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803A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803A
KR20160095803A KR1020150017225A KR20150017225A KR20160095803A KR 20160095803 A KR20160095803 A KR 20160095803A KR 1020150017225 A KR1020150017225 A KR 1020150017225A KR 20150017225 A KR20150017225 A KR 20150017225A KR 20160095803 A KR20160095803 A KR 20160095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upper elastic
bobbin
housing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9255B1 (en
Inventor
박상옥
이성민
이준택
손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01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255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11372793.0A priority patent/CN115576070A/en
Priority to CN202211147507.0A priority patent/CN115327734A/en
Priority to CN201680014095.XA priority patent/CN107407788B/en
Priority to US15/548,697 priority patent/US10468959B2/en
Priority to PCT/KR2016/001064 priority patent/WO2016126061A1/en
Priority to CN202011303548.5A priority patent/CN112363294B/en
Priority to CN202011308032.XA priority patent/CN112363295B/en
Publication of KR2016009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803A/en
Priority to US16/580,627 priority patent/US11005353B2/en
Priority to US17/226,341 priority patent/US11824418B2/en
Priority to KR1020220108237A priority patent/KR202201232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255B1/en
Priority to US18/488,591 priority patent/US2024004803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Prosthes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lens driving device comprises: a bobbin of which a first coil is install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in the bobbin; a housing of which the bobbin is provided in an internal side; an upper elastic member arranged on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housing to be moved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vertical to a first directio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t least two of the parts are mutually arranged in parallel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on an x-y flat surface. Moreover, in the two parts, end portions of each one side may be arrange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unit,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T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s, which incorporate ultra-compact digital cameras, are actively under development.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는 IT제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 포커싱 장치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다.In the case of an IT product in which a conventional miniature digital camera is incorporated,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a digital image, and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n auto focusing device for aligning the focal distance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

그런데 이러한 렌즈 구동장치의 경우, 기계적 진동에 의한 공진이 문제될 수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lens driving apparatus, resonance due to mechanical vibration may be a problem, and improvement is required.

따라서, 실시예는,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정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진동에 의한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resonance due to mechanical vibration which may occur in auto focusing or camera shake correctio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외주면에 제1코일이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 내측에 상기 보빈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이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 파트 중 적어도 2개의 파트는 x-y평면상에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파트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bobbin having a first coil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bobbin; A housing having the bobbin on its inner side; An upper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housing such that the housing is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t least two parts xy plane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and the at least two parts may be arranged so that one end of each of the at least two parts is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며 일부가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제2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upper elastic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part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And a second upper elastic member disposed to face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with a central portion of the bobbin therebetween,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3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Where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bbin on one sid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a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on the xy plane And a third upper elastic member arranged such that one end thereof faces one side end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x-y평면상에서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와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Where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on the xy plane and is dispos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opposed to one side end of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bobbin, And a fourth upper elastic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fth upper elastic memb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obbin, the position sensing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bbin therebetween, one side thereof being coupled to the bobbin, the other sid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a sixth upper elastic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보빈결합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결합부; 및 상기 제1보빈결합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결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bobbi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 second support portion recombining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bobbin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to each other.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보빈결합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지지부재결합부; 및 상기 제2보빈결합부와 상기 제3지지부재결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includes: a second bobbin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sensor; A third support portion recombining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 third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cond bobbin coupling part and the third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to each other.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2연결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7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and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3연결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8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may include an eighth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and disposed to face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와 제8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는 일체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는 일체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제1코일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코일결합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결합부; 및 상기 제1코일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결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rst coil coupl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coil; A first support portion recombin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coil coupling part and the first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to each other.

상기 보빈은 상부에 결합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은 단부가 상기 결합보스에 권선되며, 상기 제1코일 단부와 상기 제1코일결합부는 서로 솔더링되는 것일 수 있다.The bobbin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boss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end of the first coil may be wound on the coupling boss, and the first coil end and the first coil coupling portion may be soldered together.

상기 결합보스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coupling bosses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arrang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외주면에 제1코일이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제1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이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 파트 중 적어도 2개의 파트는 x-y평면상에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파트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분할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각 파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x-y평면상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bobbin having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il and the position sensing sensor;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first magnet; An upper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 lower elastic member disposed below the housing;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housing such that the housing is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t least two parts xy plane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and the at least two parts are disposed such that one end of each of the at least two parts is opposed to each other, and at least a part of each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에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장치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includes the lens driv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lens driving device.

실시예에서, 상측 탄성부재는 분할되고, 분할된 일부 파트가 병렬로 배치되어 상측 탄성부재의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을 증가시켜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시 보빈 또는 하우징의 불필요한 틸트, 시프트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is divided and the divided part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increase the elastic modulus or spring constant or rigidity of the upper elastic member to suppress unnecessary tilt and shift of the bobbin or the housing in ope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can do.

또한,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보빈, 하우징의 틸트, 시프트를 억제하고, 이에 따른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focusing, tilt and shift of the bobbin and the housing can be suppressed, and resonance due to the tilt can be suppressed.

또한, 렌즈 구동장치에서 위치감지센서가 보빈에 결합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측 탄성부재를 분할하여 위치감지센서의 복수의 단자들을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is coupled to the bobbin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lens driving device, the upper elastic member can be divided into an electrod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position senso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

또한,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하는 경우, 오토 포커싱 피드백 제어시 기계적 공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주파수 응답해석에서 공진과 관련되는 2차 및 3차 고주파성분의 발생을 억제 또는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focusing, the occurrence of mechanical resonance during the auto focusing feedback control can be suppressed. Particularly, in the frequency response analysis, generation of secondary and tertiary high frequency components related to resonance can be suppressed or reduc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상측 탄성부재와 제1마그네트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상측 탄성부재와 제1마그네트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주파수 응답해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first magnet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first magnet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graph showing a frequency response analysis result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view showing a portion A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are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or "on or under" of each element, the upper or lower (on or under Quot; includes both that the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at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elements. Also, when expressed as "on" or "on or und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top / top / top" and "bottom / bottom / bottom", as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imply n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Bu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Further, in the drawings,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the x axis and the y axis mean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x axis direction as a second direction, and the y axis direction as a third direc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장치란 정지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한다.An image stabilizer applied to a small-sized camera module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outline of the photographed image from being formed due to the vibration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user at the time of shooting the still image Means a configured device.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는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미도시) 면에 결상 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광학모듈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에 대하여 움직여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to focus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focuses an image of an object on an image sensor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optical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may be moved in a first direction or may be moved with respect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Correction operation and / or auto focusing operation.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는 렌즈의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동부는 보빈(110), 제1코일(120), 제1마그네트(130), 하우징(140),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위치감지센서(170) 및 센서기판(18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vable portion. At this time, the movable portion can perform functions of auto focusing of the lens and correction of camera shake. The movable part includes a bobbin 110, a first coil 120, a first magnet 130, a housing 140, an upper elastic member 150, a lower elastic member 160, a position sensing sensor 170, 180).

보빈(110)은 하우징(140) 내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코일(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상기 제1코일(12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bbin 11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40 and has a first coil 120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magnet 130.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first coil 130, (120) so as to reciprocate in a first direction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140). The first coil 12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to enabl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150)(16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제1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bobbin 1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150 and 160, and can perform the auto focusing function by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보빈(11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을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The bobbin 110 may include a lens barrel (not show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The lens barrel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in various ways.

예컨대,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female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and 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by screw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s barrel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by a method other than screwing, without forming a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10. Alternatively, the one or more lenses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bbin 110 without a lens barrel.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lens coupled to the lens barrel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ens,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오토 포커싱 기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되며, 보빈(110)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초기위치로부터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한방향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초기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The auto focusing fun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nd the auto focusing function may be realized by moving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forward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can move up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when the reverse current is applied, the bobbin 110 can move down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lternatively, the amount of unidirectional current may be adjust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ovement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one direction.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와 하측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지지돌기는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하측 지지돌기는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110 may have a plurality of upper support protrusions and lower support protrusions.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prismatic shape,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engaged and fixed. The lower support protrusions may be cylindrical or prismatic like the upper support protrusions, and the lower elastic members 160 may be engaged and fixed.

이때, 상측 탄성부재(150)에는 상기 상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측 탄성부재(160)에는 상기 하측 지지돌기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돌기들과 통공들은 열 융착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have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ppor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have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ing protrusion. The support protrusions and the through holes may be fixedly joined by an adhesive member such as a thermal fusion adhesive or an epoxy.

하우징(140)은 제1마그네트(130)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을 가지고,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측면부에는 제1마그네트(130)와 지지부재(220)가 각각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50)(160)에 가이드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1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40 has a hollow column shape for supporting the first magnet 130,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40. As described above, the bobbin 110, which is guided by the elastic members 150 and 160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40.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40) 및 보빈(110)과 결합되고,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re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the bobbin 11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 or downward mo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formed of leaf springs.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분할 구조를 통해 상측 탄성부재(150)의 분할된 각 부분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 또는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도 다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elastic members 15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Each of the divided portion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an be supplied with different polarity currents or different powers through the multi-split structure. Also,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have a multi-split structur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하측 탄성부재(160),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may be assembled through heat bonding and / or bonding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위치감지센서(170)는 보빈(110)에 결합되어, 보빈(1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170)는 제1방향에서의 보빈(110)의 변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궤환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궤환 신호를 이용하여 보빈(110)의 제1방향에서의 변위를 감지한 결과를 이용하여, 보빈(110)의 제1방향에서의 변위가 제어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move together with the bobbin 110.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senses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and outputs the sensed result as a feedback signal.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controlled using the result of sensing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feedback signal.

상기 위치감지센서(170)는 제1마그네트(13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170)는 홀센서(Hall sensor), 각속도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be a sensor for sens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emitted from the first magnet 130. 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170 may include a Hall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위치감지센서(170)는 홀센서 등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자기력 이외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포토리플렉터 등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However, this is an illustrative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is not limited to a hall sensor, and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can be used. If the sensor is capable of sensing a position other than magnetic for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photo reflector or the like.

위치감지센서(170)는 다양한 형태로 보빈(110)이나 하우징(14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170)가 배치되는 형태에 따라 위치감지센서(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or the housing 140 in various forms and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40 in a variety of ways, Can receiv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위치감지센서(170)는 보빈(11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170)는 센서기판(180)에 결합되고, 센서기판(180)은 보빈(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위치감지센서(170)는 센서기판(180)을 통해 보빈(11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be indirectly coupled to the bobbin 110. As shown, the position sensor 170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substrate 180 and the sensor substrate 180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10. That is,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be indirectly coupled to the bobbin 110 through the sensor substrate 180.

이때, 센싱용 마그네트는 제1마그네트(130)와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마그네트(130)가 센싱용 마그네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nsing magnet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first magnet 130, and the first magnet 130 may be used as a sensing magnet.

이하, 위치감지센서(170)가 센서기판(180)을 통해 보빈(110)에 결합되고, 제1마그네트(130)가 센싱용 마그네트로서 사용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it is described that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is coupled to the bobbin 110 through the sensor substrate 180 and the first magnet 130 is used as a sensing magnet,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베이스(210)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50)이 배치 또는 안착될 수 있다.The base 21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1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disposed or seated.

베이스(21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의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과 마주보는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지지홈은 베이스(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면(253)이 형성된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A supporting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iz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210 opposite to the portion on which the terminal surface 253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formed. The support groove is recessed to a certain dept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10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surface 253 is formed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outward or can be adjusted.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에 하우징(14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측이 상측 탄성부재(150)에 결합하며 하측이 상기 베이스(210), 인쇄회로기판(250) 또는 회로부재(231)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110) 및 상기 하우징(140)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4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40 and has an upper side coupl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a lower side connected to the base 210,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may be coupled to the member 231 so that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ar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and / or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Not shown).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20)는 하우징(140)의 모서리의 외측면에 이격하여 각각 배치되므로, 총 4쌍 또는 총 8개가 상호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한 쌍씩 인접 배치되고 각 쌍은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었으나,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하우징(14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하나 또는 2개씩 총 4개 또는 6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Since the support members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corners of the housing 140, four pairs or eight of the support members 220 may be installed symmetrically. In th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s 2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pair is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housing 140. However,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housing 140, 4, or 6 in total.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at is,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formed.

또한, 지지부재(220)는 상측 탄성부재(150)와 별도부재로 형성되므로, 지지부재(220)와 상측 탄성부재(150)가 도전성 접착제, 솔더링(soldering)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20)를 통해 제1코일(12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Since the support member 22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the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soldering, or the like. Accordingl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an apply an electric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through the electrically connected support member 220.

지지부재(220)는 회로부재(231) 및 인쇄회로기판(250)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회로부재(231) 및/또는 인쇄회로기판(250)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회로부재(231)의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전기적으로 솔더링될 수도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ircuit member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Or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solder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ircuit member 231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circuit member 231 and /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

한편, 도 2에서는 일 실시예로 선형 지지부재(22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부재(220)는 판형부재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2, the linear supporting member 220 is shown as an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like member or the like.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한 제2 및/또는 제3방향으로 하우징(140)을 움직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coil 230 can perform the camera shake correction by moving the housing 140 in the second and / or third directions through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magnet 130.

여기서, 제2, 제3방향은 x축(또는 제1방향), y축(또는 제2방향) 방향뿐만 아니라 x축, y축방향에 실질적으로 가까운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구동측면에서 본다면, 하우징(140)은 x축, y축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도 있지만, 또한, 지지부재(220)에 의해 지지된 채로 움직일 경우 x축, y축에 약간 경사지게 움직일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may include directions substantially in the x-axis (or the first direction), the y-axis (or the second direction) as well as the x- and y-axis directions. In other words, as seen from the driving aspect of the embodiment, the housing 140 may move parallel to the x- and y-axes, but may also be slightly inclined to the x- and y-axes when i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220 have.

따라서, 상기 제2코일(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네트(130)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first magnet 130 needs to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il 230.

제2코일(230)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2코일(230)은 상기 제1마그네트(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코일(230)은 제1마그네트(130)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magnet 130 fixed to the housing 140. In an embodiment, 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magnet 130. Alternatively,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first magnet 13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코일(230)은 회로부재(231)의 4개의 변 부분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방향용 1개, 제3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second coils 230 may be provided on four side portions of the circuit member 23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ne second coil 230, Only two can be installed, and four or more can be installed.

또는 제2방향용 제1변에 1개, 제2방향용 제2변에 2개, 제3방향용 제3변에 1개, 제3방향용 제4변에 2개가 배치되어 총 6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이 경우에 제1변과 제4변이 서로 이웃하고, 제2변과 제3변이 서로 이웃할 수 있다.Or one in the first direction for the second direction, two in the second direction for the second direction, one in the third direction for the third direction, and two in the fourth direction for the third direction, . Alterna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side and the fourth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ide and the third sid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실시예의 경우 회로부재(231)에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 패턴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제2코일이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로부재(231) 상부에 직접 제2코일(230) 형상으로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member 231 in the form of a second coil 230 or a separate second coil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member 231. However, A circuit pattern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member 231 in the form of a second coil 230.

또는, 도넛 형상으로 와이어를 권선하여 제2코일(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FP코일형태로 제2코일(230)을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second coil 230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wire in a donut shape,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by forming the second coil 230 in the form of an FP coil.

제2코일(230)을 포함한 회로부재(231)는 베이스(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50)의 상부면에 설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코일(230)은 베이스(210)와 밀착 배치될 수도 있고,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 기판에 형성되어 이 기판을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에 적층 연결할 수도 있다.The circuit member 231 including the second coil 230 may be installed 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2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coil 230 may be disposed closely to the base 2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210,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substrate, It may also be laminated.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및/또는 본딩 결합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10. As shown in FIG 2,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 or bonded to the support member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인쇄회로기판(250)에는 단자(251)가 배치 또는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251)는 절곡된 단자면(25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3)에는 복수의 단자(25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코일(120) 및/또는 제2코일(23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단자면(253)에 형성된 단자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은 상기 단자면(253)이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 terminal 251 may be disposed or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terminal 251 may be disposed on the bent terminal surface 253. A plurality of terminals 251 are dispos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to supply a current to the first coil 120 and / or the second coil 230 by receiving external power. The number of terminals formed on the terminal surface 253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onents that need to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have one or more terminal surfaces 253.

커버부재(300)는 대략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의 일부 등을 수용하고, 베이스(21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가동부, 제2코일(230), 인쇄회로기판(25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제1마그네트(130), 제1코일(120), 제2코일(230)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제한하여 전자기장이 집속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cover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and may receive the moving part, the second coil 230, a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like, and may be coupled with the base 210. The cover member 300 can protect the movable part, the second coil 230,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the like accommodated in the cover member 300 from being damaged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magnet 130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coil 120, the second coil 230, and the like may be restric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so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may be focus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상측 탄성부재(150)와 제1마그네트(130)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first magnet 130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 파트 중 적어도 2개의 파트는 x-y평면상에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파트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3 to 5, in the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t least two parts of each part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on the xy plane And the at least two parts may be disposed such that one end of each of the at least two parts is opposed to each other.

또한, 분할된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각 파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x-y평면상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또는 완벽한 대칭은 아니지만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some of the parts are symmetrical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or are not perfectly symmetrical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 파트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인접하여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 또는 병렬 배치되며, 분할된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x-y평면상에서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거나 점대칭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t least two of the parts are arranged in parallel or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150 may have a point-symmetric shape or an almost point-symmetrical shape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여기서 점대칭이란, 두개의 형상이 하나의 회전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회전시키는 경우, 두개의 형상이 서로 겹쳐지는 대칭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제2 상측 탄성부재(150-2)는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Here, the point symmetry means a symmetry in which two shapes overlap each other when two shapes are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one rotation center point. 3 to 5,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form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in the embodiment .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인접하는 2개의 파트들이 x축방향 즉, 제2방향으로 병렬 배치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3 to 5, adjacent two part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x-axis direction, i.e., in the second direction,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또한, 제2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파트들은 보빈(11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반대측에도 제2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파트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par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may have two par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on opposite sides of the bobbin 110 facing each other.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 상측 탄성부재(150)의 인접하는 2개의 파트들이 y축방향 즉, 제3방향으로 병렬 배치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간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it is natural that the two adjacent part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have a section arranged in parallel in the y-axis direction, i.e., in the third direction, or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제3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파트들은 보빈(11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반대측에도 제3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파트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par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may have two par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on opposite sides of the bobbin 110 facing each other.

즉, 제2방향 또는 제3방향 중 어느 한방향에만 각변에 2개씩 총 4개가 형성되고, 나머지 방향의 각변에는 1개씩 총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 방향의 분할된 상측 탄성부재(150)의 각 파트의 개수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분할된 상측 탄성부재(1500의 각 파트의 개수가 조절된다면, 그에 따라 상측 탄성부재(150)의 탄성계수도 조절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 total of four pieces may be formed on each side in either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and two pieces may be formed on each side in the remaining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number of parts of the member 150 may be adjusted differently. If the number of the divided part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0 is adjusted, the elastic modulu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an be adjusted accordingly.

상기한 구조로 인해, 상측 탄성부재(150)의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이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증가하여 특히,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보빈(110)이 틸트(tilt)되거나 이동에 의한 기계적 공진(resonance)을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elastic coefficient or the spring constant or rigidity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ncreases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and particularly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performs auto focusing or shake correction, the bobbin 110 ) Can be tilted or suppressed or reduced by mechanical resonance due to movement.

즉, 하우징(140) 또는 보빈(110)은 틸트 또는 시프트(shift) 즉, 수평이동 또는 회전되어 진동하게 되고, 진동에 의해 공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의 높은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을 가진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로 인해 이러한 공진의 진폭, 크기 등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housing 140 or the bobbin 110 may be tilted or shifted, that is, horizontally moved or rotated to vibrate, and resonance may occur due to vibration. In this case, the high elastic modulus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Or the elasticity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having a spring constant or rigidity can reduce the amplitude, size, and the like of such a resonance.

1차공진, 2차공진, 3차공진은 제품 또는 스프링 또는 탄성부재의 고유 진동 주파수로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모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The primary resonance, the secondary resonance, and the tertiary resonance can occur in all cases, as well as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 focusing at a natural vibration frequency of a product or a spring or an elastic member.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보빈(110)의 제1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생기는 1차공진주파수, 제1방향 기준으로 상기한 하우징(140) 또는 보빈(110)이 틸트가 되는 2차공진주파수, 시프트 또는 회전이 되는 3차 공진 주파수가 될 수 있으나, 제품 또는 스프링 또는 탄성부재의 형상에 따라 시프트가 2차, 틸트가 3차 회전이 4차가 될 수도 있다.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focusing,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the tilting of the housing 140 or the bobbin 110 on the basis of the first direction, A secondary resonance frequency, or a tertiary resonance frequency which is shifted or rotated. However, the shift may be a second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product, the spring, or the elastic member, and the third order in the tilt may be quadratic.

즉,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제1방향에 생기는 1차공진주파수,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에 생기는 틸트, 시프트, 회전 등이 제품 또는 스프링 또는 탄성부재의 형상에 따라 2차, 3차, 4차 주파수 등이 될 수 있다.That is, when performing autofocusing, the tilt, shift, and rotation that occur in the first resonance frequency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occur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 A fourth order frequency, and the like.

렌즈 구동장치가 손떨림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10)의 제2방향(또는 x축방향) 또는 3방향(y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생기는 1차공진주파수, 제2 또는 3방향 기준으로 상기한 하우징(140) 의 회전이 되는 2차공진주파수, Shift 또는 틸트가 되는 3차 공진 주파수가 될 수 있으나, 제품 또는 스프링 또는 탄성부재의 형상에 따라 제2또는 3방향에 생기는 1차공진주파수, 2방향 또는 3방향 기준으로 생기는 틸트, 시프트, 회전 등이 2차, 3차, 4차 주파수 등이 될 수 있다.When the lens driving device performs the camera-shake correction, the first-order resonance frequency generated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or the three directions (y-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The resonance frequency may be a second order resonance frequency that rotates the housing 140 and a third order resonance frequency that shifts or tilts. However, it may be a first resonance frequency occurring in the second or third direc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roduct, Tilt, shift, and rotation that occur in frequency, two-direction, or three-directional reference may be secondary, tertiary, and quadratic frequencies.

분할된 상측 탄성부재(150)는 각 파트들로 제1 내지 제8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8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각 파트들을 구성하고, 상기 각 파트들 전부 또는 일부는 각각 하우징(140) 또는 보빈(110)에 결합하여 상기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divided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include first to eighth upper elastic members in each of the parts. That is, the first to eighth upper elastic members constitute the respective part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all or a part of the respective parts are coupled to the housing 140 or the bobbin 110, Can be resiliently sup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즉, 상측 탄성부재(150-1)는 일측이 상기 제1코일(1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220)와 연결되며 일부가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가 전체로 보아 대부분이 x축방향 즉, 제2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That is, one sid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20,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20, and a par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1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However, in the embodiment,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is arranged in the x-axis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direction as a whole.

당연히,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가 전체로 보아 대부분이 y축방향 즉, 제3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제1 내지 제8 상측 탄성부재가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간명한 설명을 위해 제2방향 또는 제3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 및 설명한다.Naturally,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may be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i.e., the third direction as a whole. The first to eighth upper elastic members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but the embodiments are arranged and described in either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for the sake of simplicity .

제2 상측 탄성부재(150-2)는 상기 보빈(110)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점대칭을 이루거나 점대칭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점대칭을 이루거나 점대칭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bbin 110 therebetween. For example, it may be point-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

또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는 일측이 상기 제1코일(12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2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Respectively.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는, 제1코일결합부(150a), 제1지지부재결합부(150b) 및 제1연결부(150c)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includes a first coil coupling portion 150a, a first support portion recombination portion 150b And a first connection part 150c.

상기 제1코일결합부(150a)는 상기 제1코일(120)의 단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코일결합부(150a)는 제1코일(120)의 단부(121) 즉, 끝선 부위와 솔더링, 도전성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il coupling portion 150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121 of the first coil 120. [ The first coil coupling portion 150a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nd portion 121 of the first coil 120, that is, the end portion thereof by soldering, a conductive adhesive, or the like.

상기 제1지지부재결합부(150b)는 상기 지지부재(220)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재결합부(150b)는 와이어 형상의 지지부재(220)와 결합하기 위해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 또는 홈에 지지부재(220)의 상측 단부가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150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 In th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ortion recombination portion 150b may be formed with a hole or groove for engaging with the wire-shaped support member 22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or groove, .

상기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1지지부재결합부(150b)와 솔더링, 도전성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unit recombination unit 150b by soldering, conductive adhesive,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지지부재(220)를 통해, 상기 제1코일(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으로부터 보빈(110)의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The first coil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rough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upport member 220 so that the first coil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 current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bobbin 110 can be received.

제1연결부(150c)는 적어도 일부가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결합부(150a)와 상기 제1지지부재결합부(150b)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부(150c)가 전체적으로 제2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50c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the second direction and / or the third direction, and may connect the first coil coupling part 150a and the first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150b to each other. have. However, in th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s 150c ar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as a whol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및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의 상기 제1연결부(150c)는 각각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및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의 일부와 인접하여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일부 구간은 제2방향으로 각각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및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first connecting portions 150c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s 150-3 And a part of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nd a part of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tion that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strate 150-4.

이러한 제1연결부(150c)의 구조로 인해, 실시예에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및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50c, in the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not provided with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The spring constant or the stiffness can be increased.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이러한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이 증가한 구조로 인해,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하우징(140) 또는 보빈(110)의 틸트 또는 시프트 진동에 의한 공진의 진폭, 크기 등을 줄여 결과적으로 공진을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The upper elastic member 150 can be tilted or shifted by the housing 140 or the bobbin 110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 focusing or camera shake correction due to such a structure that the elastic constant, The amplitude, size, and the like of the resonance caused by the vibration can be reduced, and as a result, the resonance can be suppressed or reduced.

실시예에서, 제1코일(120)은 양 단부(121)가 각각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코일(120)의 양 단부(121)는 각각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제2 상측 탄성부재(150-2)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Both ends 121 of the first coil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so that both ends 121 of the first coil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rough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respectively.

제3 상측 탄성부재(150-3)는 일측이 상기 보빈(110)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is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The other end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is coupled to the housing 140, As shown in FIG.

또한, 제3 상측 탄성부재(150-3)는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의 일측 단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is arranged on the xy plane in parallel with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has one end por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May be arranged to face the end portion.

예를 들어,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의 일부가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동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제3 상측 탄성부재(150-3)는 병렬로 배치되어 상측 탄성부재(150) 전체의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part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may be arranged on the x-y plane side by si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modulus, spring constant, or stiffness of the entire upper elastic member 150 .

한편, 상기 제3 상측 탄성부재(150-3)는, 일측이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2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3 상측 탄성부재(150-3)는 일측이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도선 기타 통전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one side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20. Although not shown, one side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through a conductive wire or other conductive member.

상기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의 타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220)의 상측 단부가 상기 홀에 삽입되어 솔더링, 도전성 접착제 등으로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와 결합할 수 있다.5, a hol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22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And can be coupled with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by soldering, conductive adhesive or the like.

따라서, 위치감지센서(170)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및 지지부재(220)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25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값을 감지하거나, 감지된 변위값을 궤환신호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으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sition sensor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through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and the support member 220, And may detect a first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or transmit the sensed displacement valu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s a feedback signal.

위치감지센서(170)가 구비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개수에 따라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 중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트들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The number of parts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put terminals and output terminals of the position sensor 170. [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트들의 개수는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합한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number of par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일 실시예로, 상기 위치감지센서(170)는 2개의 입력단자와 2개의 출력단자를 구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 중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파트들의 개수는 총 4개가 필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two input terminals and two output terminals. Accordingly, a total of four parts,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may be required among the upper elastic members 15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3, 제4, 제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가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 위치감지센서(170)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값을 궤환신호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으로 전송하는 전기적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3 to 5,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upper elastic membe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70 to apply a current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70 Or may serve as an electrical path for transmitting the first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10 as a feedback signal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제4 상측 탄성부재(150-4)는 x-y평면상에서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의 일측 단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on the xy plane and has one end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제4 상측 탄성부재(150-4)는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x-y 평면상에서 상기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와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점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to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4 상측 탄성부재(150-4)는 일측이 상기 보빈(110)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상측 탄성부재(150-4)가 위치감지센서(170)와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One end of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is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The other end of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is coupled to the housing 140, (Not shown). The structure in which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and the support member 220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또한,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의 일부가 x-y평면상에서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동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제4 상측 탄성부재(150-4)는 병렬로 배치되어 상측 탄성부재(150) 전체의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may be arranged on the x-y plane side by si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nd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as a whole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modulus or spring constant or rigidity of the entir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

제5 상측 탄성부재(150-5)는 일측이 상기 보빈(110)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 상측 탄성부재(150-5)가 위치감지센서(170) 및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One end of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is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The other end of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is coupled to the housing 140,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and the support member 220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또한,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의 일부가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의 일부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는 제1보빈결합부(150-5a), 제2지지부재결합부(150-5b) 및 제2연결부(150-5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may be disposed on the x-y plane perpendicularly to a part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may include a first bobbin coupling portion 150-5a, a second support portion recombination portion 150-5b,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50-5c.

제1보빈결합부(150-5a)는 상기 보빈(110)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이다. 제2지지부재결합부(150-5b)는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이다.The first bobbin coupling portion 150-5a is a portion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 The second support unit recombination unit 150-5b i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20. [

제2연결부(150-5c)는 상기 제1보빈결합부(150-5a)와 상기 제2지지부재결합부(150-5b)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150-5c)는 적어도 일부가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의 일부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50-5c may serve to connect the first bobbin coupling part 150-5a and the second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150-5b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0-5c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n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

또한, 제5 상측 탄성부재(150-5)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또는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의 일부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또는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전체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portion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or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150-3 or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는 상기 보빈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는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x-y 평면상에서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점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점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with the center of the bobbin therebetween. For example,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has a point symmetric shape with respect to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는 일측이 상기 보빈(110)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상측 탄성부재(150-6)가 위치감지센서(170) 및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One end of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is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The other end of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is coupled to the housing 140, (Not show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170 and the support member 220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또한,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의 일부가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의 일부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는 제2보빈결합부(150-6a), 제3지지부재결합부(150-6b) 및 제3연결부(150-6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may be disposed on the x-y plane perpendicularly to a part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may include a second bobbin coupling portion 150-6a, a third support portion recombination portion 150-6b,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150-6c.

제2보빈결합부(150-6a)는 상기 보빈(110)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이다. 제3지지부재결합부(150-6b)는 상기 하우징(140)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이다.The second bobbin coupling portion 150-6a is a portion coupled to the bobbin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 The third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150-6b is a part that is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20. [

제3연결부(150-6c)는 상기 제2보빈결합부(150-6a)와 상기 제3지지부재결합부(150-6b)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연결부(150-6c)는 적어도 일부가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의 일부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part 150-6c may serve to connect the second bobbin coupling part 150-6a and the third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150-6b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50-6c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n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

또한, 제6 상측 탄성부재(150-6)는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또는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의 일부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3 상측 탄성부재(150-3) 또는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와 전체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a portion of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3 or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150-3 or the fourth upper elastic member 150-4.

제7 상측 탄성부재(150-7)는 상기 하우징(140) 및 상기 지지부재(220)와 결합하고, 상기 제2연결부(150-5c)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상측 탄성부재(150-7)는 x-y 평면상에서 상기 제2연결부(150-5c)와 선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선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may be disposed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the support member 220 and to face the second connection unit 150-5c. For example,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may be arranged in a line-symmetrical shape having a shape symmetrical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50-5c on the x-y plane.

여기서 선대칭이란 두개의 형상이 하나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접었을 경우, 두개의 형상이 서로 겹쳐지는 대칭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의 제2연결부(150-5c)와 제7 상측 탄성부재(150-7)는 x-y평면에서 y= x로 표현될 수 있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선대칭을 이룰 수 있다.Linear symmetry refers to symmetry in which two shapes overlap each other when two shapes are folded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3 to 5,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0-5c and the seventh upper side elastic member 150-7 of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re arranged in the xy plane at y = x It is possible to achieve line symmetry with respect to a virtual straight line that can be expressed.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는 상기 하우징(140) 및 상기 지지부재(220)와 결합하고, 상기 제3연결부(150-6c)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는 x-y 평면상에서 상기 제3연결부(150-6c)와 선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선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may be dispos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140 and the support member 220 and to face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50-6c. For example,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may be arranged in a line-symmetrical shape having a shape symmetrical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50-6c on the x-y plan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의 제3연결부(150-6c)와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는 x-y평면에서 y= -x로 표현될 수 있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선대칭을 이룰 수 있다.3 to 5, in the embodiment,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50-6c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of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re arranged at y = -x Can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that can be expressed as < RTI ID = 0.0 >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150-7)와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는,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또는 서로 완벽한 대칭은 아니지만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150-7)와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는,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는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점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3 to 5,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Or they may not be perfect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but may be arranged in correspondence. For example,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may have a point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

한편, 일 실시예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150-7)는 서로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도 서로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to 5,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Furthe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러한 구조의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8 상측 탄성부재(150-8)의 지지부재(220) 연결부위는 서로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방향 또는 제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력이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to eighth upper elastic members 150-8 are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shaking motion correction, the driving force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without deviating in either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150-7)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도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may be integrally formed. Also,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may be integrally formed.

제7 상측 탄성부재(150-7)와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는 각각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및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20)와 기계적으로 결합할 뿐 렌즈 구동장치의 전기적 연결에는 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When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are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This is because it mechanically engages with the support member 220 but does not participate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즉,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채널은 위치감지센서(170) 4개와 제1코일(120) 2개를 합하여 총 6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150-7)는 일체로 하고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도 일체로 하여,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제2 상측 탄성부재(150-2)가 제1코일(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3 내지 제6 상측 탄성부재(150-6)가 위치감지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channe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s four, including four position sensors 170 and two first coils 120. Therefore,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 8 are also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20 and the third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150-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70).

한편, 더욱 적절하게는,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방향 또는 제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력이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150-7)는 일체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도 일체로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in order to prevent the driving force from being biased in either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 focusing or camera shake correction,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 5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150-7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150-8 may be integrally formed.

이 경우 일체화된 제5 및 제7 상측 탄성부재(150-7)와 제6 및 제8 상측 탄성부재(150-8)는 서로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어 또는 서로 완벽한 대칭은 아니지만 대응되어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정의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대칭적 구조로 인해, 보빈의 상하이동시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grated fifth and seventh upper elastic members 150-7 and the sixth and eighth upper elastic members 150-8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Bu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lens driving device is biased in either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in the case of auto focusing or camera shake correction. Further, due to this symmetric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bobbin so as not to be offset in any one direction at the same time.

실시예에서, 4개의 전기적 연결채널이 필요한 위치감지센서(170)와 2개의 전기적 연결채널이 필요한 제1코일(120)을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적어도 6개로 분할되어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In an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not shown) may b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coil 120, which requires two electrical connection channels,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 Is preferably divided into at least six parts.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내지 제8 상측 탄성부재가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 또는 대향적 구조로 상측 탄성부재(15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렌즈 구동장치의 구동력이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줄일 수 있거나 또는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3 to 5, when the first to eighth upper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with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symmetrically or bia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performs auto focusing or shake correction, the driving force of the lens driving device can be reduced in a certain direction or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170)는 제1마그네트(130)와 제3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고,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5,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is opposed to the first magnet 130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respectively.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side view of Fig. 6. Fig.

상기 보빈(110)은 상부에 결합보스(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120)은 단부(121)가 상기 결합보스(111)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일(120) 단부(121)와 상기 제1코일결합부(150a)는 서로 솔더링되어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obbin 1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ss 1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end 121 of the first coil 120 can be wound around the coupling boss 111. The end portion 121 of the first coil 120 and the first coil coupling portion 150a may be solder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코일(120)은 2개의 전기적 연결채널 즉, 양 단부(121)가 각각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및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보스(111)도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결합보스(111)에 제1코일(120) 단부(121)가 권선되고, 제1 상측 탄성부재(150-1) 및 제2 상측 탄성부재(150-2)의 제1코일결합부(150a)가 각각의 결합보스(111)에서 제1코일(120) 단부(121)와 솔더링 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coil 12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by two electrical connection channels or both ends 121, Bosses 111 are also provided in pairs so that the end portions 121 of the first coil 120 are wound around the respective coupling bosses 111 and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 -2 can be soldered to the end 121 of the first coil 120 at each of the engaging bosses 111.

이때, 제1코일(120) 단부(121)는 권선된 부위에서 상기 제1코일결합부(150a)와 솔더링 될 수 있다. 한편, 제1코일(120) 단부(121)와 제1코일결합부(150a)는 솔더링에 의하지 않고,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nd portion 121 of the first coil 120 may be soldered to the first coil coupling portion 150a at the wound portion. Meanwhile, the end 121 of the first coil 120 and the first coil coupling part 150a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ductive adhesive agent, not by soldering.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보스(111)는, 각각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x-y평면상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또는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보스(111)의 대칭 구조는 제1 상측 탄성부재(150-1)와 제2 상측 탄성부재(150-2)가 서로 대칭을 이루어 또는 대으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air of coupling bosses 111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 the x-y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110.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pair of coupling bosses 111 is for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150-1 and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150-2 to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against each other.

한편, 렌즈 구동장치가 손떨림 보정을 하는 경우, 보빈(110), 하우징(140) 등의 무게중심이 하측에 분포하는 경우에 하측 탄성부재(160)의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을 증가시켜 보빈(110) 또는 하우징(140)의 불필요한 틸트 또는 시프트를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보빈(110), 하우징(140) 등의 무게중심이 상측에 분포하는 경우,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bbin 110, the housing 140 and the like is distributed on the lower side, the elastic modulus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or the spring constant or rigidity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i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reduce unnecessary tilt or shift of the housing 110 or the housing 140. In the case whe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bbin 110, the housing 140, and the like is distributed on the upper side, it may be reversed.

이를 위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분할되지 않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의 하측 탄성부재(160)는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이 증가되어 보빈(110) 또는 하우징(140)의 틸트 또는 시프트를 억제할 수 있다.For this,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divided. Such an integral lower elastic member 160 can increase the elastic modulus or spring constant or rigidity to suppress the tilt or shift of the bobbin 110 or the housing 140.

하측 탄성부재(160)을 일체형으로 하는 경우 제1코일(120) 및 위치감지센서(170)를 인쇄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을 적어도 6개의 파트들로 분할하여 배치할 수 있다.When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is integrally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provided at least at the upper sid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coil 120 and the position sensor 170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It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and arranged.

또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각 프레임의 폭, 두께를 증가시켜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idth and thickness of each frame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elastic modulus, spring constant, or stiffness.

상기한 구조의 하측 탄성부재(160)는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보빈(110) 또는 하우징(140)의 틸트, 시프트에 따른 공진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 focusing, the lower elastic member 16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also suppress resonance due to the tilt and shift of the bobbin 110 or the housing 140. [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상측 탄성부재(150)와 제1마그네트(130)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and the first magnet 130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170)는 제1마그네트(130)와 제2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고,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150-5) 또는 제6 상측 탄성부재(150-6)와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8,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is opposed to the first magnet 130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or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 6, respectively.

이러한 구조의 경우, 병렬로 배치되어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이 증가한 제1 및 제3 상측 탄성부재와 제2 및 제4 상측 탄성부재(150-4)에 의해, 보빈(110) 또는 하우징(140)의 x-z 평면상의 틸트 또는 제2방향 시프트 진동 및 이에 따른 공진이 억제될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the first and third upper elastic members and the second and fourth upper elastic members 150-4, which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have increased elastic modulus, spring constant, or rigidity, and the bobbin 110 or the housing The tilt or the second directional shift vibration on the xz plane and the resonance caused thereby can be suppressed.

이러한 억제 효과로 인해, 위치감지센서(170)는 보빈(110)의 제1방향 변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Due to the suppression effect,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can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more accurately.

즉, 보빈에 결합된 위치감지센서(170)는 보빈(110)의 틸트 및/또는 시프트에 의한 진동으로 오감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감지센서(170)의 보빈(110)의 틸트 및/또는 시프트에 의한 오감지를 줄이려면, 위치감지센서(170)과 제1마그네트(130)가 대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탄성계수보다 평행한 방향의 탄성계수를 높이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coupled to the bobbin may generate a sense of sight due to the vibration due to the tilt and / or shift of the bobbin 110.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ense of tactile sensation due to tilting and / or shifting of the bobbin 110 of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the elasticity coeffici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and the first magnet 130 face each other The elastic modulus in a more parallel direction can be increased.

추가로, 위치감지센서(170)가 움직이는 부분이므로, 위치감지센서(170)가 결합된 보빈(110)의 틸트 또는 시프트의 영향을 덜 받으려면, 위치감지센서(170)가 결합된 측의 수평방향으로의 탄성계수를 낮추면, 상대적으로 이웃한 측의 탄성계수가 더 강해서 상측 탄성부재(150)에 의한 보빈(150)의 공진을 억제 또는 완화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설계적인 부분에서 보완이 될 수 있다면, 위의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위치감지센서(170)의 배치는 반대가 되게 할 수도 있다.Further, in order to receive less influence of the tilt or shift of the bobbin 110 coupled with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sonance of the bobbin 150 by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may be suppressed or mitigated because the elastic modulus of the neighboring side is relatively strong.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may be reversed if it can be supplemented by another design par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170)과 제1마그네트(130)가 대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5 상측 탄성부재(150-5)와 제6 상측 탄성부재(150-6)가 배치되고,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8, the position of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150-5 and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150-6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sensing sensor 170 and the first magnet 13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o fourth upper elastic members may be disposed in parallel directions.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보빈(110)의 틸트 및/또는 시프트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위치감지센서(170)는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부재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보다, 움직임이 억제되어 오감지를 줄일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even if vibration due to tilting and / or shifting of the bobbin 110 occurs,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170 can be moved by the first to fourth upper elastic member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Can be suppressed to reduce the sensation.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주파수 응답해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그래프는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할 경우의 주파수 응답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때, 렌스 구동장치는 오토 포커싱의 PID제어 후 피드백 주파수의 특성을 나타낸다.9 is a graph showing a frequency response analysis result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view showing a portion A in Fig. At this time, the graph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analysis result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focusing. At this time, the lance driving device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feedback frequency after PID control of autofocusing.

주파수 응답해석은 기계적 진동에 있어서 렌즈 구동장치 등의 시스템의 안정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The frequency response analysis is commonly used as a method for grasping the stability of a system such as a lens driving apparatus in mechanical vibra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 및 도 10에서 A부분은 2차공진점을 나타낸다. 즉, 하우징(140) 또는 보빈(110)의 틸트 또는 시프트에 의해 제2방향 또는 제3방향 진동에 의한 공진이 발생하는 지점이다.9 and 10, the portion A represents the secondary resonance point. That is, the resonance due to the vibration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third direction is generated by the tilt or shift of the housing 140 or the bobbin 110.

도 9에서 L1은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에서 보빈(110)의 제1방향 이동과 관련된 진동수 즉, 주파수의 위상(phase)를 나타내고, L2는 보빈(110)의 상기 주파수의 이득(gain)을 나타낸다.In Fig. 9, L1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frequency, i.e. frequency, associated with the movement of the bobbin 110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and L2 represents the gain of the frequency of the bobbin 110 .

주파수 응답해석(frequency response analysis)에서 제2공진점에서 안정성은 이득과 위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2공진점에서 이득 및 위상의 변화가 작을수록 공진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고, 공진의 크기가 줄어들수록 공진에 의한 보빈(110)의 틸트 및 시프트 진동의 크기가 줄어들어 오토 포커싱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In the frequency response analysis, the stability at the second resonance point can be determined by gain and phase. That is, as the gain and phase change at the second resonance point are smaller, the magnitude of the resonance can be reduced. As the resonance size is reduced, the magnitude of the tilt and shift vibration of the bobbin 110 due to resonance is reduced, .

2차공진점에서 실시예의 주파수 응답해석 결과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에서 L3는 분할되지 않은 상측 탄성부재가 구비된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2차공진점에서 상기 주파수의 위상을 나타낸다.The frequency response analysis result of the embodiment at the secondary resonance point is as shown in Fig. In FIG. 10, L3 represents the phase of the frequency at the secondary resonance point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upper elastic member not divided performs auto focusing.

L1과 L3곡선을 서로 비교하면 L3가 제2공진점에서 L1에 비해 더욱 급격한 위상변화를 나타낸다. 따라서, 8개로 분할된 상측 탄성부재(150)를 구비한 실시예의 경우가, 분할되지 않은 상측 탄성부재를 구비한 경우보다 제2공진점에서 공진의 크기가 줄어들어 오토 포커싱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Comparing L1 and L3 curves, L3 exhibits a more abrupt phase change at L1 at the second resonance poin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having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divided into 8 parts, the magnitude of the resonance at the second resonance point is reduced and the auto focusing can be stably perform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upper elastic member is not divided.

한편, 도 10에서 L4는 분할되지 않은 상측 탄성부재가 구비된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2차공진점에서 상기 주파수의 이득을 나타낸다.In FIG. 10, L4 represents the gain of the frequency at the secondary resonance point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upper elastic member which is not divided performs auto focusing.

L2와 L4곡선을 서로 비교하면 L4가 제2공진점에서 L2에 비해 더욱 급격한 위상변화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파수의 위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파수의 이득결과에 있어서도, 8개로 분할된 상측 탄성부재(150)를 구비한 실시예의 경우가, 분할되지 않은 상측 탄성부재를 구비한 경우보다 제2공진점에서 공진의 크기가 줄어들어 오토 포커싱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Comparing the L2 and L4 curves, L4 exhibits a more abrupt phase change at L2 at the second resonance point. Therefore, as in the case of the phase of the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frequency gain ga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divided into 8 is larger than that of the case where the upper elastic member is not divided The size of the resonance is reduced, and the auto focusing can be performed stably.

실시예에서, 상측 탄성부재(150)는 분할되고, 분할된 일부 파트가 병렬로 배치되어 상측 탄성부재(150)의 탄성계수 또는 스프링상수 또는 강성을 증가시켜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시 보빈(110) 또는 하우징(140)의 불필요한 틸트, 시프트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is divided and partly divided part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increase the elastic modulus or spring constant or rigidity of the upper elastic member 150, so that the bobbin 110, Or the unnecessary tilt and shift of the housing 140 can be suppressed.

또한,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보빈(110), 하우징(140)의 틸트, 시프트를 억제하고, 이에 따른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s driving apparatus performs autofocusing, tilt and shift of the bobbin 110 and the housing 140 can be suppressed, and resonance caused thereby can be suppressed.

또한, 기계적 공진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이득여유(gain margin) 및/또는 위상여유(phase margin)의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Further, it is easy to secure a gain margin and / or a phase margin for enhancing the stability against mechanical resonanc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 camera modul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can be appli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1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 인쇄회로기판(250) 및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coupled to the bobbin 110, an image sensor (not shown), a printed circuit board 250, and an optical system.

렌즈배럴은 전술한 바와 같고, 인쇄회로기판(250)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부분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lens barrel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can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from the portion where the image sensor is mounted.

또한, 광학계는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이스 코일 유닛 모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액츄에이터 모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optical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image sensor. At this time, the optical system may be provided with an actuator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utofocusing function and camera-shake correction function. Actuator modules that perform autofocusing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nd a voice coil unit motor is generally used.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perform the role of an actuator module that performs both the auto focusing function and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 2에 예시된 베이스(21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는 홀더 부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 filter serves to block the infrared light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In this case, in the base 210 illustrated in FIG. 2, an infrared cutoff filt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upled to a holder member (not shown). Further, the base 210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member.

베이스(210)에는 인쇄회로기판(250)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베이스(21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1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base 210 for energiz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or a terminal may be integrally formed using a surface electrode or the like. Meanwhile, the base 210 may function as a sensor holder for protecting the image sensor.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downwar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210. However, this is not essential, an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disposed below the base 210 to perform its rol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While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mutually incompatible technologies, and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through the same.

110: 보빈
111: 결합보스
120: 제1코일
121: 제1코일 단부
130: 제1마그네트
140: 하우징
150: 상측 탄성부재
160: 하측 탄성부재
170: 위치감지센서
180: 센서기판
220: 지지부재
250: 인쇄회로기판
110: Bobbin
111: engaging boss
120: first coil
121: first coil end
130: first magnet
140: housing
150: upper elastic member
160: Lower elastic member
170: Position sensor
180: sensor substrate
220: Support member
250: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20)

외주면에 제1코일이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
내측에 상기 보빈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이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 파트 중 적어도 2개의 파트는 x-y평면상에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파트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A bobbin having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bobbin;
A housing having the bobbin on its inner side;
An upper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elastic member
Wherein at least two parts of each part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on an xy plane, and the at least two parts are arranged so that one end of each part is opposed to the other, Dr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며 일부가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보빈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1코일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제2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lastic member
A first upper elastic member,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il,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and a part of which i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And
And a second upper elastic member which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with a central portion of the bobbin therebetween and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x-y평면상에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와 병렬적으로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3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elastic member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obbi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on the xy plane, And a third upper elastic member whose end portion is disposed to face one end of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x-y평면상에서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와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상측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elastic member
a second upper elastic memb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on an xy plane and having one end opposed to one end of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and one end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sensor And a fourth upper elastic member whos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5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a fifth upper elastic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bobbin on one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elastic member
A bobbin having a bobbin and a bobbin, the bobbin being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with a central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one side of the bobbin being coupled to the bobbin an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And a sixth upper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보빈결합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결합부; 및
상기 제1보빈결합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결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
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A first bobbin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upport portion recombining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bobbin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recombination portion to each other,
And the lens driv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보빈결합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지지부재결합부; 및
상기 제2보빈결합부와 상기 제3지지부재결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3연결부
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A second bobbin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A third support portion recombining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And a thir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bobbin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recombination portion to each other,
And the lens driv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2연결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7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a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and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3연결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8 상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an eighth upper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and disposed to face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와 제8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of,
And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7 상측 탄성부재는 일체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f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seventh upper elastic member are integrally provid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제8 상측 탄성부재는 일체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xth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eighth upper elastic member are integrally provi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 탄성부재 또는 제2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제1코일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코일결합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결합부; 및
상기 제1코일결합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결합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
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upper elastic member or the second upper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A first coil coupl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coil;
A first support portion recombining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nd a first connection part (5) connecting the first coil coupling part (5) and the first support part recombination part
And the lens driving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부에 결합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은 단부가 상기 결합보스에 권선되며, 상기 제1코일 단부와 상기 제1코일결합부는 서로 솔더링되는 렌즈 구동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obbi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oss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coil is wound on the coupling boss, and the first coil end portion and the first coil coupling portion are soldered to each oth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upling boss includes:
And are dispos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bbin, respectively.
외주면에 제1코일이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제1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이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복수의 파트로 분할되고, 각 파트 중 적어도 2개의 파트는 x-y평면상에서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서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파트는 각각의 일측 단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분할된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각 파트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x-y평면상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A bobbin having a first coi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il and the position sensing sensor;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first magnet;
An upper elastic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 lower elastic member disposed below the housing; And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housing so as to be movable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t least two parts of each part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or a third direction on an xy plane, Wherein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divided upper elastic members is disposed so as to be symmetrical on an xy plane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bobbin.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 및
상기 렌즈 구동장치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And
And an image sensor mounted on the lens driving device.
KR1020150017225A 2015-02-04 2015-02-0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39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225A KR102439255B1 (en) 2015-02-04 2015-02-0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2011308032.XA CN112363295B (en) 2015-02-04 2016-02-01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1680014095.XA CN107407788B (en) 2015-02-04 2016-02-01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5/548,697 US10468959B2 (en) 2015-02-04 2016-02-01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PCT/KR2016/001064 WO2016126061A1 (en) 2015-02-04 2016-02-01 Lens drive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CN202011303548.5A CN112363294B (en) 2015-02-04 2016-02-01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2211372793.0A CN115576070A (en) 2015-02-04 2016-02-01 Lens driving device, imaging device module, and optical system
CN202211147507.0A CN115327734A (en) 2015-02-04 2016-02-01 Lens driving device
US16/580,627 US11005353B2 (en) 2015-02-04 2019-09-24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US17/226,341 US11824418B2 (en) 2015-02-04 2021-04-09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1020220108237A KR20220123209A (en) 2015-02-04 2022-08-29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8/488,591 US20240048038A1 (en) 2015-02-04 2023-10-17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225A KR102439255B1 (en) 2015-02-04 2015-02-0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37A Division KR20220123209A (en) 2015-02-04 2022-08-29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803A true KR20160095803A (en) 2016-08-12
KR102439255B1 KR102439255B1 (en) 2022-09-01

Family

ID=567147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225A KR102439255B1 (en) 2015-02-04 2015-02-04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220108237A KR20220123209A (en) 2015-02-04 2022-08-29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37A KR20220123209A (en) 2015-02-04 2022-08-29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925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5063A (en) * 2017-08-04 2020-05-01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evice
WO2024014713A1 (en) * 2022-07-15 2024-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optical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535A (en)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40059329A (en) * 2012-11-07 2014-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US20140177056A1 (en) * 2012-12-26 2014-06-2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US20140307319A1 (en) * 2013-04-11 2014-10-16 Tdk Corporation Lens holding device
US20140313582A1 (en) * 2013-04-19 2014-10-23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Novel lens moving apparatus
US20150355477A1 (en) * 2011-08-24 2015-12-10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e apparatus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5477A1 (en) * 2011-08-24 2015-12-10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e apparatus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KR20130060535A (en) * 2011-11-30 2013-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40059329A (en) * 2012-11-07 2014-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US20140177056A1 (en) * 2012-12-26 2014-06-2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US20140307319A1 (en) * 2013-04-11 2014-10-16 Tdk Corporation Lens holding device
US20140313582A1 (en) * 2013-04-19 2014-10-23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Novel lens mov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5063A (en) * 2017-08-04 2020-05-01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evice
US11493726B2 (en) 2017-08-04 2022-11-0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WO2024014713A1 (en) * 2022-07-15 2024-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255B1 (en) 2022-09-01
KR20220123209A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333B1 (en) A lens mo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6879989B6 (en) Lens drive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US11824418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CN113064315B (en) Lens moving device
EP3432064B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12198739B (en) Lens moving device
CN112198618B (en) Lens moving device
KR102159746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60041500A (en) Lens moving apparatus
KR20160045385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08860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59143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50142196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220123209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47070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70086927A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1312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22630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111657A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20170002803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60009387A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556514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70025658A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