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766A - 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766A
KR20160098766A KR1020150020774A KR20150020774A KR20160098766A KR 20160098766 A KR20160098766 A KR 20160098766A KR 1020150020774 A KR1020150020774 A KR 1020150020774A KR 20150020774 A KR20150020774 A KR 20150020774A KR 20160098766 A KR20160098766 A KR 20160098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charg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환
송재도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주) 대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대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2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8766A/en
Publication of KR20160098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7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onitoring an electric vehicle and to a method theref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for monitoring a charging station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a method therefor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ion by searching for the charging station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al time, providing the same on map and monitoring the current charging status of the electric vehicle in real time.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검색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주고, 현재 전기차량의 충전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monitoring system that searches for a charging station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real tim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the charging station on a m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자동차 기술의 발달과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국내의 자동차 보급수가 급속도로 증가되었다. 현재 국내 자동차 보급량은 거의 1가구당 1차량을 보유하고 있다.As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technology and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eople improved, the number of domestic automobile supply rapidly increased. At present, the domestic supply of automobiles has almost one car per household.

이와 같이 자동차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교통 혼잡 및 배기가스로 인한 공해 등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및 화석 에너지 부족으로 인한 친환경 및 에너지 자원의 절약이 강조되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에서도 경쟁력 향상을 위해 친환경적이고, 고에너지 효율 자동차인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As the number of automobiles increases, pollution due to traffic congestion and exhaust gas becomes serious. In addition, it is emphasizing the saving of environment-friendly and energy resource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fossil energy shortage. In order to improve competitiveness in the automobile industry,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 energy efficient automobile electric vehicle is actively being developed.

최근 배터리 등의 성능 개선과 비용절감에 힘입어 전기자동차가 일반적인 용도의 차량으로서 상용화되어 시범 운용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주행 중에 CO2 등을 배출하지 않고, 환경성능의 우수함과 동시에 반응이 좋은 강력한 가속 성능이나 조용하고 원활한 주행감 등 차량의 매력을 크게 변화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Recently, electric vehicles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commercialized as general-purpose vehicles due to improvements in performance of batteries and cost reduction. Electric vehicles do not emit CO 2 during driving, and have characteristics that greatly change the charm of a vehicle such as a strong acceleration performance with good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a good response, and a quiet and smooth driving feeling.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의해 모든 동작을 수행하므로 배터리 수명 및 배터리의 전력 관리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의 보급 및 이런 충전기들을 제공하는 충전소의 설치 또한 전기자동차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일 것이다.These electric vehicles perform all operations by the battery, so battery life and battery power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the spread of the charger capable of charging such a battery and the install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providing such chargers are also important factors for activating the electric vehicle.

그러나 현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종류가 다양하고,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종류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다.Howev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electric vehicles, and various types of chargers for charging such batteries have been developed and supplied.

따라서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자신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을 지원하지 않는 충전기만을 구비한 충전소로 들어가게 된다면 운전자는 당황하게 될 것이다. 특히 배터리의 충전전력이 매우 약한 상태에서 다른 충전소를 찾는데 어려움을 격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f the driver of an electric car enters a charging station having only a charger that does not support the charging of the battery of his electric car, the driver will be perplexed.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nother charging station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is very weak.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미리 파악해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신의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모두 파악할 수 없으므로 운전자가 평소 자신의 운전 경로를 벗어나 운전하는 경우 난처한 사항에 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driver needs to know in advance a charging station that can charge his electric car battery.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to grasp all of the charging stations that ca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may be faced with troubles when driving out of his / her normal driving route.

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거나, 충전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충전기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Battery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s is also very important. However, battery condition monitoring of electric vehicles can be confirmed only through a battery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or by a charger while connected to a charger.

따라서 운전자가 언제 어디서나 배터리의 충전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that allows the driver to check the charging history of the battery anytime and anywhere, and to know the charging status of the charging battery.

공개특허 제10-2013-0066604호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666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검색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주고, 현재 전기차량의 충전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arching for a charging station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real tim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the charging station on a map, And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 charging st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충전소; 사용자에 의한 충전소 찾기 이벤트의 발생 시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요구되는 충전소 검색조건 요청에 대해 검색조건을 전송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충전소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충전소 검색조건을 요청하고 이에 대해 수신되는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충전소를 검색한 후, 검색된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ging stations including at least one charger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 A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when a charging station search event is generated by a user, a search condition is transmitted for a charging station search condition request that is requested in response to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requesting a charging station search con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on receiving a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ing for a charging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arch condition, And a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provided to the terminal.

상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충전소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충전기 정보를 저장하는 충전기관리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충전소 검색조건을 요청하고 이에 대해 수신되는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충전소를 상기 저장부의 충전기관리 DB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모바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includes: a storage unit including a charger management DB that stores charger information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s; And a controller for requesting a charging station search condi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arching for a charging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ndition received from the charger management DB in the storage unit, And a mobile processor for providing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저장부는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등록 DB 및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서비스 대상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기자동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차량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전기자동차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등록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차량등록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니터링 서비스 가입을 위한 가입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 등록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회원등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충전소 검색을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등록부에 등록된 전기자동차의 소유주 및 회원등록부에 등록된 회원 중 하나이면 상기 충전소 검색 요청에 대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member registration DB for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monitoring service subscriber and a registered vehicle database for storing electric automatic information for an electric ca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 monitoring service, A vehicle registration unit for receiving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and storing and storing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And a member registering unit for receiving and registering subscriber information for subscribing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i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 the member registration DB, wherein the mobile processing unit comprises: The owner of the electric vehicle registered in the registering unit, and the member registered in the member registering unit, provides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저장부는, 상기 등록된 회원별 및 상기 전기자동차별로 충전 이력을 저장하는 충전이력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충전기관리 DB에 등록된 충전소의 충전기들을 통해 충전되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이력을 생성하여 상기 충전이력 DB에 저장하는 충전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 이력 조회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충전 이력 조회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기자동차 식별정보에 의해 전기자동차 식별정보별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파악하고 상기 충전이력 DB에서 상기 파악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charge history DB for storing charge histories for the registered members and the electric vehicles, and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is further configured to store the charge histories of the electric vehicles charged through the chargers of the charging stations registered in the charger management DB Further comprising a charge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charge histo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o store the charge history in the charge history DB, wherein the mobile processor is further configured to, when receiving a charge history inquiry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on the car number from the electric car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s the charg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car number from the charge history DB, and provides the extracted charge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현황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기자동차 식별정보에 의해 전기자동차 식별정보별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파악하고, 상기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상기 충전관리부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충전현황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충전관리부는, 상기 모바일처리부로부터 충전현황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충전기관리 DB에 포함된 충전기별 충전 여부 및 충전중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들 중 상기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가지는 충전기를 검색하고, 해당 충전소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소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현황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처리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processor identifies a vehicle number from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for each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upon receipt of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a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vehicle number to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and provide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A charger having a vehicle number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among charging numbers of chargers included in the charger management database at the time of charging and vehicle numbers of electric vehicles being charged is searched for and a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which the electric power from the charging station It receive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to the mobile processing unit.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콜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발신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호를 발신하고, 상기 발신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처 전화기가 상기 호에 응답하면 상기 발신처 전화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간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bile processor sends a call by performing dialing to the source telephone number upon receiving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including a source telephone numb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ource telephone corresponding to the source telephone number is dialed into the call And forms a call path between the source telephon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검색된 충전소의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하고, 충전소의 위치가 맵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processor may map the search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to map data and transmit the map data to which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mapp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GPS 위성들을 이용한 현재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검색조건으로서 상기 위치정보를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로 전송하고,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검색조건으로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충전소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s a current location using GPS satellites and the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as the search condition.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s a search con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es for a charging station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search result and provide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차량등록부는, 렌트 차량으로 이용될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에 대한 전기자동차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일괄적으로 입력받아 등록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회원등록부는, 상기 등록된 전기자동차를 렌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되, 상기 등록차량 DB에 등록된 전기자동차 중 사용자가 선택한 렌트할 전기자동차를 선택받아 해당 회원정보와 전기자동차 정보를 맵핑하는 맵핑정보를 회원 DB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collectively receives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to be used as rental vehicles, stores the registered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and registers the registered electric vehicle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And the mapping information for mapping the corresponding member information and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to the membership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registered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by selecting the electric vehicle to be rented by the user, And further stores it in the DB.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를 검색할 수 있으므로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빠르게 배터리 전력 부족 등의 이상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for a charging station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real tim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n electric vehicle driver can quickly cope with an abnormality such as battery power shortage.

또한, 본 발명은 충전소 안내 시 전기자동차에 적용된 배터리의 종류에 대응하는 충전기를 보유한 충전소를 안내함으로써 운전자가 잘못된 충전소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river from entering the wrong charging station by guiding the charging station having the charg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battery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t the time of guiding the charg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시간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charging status of the battery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real time during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which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he charg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during the charging time.

또한,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인터넷 전화망 또는 일반 공중전화망 둘 모두를 통해 충전소 또는 정비소 등으로 긴급콜을 발신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므로, 일반 유무선 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접속만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긴급콜을 발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to a charging station or a car repair shop through an Internet telephone network or a general public telephone network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emergency cal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telephone communication through a general wired / It is possible to send an emergency call ev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nly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의 모바일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방법의 충전소 검색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간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방법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긴급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rocessing unit of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station search method in a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onitoring a charging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method using an Internet network in a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 the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충전소 현황이란 충전소 위치, 실시간 충전소의 충전기 가용 여부, 충전 이용 내역, 실시간 충전 상황을 의미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harging station status refers to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the availability of the charging station of the real-tim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usage history, and the real-time charging status.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충전소(300)를 포함한다.The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charging station 300.

상기 충전모니터링 서버부(100),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충전소(3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e charging monitoring server unit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harging station 30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to per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은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이 결합되어 있는 망이다. 상기 이동통신망은 3세대(3 Generation: 3G) 및 4세대(4 Generation: 4G)망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넷망은 와이파아(WiFi)망을 포함할 것이다.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is a network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nternet network are combine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three-generation (3G) and a four-generation (4G) network. The Internet network will include a WiFi network.

충전소(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310)들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310)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충전소 서버(320)를 포함한다. 충전기(310)들 및 충전소 서버(320)는 로컬망(33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로컬망(330) 또한 와이파이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충전소(300)는 고유한 충전소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있을 것이다.The charging station 300 includes at least one charging unit 310 and a charging station server 320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units 310. Chargers 310 and charging station server 320 may preferably be connected through local network 330. The local network 330 may also include a Wi-Fi network. The charging station 300 may be assigned unique charging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충전기(310)는 전기자동차(1)와 연결되어 충전전력을 공급하고, 충전전력의 공급에 따른 전기자동차(1)의 배터리 충전상태, 충전시간, 만충전까지의 잔여시간, 현재까지의 충전 요금, 만충전 시의 충전 요금 등과 같은 충전현황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충전현황 출력 시 전기자동차(1)의 차량번호, 차량 고유 식별번호 및 배터리 고유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식별정보를 함께 출력할 것이다.The charging device 31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1 to supply charging electric power. The charging device 31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1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 and the battery charging state, charging time, remaining time until full charge, And the charge status such as the charge rate of the full charge is measured and outputted. And outputs th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vehicle number, the vehicl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battery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at the time of outputting the charging status.

충전소 서버(320)는 상기 충전기(310)들의 고유 식별정보에 의해 충전기(310)별로 수신되는 충전현황 및 차량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부터 임의의 전기자동차(1)에 대한 충전현황 요청 시 해당 충전현황 정보를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 제공한다.The charging station server 320 stores and manages the charging status and th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or each of the chargers 310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ers 310, And provide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charging monitoring server unit 100 when the charging status is requested.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력, 충전소 검색, 충전현황, 긴급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이하 "충전소 현황 요청 신호"라 함)를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 전송하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한다. 상기 정보는 충전소 위치 안내 정보, 충전현황 정보, 충전이력 정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소 현황 요청 신호로는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 충전 이력 조회 요청 신호, 충전현황 요청 신호 및 긴급콜 요청 신호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형태 및 웹 페이지 형식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e monitoring user interface means capable of performing a charging history of an electric vehicle, a charging station search, a charging status, an emergency call, etc., Transmits a request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rging station status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command to the charging monitoring server unit 1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 The information may be charging station location guidance information, charging status information, charging history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charging station status request signal may include a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a charging history inquiry request signal, a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and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The electric vehicle charge monitoring user interface means may be provided in one of an application form and a web page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표시된 정보의 전화번호(또는 "발신처 전화번호"라 함)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긴급콜 요청 발생 시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그러면 일반적인 전화통신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의 이동통신망 및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ing Telephony Network: PSTN)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를 가지는 발신처 전화기(600)간 통화로가 형성될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performs dialing to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when an emergency call request is made from the user to the telephone number (or "source telephone number")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calling telephone 600 having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of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A currency channel will be formed.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긴급콜 요청 발생 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 긴급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가 긴급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전화번호의 발신처 전화기(600)로 다이얼링 수행하여 일반적인 전화통화 음성채널을 형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200)와는 IP 기반 음성채널을 형성한 후, 상기 IP 기반 음성채널과 상기 일반 음성채널을 연결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call request is issued by the u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Based voice channe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n transmits the IP-based voice channel and the IP-based voice channe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IP- And may be configured to form a call path by connecting general voice channels.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현황 모니터링과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한다. 특히, 회원등록 및 전기자동차 등록, 충전소 관리 및 충전현황 모니터링 관련 정보의 수집 및 제공 등을 제어한다.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related to the charging status monitoring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t controls member registration and registration of electric vehicles, collection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station management and charging status monitoring.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의 구성 및 동작은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는 차량등록부(110), 회원등록부(120), 충전관리부(130), 모바일처리부(140), 통합관리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한다.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includes a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a member registration unit 120, a charge management unit 130, a mobile processing unit 140, an integrated management unit 150, and a storage unit 160.

차량등록부(11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에 접속한 사용자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전기자동차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60)의 등록차량 DB(161)에 저장하여 충전현황 모니터링 대상 전기자동차로 등록한다. 상기 차량정보는, 차량 번호, 전기자동차 고유의 식별번호, 배터리 종류, 배터리 고유의 식별정보, 소유주 정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receives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from a user comput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stores the received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161 of the storage unit 160, Register.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a vehicle number, an identification number unique to an electric vehicle, a battery typ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a battery, owner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차량등록부(110)는 웹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에 대해 일괄적으로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 렌트카 서비스 제공 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and an application server, and an administrator may register the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collectively. In the latter case, it can be applied when providing rental car service.

회원등록부(12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에 접속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서비스 가입자 등록 요청 시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60)의 회원 DB(162)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식별정보, 주소, 이동통신단말기(200)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등록부(110)에 의해 등록차량 DB(161)에 등록된 전기자동차들 중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정보를 연결하는 맵핑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맵핑정보는 상기 차량정보의 차량번호, 사용자 식별정보,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차량정보의 입력 시 회원등록부(120)는 차량등록부(110)를 호출하여 구동한 후, 차량등록부(110)를 통해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개인 회원의 경우 회원등록과 함께 차량 등록을 동시에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렌트카 서비스 등의 경우 전기자동차를 등록하는 주체와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는 주체가 상이하므로 각각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도 전기자동차를 렌트하는 사용자도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과 같은 정보는 입력하여야 할 것이다.The member registering unit 120 receiv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user's computer when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atus monitoring servic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user computer connected to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Stored in the member DB 162 and registered as a memb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 nam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addres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Of the electric vehicles registered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161 by 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Mapping information linking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user may be stored. The mapping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a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The member register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call and drive 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and receive 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when the vehicle information is inpu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dividual member,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egister a vehicle together with a member registration. In the case of a rent-a-car service or the like, something to do. Of course, even in the latter case, the user who rents the electric car should input information such as the car number of the electric car.

충전관리부(13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충전소(300)의 충전소 서버(320) 또는 직접 충전기(310)에 접속하여 충전소(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정보들을 관리한다.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accesses the charging station server 320 or the direct charging unit 310 of the charging station 300 through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to manage the overall operation and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300.

구체적으로, 충전관리부(130)는 충전소(300)별 충전소 정보 및 각 충전소(300)에 포함된 충전기(310) 및 충전소 서버(320) 정보들을 충전기관리 DB(60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충전소 정보는 충전소 식별정보, 충전소별 충전기 정보, 현재 가용한 충전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 정보는, 충전기 식별정보, 충전기가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종류 등의 정보뿐만 아리나 현재 가용 여부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stores th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for each charging station 300 and the charger 310 and charging station server 320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charging station 300 in the charger management DB 605 and manages the information. Th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includes charging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harger information for each charging station, and available charger information. The charger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current charac- tering information such as charg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type of battery that the charger can charge, something to do.

또한, 충전관리부(130)는 충전소(300)로부터 충전을 수행한 전기자동차 정보, 충전기 정보, 충전시간, 충전전력, 충전요금, 충전상태 등과 같은 충전현황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소(300) 및 충전기(320)별로 충전현황정보 및 충전현황정보의 가공에 의해 생성되는 충전이력 정보를 충전이력 DB(163)에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receives the charge status information such as the electric car information, the charger information, the charge time, the charge power, the charge rate, the charge status, etc. from the charge station 300, The charge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by processing the charge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arg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battery 320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charge history DB 163.

모바일처리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한다. 모바일처리부(14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mobile processor 140 processes the overall operation of provid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atus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통합관리부(150)는 관리자의 관리자 컴퓨터로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고, 관리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추가, 수정, 삭제 및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150 provides an administrator user interface means for manag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s an administrator's computer of the administrator and additionally modifie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through the administrator user interface means , Deletion and processing.

상기 설명에서는 차량등록부(110), 회원등록부(120), 충전관리부(130) 및 모바일처리부(140)들이 저장부(160)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통합관리부(150)를 통해서만 저장부(160)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the member registration unit 120,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and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can directly access the storage unit 160 has been described. However, And may be configured to store or reques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60. [

상기 차량등록부(110), 회원등록부(120), 충전관리부(130), 모바일처리부(140), 통합관리부(150) 및 저장부(160)는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후자의 경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는 차량 등록 서버(110), 회원 등록 서버(120), 충전 관리 서버(130), 모바일 처리 서버(140), 통합 관리 서버(150) 및 DB 서버(160)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 각 서버들은 로컬망(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것이다.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110, the member registration unit 120,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150, and the storage unit 160 may be configured as one server, . In other words, in the latter case,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includes a vehicle registration server 110, a member registration server 120, a charge management server 130, a mobile processing server 140, an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150, 160). In this case, each of the servers may be connected through a local network (not shown) to be able to perform mutual data communication.

저장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차량 DB(161), 회원 DB(162), 충전이력 DB(163), 지도 DB(164), 충전기관리 DB(165)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 DB(164)는 지도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관리 DB(165)는 충전소(300)들의 충전소명, 충전소 식별정보, 충전소별 충전기 정보, 충전소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및 충전기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충전소 위치정보는 지도데이터 DB(164)의 지도데이터에 맵핑되어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torage unit 160 includes the registered vehicle DB 161, the member DB 162, the charge history DB 163, the map DB 164, and the charger management DB 165 as described above. The map DB 164 stores map data. The charger management DB 165 stores charging station and charger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rging station name, charging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harging information for each charging station, an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s 300.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be mapped to map data of the map data DB 164 and stor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의 모바일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processing unit of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처리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발생되는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3, the mobile processor 140 may include a web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equest gene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web page, and an application server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

모바일처리부(140)는 송수신신호 처리부(141), 충전소검색부(142), 충전기 리스트 제공부(143), 충전현황 획득부(144), 충전 이력 조회부(145), 긴급콜 처리부(146)을 포함한다.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includes a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a charging station searching unit 142, a charger list providing unit 143, a charging status acquiring unit 144, a charging history inquiry unit 145,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146, .

송수신신호 처리부(141)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 received to /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충전소검색부(142)는 송수신신호 처리부(14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특정 지역의 충전소들 각각의 위치 정보가 맵핑되어 있는 지도데이터를 지도데이터 DB(164)로부터 로드하여 송수신신호 처리부(14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상기 특정 지역은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이 될 수도 있고, 전국이 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의 지역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 지역이 결정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의 전송 후 검색조건으로서 별도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도데이터는 이동통신단말기(200)가 가지고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충전소의 위치정보만을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충전소검색부(142)는 검색조건으로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등의 충전대상의 종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충전대상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310)를 구비한 충전소만을 충전기관리 DB(165)에서 검색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제공한다.When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the charging station searching unit 142 maps the map data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charging stations in the specific area is mapped to the map data DB 164 And provide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 The specific area may be a region selected by the user, a nationwide area, or a certain distanc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 When the specific area i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must transmit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may include it in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May be separately transmitted as a search condition after transmission of the data. Also, the map data may be hel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charging station searching unit 142 searches only the charging station having the charger 310 capable of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in the charger management DB 165,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충전기 리스트 제공부(143)는 상기 충전소검색부(142)에 의해 제공된 충전소들 중 임의의 충전소(300)가 선택되어 송수신신호 처리부(141)를 통해 충전소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선택된 충전소의 충전기 리스트를 생성하여 송수신신호 처리부(141)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상기 충전기 리스트에는 선택된 충전소에 설치된 모든 충전기(310)들에 대한 사용여부, 충전 가능 배터리(또는 전기자동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charging station list providing unit 143 selects any one of the charging stations 300 provided by the charging station searching unit 142 and receives the charging station sel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And provides it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The charger lis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use of all the chargers 310 installed in the select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on the rechargeable battery (or electric vehicle), and the like.

충전현황 획득부(144)는 송수신신호 처리부(14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충전현황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충전관리부(130)로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단말기(200) 사용자의 전기자동차의 충전현황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충전관리부(130)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1)의 충전현황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이때 충전현황 획득부(144)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회원 로그인 식별정보(ID),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차량 DB(161)로부터 미리 등록된 차량번호를 획득하여 충전관리부(130)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충전현황 획득부(144)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차량번호를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The charging status acquisition unit 144 receives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and transmits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o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30. [ And provide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n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receiv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in response to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harge status acquisition unit 144 acquires at least one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mber login ID, and th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charge status request signal, And obtains the vehicle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from the registered vehicle DB 161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and provides it to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Also, the charging status acquisition unit 144 may receive the vehicle number direct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

충전 이력 조회부(145)는 송수신신호 처리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충전이력 검색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이력 DB(163)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 사용자의 전기자동차(1)에 대한 일정 기간 동안의 충전이력을 검색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제공한다.The charging history inquiry unit 145 receives the charging history search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and transmits the charging history search request signal to the electric vehicle 1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from the charging history DB 163. [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긴급콜 처리부(146)는 송수신신호 처리부(14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발신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인터넷 프로토콜(IP) 음성채널을 할당하여 데이터(IP)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발신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상기 발신전화번호를 가지는 발신처 전화기(600)로 호를 발신하며, 발신처 전화기(600)의 응답 시 일반 음성전화 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일반 음성 전화 통화로와 데이터 통화로를 연결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발신처 전화기(600)간 통화로를 형성한다.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146 receives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originating phone number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1, and transmits an Internet protocol (IP) voice channe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o the originating telephone 600 having the originating telephone number by dialing with the originating telephone number, and to make a call to the originating telephone 600 in response to the originating telephone 600, The voic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source telephone 600 is established by connecting the general voice telephone call and the data communication path.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충전현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웹사이트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의 이동통신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충전현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roviding a charge status monitoring service in the form of a web site.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제어부(210), 단말저장부(220), 입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GPS 모듈(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terminal storage unit 220, an input unit 230, a display unit 240, a GPS module 250, and a communication unit 260.

단말저장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현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수신된 충전 이력 정보 및 지도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20 includes a program area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 monitoring application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 charge status monito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mporary area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And a data area for storing user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control program. The received charge history information and map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 area.

입력부(230)는 다수의 숫자키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을 포함하여 눌린 키에 대한 키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하는 키패드, 음량, 화면 온/오프 및 홈 등의 기능선택 버튼을 포함하여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하는 버튼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과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되는 위치의 좌표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하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unit 23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characters, and a function selection button for outputting a key signal for the pressed key to the control unit 210, such as a keypad, volume, screen on / off, And a touch pad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0 and outputs a coordinate signal of a touched position to the control unit 210, One or more of them may be inclu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various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24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동작상태에 따른 사용자(그래픽) 인터페이스 수단 및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한 텍스트,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ext, web pages, images, and moving images through user interface means and interface mea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GPS 모듈(250)은 적어도 셋 이상의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데이터 및 절대시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한다.The GPS module 250 receives the position data and the absolute time data from at least three or more GPS satellites and outputs the position data and the absolute time data to the control unit 210.

통신부(26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260)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에 포함되는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무선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부(261)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의 인터넷망의 와이파이망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262)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60 wirelessly connects to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260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d in the wired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wired / wireless data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61 and the wired /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262 for connecting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제어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10)는 제1실시예에 따라 웹브라우저 구동부(211) 및 위치계산부(212)를 포함하고, 제2실시예에 따라 위치계산부(212), 충전소 검색 처리부(213), 충전기 리스트 처리부(214), 충전현황 요청 처리부(215), 충전이력 조회부(216), 긴급콜 발신부(217)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210 includes a web browser driver 211 and a location calculator 21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alculator 212, the charging station search processor 213, A charging status request processing unit 215, a charging history inquiry unit 216, and an emergency call transmission unit 217. The charging status inquiry unit 215,

웹브라우저 구동부(211)는 웹브라우저의 실행 시 구동되고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웹사이트의 주소를 입력받아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소 검색, 충전현황 모니터링, 충전 이력 조회, 긴급콜 발신 등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서비스를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The web browser driving unit 211 receives the address of the electric car charge monitoring web site that is driven when the web browser is executed 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30 and searches for the charging station, Provides monitoring service of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status including emergency call dispatch through web page.

위치계산부(212)는 GPS 모듈(250)로부터 입력되는 GPS 위성들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위치정보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될 수도 있고, 충전소 검색 요청 발생 시 웹브라우저 구동부(210)를 통해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충전소 검색 요청 수단의 위치 등록 수단을 통해 입력되어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212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from the position data of the GPS satellites inputted from the GPS module 250. The calculat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or inputted through a location registering unit of a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ing unit of a web page displayed through the web browser driver 210 when a charging station searching request is generated, Signal may be included in the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10)의 충전소 검색 처리부(213)는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구동되고, 충전소 검색 수단을 통해 충전소 검색을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 요청하고, 충전소(300)를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에 대한 검색조건 정보를 입력받아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 전송하며,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소(300)에 대한 충전소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소(300)의 위치가 맵핑된 지도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한다. 이때, 지도상의 충전소 위치에는 충전소 마크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상기 충전소 마크 주변에는 충전 가능한 충전기(310) 수 등을 포함하는 충전기 가용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harging station search processing unit 213 of the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riven by execution of an electric car charging monitoring application and requests the charging monitoring server unit 100 to search for charging stations through the charging station searching unit, The charging station 300 receives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region to be searched and transmits the search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and receives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300 corresponding thereto, On the display unit 240, a map to which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240 is mapped. At this time, a charging station mark may be displayed at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on the map, and charger avail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he charging charging station 310 may be displayed around the charging station mark.

상기 충전소 검색 처리부(213)를 통해 충전소 위치가 표시된 후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충전소(300)가 선택되면 충전기 리스트 처리부(214)는 선택된 충전소(300)의 충전소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기 선택 정보를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의 모바일처리부(140)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소(300)에 설치된 충전기들의 충전기명, 충전기별 충전 가능 충전대상(전기자동차, 배터리 등) 정보, 충전 동작 여부를 포함하는 충전기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한다.If the user selects an optional charging station 300 after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charging station search processing unit 213, the charger list processing unit 214 updates the charger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harging station 300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the name of the charger of the chargers installed in the charging station 300, the information of the rechargeable charging object (electric car, battery, etc.) And displays the list on the display unit 240. [0053] FIG.

충전현황 요청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충전현황을 요청하는 경우,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되거나,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 로그인 식별정보, 차량번호,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및 배터리 식별정보(이하 충전되고 있는 전기자동차를 식별하기 위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 로그인 식별정보, 차량번호,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및 배터리 식별정보를 통칭하는 용어로 "전기자동차 식별정보"를 사용 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의 모바일처리부(140)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자신의 전기자동차의 충전현황 정보를 상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의 모바일처리부(140)로부터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한다. 물론, 이때 사용자는 임의의 충전소(300)의 충전기(310)를 통해 자신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개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charging status request processing unit 215 is a unit for requesting the charging status from the charging status requesting unit 215. The charging status request processing unit 215 receiv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g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vehicle numb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collectively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g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vehicle numb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battery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ted to identify the electric vehicle being charged) And transmits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processor 140 of the charging monitoring server unit 100. In response to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From the processing unit 140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40.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starts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er 310 of the charging station 300.

충전이력 조회부(216)는 사용자로부터 충전이력 조회 요청 발생 시 전기자동차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이력 조회 요청 신호를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자신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일정 기간 동안의 충전이력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한다.The charge history inquiry unit 216 transmits a charge history inquiry request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when a charge history inquiry is requested from the user, And displays the charging histor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40 after receiving the charging history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긴급콜 발신부(217)는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긴급콜 발신 요청이 발생한 경우, 다이얼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활성화한 후 다이얼링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청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또한, 긴급콜 발신부(217)는 긴급콜 발신 요청이 발생한 경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의 모바일처리부(140)로 긴급콜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처리부(140)가 상기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an emergency call origination request is issu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emergency call origination unit 217 activates and activates a dialing application and performs dialing to the requested phone number through the dialing application. The emergency call origination unit 217 transmits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of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when the emergency call origination request is generated and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dials the phone number As shown in FIG.

제1실시예의 경우 웹브라우저 구동부(211)가 표시된 웹페이지의 전화번호가 클릭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다이얼링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 상기 클릭된 전화번호를 입력처리하고, 사용자로부터 통화버튼이 눌리면 상기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수행하거나,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긴급콜 요청 신호를 모바일처리부(140)로 전송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web browser driver 211 click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web page displayed, the user activates the dialing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puts the clicked telephone number, Dialing may be performed to the telephone number if pressed, or dialing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processor 14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방법의 충전소 검색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충전소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ging station search method in a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station search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한 충전소 찾기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상기 충전소 찾기 이벤트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발생될 수도 있고,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충전소 찾기 메뉴 및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됨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실시예의 경우 충전소 찾기 이벤트는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웹페이지(또는 "웹사이트"라 함)에 접속 시에 발생될 수도 있고,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웹페이지 접속 후 충전소 찾기 메뉴 및 버튼 중 하나가 선택될 때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hecks whether a charging station search event by a user is generated (S111). The charging station search event may be generated upon execution of the electric car charge monitor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generated by selecting one of the charge station search menu and the button after execution of the electric car charge monitoring application will be. Also,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harging station search event may be generated upon connection to the electric car charge monitoring web page (or "web site"), It may occur when one is selected.

충전소 찾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를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의 모바일처리부(140)로 전송한다(S113). 상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에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예: 전화번호 등), 로그인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에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GPS 모듈(250)을 통해 계산되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charging station search event occu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of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S113).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log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lso,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may includ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ich is calculated through the GPS module 2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한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100)의 모바일처리부(140)는 검색조건 선택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15). 상기 검색조건 선택 요청 신호에는 지도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Upon receiving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of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00 transmits a search condition selection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115). The search condition selec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map data.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모바일처리부(140)로부터 검색조건 선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검색조건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표시하고 충전소 검색 조건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7). 상기 검색조건이란, 충전소를 검색할 지역의 범위(예: 전국, 도, 시, 구, 동, 사용자 지정 범위, 위치기반 범위 등)가 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 종류, 배터리 종류 및 충전기 종류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ceives the search condition sel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processor 140, the mobile terminal 200 displays the search condition selection user interface means and checks whether the charging condition search condition is selected (S117). The search condition may be a range of a region to search for a charging station (e.g., a nation, a city, a city, a city, a city, a user specified range, a location based range, .

검색조건이 선택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선택정보를 모바일처리부(140)로 전송한다(S119).If the search condition is sel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processor 140 (S119).

검색조건 선택정보를 수신한 모바일처리부(140)는 선택정보의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및 지도데이터를 로드하고(S121),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충전소 및 충전기 정보 요청 신호를 충전관리부(130)로 전송한다(S123).Upon receiving the search condition selection information, the mobile processor 140 loads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ndition of the selection information (S121), and transmits the charging station and charg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arch condition to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S123).

충전관리부(130)는 모바일처리부(140)로부터 충전소 및 충전기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포함되어 있는 충전소(300)의 충전소 서버(320)에 접속하여 해당 충전소(300)의 충전기(310)들의 현황을 요청하는 충전기 현황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25).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accesses the charging station server 320 of the charging station 300 wh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charg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to check the status of the charging devices 310 of the charging station 300 And transmits a charger status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S125).

그러면, 충전소(300)의 충전소 서버(320)는 충전기(300)들의 충전 진행 여부 정보 및 만충전 잔여 시간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충전소 현황 정보를 생성하여 충전관리부(130)로 제공한다(S127).Then, the charging station server 320 of the charging station 300 collects information on the charging progress of the chargers 300 and information such as the remaining time of the charging operation, generates the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30 (S127) .

충전소 현황 정보를 수신한 충전관리부(130)는 모바일처리부(140)로 충전소 현황정보를 전송한다(S129).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receiving the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transmits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S129).

모바일처리부(140)는 충전관리부(130)로부터 충전소 현황 정보가 수신되면 충전소 위치정보, 지도데이터 및 충전소 현황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제공한다(S131). 상기 충전소 위치정보는 지도데이터에 맵핑되어 전송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지도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충전소 위치정보 및 충전소 현황정보만 이동통신다말기(200)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mobile processor 140 provides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map data, and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n charging sta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S131).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be mapped to map data and transmitted, or may be transmitted separately. 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has map data, only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상기 충전소 현황정보, 충전소 위지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충전소 현황정보 중 간략 충전소 현황정보 및 충전소 위치정보가 맵핑된 지도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며, 임의의 충전소(300) 선택 시 해당 충전소(300)의 상세 충전소 현황정보를 표시할 것이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ceiving the map data including the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displays the map data on which the short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re mapped on the display unit 240 The detailed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300 will be displayed when the optional charging station 300 is select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간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onitoring a charging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충전 현황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211). 충전 현황 요청 이벤트는 충전현황 요청 수단에서 임의의 충전소(300)에서 충전중인 자신의 전기자동차를 식별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식별정보의 입력 후, 확인 버튼 등의 눌림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충전현황 요청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는 수단이거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기자동차를 식별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식별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200) 사용자이자 전기자동차(1)의 운전자인 사용자 식별정보, 회원등록 시 등록한 로그인 식별정보, 전기자동차 차량번호, 배터리 식별정보,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hecks whether a charging status request event is generated (S211). The charging status request event may be generated by pressing an OK button or the like after inputting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ic vehicle being charged in any charging station 300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ing means. The charging status requesting mean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eb page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provided in an application form.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1, log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at the time of member registration, electric vehicle number, It may be one or mo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충전현황 요청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모바일처리부(140)로 전송한다(S213).Whe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event is gener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ransmits a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processor 140 (S213).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처리부(140)는 상기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식별정보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충전관리부(130)로 전송한다(S215). 모바일처리부(140)는 상기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전기자동차(1)의 차량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포함되어 있는 다른 식별정보에 의해 등록차량 DB(161) 및 회원 DB(162)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 사용자가 충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를 획득할 것이다.The mobile processor 140 receiving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acquires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o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S215). The mobile processor 140 refers to the registered vehicle DB 161 and the member DB 162 according to o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when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not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ill acquire the car number of the electric car charged.

모바일처리부(140)로부터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수신한 충전관리부(130)는 충전기관리 DB(164)를 참조하여 상기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가지는 전기자동차(1)를 충전하고 있는 충전소(300)를 찾고(S216), 찾아진 충전소(300)의 충전소 서버(320)로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17).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that receives the charge statu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processor 140 refers to the charger management DB 164 and determines the charging status of the charging station 130 that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1 having the vehicle number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S216), and transmits a charge status request signal to the charging station server 320 of the found charging station 300 (S217).

충전소(300)는 수신된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차량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 있는 충전기(310)를 찾고(S219), 찾아진 충전기(310)를 통해 수집되는 해당 전기자동차(1)의 배터리 충전상태, 충전시간, 만충전 잔여시간 등을 포함하는 충전현황 정보를 생성한(S221) 후 충전관리부(130)로 전송한다(S223).The charging station 300 searches for the charger 310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in step S219 and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car (S223), and then transmit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battery charging status, the charging time, the remaining remaining time, and the like to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S223).

충전관리부(130)로 전송된 충전현황 정보는 모바일처리부(140)를 거쳐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전송된다(S225, S227).The charge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harge management unit 13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mobile processing unit 140 (S225, S227).

상기 충전현황 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충전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receiving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display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24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방법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긴급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all service method using an Internet network in a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한 긴급콜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311).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hecks whether an emergency call request is generated by the user (S311).

긴급콜 요청이 발생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긴급콜 요청 신호를 모바일처리부(140)로 출력한다(S313).When the emergency call request is gener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outputs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processor 140 (S313).

모바일처리부(140)의 긴급콜 처리부(146)는 긴급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던(S315) 중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긴급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와 IP 음성채널을 할당하여 IP 통화로를 형성한다(S317).When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146 of the mobile processor 140 receives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during monitoring the reception of the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at step S315, And allocates a channel to form an IP channel (S317).

긴급콜 처리부(146)는 이동통신단말기(200)와의 IP 통화로를 형성한 후 요청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한다(S319). 상기 다이얼링에 의한 호 발신은 PSTN(500)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를 가지는 발신처 전화기(600)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 및 PSTN(500)을 통해서 발신처 전화기(600)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400)의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146 forms an IP telephone cal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performs dialing to the requested telephone number (S319). The call origination by the dialing may be a calling telephone 600 having the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PSTN 500 or a calling telephone 600 through the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and the PSTN 500 ,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wire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400.

다이얼링 수행 후 긴급콜 처리부(146)는 발신처 전화기(600)가 호에 응답하면 발신처 전화기(600)와의 음성 통화로를 형성한다(S321).After performing the dialing, the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146 forms a voice communication route with the source telephone 600 when the source telephone 600 responds to the call (S321).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와 IP 통화로가 형성되고, 발신처 전화기(600)와도 음성통화로가 형성되면 상기 IP 통화로와 음성통화로를 결합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발신처 전화기(600)가 통화로를 형성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321).As described above, when an IP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voice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with the source telephone 6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source telephone (600) forms a call path so that a voice call can be performed (S321).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전기자동차 100: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
110: 차량등록부 120: 회원등록부
130: 충전관리부 140: 모바일처리부
141: 송수신신호 처리부 142: 충전소검색부
143: 충전기 리스트 제공부 144: 충전현황 획득부
145: 충전 이력 조회부 146: 긴급콜 처리부
150: 통합관리부 160: 저장부
161: 등록차량 DB 162: 회원 DB
163: 충전이력 DB 164: 지도 DB
165: 충전기관리 DB
200: 이동통신단말기 210: 제어부
211: 웹브라우저 구동부 212: 위치계산부
213: 충전소 검색 처리부 214: 충전현황 요청 처리부
215: 충전이력 조회부 216: 긴급콜 발신부
220: 단말저장부 230: 입력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GPS 모듈
260: 통신부 261: 이동통신부
262: 데이터통신부 300: 충전소
310: 충전기 320: 충전소 서버
600: 발신처 전화기
1: electric vehicle 100: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110: Vehicle registration unit 120: Member registration unit
130 charge management unit 140 mobile processing unit
141: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 processing unit 142: Charging station searching unit
143: Charger list providing unit 144: Charging status obtaining unit
145: Charging history inquiry unit 146: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150: Integrated management unit 160:
161: registered vehicle DB 162: member DB
163: Charging history DB 164: Map DB
165: Charger management DB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211: Web browser driver 212: Position calculator
213: Charging station search processing unit 214: Charging status request processing unit
215: Charging history inquiry unit 216: Emergency call origination unit
220: terminal storage unit 230: input unit
240: display unit 250: GPS module
260: communication unit 261: mobile communication unit
262: data communication unit 300: charging station
310: charger 320: charging station server
600: Outgoing phone

Claims (9)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충전소;
사용자에 의한 충전소 찾기 이벤트의 발생 시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요구되는 충전소 검색조건 요청에 대해 검색조건을 전송하고, 상기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충전소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충전소 검색조건을 요청하고 이에 대해 수신되는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충전소를 검색한 후, 검색된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A plurality of charging station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and including at least one charger that supplies charging electric power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when a charging station search event is generated by a user, a search condition is transmitted for a charging station search condition request that is requested in response to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pon receiving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the charging station search con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es the charging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arch condition, And a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for providing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with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충전소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충전기 정보를 저장하는 충전기관리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소 검색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충전소 검색조건을 요청하고 이에 대해 수신되는 검색조건에 대응하는 충전소를 상기 저장부의 충전기관리 DB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모바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A storage unit including a charger management DB for storing charger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stations; And
Upon receiving a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 charging station search con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es a charger management DB in the storage unit for a charging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arch condition, And a mobile processor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등록 DB 및 전기자동차 충전 모니터링 서비스 대상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기자동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차량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전기자동차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등록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차량등록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모니터링 서비스 가입을 위한 가입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 등록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회원등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충전소 검색을 요청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등록부에 등록된 전기자동차의 소유주 및 회원등록부에 등록된 회원 중 하나이면 상기 충전소 검색 요청에 대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member registration DB for storing subscriber inform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monitoring service subscriber and a registered vehicle database for storing electric automatic inform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e monitoring service,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A vehicle registration unit for receiving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storing the registered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and registering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And
And a member registering unit for receiving and registering subscriber information for subscribing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i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 the member registration DB,
I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he search for the charging station is one of the members registered in the member registration unit and the owner of the electric vehicle registered in 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the mobile processing unit provides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charging station search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nitoring the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statu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등록된 회원별 및 상기 전기자동차별로 충전 이력을 저장하는 충전이력 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충전기관리 DB에 등록된 충전소의 충전기들을 통해 충전되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이력을 생성하여 상기 충전이력 DB에 저장하는 충전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 이력 조회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충전 이력 조회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기자동차 식별정보에 의해 전기자동차 식별정보별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파악하고 상기 충전이력 DB에서 상기 파악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충전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history DB storing charge histories for the registered members and the electric vehicles,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And a charge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a charge history for the electric vehicle charged through the chargers of the charge station registered in the charger management DB and storing the charge history in the charge history DB,
Wherein the mobile processor comprises:
When receiving the charging history inquiry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es the vehicle number from the electric car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for each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harging history inquiry request signal, Extracts charging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car number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the extracted charging history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충전현황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기자동차 식별정보에 의해 전기자동차 식별정보별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정보로부터 차량번호를 파악하고, 상기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상기 충전관리부로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충전현황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충전관리부는,
상기 모바일처리부로부터 충전현황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충전기관리 DB에 포함된 충전기별 충전 여부 및 충전중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들 중 상기 충전현황 요청 신호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가지는 충전기를 검색하고, 해당 충전소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충전현황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소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현황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모바일처리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bile processor comprises:
When receiving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es the vehicle number from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ransmits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charge management unit comprises:
Upon receipt of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processor, searches for a charger having a car number included in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among charging numbers of chargers included in the charger management DB and car numbers of charging electric vehicles,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vehicl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charg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station in response to the charging status request signal, and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obile processing unit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nitor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신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긴급콜 요청 신호의 수신 시 상기 발신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호를 발신하고, 상기 발신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처 전화기가 상기 호에 응답하면 상기 발신처 전화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간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bile processor comprises:
When an emergency call request signal including a source telephone number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aling is performed to the source telephone number to issue a call, and when a source telephone corresponding to the source telephone number answers the call, And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처리부는,
상기 검색된 충전소의 위치를 지도데이터에 맵핑하고, 충전소의 위치가 맵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bile processor comprises:
And mapping the search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to the map data and transmitting the map data mapped with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GPS 위성들을 이용한 현재 위치를 계산한 후 상기 검색조건으로서 상기 위치정보를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로 전송하고,
충전 모니터링 서버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검색조건으로 수신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충전소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using the GPS satellites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as the search condition,
The charge monitoring server uni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s a search condition and searches for a charging station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the charging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atus monitor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등록부는,
렌트 차량으로 이용될 다수의 전기자동차들에 대한 전기자동차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일괄적으로 입력받아 등록차량 DB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회원등록부는,
상기 등록된 전기자동차를 렌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DB에 저장하여 등록하되, 상기 등록차량 DB에 등록된 전기자동차 중 사용자가 선택한 렌트할 전기자동차를 선택받아 해당 회원정보와 전기자동차 정보를 맵핑하는 맵핑정보를 회원 DB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소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vehicle registration unit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to be used as rental vehicles is collectively inputted from the manager and stored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and registered,
The member registration unit,
The member information of the user who intends to rent the registered electric vehicle is inputted and stored in the member DB to register the electric vehicl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electric vehicles registered in the registered vehicle DB, And further stores the mapping information for mapping the information in the member DB.
KR1020150020774A 2015-02-11 2015-02-11 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600987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74A KR20160098766A (en) 2015-02-11 2015-02-11 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774A KR20160098766A (en) 2015-02-11 2015-02-11 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766A true KR20160098766A (en) 2016-08-19

Family

ID=5687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774A KR20160098766A (en) 2015-02-11 2015-02-11 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8766A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3974A (en) * 2016-10-21 2017-01-04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Electric automobile long range positioning method
CN106572150A (en) * 2016-10-19 2017-04-19 蔚来汽车有限公司 Mobile charging vehicle charging service calling terminal and method
CN106990728A (en) * 2017-03-20 2017-07-28 上海图赛新能源科技集团有限公司 One kind passes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7539147A (en) * 2017-08-22 2018-01-05 杭州安充科技有限公司 Shared electric bicycle charging system and its charging method
KR20190133567A (en) * 2018-05-23 2019-12-03 광주과학기술원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ptimal management system
KR102269730B1 (en) * 2020-10-21 2021-06-28 한중근 Substitute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KR20210107579A (en) * 2019-09-30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젠 Advertising linkage and charging payment system of EV charging station
CN113688535A (en) * 2021-09-02 2021-11-23 国网北京市电力公司 Vehicle behavior simul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processor
US20210404838A1 (en) * 2020-06-24 2021-12-30 Micware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CN114074570A (en) * 2020-08-20 2022-02-22 青岛特来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Charging control method,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 control system, charging control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WO2022186446A1 (en) * 2021-03-02 2022-09-09 주식회사 티비유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method, an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KR20230070818A (en)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유비웍스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y Using Control Center
KR102623901B1 (en) * 2022-11-18 2024-01-10 이현 System for searching and reserving of supplement station for non-face-to-face vehicle energy source supplement
KR102648726B1 (en) * 2023-03-06 2024-03-18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Ev charging platform system of sharing information on charging competitors for ev charging st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604A (en) 2010-04-22 2013-06-20 에네르델, 인코포레이티드 Monitoring of battery state of char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604A (en) 2010-04-22 2013-06-20 에네르델, 인코포레이티드 Monitoring of battery state of charg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2150A (en) * 2016-10-19 2017-04-19 蔚来汽车有限公司 Mobile charging vehicle charging service calling terminal and method
WO2018072613A1 (en) * 2016-10-19 2018-04-26 蔚来汽车有限公司 Mobile charging vehicle charging service calling terminal and method
CN106303974A (en) * 2016-10-21 2017-01-04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Electric automobile long range positioning method
CN106303974B (en) * 2016-10-21 2019-07-26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公司 Electric car is remotely located method
CN106990728A (en) * 2017-03-20 2017-07-28 上海图赛新能源科技集团有限公司 One kind passes throug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7539147A (en) * 2017-08-22 2018-01-05 杭州安充科技有限公司 Shared electric bicycle charging system and its charging method
KR20190133567A (en) * 2018-05-23 2019-12-03 광주과학기술원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ptimal management system
KR20210107579A (en) * 2019-09-30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젠 Advertising linkage and charging payment system of EV charging station
US20210404838A1 (en) * 2020-06-24 2021-12-30 Micware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1946765B2 (en) * 2020-06-24 2024-04-02 Micware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CN114074570A (en) * 2020-08-20 2022-02-22 青岛特来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Charging control method,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 control system, charging control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69730B1 (en) * 2020-10-21 2021-06-28 한중근 Substitute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WO2022186446A1 (en) * 2021-03-02 2022-09-09 주식회사 티비유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method, an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N113688535A (en) * 2021-09-02 2021-11-23 国网北京市电力公司 Vehicle behavior simul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processor
KR20230070818A (en)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유비웍스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y Using Control Center
KR102623901B1 (en) * 2022-11-18 2024-01-10 이현 System for searching and reserving of supplement station for non-face-to-face vehicle energy source supplement
KR102648726B1 (en) * 2023-03-06 2024-03-18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Ev charging platform system of sharing information on charging competitors for ev charging st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8766A (en) System for monitoring charging station status of electric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7546789B (en) Reservation navigation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RU2720225C2 (en) Vehicle,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autonomous vehicle control
US20180366003A1 (e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mobile and vehicle devices
US201501984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Trip and Recharge Planning
CN109556612B (en) Navig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serv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3868520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Trip Planning
CN102607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station guidance
CN109765895B (en) Unmanned vehicle control method, unmanned vehicle control device, unmanned vehicle and storage medium
CN103218769A (en) Taxi order allocation method
US11017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f position of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ehicle, control method of vehicl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20220185143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4299040A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reservation
WO2012160627A1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N111739329A (en) Travel route generation method, travel route generation device, storage medium, and server
JP2006284246A (en) Taxi course search system
CN111898042A (en) Riding point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3314273B (en) Signal conditioning package
CN107749502A (en) A kind of parking of automobile charging process method, apparatus and processing terminal based on big data
CN110689749A (en) Parking query method and related device
KR20170141911A (en) Car sharing system and car sharing system mathod
JP2008283576A (en) Network search system, server, mobile terminal, and network search method
JP2012023907A (en) Charging system between vehicles
KR20010109686A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Taxi Call Service
US20220187093A1 (en) Battery managing system, battery manag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