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299A -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299A
KR20160088299A KR1020167011772A KR20167011772A KR20160088299A KR 20160088299 A KR20160088299 A KR 20160088299A KR 1020167011772 A KR1020167011772 A KR 1020167011772A KR 20167011772 A KR20167011772 A KR 20167011772A KR 20160088299 A KR20160088299 A KR 2016008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engine
pipe
diese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타카 미츠다
신야 후쿠요시
호쿠토 쿠사카
이사오 타구치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224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339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422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101997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41Articulated frame, i.e. having at least one pivot point between two travelling gea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exhaust gas thrott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3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xhaust f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8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the axis of inlet or outlet tubes being other than the longitudinal axis o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엔진 탑재 스페이스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 가능하게 하는 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디젤엔진(1)은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 케이스(2)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배기가스 처리 장치(2)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디젤엔진(1) 또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2)의 한쪽에 가고정 록킹체(9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가고정 록킹 노치(92)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디젤엔진(1)의 부설부품의 하방측에 가고정 록킹체(87) 또는 가고정 록킹 노치(92)를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엔진 장치{ENGINE DEVICE}
본원 발명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한 디젤엔진 등의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휠로더(wheel loader) 또는 백호(back hoe) 또는 포크리프트카 등의 작업기계에 탑재되는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디젤 파티큘레이터 필터)를 설치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산화 촉매 또는 매연 필터 등에 의해서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최근에는 환경 대책 때문에, 건설기계나 농업기계 등의 작업기계의 분야에 있어서도 그 기계에 사용되는 디젤엔진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0-14543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182705호 공보
그런데,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했을 경우, 엔진의 배기 경로 중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소음기(머플러) 대신에 단지 배치한 것에서는, 소음기에 비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현격하게 무겁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소음기의 지지 구조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에 유용했다고 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휠로더와 같은 작업기계에서는 주위와의 접촉 방지를 위해서 선회 반경을 작게 하기 위해 주행기체 자체의 컴팩트화가 요구되어 엔진 탑재 스페이스에 제약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디젤엔진에 장착할 때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에의 부담이 컸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것들의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엔진 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상면측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배치하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한쪽에 가고정 록킹체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가고정 록킹 노치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의 부설부품의 하방측에 상기 가고정 록킹체 및 가고정 록킹 노치를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 사이에 상기 부설부품으로서의 재순환 배기가스관을 이어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배기 스로틀 장치를 통해서 배기 출구관을 고착하고,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입구관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연결한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으로 볼 때에 S자 형상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등이 탑재되는 본기(本機) 프레임을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설치부에 배기 스로틀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본기 프레임에 대향 설치시키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측면과 배기 스로틀 장치의 외측면을 면일치로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측면과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의 외측면에 대하여 얼터네이터의 외측면도 면일치로 형성한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가스 입구에 대하여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를 오프셋시킨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상면측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배치하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한쪽에 가고정 록킹체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가고정 록킹 노치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의 부설부품의 하방측에 상기 가고정 록킹체 및 가고정 록킹 노치를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중량물인 상기 배기가스 처리 정화 장치를 엔진 장착시에 상기 가고정 록킹체 및 가고정 록킹 노치에 의해 상기 엔진의 상면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엔진 장착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설부품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후장착 볼트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사이에 상기 부설부품으로서의 재순환 배기가스관을 이어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의 측면에 재순환 배기가스관을 우회시켜서 부착 높이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플라이휠 하우징 상면측에 상기 가고정 록킹체를 통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가고정 지지하여 체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배기 스로틀 장치를 통해서 배기 출구관을 고착하고,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입구관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 출구관의 사양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부착 위치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각종 작업 차량의 엔진 룸 스페이스에 간단하게 대응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적재된 상기 엔진을 탑재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으로 볼 때에 S자 형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입구관에 대하여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를 오프셋해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의 사이에 접속시키는 냉각수용의 배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냉각수용의 배관이 기계 진동으로 상기 엔진과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 등이 탑재되는 본기 프레임을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설치부에 배기 스로틀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본기 프레임에 대향 설치시키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측면과 배기 스로틀 장치의 외측면을 면일치로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본기 프레임에서 상기 엔진을 둘러싸는 엔진 룸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가 배치된 상기 엔진의 장착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측면과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의 외측면에 대하여 얼터네이터의 외측면도 면일치로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본기 프레임의 평탄한 수직상 벽면에 대면시켜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측면과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의 외측면과 얼터네이터의 외측면을 컴팩트하게 근접 배치할 수 있고, 한정된 엔진 룸 스페이스에 상기 엔진을 컴팩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가스 입구에 대하여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를 오프셋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의 사이에 접속시키는 냉각수용의 배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냉각수용의 배관이 기계 진동으로 상기 엔진과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디젤엔진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동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배면도이다.
도 5는 동 정면도이다.
도 6은 오일 필터를 분리한 디젤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오일 필터를 분리한 디젤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디젤엔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평면 사시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조립(분해) 설명도이다.
도 14는 플라이휠 하우징 상의 부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디젤엔진을 탑재한 작업기계의 일례가 되는, 휠로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휠로더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시트 프레임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에 나타내는 휠로더의 우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보닛 커버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에 나타내는 휠로더의 우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디젤엔진을 탑재한 작업기계의 다른 예가 되는, 포크리프트카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포크리프트카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8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 및 그 엔진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기계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기계로서 로더 장치를 작업부로서 구비하는 휠로더를 일례로 들고, 그 구성의 상세를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11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에 대해서 후술의 휠로더(211)(도 16 및 도 17 참조) 등의 작업기계에 원동기로서 탑재되는 디젤엔진(1)을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젤엔진(1)은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개재해서 접속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구비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2)는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저감하는 작용을 구비한다.
디젤엔진(1)은 엔진 출력용 크랭크축(3)과 피스톤(도시생략)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4)을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4)에 실린더 헤드(5)를 위에 얹고 있다. 실린더 헤드(5)의 좌측면에 흡기 매니폴드(6)를 배치한다. 실린더 헤드(5)의 우측면에 배기 매니폴드(7)를 배치한다. 실린더 헤드(5)의 상측면에 헤드 커버(8)를 배치한다. 실린더 블록(4)의 후측면에 냉각 팬(9)을 설치한다. 실린더 블록(4) 앞측면에 플라이휠 하우징(10)을 설치한다. 플라이휠 하우징(10) 내에 플라이휠(11)을 배치한다. 크랭크축(3)(엔진 출력축)에 플라이휠(11)을 축지지한다. 작업 차량(백호나 포크리프트 등)의 작동부에 크랭크축(3)을 개재해서 디젤엔진(1)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4)의 하면에는 오일 팬(12)을 배치한다. 오일 팬(12) 내에는 윤활유가 저장되어 있다. 오일 팬(12) 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4) 내에 있어서의 좌측면 근처의 부위에 배치된 오일 펌프(도시생략)로 흡인되어, 실린더 블록(4)의 좌측면에 배치된 오일 쿨러(18) 및 오일 필터(13)를 통해서 디젤엔진(70)의 각 윤활부에 공급된다. 각 윤활부에 공급된 윤활유는 그 후 오일 팬(12)으로 되돌아간다. 오일 펌프(도시생략)는 크랭크축(3)의 회전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일 쿨러(18)는 냉각수로 윤활유를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오일 쿨러(18)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4)의 좌측면에 오일 팬(12)의 상방에 부착되어 있다. 오일 쿨러(18)는 그 하방에 냉각수 배관(18a, 18b)이 접속되어 있고, 그 내부를 냉각수가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오일 쿨러(18)는 냉각수 배관(18a, 18b)과의 냉각수 배관 접속부(18c)의 상방에 오일 배관(13a, 13b)과의 접속되는 오일 배관 접속부(18d)를 갖는다. 따라서, 오일 쿨러(18)는 오일 배관(13a, 13b)과 오일 배관 접속부(18d)로 연결함으로써 실린더 블록(4) 상방에 배치된 오일 필터(13)와 접속한다.
오일 필터(13)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5)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간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일 필터(13)는 헤드 커버(8)와 거의 동일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실린더 블록(4)의 좌측면 하측의 오일 쿨러(18)에 대하여 원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일 필터(13)는 오일 배관(13a, 13b)과 접속하는 오일 배관 접속부(13c)를 상측으로 하고, 윤활유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13d)를 하측으로 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즉, 오일 필터(13)는 디젤엔진(1)의 좌측면보다 이간시킨 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디젤엔진(1)의 상면 높이(헤드 커버(9)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오일 배관(13a, 13b)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엔진(1)을 기체 프레임(94)에 탑재시켰을 때에 기체 프레임(94)의 외측에 오일 필터(13)를 배치할 수 있다. 즉, 디젤엔진(1)의 좌측면이 기체 프레임(94)의 내측면에 피복되는 한편, 오일 필터(13)는 기체 프레임(94)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오일 배관(13a, 13b)이 기체 프레임(94)의 내측면을 따르도록 해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배관되어 있음으로써, 기체 프레임(94)의 상측으로 되는 위치에서 오일 필터(13)가 오일 쿨러(18)와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오일 필터(13)의 필터부(13d)의 교환시, 작업자는 기체 프레임(94)의 외측에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나 메인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4)의 좌측면 중 오일 쿨러(18)의 상방(흡기 매니폴드(6)의 하방)에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14)를 부착한다. 전자 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도시생략)를 갖는 4기통분의 각 인젝터(15)를 디젤엔진(1)에 설치한다. 각 인젝터(15)에 연료 공급 펌프(14) 및 원통상의 커먼 레일(16) 및 연료 필터(도시생략)를 통해서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도시생략)를 접속한다.
상기 연료 탱크의 연료가 연료 공급 펌프(14)로부터 커먼 레일(16)에 압송되어, 고압의 연료가 커먼 레일(16)에 축적된다. 각 인젝터(15)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16)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15)로부터 디젤엔진(1)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실린더 블록(4)의 후면 우측 근처의 부위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순환용의 냉각수 펌프(21)가 냉각 팬(9)의 팬축과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축(3)의 회전으로 냉각 팬 구동용 V벨트(22)를 통해서 냉각 팬(9)과 함께 냉각수 펌프(21)가 구동된다.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라디에이터(24)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21)의 구동으로 냉각수 펌프(21)에 공급된다. 그리고, 실린더 블록(4) 및 실린더 헤드(5)에 냉각수가 공급되어 디젤엔진(1)을 냉각한다. 또한, 냉각수 펌프(21)의 우측방에는 얼터네이터(2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4)의 좌우 측면에 기관다리 부착부(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기관다리 부착부(19)에는 방진 고무를 가짐과 아울러 기체 프레임(94)의 좌우 측벽에 연결된 기관다리체(도시생략)가 각각 볼트 체결된다. 디젤엔진(1)은 각 기관다리체(도시생략)를 통해서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기체의 기체 프레임(94)에 방진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디젤엔진(1)의 진동이 기체 프레임(94)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도 8을 참조하여 EGR 장치(26)(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설명한다. 상향으로 돌출하는 흡기 매니폴드(6)의 입구부에 EGR 장치(26)(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개재해서 에어클리너(32)(도 7 참조)를 연결한다. 새 기체(외부공기)가 에어클리너(32)로부터 EGR 장치(26)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6)에 보내진다. EGR 장치(26)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의 일부(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EGR 가스)와 새 기체(에어클리너(32)로부터의 외부공기)를 혼합시켜서 흡기 매니폴드(6)에 공급하는 EGR 본체 케이스(27)(콜렉터)와, 에어클리너(32)에 흡기관(33)을 개재해서 EGR 본체 케이스(27)를 연통시키는 흡기 스로틀 부재(28)와, 배기 매니폴드(7)에 EGR 쿨러(29)를 개재해서 접속되는 환류관로로서의 재순환 배기가스관(30)과, 재순환 배기가스관(30)에 EGR 본체 케이스(27)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즉, 흡기 매니폴드(6)와 새 기체 도입용의 흡기 스로틀 부재(28)가 EGR 본체 케이스(27)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EGR 본체 케이스(27)에는 배기 매니폴드(7)로부터 연장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의 출구측이 연통하고 있다. EGR 본체 케이스(27)는 장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기 스로틀 부재(28)는 EGR 본체 케이스(27)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EGR 본체 케이스(27)의 하향의 개구 단부가 흡기 매니폴드(6)의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어 있다.
또한,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의 출구측이 EGR 밸브 부재(31)를 개재해서 EGR 본체 케이스(27)에 연결되어 있다.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의 입구측은 EGR 쿨러(29)를 개재해서 배기 매니폴드(7)의 하면측에 연결되어 있다.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은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방에서, 실린더 헤드(5)의 앞면을 우회하도록 배관된다. 또한, EGR 밸브 부재(31) 내의 EGR 밸브(도시생략)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EGR 본체 케이스(27)로의 EGR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에어클리너(32)로부터 흡기 스로틀 부재(28)를 통해서 EGR 본체 케이스(27) 내에 새 기체(외부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7)로부터 EGR 밸브 부재(31)를 통해서 EGR 본체 케이스(27) 내에 EGR 가스(배기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공급한다. 에어클리너(32)로부터의 새 기체와 배기 매니폴드(7)로부터의 EGR 가스가 EGR 본체 케이스(27) 내에서 혼합된 후, EGR 본체 케이스(27) 내의 혼합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6)에 공급된다. 즉, 디젤엔진(1)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7)에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흡기 매니폴드(6)로부터 디젤엔진(1)에 환류됨으로써, 고부하 운전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하고, 디젤엔진(1)으로부터의 NOx(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된다.
상기와 같이 EGR 쿨러(29)이 배치될 때, 배기 매니폴드(7)에 EGR 가스 인출관(61)을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7)에 관이음매 부재(62)를 볼트 체결한다. EGR 쿨러(29)의 EGR 가스 입구부를 EGR 가스 인출관(61)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을 접속하는 관이음매 부재(62)에서 EGR 쿨러(29)의 EGR 가스 출구부를 지지함으로써, EGR 쿨러(29)는 실린더 블록(4)(구체적으로는 좌측면)으로부터 이간해서 배치된다.
또한, 관이음매 부재(62)와 연결된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은, 도 1,∼도 3, 및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정화 입구관(36)의 하측을 빠져나가도록 해서 실린더 헤드(5) 앞면을 향해서 배관된다. 즉, 재순환 배기가스관(30)과 정화 입구관(36)이 플라이휠 하우징(10)의 상방에서, 정화 입구관(36)이 상측이 되도록 교차한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5) 전방에 있어서의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방에서는,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이 실린더 헤드(5)의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해서 이어설치되는 한편, 정화 입구관(36)이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의 정보를 걸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어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4)의 우측면에는 배기 매니폴드(7)의 하방으로, EGR 가스 냉각용의 EGR 쿨러(29)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1)의 일측면을 따르게 해서 배기 매니폴드(7)와 EGR 쿨러(29)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디젤엔진(1)의 우측방(배기 매니폴드(7)측)에 EGR 쿨러(29) 및 배기 스로틀 장치(65)에 냉각수 펌프(21)를 접속하는 냉각수 배관 경로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냉각수 펌프(21)로부터의 냉각수는 디젤엔진(1)의 수냉부에 공급될 뿐만 아니라, 그 일부를 EGR 쿨러(29) 및 배기 스로틀 장치(65)에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3∼도 5, 및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5)의 우측방에 있어서 디젤엔진(1)의 배기압을 높이는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구비한다.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를 상향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는 디젤엔진(1)의 배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통해서 엘보 형상의 중계관(6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배기 스로틀 장치(65)는 배기 스로틀 밸브를 내장하는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와, 배기 스로틀 밸브를 개동(開動) 제어하는 모터(액츄에이터)로부터의 동력 전달 기구 등을 내장하는 액츄에이터 케이스(69)와,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에 액츄에이터 케이스(69)를 연결하는 수냉 케이스(70)를 갖는다.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상기 모터는 그 회전축이 스로틀 밸브 케이스(68) 내의 배기 스로틀 밸브의 회전축과 기어 등으로 연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에 스로틀 밸브 케이스(68)를 위에 얹고,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에 중계관(66)을 위에 얹고, 4개의 볼트로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체에 스로틀 밸브 케이스(68)를 개재해서 중계관(66)을 체결한다.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체에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의 하면측이 고착된다.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의 상면측에 중계관(66)의 하면측 개구부가 고착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정화 입구관(36)에 중계관(66)의 횡방향 개구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 중계관(66) 및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개재해서 배기 매니폴드(7)가 접속된다. 배기 매니폴드(7)의 출구부로부터 스로틀 밸브 케이스(68) 및 중계관(66)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 내로 이동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서 정화된 뒤 정화 출구관(37)으로부터 테일 파이프(135)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기기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중계관(66)은 배기 스로틀 장치(65)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배기 입구관(36)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기 매니폴드(7)와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66a)를 구비한다. 연결 지지부(66a)는 중계관(66)의 외주면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7)를 향해서 돌출시킨 날개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배기 매니폴드(7)의 우측면에서 체결되어 있다. 중계관(66)은 배기 입구를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개재해서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와 연결함과 아울러, 배기가스가 배기 입구관(36)을 향해서 흐르는 관부를 배기 매니폴드(7)의 측면과 연결하여 배기 매니폴드(7)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중계관(66)은 고강성의 배기 매니폴드(7)에 지지되어 있고, 중계관(66)을 통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와의 지지구조를 고강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 있어서의 차압 센서(44)에서 검출된 압력차에 의거하여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상기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매연 필터(40)의 재생 제어가 실행된다. 즉, 매연이 매연 필터(40)에 퇴적되었을 때는,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배기 스로틀 밸브를 폐동(閉動)하는 제어에 의해 디젤엔진(1)의 배기압을 높게 함으로써, 디젤엔진(1)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온도를 고온으로 상승시키고, 매연 필터(40)에 퇴적된 매연을 연소시킨다. 그 결과, 매연이 소실하여 매연 필터(40)가 재생된다.
또한, 부하가 작고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아지기 쉬운 작업(매연이 퇴적되기 쉬운 작업)을 계속해 행해도,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배기압의 강제 상승으로 배기 승온기구로서 작용시켜서 매연 필터(40)를 재생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배기가스 정화 능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매연 필터(40)에 퇴적된 매연을 태우기 위한 버너 등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엔진(1) 시동시도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제어로 디젤엔진(1)의 배기압을 높게 함으로써 디젤엔진(1)으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해서 디젤엔진(1)의 워밍업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 스로틀 장치(65)가 상향으로 개구시킨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에,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의 배기가스 도입측을 체결함으로써 중계관(66)이 스로틀 밸브 케이스(68)를 개재해서 배기 매니폴드(7)에 접속된다. 따라서, 고강성의 배기 매니폴드(7)에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지지할 수 있고,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지지구조를 고강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예를 들면 배기 매니폴드(7)에 중계관(66)을 개재해서 스로틀 밸브 케이스(68)를 접속하는 구조에 비하여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배기가스 도입측의 용적을 축소하고, 배기 매니폴드(7) 내의 배기압을 고정밀도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2) 등에 공급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배기가스의 정화에 적합한 온도로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7)의 상면측에 스로틀 밸브 케이스(68)를 체결하고,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의 상면측에 엘보 형상의 중계관(66)을 체결하고, 배기 매니폴드(7)에 대하여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와 중계관(66)을 다층 형상으로 배치하고, 최상층부의 중계관(66)에 배기관(72)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지지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 또한 중계관(66)의 사양을 변경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부착 위치 등에 맞춰서 중계관(66)의 부착 자세(배기관(72)의 연결 방향)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를 상향으로 개구하고, 배기 매니폴드(7)의 상면측에 스로틀 밸브 케이스(68)를 설치하고,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의 상면측에 스로틀 밸브 가스 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의 하방에 배기 매니폴드(7)를 사이에 두고 EGR 가스 냉각용의 EGR 쿨러(29)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1)의 일측면을 따르게 해서 배기 매니폴드(7)와, 배기 스로틀 장치(65)와, EGR 쿨러(29)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젤엔진(1)은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상면측에 중계관(66)을 체결하고, 배기 매니폴드(7)에 대하여 배기 스로틀 장치(65)와 중계관(66)을 다층 형상으로 배치하고, 최상층부의 중계관(66)에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배기가스 입구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7)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사이에,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컴팩트하게 근접 배치할 수 있어, 한정된 엔진 설치 스페이스에 배기 스로틀 장치(65)를 컴팩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중계관(66)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소정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디젤엔진(1)의 우측방(배기 매니폴드(7)측)에 설치한 냉각수 배관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각수 펌프(21)에 일단이 접속된 냉각수 리턴 호스(냉각수 펌프 흡입측 배관)(75)의 타단에, 수냉 케이스(70)의 냉각수 출구관(76)을 접속한다. 수냉 케이스(70)의 냉각수 입구관(77)과 일단이 접속된 중계 호스(EGR 쿨러 토출측 배관)(78)의 타단에, EGR 쿨러(29)의 냉각수 배수구를 접속한다. 그리고, EGR 쿨러(29)의 냉각수 도입구가 냉각수 인출 호스(EGR 쿨러 흡입측 배관)(79)를 개재해서 실린더 블록(4)에 접속되어 있다.
즉, 냉각수 펌프(21)에 EGR 쿨러(29) 및 배기 스로틀 장치(6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호스(75, 78, 79) 등으로 형성하는 냉각수 유통 경로 중에서는 냉각수 펌프(21)와 EGR 쿨러(29)의 사이에 배기 스로틀 장치(65)가 배치된다. EGR 쿨러(29)의 하류측에 배기 스로틀 장치(65)가 위치하고 있다. 냉각수 펌프(21)로부터의 냉각수의 일부는 실린더 블록(4)으로부터 EGR 쿨러(29)를 통해서 배기 스로틀 장치(65)에 공급되어 순환하게 된다.
또한, 수냉 케이스(70)는 냉각수 출구관(76) 및 냉각수 입구관(77) 각각을, 그 배면측(팬(9)측)으로부터 냉각수 펌프(21)를 향해서 돌출시키고 있다. 즉, 냉각수 출구관(76) 및 냉각수 입구관(77)의 선단이 냉각수 펌프(21)를 향하도록 수냉 케이스(70)가 스로틀 밸브 케이스(68)보다 후방측(팬(9)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수냉 케이스(70)의 냉각수 출구관(76)을 냉각수 펌프(21)에 접근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 리턴 호스(75)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 출구관(76)이 냉각수 입구관(77)의 상측(배기 스로틀 출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축(3)을 사이에 두고 흡기 매니폴드(6)측에 오일 쿨러(18)가, 배기 매니폴드(7)측에 후술하는 EGR 쿨러(29)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디젤엔진(1)의 크랭크축(3)을 사이에 두고 흡기 매니폴드(6)측에 오일 쿨러(18)가 배치되어 있고, 배기 매니폴드(7)측에 EGR 쿨러(29)가 배치 되어 있기 때문에, EGR 쿨러(29)용의 냉각수 유통계통과 오일 쿨러(18)용의 냉각수 유통계통이 크랭크축(3)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각각의 냉각수 유통계통의 배치를 알기 쉬워 장착 작업성이나 메인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기 스로틀 장치(65)는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에 있어서의 배기 스로틀 밸브의 회전 축선 방향(액츄에이터 케이스(69) 내에 있어서의 모터의 회전 축선 방향)(65a)이 헤드 커버(8)의 우측면을 따라서 평행하게 되도록, 헤드 커버(8)의 우측면으로부터 이간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즉, 배기 스로틀 장치(65)에 있어서 헤드 커버(8)의 우측면에 최근접하는 수냉 케이스(70)의 좌단면이, 헤드 커버(8)의 우측면에 대하여 이간한 상태에서 평행으로 된다. 따라서, 헤드 커버(8)의 우측면과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내측면(좌측면) 사이에는 간극(8a)이 형성된다. 또한, 배기 스로틀 장치(65)에 있어서 수냉 케이스(70)의 우단면이 헤드 커버(8)의 우측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로 된다.
배기 스로틀 장치(65)는 기체 프레임(94)에 대향 설치하는 외측면(우측면)을, 마찬가지로 기체 프레임(94)에 대향 설치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일측면(우측면)과 면일치로 형성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배기 입구측 끝면(우측면)과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외측면(우측면)이 기체 프레임(94)의 내측에서 면일치로 된다. 이것에 의해, 기체 프레임(94)에서 디젤엔진(1)을 둘러싸는 엔진 룸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가 배치된 디젤엔진(1)의 장착 작업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면일치로 형성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일측면(우측면)과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외측면(우측면)에 대하여, 얼터네이터(23)의 외측면(우측면)도 마찬가지로 면일치로 형성하고 있다. 즉, 얼터네이터(23)의 기체 프레임(94)에 대향 설치하는 외측면(우측면)을, 마찬가지로 기체 프레임(94)에 대향 설치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일측면(우측면)과 면일치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체 프레임(94)의 평탄한 수직상 벽면에 대면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일측면과 배기 스로틀 장치(65)의 외측면과 얼터네이터(23)의 외측면을 컴팩트하게 근접 배치할 수 있어, 한정된 엔진 룸 스페이스에 디젤엔진(1)을 컴팩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배기 스로틀 장치(65)는 평면으로 보아(상면으로부터 보아)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정화 입구관(36)에 대하여 외측(우측)으로 오프셋시킨 위치에 배치된다. 즉, 스로틀 밸브 케이스(68)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정화 입구관(36)에 대하여 기체 프레임(94)에 가까운 위치에 오프셋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중계관(66)은 평면으로 보아(상면으로부터 보아)서, 배기 입구측(배기 스로틀 장치(65)측)을 배기 출구측(배기가스 정화 장치(2)측)보다 외측(우측)으로 하는 S자 형상을 갖는다.
배기 스로틀 장치(65)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케이스(69)가 스로틀 밸브 케이스(68)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되고, 수냉 케이스(70)의 후단 좌측에 냉각수 출구관(76) 및 냉각수 입구관(77)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즉, 수냉 케이스(70)의 배면측(팬(9)측)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케이스(69)의 좌측면과 헤드 커버(8)의 우측면 사이에, 냉각수 리턴 호스(75) 및 냉각수 중계 호스(78)를 배관시키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리턴 호스(75) 및 냉각수 중계 호스(78)가 기계 진동으로 엔진 본체와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7,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7)는 압력 인출구(83)에 배기압 센서 파이프(85)를 접속한 구성을 구비한다. 즉, 배기 매니폴드(7)의 상면에 형성된 압력 인출구(83)는 헤드 커버(8)의 우측면을 따라 이어설치된 배기압 센서 파이프(85)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헤드 커버(8)의 후단측(냉각수 펌프(21)측)에 배기 압력 센서(8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기 압력 센서(84)가 가요성 고무 호스 등으로 구성되는 배기압 호스(86)(접속 부품)를 통해서 배기압 센서 파이프(85)의 타단과 접속된다.
즉, 배기압 센서 파이프(85)는 헤드 커버(8)와 배기 스로틀 장치(65) 사이의 간극(8a)를 통과하도록 이어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7)의 압력 인출구(83)로부터 배기 압력 센서(84)까지의 접속 경로를 다른 구성부품을 우회시키지 않아 배기압 센서 파이프(85)를 짧게 형성할 수 있고, 배기압 센서 파이프(85) 및 접속 부품의 방진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간극(8a)는 헤드 커버(8)에 가장 근접하는 수냉 케이스(70)의 좌단면과 헤드 커버(8) 사이의 공간도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냉각수 배관(냉각수 리턴 호스(75) 및 냉각수 중계 호스(78)를 배기압 센서 파이프(85)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병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 배관이 기계진동으로 엔진 본체와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압력 인출구(83)는 배기 매니폴드(7)의 상면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5)와 중계관(66)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7)의 상면에는 압력 인출구(83)보다 외측(중계관(66)측)에 배기 매니폴드(7) 내의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하는 가스 온도 센서(82)가 부설되어 있다. 가스 온도 센서(82)의 전기 배선(87)은, 도 2, 도 3, 및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커버(8)의 전단(플라이휠(9)측) 상부를 통과시켜서 좌측면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4)는 디젤엔진(1)의 후방에 있어서 냉각 팬(9)과 대향하는 위치에 팬 슈라우드(도시생략)를 통해서 배치된다. 또한, 라디에이터(24)의 앞면에는 냉각 팬(9)과 대향하도록 오일 쿨러(25)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라디에이터(24) 및 오일 쿨러(25)는 디젤엔진(1)의 후방의 냉각 팬(9)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그 방열량이 작은 순서로, 냉각풍의 토출 방향을 향해서 일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냉각 팬(9)이 회전 구동함으로써 디젤엔진(1) 후방으로부터 외기를 흡인함으로써 열교환기인 라디에이터(24) 및 오일 쿨러(25)는 각각, 외기(냉각풍)가 분사되어 공냉되게 된다.
이어서, 도 1∼도 3, 도 5∼도 9, 및 도 11∼도 14를 참조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2)는 정화 입구관(36) 및 정화 출구관(37)을 갖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를 구비한다. 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우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 및 좌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 각각에, 정화 입구관(36) 및 정화 출구관(37) 각각이 설치된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는 플라이휠 하우징(10) 상에서 고정되어서 실린더 헤드(5) 및 헤드 커버(8) 전방에 배치된다. 이 때, 정화 입구관(36)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에 있어서의 원통 형상 측면의 우측 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정화 입구관(36)은 재순환 배기가스관(30)을 타고넘도록,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고, 중계관(66)과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된다. 한편, 정화 출구관(37)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원통 형상 측면의 좌측 하방에 형성되어 테일 파이프(135)가 접속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내부에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하는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39)(가스 정화체)와, 포집한 입자상 물질(PM)을 비교적 저온에서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하는 벌집 구조의 매연 필터(40)(가스 정화체)를, 배기가스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렬로 늘어 놓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일측부를 소음기(41)로 형성하고, 소음기(41)에는 테일 파이프(135)와 연결되는 정화 출구관(37)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 산화 촉매(39)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매연 필터(40) 내에 일측 끝면(도입측 끝면)으로부터 공급된다.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PM)은 매연 필터(40)에 포집되어서,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 디젤엔진(1)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또한, 서미스터형의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42)와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43)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에 부설된다. 디젤 산화 촉매(39)의 가스 유입 측 끝면의 배기가스 온도를 상류측 가스 온도 센서(42)에서 검출한다. 디젤 산화 촉매의 가스 유출측 끝면의 배기가스 온도를, 하류측 가스 온도 센서(43)에서 검출한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에 배기가스 압력센서로서의 차압 센서(44)를 부설한다. 매연 필터(40)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배기가스의 압력차를, 차압 센서(44)에서 검출한다. 매연 필터(40)의 상류측과 하류측간의 배기 압력차에 근거하여 매연 필터(40)에 있어서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이 연산되고, 매연 필터(40) 내의 막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전기 배선 커넥터(51)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차압 센서(44)는 가스 온도 센서(42, 43)의 전기 배선 커넥터(55)와 함께, 대략 L자 판상의 센서 브래킷(센서 지지체)(46)에 지지된다. 이 센서 브래킷(46)은 출구 협지 플랜지(45)에 있어서의 한쪽의 원호체에 형성된 센서 지지부(56)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센서 지지부(56)는 정화 입구관(36)측으로부터 가장 먼 소음측의 출구 협지 플랜지(45)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체의 센서 지지부(56)에 센서 브래킷(46)의 연직판부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소음측의 출구 협지 플랜지(45)에 센서 브래킷(46)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센서 브래킷(46)은 출구 협지 플랜지(45)에 한하지 않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를 조립할 때에 체결되는 중앙 협지 플랜지 등의 다른 협지 플랜지에 체결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차압 센서(44)에는 상류측 센서 배관(47)과 하류측 센서 배관(48)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 내의 매연 필터(40)를 끼우도록,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센서 배관 보스체(49, 50)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에 배치된다. 각 센서 배관 보스체(49, 50)에 상류측 센서 배관(47)과 하류측 센서 배관(48)의 타단측이 각각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매연 필터(40)의 유입측의 배기가스 압력과, 매연 필터(40)의 유출측의 배기가스 압력의 차(배기가스의 차압)가 차압 센서(44)를 통해서 검출된다. 매연 필터(40)에 포집된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배기가스의 차압에 비례하기 때문에, 매연 필터(40)에 잔류하는 입자상 물질의 양이 소정 이상으로 증가했을 때에 차압 센서(44)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40)의 입자상 물질량을 감소시키는 재생 제어(예를 들면,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재생 제어 가능 범위 이상으로, 입자상 물질의 잔류량이 더욱 증가했을 때에는,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를 착탈 분해하여 매연 필터(40)를 청소하고, 입자상 물질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메인티넌스 작업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부착 구조를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는, 하류측의 출구 협지 플랜지(45)에 연결 다리체(좌브래킷)(80)가 볼트 체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고정 다리체(우브래킷)(81)가 용접 고착된다. 이 때, 연결 다리체(80)의 부착 보스부가 출구 협지 플랜지(45)의 원호체에 형성된 관통구멍이 있는 다리체 체결부에 볼트 체결되어서 부착된다. 또한, 고정 다리체(81)가 정화 입구관(36)측에서,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외주면에 대하여 용접으로 고착된다. 즉, 고정 다리체(81)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입구측(상류측)에 설치되고, 연결 다리체(80)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출구측(하류측)에 설치된다. 또한, 연결 다리체(80)는 출구 협지 플랜지(45)에 한하지 않고,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를 조립할 때에 체결되는 중앙 협지 플랜지 등의 다른 협지 플랜지에 체결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의 외주에 설치된 연결 다리체(80) 및 고정 다리체(81) 각각이 플라이휠 하우징(10)의 상면측에 형성된 정화 장치 부착부(DPF 부착부)(89)에 볼트 체결된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2)는 연결 다리체(80) 및 고정 다리체(81)에 의해 고강성 부재인 플라이휠 하우징(10) 상에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된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엔진(1)의 진동계에 포함시키지만, 엔진(1)의 구성부품의 하나로서 고강성 부품인 플라이휠 하우징(10)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어 엔진(1)의 진동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엔진(1)의 제조 장소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엔진(1)에 장착하여 출하할 수 있다. 또한, 엔진(1)의 배기 매니폴드(7)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지근 거리에서 연통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쉽고, 높은 배기가스 정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2)는 내열 금속 재료제의 DPF 케이싱(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에, 원통형의 내측 케이스(도시생략)를 개재하여, 예를 들면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39)와 벌집 구조의 매연 필터(40)가 직렬 로 나란하게 수용된 구조이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2)는 지지체로서의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연결 다리체)(80)와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고정 다리체)(81)를 개재하여 플라이휠 하우징(10)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일단측은 DPF 케이싱(38)의 외주측에 플랜지(45)를 개재해서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어 있다.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의 일단측은 DPF 케이싱(38)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용접 고정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타단측은 플라이휠 하우징(10)의 상면(DPF 부착부)에, 선장착 볼트(90)와 후장착 볼트(91)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에 볼트 관통구멍(90a, 91a)을 형성한다. DPF 부착부(89)에 나사구멍(90b, 91b)을 상향으로 형성한다. DPF 부착부(89)의 편평한 상면에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를 놓고, 나사구멍(90b, 91b)에 볼트 관통구멍(90a, 91a)을 통해서 선장착 볼트(91) 및 후장착 볼트(91)를 체결시키고, 플라이휠 하우징(78) 상면에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를 개재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의 타단측은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의 DPF 부착부(89)에 2개의 후장착 볼트(91)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에 볼트 관통구멍(91a)을 형성한다. DPF 부착부(89)에 나사구멍(91b)을 상향으로 형성한다. DPF 부착부(89)의 편평한 상면에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를 놓고, 나사구멍(91b)에 볼트 관통구멍(91a)을 통해서 후장착 볼트(91)를 체결시켜서,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에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를 개재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타단측에는 볼트 관통구멍(90a)에 선장착 볼트(90)를 록킹시키기 위한 노치 홈(92)이 형성되어 있다.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장착할 때에 노치 홈(92)의 개구부가 선두에 위치하도록,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전단 가장자리에 노치 홈(92)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노치 홈(92)의 개방 가장자리부는 점차로 끝이 넓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장착할 경우, 우선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의 DPF 부착부(89)에 나사구멍(90b)을 통해서 선장착 볼트(90)를 불완전하게 나사 결합시킨다. DPF 부착부(89) 상면으로부터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판두께 이상으로 선장착 볼트(90)의 두부가 이반한 상태에서, DPF 부착부(89)에 선장착 볼트(90)를 지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양손으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들어올려서 선장착 볼트(90)의 두부에 노치 홈(92)을 통해서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나사구멍(90b)을 록킹시켜,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가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로부터 작업자가 양손을 뗄 수 있다.
그 후,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와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를, 3개의 후장착 볼트(91)에 의해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의 DPF 부착부(89)에 체결시킨다. 한편, 매입 볼트(36x)와 입구 플랜지용 너트(36y)를 통해서 중계관(66)에 입구 플랜지체(36a)를 체결시키고, 중계관(66)에 배기가스 입구관(정화 입구관)(36)을 고착시킨다.
이어서,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의 DPF 부착부(89)에 선장착 볼트(90)를 완전하게 체결시켜서, 중계관(66)의 배기가스 출구측과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시키고, 디젤엔진(1)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장착하는 작업을 완료한다. 또한, DPF 케이싱(38)의 착탈 방향의 앞면측에 노치 홈(92)을 개재해서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앞측 가장자리에 볼트 삽입용의 볼트 관통구멍(90a)을 개방했기 때문에, 선장착 볼트(90)를 불완전한 체결(반고정) 자세로 가고정 장착한 상태에서, DPF 케이싱(38)을 양손으로 들어올려서 디젤엔진(1)(또는 본기)의 부착 부위, 즉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선장착 볼트(90)에 노치 홈(92)을 개재해서 볼트 관통구멍(90a)을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배기 정화 장치(2)가 부착된 디젤엔진(1)을 그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DPF 부착부(89)에 있어서의 선장착 볼트(90)의 부착 위치가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의 배관 위치와 겹친다. 한편, DPF 부착부(89)에 있어서의 후장착 볼트(91)의 부착 위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의 배관 위치와 겹치지 않고 있다. 즉, DPF 부착부(89)에 있어서의 나사구멍(90b)은 실린더 헤드(5) 전방에 배관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의 하측에 배치되지만, 평면으로 보아서 나사구멍(91b)은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의 배관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DPF 부착부(89)에 선장착 볼트(90)를 가고정할 때애는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의 하측에 위치하는 나사구멍(90b)에 선장착 볼트(90)에 나사 결합시키지만, 배기 정화 장치(2)의 부착 전으므로 디젤엔진(1)의 앞측(플라이휠 하우징(10) 전방)으로부터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선장착 볼트(90)의 가고정 후, 다리체(브래킷 다리)(80, 81)의 하면을 DPF 부착부(89)의 상면을 따르게 함으로써 디젤엔진(1)의 앞측(플라이휠 하우징(10) 전방)으로부터 실린더 헤드(5) 앞면을 향해서 배기 정화 장치(2)를 슬라이드시킨다. 즉, 선장착 볼트(90)가 노치 홈(92)을 통과하도록 하여 배기 정화 장치(2)를 슬라이드시켜서 DPF 부착부(89) 상에 다리체(브래킷 다리)(80, 81)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의 볼트 관통구멍(90a)을 선장착 볼트(90)에 록킹한 상태에서, 배기 정화 장치(2)가 DPF 부착부(89) 상에 적재된다. 이 때, DPF 부착부(89)의 나사구멍(91b)의 상측에 다리체(브래킷 다리)(80, 81)의 볼트 관통구멍(91a)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디젤엔진(1)의 상측으로부터 상하로 겹쳐서 연통하고 있는 볼트 관통구멍(91a) 및 나사구멍(91b)의 위치를,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의 주위가 되는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볼트 관통구멍(91a) 및 나사구멍(91b)이, 평면으로 볼 때에 재순환 배기가스관(61)과 겹치지 않는 위치가 되기 때문에, 볼트 관통구멍(91a) 및 나사구멍(91b)의 바로 위로부터 후장착 볼트(91)를 삽입해서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할 때, 작업자는 DPF 케이싱(38)으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후장착 볼트(91)(볼트)를 체결하여 플랜지측 브래킷 다리(80) 및 케이싱측 브래킷 다리(81)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2)(DPF 케이싱(38))는 상기 각 브래킷 다리(80, 81)와 중계관(66)에 의해, 고강성 부재인 플라이휠 하우징(10)의 상부에서 디젤엔진(1)의 앞부에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1명의 작업자에 의해 디젤엔진(1)으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착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젤엔진(1)은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 케이스(2)를 구비하고, 디젤엔진(1)의 상면측에 배기가스 처리 장치(2)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디젤엔진(1) 또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2)의 한쪽에 가고정 록킹체(90)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가고정 록킹 노치(92)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디젤엔진(1)의 부설부품의 하방측에 가고정 록킹체(87) 또는 가고정 록킹 노치(92)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부설부품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배기가스 처리 장치(2)의 후장착 볼트(91)를 체결할 수 있고, 배기가스 처리 장치(2)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젤엔진(1)은 플라이휠 하우징(10) 상에 배기가스 처리 장치(2)를 탑재하는 구조이며, 디젤엔진(1)과 배기가스 처리 장치(2)의 사이에 부설부품으로서의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을 이어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디젤엔진(1)의 측면(정면측 측면)에 재순환 배기가스관(61)을 우회시켜서 부착 높이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면측에 가고정 록킹체(90)를 개재해서 배기가스 처리 장치(2)를 가고정 지지하여 체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젤엔진(1)은 배기 매니폴드(7)에 배기 스로틀 밸브 케이스(스로틀 밸브 케이스)(68)를 개재해서 배기 출구관(중계관)(66)을 고착하고, 배기가스 처리 장치(2)의 입구관(36)에 배기 출구관(66)을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출구관(66)의 사양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배기가스 처리 장치(2)의 부착 위치 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각종 작업 차량의 엔진 룸 스페이스에 간단하게 대응시켜서 배기가스 처리 장치(2)가 적재된 디젤엔진(1)을 탑재할 수 있다.
이하, 도 15∼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디젤엔진(1)을 탑재한 작업 차량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5∼도 18은 작업 차량으로서의 휠로더의 설명도이다.
도 15∼도 18에 나타내는 휠로더(211)는 좌우 한쌍의 전륜(213) 및 후륜(214)을 갖는 주행기체(216)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기체(216)에는 조종부(217)와 엔진(1)이 탑재되어 있다. 주행기체(216) 앞측부에는, 작업부인 로더 장치(212)를 장착하고, 로더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종부(217)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조종 좌석(219)과, 조종 핸들(218)과, 엔진(1) 등을 출력 조작하는 조작 수단이나, 로더 장치(212)용의 조작 수단으로서의 레버 또는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휠로더(211)의 앞부이며 전륜(213)의 상방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부인 로더 장치(212)를 구비하고 있다. 로더 장치(212)는 주행기체(216)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로더 포스트(222)와, 각 로더 포스트(222)의 상단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쌍의 리프트 암(223)과, 좌우 리프트 암(223)의 선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킷(224)을 갖고 있다.
각 로더 포스트(222)와 이것에 대응한 리프트 암(223) 사이에는 리프트 암(223)을 상하 요동시키기 위한 리프트 실린더(2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우 리프트 암(223)과 버킷(224) 사이에는 버킷(224)을 상하 요동시키기 위한 버킷 실린더(2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조종 좌석(219)의 오퍼레이터가 로더 레버(도시생략)를 조작함으로써, 리프트 실린더(226)나 버킷 실린더(228)가 신축 작동하고, 리프트 암(223)이나 버킷(224)을 상하 요동시켜 로더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휠로더(211)에 있어서, 엔진(1)은 조종 좌석(219)의 하측에서 플라이휠 하우징(10)이 주행기체(216)의 앞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엔진(1)은 엔진 출력축의 방향이 로더 장치(212)와 카운터 웨이트(215)가 늘어서는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엔진(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엔진(1)의 후방에 있어서 냉각 팬(9)의 정면 후측에,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오일 쿨러(25) 및 라디에이터(24)가 배치된다. 또한, 엔진(1)의 전방 상측에 있어서 플라이휠 하우징(10) 상부에 고정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2)가 배치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2)는 그 정화 입구관(36)이 엔진(1) 우측방에 설치되는 배기 매니폴드(7)의 배기 출구(71)에 직접 접속된다. 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2)는 그 배기가스의 이동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 즉, 정화 입구관(36)으로부터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38) 내로 유입한 배기가스가, 정화 케이스(38) 내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흘러서 입자상 물질(PM)이 제거된다. 그리고, 정화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좌측 하측 측면에서 접속되는 테일 파이프(135)를 통해서 기체 밖으로 방출된다.
또한, 엔진(1)은 그 좌측방에서 새 기체(외부공기)를 흡인하는 에어클리너(32)와 연결된다. 에어클리너(32)는 엔진(1)의 좌측 후방이며, 배기가스에 근거하는 배출열에 의해 가온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에어클리너(32)는 엔진(1) 후방의 라디에이터(24)의 좌측방이며, 배기가스 정화 장치(2)로부터의 열에 영향받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지 성형품 등으로 구성되어서 열적으로 약한 에어클리너(32)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의거한 배출열에 의한, 변형 등과 같은 영향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종 좌석(219) 하측 및 후방에 배치되는 엔진(1), 배기가스 정화 장치(2), 라디에이터(24) 및 에어클리너(32)는 카운터 웨이트(215)의 상측에 배치되는 보닛(220)에 의해 덮인다. 이 보닛(220)은 조종부(217)의 바닥면으로부터 돌기한 시트 프레임(전방 커버부)(221)으로서 구성됨과 아울러, 조종부(217) 내의 전방 부분이, 조종부(217)의 후방 부분이, 개폐 가능한 보닛 커버(229)(돌출 커버부)로서 구성된다.
즉, 엔진(1) 앞부의 상방을 시트 프레임(221)이 덮음으로써 이 엔진(1) 전방 상측에 배치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도 시트 프레임(221)이 덮는다. 한편, 보닛 커버(229)가 엔진(1)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덮는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엔진(1)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4) 및 오일 쿨러(25)도 덮는다.
보닛(220)의 시트 프레임(221)의 상측에는 조종 좌석(219)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프레임(221)으로부터 조종 좌석(219)을 이탈했을 때에 시트 프레임(221) 상면이 개방되기 때문에, 시트 프레임(221) 하측의 엔진(1)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2) 등에 대해서 메인티넌스가 가능해진다. 또한, 조종 좌석(219)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종 좌석(219)이 시트 프레임(221)의 상방에서 앞측으로 경동함으로써 시트 프레임(221) 상면을 개방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때, 도 16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조종 좌석(219)이 고정 설치된 시트 프레임(221) 자체가, 앞측으로 경동함으로써 엔진(1) 등의 상측이 개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보닛(220)이, 그 전방에 상면을 개구 가능하게 한 시트 프레임(221)을 구비함으로써 시트 프레임(221)의 상면을 닫았을 때 시트 프레임(1)이, 엔진(1) 전방 상측에 배치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덮는다. 따라서, 비바람 등에 기인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2)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2)를 적정 온도에 유지하기 쉽다. 또한, 작업자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 접촉할 우려를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시트 프레임(221)의 상면을 열었을 때, 엔진(1) 전방상측이 개방되기 때문에, 엔진(1) 전방 상측에 배치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의 액세스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메인티넌스 작업이 행하기 쉽다.
한편, 시트 프레임(211) 후방에 있어서 보닛(220)은 시트 프레임(221)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시킨 보닛 커버(229)를 구비한다. 이 보닛 커버(229)는 카운터 웨이트(215)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엔진(1)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4) 및 오일 쿨러(25)를 덮음과 아울러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1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보닛 커버(229)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 힌지부(230)가 보닛 커버(229)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보닛 커버(229)를 앞측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엔진(1) 후방 상측이 개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때, 보닛 커버(229)가 유압 댐퍼 등을 통해서 주행기체(216)와 연결됨으로써 보닛 커버(229)를 열었을 때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엔진(1)은 플라이휠 하우징(10)의 앞면측에 미션 케이스(132)가 연결되어 있다. 엔진(1)으로부터 플라이휠(11)을 경유한 동력은 미션 케이스(132)에서 적당하게 변속되어, 전륜(213) 및 후륜(214)이나 리프트 실린더(226) 및 버킷 실린더(228) 등의 유압 구동원(133)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포크리프트카(120)에 상기 디젤엔진(1)을 탑재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카(120)는 좌우 한쌍의 전륜(122) 및 후륜(123)을 갖는 주행기체(124)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기체(124)에는 조종부(125)와 엔진(1)이 탑재되어 있다. 주행기체(124)의 앞측부에는 하역작업을 위한 포크(126)를 갖는 작업부(127)가 설치되어 있다. 조종부(125)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조종 좌석(128)과, 조종 핸들(129)과, 엔진(1) 등을 출력 조작하는 조작 수단이나, 작업부(127)용의 조작 수단으로서의 레버 또는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작업부(127)의 구성요소인 마스트(130)에는 포크(126)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포크(126)를 승강 이동시켜서 화물을 적재한 팰릿(도시생략)을 포크(126)에 얹고, 주행기체(124)를 전후진 이동시켜서 상기 팰릿의 운반 등의 하역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포크리프트카(120)에 있어서, 엔진(1)은 조종 좌석(운전 좌석)(128)의 하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플라이휠 하우징(10)이 주행기체(124)의 앞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2)가 엔진(1)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다. 즉, 엔진(1)의 전방에 설치한 플라이휠 하우징(10)의 상방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2)가 배치된다. 또한, 엔진(1)의 후방에는 냉각 팬(9)에 대치하는 위치에 라디에이터(24) 및 오일 쿨러(25)가 배치되고, 엔진(1)의 좌측방에 접속되는 에어클리너(32)가 엔진(1)의 좌측 후방이 되는 라디에이터(24)의 좌측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조종 좌석(128) 하측 및 후방에 배치되는 엔진(1), 배기가스 정화 장치(2), 라디에이터(24) 및 에어클리너(32)는 카운터 웨이트(131)의 상측에 배치되는 보닛(136)에 의해 가려진다. 그리고, 보닛(136)은 보닛(136) 내의 엔진(1)이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2)에 작업자가 액세스 가능해지도록, 조종 좌석(128)이 착탈 가능하게 되고, 전방 상면 부분이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닛(136)의 후방에 대해서도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젤엔진(1)은 크랭크축(3)의 방향이 작업부(127)와 카운터 웨이트(131)가 늘어서는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디젤엔진(1)이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10)의 앞면측에는 미션 케이스(132)가 연결되어 있다. 디젤엔진(1)으로부터 플라이휠(11)을 경유한 동력은 미션 케이스(132)에서 적당하게 변속되어, 전륜(122) 및 후륜(123)이나 포크(126)의 유압 구동원(133)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 발명에 의한 엔진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포크리프트카(120) 및 휠로더(211)에 한하지 않고, 콤바인, 트랙터 등의 농작업기나 크레인차 등의 특수작업용 차량과 같은 각종 작업기계에 대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1 : 디젤엔진 2 : 배기가스 정화 장치
7 : 배기 매니폴드 10 : 플라이휠 하우징
13 : 오일 필터 13a : 오일 배관
13b : 오일 배관 13c : 오일 배관 접속부
13d : 필터부 18 : 오일 쿨러
18a : 냉각수 배관 18b : 냉각수 배관
18c : 냉각수 배관 접속부 18d : 오일 배관 접속부
29 : EGR 쿨러 30 : 재순환 배기가스관
36 : 정화 입구관 36a : 입구 플랜지체
36x : 매입 볼트 36y : 입구 플랜지용 너트
65 : 배기 스로틀 장치 66 : 중계관
68 : 스로틀 밸브 케이스 69 : 액츄에이터 케이스
70 : 수냉 케이스 75 : 냉각수 리턴 호스
76 : 냉각수 출구관 77 : 냉각수 입구관
78 : 중계 호스 79 : 냉각수 인출 호스
80 : 연결 다리체 81 : 고정 다리체
82 : 가스 온도 센서 83 : 압력 인출구
84 : 배기 압력 센서 85 : 배기압 센서 파이프
86 : 배기압 호스

Claims (7)

  1. 엔진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상면측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배치하는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한쪽에 가고정 록킹체를 설치하고, 다른쪽에 가고정 록킹 노치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의 부설부품의 하방측에 상기 가고정 록킹체 및 가고정 록킹 노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플라이휠 하우징 상에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과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사이에 상기 부설부품으로서의 재순환 배기가스관을 이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배기 스로틀 장치를 통해서 배기 출구관을 고착하고,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입구관에 상기 배기 출구관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출구관을 평면으로 볼 때에 S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등이 탑재되는 본기 프레임을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 설치부에 배기 스로틀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본기 프레임에 대향 설치시키는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측면과 배기 스로틀 장치의 외측면을 면일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일측면과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의 외측면에 대하여 얼터네이터의 외측면도 면일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가스 입구에 대하여 상기 배기 스로틀 장치를 오프셋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KR1020167011772A 2013-11-22 2014-11-20 엔진 장치 KR20160088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2242 2013-11-22
JP2013242243A JP6233963B2 (ja) 2013-11-22 2013-11-22 エンジン装置
JPJP-P-2013-242243 2013-11-22
JP2013242242A JP2015101997A (ja) 2013-11-22 2013-11-22 エンジン装置
PCT/JP2014/080783 WO2015076338A1 (ja) 2013-11-22 2014-11-20 エンジ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299A true KR20160088299A (ko) 2016-07-25

Family

ID=5317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772A KR20160088299A (ko) 2013-11-22 2014-11-20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290211A1 (ko)
EP (1) EP3098411A4 (ko)
KR (1) KR20160088299A (ko)
CN (1) CN105745410A (ko)
WO (1) WO2015076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2576B2 (ja) 2014-03-20 2017-09-06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DE102016014904A1 (de) * 2016-12-15 2018-06-21 Deutz Aktiengesellschaft Brennkraftmaschine
JP6619375B2 (ja) * 2017-03-24 2019-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CN108412585A (zh) * 2018-05-16 2018-08-17 安徽全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颗粒捕集器及汽车
CN110065911B (zh) * 2019-05-13 2023-12-26 安徽维德电源有限公司 一种中大吨位电动叉车集成动力***及其控制方法
JP7448501B2 (ja) * 2021-03-18 2024-03-12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CN113468672B (zh) * 2021-07-22 2022-08-30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罩设计方法及发动机罩结构
CN115628161A (zh) * 2022-11-16 2023-01-20 中车戚墅堰机车有限公司 一种集成散热风道和egr支架的分体式飞轮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430A (ja) 1998-11-13 2000-05-26 Ibiden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7182705A (ja) 2006-01-06 2007-07-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3923B2 (ja) * 2008-10-28 2013-07-2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WO2010050314A1 (ja) * 2008-10-28 2010-05-06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搭載用のエンジン装置
CN102124191B (zh) * 2008-11-11 2013-04-24 日立建机株式会社 废气处理装置
WO2011002055A1 (ja) * 2009-07-02 2011-01-06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CN102753797B (zh) * 2010-02-12 2015-06-17 洋马株式会社 排气气体净化装置
JP2011196194A (ja) * 2010-03-17 2011-10-06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1756240B1 (ko) * 2010-03-23 2017-07-10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배기가스 정화장치
JP5865040B2 (ja) * 2011-11-30 2016-02-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WO2013105372A1 (ja) * 2012-01-13 2013-07-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4136730B (zh) * 2012-01-19 2017-09-26 洋马株式会社 发动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5430A (ja) 1998-11-13 2000-05-26 Ibiden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7182705A (ja) 2006-01-06 2007-07-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6338A1 (ja) 2015-05-28
EP3098411A1 (en) 2016-11-30
US20160290211A1 (en) 2016-10-06
CN105745410A (zh) 2016-07-06
EP3098411A4 (en)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8299A (ko) 엔진 장치
KR101959596B1 (ko) 엔진 장치
KR20160134642A (ko) 엔진 장치
JP5885684B2 (ja) エンジン装置
KR101959595B1 (ko) 엔진 장치
KR102130877B1 (ko) 엔진 장치 및 이것을 탑재한 정치형 작업기
KR102136917B1 (ko) 엔진 장치
JP5843608B2 (ja) エンジン装置
WO2015141471A1 (ja) エンジン装置
JP6243765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3148009A (ja) エンジン装置
JP6147213B2 (ja) エンジン装置
JP6124693B2 (ja) エンジン装置
JP6030964B2 (ja) エンジン装置
JP6147184B2 (ja) エンジン装置
JP6233963B2 (ja) エンジン装置
JP6129733B2 (ja) エンジン装置
JP6091245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5101997A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