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820A -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820A
KR20160103820A KR1020150026680A KR20150026680A KR20160103820A KR 20160103820 A KR20160103820 A KR 20160103820A KR 1020150026680 A KR1020150026680 A KR 1020150026680A KR 20150026680 A KR20150026680 A KR 20150026680A KR 20160103820 A KR20160103820 A KR 20160103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cartridge
slot
impeller
foi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웅
이명준
정현석
조경석
문한석
박치용
양현섭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820A/ko
Publication of KR2016010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B60L11/18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4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axial foil bea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400)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200) 및 임펠러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스테이터(610) 및 로터(630)와, 상기 스테이터(610) 및 로터(630)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40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샤프트(650)가 구비된 블로어 모터(600)와, 원통형의 카트리지(710)와,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포일 베어링부(75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6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어셈블리(70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710)의 벽면에는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포일 슬롯(71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포일 슬롯(712)의 일측면과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고, 상기 포일 슬롯(712)의 타측면과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기 블로어의 내구성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포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Air blower for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베어링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차량은 수소와 산소가 가습기에 공급되어 물의 전기분해 역반응인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차량의 구동력으로 공급하는 차량을 말하며, 한국특허등록 제0962903호에 일반적인 연료전지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연료전지 차량은 통상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와 공기를 가습하여 공급하는 가습기와, 가습기에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가습기에 산소를 포함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연료전지 스택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공기공급부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에어클리너와, 에어클리너에서 여과된 공기를 압축해 공급하는 공기 블로어, 공기 블로어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구성된다.
공기 블로어는 내부에 공기 흡입 및 압축을 위한 임펠러와, 임펠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가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축은 전방 및 후방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는 시스템의 특성 상 오일 순환을 통해 냉각 및 윤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에어 포일 베어링을 이용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에어 포일 베어링은 카트리지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일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되고, 타단은 카트리지 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 볼트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에어 포일 베어링은 체결 볼트가 직접 포일부에 접촉되어 접촉부가 훼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체결홈에 삽입된 부분이 카트리지와 이격되면 포일부의 일부가 회전축을 향해 밀리면서 돌출될 수 있는데, 돌출된 부분이 수십 미크론 정도로 미세하더라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해당 부분만 집중적으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부분의 변형만이 심해져 베어링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0962903호 (등록일 2010. 06. 01)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의 결합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기 블로어의 내구성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포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400)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200) 및 임펠러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스테이터(610) 및 로터(630)와, 상기 스테이터(610) 및 로터(630)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40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샤프트(650)가 구비된 블로어 모터(600)와, 원통형의 카트리지(710)와,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포일 베어링부(75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6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어셈블리(70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710)의 벽면에는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포일 슬롯(71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포일 슬롯(712)의 일측면과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고, 상기 포일 슬롯(712)의 타측면과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는 일단이 자유 단부(758)이고, 타단이 상기 포일 슬롯(712)에 삽입되는 결합 단부(75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슬롯(712) 및 상기 결합 단부(756)에는 동일 축선 상에 체결홀(712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홀(712a)에 체결 볼트(77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베어링부는 내주면 및 외주면을 이루는 복수의 서포팅 포일(752)과, 상기 서포팅 포일(752)의 사이에 삽입되고 진동 흡수를 위한 곡면부가 구비된 범프 포일(7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는 상기 결합 단부(756)가 상기 체결 볼트(7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슬롯(712)은 예각을 이루는 부분(θ1)이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자유 단부(758)를 향하는 상기 포일 슬롯(712)의 일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슬롯(712)은 둔각을 이루는 부분(θ2)이 상기 체결 볼트(770)가 삽입되는방향을 향하는 상기 포일 슬롯(712)의 타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슬롯(712)의 폭(H)은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의 폭보다 설정 값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 값은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 폭의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홀(712a)은 상기 체결 볼트(77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폭(L1)은 상기 카트리지(710)의 폭(L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는 베어링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기 블로어의 내구성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포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에 따른 에어 포일 베어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에어 포일 베어링 어셈블리에 따른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에어 포일 베어링 어셈블리에 따른 주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공기 블로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편의상 공기 유입구쪽 방향을 전방으로, 리어 케이스쪽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에 따른 에어 포일 베어링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에어 포일 베어링 어셈블리에 따른 주요 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에어 포일 베어링 어셈블리에 따른 주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전방에 결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400)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200) 및 임펠러 하우징(300)과, 하우징(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500)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임펠러(400)를 회전 구동시키는 블로어 모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펠러 하우징(300)의 전방 중앙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전방 양측에는 공기 토출구(330)가 형성된다. 임펠러(400)는 임펠러 하우징(3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임펠러(400)를 관통하는 중공에 후술할 블로어 모터(600)의 모터 샤프트(650)가 결합된다. 임펠러(400)에 의해 공기 유입구(3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임펠러(400)에 의해 압축되어 공기 토출구(330)로 배출된다.
리어 커버(500)는 하우징(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모터 샤프트(6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모터 샤프트(650)의 단부를 지지한다.
블로어 모터(600)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610)와, 스테이터(610)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자성체인 로터(630)와, 로터(630)의 중앙에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 샤프트(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 샤프트(650)는 일단이 임펠러(400)의 중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펠러(4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베어링 어셈블리(670)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 단부 역시 베어링 어셈블리(7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블로어 모터(600)가 작동되면, 모터 샤프트(650)가 회전하면서 임펠러(400)를 회전 구동시키고, 외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되어 임펠러(400)를 지나면서 압축된 후 공기 토출구(330)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베어링 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편의상 포일 베어링부의 단부 중 체결 볼트에 결합되는 부분을 결합 단부, 체결 볼트에 결합되지 않는 부분을 자유 단부로 정의하기로 함).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어링 어셈블리(7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의 카트리지(710)와, 카트리지(710)에 연결되며 카트리지(710)를 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서포팅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트리지(710)는 벽면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카트리지(710)의 비어 있는 내부에는 복수의 포일 베어링부(750)가 삽입된다. 카트리지(710)의 벽면에는 각 포일 베어링부(75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포일 슬롯(712)이 함몰 형성된다.
포일 베어링부(750)는 내주면 및 외주면을 이루는 복수의 서포팅 포일(752)과, 진동이나 충격 흡수 및 완충이 가능한 곡면부가 구비되고 서포팅 포일(752)의 사이에 삽입된 범프 포일(754)로 구성될 수 있다. 서포팅 포일(752) 및 범프 포일(754)은 모두 박판 형상으로, 강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포일(foil) 형상일 수 있다. 범프 포일(754)이 충격 흡수가 가능한 곡면부를 구비하므로 모터 샤프트(650)의 회전에 따른 진동은 범프 포일(754)에서 흡수된다.
포일 베어링부(750)는 일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포일 슬롯(712)에 삽입되어 체결 볼트(770)에 결합되는 결합 단부(756)로 형성된다. 포일 베어링부(750)의 자유 단부(758)로부터 결합 단부(756)가 시작되는 부분 전까지는 포일 베어링부(750)는 결합 단부(756)가 포일 슬롯(7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따라서 결합 단부(756)가 포일 슬롯(7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일 베어링부(750)는 외주면이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포일 베어링부(750)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의 포일 베어링부(750)가 각각 포일 슬롯(712)에 삽입되면 포일 베어링부(750)가 대략적인 원형을 이루게 된다. 포일 베어링부(75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비되어 각각 카트리지(710)의 내경 중심으로부터 120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포일 슬롯(712)은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직선으로 요입되며, 포일 슬롯(712)의 일측면과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고, 포일 슬롯(712)의 타측면과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각을 이루는 부분은 포일 베어링부(750)의 자유 단부(758)를 향하는 포일 슬롯(712)의 일측이며, 도 4에 θ1로 표시하였다. 둔각을 이루는 부분은 후술할 체결 볼트(770)가 삽입되는 쪽을 향하는 포일 슬롯(712)의 타측이며, 도 4에 θ2로 표시하였다.
포일 슬롯(712)의 둔각을 이루는 부분(θ2)는 포일 베어링부(750)와 접촉되는 코너 부분이 라운드지지 않고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일 슬롯(712)의 둔각을 이루는 부분(θ2)이 곡면으로 형성되면 포일 베어링부(750)의 유동 시 포일 베어링부(750)를 제대로 가압해주지 못해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와 카트리지(710)가 밀착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포일 베어링부(750)가 카트리지(710)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떠서 마모되는 원인이 되므로, 포일 슬롯(712)의 둔각을 이루는 부분(θ2)에 각을 줌으로써 포일 베어링부(750)가 카트리지(7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포일 슬롯(712)에 각을 주어 설계하게 되면 제조 공정 시 치수 관리가 유리하고 제조가 편리해지는 장점도 있다.
포일 슬롯(712)의 폭(H)은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의 폭보다 설정 값만큼 큰 것이 바람직하다. 포일 슬롯(712)의 폭(H)은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의 폭보다 20% 이상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포일 슬롯(712)의 폭(H)이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포일 베어링부(750)가 구동 중 포일 슬롯(712) 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샤프트(650)의 회전 구동 중 회전력 및 공기역학적 힘에 의해 포일 베어링부(750)가 가압되거나 밀리더라도 돌출되는 부분 없이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에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포일 슬롯(712)의 폭(H)은 포일 베어링부(750)의 적층 수가 늘어날 때마다 미리 설정된 값만큼 누적 증가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일 슬롯(712) 및 포일 슬롯(712)에 삽입되는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에는 체결홀(712a)이 관통 형성되며, 체결홀(712a)에 체결 볼트(770)가 삽입된다. 체결 볼트(770)는 포일 슬롯(712) 및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를 관통하여 카트리지(710)의 벽면에 삽입된다.
체결 볼트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체결하게 되므로, 작업자마다 조립 시 가하는 힘이 모두 다르게 작용한다. 따라서 체결 볼트가 포일 베어링부에 직접 접촉하는 종래의 구조는 체결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포일 베어링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체결홀(712a)을 포일 베어링부(750)에도 구비함으로써 체결 볼트(770)가 포일 베어링부(750)의 표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일 슬롯(712) 및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에 형성되는 체결홀(712a)은 체결 볼트(77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770)의 길이 방향 중심축과 포일 슬롯(712) 및 포일 베어링부(750)의 체결홀(712a)의 중심축이 일치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설계 기준으로 체결홀(712a)을 설계할 수 있다.
체결 볼트(770)의 반경을 A라고 하고, 포일 슬롯(712) 및 포일 베어링부(750)의 체결홀(712a) 반경을 B라고 하면, B는 A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B는 A보다 1.15배 큰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포일 베어링부(750)가 체결 볼트(7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유동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모터 샤프트(650)의 회전 구동 중 포일 베어링부(750)가 가압되거나 밀리더라도 돌출되는 부분 없이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에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일 베어링부(750)과 체결 볼트(770) 사이에 최소한의 유동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체결 볼트(77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서 포일 베어링부(750)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C라고 하고, 체결 볼트(770)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서 카트리지(710)의 외측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하면, B-A는 D-C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일 베어링부(750)의 폭(L1)은 카트리지(710)의 폭(L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트리지(710)의 외측으로 포일 베어링부(75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설계상의 기준이다.
일 예로 전술한 기준을 적용하여 실제 설계를 한다면, A는 1.5mm, B는 1.75mm, C는 3.5mm, D는 4mm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어링 어셈블리는 포일 베어링부의 결합 단부가 포일 슬롯 및 체결 볼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유동 공간을 갖게 된다. 따라서 공기 블로어가 구동되어 모터 샤프트가 회전하고, 그에 따른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포일 베어링부가 카트리지 내에서 유동하면서 스스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공기 블로어 100: 하우징
200: 임펠러 지지부 300: 임펠러 하우징
310: 공기 유입구 330: 공기 토출구
400: 임펠러 500: 리어 커버
600: 블로어 모터 610: 스테이터
630: 로터 650: 모터 샤프트
700: 베어링 어셈블리 710: 카트리지
712: 포일 슬롯 712a: 체결홀
730: 서포팅부 750: 포일 베어링부
752: 서포팅 포일 754: 범프 포일
756: 결합 단부 758: 자유 단부

Claims (11)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400)를 지지하는 임펠러 지지부(200) 및 임펠러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스테이터(610) 및 로터(630)와, 상기 스테이터(610) 및 로터(630)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40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샤프트(650)가 구비된 블로어 모터(600)와,
    원통형의 카트리지(710)와,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포일 베어링부(75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6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어셈블리(70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710)의 벽면에는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포일 슬롯(71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포일 슬롯(712)의 일측면과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고, 상기 포일 슬롯(712)의 타측면과 상기 카트리지(71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는 일단이 자유 단부(758)이고, 타단이 상기 포일 슬롯(712)에 삽입되는 결합 단부(7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슬롯(712) 및 상기 결합 단부(756)에는 동일 축선 상에 체결홀(712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홀(712a)에 체결 볼트(77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베어링부는 내주면 및 외주면을 이루는 복수의 서포팅 포일(752)과, 상기 서포팅 포일(752)의 사이에 삽입되고 진동 흡수를 위한 곡면부가 구비된 범프 포일(7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는 상기 결합 단부(756)가 상기 체결 볼트(7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슬롯(712)은 예각을 이루는 부분(θ1)이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자유 단부(758)를 향하는 상기 포일 슬롯(712)의 일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슬롯(712)은 둔각을 이루는 부분(θ2)이 상기 체결 볼트(770)가 삽입되는방향을 향하는 상기 포일 슬롯(712)의 타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슬롯(712)의 폭(H)은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의 폭보다 설정 값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결합 단부(756) 폭의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712a)은 상기 체결 볼트(77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 베어링부(750)의 폭(L1)은 상기 카트리지(710)의 폭(L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KR1020150026680A 2015-02-25 2015-02-25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KR20160103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80A KR20160103820A (ko) 2015-02-25 2015-02-25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80A KR20160103820A (ko) 2015-02-25 2015-02-25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820A true KR20160103820A (ko) 2016-09-02

Family

ID=5694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680A KR20160103820A (ko) 2015-02-25 2015-02-25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8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122A (zh) * 2021-03-03 2021-06-22 北京兰天达汽车清洁燃料技术有限公司 一种氢气循环泵的离心式压气机
CN113153769A (zh) * 2021-03-03 2021-07-23 北京兰天达汽车清洁燃料技术有限公司 一种离心式氢气循环泵
WO2023163266A1 (ko) * 2022-02-28 2023-08-31 (주)건우테크 에어포일 저널 베어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03B1 (ko) 2007-12-1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용 통합형 수소재순환블로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03B1 (ko) 2007-12-1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용 통합형 수소재순환블로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7122A (zh) * 2021-03-03 2021-06-22 北京兰天达汽车清洁燃料技术有限公司 一种氢气循环泵的离心式压气机
CN113153769A (zh) * 2021-03-03 2021-07-23 北京兰天达汽车清洁燃料技术有限公司 一种离心式氢气循环泵
CN113153769B (zh) * 2021-03-03 2021-12-07 北京兰天达汽车清洁燃料技术有限公司 一种离心式氢气循环泵
CN113007122B (zh) * 2021-03-03 2022-02-18 北京兰天达汽车清洁燃料技术有限公司 一种氢气循环泵的离心式压气机
WO2023163266A1 (ko) * 2022-02-28 2023-08-31 (주)건우테크 에어포일 저널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3836B2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CN113775544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JP4841512B2 (ja) 加湿器
KR20160103820A (ko)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US8317497B2 (en) Motor-fan assembly having a tapered stationary fan with a concave underside
CN113775545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113775547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KR102386072B1 (ko) 스크류 스핀들 펌프
CN215521343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15521345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15521344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215595958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US8317496B2 (en) Motor-fan assembly having a tapered fan with a concave underside
KR100901590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모터용 조립지그
KR101709809B1 (ko)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워
KR20150032978A (ko)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워
CN215267811U (zh) 电机及使用其的风机
KR102118594B1 (ko)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어
CN216044557U (zh) 一种改进的循环风扇
CN211460040U (zh) 一种集成定叶轮的电机机壳及电机
KR20120035695A (ko) 차량용 공기블로어
CN217354830U (zh) 风机及清洁设备
CN221237923U (zh) 空调室内机
KR101357932B1 (ko)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워
CN219394558U (zh) 一种直流无刷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