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087A -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087A
KR20160098087A KR1020160015653A KR20160015653A KR20160098087A KR 20160098087 A KR20160098087 A KR 20160098087A KR 1020160015653 A KR1020160015653 A KR 1020160015653A KR 20160015653 A KR20160015653 A KR 20160015653A KR 20160098087 A KR20160098087 A KR 20160098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ember
main body
engaging
fram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5007B1 (ko
Inventor
황미경
황의권
Original Assignee
황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미경 filed Critical 황미경
Publication of KR2016009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1Photograph stand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는, 전면에 접착시트(111)가 구비되어 사진(10)을 접착할 수 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의 배후에서 펼쳐지되,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가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제1다리부재(200) 및 제2다리부재(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FRAME INCLUDE FOLDING TYPE BRIDGE}
본 발명은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본체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를 이용하여 본체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 그림, 허가증, 검사증 등과 같이 외부로 표현이 되어야할 전시물(이하, 전시물)을 보관하기 위한 도구이다. 이와 같은 액자는 주로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제작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상기 액자는 전시물이 지지되기 위한 판상의 몸체와, 몸체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전시물을 몸체와 일체화하며 장식효과를 부여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액자는 전시물이 더욱 미려하게 관찰되도록 하기 위해 전면에 유리 등을 끼워 구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당한 중량을 가지며, 특히, 유리가 결합된 액자는 액자의 중량을 가중시킴과 동시에 바닥으로 낙하할 경우 충격에 의해 유리가 깨져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자는 전시물을 끼우기 위해 몸체에 전시물을 부착하고 테두리를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액자는 몸체와 테두리를 구성하기 위해 그 제작비용이 상당하며 제품의 단가가 높은 결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693호(고안의 명칭: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 공개일자:2009년 11월 18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를 이용하여 본체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를 2장의 종이로 겹쳐서 제작하여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정면에는 접착시트가 구비되어 사진을 본체의 정면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에는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의 어느 하나의 다리부재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는 나머지 하나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와 상호 끼워져 결합되므로 결합방법이 손쉬운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 쌍의 다리부재들의 간편한 결합에 의해 본체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 지지할 수 있어 사진이 촬영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는, 전면에 접착시트가 구비되어 사진을 접착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배후에서 펼쳐지되,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에 상기 접착시트가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구비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에는,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결합되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재는 상기 수납통공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다리부재는부 상기 수납통공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와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측 테두리는 서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상기 본체의 배후에서 결합시 상기 제1결합홈과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상기 수납통공에서 결합시 상기 제1결합돌기와 끼워지는 제2결합홈과,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상기 제2다리부재가 상기 수납통공에서 결합시 상기 제1결합홈이 끼워지는 제2결합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돌기 사이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돌기 사이에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는 상기 수납통공에서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다리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제2다리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다리부재와 상기 제2다리부재가 상기 본체의 배후에서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세우는 경우, 상기 제2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 또는 제1다리부재의 타측 테두리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고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를 이용하여 본체를 간편하게 세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를 2장의 종이로 겹쳐서 제작하여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고, 정면에는 접착시트가 구비되어 사진을 본체의 정면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에는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다리부재의 어느 하나의 다리부재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는 나머지 하나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와 상호 끼워져 결합되므로 결합방법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 쌍의 다리부재들의 간편한 결합에 의해 본체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 지지할 수 있어 사진이 촬영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후면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제1다리부재와 제2다리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정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한 쌍의 다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본체가 폭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후면패널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의 제1다리부재와 제2다리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는, 본체(100)와 제1다리부재(200) 및 제2다리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종이재질로 제작되는 부재로서, 휘어짐이 방지되도록 비교적 두꺼운 두께의 종이(예:하드보드, 마분지 등)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진(10)이 부착가능하도록 사진의 형상 및 비율을 고려하여 직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판 형상, 육각판 형상, 삼각판 형상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직사각판 형상의 본체(100)를 참조하여 본체(100)의 형상을 원판 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변형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체(100)는 전면패널(110)과, 이 전면패널(110)의 배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후면패널(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10)에는 접착시트(111)가, 후면패널(120)에는 후술할 제1다리부재(200) 및 제2다리부재(300)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접착시트(111)에는 사진(또는 그림)(10)의 인쇄된 면이 잘 보이도록 사진의 배면이 접착된다.
상기 접착시트(111)에는 사진(10)이 완전히 접착되지 아니하도록 가접착되는 접착제를 채택하여 사진(10)을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패널(120)에는 수납통공(1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납통공(121)에는 상기 접착시트(111)에 접착된 사진(10)을 벽에 거치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가 수납통공(121)의 내부에서 결합되어 수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벽에 거치하는 경우, 벽에 못을 박은 후, 접착시트(111)에 접착된 사진(10)을 정면에서 볼 수 있도록 후면패널(120)에 구비된 고리부(122)에 못을 걸어서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리부(122)는 본 발명을 벽에 거치하는 경우, 본 발명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후면패널(12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중심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면, 즉, 후면패널(120)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제1다리부재(200)는 수납통공(1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2다리부재(300)는 수납통공(121)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통공(121)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하 및 좌우가 동시에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는 수납통공(1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데,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가 수납통공(121)의 외부, 즉, 본체(100)의 뒷공간인 배후에서 결합되는 경우,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어 본체(100)가 세워지도록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배후에서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가 결합시, 제1다리부재(200)의 하측 테두리와 제2다리부재(300)의 상측 테두리는 서로 끼움결합된다.
상기 제1다리부재(200)의 하측 테두리의 일측에는 제1결합돌기(210)가, 타측에는 제1결합홈(220)이 형성되며, 제1결합홈(220)과 제1결합돌기(210) 사이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2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다리부재(300)의 상측 테두리의 일측에는 제2결합홈(320)이, 타측에는 제2결합돌기(310)가 형성되며, 제2결합홈(320)과 제2결합돌기(310) 사이에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부(330)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가 수납통공(121)의 내부에서 결합시, 제1결합돌기(210)는 제2결합홈(320)에 끼워지며, 제1결합홈(220)에는 제2결합돌기(310)가 끼워지는데, 각각의 결합홈(210,310)과 결합돌기(220,320)가 수납통공(121)의 내부에 결합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벽에 거치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본체(100)의 배후에서 제1다리부재(200)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홈(220)이 제2다리부재(30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된 제2결합홈(320)과 끼워지며, 제2다리부재(300)의 하측 테두리는 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본체(100)의 배후에서 제1다리부재(200)의 타측 테두리가 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는 경우,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는 본체(100)의 하측에 편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100)의 폭방향으로도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제1다리부재(200)의 상측 테두리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중간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하, 도 2, 도 4,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되는 액자의 제1다리부재와 제2다리부재가 본체의 배후에서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에는 후면패널(120)에는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가 수납통공(121)에 끼워져 있는데, 제1결합홈(220)에는 제2결합돌기(310)가, 제2결합홈(320)에는 제1결합돌기(210)가 끼워져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가 수납통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패널(110)의 전면에 구비된 접착시트에 사진을 접착한다.
이후,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를 수납통공(121)에서 본체(100)의 배후로 회전시킨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홈(220)과 제2결합홈(320)을 본체(100)의 배후에서 끼움결합되는데, 제1결합홈(220)과 제2결합홈(320)은 제1다리부재(200)와 제2다리부재(300)가 갖고 있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어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후, 사진의 구도에 따라 본체(100)를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세우는데, 길이방향으로 세우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리부재(300)의 하측 테두리로 지면을 지지하며, 폭방향으로 세우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다리부재(200)의 타측 테두리로 지면을 지지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진 100: 본체
110: 전면패널 111: 접착시트
120: 후면패널 122: 고리부
200: 제1다리부재 210: 제1결합돌기
121: 수납통공 220: 제1결합홈
300: 제2다리부재 310: 제2결합돌기
320: 제2결합홈 330: 제2경사부

Claims (10)

  1. 전면에 접착시트가 구비되어 사진을 접착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배후에서 펼쳐지되,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면에 상기 접착시트가 구비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구비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에는,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결합되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재는 상기 수납통공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다리부재는 상기 수납통공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와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측 테두리는 서로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상기 본체의 배후에서 결합시 상기 제1결합홈과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제2다리부재가 상기 수납통공에서 결합시 상기 제1결합돌기와 끼워지는 제2결합홈과,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 및 상기 제2다리부재가 상기 수납통공에서 결합시 상기 제1결합홈이 끼워지는 제2결합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돌기 사이에는 하향 경사진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돌기 사이에는 상향 경사진 제2경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는 상기 수납통공에서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1다리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제2다리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재와 상기 제2다리부재가 상기 본체의 배후에서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세우는 경우, 상기 제2다리부재의 하측 테두리 또는 제1다리부재의 타측 테두리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고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KR1020160015653A 2015-02-09 2016-02-11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KR101755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524 2015-02-09
KR20150019524 2015-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087A true KR20160098087A (ko) 2016-08-18
KR101755007B1 KR101755007B1 (ko) 2017-07-06

Family

ID=5687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53A KR101755007B1 (ko) 2015-02-09 2016-02-11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09B1 (ko) 2018-05-18 2020-08-24 주식회사 예일문화사 접이식 받침대가 구비된 액자
KR20220159739A (ko) 2021-05-26 2022-12-05 이광재 장식용 이미지 고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007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2350A1 (en) Picture fram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trim and base section
BRPI0716000A2 (pt) màdulo de exibiÇço dobrÁvel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US6163998A (en) Backing and support assembly for a decorative element
USD910752S1 (en) Sidewalk menu chalkboard sign with display shelf
KR102160280B1 (ko) 접이식 액자와 그 제조 방법 및 전개판지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0378931Y1 (ko) 종이 액자
CN209800444U (zh) 黏贴夹及包含该黏贴夹的多用途片状支架
US8333027B1 (en) Interchangeable address signage system
KR200448902Y1 (ko) 직립 보조체를 가지는 액자
GB2534857A (en) A picture frame with card insert and hanging bracket
KR20100009183U (ko) 종이 액자
KR101065194B1 (ko) 종이 액자
KR200479001Y1 (ko) 테이블
KR20160000721U (ko) 서로 다른 느낌을 부여하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액자
JP3146006U (ja) 紙葉ホルダ
JP3146033U (ja) 紙葉ホルダ
KR20130003173U (ko) 액자가 형성된 거울
KR20210000687U (ko)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
JP2006129932A (ja) 陳列台
TWM581793U (zh) Adhesive clip and multi-purpose sheet bracket including the same
KR20110000826U (ko) 액자
JP2017056018A (ja) 陳列台
WO2012164733A1 (ja) 写真立て類に用いる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