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105A -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 Google Patents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105A
KR20160098105A KR1020160081023A KR20160081023A KR20160098105A KR 20160098105 A KR20160098105 A KR 20160098105A KR 1020160081023 A KR1020160081023 A KR 1020160081023A KR 20160081023 A KR20160081023 A KR 20160081023A KR 20160098105 A KR20160098105 A KR 2016009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ilm
bone
implant
crow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수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덴테크
Publication of KR2016009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1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Card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rier for implant, which comprises: an absorbent barrier covering an implant post coupled to alveolar bone and a bone graft material and absorbed to bone tissues after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an unabsorbent barrier keeping a shape of the absorptive barrier by being coupled to an outer lateral side of the absorbent barrier. Maintenance of the shape of the absorptive barrier and acquisition of a space by the barrier enables easy guided bone regeneration.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차폐막{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0001]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0002]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유도 재생시 사용되는 골 이식재를 덮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membrane for implants used in implant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elding film for implant covering a bone graft material used in bone induction regeneration.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대체적으로,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있는 잇몸뼈(이를 '치조골'이라 한다)에 임플란트용 포스트를 삽입하고, 임플란트용 포스트에 인공치아(Crown)를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The dental implant procedure is generally completed by inserting an implant post into the gum bone (referred to as an alveolar bone) in the gum after cutting the patient's gum, and attaching an artificial tooth to the implant post.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픽스쳐가 식립되는 치조골은 충분한 길이와 폭이 필요하다. 뼈는 다른 조직에 흡수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뼈유도 재생술(이를 '골유도 재생술'이라고도 한다)이 필요한데, 뼈는 다른 조직과 달리 신체의 구조로 완전히 회복되는 유일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뼈가 올바른 형태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상태가 필요한데, 기계적 안정성과 풍부한 혈액 공급이 그것이다.In order to perform the implant procedure, the alveolar bone in which the fixture is placed needs a sufficient length and width. Bones are often absorbed or lost in other tissues. In this case, bony induction regeneration (also called "bony induction regeneration") is needed, and unlike other tissues, bones have the unique potential to be fully restored to the structure of the body. However, in order for bones to regenerate in the correct form, a basic condition is required, mechanical stability and abundant blood supply.

골유도 재생술의 생물학적 필요조건은 혈류의 공급, 안정화, 골아세포, 제한된 공간, 공간 유지, 창상피개 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외과적 술식이 시행된다. 골 이식재에 적절한 압력을 제공하는 경우, 밀착성이 높아지고 골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Biological requirements for bone induction regeneration include supply of blood flow, stabilization, osteoblasts, limited space, space maintenance, and sputum epithelium. When appropriate pressure is applied to the bone graft material, the adhesion can be enhanced and it can contribute to bone formation.

특히, 안정화 및 제한된 공간을 위해 차폐막을 사용한다. 차폐막은 혈병을 보호해주고, 연조직 세포가 골 결손부로 이주해 오는 것을 막고 골성 세포가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shielding films are used for stabilization and limited space. Shielding protects blood clots, prevents soft tissue cells from migrating into bone defects, and allows osteocytes to settle.

차폐막 적용을 위해서는, 골 결손부와 골 이식재의 범위에 따라 형태와 크기에 맞도록 재단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수술 시간이 지연되고 조작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apply the shielding membrane, it is necessary to cut it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bone defect and the bone graft material, which results in a delay in operation time and a difficulty in operation.

차폐막은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폐막이 적절히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 치유 과정 중 골 이식재의 변위나 움직임,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골치유가 저해됨은 물론 원하는 양의 골재생을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The shield must be physically stable. More specifically, when the shielding film can not be properly fixed, the bone marrow oil is inhibited by displacement or movement of the bone graft material or external impact during the healing process, and a desired amount of bone can not be regenerated.

흡수성 차폐막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곤란하다. 이에 비하여,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비흡수성 차폐막은, 형태가 유지되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세포가 증식되는데 필요한 기간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티타늄 소재의 비흡수성 차폐막은 조직에 흡수되지 않으므로 일정기간 경과 후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 부담 및 시술시 조작에 어려움이 있다.It is difficult to properly function as a support when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alone is used. On the other hand,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using a metal material such as titanium (Ti) is advantageous in that it maintains its shape and plays a role as a support, thereby securing a period required for cell proliferation. However, since the titanium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is not absorbed into the tissue, there is a burden to be removed through surgery after the lapse of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operation during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골유도 재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im to provide a double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bone induction regen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결합되는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comprising: an absorbent shielding film covering an implant post and a bone graft material bonded to an alveolar bone and absorbed into bone tissue after bone induction regeneration; A double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including a nonabsorbing shielding film can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와,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치관이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치관 결합용 암나사가 형성된 치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혈액 및 골 형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 각각은 평면 형태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의 표면적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내부 영역 포함되도록 상기 흡수성 차폐막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일부를 관통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돌출부를 매개로 상기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원형 형상의 원형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원형 형상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복수의 날개부 중 인접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원형 형상부에서 먼 쪽의 단부에 각각 체결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홀은 상기 치조골에 상기 날개부를 고정시키는 체결 기구가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은,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양면 중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상기 돌출부 부분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다른 부분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티타늄 금속막 또는 티타늄 재질보다 탄성이 높은 어느 일 금속 재질의 막에 티타늄을 도금한 금속막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플라스틱 막일 수 있다.Here, the implant post includes a bone tissue coupl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and bonded to the alveolar bone, and a crown-coupling female thread formed integrally on the bone-tissue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via a crown fixing bolt And may include a crown connection. In additio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blood and bone forming components pass. Further, each of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and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may be formed of a planar film. In addition, the surface area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may be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In additio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so as to include the inner region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and the non-absorptive shielding film may protrude toward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and protrude through a part of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and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and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and the absorptive shielding film Can be fixed. In additio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of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 wing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ircular shape portion.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may further include a w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a pair of adjacent w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The w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at an end farther from the circular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mechanism for fastening the wing portion to the alveolar bone. The absorbent shield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In addition,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both surfaces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on the surface to which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is not attached. Further,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other portions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may be made of any one of a titanium metal film or a metal film formed by plating titanium on a metal film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a titanium material.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may be a plastic film.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막의 일면에 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치조골에 결합되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출부가 억지 끼움되는 동작으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에 고정된다.The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rotruding a protrusion on one surface of a membrane and is fixed to the implant post by being engaged with the concave portion of the implant post having a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hile being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와,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치관이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된 치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는 상기 오목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와,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치관이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된 치관 연결부와,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에 상기 치관을 결합시키기 전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임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볼트의 상부면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정다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에 억지 끼움되되, 수평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정다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가 억지 끼움되되, 수평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원기둥, 원뿔, 반구형 및 구형 중 어느 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해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는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을 관통하여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을 상기 흡수성 차폐막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원형 형상의 원형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형 형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는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양면 중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이 부착되지 않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혈액 및 골 형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implant post includes a bone-joint part inserted into and bonded to the alveolar bone, and a crown-joint female part formed integrally on the bone-joint part and coupled to the upper part via a crown-fixing bolt And the crown-fitting female screw portion may be the concave portion. The implant post may include a bone tissue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and bonded to the alveolar bone, and a bone cemented portion formed integrally on the bone tissue coupling portion, the crow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being formed through a crown-fixing bolt And a temporary bolt coupled to the crown-coupling female screw portion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crown-coupling female screw portion before the crown tube is coupled with the temporary bolt. The reces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bolt. Further,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having a regular polygonal shape, and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nstrained to the concave portion, bu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may be circular.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having a regular polygonal shape, and the recesses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 the protrusions being constricted. Further, the projecting portion may have any one of a cylindrical shape, a conical shape, a hemispherical shape, and a spher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projection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inner end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recess and the length of the longest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recess May be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concave section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outer en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protruding section and the maximum length of the outer ends facing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protruding s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The implant shielding film may include an absorbent shielding film covering the implant post and the bone graft material, and a nonabsorbing shielding film provided on the protrusion and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have. In addition, the projecting portion can penetrate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to bond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to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In additio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portion having a circular shape, and the proj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circular shape portion. The implant shielding film may include an absorbent shielding film having the protrusion and covering the implant post and the bone graft material and a nonabsorbing shielding film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have. In addition, the proj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oth surfaces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on which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is not attached. Also, at least a part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passing at least one of blood and bone forming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콜라겐 소재의 흡수성 차폐막에 비흡수성 재료로 사용되는 티타늄을 이용하여, 흡수성 차폐막의 형태 유지와 차폐막에 의한 공간 확보를 통해 골유도 재생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bone induction regeneration through the use of titanium used as a non-absorbent material in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of collagen material and securing the space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and the shielding fil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체 감염에 대한 부작용이 없이 골유도 재생술을 할 수 있고, 골 이식재가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유지력 및 안정적인 공간 확보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bone induction regeneration without adverse effect on human body infection, and can have sufficient holding power and stable space securing force so that the bone graft material is not deformed.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 포스트에 대한 결합 과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쉽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implant operation by facilitating the coupling process to the implant post.

도 1은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가 식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임플란트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차폐막이 골 이식재를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과 임플란트 포스트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과 나란한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비흡수성 차폐막의 여러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이 시술된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ntal implant mechanism being plac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plant mechanism,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hielding film covers the bone graft material,
4 is a bottom view of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ield for implants and an implant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alveolar bone when the implant post procedure is applie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when the implant post procedure is applied,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enti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hielding film for implant shown in FIG. 8,
10 and 11 are plan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shown in Fig. 9,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of the alveolar bone according to the shielding film for implant according to FIG. 12,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ouble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일반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치근인 픽스쳐(fixture)를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인공치근에 치아 보철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를 의미한다.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넓게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좁게는 픽스쳐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는 주로 일반적인 인공 치아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Dental implants generally refer to an artificial tooth structure formed by implanting a fixture,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on a partially or entirely missing tooth region, to adhere to the alveolar bone and to fix the dental prosthesis to the artificial tooth root. The term implants can be used broadly as a generic concept including these dental procedures, and narrowly to the same meaning as a fixtu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implant or implant structure can be mainly used as a general artificial tooth structure.

도 1은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가 식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임플란트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a dental implant mechanism is placed,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of an implant mechanism.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골조직 결합부(10), 치관 연결부(20), 어버트먼트(30) 및 치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골조직 결합부(10) 및 치관 연결부(20)를 임플란트 포스트(1)라 칭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ental implant mechanism may include a bone connector 10, a crown connection 20, an abutment 30, and a crown 4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one connecting portion 10 and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will be referred to as an implant post 1.

골조직 결합부(10)는 치은(잇몸)(G)으로 덮혀 있는 치조골(B)에 결합하여 인공치근을 형성한다. 골조직 결합부(10)는 픽스쳐(fixture), 좁은 의미로서의 임플란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bone joining portion 10 is bonded to an alveolar bone B covered with a gum (gum) G to form an artificial root. The bone-fitting portion 10 may be referred to as a fixture, an implant in a narrow sense, or the like.

치관 연결부(20)는 하단부가 골조직 결합부(10)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어버트먼트(30)가 결합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는 골조직 결합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end of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bone tissue coupling portion 10 and the abutment 3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end portion.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ne connecting portion 10.

임플란트는 치관 연결부(20)가 어버트먼트(30)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과 분리 가능한 분리형이 있다. 분리형은 치관 연결부(20)와 어버트먼트(30)의 결합 구조에 따라 인터널(internal)형 및 익스터널(external)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익스터널 형에 대해 도시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인터널 및 익스터널 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The implant has an integral type and detachable detachable type in which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abutment 30. The detachable type can be classified into an internal type and an external type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abutment 30. 1 shows the external type, bu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the internal type and the external type.

치관 연결부(20)의 외주면은 어버트먼트(30)가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관 연결부(20)는 다각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어버트먼트(30)의 내부에는 치관 연결부(2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의 형태도 치관 연결부(2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버트먼트(30) 내부의 홈은 치관 연결부(20)가 다각 기둥인 경우 다각 기둥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치관 연결부(20)는 어버트먼트(30)에 삽입되고, 치관 연결부(20)의 외면과 어버트먼트(30)의 내면이 서로 대응됨으로써 치관 연결부(20)에 어버트먼트(30)를 결합한 후 치관(40)이 회전하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as to insert the abutment 3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crown connection 20 may be in the form of a polygonal column.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abutment 30 so as to insert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The shape of the groov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 Concretely, the grooves in the abutment 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column when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is a polygonal column.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abutment 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30 are mutual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own tube 40 from rotating or being displac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crown tube 30 is coupled.

치관 연결부(20)의 상면에는 골조직 결합부(10)를 향하여 함몰되게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22)(이하, '암나사부'라 칭한다)가 형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30)는 치관 결합용 볼트(50)가 삽입되는 삽입홀(30b)을 구비할 수 있다. 치관 고정용 볼트(50)는 어버트먼트(30) 및 치관 연결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치관(4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a female threaded portion 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emale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be recessed toward the bone tissue fitting portion 10. The abutment 30 may have an insertion hole 30b into which a crown-fitting bolt 50 is inserted. The crown fixing bolt 50 can securely fix the crown 40 by fixing and fixing at least one of the abutment 30 and the crown connection 20.

치관(40)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한다. 치관(40)은 크라운(crown), 인공치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치관(40)은 어버트먼트(30)에 향후에 형성됨으로써 치관 연결부(20)에 설치될 수 있다.The crown 4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artificial teeth. The crown 40 may be referred to as a crown, an artificial tooth,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crown tube 40 can be installed in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20 by being formed in the abutment 30 in the future.

임플란트 시술 후, 암나사부(22)의 내부에 연조직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스크류(임시볼트)(150)를 암나사부(22)에 임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시볼트(150)는 렌치 등이 삽입될 수 있는 볼트 오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헥사공(153)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트 오목부(153)는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볼트 오목부(153)는 십자형태나 일자 형태의 홈일 수 있다. 볼트 오목부(153)은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원기둥, 원뿔, 반구형 및 구형 중 어느 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볼트 오목부(153)가 다각형 중 육각형 형태인 헥사공(153)으로 지칭하기로 한다.A cover screw (provisional bolt) 150 may be temporarily couple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2 to prevent the soft tissue from entering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2 after the implant treatment. The temporary bolt 150 may include a bolt recess 153 into which a wrench or the like may be inserte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exa holes 153 may be variously formed. For example, the bolt recess 153 may be polygonal. The bolt recess 153 may be a cross or a straight groove. The bolt recess 153 may have any of cylindrical, conical, hemispherical, and spherical shapes in addition to the above cas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olt recess 153 is referred to as a hexagonal hole 153 having a polygonal hexagonal shape.

한편,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포스트(1)는 몸체와 헤드로 나눠서 지칭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의 몸체는 치골에 삽입되는 부분을 지칭하며, 임플란트 포스트(1)의 헤드는 몸체의 상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치관이 결합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대부분 임플란트 포스트(1)의 헤드는 치관 연결부(20)와 동일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lant post 1 may be divided into a body and a head. The body of the implant post 1 refers to th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pubic bone, and the head of the implant post 1 refers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refers to the part to which the crown is connected. Most of the heads of the implant posts 1 can be understood as the same parts as the crown connecting portions 20. [

치관 고정용 볼트(50)가 결합되는 암나사부(22)에 임시볼트(1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임플란트 포스트(1)의 오목부는 치관(40) 고정을 위하여 치관 연결부(20)에 형성된 암나사부(22) 및/또는 암나사부(22)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된 임시볼트(150)에 형성된 볼트 오목부(153)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암나사부(22)는 나사가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나사 결합부분 이외의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sional bolt 150 can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22 to which the crown fixing bolt 50 is coupled. The concave portion of the implant post 1 is fixed to the crown connection portion 20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female thread portion 22 and / or the female thread portion 22 formed in the crown connection portion 20 for fixing the crown 40 And the bolt recess 153 formed in the temporary bolt 15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male screw portion 22 refers to a horse including a portion to which a screw is coupled, and may further include a space other than the screwed portion.

지금까지, 도 1 및 도 2는 치관(크라운(crown))을 임플란트 포스트(1)(또는 픽스쳐)나 어버트먼트(30)에 나사에 의해 고정하는 나사유지형 방식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픽스쳐에 어버트먼트(30)를 나사 고정하고, 별도로 제작된 크라운을 고정된 어버트먼트(30) 위에 배치하여,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를 개재하여 크라운과 어버트먼트(30)를 합착하는 시멘트 유지형 방식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1 and 2 show a screw retaining type in which a crown is fixed to the implant post 1 (or fixture) or the abutment 30 by a scre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not shown in this specification, the abutment 30 is screwed to the fixture, the separately manufactured crown is placed on the fixed abutment 30, and the crown and the abutment The cement-retaining type method of attaching the cushion 30 to the cement-retaining type can also be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임플란트용 차폐막(121)이 골 이식재(60)(이를 "뼈 이식재"라고도 한다)을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hielding film 121 for implant covers the bone graft material 60 (also referred to as "bone graft material").

도 3을 참고하면, 임플란트 시술시에는,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임플란트 포스트(1)를 치조골(B)에 삽입한다. 치조골(B)이 부족한 경우 부족한 치조골(B)에 각형 인공뼈를 이식하거나 분말형 인공뼈(골 이식재(60))를 삽입하여 치조골(B)이 증대되도록 하는 골유도 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을 시술할 수 있다. 골 이식재(60)가 채워진 후에, 채워진 골 이식재(60)가 필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연조직 개입을 막고 골조직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t the time of implant treatment, the patient's gums are incised and the implant post 1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B).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in which an angular artificial bone is implanted into a deficient alveolar bone (B) or an alveolar bone (B) is inserted by inserting a powdered artificial bone (bone graft material (60) ) Can be performed. After the bone graft material 60 is filled, a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an implant can be used so that the filled bone graft material 60 can maintain the required shape, and soft tissue intervention is prevented and bone tissue inflow is induced.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치조골(B)에 임플란트 포스트(1) 및 골 이식재(60)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121A) 및 흡수성 차폐막(121A)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결합되어 흡수성 차폐막(121A)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s 121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cover the implant post 1 and the bone graft material 60 to the alveolar bone B and to cover the absorbable shielding film 121A and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Absorbing shielding film 121B that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both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and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121B are inclu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구분과는 상관없이 크게 흡수성과 비흡수성으로 구분된다. 흡수성 차폐막(121A)은 생체분해물질로 만들어져 일정기간 장벽(Barrier)의 기능을 수행한 뒤 분해되어 조직에 흡수되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다. 십자형 타입(Cross-linked Type)과 비 십자형 타입(Non-Cross-linked Type) 등으로 구분되며 최소 2주부터 최대 54주까지 흡수되어 추가적인 제거 술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흡수성 차폐막(121A)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손상이 되더라도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서 감염의 위험도가 낮은 편이다.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an implant is divided into an absorbent structure and a non-absorbable structure, regardless of the category used to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is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nd is a product made to be decomposed and absorbed into tissue after performing a barrier fun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divided into cross-linked type and non-cross-linked type. It is absorbed from at least 2 weeks up to 54 weeks an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removal procedure. Even i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is exposed to the outside or damaged, it acts as a barrier and the risk of infection is low.

주로 콜라겐(Collagen), 폴리유산수지(Polyactic acid), 폴리 그라틱 산(Polyglactic acid) 등으로 만들어지는 흡수성 차폐막(121A)은 2차 수술이 필요 없으며, 상피세포의 이동을 막고, 공간을 형성해 선택적 세포 증식 및 골 재생을 유도한다. 또한 흡수성 차폐막(121A)는 탄성이 있어 상처에 가해지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된다.The absorbent shield 121A, which is made mainly of collagen, polyactic acid, polyglactic acid, etc., does not require a second operation and prevents the migration of epithelial cells, Leading to cell proliferation and bone regeneration. Further,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is us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mechanical stress applied to the wound due to elasticity.

예를 들면, 흡수성 차폐막(121A)는 콜라겐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보통 동물의 힘줄(Tendon) 등에서 얻어진 콜라겐을 처리해서 만든다. 이와 같은 흡수성 차폐막(121A)의 경우 비흡수성 차폐막보다 골재생에 있어 다소 지연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부작용이 비흡수성 차폐막(121B)보다 적고 안전성에서도 우수한 편이다.For example,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llagen, which is made by treating collagen obtained from an animal's tendon. In the case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it is known to be somewhat delayed in bone regeneration compared to the non-absorbable shielding membrane, and the side effect is less than that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and is superior in safety.

하지만 흡수성 차폐막(121A)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비해 공간확보 능력이 다소 떨어지며 지지대로서의 효능이 작은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only the water-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is used alon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pace-securing ability i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121B and the effect as a support is small.

이에 비하여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형태가 유지되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세포가 증식되는 데 필요한 기간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이 장점이다.On the other hand,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using a metal material such as titanium (Ti)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hape thereof is maintained and it plays a role as a support and it is easy to secure a period required for cell prolife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과 임플란트 포스트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과 나란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bottom view of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n implant shield and an implant p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when the implant post treatment is applied,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enti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평면 형태의 막및 막의 중앙 하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 형태의 막은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4 to 7,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an implant may include a planar film and a protrusion 122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lm. Here, the planar film means either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or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121B.

즉, 평면 형태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과용 차폐막일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티타늄과 같은 비흡수성 재료로 형성되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일 수 있다. 또한, 골 손실부에 맞추어 재단이 용이하도록,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콜라겐 같은 흡수성 재료로 형성되는 흡수성 차폐막(121A)일 수 있다.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 및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이중 구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과 비흡수성 차폐막(121B)의 이중 구조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That is, the material of the planar shape implant shielding layer 121 may be a generally used dental shielding film. In particular,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an implant may be a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formed of a non-absorbent material such as titanium. In addition, the implant double shielding film 121 may be an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formed of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collagen to facilitate cutting in accordance with the bone loss. The implant double shielding film 121 may be a double structure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and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an impla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mainly on the case of a double structur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and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121B.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에 형성되는 돌출부(122)는 흡수성 차폐막(121A) 또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2)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122)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trusion 122 formed on the implantable double shielding film 121 may be formed on one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and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22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titanium.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trusion 1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on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임플란트 포스트(110)는 인공 치아(치관(40))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 포스트(110)는 몸체 자체를 의미할 수 있고,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암나사부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 볼트(커버 스크류)(150)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돌출부(122)는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상단 부분인 치관 연결부(113)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결합되거나,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암나사부 또는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implant post 110 may have a female threaded portion (not shown) for engagement with an artificial tooth (crown 40). At this time, the implant post 110 may refer to the body itself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visional bolt (cover screw) 150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in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implant post 110. The protrusion 122 may be coupled to 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113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implant post 110 or may be coupled to the recess 153 of the temporary bolt 150.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implant post 110 or the recess 153 of the provisional bolt 15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trusion 122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53 of the temporary bolt 150 and fixed.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시,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암나사부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임시볼트(150)가 사용된다.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몸체(111)는 치조골(B)에 삽입된다. 몸체(111)의 상단 부분인 치관 연결부(113)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임시볼트(150)의 숫나사부(152)가 결합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order to protect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implant post 110 during implant treatment, a temporary bolt 150 is generally used. The body 111 of the implant post 110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B. The crown connecting portion 113,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1,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male screw portion 152 of the temporary bolt 150 can be engaged.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돌출부(122)에 의해 임시볼트(150)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임시볼트(150)의 머리부(151)에 형성된 오목부(153)에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122)는, 대응되는 오목부(153)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22)의 크기는 오목부(153)의 크기에 비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53)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오목부(153)의 단면은 정육각형 등의 정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2)는 원기둥, 원뿔, 또는 반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돌출부(122)와 오목부(153)의 형상이 상이함으로써 향후 임시볼트(150)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5,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an implant may be fixed to the provisional bolt 150 by the protrusion 122. [ The protrusion 122 can be fitted in the recess 153 formed in the head 151 of the temporary bolt 150. The projecting portion 122 can be interference fit with the corresponding recess 153. [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protrusion 122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ecess 153. At this time, the end face of the concave portion 153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153 may be a regular polygon such as a regular hexag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22 has a cylindrical shape, a conical shape, or a hemispherical shape. Particularly, since the projections 122 and the recess 153 have different shapes, the temporary bolt 150 can be smoothly removed in the future.

한편, 상기와 같은 돌출부(122)는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육각형 등과 같은 정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2)와 오목부(153)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목부(153)가 정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trusion 12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regular polygon such as a regular hexagon. At this time, the shapes of the protrusion 122 and the recess 15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Hereinafter, the concave portion 153 is formed in a regular polygonal shap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와 같은 경우 돌출부(122)가 오목부(153)에 적절한 억지 끼움이 되도록, 돌출부(122) 중 어느 한 단면의 지름은 오목부(153)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단 이격거리 보다 크고, 오목부(153)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장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ameter of one of the projecting portions 122 is set such that the length of the shortest end of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end face of the concave portion 153 is set such that the projecting portion 122 can be tightly 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53 And may be smaller than the longest separation distance of the inner en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ecess 153.

한편,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억지끼운 상태에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을 회전시키는 경우,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임시볼트(150)에 대하여 상대적인 원형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시술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위치 및 방향을 정한 후, 임플란트 포스트(110)에 수직으로 장착 가능하며, 방향에 오차가 있는 경우 간단하게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쉽게 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otating the double shielding membrane 121 for implant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pressed against the concave portion 153 of the temporary bolt 150,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 121 is fixed to the temporary bolt 150 Relative circular mo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s 121 can be mounted vertically on the implant post 110 afte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implantation are determined during the procedure. If there is an error in the direction, The error can be easily corrected by rotating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임플란트 포스트(110)가 치조골(B)에 삽입되고, 임시볼트(150)가 임플란트 포스트(110)에 고정되며, 치조골(B)의 주위에 골 이식재(130)가 놓여지고,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골 이식재(130)와 임시볼트(150)를 덮도록 결합된다.6 and 7, the implant shielding film 121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B, the temporary bolt 150 is fixed to the implant post 110, and the alveolar bone B The implantation double shielding film 121 is combined with the bone graft material 130 so as to cover the temporary bolt 15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a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재료로써 평면 형태의 흡수성 차폐막(121A) 및 그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일면에 결합되는 금속성 재료와 같은 비흡수성 재료로써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포함할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흡수성 차폐막(121A)에 프레임 구조로 부착될 수 있다.8, the implantation double shielding film 121 is made of a non-absorbable material such as a metallic material that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in a planar form as an absorbent material, and a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may be attached to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in a frame structure.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평면 형태의 막으로 형성되고,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흡수성 차폐막(121A) 보다 표면적이 작으며, 흡수성 차폐막(121A)의 내부 영역에 고정되어 부착된다. 여기서, 흡수성 차폐막(121A)의 내부 영역이라 함은, 임플란트 포스트(110)가 구비된 방향으로 향하는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일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2)가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형성되고, 돌출부(122)가 흡수성 차폐막(121A)을 관통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의 내부 영역에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고정시키는 매개 역할을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and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are formed of a planar film,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has a smaller surface area than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region. Here, the inner region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means one surface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lant post 110 is provided.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formed i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and the protruding portion 122 penetrates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to serve as an intermediary for fixing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to the inner region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

이때, 돌출부(122)는 흡수성 차폐막(121A)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22)가 흡수성 차폐막(121A)에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122)는 흡수성 차폐막(121A)과 상이한 티타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22)가 흡수성 차폐막(121A)에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122)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이 부착되지 않는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122)가 비흡수성 차폐막(121B)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on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When the projecting portion 122 is formed on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titanium different from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In particular, when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on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to which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121B is not attach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에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원형 형상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형상부(123)는 도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도 8에서 보이는 면을 표면이라 할 때 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은 도 4와 이면도라 할 수 있다. In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s 121,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may include the circular shape portion 123. The circular shape 123 may have a protrusion 122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when the surface shown in Fig. 8 is referred to as a surface. That is, FIG. 8 can be referred to as FIG. 4 and FIG.

돌출부(122)는 원형 형상부(123)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2)는 원형 형상부(123)와 결합되거나, 원형 형상부(123)와 동시에 형성되거나, 원형 형상부(123)를 드로잉(drawing) 또는 엠보싱(embossing)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2)는 원형 형상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며, 흡수성 차폐막(121A)을 통과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ircular shape 123. For example,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with the circular shape 123, formed concurrently with the circular shape 123, or formed by drawing or embossing the circular shape 123 . 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ircular shape portion 123 and can protrude in the bottom surface direction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through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돌출부(122)는 단면이 원형 형태가 되도록 하여,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억지 끼워진 상태에서도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 회전시키는 경우 임시볼트(150)에 대하여 상대적인 원형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임플란트 포스트(110)에 틀어져서 결합된 경우, 쉽게 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embedded in the recess 153 of the temporary bolt 150 even when the implant 122 including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and the non- A circular motion relative to the temporary bolt 150 may be possible when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is rotated. Accordingly, when the implantation double shielding film 121 is engaged with the implant post 110, the error can be easily corrected.

상기와 같이 돌출부(122)가 원형 단면을 구비하도록, 돌출부(122)는 실린더 형상, 원뿔, 반구형 또는 구형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12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 cone shape, a hemisphere shape, or a spherical shape so that the protrusion 122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특히 상기와 같이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억지끼워 맞춤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며, 별도의 체결수단을 가지지 않으면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임플란트 포스트(110) 주위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in interference fit with the concave portion 153 of the provisional bolt 150 as described above,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 121 is fixed without moving and has no separate fastening means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implant can effectively cover the periphery of the implant post 110.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원형 형상부(123)로부터 4개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이웃하는 날개부(124)들을 연결하며 지지하는 지지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may further include four radially extending wings 124 from the circular shape 123. [ In addition,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125 for connecting and supporting neighboring wing portions 124.

원형 형상부(123)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의 날개부(124)는 흡수성 차폐막(121A)을 지지하며, 지지부(125)는 날개부(124)들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차폐막(121A)은 가공(재단 등)이 용이하고, 비흡수성 차폐막(121B)의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에 의하여 탄성과 경성이 균형되게 유지될 수 있다.The wing portion 124 of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circular shape portion 123 supports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and the support portion 125 can support the wing portions 124. [ Therefore,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can be easily processed (cut or the like), and the elasticity and hardness can be kept balanced by the wing portion 124 and the support portion 125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상기와 같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티타늄 소재이거나, 티타늄 보다 높은 탄성을 가진 탄성 소재의 막에 티타늄을 도금한 것일 수 있다. 티타늄은 일반 흡수성 차폐막(121A)보다는 탄성이 높으며 견고하나, 외부 압력에 쉽게 형상이 변하고 원상태로 되돌아 오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성 소재의 금속에 티타늄 도금을 하여, 외부 압력에 따른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The non-absorptive shielding film 121B may be made of titanium or may be made of titanium coated with an e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higher than that of titanium. Titanium has a higher elasticity and firmness than the general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but has a drawback that the shape easily changes to an external pressure and does not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the metal of the elastic material is plated with titanium to provide a shielding film harmless to the human body while maintaining the homeostasis according to the external pressure.

또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을 이용하여 골 이식재(60)를 덮을 때 지지대로서 역할을 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흡수성 차폐막(121A)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외부 압력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의해 외부 압력에 대응할 수 있어 골 손실부에 채워진 분말형 골 이식재(60)의 변형이나 이동을 방지하는 등 골 이식재(60)의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골 재형성에 향상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serves as a support when covering the bone graft material 60 by using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s 121 so that the shape of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implants can be maintained. This is because, if it is constituted only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it may be vulnerable to external pressure. In addition, the double shielding membrane for implants 121 can correspond to an external pressure by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and prevent deformation or movement of the powdery bone graft material 60 filled in the bone loss portion, Physical stability can be maintained, and bone reformation can be improved.

도 8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 상부에 비흡수성 차폐막(121B)이 부착되어 형태 유지가 가능하게 하고,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하부에 비흡수성 금속 재질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 등에 고정될 수 있다.The implantable double shielding film 121 of FIG. 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sorbable shielding film 121A to enable the shape to be maintained, (122) may be formed and fixed to the recess 153 of the temporary bolt 150 shown in FIG.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비흡수성 차폐막의 여러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 shown in FIG. 8, and FIGS. 10 and 11 are plan views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돌출부(122)를 구비하는 원형 형상부(123)를 포함할 수 있고,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implant double shielding film 12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bsorbable shielding film 121A and a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The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portion 123 having a protrusion 122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wing portion 124 and a support portion 125. [

예를 들면,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원형 형상부(123)에 바 타입의 날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부(123)에 날개부(124) 및 날개부(124)를 지지하는 지지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0, the non-absorptive shielding film 121B may further include a bar-shaped wing portion 124 in the circular shape portion 123. In addition, 9, the circular portion 123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125 for supporting the wing portion 124 and the wing portion 124. [

흡수성 차폐막(121A),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에 대한 상세 설명은, 도 8에 대한 상기 설명으로 대체한다.Details of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the circular portion 123, the wing portion 124, and the support portion 125 ar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of FIG.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통공(180)이 형성될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혈액이나 골 형성 성분 등을 통과시키지 못하나, 복수의 통공(180)을 통해, 치은(G)으로부터 혈액이나 골 형성 성분 등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 안쪽의 골 이식재(60)에 공급되어 골 이식재(60)가 치조골(B)에 원활하게 재생되게 할 수 있다.9 and 1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80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at least one of the circular shape portion 123, the wing portion 124, and the support portion 125.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does not allow blood or bone formation components to pass therethrough but blood or bone formation components or the like from the gingiva G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80, So that the bone graft material 60 can be smoothly regenerated to the alveolar bone B.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이 시술된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double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of an alveolar bone according to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 according to FIG.

도 12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 비흡수성 차폐막(1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흡수성 차폐막(121B)는 금속성 원형 형상부(123) 및 바 타입의 금속성 날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3을 참조하면, 날개부(124)에는 원형 형상부(123)에서 먼 쪽의 단부에 체결용 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용 홀(126)을 통과하는 체결 기구(127)에 의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보다 안정적으로 치조골(B)에 고정될 수 있다.12, the implantable double shielding film 121 may include an absorbable shielding film 121A and a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and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may include a metallic rounded shape 123 and a bar type And may include a metallic wing 124. 13, the w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26 at an end farther from the circular portion 123. In addition, as shown in FIG. The double shielding film 121 for implant can be more stably fixed to the alveolar bone B by the fastening mechanism 127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26.

이와 같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평면 형태의 흡수성 차폐막(121A)에 금속 프레임인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결합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 전체의 형태 유지와 골 이식재(60)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plant double shielding film 121 is formed by bonding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which is a metal frame, to the absorbent shielding film 121A having an absorbing planar shap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entire implant shielding film 121,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the user.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치조골(B)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고 고정됨으로써 골 이식재(60)의 형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s 121 is stably and firmly fixed to the alveolar bone B, thereby effectivel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bone graft material 60.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shielding film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날개 지지부(125) 및 돌출부(122)의 재질을 비흡수성 차폐막(121B)으로써 금속성 재료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날개 지지부(125) 및 돌출부(122)는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소재(예컨대, 확장된 폴리테크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막일 수 있다.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골 손실부에 따라 적당히 구부리거나 재단 등의 성형을 통해, 골 손실부를 잘 덮어야 한다. 플라스틱은 구부린 상태로 유지가 잘 되지 않는다. 비흡수성 소재가 플라스틱인 경우, 도 1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날개부(124)는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구부려진 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비흡수성 차폐막(121B)는 치조골의 원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8 to 13, the material of the circular shape portion 123, the wing portion 124, the wing support portion 125, and the protrusion portion 122 is described as a non-absorbent shielding film 121B, It is not. For example, the circular features 123, the wings 124, the wing supports 125, and the protrusions 122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e.g.,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Etc.). The implant shielding layer 121 should be ben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bone loss portion or covered with the bone loss portion by molding such as cutting. The plastic is not well maintained in a bent state. In the case where the non-absorbent material is plastic, as shown in Fig. 14,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g portion 124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or nearly perpendicularly. In additio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shape of the alveolar bone.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통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의 형태 유지를 유지시킴으로써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에 의한 공간 확보를 통해 골유도 재생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above-described double shielding membrane for implants 121 maintains the shap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121A through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121B, thereby facilitating the bone induction regeneration through securing of space by the implant shielding film 121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achieve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double shielding film for im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 치조골 G: 치은
10: 골조직 결합부 20: 치관 연결부
22: 암나사부 30: 치관
35: 치관 고정용 볼트 60: 골 이식재
121: 차폐막 121A: 흡수성 차폐막
121B: 비흡수성 차폐막 122: 돌출부
123: 원형 형상부 124: 날개부
125: 날개 지지부 126: 체결용 홀
180: 통공
B: Alveolar bone G: Gingiva
10: bone connector 20: crown connection
22: female thread portion 30: crown
35: crown fixing bolt 60: bone graft material
121: Shielding film 121A:
121B: non-absorptive shielding film 122:
123: circular shape portion 124: wing portion
125: wing support part 126: fastening hole
180: through hole

Claims (5)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혈액 및 골 형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An absorbable shielding membrane covering the implant post and bone graft material and being absorbed into the bone tissue after bone induction regeneration; And
Absorbing shielding film which is bond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Wherei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passing at least one of blood and bone forming components in at least a part of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일부를 관통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치조골에 결합되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기 오목부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치관 연결부에 구비된 치관 및 어버트먼트 중 적어도 하나가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하는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 및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임시볼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헥사공 중 어느 하나인 임플란트용 차폐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absorbable shielding film ha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and penetrating a part of the absorbing shielding film,
Wherein the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implant and is engaged with the recess of the implant post having a concave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protrusion being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The concave portion,
A crown-coupling female screw portion for coupling at least one of a crown and an abutment provided on a crown connect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bone-joint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of the implant post through a crown fixing bolt; And
And a hexa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bol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수평 단면이 정다각형이고, 나머지 하나는 수평 단면이 원형인 임플란트용 차폐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protrusion has a regular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other has a circular horizontal cross s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큰 임플란트 차폐막.
The method of claim 3,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inner en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recess an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recess is defined as a reference Is greater than the longest distance of the inner end facing each oth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해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큰 임플란트 차폐막.
The method of claim 3,
The diameter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outer en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cross- The implant shield is larger than the longest distance of the outer end facing the injury.
KR1020160081023A 2013-04-29 2016-06-28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KR2016009810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118 2013-04-29
KR1020130047118 2013-04-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1767A Division KR20140128888A (en) 2013-04-29 2014-04-29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105A true KR20160098105A (en) 2016-08-18

Family

ID=524546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90A KR20140128889A (en) 2013-04-29 2014-04-29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KR20140052006A KR20140128896A (en) 2013-04-29 2014-04-29 Implant assembly
KR20140051767A KR20140128888A (en) 2013-04-29 2014-04-29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KR1020160081023A KR20160098105A (en) 2013-04-29 2016-06-28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90A KR20140128889A (en) 2013-04-29 2014-04-29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KR20140052006A KR20140128896A (en) 2013-04-29 2014-04-29 Implant assembly
KR20140051767A KR20140128888A (en) 2013-04-29 2014-04-29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4012888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02B1 (en) * 2015-10-15 2017-02-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Tool for forming 3d dental barrier membrane
KR102283471B1 (en) *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Fixture Guide Cover for Implant Surgery
WO2023158067A1 (en) * 2022-02-15 2023-08-24 주식회사 바이오템 Bone screw for 3d guided bone regen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441B1 (en) * 2015-08-27 2016-09-08 주식회사 덴티스 Assembly mesh for implant surgery
KR101686221B1 (en) * 2016-03-10 2016-12-13 안필호 Wing type membrane for implant
KR200489588Y1 (en) * 2017-09-20 2019-07-09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Surgical implant for transsphenoidal approach
KR101930797B1 (en) * 2018-02-20 2019-03-11 주식회사 아이두바이오텍 Implant apparatus with preservation function of extraction socket
KR102146161B1 (en) * 2018-08-29 2020-08-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ARRIER MEMBRANE FOR DENTAl GUIDED BONE REGENERATION HAVING COUPLING PROJECTION
IL298170A (en) * 2020-05-14 2023-01-01 Inovedis Gmbh Tendon fixation plate
CN112472334B (en) * 2020-11-25 2021-10-29 广州市弘健生物医用制品科技有限公司 A supporting structure for alveolar bone is rebuild
WO2023121061A1 (en) * 2021-12-20 2023-06-29 문천호 Screw for dental impla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02B1 (en) * 2015-10-15 2017-02-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Tool for forming 3d dental barrier membrane
KR102283471B1 (en) *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Fixture Guide Cover for Implant Surgery
WO2023158067A1 (en) * 2022-02-15 2023-08-24 주식회사 바이오템 Bone screw for 3d guided bone re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96A (en) 2014-11-06
KR20140128888A (en) 2014-11-06
KR20140128889A (en)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8105A (en)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US8523568B2 (en) Dental implant
KR100938991B1 (en) Mini implant
KR101065924B1 (en) Implant for dental
US20070162024A1 (en) Implant for anchoring in bones
KR200456270Y1 (en) Fixture for implant
KR101140620B1 (en) Temporary clamping member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implant theraphy
KR101984691B1 (en) Dental devices for extraction site reconstruction
KR20160026885A (en) System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KR20150014947A (en) Dental prosthesis system
KR101646168B1 (en) Dental Implant assembly
KR101540559B1 (en) Plate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KR101388185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090203B1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method for menufacturing the dental implant fixture
KR20190040590A (en) General-purpose abutment with reduced Surgery procedure
KR20150040777A (en) Implant
KR20150133671A (en) 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KR20090016560A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tooth replacement in a growing individual
KR101608170B1 (en) Implant unit
KR20180065091A (en) Dental Implant
KR101820489B1 (en) Multi-purpose abutment with reduced Surgery procedure
KR100929987B1 (en) The implant
KR101037892B1 (en) Detector cover screw
KR20140105098A (en) Angled implant
KR200392241Y1 (en) Dental Temporary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