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145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145A
KR20160099145A KR1020150020831A KR20150020831A KR20160099145A KR 20160099145 A KR20160099145 A KR 20160099145A KR 1020150020831 A KR1020150020831 A KR 1020150020831A KR 20150020831 A KR20150020831 A KR 20150020831A KR 20160099145 A KR20160099145 A KR 2016009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air purifying
purifying filter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8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9346B1 (en
Inventor
강상우
조영건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346B1/en
Publication of KR2016009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3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 cleaner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filters which is overlapped to each other. The disclosed air cleaner comprises: a housing; a filter mounting fram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first air purifying filter which is installed in the filter mounting frame; a second air purifying filter which is installed in the filter mounting frame, and is arranged in the front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and a stopper unit which forms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The air cleaner can improve liquidity of air by smoothly passing the air to the air purifying filter.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Air cleaner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정화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filters superimposed on each other.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공기정화필터에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이다. Generally, an air purifier is a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by passing air through an air purifying filter.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 공기정화필터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ir purifier products having various functional air purifying filters have been widely used.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장치 내부에 복수의 공기정화필터가 중첩 배치되는 구조에서, 필터와 필터 간에 충분한 간격이 형성되지 않아 필터의 통기구멍이 전단과 후단에 배치되는 다른 필터에 의해 막혀서 공기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filters are arranged in a superimposed manner in the apparatus, a sufficient space is not form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filter so that the ventilation hole of the filter is arrang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flowability of the air is deteriorated.

특히, 필터 장착시에는 필터와 필터 간에 간격을 형성시키더라도, 공기청정기의 가동시 필터를 통과하는 바람의 풍압에 의해 필터가 밀려서 필터와 필터가 서로 밀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even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filter when the filter is mounted,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filter is pushed by the wind pressure of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filter when the air cleaner is in operation and the filter and the filt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서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정화필터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leaner capable of maintaining a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air purifying filters arranged in mutually overlapping relation.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장착프레임;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와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mounting fram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first air purifying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frame; A second air purifying filter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frame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And a stopper portion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에는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가 수용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홈부의 측벽에 돌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스토퍼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스토퍼부의 끝단에 지지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mounting frame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first air filter and the second air filter are accommodated, and the stopper portion is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rim of the second air filter.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opper portion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may be supported on the end of the stopper portion.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홈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a support rib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supporting the first air filter may be includ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의 전단과 후단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filter mounting frame, and may include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for sensing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air filter.

한편, 일 예로,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는 헤파(HEPA)필터이고,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는 탈취필터일 수 있다.Meanwhile, for example, the first air purification filter may be a HEPA filter, and the second air purification filter may be a deodorization filt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가 공기정화필터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어 공기의 유동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air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air purifying filter, thereby improving the fluidity of the ai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필터장착프레임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장착프레임에 제1 공기정화필터와 제2 공기정화필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included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ir filter and the second air filter are mounted on the filter mounting frame shown in FIG. 2.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1 to 3,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a,110b), 필터장착프레임(120), 송풍팬(128), 제1 공기정화필터(130), 제2 공기정화필터(140), 기능성 필터(150), 프리필터(160), 차압센서(170), 지지리브(180) 및 스토퍼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an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ousings 110a and 110b, a filter mounting frame 120, a blowing fan 128, a first air- The first filter 130, the second air filter 140, the functional filter 150, the pre-filter 160,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70, the support rib 180, and the stopper 190.

상기 하우징(110a,110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외부공기가 하우징(110a,110b)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12)와, 하우징(110a,110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housings 110a and 110b constitute an outer appearance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 an air intake part 112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housings 110a and 110b, And an air discharge portion 114 through which air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s 110a and 110b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a,110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하우징(110a)과 후면 하우징(11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ousings 110a and 110b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housing 110a and a rear housing 110b as shown in FIG.

여기서, 전면 하우징(110a)과 후면 하우징(110b)은 서로 합형되어 후술할 제1 공기정화필터(130), 제2 공기정화필터(140), 기능성 필터(150) 및 프리필터(160)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housing 110a and the rear housing 110b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the functional filter 150 and the pre- It is possible to form an inner space that can be formed.

상기 필터장착프레임(120)은 하우징(110a,110b)의 내부에 구비되며 후술할 제1 공기정화필터(130)와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s 110a and 110b and can form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air filter 130 and a second air filter 14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unted.

일 실시예에서, 필터장착프레임(120)에는 후면 하우징(110b)의 내부에 구비되는 후술할 송풍팬(128)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구성하는 통풍그릴(124)이 구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grill 124, which constitute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by a blowing fan 12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vided inside the rear housing 110b.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필터장착프레임(120)에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 및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수용될 수 있는 장착홈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may be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122 in which the first air filter 130 and the second air filter 140 can be received.

상기 장착홈부(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정화필터(130) 및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필터장착프레임(120)의 일면에 함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22 is formed in a shape embedded in one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so that the first air filtering filter 130 and the second air filtering filter 140 can be accommodated. .

또한, 이러한 장착홈부(122)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 및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면방향으로 장착홈부(122)의 전방에서 장착홈부(122)로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22 is formed so that the first air filtering filter 130 and the second air filtering filter 140 are slidably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22 from the front of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22 in the surface direction Lt; / RTI >

이와 같이, 제1 공기정화필터(130) 및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필터장착프레임(120)에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는 필터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are slidably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ilter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상기 송풍팬(128)은 하우징(110a,110b)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통풍그릴(124)을 통해 필터장착프레임(120)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air blowing fan 128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s 110a and 110b so that air can flow through the ventilation grill 124 to flow in the other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28)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장착프레임(120)의 타면에 배치되어, 필터장착프레임(120)의 통풍그릴(124)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lowing fan 128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as shown in FIGS. 1 and 3, to suck air through the ventilation grille 124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 ≪ / RTI >

이와 같이 송풍팬(128)이 후술할 제1 공기정화필터(130), 제2 공기정화필터(140), 기능성 필터(150) 및 프리필터(160)보다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배치되는 구조는 정화된 공기가 송풍팬(128)으로 유입되므로, 송풍팬(128)에 먼지 및 이물질이 쌓여서 송풍팬(128)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The air blowing fan 128 is arranged at the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as compared with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the functional filter 150 and the prefilter 160 The purifi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blowing fan 128 so that there is no problem that dust and foreign matter are piled up in the air blowing fan 128 and the air blowing fan 128 is contaminated.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130)는 필터장착프레임(120)의 장착홈부(122)에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may be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122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필터(130)는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해로운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 물질과 0.3 마이크론 크기의 미립자 먼지를 99%까지 제거할 수 있는 헤파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ir filter 130 is a HEPA filter capable of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harmful dust, mites, viruses, fungi,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incoming air and up to 99% of particulate dust of 0.3 micron siz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기정화필터(130)는 후술할 복수의 스토퍼부(19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공기정화필터(140)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may have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plurality of stopper portions 190 to be described later.

즉, 제1 공기정화필터(130)는 테두리가 후술할 스토퍼부(190)에 걸리지 않고, 복수의 스토퍼부(190)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stopper portions 190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stopper portion 1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송풍팬(128)이 작동되는 경우, 공기의 유동으로 인해 제1 공기정화필터(130)는 필터장착프레임(120) 방향으로 부압을 받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blowing fan 128 is operated,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receives a negative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due to the flow of air.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140)는 필터장착프레임(120)의 장착홈부(122)에 장착되되,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122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and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여기서,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전방은 제1 공기정화필터(130)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Here, the front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means a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into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일 실시예에서, 제2 공기정화필터(140)는 활성탄을 포함하여 담배연기, 휘발성 유기화합물, 기타 악취 물질을 흡착/제거할 수 있는 탈취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may include a deodorizing filter including activated carbon and capable of adsorbing / removing tobacco smok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other malodorous substan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송풍팬(128)이 작동되는 경우, 공기의 유동으로 인해 제2 공기정화필터(140)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 방향으로 부압을 받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air blowing fan 128 is operate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receives negative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due to the flow of air.

상기 기능성 필터(150)는 하우징(110a,110b)의 내부에서 제2 공기정화필터(1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unctional filter 15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air filter 140 in the housing 110a or 110b.

이러한 기능성 필터(150)는 중간 크기의 먼지, 애완 동물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황사필터, 유아 전용 필터, 새집 전용 필터, 헌집 전용 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unctional filter 150 may be a filter capable of removing medium-sized dust, pet hair or the like, or may be formed of a yellow dust filter, a baby-use filter, a bird's house filter, a dedicated filter or the like.

상기 프리필터(160)는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먼지, 곰팡이, 머리카락, 애완 동물의 털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리필터(160)는 극세사망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filter 160 may be constructed using an antibacterial material and may remove relatively large dust, fungus, hair, hair of a pet,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refilter 160 may be formed of a microfine fil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차압센서(170)는 필터장착프레임(120)에 구비되며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전단과 후단의 차압을 감지할 수 있다.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70 is provided in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and can detect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압센서(170)의 공기압 감지를 하기 위한 호스(미도시)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hose (not shown) for detecting the air pressur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70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respectively.

이러한 차압센서(170)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전단과 후단의 차압을 감지함으로써,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수명 즉, 제1 공기정화필터(130)에 먼지가 누적된 정도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우징(110a,110b) 외측의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70 detect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so that the life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Not shown)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s 110a and 110b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degree of the display.

사용자는 차압센서(170)에서 감지한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전단과 후단의 차압 변화를 통해,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된다.
The user can know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through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sens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70. [

상기 지지리브(180)는 필터장착프레임(120)의 장착홈부(122)에 구비되며, 끝단이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rib 180 is provided in the mounting groove 122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and the end of the supporting rib 180 can support the rim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일 실시예에서, 지지리브(18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부(122)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장착홈부(122)에 장착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테두리가 걸릴 수 있다. 1 to 3, the support rib 18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mounting groove 122, and the first air-filtering filter 180, which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122, (130) can be caught.

이와 같이, 지지리브(180)는 끝단이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테두리에 걸림으로써, 제1 공기정화필터(130)가 장착홈부(122)의 통풍그릴(124)에 밀착되지 않도록 제1 공기정화필터(130)가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support rib 180 is engaged with the edge of the first air filter 130 so that the first air filter 130 does not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ventilation grille 124 of the mounting groove 122, 1 air purifying filter 130 can be determined.

일 실시예에서, 지지리브(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부(122)의 외곽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ribs 180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mounting groove 122 as shown in FIG.

상기 스토퍼부(190)는 장착홈부(122)에 장착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와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제1 공기정화필터(130)와 제2 공기정화필터(140)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킬 수 있다. The stopper portion 190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122 so that the first air filter 130 and the second air filter 140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filters 140.

다시 말해, 스토퍼부(190)는 송풍팬(128)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제1 공기정화필터(130)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공기정화필터(140)와 제1 공기정화필터(130)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topper 190 moves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toward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28, 140 and the first air filter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부(190)는 제2 공기정화필터(140)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장착홈부(122)의 측벽에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stopper portion 190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n the side wall of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22 to support the rim of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또한, 이러한 스토퍼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부(122)의 외곽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topper portion 1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pper portions 190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groove portion 122.

이와 같은 구성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정화필터(130)는 스토퍼부(190)의 내측면에 외곽이 접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공기정화필터(140)는 스토퍼부(190)의 끝단에 지지될 수 있다. 3,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190 in a state w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And may be supported at the end of the stopper portion 190.

이를 위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190)는 지지리브(180)보다 장착홈부(122)의 측벽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낮고, 필터장착프레임(1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1 and 3, the stopper portion 190 has a lower height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mounting groove 122 than the supporting rib 180,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120 May be formed long.

이때, 스토퍼부(190)는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제1 공기정화필터(130)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제2 공기정화필터(14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제2 공기정화필터(140)가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opper 19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so that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40 is no longer moved toward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130, The position at which the filter 140 is disposed can be determined.

한편, 스토퍼부(190)에 지지되는 제2 공기정화필터(140)와 지지리브(180)에 지지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13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스토퍼부(19)는 지지리브(180)와 스토퍼부(190)의 끝단 간 거리 차이가 제1 공기정화필터(130)의 두께보다 길게 구성된다.
The stopper portion 19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rib 18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air filter 140 supported by the stopper portion 190 and the first air filter 130 supported by the support rib 180. [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first air filter 180 and the stopper 190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ir filter 130.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공기정화필터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부(190)를 통해 서로 중첩 배치되는 공기정화필터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필터가 서로 밀착되어 필터의 흡기구멍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purifying filters disposed over one another via the stopper 190 for determin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ir purifying filter So that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filt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ntake holes of the filter are clogg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00: 공기청정기 110a: 전면 하우징
110b: 후면 하우징 112: 공기흡입부
114: 공기토출부 120: 필터장착프레임
122: 장착홈부 124: 통풍그릴
128: 송풍팬 130: 제1 공기정화필터
140: 제2 공기정화필터 150: 기능성 필터
160: 프리필터 170: 차압센서
180: 지지리브 190: 스토퍼부
100: air cleaner 110a: front housing
110b: rear housing 112: air intake part
114: air discharge part 120: filter mounting frame
122: mounting groove 124: ventilation grill
128: blower fan 130: first air filter
140: second air purifying filter 150: functional filter
160: pre-filter 170: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180: Support rib 190: Stopper part

Claims (9)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통과하는 통풍그릴을 구비하는 필터장착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상기 통풍그릴을 통해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가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를 지지하는 스토퍼부;
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housing;
A filter mounting fram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ventilation grille through which air flows;
A blowing fa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n air flow so that air flows from the one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through the ventilation grille in the other surface direction;
A first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A second ai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And
A stoppe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and supporting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to prevent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by an external force;
And an ai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에는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가 수용되는 장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홈부의 측벽에 돌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스토퍼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스토퍼부의 끝단에 지지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ounting frame is formed with a mount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are accommodated,
Wherein the stopper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n a side wall of the mounting groove portion so as to support a rim of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Wherein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is disposed inside the stopper portion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is supported at an end of the stopper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장착홈부의 외곽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복수의 스토퍼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stopper portions are provid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groove portion,
Wherein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has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plurality of stopper por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부에 구비되며 끝단이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upport rib provided at the mounting groove and having an end for supporting the rim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스토퍼부의 끝단 간 거리 차이가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의 두께 보다 길도록 구성된 공기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an end of the support rib and an end of the stopper portion is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장착홈부의 전방에서 상기 장착홈부로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are configured to be slidable and detachable from the front of the mounting recess to the mounting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의 전단과 후단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provided on the filter mounting frame for sensing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정화필터는 헤파(HEPA)필터이고, 상기 제2 공기정화필터는 탈취필터인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ir purifying filter is a HEPA filter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filter is a deodorizing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필터장착프레임의 타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blowing fa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frame.
KR1020150020831A 2015-02-11 2015-02-11 Air cleaner KR1023793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31A KR102379346B1 (en) 2015-02-11 2015-02-11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31A KR102379346B1 (en) 2015-02-11 2015-02-11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45A true KR20160099145A (en) 2016-08-22
KR102379346B1 KR102379346B1 (en) 2022-03-29

Family

ID=5685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831A KR102379346B1 (en) 2015-02-11 2015-02-11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346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886A (en)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서큘러스 Air clean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WO2019050384A1 (en) * 2017-09-11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air purifier
KR102018002B1 (en) * 2018-11-14 2019-10-21 정권 Ventilation Control System
KR102039273B1 (en) * 2018-08-24 2019-10-31 (주)에이툴즈 Filter assembly for Air cleaner machine
JP2020533524A (en) * 2017-09-11 2020-11-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ortable air purifier
KR102211993B1 (en) 2020-05-04 2021-02-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erilization Module for Hepa Filter Mounting and Air purifier or air handling unit that contains this
KR20220131096A (en) 2021-03-19 2022-09-2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KR20230020743A (en) 2021-08-04 2023-02-13 코웨이 주식회사 Filter module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20230166796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KR20230166797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Filter assembly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20230166795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Clear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424A (en) * 1999-03-11 2000-09-19 Fujitsu General Ltd Air purifier
KR200329577Y1 (en) * 2003-06-10 2003-10-10 (주)나노바이오티스 Air cleaner having alarm function of dust filter replace time
KR20140080067A (en) * 2012-12-20 2014-06-30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424A (en) * 1999-03-11 2000-09-19 Fujitsu General Ltd Air purifier
KR200329577Y1 (en) * 2003-06-10 2003-10-10 (주)나노바이오티스 Air cleaner having alarm function of dust filter replace time
KR20140080067A (en) * 2012-12-20 2014-06-30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886A (en) *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서큘러스 Air clean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TWI771488B (en) * 2017-09-11 2022-07-2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WO2019050384A1 (en) * 2017-09-11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air purifier
US11754302B2 (en) 2017-09-11 2023-09-1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purifier
JP2020533524A (en) * 2017-09-11 2020-11-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Portable air purifier
US11525588B2 (en) 2017-09-1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purifier
KR102039273B1 (en) * 2018-08-24 2019-10-31 (주)에이툴즈 Filter assembly for Air cleaner machine
KR102018002B1 (en) * 2018-11-14 2019-10-21 정권 Ventilation Control System
KR102211993B1 (en) 2020-05-04 2021-02-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terilization Module for Hepa Filter Mounting and Air purifier or air handling unit that contains this
KR20220131096A (en) 2021-03-19 2022-09-2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KR20230020743A (en) 2021-08-04 2023-02-13 코웨이 주식회사 Filter module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20230166796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Air cleaner
KR20230166797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Filter assembly and air cleaner including the same
KR20230166795A (en) 2022-05-30 2023-12-07 코웨이 주식회사 Clear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346B1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9145A (en) Air cleaner
KR101164392B1 (en) Air treatment system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KR101647643B1 (en) Air cleaner
KR20190000599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8553B1 (en) Filter for Air Cleaner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20180056988A (en) Air cleaner
KR101711148B1 (en) Hood duct with filter
KR20190068819A (en) Air cleaner filter for fans
KR20160027292A (en) Air cleaner
KR20160111055A (en) Air cleaner by using plasma
KR101936741B1 (en) Stand for air purifier and wall-mounted air purifier havig the same
JP2006205937A (en) Air cleaner for vehicle
KR102304142B1 (en) A cylinder type air cleaner
JP2022511946A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00052375A (en) Air cleaner
KR20020078957A (en) Air cleaner
JP2002177724A (en) Air cleaning device
KR100528300B1 (en) Air Cleaner
KR20100098170A (en) Air cleaner
JP2008093639A (en) Air cleaner
CN100502751C (en) Exhaust filter for vacuum cleaner
KR20230166796A (en) Air cleaner
JP5662278B6 (en) Air treatment equipment
KR20190001827U (en) Air cleaner filter for f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