E1 'and E2' so th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n the upper side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member 100 can be held in a cylindrical shape.

여기서, 이러한 삽입 체결 방식은, 후크 고정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지지부재(100)에서, 상변의 돌기는 후크 형태로 구성되고, 이러한 돌기가 하변의 삽입홈에 후크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 such an inserting method can be realized by a hook fixing method. For example, i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projections on the upper sid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ok, and these projections may be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hooked to the lower insertion groove.

다만,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2개의 변에 대한 결합 부분을 고정시키는 방식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접착제에 의해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형 부재가 E1' 및 E2'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변과 하변이 서로 만나게 되면,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2개의 변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이러한 접착제에 의해 2개의 변에 대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However, the manner of fixing the coupling portions to the two sides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engaged and fixed with two sides by an adhesive. That is, when the plate member as shown in FIG. 5 is bent in the direction of E1 'and E2'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meet each other, an adhesive is applied to at least one side so that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sides . Therefore, in this case, the bonding state for the two sides can be maintained by such an adhesive.

상기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판 형태의 부재가 벤딩되어 결합됨으로써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카테터의 전단부에 위치하므로, 카테터가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할 때 혈관 등의 내벽과 접촉할 가능성이 많은데, 이들에 대하여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이들에 의한 혈관 손상 등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방향 전환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formed in a tube shape by bending and joining plate-shaped members. Thus,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structed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struct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plastic. In particular,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re preferably made of a soft, flexible material. Because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re located at the anterior end of the catheter, there is a greater likelihood that the catheter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a vessel or the like when the catheter moves along a blood vessel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minimize or prevent damage to blood vessels caused by these materials, and to change the direction easily.

또한, 이와 유사한 측면에서,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는, 상대적으로 더욱 원위 측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외측 전단 모서리가 둥글게 모따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lso, in similar respects,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in rounded corners. In particular,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configured with a rounded chamfered outer shear edge in that it is located on a relatively more distal side.

상기 작동 부재(3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부재(3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원위 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길이 방향 이동을 통해 원위 지지부재(100) 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부재(300)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원위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근위 지지부재(200)를 화살표 C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member 30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The operating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or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such that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or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Can be moved.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actuating member 300 can move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n the direction of arrow C1 by engaging the distal end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with the distal e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부재(300)는,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ration member 300 may include two or more members.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된 경우, 1개의 작동 부재(300)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된 경우에 비해, 근위 지지부재(200)가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stab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when three actuating members 300 are connected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one actuating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more easily and stab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이동으로 카테터 헤드 부분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지부재(100)에 연결된 경우, 작동 부재(300)가 당겨질 때 작동 부재(300)가 위치한 측 방향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밀어질 때 작동 부재(300)가 위치한 측 반대 방향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 부재(300)가 복수 개 구비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당겨지거나 밀어지더라도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휘는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theter head portion from being be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 For example, when one operating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there may occur a problem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is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300 is positioned when the operating member 300 is pulled have. Further,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ng member 300 is pushed, there may occur a problem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operating member 300 is located.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actuating members 300 are provided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blem of bending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actuating member 300 is pulled or pushed.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를 오픈이나 클로우즈시킬 때, 카테터의 헤드 부분의 직진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굴곡됨으로 인해, 카테터 헤드의 이동이 방해되거나 혈관 내벽이 손상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theter head is opened or closed, the straightness of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can be stably maintained. Therefore, the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head is impeded or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is damaged due to the bending of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can be prevented.

특히, 복수의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이동 시, 특정 부분, 이를테면 작동 부재(300)의 간격이 넓은 부분으로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굴곡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actuating members 300 are preferably arranged at an equal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from being bent into a specific portion, such as a wide portion of the actuating member 300, when the actuating member 300 is moved.

예를 들어, 상기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3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3개의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의 중심축(O)을 기준으로 상호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ree of the actuating members 300 may be includ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These three actuating members 300 can be arranged at an equal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athete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three actuating members 300 may be arranged at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 of the catheter.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은 개수의 작동 부재(300)로서 카테터 헤드의 직진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과다한 개수로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카테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크기가 작아질 수 있으며, 작동 부재(3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작동 부재(300)의 작동 시에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특정 부분으로 굴곡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traightness of the catheter head as a small number of the actuating members 300.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operation member 300 is not included in an excessive number, the structure of the catheter can be simplified, the size can be reduced, and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operation members 300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from being bent into a specific portion du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0. [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400)의 일측 단부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결합 고정되고, 연결 부재(400)의 타측 단부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막대 형태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o each other. That is,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fixed to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fixed to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or a plate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변함으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부재(400)는, 작동 부재(300)에 의해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양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으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부재(400)는, 이처럼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중심축, 다시 말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ng member 400 can be bent at least partially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n particula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is narrowed by the actuating member 300,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at least partially bent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is shortened .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then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at least a portion is bent, the bend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catheter, i.e., the central axis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

이처럼,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는, 연결 부재(400)의 양단 사이 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부위는, 도 2에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벤딩된 부분의 꼭지점, 즉 연결 부재(400)의 벤딩된 부분에서 굴곡 정도가 가장 심한 부분, 또는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가장 멀리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n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can be formed as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narrowed. Here, the bending portion is a portion where the degree of bending is the greatest at the vertex of the bent portion, that is, the be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or the bent portion of each connecting member 400 Which means the part farthest from the outer side.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에 따라 벤딩 부위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벤딩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0)는 금속이나 폴리머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연결 부재(40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 벤딩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면 연결 부재(40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ng member 400 has to be b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is narrowed, Lt; / RTI >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etal or a polym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material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if the bending portion can be formed in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또한, 상기 연결 부재(4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카테터 헤드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정도 벤딩된 굴곡부가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도, 연결 부재(400)는 완전히 평평해지지 않고 카테터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근위 지지부재(200) 등이 이동하여 연결 부재(40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 굴곡부의 벤딩 정도가 심화되면서 벤딩 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벤딩부의 벤딩 방향은 카테터의 외측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400)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가 점점 짧아질수록, 이러한 벤딩 부위는 카테터의 중심축으로부터 점차 멀어질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연결 부재(400)는 벤딩 부위의 벤딩 방향이 카테터의 내측으로 향하지 않고 외측으로 향하도록 사전 형성된(pre-shaped)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formed with a bent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bent to a predetermined degre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catheter head. That is,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s the greatest,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atheter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out being completely flat. In this case, whe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or the like is moved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is shortened,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ending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 ≪ / RTI > And, the shorter the distance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becomes, the more the bending portion can gradually move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catheter.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pre-shaped such that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portion is direct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catheter.

상기 연결 부재(400)는,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부재(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서 3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복수의 연결 부재(400) 각각은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is cas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pproaches,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400 is bent so that the bending portion is configur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catheter .

상기 전극(500)은, 연결 부재(400)에 장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극(500)은, 연결 부재(400)에 있어서 벤딩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극(50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주변 조직에 열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50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주변 조직을 절제(ablation)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500)은 대략 40℃ 이상, 특히 40~80℃의 열을 발생시켜 혈관 주위의 신경을 절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경을 차단시킬 수 있다. 다만, 전극(50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온도는 카테터의 용도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lectrode 500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member 400 and can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In particular, the electrode 500 may be provided at the bend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ode 500 can apply thermal stimulation to the surrounding tissues. For exampl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ode 500 may ablate surrounding tissue. At this time, the electrode 500 can generate heat of about 40 ° C or more, especially 40 to 80 ° C, to cut off the nerve around the blood vessel, thereby blocking the nerve.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ode 50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r purpose of the catheter.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어 전극(500)이 카테터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카테터의 헤드가 오픈(open)된다고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400)의 벤딩이 가장 심하게 이루어진 상태, 또는 전극(500)이 카테터에서 외측으로 가장 돌출된 상태를, 카테터의 오픈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지 않거나 가장 약하게 벤딩된 상태, 또는 전극(500)이 카테터에서 가장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를 카테터의 클로우즈(close)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카테터의 헤드가 클로우즈된 상태,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카테터의 헤드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bent so that the electrode 500 moves outwardly of the catheter, it can be said that the head of the catheter is open. For example,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400 is most severely bent or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500 protrudes outward from the catheter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of the catheter. On the other hand,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not bent or the weakest bend state, or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500 is positioned innermost in the catheter,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 state of the catheter.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may be said that the head of the catheter is closed,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may indicate that the head of the catheter is open.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가 혈관 등을 따라 시술 부위로 이동하는 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즈 형태로 이동하다가, 카테터 헤드가 시술 부위에 도달한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형태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카테터에서 전극(500)이 외부 방향으로 최대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혈관 벽에 전극(500)이 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 또한, 이동 중에는 이러한 전극(500)의 돌출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카테터 헤드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연결 부재(400) 및 전극(500) 등에 의한 혈관 내벽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ile the catheter head is moving to a treatment site along a blood vessel or the like, it moves in a closed form as shown in FIG. 1, and when the catheter head reaches the treatment site, , And can be transformed into an open form. Then, by allowing the electrode 500 to protrude in the outward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catheter, the electrode 500 can be closer to the blood vessel wall.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500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during movement,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head can be made more smooth and the damage of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due to the connection member 400, the electrode 500,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상기 전극(500)은, 혈관 벽에 접촉하여 혈관 주변에 위치하는 신경 조직에 열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혈관 벽에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전극(500)은, 혈관 내벽에 접촉하는 표면이 그러한 내벽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500)은, 단면이 원, 반원 또는 타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혈관 벽에 대한 전극(500)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혈관 내벽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전극(500)에 의해 생성된 열이 혈관 주변의 신경 조직에 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전극(500)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전극(500)에 의한 혈관 내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ectrode 500 may apply heat to the nerve tissu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blood vessel in contact with the blood vessel wall, so that the electrode 5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lood vessel wall. Accordingly, the electrode 50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ner wall. For example, the electrode 500 may have a circular, semi-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dhesion of the electrode 500 to the blood vessel wall can be improved and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can be maximized,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ode 500 can be transmitted to the nerve tissue around the blood vessel have.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50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electrode 500.

상기 전극(500)은, 백금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전극(500)의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발생 방식이나 시술 부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5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latinum or stainless stee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material of the electrode 500, and various factors such as a heat generation method, It can b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500)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500)은 고주파 발생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주파 에너지를 발산함으로써 신경을 절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lectrode 500 may generate heat in a radio frequency (RF) manner. For example, the electrode 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frequency generating unit to dissipate high-frequency energy to excise the nerve.

한편, 상기 카테터에 존재하는 전극(500)은 음극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극에 대응되는 양극은, 음극과 마찬가지로 고주파 발생 유닛과 같은 에너지 공급 유닛에 연결될 수 있으며, 패치 등의 형태로 신체의 특정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de 500 existing in the catheter may act as a cathode, and the anode corresponding to the cathode may be connected to an energy supply unit such as a high frequency generating unit like a cathode, Lt; / RTI >

상기 전극(500)은, 카테터에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연결 부재(400)는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극(500)은, 각 연결 부재(400)마다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는 3개의 연결 부재(400) 및 3개의 전극(500)이 포함되어,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마다 1개의 전극(500)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500 may be included more than once in the catheter.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connecting members 400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electrodes 500 may be provided for each connecting member 4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connecting members 400 and three electrodes 500, and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s 400 has one The electrodes 500 may be mounted.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멀어지면, 벤딩 부위에 구비된 전극(500)은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외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의 전극(500)은 혈관 내벽 측으로 이동하여, 혈관 내벽에 접촉되거나 혈관 내벽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bent and the bending portion is distanced, the electrode 500 provided at the bending portion can move in the outward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catheter. Therefore, the electrode 500 of the catheter may move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or located near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일부분이 전극(500)에 연결되어, 전극(500)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원위 단부가 전극(500)에 연결되고, 근위 단부가 에너지 공급 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에너지 공급 유닛이 전극(50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parti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500 to provide a power supply path for the electrode 50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line 600 has a distal e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500, and a proximal end connected to the energy supply unit (not shown) so that the energy supply uni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de 500 .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복수의 전극(500)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복수의 전극(500)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원공급라인(600)은, 복수의 전극(500) 각각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원공급라인(600)은 전극(500)에서 에너지 공급 유닛에 이르기까지 각각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에 3개의 전극(500)이 구비된 경우, 전원공급라인(600)은 3개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5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50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lines 600 may provide a power supply path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500. Here,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lines 600 may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500 to the energy supply unit. For example, when the catheter is provided with three electrodes 500, three power supply lines 600 may be provided.

상기 전원공급라인(600)은, 연결 부재(400)의 적어도 일부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500)은 연결 부재(400)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극(50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라인(600)은, 카테터 헤드 부분에서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 그리고 연결 부재(400)의 근위 단부와 전극(500)이 장착된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electrode 500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400 so that the power supply line 6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de 500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t the catheter head portion Between the proximal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the portion where the electrode 500 is mounted.

상기 센싱 부재(700)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구비되어 주변의 물리적인 양이나 그 변화를 감지 또는 계측하여 일정한 신호로 알려줄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싱 부재(700)는,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및 연결 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provided at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to sense or measure the physical quantity or change of the surroundings, and inform the user of the sensed signal. In particular, 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d the connection member 400.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부재(700)는, OCT 센서, 유속측정 센서, IVUS 센서 및 생체전기신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nsing member 7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CT sensor, a flow rate measurement sensor, an IVUS sensor, and a bioelectric signal sensor.

상기 OCT 센서는, 광학 간섭 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센서로서, 빛을 투과시켜 조직 내에서 반사되는 빛의 시간 차이를 광학적 간섭계를 사용하여 고해상도의 단층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OCT 센서는, 병변의 크기를 확인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OCT 센서는, 비접촉, 비침투성으로서 혈관 등에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을 수 있으며, 해상도가 높아 정밀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The OCT sensor is a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ensor. The OCT sensor can transmit light and display a time difference of light reflected in the tissue as a high-resolution tomographic image using an optical interferometer. Particularly, such an OCT sensor can be easily used to confirm the size of a lesion. Furthermore, the OCT sensor is not contacted and impermeable, and may not cause any significant damage to blood vessels, and has an advantage of high precision and high resolution.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혈관 내부에서 혈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도플러 센서(doppler sen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플러 센서는, 초음파, 레이저, 마이크로파 등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유속측정 센서가 카테터에 구비된 실시예에 의하면, 신동맥(renal artery)의 혈류 상태로 신경 조직의 절제(ablation)가 잘 이루어졌는지 파악할 수 있다.The flow rate measuring sensor is a component capable of measuring the blood flow velocity in a blood vessel. For example, the flow rate measurement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Doppler sensor. The Doppler sensor can measure the velocity of blood flow using a Doppler effect such as an ultrasonic wave, a laser, or a microwav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low rate measuring sensor is provided in the cathet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ablation of the nerve tissue is well performed in the blood flow state of the renal artery.

특히,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장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low rate sensor may be moun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도 6은, 도 1의 카테터 구성에서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in the catheter configuration of Fig. 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 부재(700)로서, 유속측정 센서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속측정 센서는, 카테터가 이동하는 방향, 즉 카테터의 정면 측을 바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s the sensing member 700, a flow rate measurement sensor may be moun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in particular, to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is flow rate measuring sensor can be configured to look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theter moves, that is, the front side of the catheter.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유속측정 센서 등에 의해 신동맥의 혈류속도 등이 보다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특히, 도플러 효과의 특성 상, 도플러 센서는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시술 부위로 이동하는 중에, 정면 측을 바라보는 경우가 혈관 내벽 측을 바라보는 경우에 비해, 측정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flow velocity and the like of the renal artery can be more accurately measured by the flow rate measuring sensor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Doppler sensor can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is moved to the treatment site and the case where the catheter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i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inner vessel wall.

상기 IVUS 센서는, 혈관 내 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센서로서, 진동이 전달되고 초음파가 수신되는 사이에 경과된 시간을 통해 거리나 깊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에 구비된 IVUS 센서로 인해, 혈관 내부에서 병변의 깊이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IVUS sensor is an IntraVascular UltraSound sensor. The IVUS sensor can detect a distance or a depth through an elapsed time period during which vibration is transmitted and ultrasonic waves are receiv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lesion can be more easily grasped within the blood vessel due to the IVUS sensor provided in the catheter.

상기 생체전기신호 센서(bio electrical signal sensor)는, 신경세포나 근세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또는 전압 형태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에 구비된 생체전기신호 센서로 인해, 신경의 위치가 보다 용이하게 찾아질 수 있다.The bio electrical signal sensor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urrent or voltage type signal generated by a nerve cell or muscle cel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nerve can be more easily found due to the bioelectric signal sensor provided in the cathet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부재(70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압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복수의 연결 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sensing member 70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The pressure sensor may generate pressur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pressure.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400.

특히, 상기 압력 센서는, 복수의 전극(5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500)에 대하여 그 주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센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500)의 외측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at a peripheral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500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500. For example,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500, as shown in FIGS.

더욱이, 상기 압력 센서는, 전극(500)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 센서는, 연결 부재(400)에서 외측 방향으로의 높이가 전극(500)과 동일하거나 전극(500)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400)의 벤딩으로 전극(500)이 혈관 내벽에 닿기 이전에, 또는 전극(500)이 혈관 내벽에 닿음과 동시에, 압력 센서가 혈관 내벽에 접촉하여 전극(500)이 혈관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sur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500. That is, the height of the pressure sensor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electrode 500 or high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500. In this case, before the electrode 500 touches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by the bending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or when the electrode 500 touches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and the pressure sensor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It is possible to detec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 센서에 의해 혈관 내벽에 대한 전극(500)의 접촉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500)이 혈관 주변의 신경을 열적으로 자극하기에 적합한 정도로 혈관 내벽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contact of the electrode 500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can be quantitatively confirmed by the pressure sensor. Therefore, the electrode 5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to an extent suitable for thermally stimulating the nerve around the blood vessel.

또 다른 예로, 상기 압력 센서는, 전극(5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센서는, 전극(500)을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 부분에서 압력 센서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고, 전극(500)의 밀착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ode 500. For example, the pressur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be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when the electrode 500 is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ccupied by the pressure sensor in the catheter head portion can be reduced, and the degree of contact of the electrode 500 can be grasped more accurately.

상기 센싱라인(800)은, 일부분이 센싱 부재(700)에 연결되어, 센싱 부재(700)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테면, 센싱 부재(700)가 유속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싱라인(800)은 유속측정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외부의 유속측정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The sensing line 80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member 700 to provide a path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member 700. For example, if the sensing member 700 includes a flow rate sensor, the sensing line 800 may communic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flow rate sensor to an external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여기서, 상기 센싱라인(800)은 카테터에 구비된 센싱 부재(700)와 동일한 개수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에 3개의 센싱 부재(700)가 구비된 경우, 센싱라인(800)은 3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sensing line 800 may include the same number of sensing members 700 as the catheter. For example, when the catheter is provided with three sensing members 700, three sensing lines 800 may be provided.

상기 센싱라인(800)은, 적어도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 측에서 센싱 부재(700)가 장착된 부분까지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속측정 센서가 센싱 부재(700)로서 원위 지지부재(100)에 장착된 경우, 이러한 유속측정 센서에 의해 센싱된 유속측정 정보를 전달하는 유속센싱라인(800)은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 연결 부재(400)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 그리고 원위 지지부재(100)의 근위 단부와 유속측정 센서가 장착된 부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line 800 may extend at least from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catheter head to a portion where the sensing member 700 is mounted. For example, when the flow rate sensor is mounted o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s sensing member 700, the flow rate sensing line 800, which conveys the flow rate measurement information sensed by this flow rate sensor, 200 between a proximal end and a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between a proximal end and a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between a proximal end of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and a portion on which the flow rate sensor is mou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ultiplexer.

상기 멀티플렉서는, 서로 다른 개수의 입력 라인 및 출력 라인을 가져, 하나의 전원이나 전기적 신호를 다중화하여 분할하거나 다수의 전원이나 전기적 신호 중 하나를 선별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멀티플렉서는, 전원입력라인 및/또는 센싱라인(800)을 둘 이상으로 분기할 수 있다. The multiplexer may have a different number of input lines and output lines, and may be a device for multiplexing and dividing one power supply or an electrical signal, 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ies and electrical signals. In particular, the multiplexer may divide the power input line and / or the sensing line 800 into two or mor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근위 지지부재(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만 표시되도록 하며,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표시되도록 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ximal support member 200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som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displayed,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도 7을 참조하면, 카테터는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 특히 근위 지지부재(200)에 멀티플렉서(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 방향으로 멀티플렉서(1500) 이전의 근위 측 부분(도 7의 우측 부분)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이 1개만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플렉서(1500) 이후의 원위 측 부분(도 7의 좌측 부분)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이 전극(5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기되어 각 전극(50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근위 지지부재(200)의 원위 측 단부, 즉 좌측 단부에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분기된 전원공급라인(600)은 각 연결 부재(400)에 구비된 전극(500)으로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atheter may include a multiplexer 1500 at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head, particularly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t this time, only one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present in the proximal portion (the right portion of FIG. 7) before the multiplexer 1500 in the distal end direction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In the distal portion after the multiplexer 1500 (the left portion in FIG. 7), the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branched to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electrodes 500 to supply power to the respective electrodes 500 have. A connection memb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distal side end portion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branched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500 of each connection member 400, .

도 7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을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멀티플렉서(1500)에 의한 라인의 분기 구성은,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센싱라인(8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멀티플렉서(1500)가 존재하는 구성에 의하면, 멀티플렉서(1500) 이전의 부분에서는 센싱라인(800)이 1개만 존재하다가, 멀티플렉서(1500) 이후의 부분에서는 센싱라인(800)이 센싱 부재(7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기될 수 있다.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the power supply line 600 in FIG. 7, the branch configuration of the line by the multiplexer 1500 may be applied to the sensing line 800 in a similar manner. That i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ultiplexer 1500 is present, only one sensing line 800 is present in a portion before the multiplexer 1500, and in a portion after the multiplexer 1500, the sensing line 80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member 700 The number of which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blocks.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의 많은 부분에 있어서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의 크기, 특히 직경을 줄일 수 있고, 카테터의 구조가 보다 단순화될 수 있으며, 카테터의 조립 및 제조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센싱 부재(700)가 다수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멀티플렉서(1500)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부피 감소 등의 효과가 더욱 크게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ower supply lines 600 and sensing lines 800 can be reduced in many parts of the catheter. Thus, the size, particularly the diameter, of the catheter can be reduced, the structure of the catheter can be simplified, and the assembly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theter can be made easier.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large number of sensing members 700 can be included, by providing such a multiplexer 1500, effects such as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volume reduction can be further achieved.

본 발명에 있어서, 멀티플렉서(1500)는, 다수의 입력을 하나의 출력으로 내보내는 좁은 의미의 멀티플렉서는 물론, 하나의 입력을 다수의 출력으로 내보내는 좁은 의미의 디멀티플렉서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lexer 15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both a multiplexer with a narrow sense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inputs to one output, and a narrower demultiplexer for outputting one input to a plurality of outputs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플렉서(1500)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지지부재(200)의 경우, 판 또는 필름 형태의 부재가 벤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근위 지지부재(200)는 두께가 얇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플렉서(1500)가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구성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multiplexer 15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or film-like member may be formed in a bent manner, so that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to be thin. Therefor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ultiplexer 150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easily achieved.

또한, 근위 지지부재(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벽면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멀티플렉서(1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멀티플렉서(1500)가 근위 지지부재(20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으므로, 멀티플렉서(15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근위 지지부재(200)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거나 이동하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inner wall surface can be formed in a curved line, the multiplexer 1500 can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hap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ultiplexer 15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space occupied by the multiplexer 1500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have. Furth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another component exists or moves in the hollow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achieved more easily.

이 밖에도, 상기 멀티플렉서(1500)는, 카테터의 다양한 부분에 다양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멀티플렉서(1500)의 특정 장착 위치나 형태 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multiplexer 1500 may be mounted on various portions of the catheter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mounting position or shape of the multiplexer 1500, and the lik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은,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및 연결 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printing)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판 형태의 2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다가 벤딩을 통해 3차원적인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되기 전의 2차원 형상 부재 상태에서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을 인쇄하는 경우,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의 장착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 or the sensing line 800 may be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d the connection member 400 have. In particular, in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formed into a two-dimensional shape in the form of a plate, and then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tube shape through bending. 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 or the sensing line 800 are printed in the state of the two-dimensional shape member before bending, the mounting configuration of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can be implemented more easily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만 나타내도록 하며, 투시된 부분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나타내도록 한다.8 is a developed view of a head portion of a cathe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some of the components are shown, and the perspective portions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도 8을 참조하면,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및 근위 지지부재(200)는, 넓은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 형태의 각 부재의 표면에 전원공급라인(600)이 2차원적인 패턴으로서 도체를 남기는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라인(600)은, 회로 기판의 배선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라인(600)은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우측 단부)에서 연결 부재(400)의 전극(500) 장착 부분까지 연장되게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공정은, 판 형태의 근위 지지부재(200) 및 연결 부재(400)에 대하여 수행되므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8,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in a wide plate shape. Then, the power supply line 600 can be printed on the surfaces of the respective plate-shaped members in such a manner as to leave a conductor as a two-dimensional pattern. That is, the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wiring of the circuit board.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line 600 may be printed extending from the proximal end (right end)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o the electrode 500 mount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This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plate-lik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d the connection member 400, and thus can be easily performed.

이후, 전원공급라인(600)의 인쇄가 완료된 상태에서,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및 근위 지지부재(200)를 화살표 E1'' 및 E2'' 방향으로 벤딩시켜 카테터 헤드 부분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re bent in the directions of arrows E1 " and E2 ", so that the catheter head portion < Can be configured.

다만, 도 8에서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된 상태에서 함께 벤딩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는 각각 별도로 벤딩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4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8,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are shown bent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conn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each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00 in a state where they are separately bent.

한편, 도 8에서는 전원공급라인(600)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센싱라인(800) 역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될 수 있다.8, the sensing line 800 is also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connection member 4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May be printed on at least one.

또한, 상기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은, 근위 지지부재(200)나 연결 부재(400), 원위 지지부재(100)의 일 표면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부재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 or the sensing line 800 may be configured to be exposed to one surfac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connection member 400, and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be embedded in each member.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소형화에 유리하고 제조가 보다 용이해지며, 구조가 간단해지고 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배선 형태의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은, 일반적인 와이어 형태의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에 비해, 차지되는 부피가 많지 않아 카테터의 부피, 더욱이 카테터 헤드 부분의 부피가 효과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카테터 헤드 부분에 와이어 형태의 전원공급라인(600)을 삽입하고 이를 전극(500)에 연결시키기 위한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성이 향상되고, 전극(500)과 전원공급라인(600)의 접속 및/또는 센싱 부재(700)와 센싱라인(800)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o miniaturize the catheter and to make it easier to manufacture,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reproducibility can be improved. Particularly,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in the form of a wiring as in the above embodiment are less bulky than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The volume of the catheter head portion, and further, the volume of the catheter head portion can be effectively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sert a wire-like power supply line 600 into the catheter head and connect the electrode 500 to the electrode 500, the processability is improved and the electrode 500 and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 or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ensing member 700 and the sensing line 800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member 900, as shown in FIGS. 1 and 2.

상기 센터 부재(9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어, 양 단부, 즉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터 부재(9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부재(900)는, 원위 지지부재(100) 또는 근위 지지부재(200)가 외측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enter member 900 may be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may have both ends, that is, a proximal end and a distal end. In particular,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s movable along the outer surface.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근위 지지부재(200)는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터 부재(900)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원위 방향으로 밀어지면, 근위 지지부재(200)는 센터 부재(900)의 외면을 따라 C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1,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and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member 300 is pushed in the distal directio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900 in the direction C1.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 부재(900)가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나 근위 지지부재(200)의 이동으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센터 부재(900)의 존재로 인해 이러한 연결 부재(400)의 벤딩 형태가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enter member 900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ovement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achieved smooth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400 can be bent by movement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So that the bending shape of the bushing 400 can be made constan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된 부분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distal end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400 is connecte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ength of the cathete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헤드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위 지지부재(100), 연결 부재(400), 근위 지지부재(200) 및 전극(500)에 대해서만 도시되도록 한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d por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9 and 10, only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connecting member 4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d the electrode 500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S1, S2 및 S3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근위 지지부재(200)와 마주보는 표면에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근위 지지부재(200)는, S1', S2' 및 S3'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와 마주보는 표면에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3개의 연결 부재(400)는 각각, S1-S1', S2-S2' 및 S3-S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9 and 10,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have a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on the surface facing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s indicated by S1, S2 and S3.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formed with a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on the surface facing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s indicated by S1 ', S2' and S3 '. In this case, the three connecting members 400 may be connected between S1-S1 ', S2-S2' and S3-S3 ', respectively.

특히, 원위 지지부재(100)의 단차는 근위 지지부재(200)의 단차와 서로 정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epped por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configured to mate with the stepped portion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구성에서 근위 지지부재(20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 부재(400)는 벤딩될 수 있는데, 이때 벤딩 부위는 연결 부재(400)의 중앙에 형성되기가 쉽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각 연결 부재(400)는 길이가 동일하더라도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 중앙 부분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는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성이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portion of each connecting member 4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the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9, whe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oves in the leftward direction,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bent, at which time the bending portion is easi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Therefore, even if the connecting members 400 have the same leng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4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by the step formed on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have. Therefore, the ben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can be naturally construct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이와 같이, 연결 부재(400)의 벤딩 부위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가 오픈되어 전극(500)에 의해 열 자극이 가해지는 위치가 혈관의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혈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혈관에서 전극(500)의 열 자극에 의한 협착증(stenosis)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end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the position where the thermal stimulus is applied by the electrode 500 is concentrated in one portion of the blood vessel And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od vessel. Therefore,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tenosis caused by thermal stimulation of the electrode 500 in the blood vessel.

한편, 도 9 및 도 10의 구성에서는,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모두에 단차가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원위 지지부재(100) 및 근위 지지부재(200) 중 어느 하나에만 단차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9 and 10, a step is formed in both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However, i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tep on only one of them.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대하여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연결 부재(400)가 연결되는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연결 부재(400)가 연결된 부분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9 and 10, a configura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are formed such that the surface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connected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a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connected, Or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바디(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haft body 1000, as shown in Figs. 1 and 2.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앞서 설명한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전극(500) 및 센싱 부재(700)를 카테터 헤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로서, 카테터의 가장 원위 측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바디(1000)는, 이러한 카테터 헤드의 근위 측 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바디(10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theter comprising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electrode 500 and the sensing member 700 described above as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atheter head, . And, the shaft body 1000 may be a component that is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such a catheter head. The construction of such a shaft body 1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도 11은, 도 1의 구성에서 카테터 헤드와 샤프트 바디(1000)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2-A2'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theter head and the shaft body 100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2-A2 'of Fig.

도 1, 도 2, 도 11 및 도 12의 구성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바디(10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테터에서 카테터 헤드에 비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1000)는,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에서 작업자(시술자)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 바디(1000)는 많은 부분이 혈관 내부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내부에서 이동이 용이하고 혈관의 형태에 따라 굴곡될 수 있도록, 부드러우며 휘어지기 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11, and 12, the shaft body 100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occupy a larger portion of the catheter head than the catheter head . For example, the shaft body 1000 may be provided elongated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head to the point where the operator (practitioner) is located. In particular, since the shaft body 1000 can be located inside the blood vessel, the shaft body 1000 can be made of a soft and bendable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inside the blood vessel and can be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lood vessel.

샤프트 바디(1000)는, 카테터 헤드의 근위 단부, 이를테면 근위 지지부재(200)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카테터 헤드에 센터 부재(900)가 포함된 경우, 샤프트 바디(1000)는, 센터 부재(900)와 접촉한 상태로 상호 결합 고정될 수 있다.The shaft body 1000 may be located on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head, such as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Particularly, when the center member 900 is included in the catheter head, the shaft body 1000 can be coupled and fixed in contact with the center member 900.

또한, 상기 샤프트 바디(10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 바디(1000)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을 갖는 긴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빈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body 1000 may have a long inner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shaft body 1000 may be configured as a long tube having a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par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코어 부재(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re member 1100.

상기 코어 부재(1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샤프트 바디(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11 and 12, the core member 11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body 1000 .

특히, 상기 코어 부재(1100)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샤프트 바디(1000)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부재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샤프트 바디(1000)와 이격됨으로써,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re member 1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body 1000. 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core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haft body 1000 in a state where the cor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thereby forming a hollow space.

그리고, 코어 부재(1100)는, 이러한 이격 공간, 즉 코어 부재(1100)의 외면과 샤프트 바디(1000)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이 샤프트 바디(1000)의 길이 방향(도 1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샤프트 바디(1000)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계속하여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re member 110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learanc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0 and the shaft body 1000 is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body 1000 , And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of the shaft body 1000.

이 경우, 코어 부재(1100)와 샤프트 바디(100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 등이 위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power supply line 600, the sensing line 800, and the like may b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re member 1100 and the shaft body 100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에 포함된 코어 부재(1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코어 부재(1100)가 샤프트 바디(1000)에 포함된 구성의 단면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re member 1100 included in a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re member 1100 is included in the shaft body 1000. As shown in Fig.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 부재(1100)는, G11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외면에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코어 부재(1100)와 샤프트 바디(100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13 and 14, the core member 1100 may have a core reces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like a portion denoted by G11. By this core concave portion G11, a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core member 1100 and the shaft body 1000. [

여기서, 코어 오목부(G11)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 상에서 외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오목부(G11)는 코어 부재(1100)의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계속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어 오목부는, 도 13의 구성과 같이, 코어 부재(1100)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할 수 있다.Here, the core recess G11 may be recessed inward from the outsi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0. [ The core recesses G11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of the core member 1100. [ That is, the core concave portion may exist continuously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core member 1100 a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샤프트 바디(1000)와 코어 부재(110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코어 부재(1100)의 외경이 샤프트 바디(1000)의 내경과 큰 차이를 갖지 않는다 하더라도, 코어 부재(1100)에 형성된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과 샤프트 바디(1000)의 내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haft body 1000 and the core member 1100 by the core recess G11. 14, even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e member 1100 does not have a large difference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shaft body 1000, the core recess 1115 is formed by the core recessed portion G11 formed in the core member 1100,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mber 11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ody 1000.

그리고, 이와 같은 빈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는, 카테터 헤드와 시술자 사이 부분에서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작동 부재(300)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empty space,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be positioned. That is, the actuating member 300 can be fit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at the portion between the catheter head and the operator. At this time,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at least a par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core recess G11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코어 오목부(G11)가 작동 부재(300)의 수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동 부재(300)는 코어 부재(1100)와 샤프트 바디(1000) 사이에 끼이지 않고 원활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be smoothly mo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 That is, since the core recess G11 provides the accommodation space for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operation member 300 is smooth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being caught between the core member 1100 and the shaft body 1000 .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11)에 안착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300)는 코어 오목부(G11)에 의해 제공되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작동 부재(300)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지지부재, 이를테면 근위 지지부재(200)가 길이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다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카테터의 오픈 상태가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500)이 혈관 내에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move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placed on the core concave portion G11, and can not mov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ing member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ctuating member 300, such as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atheter can be opened in a stable manner. Therefore, with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make the electrode 500 accurately positioned at a desired site in the blood vessel.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1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ore concave portion may have a curved shape in cross s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core member 1100.

예를 들어, 도 14에는, 코어 부재(1100)에 대하여 길이 방향 중심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의 형태가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서 코어 오목부(G11)는, 그 표면에 모서리가 존재하지 않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어 오목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태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Fig. 14 shows a cross-sectional shape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 with respect to the core member 1100. In this configuration, the core recess G11 has a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no corner exists. Particular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r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11)에 접촉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동 부재(300)가 코어 오목부(G11)에 끼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의 단면 형태가 원과 같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코어 오목부(G11)의 형태가 작동 부재(300)의 외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곡선 형태로 구성되면, 작동 부재(300)는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member 3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ore recess G11, the operation member 300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core recess G11 . Particularly, as shown in Fig. 12, the operating member 300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ircle, in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core recess G11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actuating member 300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ctuating me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core recess G11 It can be moved smooth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오목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core concave portions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core concave portions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0.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코어 부재(1100)에 6개의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6개의 코어 오목부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11 to 14, six core recesses may be formed in the core member 1100, and these six core recesses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0 They can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특히, 작동 부재(300)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인접하는 코어 오목부에 위치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코어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다른 코어 오목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에 포함된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서로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고 하나의 코어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wo or more operation members 300 are included, each of the operation members 300 may be configured not to be located in an adjacent core recess, but to be disposed in another core recess through at least one core recess hav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three actuating members 300 are included in the catheter, each of the actuating members 300 may not b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but may be disposed through one core recess have.

이를 위해, 코어 오목부는 작동 부재(300)의 개수의 2배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 부재(300)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코어 오목부(G11)는 그 2배인 6개가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re recesses may be formed in a number two or more times the number of the actuating members 30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the actuating members 300 is three as in the above embodiment, six core recesses G11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작동 부재(300)의 이동을 통한 카테터의 오픈이나 클로우즈 동작 시, 작동 부재(30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소정 부분에 집중되어 카테터의 헤드 부분이 소정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 간 거리를 넓힘으로써 작동 부재(300) 간 간섭이나 마찰로 인해 작동 부재(300)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thete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the operation members 300, the force applied by the operation member 300 is applied to the predetermined por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cathe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from being disturbed due to interference or friction between the operation members 300 by wid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ion members 300.

또한, 상기 코어 부재(1100)의 코어 오목부(G11)에는, 작동 부재(300)뿐 아니라,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도 있다. Not only the operation member 300 but also other component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re recess G11 of the core member 1100. [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는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 역시, 적어도 일부가 코어 부재(1100)의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2, a power supply line 600 and a sensing line 800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and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 (800)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core recess (G11) of the core member (1100).

특히,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와 다른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은, 작동 부재(300)가 삽입된 코어 오목부에 위치하지 않고, 작동 부재(300)가 삽입되지 않은 코어 오목부에 위치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re recess G11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member 3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may be located in the core recess where the operation member 300 is not inserted, and not in the core recess where the operation member 300 is inserted.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에 의해 작동 부재(300)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므로, 작동 부재(300)의 이동에 의한 카테터의 오픈 및 클로우즈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is prevented by the power supply line 600 or the sensing line 80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theter du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clo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가 전원공급라인(600)이나 센싱라인(800)과 서로 다른 공간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전기적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라인(600)에서 전류가 누설된다 하더라도, 누설된 전류는 작동 부재(300)로 전달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절연성 확보를 위해 코어 부재(110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rating member is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600 or the sensing line 800, the electrical insulation can be improved. For example, even if a current is leak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600, the leaked current is not likely to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ember 300. Here, in order to secure such insulation, the core member 1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테면, 도 15는, 도 11의 A2-A2'선에 대한 단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FIG. 15 may also show another form of the section with respect to the line A2-A2 'in FIG.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패싱 튜브(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ssing tube 1200.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중공이 형성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싱 튜브(1200)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샤프트 바디(10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assing tube 1200 may have a hollow shape and a tube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The passing tube 120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and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body 1000.

특히, 코어 부재(1100)에 코어 오목부(G11)가 형성된 구성의 경우,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코어 오목부(G11)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외면이 코어 오목부(G11)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오목부가 반원 형태로 형성된 경우, 패싱 튜브(1200)는 타원형 내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core member G11 is formed in the core member 1100, the passing tube 1200 is inserted into the core recessed portion G11 at least partially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Lt; / RTI >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passing tube 1200 may correspond to the surface of the core recess G11. For example, when the core recess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passing tube 120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패싱 튜브(1200)가 코어 오목부의 내면에 잘 삽입되어 패싱 튜브(1200)가 코어 오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은 내경을 갖는 샤프트 바디(1000)에도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ing tube 12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re concave portion to prevent the passing tube 1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re concave portion, and the shaft body 1000 having a small inner diameter Can be easily applied.

또한, 상기 패싱 튜브(1200)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패싱 튜브(1200)는,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ing tube 1200 may be included more than once in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ing tube 120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0.

특히, 코어 부재(1100)의 외주면에 다수의 코어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이러한 코어 오목부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하나의 코어 오목부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구성을 참조하면, 코어 부재(1100)에 6개의 코어 오목부(G11)가 형성된 경우, 패싱 튜브(1200) 역시 6개 포함됨으로써 하나의 코어 오목부(G11)에 하나의 패싱 튜브(1200)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core recess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0, and the passing tubes 1200 may b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core recesses, As shown in FIG. 15, when six core recesses G11 are formed in the core member 1100, six passing tubes 1200 are also included to form one core recess G11, So that one passing tube 1200 can be received.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중공 부분에 카테터의 다른 구성요소를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는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 중 적어도 하나는, 패싱 튜브(1200)의 내부, 즉 중공에 수용될 수 있다.Because the hollow tube is formed in the passing tube 1200, other components of the catheter can be positioned in the hollow port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may be received within the passageway tube 1200, i.e., in the hollow.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은 카테터의 오픈/클로우즈 상태 변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패싱 튜브(1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이들의 길이 방향 이동이 다른 구성요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men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 or the sensing line 800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That is, the operating member 300,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catheter.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other components.

상기 패싱 튜브(1200)는, 중공이 원형인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작동 부재(300), 전원공급라인(600) 및/또는 센싱라인(800)의 길이 방향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ssing tube 12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a circular hollow shape in which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actuating member 300,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 or the sensing line 800 is more smoothly Lt; / RTI >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는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과 다른 코어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코어 오목부에 패싱 튜브(1200)가 구비된 경우, 작동 부재(300)는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과 다른 패싱 튜브(1200)에 수용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라인(600) 및 센싱라인(800)은 동일한 패싱 튜브(1200)에 수용되고, 작동 부재(300)는 이들과 다른 패싱 튜브(1200)에 수용될 수 있다. 특히, 패싱 튜브(120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동 부재(300)와 전원공급라인(600) 또는 센싱라인(800) 사이에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ctuating member 3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re recesses different from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where the core recesses are provided with the passing tube 1200 The operation member 300 may be said to be accommodated in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and the other passing tube 1200. 15,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sensing line 800 are accommodated in the same passing tube 1200, and the operation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other passing tube 1200 Lt; / RTI > Particularly, the passing tube 12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In this case, insulation between the operation member 300 and the power supply line 600 or the sensing line 800 can be ensur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부재(1100)는,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core member 1100 may be hollo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예를 들어, 상기 코어 부재(1100)는, 도 13 및 도 14에서 V1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은 원위 측과 근위 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은,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re member 1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an empty central portion, as indicated by V11 in Figs. 13 and 14. Fig. The hollow V11 of the core member 1100 can be opened to the distal side and the proximal side. In addition, the hollow V11 of the core member 1100 may have a circular sec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에는, 샤프트 바디(1000)를 통과하는 다른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에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와이어란 카테터를 시술 부위까지 안내하기 위한 와이어로서, 카테터에 앞서 시술 부위에 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부재(1100)의 원위 단부 측을 관통하여 코어 부재(1100)의 중공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카테터 헤드는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시술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In the hollow V11 of the core member 1100, other components passing through the shaft body 1000 can be inserted. For example, a guide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V11 of the core member 1100. Here, the guide wire is a wir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the treatment site, and can be configured to reach the treatment site prior to the catheter.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wire can penetrate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core member 1100 through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re member 1100, and the catheter head can reach the treatment site along the guide wire.

한편, 상기 코어 부재(1100)의 원위 측에는 센터 부재(900)가 접촉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센터 부재(900)에도,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센터 부재(900)에는 V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터 부재(900)의 중공은 원위 측 단부와 근위 측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터 부재(900)의 중공(V9)은 코어 부재(1100)의 중공(V11)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distal side of the core member 1100. Accordingly, also in such a center member 900, a hollow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a hollow may be formed in the center member 900 as indicated by V9. At this time, the hollow of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opened at the distal side end and the proximal side end. The hollow V9 of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with the hollow V11 of the core member 1100. [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는, 센터 부재(900)의 중공을 경유하여 코어 부재(1100)의 중공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는, 코어 부재(1100)의 중공을 관통하여 코어 부재(1100)의 근위 단부 측에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와이어를 활용하여 카테터 헤드를 시술 부위에까지 이동시키는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wire can be drawn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core member 1100 via the hollow of the center member 900. [ Therefore, the guide wire may extend to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core member 1100 through the hollow of the core member 1100. [ 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theter head is moved to the treatment site using the guide wire can be realized more easily.

한편, 상기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300)는 원위 단부가 근위 지지부재(200)에 연결되어 근위 지지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작동 부재(300)의 작동에 의해 근위 지지부재(200)가 이동됨으로써 연결 부재(400)의 양단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원위 지지부재(10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근위 지지부재(200)가 이동되는 경우, 원위 지지부재(100) 역시 근위 지지부재(200)보다 적은 거리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operation memb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t a distal end thereof to move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at is, whe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0,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is narrowed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400 can be bent. At this time,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fixed in position. However, whe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s moved,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t a smaller distance tha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되어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is mov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400 is bent. Such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Fig.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15와 관련한 설명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400 is ben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rtions to which the description related to FIGS. 1 to 15 can be similarly applied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6 및 도 17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도 1 내지 도 15에서와 마찬가지로,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작동 부재(300), 연결 부재(400), 전극(500), 전원공급라인(600), 센싱 부재(700) 및 센싱라인(8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테터는, 센터 부재(900), 샤프트 바디(1000), 코어 부재(1100) 및/또는 패싱 튜브(12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6 및 도 17의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300)의 연결 구성이 앞선 실시예들과 다르게 도시되어 있다.16 and 17,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al support member 100, a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 actuating member 300,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400, an electrode 500, a power supply line 600, a sensing member 700, and a sensing line 800. The catheter may further include a center member 900, a shaft body 1000, a core member 1100 and / or a passing tube 1200 and the like.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s. 16 and 17,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peration member 300 is shown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embodiments.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앞선 실시예와 달리,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재부재에까지 연장되어 원위 단부가 원위 지지부재(1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는, 원위 지지부재(100)에 이르기 위해, 근위 지지부재(20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구간까지도 연장될 수 있다. 16 and 17,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actuating member 300 may extend to the distal strut member and the distal e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distal strut member 100. The actuating member 300 can then pass through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o reach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extend to a section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

또한, 근위 지지부재(200)는 센터 부재(900)의 근위 단부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원위 지지부재(100)는 중공이 형성되어 센터 부재(9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fixed to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center member 900. [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formed to be hollow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member 900.

이 경우, 작동 부재(30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 작동 부재(300)의 원위 단부 측에 고정된 원위 지지부재(100)가 센터 부재(900)의 표면 상에서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면,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으며,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되거나 펴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member 3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fixed to the distal end side of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on the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900.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then be varied and the connection member 400 connected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bent or expanded have.

예를 들어, 도 16의 구성에서 작동 부재(300)가 당겨지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C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 부재(400)는 벤딩되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오픈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작동 부재(300)가 밀어지면, 원위 지지부재(100)는 도 16의 C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 부재(400)는 펴질 수 있으며, 이로써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테터의 클로우즈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ctuating member 300 is pull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6,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C3, in which case the connecting member 400 may be bent and, as shown in FIG. 17, An open state of the catheter may be formed.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ng member 300 is pushed,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C3 in Fig. 16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400 can be flattened, State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지부재(100)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카테터 헤드가 보다 구조적으로 견고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됨으로써, 카테터 헤드의 오픈/클로우즈 변환 시 카테터 헤드가 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ctuating member 300 extends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catheter head can be more structurally robust.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is moved, thereby preventing the catheter head from bending during open / close conversion of the catheter head.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부재(900)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formed with an elongated center concave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in the form of a concave shap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8은, 도 17의 A3-A3'선에 대한 절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터 부재(900)와 작동 부재(300)만을 나타내도록 한다.Fig. 1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t-off configuration taken along the line A3-A3 'in Fig. In FIG. 18, only the center member 900 and the actuating member 300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8을 참조하면, G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센터 부재(900)의 외부 표면에는 센터 부재(9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센터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a center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900, as indicated by G9,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member 900. As shown in FIG.

특히, 상기 센터 오목부(G9)에는, 작동 부재(3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근위 지지부재(200)와 원위 지지부재(100)의 사이 구간에서 작동 부재(300)는 센터 오목부(G9)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부재(300)는 원위 단부가 원위 지지부재(100)에 연결되어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대문에, 센터 오목부(G9)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Particularly, a part of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concave portion G9. That is, in the interval betwee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nd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be seated in the center recess G9. Since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member 3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be moved in a state inserted in the center recess G9.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카테터 헤드의 직경을 줄일 수 있어 카테터 헤드의 소형화 달성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가 원위 지지부재(100)까지 연결되기 위해서는 근위 지지부재(200)를 관통해야 하는데, 상기 실시예의 경우, 작동 부재(300)가 관통하기 위한 별도의 홀이 근위 지지부재(200)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위 지지부재(100)와 근위 지지부재(200) 사이의 공간에서 작동 부재(300)가 센터 오목부(G9)에 안착됨으로써 작동 부재(3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작동 부재(300)가 정해진 위치에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 부재(300)에 의한 원위 지지부재(10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catheter head can be reduced, which can be more advantageous in achieving miniaturization of the catheter head. Particularly, in order for the operation member 300 to be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ust pass through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In this embodiment, (Not shown).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member 300 is seated in the center recess G9 in the spa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0 is fixed, The movement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by the operation member 300 can be performed stably.

이 밖에, 센터 오목부(G9)는, 형성 위치가 센터 부재(900)라는 점에서 다를 뿐, 앞선 코어 오목부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concave portion G9 is different from the center member 900 in that the center concave portion G9 is formed, and can be configured in a similar shape to the above-described core concave portion.

예를 들어, 센터 오목부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태가 곡선 형상, 이를테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enter recess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uch as a semicircular shap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catheter, as shown in Fig.

또한, 센터 오목부(G9)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센터 오목부(G9)는, 센터 부재(9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작동 부재(300)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작동 부재(300)는 서로 다른 센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enter concave portions G9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center concave portions G9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member 900. [ In particular, when two or more operation members 300 are included, each operation member 300 can be inserted into different center recesses.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한 장점은, 앞선 코어 오목부(G11)에서 설명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core recess G11 described abo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부재(900)는, 코어 부재(1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센터 부재(9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중공을 구비하며, 외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코어 부재(1100)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터 부재(900)는, 코어 부재(11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코어 부재(1100)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바디(10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코어 부재(1100)는, 카테터 헤드까지 길게 연장됨으로써 센터 부재(900)의 기능까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부재(900)는 코어 부재(1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만, 기능적으로, 근위 지지부재(200)를 기준으로 원위 측 부분은 센터 부재(900)라 하고, 근위 측 부분은 코어 부재(1100)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센터 부재(900)의 근위 단부나 코어 부재(1100)의 원위 단부는 그 경계가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integrated with the core member 1100. In particular,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core member 1100 in that the center member 900 is formed in a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has a hollow, and one or more recess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fore,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re member 1100 without being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core member 1100. For example, the core member 1100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haft body 1000 may be extended to the catheter head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enter member 900. In this case, the center member 900 may be the same component as the core member 1100. [ However, the distal side portion is referred to as a center member 900 and the proximal side portion as a core member 1100 with respect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s a function. In this case, the proximal end of the center member 900 and the distal end of the core member 1100 may not be bounded.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 부재(300)에 의해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되는 구성에 있어서, 근위 지지부재(200)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지지부재(100)의 이동으로 연결 부재(400)가 벤딩될 수 있다. 다만, 원위 지지부재(100)가 이동할 때 근위 지지부재(200)가 원위 지지부재(100)보다는 적은 거리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tal supporting member 100 is moved by the operating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proximal supporting member 200 can be fixed in position. Thus, the movement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llows the connecting member 400 to be bent.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moves a smaller distance tha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whe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moves.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 부재(700)는, 구비 위치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lso, preferably, the sensing member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o as to be able to protrude from an established position.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Fig.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700)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부재(700)의 돌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9는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 측 부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고, 도 20은 연결 부재(400)에서 전극(500)이 장착된 부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19 schematically shows a protruding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embe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truding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ember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re specifically, FIG. 19 shows a front end side portion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FIG. 20 shows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500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member 400.

먼저, 도 19를 참조하면, 센싱 부재(700), 이를테면 유속측정 센서가 원위 지지부재(100)의 전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부재(700)는, 화살표 C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 즉 정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first to FIG. 19, a sensing member 700, such as a flow rate sensor,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t this time, 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that is, the front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 C4.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센싱 부재(700), 이를테면 압력 센서가 연결 부재(400)의 전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부재(700)는, 화살표 C5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센싱 부재(700)가 압력 센서인 경우, 압력 센서는, 전극(500)의 높이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전극(500)이 혈관 벽에 접촉되었는지 등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20, the sensing member 700, such as a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 At this time, 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that is, the upward direction, as indicated by an arrow C5. Particularly, when the sensing member 700 is a pressure sensor, the pressure sensor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500, and can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ontact of the electrode 500 with the blood vessel wall .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센싱 부재(700)가 작동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다가, 센싱 부재(700)가 작동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구성의 경우, 카테터 헤드가 혈관을 따라 시술 부위로 이동 중일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원위 부재의 중공(V1)에 인입되어 있다가, 카테터 헤드가 시술 부위에 도달한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원위 부재의 중공(V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구성의 경우, 카테터 헤드가 이동 중일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연결 부재(400)에 안착되어 전극(500)의 높이보다 낮은 상태로 있다가, 전극(500)에 의한 열 자극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극(500)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sensing member 700 does not need to be operated, the sensing member 700 is not protruded. When the sensing member 700 needs to operate, the sensing member 700 is configured to protrude .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9, when the catheter head is moving along the blood vessel to the treatment site, the sensing member 700 is drawn into the hollow V1 of the distal member, 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hollow V1 of the distal member. 20, when the catheter head is moving, the sensing member 700 is seated on the connection member 400 and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500, The electrode 500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height of the electrode 500.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 부재(70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센싱 부재(700)의 돌출 정도를 최소화하여 센싱 부재(700)로 인해 카테터의 이동이 방해되거나 혈관 내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부재(700)가 작동해야 될 때에는 센싱 부재(700)가 카테터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멀어져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member 700 is not operated,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ensing member 700 is minimized to prevent the sensing member 700 from interfering with movement of the catheter or damaging the inside of the blood vessel can do.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member 700 is to be actuated, 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moved away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atheter to enable more accurate measurements.

특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센싱 부재(700)의 돌출 구성은 작동 부재(300)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나 도 20의 센싱 부재(700)는, 작동 부재(300)와 연결되어 작동 부재(300)가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밀어지거나 당겨짐에 따라 카테터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카테터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truding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ember 700 can b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0. [ For example, the sensing member 700 of FIGS. 19 and 20 may be connected to the actuating member 300 such that the actuating member 300 protrudes out of the catheter as it is pushed or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센싱 부재(700)의 돌출이나 인입 구성을 작동 부재(300)의 작동만으로 가능하게 하므로, 센싱 부재(700)의 돌출이나 인입을 위한 추가 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카테터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더욱이, 센싱 부재(700)는 카테터 헤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작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구성으로 카테터의 조작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truding or retracting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ember 700 is enabl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0,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protruding or retracting the sensing member 700 The structure of the catheter can be simplified. Furthermore, since the sensing member 700 often needs to operate with the catheter head open, the operation of the catheter can be made easier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선 여러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이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2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ption of the portions to which the same descriptions as thos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are applied will be omitt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원위 단부 측, 이를테면 원위 지지부재(100)의 원위 측에 단부 팁(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a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d tip 1300 on the distal end side, such as the distal sid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상기 단부 팁(1300)은, 부드럽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팁(1300)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 PEBA)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부 팁(1300)을 형성하는 조성물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이외에 다른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300)은, 조성물 전체 중량%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를 70% 포함하고, 바륨 설페이트(Barium sulfate)를 30%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nd tip 1300 may be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In particular, the end tip 1300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ether block amide (PEBA). Here, the composition forming the end tip 1300 may include other additives besides polyether block amide. For example, the end tip 1300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comprising 70% of a polyether block amide as a whole weight percent of the composition and 30% of barium sulfate.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카테터의 원위 단부가 혈관 등을 따라 이동할 때 부드러우면서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 단부 팁(1300)이 가장 앞쪽에 위치하므로, 혈관 등의 손상을 줄이고,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재질의 단부 팁(1300)의 경우, X-ray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므로, 카테터 헤드의 위치 파악이 용이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moves along a blood vessel or the like, the end tip 1300 made of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is located at the frontmost position, so that damage to blood vessels and the like can be reduced, .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end tip 1300 made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since the X-ray can be taken, the position of the catheter head can be easily grasp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팁(1300)은 중공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부 팁(1300)의 중공은 카테터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단부 팁(1300)이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단부 팁(1300)의 중공으로 가이드 와이어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300)은 6mm의 길이를 갖고, 중공의 직경이 0.7mm인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d tip 13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ube with a hollow. The hollow of the end tip 130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As such, when the end tip 1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the guide wire may pass through the hollow of the end tip 1300. For example, the end tip 1300 may have a length of 6 mm and be configured as a tube having a hollow diameter of 0.7 mm.

상기 단부 팁(1300)은, 카테터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부 팁(130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부 팁(13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 다른 부분에 비해 원위 단부의 직경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팁(1300)은, 가장 두꺼운 부분의 직경이 1.3mm일 때, 원위 단부의 직경은 1.1mm로서 가장 얇게 형성될 수 있다.The end tip 1300 may be elongat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theter. At this time, the end tips 130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particular, when the end tip 130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the smallest as compared with other portions.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thickest portion is 1.3 mm,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may be 1.1 mm, which is the thinnest.

상기 단부 팁(1300)은, 지나치게 길거나 짧지 않은 적정 수준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단부 팁(1300)의 길이는, 도 21의 좌우 방향으로 5mm 내지 1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혈관의 내부 공간이나 쉬스의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데 있어 단부 팁(1300)으로 인해 이동에 방해받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부 팁(1300)의 휘어진 정도 및 방향 등을 파악하여, 단부 팁(1300)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혈관의 모양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end tip 1300 preferably has an appropriate length that is not too long or short.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end tip 1300 may be 5 mm to 15 mm in the lateral direction of Fi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interference with movement due to the end tip 1300 in moving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blood vessel or the inner space of the sheath. Furth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and direction of the warp of the end tip 1300 can be grasped and the shape of the blood vessel can be easily grasped at the portion where the end tip 1300 is located.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팁 센싱 부재(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p sensing member 1400.

상기 팁 센싱 부재(1400)는, 단부 팁(1300)에 구비되어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팁 센싱 부재(1400)는 유속측정 센서일 수 있다. 단부 팁(1300)은 카테터의 최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유속측정 센서와 같은 센싱 부재(700)가 카테터의 정면을 바라보도록 하는 구성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The tip sensing member 1400 may be provided on the end tip 1300 to perform a sens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tip sensing member 1400 may be a flow rate sensor. Since the end tip 1300 may be located at the forefront of the cathete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nsing member 700, such as a flow rate sensor, faces the front of the catheter can easily be achieved.

특히, 상기 단부 팁(1300)은, 팁 센싱 부재(14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팁 센싱 부재(1400)는, 이러한 단부 팁(13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팁 센싱 부재(1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단부 팁(13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가, 팁 센싱 부재(1400)가 작동될 때에는 단부 팁(1300)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팁 센싱 부재(1400)의 돌출 구성은, 작동 부재(30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도 1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설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성 및 효과 등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particular, the end tip 1300 may be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receiving the tip sensing member 1400. And, the tip sensing member 1400 can be 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is end tip 1300. In this case, the tip sensing member 1400 may be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nd tip 1300 when not in operation and protrude from the end tip 1300 when the tip sensing member 1400 is activated . Further, the protruding configuration of the tip sensing member 1400 can be mad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300. [ Such a configuration can be described similarly to the embodiment of FIG. 19,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부재(700)는,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연결 부재(400) 및/또는 단부 팁(1300)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될 수 있다. 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bent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connection member 400 and / or the end tip 1300 in a curved shape .

본 발명에 있어서, 원위 지지부재(100), 근위 지지부재(200), 연결 부재(400) 및/또는 단부 팁(1300)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구성요소들의 표면은 곡선 형태, 이를테면 카테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센싱 부재(700)를 이들 구성요소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경우, 센싱 부재(700)의 돌출 정도를 최소화하여 센싱 부재(700)로 인해 카테터의 이동이 방해받거나 혈관 내벽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 or the end tip 130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surface of these components may be curved, Such as a circular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atheter. Therefore, when the sensing member 700 is bent and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componen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ensing member 700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being hindered or damaging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는, 판 형태의 부재가 벤딩을 통해 입체적으로 변형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싱 부재(700)는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성되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가 벤딩되기 전에, 이들이 판 형태인 상태에서 센싱 부재(700)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가 벤딩되어 그 표면이 곡선 형태를 갖게 되더라도, 센싱 부재(700) 역시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위 지지부재(100) 및/또는 근위 지지부재(200)에 대한 센싱 부재(700)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the plate-like member is deformed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through bending. Thus, the sensing member 700 may be configured in a flexible manner so that before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re bent, the sensing member 700 is attached in a plate- . Also, even if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are bent to have a curved surface, the sensing member 700 may also be ben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ing of the sensing member 700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100 and /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200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에 따른 신경차단 장치는, 상술한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경차단 장치는, 이러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이외에 에너지 공급 유닛 및 상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공급 유닛은, 전원공급라인(600)을 통해 전극(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대 전극은 다른 라인을 통해 에너지 공급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너지 공급 유닛은, 고주파 등의 형식으로 에너지를 카테터의 전극(50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카테터의 전극(500)에서는 열이 발생되어 혈관 주변의 신경에 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신경이 차단될 수 있다.
The nerve b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atheter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nerve block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supply unit and a counter electrode in addition to the nerve blocking catheter. Here, the energy supply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500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600. And, the counter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ergy supply unit through another line. In this case, the energy supply unit can supply energy to the electrode 500 of the catheter in the form of high frequency or the like, and heat is generated in the electrode 500 of the catheter to apply a thermal stimulus to the nerve around the blood vessel,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원위, 근위, 상, 하, 좌, 우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 관측자의 관측 위치나 물체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다른 용어로 대체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a distal, a proximal, an upper, a lower, a left, and a right are used, but these terms are merely relative position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other terminology.

100: 원위 지지부재
200: 근위 지지부재
300: 작동 부재
400: 연결 부재
500: 전극
600: 전원공급라인
700: 센싱 부재
800: 센싱라인
900: 센터 부재
1000: 샤프트 바디
1100: 코어 부재
1200: 패싱 튜브
1300: 단부 팁
1400: 팁 센싱 부재
1500: 멀티플렉서
100:
200: proximal support member
300: operating member
400: connecting member
500: electrode
600: Power supply line
700: sensing member
800: sensing line
900: center member
1000: Shaft body
1100: core member
1200: passing tube
1300: end tip
1400: tip sensing member
1500: Multiplexer

Claims (19)

상호 간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적어도 하나가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공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는 2개의 변이 결합 고정된 원위 지지부재 및 근위 지지부재;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원위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근위 지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원위 지지부재와 상기 근위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되어 벤딩 부위가 상기 센터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복수의 연결 부재;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의 벤딩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전극;
상기 복수의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대한 전원공급경로를 제공하는 전원공급라인;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싱 부재; 및
상기 센싱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센싱 부재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센싱라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A distal supporting member and a proximal supporting memb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having at least one hollow and having two side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ol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An operating member which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whose distal end is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to move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t least one portion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s narrowed by the actuating member,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figured to move away from the center member;
A plurality of electrodes provided at respective bend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to generate heat;
A power supply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to provide a power supply path for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t least one sensing memb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A sensing line connected to the sensing member and providing a path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member,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OCT 센서, 유속측정 센서, IVUS 센서 및 생체전기신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mb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OCT sensor, a flow rate sensor, an IVUS sensor, and a bioelectrical signal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측정 센서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low rate measurement sensor is mounted to the distal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내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 이상의 높이를 갖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mber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at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r in the vicinit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nd has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mber is bent and attached to a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n a curv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라인을 분기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ultiplexer for branching the line for at least one of the power input line and the sensing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된 부분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상기 근위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nsing line is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원위 지지부재 또는 상기 근위 지지부재가 외측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센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 member inserted into the hollow of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or the proximal support member, Further comprising a cathe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센터 오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센터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enter member is formed with an elongated central recess in the outer surface in the form of a recess in the form of an outer, inwardly concave shape, and at least a part of the opera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enter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근위 지지부재의 근위 단부 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샤프트 바디; 및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격 부분이 상기 샤프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형성되도록 구성된 코어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supply line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nsing line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so as to form an inner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in a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and locat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proximal support member, A shaft body accommodating the shaft; And
Wherein at least a part of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body is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art of an inner surface of the shaft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spacing portion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body And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 / RTI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는, 외면에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코어 오목부가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re member has a core reces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in the form of an outer, inwardly concave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to the proximal end,
Wherein the actuating member is moved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actua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re reces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haft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은, 상기 작동부재와 다른 코어 오목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nsing line are inserted into core recesses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중공을 구비하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코어 오목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중공에 상기 작동 부재, 상기 전원공급라인 및 상기 센싱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패싱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member,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sens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shaft body at least partially in the core recess, Wherein the catheter further comprises a passageway for receiving the cath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근위 지지부재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원위 지지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l support member is fixed in position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ctuating member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by actu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Wherein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s fixed in position and the distal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ctuating member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 by actu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부재는, 상기 원위 지지부재 및 상기 근위 지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곡선 형태로 벤딩되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member is bent and attached to a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the proximal support member in a curv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지지부재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 팁; 및
상기 단부 팁에 구비되어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팁 센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nd ti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distal support member; And
A tip sensing member provided on the end tip for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 / RTI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팁은 상기 팁 센싱 부재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팁 센싱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에 인입되거나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end tip is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receiving the tip sensing member,
Wherein the tip sensing member is drawn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ner space by actuation of the actuating member.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테터를 포함하는 신경차단 장치.18. A nerve blockage device comprising a cathe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KR1020150028358A 2015-02-27 2015-02-27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54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58A KR102054003B1 (en) 2015-02-27 2015-02-27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58A KR102054003B1 (en) 2015-02-27 2015-02-27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108A true KR20160105108A (en) 2016-09-06
KR102054003B1 KR102054003B1 (en) 2019-12-12

Family

ID=5694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358A KR102054003B1 (en) 2015-02-27 2015-02-27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00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063A (en) * 2003-08-01 2005-02-21 바이오센스 웹스터 인코포레이티드 Catheter with electrode strip
JP2012110748A (en) * 2004-10-05 2012-06-14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Apparatus for renal neuromodulation
KR101399555B1 (en) * 2013-02-05 2014-05-27 주식회사 한독 Catheter for denervation
KR20140100168A (en)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한독 Catheter for denervation
KR20140104198A (en)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한독 Catheter for denervation
US20140276746A1 (en) * 2013-03-15 2014-09-18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two or more sites along denervation cathe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063A (en) * 2003-08-01 2005-02-21 바이오센스 웹스터 인코포레이티드 Catheter with electrode strip
JP2012110748A (en) * 2004-10-05 2012-06-14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Apparatus for renal neuromodulation
KR101399555B1 (en) * 2013-02-05 2014-05-27 주식회사 한독 Catheter for denervation
KR20140100168A (en)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한독 Catheter for denervation
KR20140104198A (en)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한독 Catheter for denervation
US20140276746A1 (en) * 2013-03-15 2014-09-18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two or more sites along denervation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003B1 (en)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5909B2 (en) Excision system
JP7003061B2 (en) Catheter sensing and irrigation
JP5576274B2 (en) Improved catheter
EP2477572B1 (en) Medical ultrasound device with force detection
US9078667B2 (en) Catheter having reduced force concentration at tissue contact site
EP3058969B1 (en) Injection device for endoscopy
US20090088631A1 (en) Catheter
BR112015002311B1 (en) Electrical ablation device and method of treating tissue electrosurgically
JP2014506169A (en) Irrigation solution dispersion system for flexible electrodes
JP6605594B2 (en)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92926B1 (en)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8102991A (en) Sleeve, injection device, injection system, ablation device and ablation system
KR101370048B1 (en) Catheter for denervation
US20200261178A1 (en) Medical device with mitigation for tissue perforation
US20190160256A1 (en) Lumen management catheter
KR102033760B1 (en)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4176690A (en) Dongle with shape memory
KR102054003B1 (en) Catheter and denerv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20331553A1 (en) Wire management coupler for a medical device
CN215651496U (en) Electrode device, medical catheter and ablation system
KR101371585B1 (en) medical catheter structure
KR102033759B1 (en)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3025694A (en) Method for renal sympathetic nerve ablation
CN114831723A (en) Medical catheter
CN115990309A (en) Steerable sheath and catheter with circular def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