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881A -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881A
KR20160084881A KR1020150001023A KR20150001023A KR20160084881A KR 20160084881 A KR20160084881 A KR 20160084881A KR 1020150001023 A KR1020150001023 A KR 1020150001023A KR 20150001023 A KR20150001023 A KR 20150001023A KR 20160084881 A KR20160084881 A KR 2016008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blower
evaporato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0455B1 (en
Inventor
박태용
이성제
이세민
한성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55B1/en
Publication of KR2016008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5Cooling devices using sublimation, e.g. dry ice cooling or mel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cold air passage wherein an evaporato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a partitioning wall partitioning an internal space of an air conditioning case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a hot air passage wherein a condenser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ing wall. 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is capable of discharging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by forming a drain means in the partitioning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wall, thereby simply forming the drain means even in the structure wherein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vertically arranged. In addition, 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is capable of improving heating performance and reducing airflow resistance by preventing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from falling into the condenser in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ing wall. Additionally, 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is capable of vertically arranging the evaporator of the cold air passage and the condenser of the hot air passage due to the diagonal arrangement of outlets of first and second blowers in opposite directions, thus the system can be miniaturized.

Description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 for vehicle}[0001]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회벽의 상부에는 증발기가 설치된 냉풍통로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응축기가 설치된 온풍통로를 형성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구획벽에 드레인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공조케이스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한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which includes a heat exchang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eat pump system in which drain means is formed in a partition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drain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은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Compressor)(1), 압축기(1)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Condenser)(2), 응축기(2)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예컨대 팽창밸브(Expansion Valve)(3),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vaporator)(4) 등이 냉매 파이프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냉동사이클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냉매 순환과정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를 냉방한다.1, a general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generally includes a compressor 1 for compressing and sending a refrigerant, a condenser 2 for condensing high-pressure refrigerant sent from the compressor 1, For example, an expansion valve 3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and liquefied in the condenser 2 and a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throttled by the expansion valve 3 for heat exchange with the air blown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n evaporator (4) for cooling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by the endothermic effect of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e following refrigerant circulation process .

상기 에어컨시스템의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1)가 엔진 또는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로 송출하고, 응축기(2)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이어, 응축기(2)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3)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4)로 보내어지고, 증발기(4)는 그 냉매를 블로어(미도시)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냉매는 증발기(4)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되고 다시 압축기(1)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When the cooling switch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turned on, the compressor 1 sucks and compresses the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while being driven by the power of the engine or the motor, And the condenser 2 exchanges the gaseous refrigerant with the outside air to condense it into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liquid. The liquid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2 in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ate rapidly expands due to the throttling action of the expansion valve 3 and is sent to the evaporator 4 in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humidified state, The blower (not shown) exchanges the refrigerant with the air blowing into the vehicle interior.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4 and is discharged to the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gas state. The refrigerant is again sucked into the compressor 1 to recycle the refrigeration cycle as described above.

상기 증발기는 차량 실내측에 설치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방 역할을 하게 되는데, 즉, 블로어(미도시)가 송풍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4)를 거치면서 증발기(4)내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evaporator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to serve as a cooling unit. That is, air blown by a blower (not shown) flows through the evaporator 4, The refrigerant is cooled by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and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a cooled state.

또한, 차량 실내의 난방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코어(미도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가열식히터(미도시)를 이용하게 된다.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is heated using an electric heater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or using a heater core (not shown) circulating the engine cooling water or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

한편, 상기 응축기(2)는 차량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방열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denser 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radiates heat while exchanging heat with air.

최근에는, 냉동사이클만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조케이스(10) 내부에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를 좌,우 구획되게 형성하고, 상기 냉풍통로(11)에는 냉방을 위한 증발기(4)를 설치하며, 상기 온풍통로(12)에는 난방을 위한 응축기(2)를 설치한 구조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heat pump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performs cooling and heating using only a refrigeration cycle. As shown in Fig. 2, a cold air passage 11 and a hot air passage 12 The evaporator 4 for cooling is installed in the cold air passage 11 and the condenser 2 for heating is installed in the hot air passage 12. The condenser 2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2 for heating.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출구측에는 차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토출구(15)와, 차실외로 공기를 방출하는 공기방출구(16)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n air outlet 15 for supplying air to the inside of the car and an air outlet 16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of the car are formed at the out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또한, 상기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의 각 입구측에는 개별작동하는 블로어(20)가 각각 설치된다.The blower 20 and the hot air passage 12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respective blowers 20 on the inlet side of the cold air passage 11 and the hot air passage 12, respectively.

상기 냉풍통로(11)와 온풍통로(12)가 좌,우(차량 폭방향)로 배치되므로, 상기 두 개의 블로어(20)도 좌,우로 배치된다.Since the cool air passage 11 and the warm air passage 12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vehicle width direction), the two blowers 20 are also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따라서,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냉풍통로(11)의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풍이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온풍통로(12)의 응축기(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은 공기방출구(16)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Therefore, in the cooling mode, the cold ai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 of the cold air passage 11 is discharged to the vehicle compartment through the air outlet 15 to be cooled. At this time, 2, the hot air heated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6 to the outside of the car.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온풍통로(12)의 응축기(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이 상기 공기토출구(15)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냉풍통로(11)의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풍은 공기방출구(16)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In the heating mode, hot ai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 of the hot air passage 12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air outlet 15 to be heated. At this time, the evaporator 4 of the cold air passage 11 And the cooled col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6 to the outside of the car.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4)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배수 할 수 있도록 드레인부(미도시)가 구비된다.A drain (not show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o drai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4.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상기 증발기(4)와 응축기(2)가 좌,우로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공조케이스(10)의 하부에 드레인부를 형성하면 되므로 드레인부를 구성하기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었으나, 상기 증발기(4)와 응축기(2)가 좌,우 배치가 아닌 다른 배치, 일예로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증발기(4)의 배치 구조상 상기 공조케이스(10)측에 드레인부를 구성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vaporator 4 and the condenser 2 are disposed to the left and the right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difficulty in constituting the drain portion since the drain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 When the evaporator 4 and the condenser 2 are arranged in different arrangements other than the left and right arrangements, for example, up and down, a drain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evaporator 4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또한, 상기 각 블로어(20)의 토출구가 좌,우(차량 폭바향)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11)(증발기)와 온풍통로(12)(응축기)도 좌,우로 배치되어 시스템의 크기가 증가되고 시스템의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Also, the cold air passage 11 (evaporator) and the hot air passage 12 (condenser)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charge ports of each of the blowers 20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ystem and making it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system.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회벽의 상부에는 증발기가 설치된 냉풍통로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응축기가 설치된 온풍통로를 형성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구획벽에 드레인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공조케이스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가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에서도 드레인수단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구획벽 하부의 응축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난방성능을 향상하고 공기 유동저항을 줄일수 있으며, 또한 제1,2블로어의 토출구 엇갈림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의 증발기와 온풍통로의 응축기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한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pump system in which a cold air passage provided with an evaporator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spherical wall dividing the inside of an air conditioner case, The drain means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so that the drain means can be easily constructed eve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arranged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from falling to the condenser below the partition wall to improve the heating performance and to reduce the air flow resistance and to prevent the evaporator and the hot air passage 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up and down, To provide a heat pump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수단, 증발기가 냉매순환라인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벽의 상부에 냉풍통로가 형성되고 하부에 온풍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풍통로에는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에는 상기 응축기가 설치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 및 온풍통로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케이스에는, 상기 구획벽 상부의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공조케이스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드레인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heat pump system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connected to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wherein a cool air passag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partition wall The air conditioner case is provided wit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installed in the cold air passage. The air conditioner case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blows air to the cold air passage and the hot air passage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provided with drain means for drain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above the partition wall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회벽의 상부에는 증발기가 설치된 냉풍통로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응축기가 설치된 온풍통로를 형성한 히트 펌프 시스템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구획벽에 드레인수단을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공조케이스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가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에서도 드레인수단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구획벽 하부의 응축기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난방성능을 향상하고 공기 유동저항을 줄일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heat pump system in which a cold air passage provided with an evaporator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spherical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upward and downward and a hot air passage provided with a condenser is provided on a lower part, And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o that the drain means can be easily configured eve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arranged up and dow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to the lower condenser, thereby improving the heating performance and reducing the air flow resistance.

또한, 제1,2블로어의 토출구 엇갈림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의 증발기와 온풍통로의 응축기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용이함은 물론 두 개의 블로어를 공용화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Also, since the evaporator of the cold air passage and the condenser of the hot air passage can be arranged upward and downward due to the staggered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it is possible to easily miniaturize the system and to jointly use two blowers, Can be maximized, which can reduce the size and cost of the system.

그리고, 상기 제1,2블로어의 사이에 하나의 인테이크덕트를 설치하여 제1,2블로어로 각각 내.외기를 공급함으로써, 두 개의 블로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인테이크덕트를 사용하므로 공간 효율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Since one intake duc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nd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re supplied with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respectively, one intake duct is used in a system using two blowers, It can be further maximized.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컨시스템의 냉동사이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제1,2블로어측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은 도 3의 B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도 3에서 공조케이스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4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외기유입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내기유입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ion cycle of a general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heat pump system,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blower sides in Fig. 3,
5 is a side view seen from A side in Fig. 3,
Fig. 6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B side in Fig.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hown in FIG. 3,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of Fig. 4,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side air inflow mode in FIG. 10,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flow air inflow mode in FIG. 10,
13 is a view showing a cooling mode of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heating mode of a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heating mode under a low outdoor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은, 압축기(미도시) -> 응축기(102) -> 팽창수단(미도시) -> 증발기(104)를 냉매순환라인(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상기 증발기(104)를 통해 냉방을 수행하고 상기 응축기(102)를 통해 난방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not shown) -> a condenser 102 -> an expansion means (not shown) -> an evaporator 104 connected to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not shown) And performs the cooling through the evaporator 104 and performs the heat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먼저, 상기 압축기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증발기(104)로부터 토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하게 된다.First, the compressor receives the power from a power source (such as an engine or a motor), sucks and compresses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104, and discharges it in a gaseous state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상기 응축기(102)는,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되어 응축기(102)의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와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호 열교환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냉매는 응축되고, 공기는 가열되어 온풍으로 바뀌게 된다.The condenser 102 exchanges heat between the gaseou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d flowing in the condenser 102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In this process,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The air is heated and transformed into a warm air.

이러한 상기 응축기(102)는, 냉매순화라인(냉매파이프)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한 후 방열핀(미도시)을 설치한 구조, 또는 복수개의 튜브(미도시)를 적층하고 각 튜브의 사이에 방열핀을 설치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The condenser 102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frigerant purifying line (refrigerant pipe) is formed in a zigzag shape and then a radiating fin (not shown) is provided or a plurality of tubes (not shown) are stacked and a radiating fin It can be composed of one structure.

따라서,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상기 지그재그 형태의 냉매순환라인 또는 복수개 튜브를 따라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고, 이때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되어 온풍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gaseou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flows through the zigzag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or a plurality of tubes and is heat-exchanged with the air to be condensed. At this tim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is heated .

그리고, 상기 팽창수단(미도시)은 상기 응축기(102)에서 배출되어 유동하는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104)로 보내게 된다.The expansion means (not shown) rapidly expands the liquid-phas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102 by the throttling action, and sends the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104 in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humidified state.

상기 팽창수단으로는 팽창밸브 또는 오리피스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expansion means, an expansion valve or an orifice structure can be used.

상기 증발기(104)는 상기 팽창수단에서 배출되어 유동하는 저압의 액상 냉매를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The evaporator 104 evaporates th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xpansion means by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reby cooling the air by an endothermic effect due to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계속해서, 상기 증발기(104)에서 증발하여 배출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는 다시 압축기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gaseous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104 is again sucked into the compressor and recycled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상기와 같은 냉매순환과정에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송풍장치(13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되어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04)의 내부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지고,In the refrigerant circul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air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circulated through the evaporator 104 while air blown from the blower 130 flows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4 The refrigerant is cooled by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liquid refrigerant and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a cold state,

차량 실내의 난방은, 송풍장치(13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되어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응축기(102)의 내부를 순환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의 방열로 가열되어 뜨거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In the heating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ir blown from the blower 130 flows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condenser 102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And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in a hot state.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그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벽(113)에 의해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가 구획 형성된다.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s divided into a cold air passage 111 and a warm air passage 112 by a partition wall 113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upward and downward.

즉, 상기 냉풍통로(111)는 상기 구획벽(113)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온풍통로(112)는 상기 구획벽(113)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된다.That is, the cold air passage 11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113, and the hot air passage 112 is formed below the partition wall 113.

또한, 상기 냉풍통로(111)에는 상기 증발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에는 상기 응축기(102)가 설치되는데, 상기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12)의 상,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증발기(104)와 상기 응축기(102)도 상,하로 배치되게 된다.The evaporator 104 is installed in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the condenser 102 is installed in the hot air passage 112. The refrigerant passage 111 and the hot air passage 112 Due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the evaporator 104 and the condenser 102 are also arranged upward and downward.

다시말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 모터(133,137)의 회전축이 향하는 축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증발기(104)와 응축기(102)가 배치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evaporator 104 and the condenser 102 ar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한편, 상기 냉풍통로(111)에 설치되는 증발기(104)와 상기 온풍통로(112)에 설치되는 응축기(102)는 각각 수평으로 ?혀지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104)와 응축기(102)는 상기 구획벽(113)과 수평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면과 같이 구획벽(113)과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vaporator 104 installed in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the condenser 102 installed in the hot air passage 112 are horizontally installed. At this time, the evaporator 104 and the condenser 102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to the partition wall 113, but they may be installed at an angle to the partition wall 113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그리고, 상기 구획벽(113)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내의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 일부를 상기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통로(114)가 관통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113 is formed with a bypass passage 114 through which a part of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in the hot air passage 112 is bypassed to the cold air passage 111 side.

이때, 상기 바이패스통로(114)에는 바이패스통로(11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도어(115)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bypass passage 114 is provided with a bypass door 1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passage 114.

상기 바이패스도어(115)는 냉방모드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폐쇄하고,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The bypass door 115 closes the bypass passage 114 in the cooling mode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bypass passage 114 in the heating mode.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폐쇄한 상태에서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면서 증발기(104)에 의해 냉각된 냉풍이 차실내로 공급되어 냉방을 수행하고,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면서 응축기(10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차실내로 공급되어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ypass door 115 closes the bypass passage 114 and is in the cooling mode, cold air cooled by the evaporator 104 is supplie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while flow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in the heating mode, hot air heated by the condenser 102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while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112 to perform heating.

또한, 난방모드시,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개방한 경우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면서 응축기(10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의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되어 증발기(104)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유입되는 풍량을 증대하고, 극저온 환경에서도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져 상기 증발기(104)가 원활하게 흡열 하게 되고, 이로인해 시스템내의 냉매 온도 및 압력이 높아져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In the heating mode, when the bypass door 115 opens the bypass passage 114, a part of the hot air heated by the condenser 102 while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112 flows into the bypass passage 114, And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104 side by being bypassed to the cool air passage 111 side through the passage 114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104.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104 So that the evaporator 104 smoothly absorbs heat. As a result,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system are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is increased, so that the hea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아울러, 상기 응축기(10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의 일부를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증발기(104)의 착상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heated air heated by the condenser 102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104, thereby preventing the evaporation of the evaporator 104.

한편,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는,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증발기(104)에서 구획벽(113)의 상측면으로 낙하한 응축수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bypass passage 114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3 so that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evaporator 104 to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3 flows into the bypass passage 113, (114).

즉, 상기 바이패스통로(114)가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104)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으로 낙하할 경우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로 쉽게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으로 낙하한 응축수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ypass passage 114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3, whe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04 drops to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3, The bypass passage 114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ropp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bypass passage 114. [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bypass passage (114).

한편, 상기 구획벽(113)에서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가 형성되는 부위의 면적을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구획벽(113)의 돌출된 부위에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통로(114)가 구획벽(113)의 상측면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게 된다.The bypass passage 114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13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the bypass passage 114 is formed in a protruded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13. [ So that the bypass passage 114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그리고, 상기 응축기(102)는 상기 온풍통로(112)내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 보다 상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이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ndenser 102 is install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ypass passage 114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hot air passage 112. Therefore, hot ai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can be supplied to the evaporator 104 through the bypass passage 114.

한편, 상기 증발기(104)는, 상기 냉풍통로(111)내에서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 보다 하류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바이패스하는 온풍이 상기 증발기(104)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vaporator 104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bypass passage 114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cold air passage 111. Therefore, hot air by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14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4.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는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130)가 설치된다.An air blowing device 130 for blowing air to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the hot air passage 112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상기 송풍장치(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토출구(134)가 연결되어 냉풍통로(111)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블로어(130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토출구(138)가 연결되어 온풍통로(112)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블로어(130b)로 이루어진다.The air blowing device 130 includes a first blower 130a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134 at the inlet 111a side of the air cooling path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blow air toward the air cooling path 111, And a second blower 130b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138 on the side of the inlet 112a of the warm air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blow air to the warm air passage 112 side.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제1블로어(13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4)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2)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1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3)로 이루어진다.The first blower 130a includes a scroll case 131 having the discharge port 134 connected to the inlet 111a of the air cooling passage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 inlet ring 131a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croll case 131 and through which the inside air and the outside air are introduced and an inlet port 131b provid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croll case 131 And a motor 133 installed to rotate the blowing fan 132.

상기 인렛링(131a)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에서 인테이크덕트(140)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The inlet ring 131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croll case 131 to which the intake duct 140 is coupled.

상기 제2블로어(130b)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8)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5)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6)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5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6)을 회전시키는 모터(137)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blower 130b includes a scroll case 135 having the discharge opening 138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112a of the air warming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 inlet ring 135a formed at one side surface of the scroll case 135 to allow the inside and outside air to flow therein and an air inlet 135a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croll case 135 And a motor 137 installed to rotate the blowing fan 136.

상기 인렛링(135a)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에서 인테이크덕트(140)가 결합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The inlet ring 135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croll case 135 to which the intake duct 140 is coupled.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각각의 모터(133,137) 회전축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are installed such that the rotational axes of the motors 133 and 137 are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인렛링(131a)과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인렛링(135a)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The inlet ring 131a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inlet ring 135a of the second blower 130b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한편,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스크롤케이스(131,135)는, 각각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132,136)을 중심으로 스크롤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롤케이스(131,135)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팬(132,136) 둘레의 공기통로는 스크롤 시작지점에서부터 끝지점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된다.The scroll cases 131 and 135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formed in a scroll shape around the blowing fans 132 and 136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 around the blowing fans (132, 136) in the scroll cases (131, 135)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scroll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아울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토출구(134,138)는, 상기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 형상 끝지점에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온풍통로(111,112)와 연결되게 된다.The discharge ports 134 and 138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extend from the scroll-shaped end points of the scroll cases 131 and 135 and are connected to the cold and warm air passages 111 and 112,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are installed such that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discharge port 138 of the second blower 130b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는,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discharge port 138 of the second blower 130b are staggered upward and downward.

즉,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이러한 제1,2블로어(130a,130b)의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냉풍통로(111)의 증발기(104)와 온풍통로(112)의 응축기(102)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가 용이하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discharge port 134b of the second blower 130b,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arranged in a staggered arrangement so that the evaporator 104 and the condenser 102 of the hot air passage 112 of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the hot air passage 112, So that the size of the system can be reduced and the size and cost of the system can be reduced.

다시말해, 상,하로 배치된 냉풍통로(111)와 온풍통로(102)에 각각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를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는 냉풍통로(111)에 연결하고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는 온풍통로(112)에 연결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discharge port 138 of the second blower 130b are arranged so as to blow air to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the hot air passage 102,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is connected to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the discharge port 138 of the second blower 130b is connected to the hot air passage 112 .

또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서로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된 경우,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각각의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게 된다.When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discharge port 138 of the second blower 130b are arranged so as to be shifted upward and downward from each other,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Are disposed such that the scroll directions of the scroll cases 131 and 135 are opposite to each other.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스크롤케이스(131)는 스크롤방향이 시계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크롤케이스(131)내에서도 시계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한 후 냉풍통로(111)로 송풍되고,4, the scroll case 131 of the first blower 130a is formed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air flow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croll case 131 and then flows into the cool air passage 111 Blowing,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스크롤케이스(135)는 스크롤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크롤케이스(135)내에서도 반시계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한 후 온풍통로(112)로 송풍되게 된다.The scroll case 135 of the second blower 130b is form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air flow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scroll case 135 and then blows to the hot air passage 112. [

이와 같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각 스크롤케이스(131,135)의 스크롤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가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러한 배치 구조로 인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를 공용화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에 설치된 두 개의 모터(133,137)를 공용화할 수 있어 패키지 구성을 최소화 하면서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croll cases 131 and 135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discharge port 134b of the second blower 130b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can be shared by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nd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disposed in a staggered fashion. 133, and 137) can be shared,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efficiency while minimizing the package configuration.

그리고,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는,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각각 내,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인테이크덕트(140)가 설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so as to supply the inside and outside air 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nd an intake duct 140 connected to the intake duct 14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즉,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 하나가 설치되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상기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one end of the intake duct 14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and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connected to the one intake duct 140) are commonly used.

이처럼,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를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각각 개별 작동하는 두 개의 블로어(130a,130b)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사용하므로 공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By providing the intake duct 140 between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in the system using the two blowers 130a and 130b that operate individual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efficiency, thereby reducing the size and cost of the system.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41)와,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42)와,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외기유입구(141)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블로어(130a)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내외기전환도어(147) 및 상기 제2블로어(130b)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로 이루어진다.The intake duct 140 includes an outside air inlet 141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 inside air inlet opening 142 for introducing the inside air, and an air inlet opening 142 provided between the inside air inlet 142 and outside air inlet 141, External switching door 147 for selectively open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141 and 142 to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141 and 142 for the second blower 130b And a second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148 which opens to the outside.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외기유입구(141)는 인테이크덕트(14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기유입구(142)는 인테이크덕트(14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utside air inlet 14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ake duct 140, and the inside air inlet 142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duct 140, but the position is changeable.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는 돔형 도어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로어(130a)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도 돔형 도어로 이루어져 상기 제2블로어(130b)의 일측에 배치된다.The first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47 is a dome-shaped doo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48 is also a dome-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의 회전축은 상기 제1블로어(130a) 모터(133)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내외기전환도어(148)의 회전축은 상기 제2블로어(130b) 모터(137)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 147 is disposed at a right angle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133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rotary shaft of the second indoor / 2 blower 130b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137. [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와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는, 돔형 도어 타입 뿐만 아니라, 플랫 도어 타입(센터 피봇 플랫 도어 또는 엔드 피봇 플랫 도어), 슬라이딩 도어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도어를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47 and the second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48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flat door type (center pivot flat door or end pivot flat door), a sliding door type, Door can be used.

한편,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와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설치된다.On the outer side of the intake duct 140, an actuator for driving the first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47 and the second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48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제1블로어(130a)를 연통시키는 제1외기유입통로(143) 및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제1블로어(130a)를 연통시키는 제1내기유입통로(144)와,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제2블로어(130b)를 연통시키는 제2외기유입통로(145) 및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제2블로어(130b)를 연통시키는 제2내기유입통로(146)가 형성된다.A first outside air inlet passage 143 communicating the outside air inlet 141 and the first blower 130a is provided in the intake duct 140. The first outside air inlet passage 143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air inlet 142 and the first blower 130a, A second air inflow passage 145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air inflow opening 141 and the second blower 130b and a second air inflow passage 144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ir inflow opening 142 and the second blower 130b A second inflow inflow passageway 146 is formed.

이때, 상기 제1내외기전환도어(147)는, 상기 제1외기유입통로(143)와 제1내기유입통로(144)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는, 상기 제2외기유입통로(145)와 제2내기유입통로(146)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 147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utdoor air inlet passage 143 and the first indoor air inlet passage 144, and the second indoor / And opens and closes the second outside air inflow passage (145) and the second inside air inflow passage (146).

이처럼,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부에는 두 개의 내외기전환도어(147,148)를 설치하여,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외기유입구(141,142)로 유입되는 내,외기를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intake duct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nd two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s 147 and 148 are installed in the intake duct 14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ly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with the inside and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flow ports 141 and 142 of the intake duct 140.

즉, 도 11과 같이 상기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동시에 외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도 12와 같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동시에 내기를 공급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simultaneously through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s 147 and 148, (130a, 130b).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블로어(130a)측으로는 내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블로어(130b)측으로는 외기를 공급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도 가능하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controlled by the first and second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s 147 and 148 to supply the indoor air to the first blower 130a, , Or vice versa.

한편,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외기유입구(141)는 차량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기유입구(142)는 차량실내와 연통된다.The outside air inlet 141 of the intake duct 14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the inside air inlet 142 of the intake duct 140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vehicle.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에는, 상기 인테이크덕트(140)의 내기유입구(142)와 차량 실내를 연결하는 내기유입덕트(142a)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inflow inlet duct 142a for connecting the inflow inlet 142 of the intake duct 140 and the vehicle interior.

또한, 상기 외기유입구(141)와 내기유입구(142)에는, 각각 에어필터(141a,142a)가 설치되어, 외기유입구(141)와 내기유입구(142)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Air filters 141a and 142a are provided on the outside air inlet 141 and the inside air inlet 142 to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outside air inlet 141 and the inside air inlet 142 do.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출구측에는, 상기 증발기(104)를 통과한 냉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냉풍토출구(111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냉풍방출구(119a)와, 상기 냉풍토출구(111b)와 냉풍방출구(119a)를 개폐하는 냉풍 모드도어(120)가 구비되고,A cool air discharge port 111b for discharging the cool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04 to the inside of the car and a cool air discharge port 119a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car are provided at the outlet side of the cool air passage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 cold air mode door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ld air discharge port 111b and the cold air discharge port 119a,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출구측에는,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온풍토출구(112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온풍방출구(119b)와, 상기 온풍토출구(112b)와 온풍방출구(119b)를 개폐하는 온풍 모드도어(121)가 구비된다.A warm air discharge port 112b for discharging warm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102 to the inside of the car and a warm air discharge port 119b for discharging the warm air to the outside of the car are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warm air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a warm air mode door 1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2b and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9b.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와 온풍 모드도어(121)는 돔형 도어로 구성된다.The cold-air mode door 120 and the hot-air mode door 121 are composed of a dome-shaped door.

따라서, 냉방모드시에는 도 13과 같이 상기 냉풍토출구(111b)와 온풍방출구(119b)가 개방되어,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토출구(111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방출구(119b)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13, the cold air discharge port 111b and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9b are opened so th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111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4, The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112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t air outlet 119b .

난방모드시에는 도 14와 같이 온풍토출구(112b)와 냉풍방출구(119a)가 개방되어, 상기 온풍통로(112)를 유동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토출구(1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되고,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되게 된다.In the heating mode,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2b and the cold air discharge port 119a are opened as shown in FIG. 14, 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hot air passage 112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The air flowing through the cold air passage 111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4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d air outlet 119a.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에는, 상기 구획벽(113) 상부의 증발기(104)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공조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드레인 수단(150)이 구비된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 drain means 150 for drain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04 above the partition wall 113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상기 드레인 수단(150)은, 상기 구획벽(113)에 드레인홀(151)을 관통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drain unit 150 is formed by passing a drain hole 151 through the partition wall 113.

또한, 상기 드레인홀(151)은, 상기 구획벽(113) 하부의 온풍통로(112)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드레인홀(151)이 상기 온풍통로(112)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온풍통로(112)와 연통하지 않으므로 상기 드레인홀(151)로 유입된 응축수가 온풍통로(112) 및 응축기(102)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the drain hole 151 is formed at a position outside the warm air passage 112 below the partition wall 113. That is, since the drain hole 151 is formed at a position outside the hot air passage 112 and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hot air passage 112, the condensed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hole 151 flows through the hot air passage 112 and the condenser 102 To the side of the base plate.

다시말해, 상기 드레인홀(151)은, 상기 온풍통로(112)의 상측이 아니라 온풍통로(112)의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drain hole 15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ot air passage 112, not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air passage 112.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외측에는, 상기 드레인홀(151)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홀(151)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수용부(152)가 형성된다.Outside the air warming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formed a receiving portion 152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hole 151 to receive condensed water flowing from the drain hole 151.

상기 수용부(152)는, 상기 구획벽(113)의 하부에서 상기 온풍통로(112)에 일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온풍통로(112)와 구획되게 형성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152 is formed to be partition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13 in parallel with the hot air passage 112 and in parallel with the hot air passage 112.

한편, 상기 드레인홀(151) 및 수용부(152)는 상기 온풍통로(112)와 상기 송풍장치(130)의 사이에 구비된다.The drain hole 151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152 are provided between the hot air passage 112 and the blower 130.

또한, 상기 수용부(152)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152)에 수용된 응축수를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호스 결합부(153)가 형성된다.A hose engaging portion 15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52 so that the condensed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52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se.

상기 호스 결합부(153)는 상기 수용부(152)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미도시된 호스와 결합된다.The hose coupling part 153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152 and is coupled to a hose (not shown).

그리고,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에는, 상기 증발기(104)에서 구획벽(113)의 상측면으로 낙하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홀(151)측으로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수로(155)가 형성된다.A channel 15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so that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evaporator 104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flows smoothly toward the drain hole 151 .

상기 수로(155)는, 상기 구획벽(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홀(151) 연결된다.The water channel 155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partition wall 113 and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51.

따라서,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에 수로(15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104)로부터 구획벽(113)의 상측면으로 낙하한 응축수를 보다 원활하게 상기 드레일홀측으로 유동시킬수 있고 응축수가 정체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by forming the water channel 155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3,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evaporator 104 to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3 can flow more smoothly toward the drain hol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stagn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의 냉매유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frigerant flow process in the vehicle heat pum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상기 응축기(102)로 유입된다.First, the gaseous refrigera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mpressed and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flows into the condenser 102.

상기 응축기(102)로 유입된 기상 냉매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냉매가 냉각되면서 액상으로 상변화하게 된다.The gaseous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ndenser 102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and in this process, the refrigerant is cooled and phase-changed into a liquid phase.

상기 응축기(102)에서 배출된 액상냉매는, 상기 팽창수단으로 유입되어 감압 팽창 된다.The liquid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102 flows into the expansion means and is expanded under reduced pressure.

상기 팽창수단에서 감압 팽창된 냉매는, 저온 저압의 무화 상태가 되어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된 냉매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하게 된다.The refrigerant decompressed and expanded by the expansion means is transferred to the evaporator 104 at a low temperature and pressure in an atomized stat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evaporator 104 is evapor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4 .

이후, 상기 증발기(104)에서 배출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유입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Then, the low-temperature low-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104 flows into the compressor, and then recirculates the refrigeration cycle as described above.

이하, 냉방모드, 난방모드,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시의 공기유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ir flow process in the heating mod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oling mode, the heating mode, and the outside temperature are low will be described.

가. 냉방모드end. Cooling mode

냉방모드시에는, 도 13과 같이,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가 상기 냉풍토출구(111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는 상기 온풍방출구(119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13, the cold air mode door 120 operates to open the cold air outlet port 111b, and the hot air mode door 121 operates to open the hot air outlet 119b do.

그리고,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s 147 and 148 operate selectively to supply indoor air or outdoor air 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ccording to the indoor air inflow mode or the outdoor air inflow mode.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operated, the indoor air or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duct 140 is sucked in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111 and the warm air passage 112, respectively.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토출구(111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냉방하게 된다.The air supplied to the cold air passage 111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4, and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ld air outlet 111b to be cooled.

이때,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방출구(119b)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hot air passage 112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t air outlet 119b.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04)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구획벽(113)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홀(151) 및 수용부(15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In the above process,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04 falls into the partition wall 113, and the dropped condensate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151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152.

나.난방모드B. Heating mode

난방모드시에는, 도 14와 같이,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가 온풍토출구(112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는 상기 냉풍방출구(119a)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In the heating mode, as shown in FIG. 14, the hot air mode door 121 operates to open the hot air outlet 112b, and the cold air mode door 120 operates to open the cold air outlet 119a .

그리고,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s 147 and 148 operate selectively to supply indoor air or outdoor air 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ccording to the indoor air inflow mode or the outdoor air inflow mode.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operated, the indoor air or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duct 140 is sucked in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111 and the warm air passage 112, respectively.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토출구(1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된다.The air supplied to the hot air passage 112 is heated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102,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2b to be heated.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cold air passage 111 is cooled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04,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ld air outlet 119a.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04)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구획벽(113)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홀(151) 및 수용부(15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In the above process,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04 falls into the partition wall 113, and the dropped condensate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151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152.

다.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All. Heating mode at low outside temperature

극저온 환경과 같이 외기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난방모드시에는, 도 15와 같이, 상기 온풍 모드도어(121)가 온풍토출구(112b)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냉풍 모드도어(120)는 상기 냉풍방출구(119a)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The hot air mode door 121 operates to open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2b and the cold air mode door 120 operates in the cold air mode as shown in FIG. 15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is low, And operates to open the outlet 119a.

또한, 상기 바이패스도어(115)가 바이패스통로(114)를 개방하도록 작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ypass door 115 is operated to open the bypass passage 114.

그리고,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제1,2내외기전환도어(147,148)가 작동하여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측으로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indoor / outdoor switching doors 147 and 148 operate selectively to supply indoor air or outdoor air 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ccording to the indoor air inflow mode or the outdoor air inflow mode.

따라서,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흡입된 후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각각 공급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are operated, the indoor air or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duct 140 is sucked in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111 and the warm air passage 112, respectively.

상기 온풍통로(112)로 공급되는 공기는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온풍토출구(1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난방하게 된다.The air supplied to the hot air passage 112 is heated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102,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2b to be heated.

이때, 상기 냉풍통로(111)로 공급되는 공기는 증발기(104)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04)의 흡열에 의해 냉각된 후 냉풍방출구(119a)를 통해 차실외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cold air passage 111 is cooled by the heat absorption of the evaporator 104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4,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r through the cold air outlet 119a.

또한, 상기 온풍통로(112)의 응축기(102)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풍의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통해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되어 증발기(104)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증발기(104)측으로 유입되는 풍량을 증대하고, 극저온 환경에서도 상기 증발기(104)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며, 이로인해 시스템내의 냉매 온도 및 압력이 높아져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A part of the hot ai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of the hot air passage 112 is bypassed to the cold air passage 111 side through the bypass passage 114 and supplied to the evaporator 104,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104 is increased in a cryogenic environment. As a result,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system are increased,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상기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04)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구획벽(113)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홀(151) 및 수용부(15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In the above process,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04 falls into the partition wall 113, and the dropped condensed water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151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152.

102: 응축기 104: 증발기
110: 공조케이스 111: 냉풍통로
112: 온풍통로 113: 구획벽
114: 바이패스통로 115: 바이패스도어
119a: 냉풍방출구 119b: 온풍방출구
120: 냉풍 모드도어 121: 온풍 모드도어
130: 송풍장치 130a: 제1블로어
130b: 제2블로어 131,135: 스크롤케이스
132,136: 송풍팬 133,137: 모터
134,138: 토출구
140: 인테이크덕트 141: 외기유입구
142: 내기유입구 142a: 내기유입덕트
143: 제1외기유입통로 144: 제1내기유입통로
145: 제2외기유입통로 146: 제2내기유입통로
147: 제1내외기전환도어 148: 제2내외기전환도어
150: 드레인 수단 151: 드레인홀
152: 수용부 153: 호스 결합부
155: 수로
102: condenser 104: evaporator
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cold air passage
112: Warm air passage 113: Compartment wall
114: Bypass passage 115: Bypass door
119a: Cold air outlet 119b: Hot air outlet
120: cold air mode door 121: warm air mode door
130: blower 130a: first blower
130b: second blower 131, 135: scroll case
132, 136: blowing fan 133, 137: motor
134, 138:
140: intake duct 141: outside air inlet
142: Inflow inlet 142a: Inflow inlet duct
143: first outside air inflow passage 144: first inside air inflow passage
145: second outside air inflow passage 146: second inside air inflow passage
147: first inner / outer switching door 148: second inner / outer switching door
150: drain means 151: drain hole
152: accommodating portion 153: hose coupling portion
155: Waterway

Claims (14)

압축기, 응축기(102), 팽창수단, 증발기(104)가 냉매순환라인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벽(113)의 상부에 냉풍통로(1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온풍통로(112)가 형성되며, 상기 냉풍통로(111)에는 상기 증발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온풍통로(112)에는 상기 응축기(10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111) 및 온풍통로(112)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130)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10)에는, 상기 구획벽(113) 상부의 증발기(104)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공조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드레인 수단(1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102), an expansion means, and an evaporator (104) connected by a refrigerant circulation line,
A cold air passage 111 is formed in an upper part of a partition wall 113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partition wall 113 and a hot air passage 112 is formed in a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13. The evaporator 104 is installed in the cold air passage 111, The hot air passage 112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in which the condenser 102 is installed,
And an air blowing device 130 installed at an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blowing air to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the warm air passage 112,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 drain means (150) for drain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04) above the partition wall (113) Pump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수단(150)은, 상기 구획벽(113)에 드레인홀(151)을 관통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 means (150) is formed by passing a drain hole (151) through the partition wall (1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홀(151)은, 상기 구획벽(113) 하부의 온풍통로(112)를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rain hole (151) is formed at a position outside the warm air passage (112) below the partition wall (1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외측에는, 상기 드레인홀(151)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홀(151)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수용부(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A receiving portion 152 is formed outside the warm air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hole 151 to receive condensed water flowing from the drain hole 151 Automotive heat pump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52)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152)에 수용된 응축수를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호스 결합부(1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hose coupling part (15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part (152) so that condensed wate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52)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에는, 상기 증발기(104)에서 구획벽(113)의 상측면으로 낙하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홀(151)측으로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수로(1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water channel 15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so that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evaporator 104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flows smoothly toward the drain hole 151 A heat pump system for a vehic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155)는, 상기 구획벽(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홀(15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ater channel (155) is formed along an edge of the partition wall (113) and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5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113)에는, 상기 온풍통로(112)내의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 일부를 상기 냉풍통로(111)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통로(114)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14)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를 개폐하는 바이패스도어(1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wall 113 is provided with a bypass passage 114 through which a part of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102 in the hot air passage 112 is bypassed to the cold air passage 111,
Wherein the bypass passage (114) is provided with a bypass door (1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passage (1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14)는, 상기 구획벽(113)의 상측면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증발기(104)에서 구획벽(113)의 상측면으로 낙하한 응축수가 상기 바이패스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ypass passage 114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so that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evaporator 104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3 flows into the bypass passage Of the heat pump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토출구(134)가 연결되어 냉풍통로(111)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블로어(130a)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토출구(138)가 연결되어 온풍통로(112)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블로어(1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블로어(130a)의 토출구(134)와 제2블로어(130b)의 토출구(138)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blowing device (130)
A first blower 130a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134 on the side of the inlet 111a of the cold air passage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discharge air toward the cold air passage 111,
And a second blower 130b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138 at the inlet 112a side of the warm air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discharge air toward the hot air passage 112,
Wherein the discharge port (134) of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discharge port (138) of the second blower (130b)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블로어(130a)와 제2블로어(130b)의 사이에는,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로 각각 내,외기를 공급하는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2블로어(130a,130b)가 상기 하나의 인테이크덕트(140)를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ar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One intake duct 140 for supply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to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and 130b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wer 130a and the second blower 130b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30a, 130b) commonly use the one intake duct (14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로어(130a)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입구(111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4)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2)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테이크덕트(140)로부터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1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1)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블로어(130b)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입구(112a)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토출구(138)를 구비한 스크롤케이스(135)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36)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인테이크덕트(140)로부터 내,외기가 유입되는 인렛링(135a)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35)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36)을 회전시키는 모터(13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blower 130a includes a scroll case 131 having the discharge port 134 connected to the inlet 111a of the air cooling passage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 inlet ring 131a formed at one side of the scroll case 131 and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air are introduced from the intake duct 140, And a motor 133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n 131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132,
The second blower 130b includes a scroll case 135 having the discharge opening 138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112a of the air warming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 inlet ring 135a formed at one side of the scroll case 135 to allow the inside and outside air to flow in from the intake duct 140, 135)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136), and a motor (137)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wing fan (136)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13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덕트(140)는,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41)와,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42)와,
상기 내기유입구(142)와 외기유입구(141)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블로어(130a)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내외기전환도어(147) 및 상기 제2블로어(130b)에 대해 상기 내,외기유입구(141,142)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2내외기전환도어(14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take duct (140)
An outside air inlet 141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 inflow inlet 142 for inflowing the inflow,
A first internal / external switching door 147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inside air inlet opening 142 and the outside air inlet opening 141 and selectively opens the inside and outside air inlet ports 141 and 142 to the first blower 130a, And a second inside / outside switching door (148) for selectively opening the inside / outside air inlet (141, 142)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wer (130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풍통로(111) 출구에는, 상기 증발기(104)를 통과한 냉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냉풍토출구(111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냉풍방출구(119a)와, 상기 냉풍토출구(111b)와 냉풍방출구(119a)를 개폐하는 냉풍 모드도어(120)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112) 출구에는, 상기 응축기(102)를 통과한 온풍을 차실내로 토출하는 온풍토출구(112b) 및 차실외로 방출하는 온풍방출구(119b)와, 상기 온풍토출구(112b)와 온풍방출구(119b)를 개폐하는 온풍 모드도어(1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ol air discharge port 111b for discharging cool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104 to the inside of the car and a cool air discharge port 119a for discharging the cool air to the outside of the car, A cold air mode door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ld air discharge port 111b and the cold air discharge port 119a is provided,
A hot air discharge port 112b for discharging warm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ondenser 102 to the inside of the car and a hot air discharge port 119b for discharging the hot air to the outside of the car are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warm air passage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a warm air mode door (1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2b) and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9b).
KR1020150001023A 2015-01-06 2015-01-06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170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23A KR102170455B1 (en) 2015-01-06 2015-01-06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23A KR102170455B1 (en) 2015-01-06 2015-01-06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881A true KR20160084881A (en) 2016-07-15
KR102170455B1 KR102170455B1 (en) 2020-10-29

Family

ID=5650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23A KR102170455B1 (en) 2015-01-06 2015-01-06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2019B2 (en) * 1991-12-27 1999-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air conditioner
KR20130034105A (en) * 2011-09-28 2013-04-05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3141932A (en) *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Vehicle air conditioner
JP2013209006A (en) * 2012-03-30 2013-10-10 Denso Corp Vehicl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2019B2 (en) * 1991-12-27 1999-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air conditioner
KR20130034105A (en) * 2011-09-28 2013-04-05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3141932A (en) * 2012-01-12 2013-07-22 Panasonic Corp Vehicle air conditioner
JP2013209006A (en) * 2012-03-30 2013-10-10 Denso Corp Vehicle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455B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8527B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US10562370B2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US11052726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KR1024568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2182342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20170086726A (en) Air conditining system for vehicle
KR20170018995A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326343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158496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182338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20180008977A (en) Air conditining system for vehicle
KR10245681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2456822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2238039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170455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20160027526A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217541B1 (en) Air conditioner system
KR102238038B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53657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215849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425350B1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vehicle
KR2018012568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80011902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20160133040A (en) Air conditioner system
KR20180115952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