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3529A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 Google Patents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3529A
KR20160093529A KR1020150159921A KR20150159921A KR20160093529A KR 20160093529 A KR20160093529 A KR 20160093529A KR 1020150159921 A KR1020150159921 A KR 1020150159921A KR 20150159921 A KR20150159921 A KR 20150159921A KR 20160093529 A KR20160093529 A KR 20160093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ice
data
voice data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유퍼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퍼스트(주) filed Critical 유퍼스트(주)
Publication of KR2016009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청각 장애인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사용하며, 청각 장애인에게 청각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있다..
일례로,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및 상기 안경 구조부에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여 문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청각 정보 안내부를 포함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A WEARABLE DEVICE FOR HEARING IMPAIRMENT PERS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각 장애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거나 전혀 들리지 않는 상태의 장애를 말한다. 이러한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을 청각 장애인이라고 한다.
첨단 정보통신 장비의 발달과 함께 청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장비 또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청각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을 위한 기기 또한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청각 장애인용 자동 수화 전송 시스템, 실시간 문자 통역 프로그램, 보청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자동 수화 전송 시스템은 수화 동영상을 낮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일반 전송 알고리즘으로 주고받을 경우 손, 손가락, 얼굴 동작 묘사가 정확하게 이루이지 않아 수화 대화가 어려우며, 이러한 비디오 압축 기술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다량의 비디오 압축 계산을 위한 상당한 전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실시간 문자 통역 프로그램은 회의, 공연, 강연 등 각종 행사장에서 발표되는 내용을 플랫폼에 접속한 상태에서 문자 통역사가 받아치면서 청각 장애인의 모바일 폰에 전달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방식은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청각 장애인 개개인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청기의 경우 그 착용 구조에 의해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의 소리 조절에 대한 한계가 있으며, 소리 자체는 들리지만 음성에 대한 분별 능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6258호(2014.05.30)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등록특허공보 제10-0782103호(2007.11.28) '안경형 모니터'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5262호(2015.05.21)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소리의 시각화 표시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6517호(2014.10.02)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각 장애인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사용하며, 청각 장애인에게 청각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는,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및 상기 안경 구조부에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여 문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청각 정보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 마이크부; 상기 제1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텍스트 변환부; 및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가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는, 음성에 대한 언어와 텍스트에 대한 언어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번역 설정부; 및 상기 번역 설정부의 언어 설정에 따른 번역을 실행하기 위한 번역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부는 지향성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로 전송하기 위한 착용형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2 마이크부; 및 상기 제2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반지, 팔찌 및 시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 장애인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쉽고 편하게 사용하며, 청각 장애인에게 청각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음성 수집을 위한 착용형 단말기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에 음성 수집을 위한 착용형 단말기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착용형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제2 착용형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장치(1000)는, 제1 착용형 단말기(1100)와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상황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청각 장애인용 착용형 장치(1000)에 대한 구성을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포함한 형태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는 안경 구조부(1110)와 청각 정보 안내부(1120)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 구조부(1110)는 림(1110a), 렌즈(1110b), 브릿지(1110c), 코패드(1110d), 템플(1110e) 및 팁(1110f)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안경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림(1110a)의 앤드피스(end piece)에는 제1 마이크부(1121)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1120)는 상기 안경 구조부(1110)에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여 문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1120)는 상기 안경 구조부(11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마이크부(1121),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 프로젝터부(1123) 및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의 종속적인 구성으로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의 생략 시 생략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명하기로 하였으므로,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도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마이크부(1121)는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프로트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림(1110a)의 앤드피스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부(1121)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직접 입력 받아 전기적 신호 즉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마이크부(1121)는 특정 방향에서 들려오는 좁은 각도의 소리만 선택적으로 녹취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외부의 원하는 음성만 입력 받고 여러 음성과 같은 잡음이 입력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는 상기 제1 마이크부(1121)를 통해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그에 상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판단하는 방법은 기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처리 문맥을 고려한 수천 개의 서브 단어 형태의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음성 데이터에서 필요한 특징 벡터를 추출한 후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비교하여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특징 벡터는 음성학적 정보를 담고 있는 것으로 배경 잡음이나 화자간의 차이 또는 발음 태도 등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변하지 않는 통계적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동일하게 비중을 두어 분석하는 LPC(Linear Predictive Coding) 추출법, 혹은 사람의 음성 인지 양상이 선형적이지 않고 로그 스케일과 비슷한 멜 스케일을 따른다는 특성을 반영한 MFCC(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추출법, 음성과 잡음을 뚜렷하게 구별하기 위해 고주파 성분을 강조해 주는 고역강조 추출법, 음성을 짧은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할 때 생기는 단절로 인한 왜곡현상을 최소화하는 창 함수 추출법 등 다양하다.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는 이렇게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와 기존에 구축된 음성 데이터 베이스의 음성학적 정보를 비교하여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단어 단위 검색 또는 문장 단위 검색에 의해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에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여 텍스트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는 음성-텍스트 변환뿐만 아니라, 언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번역 설정부(1122a)와 번역 실행부(1122b)를 포함하는 기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번역 설정부(1122a)는 음성에 대한 언어와 텍스트에 대한 언어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번역 설정부(1122a)는 음성의 언어와 텍스트의 언어 간의 번역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 마이크부(1121)를 통해 입력될 음성의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부(1123)를 통해 최종 출력될 텍스트의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번역 설정부(1122a)는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를 통해 인식될 음성의 언어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가 이와 같은 언어 설정에 따른 음성-텍스트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번역 실행부(1122b)는 상기 번역 설정부(1122b)의 언어 번역 모드 설정에 따른 기계 번역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번역 실행부(1122b)는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를 통해 변환된 텍스트의 언어를 기 설정된 언어로 기계 번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번역 설정부(1122a)를 통해 음성의 언어를 영어로 설정하고, 텍스트의 언어를 한국어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는 외부의 영어로 된 음성에 대한 인식, 변환 및 변역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프로젝터부(1123)를 통해 착용자에게 한국어로 된 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1123)는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를 통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가 상기 안경 구조부(1110)의 렌즈(1110b)를 통해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경의 렌즈(1110b) 상에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광을 투사하는 프로젝트 기술은 기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1110b)는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를 통해 변환 과정 또는 변환 및 변역 과정을 거친 후 상기 프로젝터부(1123)를 통해 착용자에게 소정의 텍스트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비콘(Beac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거나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1 마이크부(1121)가 비활성화되어 음성 데이터가 다중으로 입력되어 변환되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마이크부(1121)와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는 택일적으로 활성화되도록 별도의 선택 제어 수단이나, 어느 한쪽이 활성화되는 경우 다른 한쪽이 비활성되는 등의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 프로젝터부(1123) 및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는 하나의 기판에 형성된 소형 모듈로서 제작되어 상기 안경 구조부(111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반지, 팔지 및 시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가 반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1120)와 접속되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직접 입력받아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는, 제2 마이크부(1210), 음성 데이터 전송부(1220) 및 전원 스위치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부(1210)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직접 입력 받아 전기적 신호 즉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마이크부(1210)는 특정 방향에서 들려오는 좁은 각도의 소리만 선택적으로 녹취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외부의 원하는 음성만 입력 받고 여러 음성과 같은 잡음이 입력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1220)는 상기 제2 마이크부(12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 전송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1220)는 상기 제2 마이크부(12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의 상기 음성 데이터 수신부(1124)를 통해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1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1120)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1122)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프로젝터부(1123)를 통해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1220)는 유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와 접속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1220)는 무선 통신부(1220a)와 데이터 포트(1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220a)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비콘(Beac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 음성 데이터나 기타 전기적 신호 등을 무선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포트(1220b)는 데이터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와 연결되어 음성 데이터나 기타 전기적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스위치부(1230)는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스위치부(1230)를 통해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를 턴온할 경우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100)의 제1 마이크부(1121)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의 제2 마이크부(12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1220)를 통해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부(1230)를 통해 상기 제2 착용형 단말기(1200)가 오프될 경우 상기와 같은 음성 인식 과정을 상기 제1 착용형 단말기(1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안경 구조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다른 사람의 말을 텍스트로 실시간 변환하고 사용자의 눈앞에 즉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청각 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경 구조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음원의 입력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반지, 시계나 팔찌 형태의 또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원의 입력을 좀 더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황이나 환경적 요소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실시간 번역하여 표시함으로써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외국어 능력이 부족한 일반인들의 동시통역을 위한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착용형 장치 1100: 제1 착용형 단말기
1110: 안경 구조부 1120: 청각 정보 안내부
1121: 제1 마이크부 1122: 음성-텍스트 변환부
1122a: 번역 설정부 1122b: 번역 실행부
1123: 프로젝터부 1124: 음성 데이터 수신부
1200: 제2 착용형 단말기 1210: 제2 마이크부
1220: 음성 데이터 전송부 1220a: 무선 통신부
1220b: 데이터 포트 1230: 전원 스위치부

Claims (9)

  1. 안경의 구조를 이루는 안경 구조부; 및
    상기 안경 구조부에 탑재되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표시하여 문자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청각 정보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 마이크부;
    상기 제1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텍스트 변환부; 및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가 상기 안경 구조부의 렌즈를 통해 표시되도록 빔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는,
    음성에 대한 언어와 텍스트에 대한 언어를 각각 설정하기 위한 번역 설정부; 및
    상기 번역 설정부의 언어 설정에 따른 번역을 실행하기 위한 번역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부는 지향성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로 전송하기 위한 착용형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2 마이크부; 및
    상기 제2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각 정보 안내부는 상기 착용형 단말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 수신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전송부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단말기는 반지, 팔찌 및 시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150159921A 2015-01-29 2015-11-13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20160093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4313 2015-01-29
KR1020150014313 2015-01-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356A Division KR101906549B1 (ko) 2017-07-03 2017-07-03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529A true KR20160093529A (ko) 2016-08-08

Family

ID=5671196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13A KR101906551B1 (ko) 2015-01-29 2015-11-13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KR1020150159921A KR20160093529A (ko) 2015-01-29 2015-11-13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150159933A KR101765838B1 (ko) 2015-01-29 2015-11-1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13A KR101906551B1 (ko) 2015-01-29 2015-11-13 실시간 중계 및 송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933A KR101765838B1 (ko) 2015-01-29 2015-11-1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906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000A (ko) 2022-01-12 2023-07-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48B1 (ko) * 2018-06-15 2019-08-0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73634B1 (ko) * 2019-08-21 2020-11-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4744B1 (ko) * 2019-08-28 2021-07-30 구본준 스테레오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활용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KR102351584B1 (ko) * 2019-12-02 2022-01-17 이우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KR102294152B1 (ko) * 2019-12-26 2021-08-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야장애 재활보조 안경
KR102457910B1 (ko) * 2020-11-19 2022-10-24 김동건 시각장애인을 위한 패션 선글라스
JP2022081342A (ja) 2020-11-19 2022-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ガネ型情報機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IL302980A (en) * 2020-11-19 2023-07-01 Liliya Kaganovsky Shoshi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102471586B1 (ko) * 2021-04-02 2022-11-28 (주)케이아이오티 Uv카메라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459095B1 (ko) * 2021-04-02 2022-10-27 (주)케이아이오티 안전성이 개선된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7-12-04 (주)디오컴 안경형 모니터
KR20140066258A (ko)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20140116517A (ko) 2012-01-19 2014-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055262A (ko) 2013-11-13 2015-05-21 서원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소리의 시각화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9160A (ja) * 2001-09-29 2003-04-11 Toshiba Corp 緊急救助支援システム、緊急救助機能付き携帯端末、緊急救助情報受信無線端末及び緊急救助支援方法
KR20090105531A (ko) 2008-04-03 2009-10-07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카메라센서로 찍은 문서 이미지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으로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3B1 (ko) 2006-04-27 2007-12-04 (주)디오컴 안경형 모니터
KR20140066258A (ko) 2011-09-26 2014-05-30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투시 근안 디스플레이에 대한 센서 입력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수정
KR20140116517A (ko) 2012-01-19 2014-10-0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055262A (ko) 2013-11-13 2015-05-21 서원영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소리의 시각화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9000A (ko) 2022-01-12 2023-07-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37A (ko) 2016-09-05
KR101765838B1 (ko) 2017-08-10
KR20160093530A (ko) 2016-08-08
KR101906551B1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3529A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69237B1 (ko) 핸즈프리 자동 통역 서비스를 위한 단말 장치 및 핸즈프리 장치와, 핸즈프리 자동 통역 서비스 방법
US20170243582A1 (en) Hearing assistance with automated speech transcription
US7676372B1 (en) Prosthetic hearing device that transforms a detected speech into a speech of a speech form assistive in understanding the semantic meaning in the detected speech
KR102158739B1 (ko) 자동통역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US20170060850A1 (en) Personal translator
KR101830908B1 (ko) 청각장애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EP4085655A1 (en) Hearing aid systems and methods
WO2015023751A1 (en) Device for language processing enhancement in autism
CN111432303A (zh) 单耳耳机、智能电子设备、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20200380959A1 (en) Real time speech translating communication system
JP2000308198A (ja) 補聴器
US201700243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lation of sign languages into synthetic voices
KR20120127773A (ko) 음성인식 정보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80886A1 (en) Methods for clear call under noisy conditions
KR101906549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장치
KR102000282B1 (ko) 청각 기능 보조용 대화 지원 장치
CN114115515A (zh) 用于帮助用户的方法和头戴式单元
KR102170902B1 (ko) 실시간 다자 통역 무선 이어셋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방법
CN113299309A (zh) 语音翻译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介质和电子设备
KR20190067663A (ko) 웨어러블 수화통역장치
KR102633725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30079846A (ko) Ar 스마트 글래스 및 스마트 글래스의 출력 제어 방법
EP2797079B1 (en) A device for aiding hearing impared people in understanding speech
CN219590626U (zh) 一种智能眼镜夹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