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411A -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411A
KR20160101411A KR1020150023912A KR20150023912A KR20160101411A KR 20160101411 A KR20160101411 A KR 20160101411A KR 1020150023912 A KR1020150023912 A KR 1020150023912A KR 20150023912 A KR20150023912 A KR 20150023912A KR 20160101411 A KR20160101411 A KR 2016010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nector
frame
present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411A/ko
Publication of KR2016010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판형태로 다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되며, (+) 전극 및 (-)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1전극부(110); 및 상기 관통공(111)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를 고정하는 커넥터(122)와, 상기 커넥터(122)가 고정되는 프레임(123)을 포함하여 나머지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2전극부(120)를 포함하여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용 대전장치{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돌출부를 고정하는 커넥터가 프레임에 고정된 형태로서,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는 좁고 밀폐되어 있어 오염되기 쉬우며, 도심의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때문에 차량 실내의 오염은 더욱 가중된다. 특히, 현재 차량 보급률이 계속 증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시간도 늘어나고 있어 차량 내부의 쾌적성 유지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차량 내부를 정화하는 일예로서, 공기의 정화과정에서 포집된 미생물을 멸균 처리하여 보다 청정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10-2004-97758호로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51)와 출구(52)가 구비된 케이스(50)와, 상기 흡입구(51)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물질이나 분진을 포집하는 제1필터(60)와, 전기의 방전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정전집진기(70)와, 상기 케이스(50)의 출구(52) 전방에 설치되고 광촉매가 코팅되어 유기물질을 분해하고 유해 미생물을 멸균시키는 제2필터(90)와, 상기 정전집진기(70)와 제2필터(9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필터(90)의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자외선 램프(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자외선 램프의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유해 미생물을 멸균시킴과 동시에 유기물질의 분해를 통해 악취발생요인을 제거하고 있다. 케이스(50)의 흡입구(5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필터(6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는데, 제1필터(60)는 주로 입자가 큰 분진 등을 걸러내게 된다. 이렇게 1차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는 정전집진기(70)로 유입되는데, 전원공급부(73)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방전전극(71)에 의해 대전된 미세한 분진입자가 집진전극(72)으로 흡착된다. 따라서, 제1필터를 통과한 미세먼지가 정전집진기(70)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정전집진기(70)를 통과한 공기가 제2필터(90)로 흐르는 도중 자외선 램프(80)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살균된다. 또한, 상기 제2필터(90)는 상기 자외선 램프(80)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등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포집된 미세먼지 등에 포함된 곰팡이나 세균 등의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여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50)의 출구(5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먼지와 유해 미생물이 제거된 청정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다양한 필터를 이용하거나, 멸균을 위한 자외선 램프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한다.
그런데,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필터는 크게 분진필터를 이용하여 특정 직경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는 형태, 활성탄필터 등을 이용하여 세균, 곰팡이 및 악취발생인자를 포집하는 형태, 및 먼지가 특정 전하를 띄도록 방전한 후 포집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위 첫 번째 및 두 번째 형태의 필터는 포집에 의해 먼지를 제거함에 따라 필터를 교체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반해, 세 번째의 정전 집진 형태의 필터는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작은 크기의 입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정전 집진 형태의 필터인 정전집진기(70)의 먼지 포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유입된 먼지(D)를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하는 방전판(71a) 및 방전핀(71b)을 포함하는 대전부(71)와, 상기 대전부(71)를 통해 대전된 먼지(D')를 집진하는 집진부(72)를 포함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한 형태의 정전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됨에 따라 방전핀의 첨예한 단부에서 전자파 노이즈 및 오존이 발생된다. 전자파 노이즈는 차량 내부의 다양한 기기의 작동을 방해하며, 오존은 인체에 해로와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05276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공기청정기, 공개일자 : 2004.11.1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부를 고정하는 커넥터가 프레임에 고정된 형태로서,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고정되어 전체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판형태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 전극 및 (-)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관통공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고정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나머지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여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커넥터와 프레임이 용접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커넥터 및 프레임 중 하나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커넥터와 프레임이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전극부는 용접고정 및 볼록부와 오목부의 삽입에 의한 고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고정되어 전체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돌출부는 핀, 미세금속다발, 및 전도성브러시 중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돌출부를 고정하는 커넥터가 프레임에 고정된 형태로서,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고정되어 전체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기정화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정전 집진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의 제2전극부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의 제2전극부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의 제2전극부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의 제2전극부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의 제2전극부(120)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의 제2전극부(120)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의 제2전극부(120)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의 제2전극부(120)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부(110)는 (+) 전극 및 (-) 전극 중 하나가 인가되는 구성으로서, 전도성 소재의 판 형태에 다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전극부(120)는 상기 제1전극부(110)와는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어 상기 제1전극부(110)와 함께 먼지를 대전시킨다. 이 때, 상기 제2전극부(120)는 돌출부(121)와, 커넥터(122)와, 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관통공(111)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전계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커텍터는 상기 돌출부(121)를 고정하는 구성이며, 상기 프레임(123)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123)은 길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돌출부(121) 및 커넥터(122) 조립체를 고정한다.
이 때, 상기 돌출부(12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형태일 수도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금속다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전도성재질의 브러쉬 형태일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제1전극부(110)에 (+) 전극이, 상기 제2전극부(120)에 (-) 전극이 인가되면 상기 돌출부(121)로부터 상기 관통공(111) 내주면으로의 전계(Electric Field)가 원활하게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를 통과하는 미세 먼지의 대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커넥터(122) 및 프레임(123)은 다양한 형태 및 고정방법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돌출부(121)가 핀 형태로서, 상기 커넥터(122)가 상기 돌출부(121)의 둘레 전체를 감싸 고정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커넥터(122)에 볼록부(122a)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23)에 상기 볼록부(122a)와 대응되는 오목부(123a)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122)의 볼록부(122a)가 상기 프레임(123)의 오목부(123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커텍터의 볼록부(122a)가 상기 프레임(123)의 오목부(123a)에 삽입된 후,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용접하거나, 별도의 접착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이와 반대로, 상기 커넥터(122)에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23)에 볼록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커넥터(122)가 프레임(123)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도 5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커넥터(122)가 프레임(123)의 상면에 고정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형태와 비교하여 전체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는 상기 커넥터(122)가 "ㄷ"자 형태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122)는 돌출부(121)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돌출부(121)가 미세금속다발 형태로서, 상기 커넥터(122)와 프레임(123)이 용접고정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돌출부(121)가 브러쉬 형태로서, 상기 커넥터(122) 자체가 전도성재질의 브러쉬를 직접 고정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커넥터(122)와 프레임(123)이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기계적 결합이란, 볼트 등의 고정수단(140)을 이용한 물리적인 고정 방식을 의미한다. 일 예로서, 도 8에 상기 커넥터(122)에 체결공(122b)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23)에 볼트(고정수단(140))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오목부(123a)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커넥터(122)에 체결공(122b)이 형성되는 위치, 프레임(123)의 오목부(123a)가 형성되는 위치, 고정수단(140)의 종류 등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가 케이스(1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제2전극부(120)가 상기 케이스(13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전극부(110)가 상기 케이스(130)의 상측에 안착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상기 케이스(130)의 형태 및 고정 형태 등은 더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110 : 제1전극부
111 : 관통공
120 : 제2전극부 121 : 돌출부
122 : 커넥터 122a : 볼록부
122b : 체결공
123 : 프레임 123a : 오목부
130 : 케이스
140 : 고정수단

Claims (6)

  1. 판형태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 전극 및 (-)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관통공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고정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나머지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커넥터와 프레임이 용접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던기집진용 대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커넥터 및 프레임 중 하나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커넥터와 프레임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던기집진용 대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핀, 미세금속다발, 및 전도성브러시 중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KR1020150023912A 2015-02-17 2015-02-17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KR20160101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912A KR20160101411A (ko) 2015-02-17 2015-02-17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912A KR20160101411A (ko) 2015-02-17 2015-02-17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11A true KR20160101411A (ko) 2016-08-25

Family

ID=5688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912A KR20160101411A (ko) 2015-02-17 2015-02-17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4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586B1 (ko) * 2020-09-02 2021-03-26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지하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에너지절약형 오존프리 전기집진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76B1 (ko) 2003-05-13 2005-08-0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76B1 (ko) 2003-05-13 2005-08-0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586B1 (ko) * 2020-09-02 2021-03-26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지하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에너지절약형 오존프리 전기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409A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KR100749772B1 (ko) 공기 정화기
KR101641296B1 (ko) 유해 가스 및 입자를 동시에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JP3742863B2 (ja) 空気浄化装置
KR20160099310A (ko) 전기집진장치
KR20160101407A (ko) 전기집진장치
JP2005055114A (ja) 空気清浄機
KR10209270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장치
KR200494084Y1 (ko)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160054734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160101408A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KR101187134B1 (ko) 차량용 공기정화 필터구조
CN205606756U (zh) 电离式空气净化装置
KR20160054732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160054729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160101411A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KR102065350B1 (ko) 전기집진장치
KR20160104864A (ko) 전기집진장치
KR20160029316A (ko) 차량용 정전 집진 장치
KR20160099307A (ko) 전기집진장치
KR20160101410A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KR100404862B1 (ko) 공기정화장치
JP3709449B1 (ja) ガス処理装置
TWI646289B (zh) 空氣淨化裝置與空氣淨化方法
JP2000051332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