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588A -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588A
KR20160081588A KR1020140195620A KR20140195620A KR20160081588A KR 20160081588 A KR20160081588 A KR 20160081588A KR 1020140195620 A KR1020140195620 A KR 1020140195620A KR 20140195620 A KR20140195620 A KR 20140195620A KR 20160081588 A KR20160081588 A KR 2016008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bet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brain
raff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선
박진선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588A/ko
Publication of KR2016008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β-lapach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베타 라파콘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었고, AMPK,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β-lapachon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otection of brain damage 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β-lapach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는 산소 포화도가 높고, 산화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타깃이 되는 고도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이나 금속이온(metal ion)이 풍부하며, 뇌의 신호전달 물질(meurotransmitters)은 자기산화(autooxidation)이 일어나기도 하여 산화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한 장기이고,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antioxidant) 및 수복(repair) 능력이 제한적이다.
성상세포(astrocyte)는 뇌에 존재하는 세포로, 신경세포(neuron)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로 신경세포의 보호 유지에 관여하여, 신경세포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성상세포의 능동적인 역할 규명이 이루어지고있다. 성상세포는 신경세포의 시냅스 형성(synaptogenesis), 시냅스 숫자 조절(synapse number), 시냅스 기능(synapse function) 및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한다고 알려졌다(Ullian et al., 2001; Hay, 2001; Horner and Palmer, 2003; Nedergaard et al., 2003). 이 외에도 신경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하는데 성상세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Sevendsen, 2002; Song et al., 2002).
뇌에 상해를 입었을 때 성상세포는 증식이 활발해지고(astrocytosis), 스웰링(swelling)이 일어나며, 성상교세포증(astrogliosis)(비대-과다형성(hypertrophy-hyperplasia))와 같은 반응성 성상세포(reactive astrocyte)로 변화한다. 이러한 반응성 성상세포는 에이즈성 치매, 뇌손상, 허혈성 뇌질환, 알츠하이머병 등에서 관찰된다. 뇌손상의 초기에 반응성 성상세포와 같은 변화가 일어날 경우 신경세포에 대해 유익한 작용을 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반응성 성상세포는 신경세포의 재생을 억제하거나 독성이 있는 물질을 분비하여 퇴행성 뇌질환을 초래하기도 한다. 지속적인 반응성 성상세포는 세포사멸을 초래하면서 주변의 성상세포나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허혈이나 퇴행성 뇌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산화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과 항산화 용량(antioxidative capacity)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생겨나며,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이드(amyloid β-peptide), 사이토카인(cytokine), 흥분 독성 아미노산(excitotoxic amino acids),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및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전자전달계의 이상과 같은 많은 요소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에서도 뇌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뜻하며, 주요 증상과 침범되는 뇌 부위를 고려해 구분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운증후군(down syndrom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및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등이 포함된다. 퇴행성 뇌질환은 노화에 따른 신경퇴화와 유전적·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단백질이 응집돼 신경세포가 사멸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아 원인 규명을 위한 기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의 개발은 가장 시급한 숙제가 아닐 수 없다. 2026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퇴행성 뇌질환 문제가 심각하게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치매 환자 수도 2010년 47만 명에서 2020년 75만 명이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뇌혈관질환은 지난 10여년 간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중 2위를 고수하고 있다.
파킨슨병은 떨림, 경직, 행동이 느려짐 및 자세 이상증 등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질병으로 뇌에서 도파민(dopam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하게 되어 생기는 만성질환이다. 도파민은 뇌의 흑색질(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SNpc)이라는 신경세포에서 생성되며 흑색질의 신경세포는 뇌의 운동피질 및 기타 여러 부위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인체의 운동을 부드럽고 조화있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저핵이라는 부위와 연결되어 있다. 파킨슨병은 흑색질에서 기저핵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비되는 물질인 도파민이 부족하여 발병하게 된다.
파킨슨병의 증상은 크게 일차적 증상과 이차적 증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일차적 증상은 경직, 떨림, 몸의 움직임이 느리거나 줄어들고, 몸의 불균형 및 보행 장애 등의 증상들로서 흑색질의 신경세포 파괴로 인하여 생기는 직접적인 현상들을 말하며, 이차적 증상은 일차적 증상으로부터 파생되어 생기거나 흑색질 외의 다른 신경계의 침범에 의하여 생기는 증상들을 지칭한다.
현재 파킨슨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법, 수술치료법 및 물리치료법 등이 있는데, 약물치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뇌에서 부족해진 도파민을 보충해주고, 도파민의 부족으로 인한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맞춰주며, 신경세포의 파괴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고자 하는 목적과 기타 우울증 등의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약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아만타딘, 항콜린성 약제, 엘-도파, 씨네메트, 마도파, 도파민 효능제, 엘데프릴 및 항우울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죽어버린 신경세포를 다시 살릴 수 없기 때문에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의 조절을 목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퇴행성 뇌질환으로, 노화의 과정 속에서 뇌조직이 기능을 잃으면서 점차 정신 기능이 쇠퇴하는 병이다. 이 병의 특징은 기억력과 정서 면에서 심각한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현대 의학에서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불치의 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노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치매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변과 초로성 반점 등의 특징을 보인다. 임상적인 특징은 기억, 판단, 언어능력 등 지적인 기능의 점진적인 감퇴, 일상생활능력, 인견, 행동양상의 장애 등이다. 이와 함께 우울증세, 인격의 황폐, 격한 행동 등의 정신의학적인 증세도 동반된다. 이러한 증세들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결국은 죽음에 이르게 된다. 발병 후 서서히 죽음에 이르는 기간은 6~8년 정도이지만 사람에 따라 20년이 넘는 경우도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65~74세 인구의 약 3%, 75~84세 인구의 약 19%, 85세 이상 인구의 50%가 이 병을 앓고 있다고 한다. 알츠하이머병은 정상세포의 손상으로 아세틸콜린(acetylcolline)이라는 신경전달 물질이 감소되어 기억력, 언어기능, 판단력이 상실되고 성격이 변화되어 결국에는 스스로 돌볼 수 있는 능력이 상실된다.
아세틸콜린은 콜린과 아세트산의 에스테르이다. 수많은 신경계 또는 시냅스와 골격근의 운동신경 종판에서 충격을 전달한다. 신경 충격이 신경 종판에 다다르면 시냅스 주머니 안에 저장되어 있던 아세틸콜린이 방출되고, 시냅스 후세포의 막 또는 근섬유의 종판막에서 수용체와 결합하여 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키고 발생기 전위를 일으킨다. 만약 신경 충격이 계속 도달하게 되면 그 효과가 축적된다. 아세틸콜린은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므로 아세틸콜린의 수명은 이 효소의 억제제에 의해 연장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베타 라파콘(β-lapachone)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었고, AMPK,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타 라파콘(β-lapach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β-lapach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β-lapach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베타 라파콘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었고, AMPK,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베타 라파콘(β-lapachone)에 의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H2O2: 과산화수소; 및
*: p〈0.05(과산화수소 투여군과의 비교값).
도 2는 베타 라파콘에 의한 세포 사멸 억제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H2O2: 과산화수소; 및
*: p〈0.05(과산화수소 투여군과의 비교값).
도 3은 베타 라파콘에 의한 항산화효소 발현 증가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도 4는 베타 라파콘에 의한 글루타치온(glutathione) 발현 증가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및
*: p〈0.05(대조군과의 비교값).
도 5는 베타 라파콘에 의한 Nrf2 및 c-Jun 핵 내 이동 증가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도 6은 베타 라파콘에 의한 항산화 반응 요소와 단백질 복합체 형성 증가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및
ARE+protein complexes: 항산화 반응 요소+단백질 복합체.
도 7은 베타 라파콘에 의한 항산화 반응 요소 및 항산화 효소의 유전자 전사 활성 증가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및
*: p〈0.05(대조군과의 비교값).
도 8은 베타 라파콘에 의한 신호전달 효소의 인산화 증가를 확인한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도 9는 상기 도 8의 결과를 정량화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β-LAP: 베타 라파콘; 및
*: p〈0.05(대조군과의 비교값).
도 10은 AMPK 억제제(compound C)와 Akt 억제제(LY294002)에 의한 베타 라파콘에 의해 증가한 항산화 효소 발현 억제를 확인한 도이다:
β-Lapachone: 베타 라파콘;
CC: AMPK 억제제인 compound C; 및
LY: Akt 억제제인 LY294002.
도 11은 베타 라파콘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가 AMPK 억제제에 의해 상쇄됨을 확인한 도이다:
compound C: AMPK 억제제;
β-LAP: 베타 라파콘;
H2O2: 과산화수소;
*: p〈0.05(대조군과의 비교값); 및
#: p〈0.05(베타 라파콘 처리군과의 비교값).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β-lapach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베타 라파콘은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상기 베타 라파콘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신경교세포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경교세포는 성상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뇌손상 보호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유도된 뇌손상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베타 라파콘의 성상세포의 세포 내 활성산소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베타 라파콘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 결과, 베타 라파콘이 과산화수소 자극에 의해 성상세포에서 생성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1 참조), 성상세포의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베타 라파콘이 과산화수소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성상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도 2 참조), 항산화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베타 라파콘이 HO-1, NQO1, MnSOD, catalase 및 글루타치온 항산화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내지 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반응 요소와 결합하는 Nrf2 및 c-Jun의 핵 내로의 이동을 확인한 결과, 베타 라파콘에 의해 Nrf2 및 c-Jun의 핵 내로의 이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5 참조), 베타 라파콘에 의해 항산화 반응 요소와 단백질 복합체 형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6 참조), 항산화 효소(HO-1 E1, HO-1 E2, NQO1) 및 항산화 반응 요소 프로모터의 유전자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신호전달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확인한 결과, 베타 라파콘에 의해 AMPK 및 Akt 인산화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AMPK 및 Akt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8 내지 도 9 참조), 항산화효소 발현에 AMPK 및 Akt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AMPK 및 Akt 활성억제제에 의해 항산화효소 HO-1, NQO1, MnSOD, catalase가 모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10 참조), 베타 라파콘의 성상세포 사멸 보호 효과에 AMPK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AMPK 활성억제제 처리시 베타 라파콘의 세포 사멸 보호 효과가 상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었고, AMPK,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뇌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베타 라파콘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 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6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베타 라파콘은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타 라파콘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신경교세포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신경교세포는 성상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뇌손상 보호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유도된 뇌손상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었고, AMPK,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뇌손상 보호용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와 같은 뇌손상 보호를 위해 이용되기 위해서는, 식품학 또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경구로 섭취할 수 있는 어떤 식품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환, 과립, 정제 또는 캅셀 형태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료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는 양은 뇌손상 보호를 원하는 사람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인기준 1일 0.01 g 내지 10.0 g 정도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함량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뇌손상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치매(dementia),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피크(Pick)병, 루이체병(Lewy body disease),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및 허혈성 뇌질환(ischemic brain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었고, AMPK,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치매, 헌팅턴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피크병, 루이체병,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및 허혈성 뇌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었고, AMPK,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성상세포( astrocyte )의 배양
태어난 지 하루 된 SD 랫트의 대뇌 피질을 갈아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Welgene, 대한민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2 mM L-글루타민(L-glutamine, Welgene)을 포함하는 최소 필수 배지(minimum essential medium, Welgene)를 사용하여, 5% CO2를 포함하는 배양기에서 37℃ 조건으로 일주일 배양한다. 대뇌 피질 배양 세포에서 회전식 진탕기(rotary shaker)를 이용하여 성상세포만 분리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성상세포의 활성산소 발생 및 세포사멸 유발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준비한 1차 배양 성상세포를 48-웰(well) 플레이트에 1.0×105 세포수/㎖의 농도로 분주한 후, 실험군의 웰에 베타 라파콘(β-lapachone)(Sigma-Aldrich)을 1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60 uM을 처리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또한, 세포사멸에 미치는 베타 라파콘의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베타 라파콘을 1시간 전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 실시예 3> 성상세포에서 세포 추출물( cell extracts ) 분리 및 정량
베타 라파콘(β-lapachone)을 시간별로 처리한 성상세포로부터 세포 추출물을 분리하였다(Woo et al., Mol . Brain Res ., 113, pp 86-96, 2003). 세포(1.0×105 세포수)에 1 ㎖ 용해 완충액(lysis buffer; 10 mM Tris-HCl(pH 7.4), 30 mM NaCl, 1% Triton x-100, 0.1% SDS, 0.1% sodium deoxycholate, 1 mM EDTA)을 첨가한 후, 얼음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132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추출물을 얻었다. 세포 추출물의 단백질 양은 바이오라드사(Bio-rad, 미국)의 단백질 정량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실험예 1> 베타 라파콘의 성상세포 내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 생성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퇴행성 신경질환의 발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상세포의 세포 내 활성산소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 수득한 성상세포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 라파콘을 농도별(0, 0.5, 1, 2 uM)로 전처리하고,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후 배양한 세포에 50 uM H2DCF-DA(Sigma Aldrich, 미국)를 처리한 후, 빛을 차단한 상태로 37℃에서 1시간 방치하였으며,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정도를 나타내는 DCF 형광 정도를 형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이 과산화수소 자극에 의해 성상세포에서 생성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베타 라파콘의 다양한 농도 모두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 실험예 2> 베타 라파콘의 과산화수소 자극에 의한 성상세포의 사멸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신경세포의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상세포의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 라파콘을 농도별(0, 0.5, 1, 2 uM)로 전처리하고,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한 세포 배양액에 5 ㎎/㎖ 농도로 준비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웬 당 20 ㎕씩 처리한 후, 37℃에서 1시간 방치하였으며, 이 때 생성된 MTT 산물인 포르마잔(formazan)을 디메칠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로 녹여내어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이 과산화수소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성상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베타 라파콘만 처리했을 때는 세포 사멸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3> 베타 라파콘의 성상세포에서 항산화효소의 발현 증가 효과 확인
세포 내에서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기 위한 기전으로 항산화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것이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성상세포에서 항산화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효소인 힘옥시게나제-1(hemeoxygenase-1, HO-1), NADPH 퀴논 산화환원효소(NAD(P)H quinone oxidoreductase1, NQO1), 망가니즈 과산화물제거효소(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카탈라아제(catalase)의 발현을 웨스턴 블라팅(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세포 추출물을 가지고, 세포 추출물 중 50 ㎍을 12% SDS(sodium dodecyl sulfate)-폴리 아크릴아미드 겔(PAGE)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한 후, 니트로셀룰로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겨주었다. 크기별로 분리된 단백질이 옮겨진 막은 항체와의 비특이적인 결합을 막기 위해 TBST 완충액(10 mM Tris-HCl, 150 mM NaCl, 0.5% Tween-20)에 5%로 녹인 탈지유(skim milk)로 블라킹(blocking)하고, HO-1, NQO1, MnSOD 및 catalase 각각의 단백질을 인지하는 1차 항체(Santa Cruz, 미국)를 3% BSA(bovine serum albumin) 용액을 이용하여 1:1000 비율로 희석하여 반응시켰다. 1차 항체를 인지하는 HRP-결합된 2차 항체(Bio-rad)는 TBST 완충액에 5%로 녹인 skim milk에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반응시킨 후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검출(detection) 키트를 사용하여 가시화하였다.
또한, 또 다른 항산화효소인 글루타치온(glutathione)의 발현을 보기 위해 케이만사(Cayman, 미국)의 글루타치온 어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이 HO-1, NQO1, MnSOD, catalase 및 글루타치온 항산화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도 3 내지 도 4).
상기 결과를 통해 베타 라파콘이 항산화효소를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전이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베타 라파콘의 성상세포에서 항산화 반응요소 및 전사인자 활성 증가 효과 확인
<4-1> Nrf2 ( nuclear factor erythroid 2- related factor 2) 및 c- Jun 의 핵 내로의 이동 확인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성상세포에서 항산화 반응 요소와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Nrf2 및 c-Jun의 핵 내로의 이동을 웨스턴 블라팅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한 성상세포에 베타 라파콘을 1시간 처리한 후, 성상세포로부터 핵 추출물(nuclear extract)을 분리하였다(Woo et al., Mol . Brain Res ., 113, pp 86-96, 2003). 세포(1.0×105 세포수)에 1 ㎖ 용해 완충액(lysis buffer; 10 mM Tris-HCl(pH 7.9), 10 mM NaCl, 3 mM MgCl2, 1% NP-40)을 첨가한 후, 얼음에서 4분간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침전물을 추출 완충액(extraction buffer; 20 mM HEPES, 20% Glycerol, 1.5 mM MgCl2, 0.2 mM EDTA, 300 mM NaCl, 1 mM DTT, 1 mM PMSF)을 첨가한 후, 얼음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132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핵 추출물을 얻었다. 핵 추출물의 단백질 양은 바이오라드사(Bio-rad)의 단백질 정량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의 핵 내 이동(nuclear translocation)을 보기 위하여 수득한 핵 추출물의 단백질을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Nrf2 및 c-Jun의 1차항체(Santa Cruz)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에 의해 Nrf2 및 c-Jun 핵 내로의 이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4-2> 항산화 반응 요소(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 ARE )와의 결합 확인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성상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산화 반응 요소와 단백질의 결합 변화를 겔 지연 어세이(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핵 추출물 15 ㎍을 γ-32P-ATP로 표지된 항산화 반응 요소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탐침(oligonucleotide probe: 5'-TGG GGA ACC TGT GCT GAG TCA CTG GAG-3' 서열번호: 1)과 섞어 얼음 위에서 30분간 방치하여 DNA-단백질 복합체(DNA-protein complex)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DNA-단백질 복합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5% 아크릴아미드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한 후 자기방사법(autoradiography)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에 의해 항산화 반응 요소와 단백질 복합체 형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4-3>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반응 요소 유전자의 전사 활성( transcriptional activity) 확인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성상세포에서 항산화 효소(HO-1 E1, E2 및 NQO1) 및 항산화 반응 요소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유전자 형질 주입법(gene transfection technology)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보기 위하여 루시퍼레이즈(luciferase)가 발현되는 리포터 유전자(reporter gene)가 들어있는 클론벡터(cloning vector)에 항산화 반응 요소 부분을 포함하는 HO-1 E1, HO-1 E2, NQO1 및 항산화 반응 요소 프로모터(promoter)를 삽입한 유전자를 Convoy™ 주입 시약(transfection reagent(ACTGene, 미국))을 이용하여 성상세포 내에 일시적 주입(transient transfection)하였다. 약 24시간이 지난 후, 베타 라파콘을 처리하고 성상세포로부터 세포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세포(1.0×105 세포수)에 150 ㎕ 용해 완충액(lysis buffer(pH 7.8); 25 mM glycyl.glycin, 15 mM MgSO4, 1% Triton X-100, 1 mM DTT)을 첨가한 후, 얼음에 10분간 방치하고 132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추출물을 얻었다. 수득한 세포 추출물을 어세이 완충액(assay buffer: 25 mM glycyl.glycin, 15 mM MgSO4, 20 mM KPO4, 2.5 mM ATP, 1 mM DTT)에 1x 루시페린(luciferin)을 섞어 발광측정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에 의해 HO-1 E1, HO-1 E2, NQO1 및 항산화 반응 요소 프로모터의 유전자 전사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상기 <실시예 4>의 결과로 베타 라파콘은 Nrf2와 c-Jun의 핵 내 이동을 증가시켜 항산화 반응 요소(ARE)와 결합활성을 높이고, 항산화 효소 프로모터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향상시켜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베타 라파콘의 성상세포에서 신호전달 효소의 활성화 효과 확인
항산화 효소의 발현에 MAP kinase(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kt,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신호전달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신호전달 효소에 대해 웨스턴 블라팅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인산화 단백질(p-AMPK, p-Akt, p-p38, p-ERK, p-JNK, β-actin)을 인지하는 1차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미국)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라팅을 수행하였다.
또한, 웨스턴 블라팅으로 가시화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8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에 의해 여러 신호전달 효소 중 AMPK와 Akt의 인산화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AMPK와 Akt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내지 도 9).
< 실험예 6> 베타 라파콘의 성상세포에서 신호전달 효소의 활성화에 의한 항산화 효소의 발현 증가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대시키는 것에 AMPK와 Akt의 신호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신호전달 효소인 AMPK와 Akt의 활성억제제를 처리한 후, 항산화 효소에 대한 웨스턴 블라팅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 수득한 일차 배양 성상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1.0×105 세포수/ml의 농도로 분주한 후, 실험군의 웰 각각에 AMPK 억제제인 Compound C와 Akt 억제제인 LY294002를 전처리하고, 1시간 후 베타 라파콘을 처리하여 6시간 배양하였다. 신호전달 효소 억제제와 베타 라파콘을 처리한 세포 내에서 항산화 효소 단백질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세포 추출물을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단백질(HO-1, NQO1, MnSOD 및 catalase)을 인지하는 1차 항체(Santa Cruz)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라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AMPK 억제제 및 Akt 억제제에 의해 항산화 효소인 HO-1, NQO1, MnSOD 및 catalase가 모두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상기 결과로 성상세포에서 베타 라파콘이 AMPK와 Akt 신호전달 효소를 활성화시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작용을 하는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7> 베타 라파콘의 AMPK 활성화에 의한 성상세포 보호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베타 라파콘이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성상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결과와 AMPK 억제제에 의한 항산화 효소 발현 억제의 결과를 토대로 산화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호전달 효소인 AMPK가 억제되었을 때, 베타 라파콘에 의한 성상세포의 보호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MTT 어세이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 수득한 일차 배양 성상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1.0×105 세포수/ml의 농도로 분주한 후, 실험군의 웰 각각에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전처리하고, 30분 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과산화수소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MTT assay를 하여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타 라파콘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데, AMPK 억제제를 처리시 베타 라파콘의 세포 사멸 보호 효과가 상쇄됨을 확인하였다(도 11).
상기 결과로 베타 라파콘은 성상세포에서 AMPK의 신호전달 효소 활성을 높여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이로 인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성상 세포의 보호 효과가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110> Ewha 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comprising beta-lapachon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otection of brain damage 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130> 2014P-11-032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2P-ATP-probe <400> 1 tggggaacct gtgctgagtc actggag 27

Claims (9)

  1. 베타 라파콘(β-lapachon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 라파콘은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 라파콘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신경교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교세포는 성상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5.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6.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치매(dementia),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피크(Pick)병, 루이체병(Lewy body disease),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및 허혈성 뇌질환(ischemic brain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치매, 헌팅턴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피크병, 루이체병,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및 허혈성 뇌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40195620A 2014-12-31 2014-12-31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1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20A KR20160081588A (ko) 2014-12-31 2014-12-31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20A KR20160081588A (ko) 2014-12-31 2014-12-31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88A true KR20160081588A (ko) 2016-07-08

Family

ID=5650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620A KR20160081588A (ko) 2014-12-31 2014-12-31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5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12A1 (ko) * 2016-12-20 2018-06-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베타-라파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 또는 수면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7178A (ko)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베타-라파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담즙 정체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12A1 (ko) * 2016-12-20 2018-06-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베타-라파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 또는 수면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278515B2 (en) 2016-12-20 2022-03-22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sleep or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containing beta-lapachone
KR20220047178A (ko)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베타-라파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담즙 정체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051323A (ko) 2020-10-08 2022-04-26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베타-라파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담즙 정체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Multi-target design strategies for the improve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Yang et al. New role of silent information regulator 1 in cerebral ischemia
Babri et al. Effect of troxerutin on synaptic plasticity of hippocampal dentate gyrus neurons in a β-amyloid model of Alzheimer׳ s disease: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Zhou et al. PPARγ activation mitigates mechanical allodynia in paclitaxel-induced neuropathic pain via induction of Nrf2/HO-1 signaling pathway
Ha et al. Novel pharmacological modulators of autophagy: an updated patent review (2012-2015)
Kumar et al. Possible neuroprotective mechanisms of clove oil against icv-colchicine induced cognitive dysfunction
EP2185150B1 (en) Use of tranilast and derivatives thereof for the therapy of neurological conditions
EP3801499B1 (en) Inhibitors of sarm1
WO2019139244A1 (ko) Hdac6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Zhan et al. Berberine rescues D-galactose-induced synaptic/memory impairment by regulating the levels of Arc
Ye et al. The protective mechanism of SIRT1 in the regulation of mitochondrial biogenesis and mitochondrial autophagy in Alzheimer’s disease
Wang et al. Nicotinamide mononucleotide administration after sever hypoglycemia improves neuronal survival and cognitive function in rats
Chiu et al. Novel synthetic coumarin-chalcone derivative (E)-3-(3-(4-(dimethylamino) phenyl) acryloyl)-4-hydroxy-2H-chromen-2-one activates CREB-mediated neuroprotection in Aβ and tau cell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KR20160081588A (ko) 베타 라파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손상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Batra et al. A review on cyclin-dependent kinase 5: An emerging drug targe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KR20100065913A (ko) 감태 추출물을 이용하여 신경퇴행성 질병을 치료하거나 그 증상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한 조성물
KR20160137807A (ko)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한 뇌 조직 재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Xiao et al. Probucol protects rats from cardiac dysfunction induced by oxidative stress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20120019785A (ko) Lrrk2 인산화효소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킨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Sunarni et al. Antihyperuricemic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fractions from ethanolic leaves extract of Stelechocarpus burahol
US6916845B2 (en) Meth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le and female sexual dysfunction
TWI587860B (zh) 喹啉衍生化合物用於製備Tau蛋白病變類疾病之醫藥組成物上之用途
KR100951185B1 (ko) 상황버섯으로부터 추출한 신경세포 보호용 화합물, 그제조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CN113301893A (zh) 神经性疾病的治疗
Ezekiel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Taurine and Vitamin E in Acetaminophen-Induced Oxidative Stress on Learning and Memory in Male Wistar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