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408A -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408A
KR20160101408A KR1020150023909A KR20150023909A KR20160101408A KR 20160101408 A KR20160101408 A KR 20160101408A KR 1020150023909 A KR1020150023909 A KR 1020150023909A KR 20150023909 A KR20150023909 A KR 20150023909A KR 20160101408 A KR20160101408 A KR 2016010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harging device
tubular member
electrode portion
tubula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6609B1 (en
Inventor
박지용
김재호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609B1/en
Publication of KR2016010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4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Abstract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dust col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electrode unit (110) including a tubular member (111), which has a hollow tube shape with a hollow inside and to which one of a positive (+) electrode and a negative (-) electrod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unit (120), which includes a protrusion (121)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tubular member (111) and to which the other of the electrodes is applied, so a corona discharge is further activated a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thereby maximizing a charging effect and sufficiently ensuring a space in which air flows.

Description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0002]

본 발명은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제1전극부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의 관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제2전극부의 돌출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더욱 활성화시켜 대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which a first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hollow tubular member having a hollow interior, thereby enabling the corona discharge to be further activated 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To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accumulation.

차량의 실내는 좁고 밀폐되어 있어 오염되기 쉬우며, 도심의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때문에 차량 실내의 오염은 더욱 가중된다. 특히, 현재 차량 보급률이 계속 증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시간도 늘어나고 있어 차량 내부의 쾌적성 유지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narrow and airtight,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further exacerbated by fine dust and various pollutants in the city. Particularly, since the current vehicle penetration rat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time in which the user is inside the vehicle also increases, research for maintaining the comfort inside the vehicle continues.

차량 내부를 정화하는 일예로서, 공기의 정화과정에서 포집된 미생물을 멸균 처리하여 보다 청정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10-2004-97758호로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51)와 출구(52)가 구비된 케이스(50)와, 상기 흡입구(51)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물질이나 분진을 포집하는 제1필터(60)와, 전기의 방전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정전집진기(70)와, 상기 케이스(50)의 출구(52) 전방에 설치되고 광촉매가 코팅되어 유기물질을 분해하고 유해 미생물을 멸균시키는 제2필터(90)와, 상기 정전집진기(70)와 제2필터(9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필터(90)의 광촉매를 활성화시키는 자외선 램프(80)를 포함하고 있다.As an example of purify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ir purifiers for automobiles for sterilizing microbes captured in the air purification process and allowing cleaner air to enter the room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97758. 1, the air cleaner for a vehicle includes a case 50 having a suction port 51 and an outlet port 52, a first air cleaner 5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ir suction port 51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or dust, A filter 60 installed in front of the outlet 52 of the case 50 and a static eliminator 70 for adsorbing fine dust using electric discharge and a photocatalyst disposed in front of the outlet 52 of the case 50 to decompose the organic material, And an ultraviolet lamp 80 installed between th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70 and the second filter 90 to activate the photocatalyst of the second filter 9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자외선 램프의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유해 미생물을 멸균시킴과 동시에 유기물질의 분해를 통해 악취발생요인을 제거하고 있다. 케이스(50)의 흡입구(5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필터(6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는데, 제1필터(60)는 주로 입자가 큰 분진 등을 걸러내게 된다. 이렇게 1차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는 정전집진기(70)로 유입되는데, 전원공급부(73)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방전전극(71)에 의해 대전된 미세한 분진입자가 집진전극(72)으로 흡착된다. 따라서, 제1필터를 통과한 미세먼지가 정전집진기(70)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정전집진기(70)를 통과한 공기가 제2필터(90)로 흐르는 도중 자외선 램프(80)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살균된다. 또한, 상기 제2필터(90)는 상기 자외선 램프(80)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등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포집된 미세먼지 등에 포함된 곰팡이나 세균 등의 유해 미생물을 살균하여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50)의 출구(5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먼지와 유해 미생물이 제거된 청정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for vehicles, the harmful microorganisms are sterilized using the photocatalyst activated by the ultraviolet rays of the ultraviolet lamp, and odor generation factors are removed through decomposition of organic material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51 of the case 5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60. The first filter 60 mainly filters dust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The primary filtered air flows in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0.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73, the fine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discharge electrode 71 are attract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72. [ Therefore, the fine dus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is remove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0. Microbes such as bacteria and fungi contained in the air are sterilized by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80 whil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70 flows to the second filter 90.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90 decomposes organic matter such as ammonia by using the photocatalyst activated by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80, thereby preventing odor from being generated, The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fungus and bacteria are sterilized and removed.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2 of the case 50 is in a clean state in which dust and harmful microorganisms are removed.

즉,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미세먼지가 포집되는 다양한 필터를 이용하거나, 멸균을 위한 자외선 램프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한다.That is, the air cleaner for vehicles uses a variety of filters collecting fine dust to purify indoor air of the vehicle, or a combination of ultraviolet lamps for sterilization.

그런데,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필터는 크게 분진필터를 이용하여 특정 직경 이상의 입자를 걸러내는 형태, 활성탄필터 등을 이용하여 세균, 곰팡이 및 악취발생인자를 포집하는 형태, 및 먼지가 특정 전하를 띄도록 방전한 후 포집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However, the filter for collecting fine dust mainly uses a particulate filter to filter out particles having a specific diameter or more, a form for collecting bacteria, fungi and odor generating factors by using an activated carbon filter, And discharging and then collecting.

위 첫 번째 및 두 번째 형태의 필터는 포집에 의해 먼지를 제거함에 따라 필터를 교체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반해, 세 번째의 정전 집진 형태의 필터는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작은 크기의 입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rst and second type filters need to be replaced as the dust is removed by trapping, while the third type of dust collecting filter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and the small size particles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도 2는 정전 집진 형태의 필터인 정전집진기(70)의 먼지 포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유입된 먼지(D)를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하는 방전판(71a) 및 방전핀(71b)을 포함하는 대전부(71)와, 상기 대전부(71)를 통해 대전된 먼지(D')를 집진하는 집진부(72)를 포함한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ust collection of th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70 which is a filter of 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type and includes a discharge plate 71a for charging the introduced dust D by corona discharge and a discharge pin 71b A charging unit 71 and a dust collecting unit 72 for collecting the charged dust D 'through the charging unit 71. [

그런데, 도 2에 도시한 형태의 정전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됨에 따라 방전핀의 첨예한 단부에서 전자파 노이즈 및 오존이 발생된다. 전자파 노이즈는 차량 내부의 다양한 기기의 작동을 방해하며, 오존은 인체에 해로와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type shown in FIG. 2, electromagnetic noise and ozone are generated at the sharp ends of the discharge fin as the corona discharge is charged. Electromagnetic noise interferes with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inside the vehicle, and ozone has a problem that separate means for removing water and ozone from the human body must be provided.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05276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공기청정기, 공개일자 : 2004.11.18.)Korean Patent No. 10-0505276 (title of the invention: air cleaner for vehicles, publication date: Nov. 18, 200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전극부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의 관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제2전극부의 돌출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더욱 활성화시켜 대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sma display panel in which a first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hollow tubular member having a hollow interior to further activate a corona discharge at a protrusion of a second electrode portion, And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accumulation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ect and sufficiently securing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 전극 및 (-) 전극 중 하나가 인가되는 관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관형부재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나머지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여, 제2전극부의 돌출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더욱 활성화시켜 대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ostatic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rt including a tubular member to which one of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is appli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a second electrode part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tubular member, wherein the corona discharge is further activated by protrusions of the second electrode part to maximize the charging effect, A sufficient space for flowing can be ensured.

또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관형부재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관형부재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돌출부는 핀, 미세금속다발, 및 전도성브러시 중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may include a frame that supports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member. The protrusions may include a fin, a fine metal bundle, , And a conductive brush.

또,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고정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Further,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collecting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are fixed.

아울러,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중공되어 상기 제2전극부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삽입공에 인접하여 상기 돌출부를 보호하는 보호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apparatus, th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s hollow,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is mounted,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is formed, and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adjacent to the insertion hole to protect the protrusion The protector can be protruded.

또한,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제1전극부의 관형부재에 대응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판형태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전극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둘레면이 곡면 형태인 곡면부를 형성하여 공기를 관형부재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하여 공기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plate-shaped guide member having a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member of the first electrode portion to protect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tion so that air can be easily guided into the tubular member to reduce the air flow resistance.

또, 상기 제1전극부는 복수개의 관형부재가 서로 접합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관형부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될 수도 있다. The first electrode por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to each other, and the first electrode portion may be integrated by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ubular members.

아울러,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관형부재가 장착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관형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홈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groove or protrusion for fixing the tubular member.

또한,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관형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may be fixed to the guide member in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제1전극부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의 관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제2전극부의 돌출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더욱 활성화시켜 대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in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tubular member having a hollow inside thereof, the corona discharge can be further activated 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to maximize the charging effe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ufficient space for flowing can be secur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기정화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정전 집진기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의 제2전극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purifier for a vehicl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another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other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nd 11 are still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lectrode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나타낸 또 다른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의 제2전극부(12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를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이다.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power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 FIGS. 7 and 8 are another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100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till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rging device 100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lectrode unit 120 of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를 포함한다.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unit 110 and a second electrode unit 120.

상기 제1전극부(110)는 (+) 전극 및 (-) 전극 중 하나가 인가되는 구성으로서,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인 관형부재(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전극부(120)는 나머지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어 상기 제1전극부(110)와 함께 먼지를 대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전극부(120)는 상기 제1전극부(110)의 관통부재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21) 및 상기 돌출부(121)를 지지하는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형태일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한 금속 섬유가 다발형태로 고정되는 미세금속다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전도성재질의 브러쉬 형태일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대전부는 상기 제1전극부(110)에 (+) 전극이, 상기 제2전극부(120)에 (-) 전극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21)로부터 상기 관통부재 내주면으로의 전계(Electric Field)가 원활하게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를 통과하는 미세 먼지의 대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제1전극부(110)가 관형부재(111)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상기 돌출부(121)의 단부로부터 코로나 방전을 더욱 활성화시켜 대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부(110)는 관형부재(111) 사이의 간격을 판형으로서 관통공이 형성된 것과 비교하여 더욱 줄일 수 있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unit 110 includes a tubular member 111 in which one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is applied. The tubular member 111 has a hollow tube shape.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is configured to charge dust together with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A protrusion 121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enetrating member of the protrusion 121, and a frame 122 supporting the protrusion 121. As shown in FIG. 3 to FIG. 8, the protrusion 121 may be in the form of a fin, or may be in the form of a micro-metal bundle in which fine metal fibers are fixed in a bundle shape as shown in FIG. 12, May be in the form of a brush. More specifically, when the positive electrod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the charging unit moves from the protrusion 121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So that the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is actively charged. Particularly,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portion 110 includes the tubular member 111, and further, the corona discharge is further activat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121, Can be maximized.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can be further reduced in siz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late-shaped space between the tubular members 111,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in which the air can flow.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제1전극부(110) 및 제2전극부(120)가 고정되는 케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케이스(130)에 제2전극부(120)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130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are fixed. 5,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130 is shown.

상기 제1전극부(110)는 복수개의 관형부재(111)들이 서로 맞닿게 위치되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관형부재(111)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12)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2)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예는 공기가 상기 관형부재(111) 내부를 통해서만 유동되도록 상기 관형부재(111) 외부와 케이스(130) 사이 영역을 차단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6,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111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111 112). ≪ / RTI > 6, the region between the outside of the tubular member 111 and the case 130 is closed so that air flows only through the inside of the tubular member 111. In this case, Respectively.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전극부(110)의 관형부재(111)에 대응되는 중공부(141)가 형성된 판형태의 가이드부재(140)가 구비된 예를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상기 제1전극부(110)가 구비되는 측인 상기 도 7 및 도 8의 상기 케이스(130)의 상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상기 관형부재(111) 내부로 안내한다. 특히, 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부(141)의 둘레면이 곡면 형태인 곡면부(14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40)는 공기유동저항을 줄여 공기유동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7 and 8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plate-shaped guide member 140 having a hollow portion 141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member 111 of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is provided . The guide member 14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30 of FIGS. 7 and 8,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is provided, . Particularly,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ed surface portion 142 having the curved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141 is formed. That is, the guide member 140 has an effect of reducing air flow resistance and smoothly flowing air.

상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케이스(130)에 제2전극부(120)가 장착되어 상기 제2전극부(120)를 보호하는 장착부(131)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제2전극부(120)가 상기 케이스(130)의 장착부(131)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케이스(130)의 안착부 일측에는 상기 제1전극부(110)가 지지되는 형태를 아나내었다. 상기 장착부(131)는 상기 제2전극부(120)를 보호하도록 상기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21)가 삽입되는 삽입공(131a)이 중공되며 내부에 제2전극부(120)가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제2전극부(120)는 상기 장착부(13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전극부(120)가 상기 케이스(130)의 제조 시 함께 사출(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다. 이 때, 추가적으로, 상기 장착부(131)는 상기 삽입공(131a)에 인접하여 상기 돌출부(121)를 보호하는 보호부(132)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132)는 상기 돌출부(121)의 단부 일정영역만이 노출되도록 나머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도 8 내지 도 11에서 반구형태인 예를 나타내었으나,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9 to 11 includes a case 130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131 to which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20 is attached to protect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20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of the case 130 as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31 of the case 130. The mounting portion 13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130 to protect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20. The insertion hole 131a into which the protrusion 121 is inserted is hollow, (120) is mounted.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unit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may be jointly injected (insert injection) when the case 130 is manufactured. In this case,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31 may protrude from the insertion hole 131a to protrude the protrusion 121. The protector 132 is formed to surround the remainder of the protrusion 121 so that only a predetermined area of the protrusion 121 is exposed. The protector 121 is hemispherical in FIGS. 8 to 11,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한편, 상기 제1전극부(11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데, 복수개의 관형부재(111)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관형부재(111)들이 서로 맞닿는 형태 및 관형부재(111)들이 연결부재(112)에 의해 연결된 형태 등), 상기 케이스(130)의 제조 시 일체로 사출(인서트 사출)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111 are integrally formed (the tubular members 11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ubular members 1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injection-molded) in the production of the case 130, or may be fixed using a separate fixing means (not shown).

또한, 상기 제1전극부(110)의 관형부재(111)들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3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131)는 상기 관형부재(111)들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는데, 도 9의 경우, 상기 관형부재(111)들이 삽입되는 홈부(133)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이와는 반대로 상기 장착부(131)에 상기 관형부재(111)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tubular members 111 of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unit 131 as shown in FIG.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131 has a structure for fixing the tubular members 111. In the case of FIG. 9, the groove portions 133 into which the tubular members 111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contrary, a configuration (not shown) for guiding the tubular member 111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31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극부(110)의 관형부재(111)들은 상기 가이드부재(1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10 and 11, the tubular members 111 of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member 140.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상기 제1전극부(110)의 관형부재(111)의 배치가 상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4 형태의 행렬을 형성(1열의 관형부재(111) 중심이 다른 열의 관형부재(111) 중심과 일치)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4는 1열의 관형부재(111) 중심 사이에 다음 열의 관형부재(111) 중심이 위치되고, 이러한 배치가 반복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관형부재(111)의 개수 및 배치는 이 외에도 더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13, the arrangement of the tubular members 111 of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forms a 4 × 4 matrix (1 The center of the tubular member 111 in the row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tubular member 111 in the other row) and can be form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Particularly, FIG. 4 shows that the center of the tubular member 111 of the next row is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s of the tubular members 111 in one row, and this arrangement is repeate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tubular members 111 of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집진용 대전장치(100)는 제1전극부(110)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의 관형부재(111)를 포함함으로써 제2전극부(120)의 돌출부(121)에서 코로나 방전을 더욱 활성화시켜 대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includes a tubular tubular member 111 having a hollow interior so that the protrusion 121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electrode unit 110, The corona discharge can be further activated to maximize the charging effect and sufficient space for the air to flow can be secur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110 : 제1전극부
111 : 관형부재 112 : 연결부재
120 : 제2전극부 121 : 돌출부
122 : 프레임
130 : 케이스
131 : 장착부 131a : 삽입공
132 : 보호부 133 : 홈부
140 : 가이드부재 141 : 중공부
142 : 곡면부
100: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110: first electrode portion
111: tubular member 112: connecting member
120: second electrode part 121:
122: frame
130: Case
131: mounting portion 131a: insertion hole
132: Protective portion 133: Groove
140: guide member 141: hollow
142:

Claims (12)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 전극 및 (-) 전극 중 하나가 인가되는 관형부재를 포함하는 제1전극부; 및
상기 관형부재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나머지 하나의 전극이 인가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A first electrode part including a tubular member to which one of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is appli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And a second electrode portion including a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tubular member to which the other electrode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관형부재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관형부재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fram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핀, 미세금속다발, 및 전도성브러시 중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one of a shape selected from a fin, a bundle of fine metal, and a conductive brus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고정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collecting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are fix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중공되어 상기 제2전극부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discharge has a mounting portion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so that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is mounted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삽입공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를 보호하는 보호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rotector extending from a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to protect the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제1전극부의 관형부재에 대응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판형태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includes a plate-shaped guide member having a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member of the first electrode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둘레면이 곡면 형태인 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uide member forms a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urved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복수개의 관형부재가 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ortion has a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joined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관형부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electrode portion is integrated by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ubular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관형부재가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ar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accumul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용 대전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관형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tubular members are fixed to the guide member in the electrification charging device.
KR1020150023909A 2015-02-17 2015-02-17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2056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909A KR102056609B1 (en) 2015-02-17 2015-02-17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909A KR102056609B1 (en) 2015-02-17 2015-02-17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408A true KR20160101408A (en) 2016-08-25
KR102056609B1 KR102056609B1 (en) 2019-12-17

Family

ID=5688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909A KR102056609B1 (en) 2015-02-17 2015-02-17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60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7465A (en) * 2017-12-11 2018-06-01 东莞市宇洁新材料有限公司 A kind of charged module of integration particulate mat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90098616A (en) *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US20220032319A1 (en) * 2020-07-30 2022-02-03 Lg Electronics Inc.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US20220032322A1 (en) * 2020-07-30 2022-02-03 Lg Electronics Inc.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76B1 (en) 2003-05-13 2005-08-0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Air Cleaner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314B1 (en) * 2007-05-08 2009-06-16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201289835Y (en) * 2008-10-20 2009-08-12 邓衡明 Value electric ion emitter
CN203990918U (en) * 2014-06-04 2014-12-10 浙江南源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Electric cleaner high strength ionization device
CN104324810B (en) * 2014-10-24 2017-0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Electrostatic dust remova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76B1 (en) 2003-05-13 2005-08-03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Air Cleaner for Automobi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7465A (en) * 2017-12-11 2018-06-01 东莞市宇洁新材料有限公司 A kind of charged module of integration particulate mat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90098616A (en) *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US20220032319A1 (en) * 2020-07-30 2022-02-03 Lg Electronics Inc.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US20220032322A1 (en) * 2020-07-30 2022-02-03 Lg Electronics Inc.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609B1 (en)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298B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1773371B1 (en) Air cleaner comprising function of air sterilization and fine dust removal
KR102056611B1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0749772B1 (en) Air purifier
US20200061231A1 (en) Air purifier
JP3742863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JP3852429B2 (en) Air cleaner
KR102141980B1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2092701B1 (en) Blower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20160054731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KR20160054730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KR20160101408A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20160054734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CN205606756U (en) Ionization formula air purification device
KR101187134B1 (en) Air Clean Filter Assembly of Car
KR20160054732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KR20160054729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CN216300717U (en) Vehicle-mounted purifier
KR20160054733A (en) A Compact Air Cleaner Using UV LED and Photocatalytic Filter
KR102065350B1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1295506B1 (en) Air clearing apparatus using photocatalyst and negative ion
KR20160101411A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2140224B1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20160104864A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20160029316A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