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116A -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116A
KR20160085116A KR1020150002096A KR20150002096A KR20160085116A KR 20160085116 A KR20160085116 A KR 20160085116A KR 1020150002096 A KR1020150002096 A KR 1020150002096A KR 20150002096 A KR20150002096 A KR 20150002096A KR 20160085116 A KR20160085116 A KR 2016008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eight
water
electrode board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347B1 (ko
Inventor
오희재
최동수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샤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샤인
Priority to KR102015000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3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이 상호 수밀하게 결합되어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의 바닥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저면에 자성체가 구성되어 상수도관에 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인 검지 신호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즉각적으로 검지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대규모의 상하수도 관망에서 손실되는 누수량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APPARATUS FOR CHECKING LEAKAGE OF WATER PIPE}
본 발명은 누수 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관망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지점을 정밀하게 탐지하도록 구성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의 편중성 증가와 인구증가 및 도시화로 인한 물 사용량 증가로 인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상수도관망의 관리는 수돗물(먹는물) 관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망은 상수도시설의 약 7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유지관리 미흡으로 인하여 관로의 노후화가 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간 누수손실량이 6.4억 ㎥(2010년 기준, 남강댐 저수량의 2.1배)이고, 지난 10년간 손실된 누수량은 75억 ㎥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관망의 노후화와 부적절한 공급체계에 의한 수돗물의 수질악화로 인하여 수돗물의 신뢰도는 저하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수돗물의 총 음용률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직접 음용률은 2% 전후로 매우 낮은 상황에 직면해있다. 관망에서 손실되는 누수량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는 관망의 효율적 정비 및 관리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기 누수 검지 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05234호의 누수 센서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화학약품의 성분을 표시할 수 있는 필름을 배관 등에 감아서 화학약품의 누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방식의 경우 광범위한 상수도관망에 적용시키기에는 설치 비용 및 공사 기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게 되고, 아울러 누수 지점에 대한 정밀한 검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남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0523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대규모의 상수도관망에서 누수지점을 즉각적으로 검지할 수 있어 상하수도 관망에서 손실되는 누수량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는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이 상호 수밀하게 결합되어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의 바닥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저면에 자성체가 구성되어 상수도관에 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인 검지 신호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센싱부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전달되는 진동에 연동하여 상하 진동하고 그 저면에 가압단이 돌출 형성되는 무게추; 상면이 상기 가압단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가압돌기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무게추의 진동신호를 검지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는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며 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조립소켓; 상기 중공에 배치되는 압전소자; 상기 조립소켓의 상면에 고정되어 그 상면은 상기 무게추의 가압단과 밀착되고 그 하면은 상기 압전소자의 상단과 밀착되어 제 1신호를 생성하는 제 1전극보드; 상기 조립소켓의 하면에 고정되어 그 하면은 상기 가압돌기와 밀착되고 그 상면은 상기 압전소자의 하단과 밀착되어 제 2신호를 생성하는 제 2전극보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신호발생부에는 상기 제 1전극보드 및 제 2전극보드로부터 생성된 제 1신호 및 제 2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여 제 3신호를 생성하는 산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써, 상기 제 3신호는 제 1신호와 제 2신호의 평균값인 것이 특징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제 3신호는 제 1신호와 제 2신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인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조립소켓은 테두리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연장부가 구성되되, 상기 테두리연장부의 내경은 상기 무게추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무게추의 외주연이 상기 테두리연장부의 내주연에 가이드 된 상태로 상하 진동하게 되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주연에는 가이드턱을 마련하여 상기 조립소켓의 일 외주연이 상기 가이드턱의 내주연에 가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싱은 그 일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 및 체결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의 일 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을, 상기 조립소켓의 일 측면에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마련하여, 상기 무게추 및 조립소켓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의 하단 및 상기 무게추의 상단 간의 간격은 5mm이내 인 것이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는 상수도관에 부착 설치되는 하우징 내측의 센싱부가 상수도관으로부터 하우징에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검지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모듈로 전달함으로써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즉각적으로 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의 상하수도 관망에서 손실되는 누수량을 절감하고 수돗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신호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조립소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무게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를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계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신호발생부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계략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조립소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무게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10)는 복수로 마련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관망에서 누수를 검지하기 위한 특정구역의 상수도관(P)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하나씩 설치되는 것으로, 센싱부(200)에서는 상수도관(P)에 물이 흐를때 발생되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인 검지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모듈(300)로 전달하게 되고, 통신모듈(300)에서는 관제센터(500)와 통신하여 검지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관제센터(500)에서는 상수도관(P)의 누수지점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누수손실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10)는 그 일 실시 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센싱부(200) 및 통신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각각 수밀구조인 상부케이싱(110) 및 하부케이싱(120)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그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130)에 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합부에 하나 이상의 패킹부재(15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130)의 바닥면에는 가압돌기(122)가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장치의 조립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센싱부(200)의 저면을 가압하는 수단이 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12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자성체(126)의 자성에 의해 일반적으로 외면이 강 재질로 이루어진 상수도관(P)에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 및 자성체(126)의 형상을 수도관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의 홈이 마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우징(100)과 상수도관(P)과의 닿는 면적을 늘려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200)는 상기 공간부(130) 중 하측케이싱의 영역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이 상수도관(P)에 부착되어 상수도관(P)에 물이 통과하면서 상수도관(P)에 발생되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인 검지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성으로 생성된 검지신호는 이하의 통신모듈(300)로 전달된다.
이때, 누수 검지를 위해 센싱부(200)에서 진동신호를 측정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상수도관(P)에 물이 흐를 경우 수압에 의해 일정 주파수 대역의 진동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수도관(P)에 물이 흐르지 않을 경우 진동신호는 발생하지 않고, 물이 흐르게 되면 흐르는 양에 따라 진동신호의 크기가 변화되는데, 만약, 상수도관(P)에 균열이 일어나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누수 지점을 통과하기 전과, 누수 지점을 통과한 후에 흐르는 물의 양이 달라지므로, 진동신호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수도관(P)의 진동신호를 상시 측정할 경우 상수도관(P)의 누수 여부를 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통신모듈(300)은 상기 센싱부(200)로부터 전달받은 검지신호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관제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으로 누수발생시, 관제시스템에서는 기 설정된 누수 검지 장치(10) 마다 부여된 고유코드를 토대로 일 누수 검지 장치(10)에서 이웃하는 타 누수 검지 장치(10)로 물이 흐를때 발생되는 검지신호의 차이를 비교하여 정확한 누수지점을 산출하고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센싱부(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센싱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210) 및 신호발생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상기 무게추(210)는 하우징(100)이 상수도관(P)에 부착되므로 상수도관(P)에 물이 흐를 경우 발생되는 진동에 반응하여 이에 연동하여 상하 진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2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가압단(212)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이하의 신호발생부(220)로 진동신호를 전달함에 있어 전달되는 압력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220)는 상면이 상기 가압단(212)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가압돌기(122)에 밀착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상수도관(P)에 물이 흘러 하우징(100)에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상측의 무게추(210)와 하측의 가압돌기(122)에 의해 상하 양측의 진동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전기적 신호인 검지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통신모듈(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신호발생부(220)는 조립소켓(221), 압전소자(222), 제 1전극보드(223) 및 제 2전극보드(224)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상기 조립소켓(221)은 제 1전극보드(223)와 제 2전극보드(224)가 이격되고 그 사이에서 압전소자(222)가 제 1전극보드(223)와 제 2전극보드(224)에 밀착되도록 조립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립소켓(221)은 도 5에서와 같이 그 중심에 상하관통되는 중공(221-1)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221-2)이 형성된다.
상기 압전소자(222)는 상기 중공(221-1)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그 양단이 중공(221-1)의 양단부에 각각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전소자(222)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소자로써 진동압력의 변화량을 전기적 신호인 검지신호로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압전소자(222)로는 피에조 압전기(Piezo Electric), 피에조 세라믹(Piezo Ceramic), 피에조 수정(Piezo Quartz)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전소자(222)들은 정확도가 높고, 비교적 저가이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상수도관(P)에 복수로 설치하여도 설치비용에 부담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보드(223)는 상기 조립소켓(221)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며, 그 고정 방법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팅 결합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딩 결합 될 수 있는 것으로, 제 1전극보드(223)의 상면은 상기 무게추(210)의 가압단(212)과 밀착되게 되고, 그 하면은 상기 압전소자(222)의 상단과 밀착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2전극보드(224) 역시 상기 조립소켓(221)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이며, 그 고정 방법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팅 결합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딩 결합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제 2전극보드(224)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100)의 가압돌기(122)에 밀착되고 그 상면은 상기 압전소자(222)의 하단과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립구조에 의해 상기 무게추(21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압력은 제 1전극보드(223)를 통해 압전소자(222)로 전달되고, 하우징(100)의 하측에서 발생되는 진동압력은 제 2전극보드(224)를 통해 압전소자(222)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 1전극보드(223)는 그 상측의 진동압력이 전가된 압전소자(222)로부터 발생된 검지신호인 제 1신호(223a)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제 2전극보드(224)는 그 하측의 진동압력이 전가된 압전소자(222)로부터 발생된 검지신호인 제 2신호(224a)를 생성하여 각각의 생성된 제 1신호(223a) 및 제 2신호(224a)는 상기 통신모듈(300)로 전달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무게추(210)와 압전소자(222) 간에 간격 없이 밀착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무게추(210)가 진동에 의해 압전소자(222)를 타격하지 않고 그 압력만 전달될 수 있어 압전소자(2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변환경의 변화에도 오차를 최소화하여 검지값을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종래에 무게추(210)가 용수철에 결합되고 진동에 의해 무게추(210)에 발생되는 압력이 압전소자(222)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이 있는바, 이러한 경우 용수철에 의해 무게추(210)의 진동이 과하게 적용되어 압전소자(222)를 타격하므로 압전소자(222)가 파손될 소지가 있으며 또한 기온에 따라 용수철의 탄성계수가 변화하여 압전소자(222)에 전달되는 압력신호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검지 장치(10)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상기 제 1신호(223a) 및 제 2신호(224a)는 즉시 통신모듈(300)로 전달될 수도 있으나 제 1전극보드(223), 제 2전극보드(224)와 연결된 통신모듈(300)과의 사이에 산출부(230)를 더 마련하여 제 1신호(223a) 및 제 2신호(224a)를 입력받은 후 이를 분석하여 제 3신호(230a)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3신호(230a)를 통신모듈(300)에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산출부(230)에서 산출된 제 3신호(230a)는 제 1신호(223a)와 제 2신호(224a)의 평균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압력에 대한 검지 신호 값에 대한 편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된 검지 신호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누수 여부에 대한 더욱 정밀 진단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산출부(230)에서 산출된 제 3신호(230a)의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제 3신호(230a)는 제 1신호(223a)와 제 2신호(224a)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 신호 중 신호값의 편차가 작은 신호를 선택하여 통신모듈(300)로 전달함으로써 이 역시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진동압력에 대한 검지 신호 값에 대한 편차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된 검지 신호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누수 여부에 대한 정밀 진단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립소켓(221)은 그 테두리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테두리연장부가 구성되는데, 상기 테두리연장부는 그 내경이 상기 무게추(21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무게추(210)의 외주연이 상기 테두리연장부의 내주연에 가이드 된 상태로 진동하도록 구성하여 무게추(210)는 상하 진동만을 하게 되므로 보다 정밀한 검지신호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싱(120)의 내주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가이드턱(124)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조립소켓(221)은 그 일 외주연이 상기 가이드턱(124)의 내주연에 가이드 된 상태로 무게추(210)의 가압단(212) 및 하부케이싱(120)의 가압돌기(122)에 개재된 상태로 상하 진동압력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마찬가지로 진동압력이 측면을 향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유도되어 보다 정밀한 검지신호를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면에 도시된바는 없으나 상기 하부케이싱(120)은 그 일 내측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미도시) 및 체결돌기(미도시)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21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14)을 마련하며, 상기 조립소켓(221)의 일 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221-2)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무게추(210) 및 조립소켓(221)은 강한 진동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하지 않아, 이 역시 보다 정밀한 검지신호를 취득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모듈(300)의 하단 및 상기 무게추(210)의 상단 간의 간격(a)을 5mm 이내로 구성하여 무게추(210)의 진동발생시 무게추(210)의 승강폭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무게추(210)에 진동이 강하게 발생되어 그 승강폭이 증가할 경우 상기 압전소자(222)에 타격을 가하여 압전소자(222)가 파손될 수도 있는바, 상기와 같이 통신모듈(300)의 하단 및 무게추(210)의 상단 간 간격(a)을 좁게 구성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누수 검지 장치 100 : 하우징
200 : 센싱부 300 : 통신모듈
500 : 관제센터

Claims (9)

  1.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이 상호 수밀하게 결합되어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의 바닥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외측 저면에 자성체가 구성되어 상수도관에 부착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전달되는 진동신호를 전기적 신호인 검지 신호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검지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전달되는 진동에 연동하여 상하 진동하고 그 저면에 가압단이 돌출 형성되는 무게추;
    상면이 상기 가압단에 밀착되고 하면은 상기 가압돌기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무게추의 진동신호를 검지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모듈로 전달하는 신호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며 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조립소켓;
    상기 중공에 배치되는 압전소자;
    상기 조립소켓의 상면에 고정되어 그 상면은 상기 무게추의 가압단과 밀착되고 그 하면은 상기 압전소자의 상단과 밀착되어 제 1신호를 생성하는 제 1전극보드;
    상기 조립소켓의 하면에 고정되어 그 하면은 상기 가압돌기와 밀착되고 그 상면은 상기 압전소자의 하단과 밀착되어 제 2신호를 생성하는 제 2전극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에는
    상기 제 1전극보드 및 제 2전극보드로부터 생성된 제 1신호 및 제 2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여 제 3신호를 생성하는 산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신호는 제 1신호와 제 2신호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신호는 제 1신호와 제 2신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소켓은
    테두리가 상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연장부가 구성되되,
    상기 테두리연장부의 내경은 상기 무게추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무게추의 외주연이 상기 테두리연장부의 내주연에 가이드 된 상태로 상하 진동하게 되고,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주연에는 가이드턱을 마련하여 상기 조립소켓의 일 외주연이 상기 가이드턱의 내주연에 가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은 그 일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 및 체결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의 일 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을, 상기 조립소켓의 일 측면에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마련하여,
    상기 무게추 및 조립소켓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의 하단 및 상기 무게추의 상단 간의 간격은 5mm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KR1020150002096A 2015-01-07 2015-01-07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KR10167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096A KR101676347B1 (ko) 2015-01-07 2015-01-07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096A KR101676347B1 (ko) 2015-01-07 2015-01-07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16A true KR20160085116A (ko) 2016-07-15
KR101676347B1 KR101676347B1 (ko) 2016-11-29

Family

ID=5650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096A KR101676347B1 (ko) 2015-01-07 2015-01-07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3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223A (ko) * 2020-06-10 2021-12-17 나광윤 누수 검출 디바이스
CN114777906A (zh) * 2022-03-29 2022-07-22 山东潍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灵敏压电陶瓷振动传感装置及其应用
KR102505270B1 (ko) * 2022-08-03 2023-03-03 주식회사 한국빅텍 누수진단센서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458B1 (ko) * 2020-01-03 2020-08-18 주식회사 한국빅텍 누수 감지 장치 및 누수 감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234A (ko) 2005-07-05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2191A (ja) * 2006-02-07 2007-08-23 M I Labs:Kk 加速度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234A (ko) 2005-07-05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누수 센서 및 누수 감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223A (ko) * 2020-06-10 2021-12-17 나광윤 누수 검출 디바이스
CN114777906A (zh) * 2022-03-29 2022-07-22 山东潍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灵敏压电陶瓷振动传感装置及其应用
KR102505270B1 (ko) * 2022-08-03 2023-03-03 주식회사 한국빅텍 누수진단센서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347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286B1 (ko)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676347B1 (ko) 상수도관의 누수 검지 장치
KR101696675B1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406507B1 (ko) 음향/압력 복합센서를 구비한 상수도관용 누수감지장치
JP5394506B2 (ja) 渦振動センサプレートを持つ渦流量計
US10732063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 fluid flowing through a pipeline
KR101153658B1 (ko) 측정 장치
US20090158819A1 (en) Probe or Sonde for Investigating Fluids
KR101888188B1 (ko) 누수감지가 가능한 초음파 수도미터기, 이를 구비한 누수 감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누수위치 감지방법
KR20170071044A (ko) 지중에 매설된 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1571366B1 (ko) 관로의 안전 감시장치
KR101676348B1 (ko) 상수도관의 누수검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JP6426371B2 (ja) 投込式水位計の校正システム、その校正方法、および校正機能付き投込式水位計
KR101604306B1 (ko) 방사능 격납 건물의 방사능 유출 모니터링 시스템
EP3864379B1 (en) Electronic flow meter with pressure sensor
KR20220061559A (ko) 상하수도관 누수감지 장치
KR101895441B1 (ko) 이중지수 주철관 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주철관파이프
CN106441674A (zh) 一种光纤式测力传感***及测力方法
KR101759200B1 (ko) 센싱모듈이 적용되는 매설관로의 누수 검지 시스템
KR102087562B1 (ko) 누액센서장치와 누액감지시스템
KR20240008521A (ko) 이형 압전소자를 이용한 누수센서
KR20050095019A (ko)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101865801B1 (ko) 인라인 방식의 상수관로 압력 및 유량 원격 계측장치
WO202023012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fluid flow analysis
KR101020073B1 (ko) 로드셀을 이용한 수위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