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834A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834A
KR20160080834A KR1020140192346A KR20140192346A KR20160080834A KR 20160080834 A KR20160080834 A KR 20160080834A KR 1020140192346 A KR1020140192346 A KR 1020140192346A KR 20140192346 A KR20140192346 A KR 20140192346A KR 20160080834 A KR20160080834 A KR 20160080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lay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5872B1 (en
Inventor
김수강
이강주
구원회
장지향
임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872B1/en
Publication of KR2016008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8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 insulating layer is arranged on a substrate, and an overcoating layer is arranged on an insulating layer. The overcoating layer comprises a plurality of convex parts,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arts comprises a first convex part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convex part having a second height which is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An anode is arranged on the plurality of convex parts of the overco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rranged on the anode, and a cathode is arrang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onvex part and a second convex part wherein the plurality of convex parts of the overcoating layer have a different height. A pitch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arts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number of regions in which the convex parts of the overcoating layer which is a region that has a relatively high optical extraction effect is increased. Thus, the optical extraction effec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emission type display device, un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separate light source is not required, and thus it can be manufactured in a light and thin shape. Furth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not only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power consumption by low voltage driving, but also excellent in color implementation, response speed,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R), and is being studied as a next generation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이 존재하게 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율이 문제가 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를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sses through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owev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oes not exit out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light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xists, which causes a problem i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LED display, a method of attaching a micro lens array (MLA)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of the OLED display is used.

[관련기술문헌]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특허출원번호 제 10-2012-0100222 호)1.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00222)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하부로 방출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하면 방향으로 방출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광의 전파 경로를 기준으로 크게 ITO/organic 모드(이하, ‘ITO 모드’라 함), 기판(substrate) 모드 및 공기(air) 모드로 나눌 수 있다. 공기 모드는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외부로 추출되는 광을 지칭하고, 기판 모드는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기판에서의 전반사, 광흡수 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을 지칭하고, ITO 모드는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일반적으로 ITO로 형성되는 애노드에서의 전반사, 광흡수 등에 의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을 지칭한다.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ITO 모드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50%이고, 기판 모드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30%인바,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80%의 광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에 갇히게 되고, 약 20%의 광만이 외부로 추출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fer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light emitted from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emit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fer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emits in the direction of a bottom surface of a substrate o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for driving an apparatus is form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of 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ITO / organic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O mode'), substrate mode and air mode . The air mode refers to light extrac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the out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substrate mode refers to light trapp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ue to total reflection, And the ITO mode refers to light confin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y total reflection, light absorption, or the like in the anode, which is generally formed of ITO among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light confin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s an ITO mode is about 5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Light trapp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s a substrate mode is emitted About 8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trapp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nly about 20% of the light is extracted to the outside,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mproving is a very important research area.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LA를 기판 외측에 부착하여 기판과 공기 사이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전반사되는 광을 기판 외부로 추출하여 광추출 효율을 개선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of attaching the MLA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and extracting the light totally reflected by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Lt; / RTI >

다만, 기판 외측에 MLA를 부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기판 두께가 기판과 애노드사이의 거리보다 상당히 크므로, 특정 픽셀에서 발광된 광이 해당 픽셀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MLA를 통해 기판 외부로 추출되어, 블러링(blurring) 현상 및/또는 고스트(ghos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외측의 전면에 MLA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특정 픽셀에서 발광된 광이 해당 픽셀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MLA를 통해 기판 외부로 추출되어, 블러링 현상 및/또는 고스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는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원편광판(circular polarizer)이 사용되는데, MLA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외측에 부착된 경우, MLA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로 반사된 광이 원편광판을 통과하며 광이 상쇄되어 오히려 광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기판 외측에 MLA를 배치하는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 중 기판 모드에 해당하는 광만 추출 가능하고, ITO 모드에 해당하는 광에 대한 추출은 불가능하다.However, when the MLA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sinc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generally much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ano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pecific pixel is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MLA locat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pixel , Blurring, and / or ghosting may occur. In addition, even when the MLA is attached to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light emitted from a specific pixel may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MLA locat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pixel, and blurring and / or ghosting may occur. When the MLA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MLA to the in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s reflected by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The light is canceled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MLA is disposed outside the substrate, only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mode among the light confin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n be extracted, and extraction of light corresponding to the ITO mode is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외측에 MLA를 배치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광추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발명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proposed a novel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MLA is arranged outside th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미지 저하 및 화질 저하 없이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켜 장치 효율이 개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improved device efficiency by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ithout deteriorating image quality and image qualit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오버 코팅층의 복수의 볼록부 간의 피치(pitch)를 감소시켜, 광추출 효율이 보다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the pitch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is reduced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광추출 효율이 향상되어 수명이 보다 증가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whic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and lifetime is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절연층이 기판 상에 배치되고, 오버 코팅층이 절연층 상에 배치된다. 오버 코팅층은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볼록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볼록부와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한다. 애노드가 오버 코팅층의 복수의 볼록부 상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이 애노드 상에 배치되고, 캐소드가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오버 코팅층의 복수의 볼록부가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를 포함하여, 볼록부 사이의 거리인 피치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광추출 효과가 높은 영역인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가 배치되는 영역의 개수가 증가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n overcoat layer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The overcoat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include a first convex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convex portion having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The anode i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anode, and the cathode is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n the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include first convex portions and second convex por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pitch, i.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number of regions in which the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which is a region where the light extraction effect is relatively high, is increased, and the light extraction effec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볼록부는 제2 볼록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is arranged to surround the second convex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오버 코팅층은,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coat lay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절연층과 오버 코팅층 사이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볼록부 및 복수의 오목부는 컬러 필터와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further includes a color filter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overcoat layer,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verlap with the color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볼록부는 첨단(尖端)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vex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of a tip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애노드의 두께는 제1 볼록부의 제1 높이 및 제2 볼록부의 제2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node is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오버 코팅층의 하면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최소 거리는 제1 볼록부의 제1 높이 및 제2 볼록부의 제2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to the cathode is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re regularly arrang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는 오버 코팅층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cathode are disposed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절연층은 버퍼층, 게이트 절연층, 층간 절연층 및 패시베이션층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layer is one of a buffer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a passivation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층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포토레지스트를 노광 마스크를 이용하여 부분 노광하는 단계, 부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여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오버 코팅층 상에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볼록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볼록부 및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노광 마스크의 설계 구조만을 변경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오버 코팅층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난이도나 공정 비용의 지나친 증가 없이 용이하게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오버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forming an insulating layer on a substrate, applying a photoresist on the insulating layer, partially exposing the photoresist using an exposure mask, developing the partially exposed photoresist to form a plurality And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by sequentially laminating an an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cathode on the overcoat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e a first convex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convex portion having a second height, And a second convex portion having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overcoat layer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by changing only the design structure of the exposure mask, An overcoat layer having convex portions can be form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포토레지스트는 포지티브(positive) 타입의 포토레지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resist is a positive type photoresis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노광 마스크는 복수의 제1 차단부, 복수의 제1 차단부 각각을 둘러싸는 복수의 개구부 및 복수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mask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ortions, a plurality of openings surrou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ortions,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차단부는 원형 형상이고, 복수의 개구부는 제1 차단부를 둘러싸는 링(ring)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ortions are circular in shape,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ring-shaped to surround the first blocking portion.

오버 코팅층 상에 단차 완화층을 형성하여, 오버 코팅층 상부에 형성되는 애노드와 캐소드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node and the cathode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from being shorted to each other by forming the step reducing layer on the overcoat layer.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은 기판 외측에 MLA를 배치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 저하 및 화질 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image degradation and image quality deterioration that may occur when an MLA is disposed outside a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애노드 하부에 배치되는 오버 코팅층의 복수의 볼록부 간의 피치를 최소화하여, 오버 코팅층에서 광추출 효율이 높은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pitch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node, thereby increasing the portion with high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the overcoat layer.

또한,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광추출 효율을 증가시켜,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mprove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오버 코팅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오버 코팅층의 피치(pitch)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X region of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n overcoat layer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pitch of the overcoat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and the like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Where the terms "comprises", "having", "done", and the like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ortion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cluding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construed to include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top', 'under', and 'next to' Or " direct " is not used, one or more other portion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ortions.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another element or layer "on ", including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directly on or in betwee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is possibl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possible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ssoci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박막 트랜지스터(120), 오버 코팅층(160) 및 유기 발광 소자(1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X region of FIG. 1A and 1B, an OLED display 100 includes a substrate 110, a thin film transistor 120, an overcoat layer 16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40.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shown in FIGS. 1 and 2 is a bottom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기판(11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은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므로, 기판(110)은 투명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bstrate 110 is a substrate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OLED display 100. Since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emission type OLED display, the substrate 1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substrate 11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plastic,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 액티브층(122),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121) 및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과 액티브층(122)을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 절연층(131)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131)은 실리콘 옥사이드(SiOx)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와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31) 상에 액티브층(122)이 형성된다. 액티브층(122) 상에 에치 스타퍼(etch stopper; 132)가 형성되고, 액티브층(122) 및 에치 스타퍼(132) 상에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은 액티브층(122)과 접하는 방식으로 액티브층(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에치 스타퍼(132)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120) 중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나 코플래너(coplanar)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사용될 수 있다.A thin film transistor 120 including a gate electrode 121, an active layer 122, a source electrode 123 and a drain electrode 124 is formed on a substrate 110. [ A gate electrode 121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and a gate insulating layer 131 for insulating the gate electrode 121 and the active layer 122 on the gate electrode 121 and the substrate 110 Is formed.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may be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An active layer 122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An etch stopper 132 is formed on the active layer 122 and a source electrode 123 and a drain electrode 124 are formed on the active layer 122 and the etch stopper 132. The source electrode 123 and the drain electrode 12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122 in such a manner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ctive layer 122 and are formed on a partial area of the etch stopper 13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thin film transistors 120 among the various thin film transistors 120 that can be included in the OLED display 100 are shown in this specific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s described as an inverted staggered structure, but a thin film transistor having a coplanar structure may also be used.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 패시베이션층(133)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층(133)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일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133)은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상면의 형상 및 게이트 절연층(131)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A passivation layer 133 is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The passivation layer 133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an insulating layer made of, for example,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The passivation layer 133 may be formed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and the top surface of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패시베이션층(133) 상에 오버 코팅층(160)이 배치된다. 오버 코팅층(160)은 굴절률이 약 1.5인 절연 물질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포토레지스트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약 1.5의 굴절률을 갖는 임의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n overcoat layer 160 is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133. The overcoat layer 16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5. For example, the overcoat layer 160 may include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imide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 A polyphenylene sulfide based resin, benzocyclobutene, and a photoresis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ny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5.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160)은 애노드(141)와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163)를 포함한다. 복수의 볼록부(163)는 제1 볼록부(161) 및 제2 볼록부(162)를 포함한다. 또한, 오버 코팅층(160)은 제1 볼록부(161)와 제2 볼록부(16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볼록부(161)와 제2 볼록부(162)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오목부(169)를 포함한다. 오버 코팅층(16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함께 참조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overcoat layer 16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3 formed to overlap with the anode 141.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includes a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a second convex portion 162. The overcoat layer 16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62 connecting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169). See also FIG. 3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coat layer 16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오버 코팅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에서는 제1 볼록부(161)가 원형 형상으로 실선으로 도시되었고, 제2 볼록부(162)는 점 형상으로 도시되었고, 오목부(169)는 원형 형상으로 점선으로 도시되었다.3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n overcoat layer of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is shown as a solid line in a circular shape,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is shown in a point shape, and the concave portion 169 is shown in a circular shape as a dotted lin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볼록부(163)는 제1 볼록부(161) 및 제2 볼록부(162)를 포함한다. 제1 볼록부(161)는 원형 구조물의 형태를 갖고, 평면 상에서 원형 구조물 형태의 제1 볼록부(161)가 규칙적으로 헥사고널(hexagonal) 형태로 배치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의도적으로 제1 볼록부(161)를 형성하기 위한 노광 마스크의 차단부와 개구부의 간격을 불규칙하게 배열한다면, 제1 볼록부(161)가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1 to 3,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includes a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a second convex portion 162.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has the shape of a circular structure, and the first convex portions 161 in the form of a circular structure on a plane are regularly arranged in a hexagonal shape.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onvex portions 161 may be irregularly arranged if the intervals between the blocking portions and the openings of the exposure mask for forming the first convex portions 161 are irregularly arranged.

또한, 제1 볼록부(161)는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주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는 광이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중 어느 색의 광인지에 따라 광추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제1 볼록부(161)의 배치 주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1 볼록부(161)는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주기로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vex portion 161 may be arranged to have a different period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That is, depending on wheth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is red light, green light or blue light, the arrangement period of the first convex portions 161 for maximizing light extraction may be different, (161) may be regularly arranged at different periods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area (EA).

제1 볼록부(161)는 첨단(尖端)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록부(161)는 말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오버 코팅층(160)을 형성하는 노광 공정 조건에 따라 제1 볼록부(161)의 말단은 렌즈 형상과 같이 뭉뚝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convex portion 161 is configured to have a tip shape.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is configured to have a sharp-pointed en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end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may have a blunt shape like a lens shap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exposure process for forming the overcoat layer 160.

제1 볼록부(161)는 제1 높이(H1)를 갖는다. 여기서, 제1 볼록부(161)의 제1 높이(H1)는 오버 코팅층(160)의 하면으로부터 제1 볼록부(161)의 최상부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has a first height H1.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mean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160 to the top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

제2 볼록부(162)는 첨단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볼록부(162)는 말단이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오버 코팅층(160)은 제2 볼록부(162)의 말단으로부터 오목부(169) 측으로 내려올수록 오버 코팅층(160)의 표면의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오버 코팅층(160)을 형성하는 노광 공정 조건에 따라 제2 볼록부(162)의 말단은 렌즈 형상과 같이 뭉뚝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첨단부 형상의 제2 볼록부(162)는 평면 상에서 규칙적으로 헥사고널 형태로 배치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의도적으로 제2 볼록부(162)를 형성하기 위한 노광 마스크의 차단부와 개구부의 간격을 불규칙하게 배열한다면, 제2 볼록부(162)가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is configured to have a tip portion shape.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is configured to have a sharp-pointed end. The overcoat layer 160 has a shape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tangent to the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160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to the concave portion 169 side decreas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d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may be formed to have a blunt shape like a lens shap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exposure process for forming the overcoat layer 160. The second convex portions 162 having a tip shape are regularly arranged in a hexagonal shape on a plane.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onvex portions 162 may be irregularly arranged if the intervals between the blocking portions and the openings of the exposure mask for forming the second convex portions 162 are irregularly arranged.

또한, 제2 볼록부(162)는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주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는 광이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중 어느 색의 광인지에 따라 광추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제2 볼록부(162)의 배치 주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제1 볼록부(162)는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상이한 주기로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may be arranged to have a different period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emitted in the light-emitting region EA. That is, the arrangement period of the second convex portions 162 for maximizing the light extrac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colo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is the red light, the green light or the blue light, The light emitting regions 162 may be regularly arranged at different period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제1 볼록부(161)는 제2 볼록부(162)를 포위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형 구조물 형태의 제1 볼록부(161) 내에 첨단부 형상의 제2 볼록부(162)가 배치되고, 제1 볼록부(161)는 폐곡선 형태로 제2 볼록부(162)를 둘러싼다. 이 때, 평면 상에서 제2 볼록부(162)는 제1 볼록부(161)가 이루는 원형 형상의 중심일 수 있다.The first convex portion 161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2 and 3, a second convex portion 162 having a tip end shape is disposed in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in the form of a circular structure,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is formed in a closed curve shape And surrounds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At this time,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on the plane may be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제2 볼록부(162)는 제1 높이(H2)를 갖는다. 여기서, 제2 볼록부(162)의 제2 높이(H2)는 오버 코팅층(160)의 하면으로부터 제2 볼록부(162)의 최상부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제2 볼록부(162)의 제2 높이는 제1 볼록부(161)의 제1 높이보다 작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상에서 제1 볼록부(161)가 제2 볼록부(162)보다 상부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has the first height H2. The second height H2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mean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160 to the top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is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has a shape protruding further upward than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on the cross section.

오버 코팅층(160)은 복수의 오목부(169)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목부(169)는 평면 상에서 원형 형상일 수 있고, 오목부(169)가 이루는 원형 형상은 제1 볼록부(161)가 이루는 원형 형상과 동심일 수 있다. 오목부(169)는 제1 볼록부(161)와 제2 볼록부(16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볼록부(161)와 제2 볼록부(162)를 연결시킨다.Overcoat layer 160 includes a plurality of recesses 169. 3, the concave portion 169 may have a circular shape on a plane, and the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concave portion 169 may be concentric with the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The concave portion 169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and connects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with each other.

오버 코팅층(160)은 복수의 볼록부(163) 및 복수의 오목부(169)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평탄화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overcoat layer 160 can function as a planarizing layer at portions where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and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69 are not formed.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160) 상에 애노드(141), 유기 발광층(142) 및 캐소드(143)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140) 및 뱅크층(136)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오버 코팅층(160)의 복수의 볼록부(163)와 중첩하도록, 복수의 볼록부(163) 상에 애노드(141)가 배치된다. 애노드(141)는 유기 발광층(142)에 정공(hole)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일함수가 높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애노드(141)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애노드(141)는 오버 코팅층(160)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인 약 1.7 내지 2.0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애노드(141)의 엣지를 덮도록 뱅크층(136)이 형성된다. 뱅크층(136)에 의해 덮이지 않은 애노드(141)의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이 발광 영역(EA)으로 정의된다. 유기 발광층(142)은 애노드(141) 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142)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142) 상에 캐소드(143)가 형성된다. 캐소드(143)는 유기 발광층(142)에 전자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캐소드(143)는 마그네슘(Mg)/은(Ag) 합금 등과 같은 반사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a bank layer 136 including an anode 141,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a cathode 143 are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160 . Concretely, the anode 141 i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so as to overlap with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of the overcoat layer 160. The anode 141 is an electrode for supplying a hol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high work function. For example, the anode 14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anode 141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7 to 2.0, which is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vercoat layer 160. And the bank layer 136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edge of the anode 141. [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f the anode 141 not covered by the bank layer 136 is defined as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142 is formed on the anode 14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may be any one of a r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blu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cathode 143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The cathode 143 is an electrode for supplying electron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low work function. For example, the cathode 14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such as magnesium (Mg) / silver (Ag) alloy,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애노드(141)는 오버 코팅층(160)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오버 코팅층(16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142)은 애노드(141)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애노드(141) 상에 배치되고, 캐소드(143)는 유기 발광층(142)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유기 발광층(142)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애노드(141), 유기 발광층(142) 및 캐소드(143)는 비평탄화된 상면 및 하면을 갖는다. 1 and 2, the anode 141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160 along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16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disposed on the anode 141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anode 141 and the cathode 143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 . Therefore, the anode 14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the cathode 143 have unperforated upper and lower surface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애노드(141)의 두께 및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의 합(D)이 제1 볼록부(161)의 제1 높이(H1) 및 제2 볼록부(162)의 제2 높이(H2)보다 작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층(142) 중 일부는 제1 볼록부(161) 및 제2 볼록부(16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한다. 즉, 애노드(141)의 두께와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의 합(D)이 제1 볼록부(161)의 제1 높이(H1) 및 제2 볼록부(162)의 제2 높이(H1)보다 작으므로 애노드(141)의 상면 중 일부는 제1 볼록부(161) 및 제2 볼록부(16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오버 코팅층(160)의 하면으로부터 캐소드(143)까지의 최소 거리는 제1 볼록부(161)의 제1 높이 및 제2 볼록부(162)의 제2 높이보다 작다. 1 and 2, when the sum D of the thickness of the anode 141 and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height H1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The second height H2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 a par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located at a level lower than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Therefore, That is, the sum D of the thickness of the anode 141 and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height H1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node 141 is located at a lower level than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160 to the cathode 143 is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크기는 작아지고, 화소의 수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해상도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낮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비해 동일 휘도의 광을 발광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이 상승되고,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이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애노드(141)가 복수의 볼록부(163)를 갖는 오버 코팅층(160) 상에서 오버 코팅층(160)의 상면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142)이 애노드(141)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유기 발광층(142)이 비평탄화된 상면 및 하면을 갖는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142)은 평탄화된 유기 발광층(142)과 비교하여 보다 증가된 발광 면적을 가지므로, 동일 휘도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전압 및 전류가 감소하고, 전력 또한 감소하며, 유기 발광 소자(140)의 수명은 증가될 수 있다.As the resolu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reases, the pixel siz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creases and the number of pixels increases. Therefore, in a high-resolut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e power required to emit light of the same luminance is higher than that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 relatively low resolution, and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ay become a problem. In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141 is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160 hav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63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160 And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142 is formed along the top surface of the anode 141 so that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142 has unperforated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fore,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has an increased light emitting area as compared with the planarize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the voltage and current for emitting light of the same luminance are reduced, the power is also reduced, The lifetime of the battery 140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오버 코팅층(160) 상에 오버 코팅층(160)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인 약 1.7 내지 2.0의 굴절률을 갖는 애노드(1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은 애노드(141)와 오버 코팅층(160) 사이의 계면에서 전반사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오버 코팅층(160)은 복수의 볼록부(163) 및 복수의 오목부(169)를 가지므로, 오버 코팅층(160)은 MLA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애노드(141)와 오버 코팅층(160)의 계면에 입사하는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의 입사각은 전반사 임계각보다 작을 가능성이 높게 되어, ITO 모드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내부에 갇히게 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은 애노드(141)와 오버 코팅층(160)의 계면을 통과하여 기판(110)의 하면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진행하게 된다(도 2의 L2 참조). 따라서, 애노드(141)와 오버 코팅층(160)의 계면을 통과한 광이 기판 모드에 대해서도 전반사 임계각보다 작을 가능성이 높게 되므로, 기판 모드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 내부에 갇히게 되는 광의 양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In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ode 141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7 to 2.0, which is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at of the overcoat layer 160, is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160 do. 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can be tot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node 141 and the overcoat layer 160. Howev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vercoat layer 160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69, the overcoat layer 160 may have an MLA structure. Therefore, the incident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anode 141 and the overcoat layer 160 is likely to be smaller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so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is confined in the ITO mo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passes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anode 141 and the overcoat layer 160 and travels at an angle close to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see L2 in FIG. 2) . Therefore, sinc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anode 141 and the overcoat layer 160 is likely to be smaller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mode, the amount of light confin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in the substrate mode is reduc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애노드(141)의 두께와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의 합(D)이 제1 볼록부(161)의 제1 높이(H1) 및 제2 볼록부(162)의 제2 높이(H1)보다 작으므로, 캐소드(143)의 하면 중 일부는 제1 볼록부(161) 및 제2 볼록부(16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L1)은 인접하는 제1 볼록부(161)를 통과하여 인접하는 캐소드(143)의 하면에서 반사되어 기판(110) 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 중 애노드(141)와 오버 코팅층(160)의 계면을 2번 통과하여 캐소드(143)의 하면에 입사하는 광(L1)이 캐소드(143)의 하면에서 기판(110) 측으로 반사되어 진행하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sum D of the thickness of the anode 141 and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irst height H1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height H1 of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thode 143 is located at a lower level than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since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are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H1. 2, the light L1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passes through the adjacent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is reflec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adjacent cathode 143, . That is, in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between the anode 141 and the overcoat layer 16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passes twice, The light L1 incid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is reflec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thode 143 toward the substrate 110 and proceeds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LED display 100. [

상술한 바와 같은 캐소드(143)의 하면에서 반사되는 광(L1)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3)의 개수가 증가되어야 한다. 또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3)의 개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볼록부(163) 사이의 거리인 피치(P)가 감소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3)가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제1 볼록부(161) 및 제2 볼록부(162)를 포함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높이(H1)를 갖는 제1 볼록부(161) 사이에 제2 높이(H2)를 갖는 제2 볼록부(162)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볼록부(163) 사이의 거리인 피치(P)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특정 영역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163)의 개수가 증가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캐소드(143)의 하면에서 반사되는 광(L1)이 증가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피치(P)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163 of the overcoat layer 160 must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light L1 reflec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cathode 143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163 of the overcoat layer 160, the pitch P,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63, must be reduced. The convex portion 163 of the overcoat layer 160 includes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in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2, a second convex portion 162 having a second height H2 is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s 161 having the first height H1 to form the convex portion 163, The pitch P,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center, is reduced.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163 disposed in the specific region is increased and the light L1 reflec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cathode 143 increases, Can be improv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itch P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볼록부(163)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160)이 MLA 구조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는 기판(110)과 애노드(141)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MLA 구조를 기판(110) 외측에 배치시키는 구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서는 블러링 현상이나 고스트 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coat layer 160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forms an MLA structure, And the anode 141 are formed. Therefore, in comparison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MLA structure is disposed outside the substrate 110, the blurring phenomenon and the ghosting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in the OLED disp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 코팅층(160)은 게이트 절연층(13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패시베이션층(133)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오버 코팅층(160)은 게이트 절연층(13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기판(110)과 박막 트랜지스터(120)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버퍼층을 포함하는 경우, 오버 코팅층(160)은 버퍼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버퍼층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와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일 수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코플래너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인 경우, 오버 코팅층(160)은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오버 코팅층(160)은 패시베이션층(133), 게이트 절연층(131), 층간 절연층 및 버퍼층과 같은 절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overcoat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That is, if the passivation layer 133 is not used, the overcoat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Although not shown in FIG. 1, when the OLED display 100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TFT 120 and includes a buffer layer that blocks moisture or oxygen from the outside, The coating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The buffer layer may be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or silicon nitride. Further, whe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s a thin film transistor having a coplanar structure, the overcoat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at is, the overcoat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an insulating layer such as a passivation layer 133, a gate insulating layer 131,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a buffer lay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유기 발광층(442)의 종류가 변경되고, 컬러 필터(450)가 추가되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400 shown in FIG. 4 is differen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S. 1 to 3 in that the ty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42 is changed and the color filter 450 is added But the other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so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유기 발광 소자(440)의 유기 발광층(442)은 백색 유기 발광층이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해, 컬러 필터(450)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패시베이션층(133) 상에 컬러 필터(450)가 형성된다. 즉, 컬러 필터(450)는 버퍼층, 게이트 절연층(131), 층간 절연층 및 패시베이션층(133)과 같은 절연층 중 하나와 오버 코팅층(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450)는 유기 발광층(442)에서 발광된 광의 색을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 중 하나일 수 있다. 컬러 필터(450)는 굴절률이 약 1.5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42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440 is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ccordingly, the color filter 450 is used so that the OLED display 400 displays red, green, and blu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a color filter 450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33. That is, the color filter 4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vercoat layer 160 and one of the insulating layers such as the buffer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the passivation layer 133. The color filter 450 is for converting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42 and may be one of a red color filter, a green color filter, and a blue color filter. The color filter 4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5.

컬러 필터(450)는 오버 코팅층(160)의 복수의 볼록부(163) 및 복수의 오목부(169)와 중첩하도록 형성되며, 패시베이션층(133) 상에서 발광 영역(E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발광 영역(EA)은 애노드(141) 및 캐소드(143)에 의해 유기 발광층(442)이 발광하는 영역으로서, 뱅크층(136)에 의해 덮이지 않는 애노드(141)가 배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발광 영역(EA)에 대응하는 위치에 컬러 필터(450)가 형성된다는 것은 인접한 발광 영역(EA)들에서 발광된 광이 서로 섞여 블러링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컬러 필터(450)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450)는 발광 영역(EA)에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발광 영역(EA)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컬러 필터(450)의 형성 위치 및 크기는 발광 영역(EA)의 크기 및 위치뿐만 아니라, 컬러 필터(450)와 애노드(141) 사이의 거리, 컬러 필터(450)와 오버 코팅층(160)의 오목부(169) 또는 볼록부(163) 사이의 거리, 발광 영역(EA)과 발광 영역(EA) 사이의 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팩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color filter 450 is formed to overlap with the convex portions 163 and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69 of the overcoat layer 160 and is formed on the passivation layer 13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do. Here,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is a region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442 emits light by the anode 141 and the cathode 143, and means an area where the anode 141 not covered by the bank layer 136 is disposed do. The reason why the color filter 45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EA is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adjacent light emitting areas EA is mix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blurring and ghosting from occurring. 450 are disposed. For example, the color filter 450 is formed to overlap the light emitting area EA, and may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light emitting area EA.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color filter 450 are not limited to the size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area EA but 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anode 14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overcoat layer 160. [ The distance between the concave portion 169 or the convex portion 163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and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400)에서 컬러 필터(450)는 발광 영역(E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컬러 필터(450)는 뱅크층(136)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애노드(141)의 부분과 중첩하고, 추가적으로 오버 코팅층(160)의 복수의 볼록부(163) 및 복수의 오목부(169)와 중첩한다. 따라서, 해당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된 광이 다른 발광 영역(EA)에서 발광된 광과 섞이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블러링 현상이나 고스트 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In the OLED display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filter 45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EA. That is, the color filter 450 overlaps a portion of the anode 141 that is not covered by the bank layer 136,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69 of the overcoat layer 160, Lt; / RTI > Therefore, the mixing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wi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ther light emitting region EA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blurring phenomenon and the ghosting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는 도 4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와 비교하여, 오버 코팅층(560) 및 유기 발광 소자(540)만이 변경되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only the overcoat layer 56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540 are changed as compared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500 shown in FIG. 4,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so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560)의 복루의 볼록부(563) 중 제1 볼록부(561)와 제2 볼록부(562)는 서로 분리된다. 이에, 제1 볼록부(561) 및 제2 볼록부(562)는 컬러 필터(450)의 상면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볼록부(561)가 컬러 필터(450)와 접하는 부분의 일 지점과 제1 볼록부(561)의 첨단부를 연결하는 제1 볼록부(561)의 표면은 제1 볼록부(561)가 컬러 필터(450)와 접하는 부분의 일 지점과 제1 볼록부(561)의 첨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2 볼록부(562)가 컬러 필터(450)와 접하는 부분의 일 지점과 제2 볼록부(562)의 첨단부를 연결하는 제2 볼록부(562)의 표면은 제2 볼록부(562)가 컬러 필터(450)와 접하는 부분의 일 지점과 제2 볼록부(562)의 첨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1 볼록부(561) 및 제1 볼록부(561)를 포함하는 복수의 볼록부(563)가 컬러 필터(45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오버 코팅층(560)은 도 4에 도시된 오버 코팅층(5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of the overhang convex portion 563 of the overcoat layer 5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us,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or filter 450. 5, the surface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connecting one point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contacts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tip portion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The convex portion 561 is positioned inside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one point of the portion where the convex portion 561 contacts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tip portion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connecting the point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contacts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tip portion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is the surface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Is located inside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one point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tip portion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The overcoat layer 5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or filter 450 except for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563 including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overcoat layer 560,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발광 영역(EA)에서 제1 볼록부(561) 및 제2 볼록부(562)가 배치되지 않은 컬러 필터(450)의 상면에는 애노드(541)가 배치되고, 애노드(541) 상에 유기 발광층(542)이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542) 상에 캐소드(543)가 배치된다. 이에, 애노드(541)는 컬러 필터(450)와 접하는 부분에 평평한 부분을 갖고, 유기 발광층(542) 또한 애노드(541)와 컬러 필터(450)가 접하는 부분에 평평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캐소드(543) 또한 애노드(541)와 컬러 필터(450)가 접하는 부분에 평평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An anode 54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or filter 450 in which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are not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A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cathode 543 is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2. [ The anode 541 may have a fla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lor filter 450 and may have a flat portion in the portion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2 and the anode 541 and the color filter 4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cathode 543 may also have a flat portion at a portion where the anode 541 and the color filter 4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에서는 애노드(541)의 두께와 유기 발광층(542)의 두께의 합이 제1 볼록부(561)의 제1 높이 및 제2 볼록부(562)의 제2 높이보다 작으므로 캐소드(543)의 하면 중 일부는 제1 볼록부(561) 및 제2 볼록부(562)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542)에서 발광된 광은 인접하는 제1 볼록부(561)를 통과하여 인접하는 캐소드(543)의 하면에서 반사되어 기판(110) 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오버 코팅층(560)의 볼록부(563)가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제1 볼록부(561) 및 제2 볼록부(562)를 포함하여, 볼록부(563) 사이의 거리인 피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특정 영역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563)의 개수가 증가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500)의 광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anode 541 and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2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561.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second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562,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thode 543 is located at a lower level than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542 passes through the adjacent first convex portion 561, is reflec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adjacent cathode 543, and can proceed toward the substrate 110 side. Accordingly,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LED display 500 can be improved. The convex portion 563 of the overcoat layer 560 includes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and the pit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563 is reduced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563 disposed in the specific region is increased,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LED display 500 can be improved.

몇몇 실시예에서, 컬러 필터(450)와 오버 코팅층(560) 사이에 추가 절연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560)의 제1 볼록부(561) 및 제2 볼록부(562)가 분리됨에 따라, 컬러 필터(450)와 애노드(541)가 직접 접하는 부분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아웃 개싱(out gassing) 공정 등에서 컬러 필터(450)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수분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540)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에, 컬러 필터(450)와 오버 코팅층(560) 사이에 추가 절연층이 배치되어, 아웃 개싱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540)가 손상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n additional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overcoat layer 560. The first convex portion 56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62 of the overcoat layer 5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anode 541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540 may be damaged from moisture or the like that may be discharged from the color filter 450 in an out gassing process or the like. Thus, an additional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color filter 450 and the overcoat layer 560, so that damag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540 from the outgassing can be reduc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f에 도시된 공정 단면도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F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F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shown in FIGS. 1 to 3, wherein a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par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s omitted do.

먼저, 기판(110) 상에 절연층을 형성한다(S60).First,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S60).

도 7a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121)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121) 및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과 액티브층(122)을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 절연층(131)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131) 상에 액티브층(122)이 형성된다. 액티브층(122) 상에 에치 스타퍼(132)가 형성되고, 액티브층(122) 및 에치 스타퍼(132) 상에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은 액티브층(122)과 접하는 방식으로 액티브층(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에치 스타퍼(132)의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 패시베이션층(1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120) 및 패시베이션층(133)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절연층(131) 및 패시베이션층(133)과 같은 절연층이 형성된다. 7A, a gate electrode 121 is formed, and a gate insulating layer 131 for insulating the gate electrode 121 and the active layer 122 is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121 and the substrate 110 do. An active layer 122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An etch stopper 132 is formed on the active layer 122 and a source electrode 123 and a drain electrode 124 are formed on the active layer 122 and the etch stopper 132. [ The source electrode 123 and the drain electrode 12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122 in such a manner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ctive layer 122 and are formed on a partial area of the etch stopper 132. A passivation layer 133 is form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and the passivation layer 133, an insulating layer such as a gate insulating layer 131 and a passivation layer 133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이어서, 절연층 상에 포토레지스트(770)를 도포한다(S61).Subsequently, a photoresist 770 is applied on the insulating layer (S61).

도 7b를 참조하면, 절연층 상에 포토레지스트(770)를 도포한다. 구체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 배치된 패시베이션층(133) 상에 포토레지스트(770)를 도포한다. 포토레지스트(770)는 포지티브(positive) 타입의 포토레지스트일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770)로 네거티브(negative) 타입의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네거티브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는 프리-베이킹 공정을 거침에 따라 세정 공정 등에서 제거가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포지티브 타입의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a photoresist 770 is applied on the insulating layer. More specifically, a photoresist 770 is applied on the passivation layer 133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 The photoresist 770 may be a positive type photoresist. Although a negative type photoresist may be used for the photoresist 770, the negative type photoresist may not be smoothly removed in a cleaning process or the like due to the pre-baking process. Therefore, a positive type photoresist can be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포토레지스트(770)를 노광 마스크(790)를 이용하여 부분 노광한다(S62).Subsequently, the photoresist 770 is partially exposed using an exposure mask 790 (S62).

도 7c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770)틀 노광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광 마스크(790)는 복수의 제1 차단부(791), 제2 차단부(792) 및 복수의 개구부(793)를 갖는다. 제1 차단부(791)는 원형 형상을 갖고, 개구부(793)에 의해 포위된다. 즉, 원형 형상의 제1 차단부(791)는 링(ring) 형상의 개구부(793)에 의해 둘러싸인다. 노광 마스크(790)에서 제1 차단부(791) 및 개구부(793) 이외의 영역은 제2 차단부(792)로 정의된다. 도 7c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서로 인접하는 3개의 제1 차단부(791) 및 3개의 개구부(793)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버 코팅층(160)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노광 마스크(790)의 제1 차단부(791) 및 개구부(793) 각각은 평면 상에서 규칙적으로 헥사고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an exposure mask 790 used to expose a photoresist 770 frame has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ortions 791, a second blocking portion 792, and a plurality of openings 793.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has a circular shape, and is surrounded by the opening portion 793. That is,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having a circular shape is surrounded by a ring-shaped opening 793. A region other than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opening portion 793 in the exposure mask 790 is defined as a second blocking portion 792. Although only three first blocking portions 791 and three opening portions 793 are shown adjacent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in FIG. 7C, in order to form the structure of the overcoat layer 160 as shown in FIG. 3, Each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s 791 and the openings 793 of the mask 790 may be regularly arranged in a hexagonal shape on a plane.

도 7d를 참조하면, 노광 공정에서 노광 마스크(790)는 포토레지스트(770) 상에 배치된다. 노광 마스크(790)가 포토레지스트(77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노광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포토레지스트(770)가 부분 노광되고, 포토레지스트(770)의 노광 부분(771)이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770) 중 노광 마스크(790)의 개구부(793)에 대응하는 부분이 가장 많이 노광되므로, 노광 부분(771) 중 최대 높이를 갖는 부분은 노광 마스크(790)의 개구부(793)에 대응한다. 또한, 노광 마스크(790)의 개구부(793)를 통과한 광 중 일부는 직진하지 않고 좌우로 퍼질 수 있으므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포토레지스트(770)의 노광 부분(771)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7D, in the exposure process, an exposure mask 790 is disposed on the photoresist 770. The photoresist 770 is partially exposed and the exposed portion 771 of the photoresist 770 is formed as the exposure process is performed with the exposure mask 790 disposed on the photoresist 770. [ The portion of the photoresist 77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793 of the exposure mask 790 is exposed most and the portion of the exposed portion 771 having the maximum height corresponds to the opening 793 of the exposure mask 790 do. 7D, the exposed portion 771 of the photoresist 770 has a convex shape as shown in FIG. 7D, since some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pening 793 of the exposure mask 790 can be spread right and left without going straight. .

이어서, 부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770)를 현상하여 복수의 볼록부(163)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160)을 형성한다(S63).Subsequently, the partially exposed photoresist 770 is developed to form an overcoat layer 160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3 (S63).

도 7e를 참조하면, 부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770)를 현상함에 의해 오버 코팅층(160)이 형성된다. 즉, 도 7d에 도시된 포토레지스트(770)의 노광 부분(771)이 현상 공정에서 제거되어 제1 볼록부(161), 제2 볼록부(162) 및 오목부(169)를 갖는 오버 코팅층(160)이 형성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애노드(141)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오버 코팅층(160) 및 패시베이션층(133)에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E, the overcoat layer 160 is formed by developing the partially exposed photoresist 770. That is, the exposed portion 771 of the photoresist 770 shown in FIG. 7D is removed in the developing process to form an overcoat layer (not shown) having the first convex portion 161, the second convex portion 162 and the concave portion 169 160 are formed. A contact hole may be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160 and the passivation layer 133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and the anode 141.

이어서, 오버 코팅층(160) 상에 애노드(141), 유기 발광층(142) 및 캐소드(143)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유기 발광 소자(140)를 형성한다(S64).Next, the anode 14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the cathode 143 are sequentially layered on the overcoat layer 160 to for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S64).

도 7f를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형상을 따라 애노드(141)가 형성되고, 애노드(141) 상에서 애노드(141)의 형상을 따라 유기 발광층(142)이 형성되며, 유기 발광층(142) 상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형상을 따라 캐소드(143)가 형성된다.7F, the anode 141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overcoat layer 16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formed on the anode 141 along the shape of the anode 14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formed, The cathode 143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포지티브 타입의 포토레지스트로 오버 코팅층(16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광 마스크(790)의 구조를 변경함에 의해 오버 코팅층(160)의 복수의 볼록부(163) 사이의 피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8을 함께 참조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L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exposure mask 790 used to form the overcoat layer 160 with a positive type photoresist, a plurality of overcoat layers 16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itch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63. [ See also FIG. 8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in this regar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오버 코팅층의 피치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8의 표에서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노광 마스크(790)를 사용하여 오버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이고, 비교예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노광 마스크(790)의 제1 차단부(791) 및 개구부(793)가 형성하는 원형 형상의 직경(D)과 동일한 직경(D)을 갖는 개구부(892) 및 개구부(892) 이외의 영역인 차단부(891)를 갖는 노광 마스크(890)를 사용하여 오버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이다. 도 8에서는 비교예 및 실시예를 통해 형성된 오버 코팅층의 형상 및 피치(P1, P2)를 나타내었다.FIG. 8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pitch of the overcoat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able of FIG. 8, the overcoat layer is formed by using the exposure mask 790 use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ther than the opening 892 and the opening 892 having the diameter D equal to the diameter D of the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opening 793 of the exposed exposure mask 790 And an overcoat layer is formed using an exposure mask 890 having a blocking portion 891. [ FIG. 8 shows the shapes and the pitches (P1 and P2) of the overcoat layer formed through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먼저, 비교예를 살펴보면, 직경(D)를 갖는 복수의 개구부(892)가 노광 마스크(890)에 포함된다. 또한, 노광 마스크(890)에서 각각의 개구부(892)는 간격(G)만큼 이격된다. 이와 같은 노광 마스크(890)를 사용하여 노광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도 8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버 코팅층이 제조될 수 있다. 즉,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 사이의 간격인 피치(P1)는 노광 마스크(890)의 개구부(892)의 직경과 개구부(892) 사이의 간격(G)의 합으로 정의된다.First, in a comparative example, a plurality of openings 892 having a diameter D are included in the exposure mask 890. Further, in the exposure mask 890, the respective openings 892 are spaced apart by an interval G. [ When the exposure process is performed using such an exposure mask 890, an overcoat layer as shown in the table of FIG. 8 can be produced. That is, the pitch P1, which is the interval between the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is defined as the sum of the diameter G of the opening portion 892 of the exposure mask 890 and the gap G between the opening portion 892. [

다음으로, 실시예를 살펴보면, 노광 마스크(790)가 제1 차단부(791), 제1 차단부(791)를 둘러싸는 개구부(793) 및 제1 차단부(791)와 개구부(793) 이외의 영역인 제2 차단부(79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차단부(791) 및 개구부(793)가 형성하는 원형 형상의 직경(D)은 비교예에서의 개구부(892)의 직경(D)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각각의 개구부(793)의 간격(G)은 비교예에서의 개구부(892)의 간격(G)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와 같은 노광 마스크(790)를 사용하여 노광 공정 및 현상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상이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볼록부가 오버 코팅층에 형성된다. 즉, 제1 차단부(791)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낮은 높이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개구부(793) 사이에 대응하는 높은 높이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차단부(791)의 직경이 제1 차단부(791) 및 개구부(793)가 형성하는 원형 형상의 직경(D)의 1/2보다 작은 경우, 제1 차단부(791)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은 높이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개구부(793) 사이에 대응하는 낮은 높이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 사이의 간격인 피치(P2)는 제1 차단부(791) 및 개구부(793)가 형성하는 원형 형상의 직경(D)과 개구부(793) 사이의 간격(G)의 합의 1/2로 정의된다. Next, in the embodiment, the exposure mask 790 includes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the opening 793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opening 793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792 which is a region of the second blocking portion 792. The diameter D of the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opening 793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D of the opening 892 in the comparative example, Is set equal to the interval G of the openings 892 in the comparative example. As the exposure proces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re performed using such an exposure mask 790,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That is, a convex portion of a low height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is formed, and a convex portion of a corresponding high height is formed between neighboring openings 793.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is smaller than 1/2 of the diameter D of the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opening 793, 791, and a corresponding low-height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openings 793. In the embodiment, the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Is defined as a half of the sum of the diameter G of the circular shape formed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opening 793 and the gap G between the opening 793.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복수의 볼록부의 피치(P2)는, 단순히 개구부(892)만으로 구성된 비교예에서의 노광 마스크(890)를 사용하여 제조된 오버 복수의 볼록부의 피치(P1)보다 작다. Accordingly, the pitch P2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Is smaller than the pitch P1 of over convex portions manufactured using the exposure mask (890).

이에, 비교예에서 피치(P1)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구부(892)의 직경(D)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노광 마스크(890)에서 개구부(892)의 직경(D)을 특정 값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은 노광 마스크(890) 제조 공정 상 어려움이 있다. 또한, 노광 마스크(890)의 개구부(892)의 직경(D)이 지나치게 감소되는 경우, 오버 코팅층이 원활히 노광되지 않으므로, 오버 코팅층에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충분한 높이를 갖는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고 무질서하게 배열되고 매우 얕은 높이를 갖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버 코팅층의 복수의 볼록부를 통한 원활한 광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to reduce the diameter D of the opening 892 in order to reduce the pitch P1 in the comparative example. However, it is difficul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xposure mask 890 to reduce the diameter D of the opening 892 in the exposure mask 890 to a specific value or less. When the diameter D of the opening portion 892 of the exposure mask 890 is excessively reduced, the overcoat layer is not exposed smoothly. Therefore, the convex portions regularly arranged on the overcoat layer and having a sufficient height are not formed, And a convex portion having a very shallow height may be formed, so that smooth light extrac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 layer is not achiev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노광 마스크(790)가 제1 차단부(791) 및 제1 차단부(791)를 둘러싸는 개구부(793)를 갖도록 설계되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볼록부가 오버 코팅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록부의 피치 또한 감소되어, 오버 코팅층을 통한 광추출 효율 향상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노광 마스크(790)의 설계 구조만을 변경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오버 코팅층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 난이도나 공정 비용의 지나친 증가 없이 용이하게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오버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노광 마스크(790)를 사용하여 오버 코팅층의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므로, 버클링(buckling) 공정 등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복수의 볼록부가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버 코팅층의 복수의 볼록부에 의한 광추출 정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mask 790 is designed to have the opening 793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nd the first blocking portion 791,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can be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In addition, the pitch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is also reduced, so that the improvement of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rough the overcoat layer can be maximized. Further,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overcoat layer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by changing only the design structure of the exposure mask 790, an excessive increase in process difficulty or process cost An overcoat layer hav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can be easily formed. Also,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of the overcoat layer are formed using the exposure mask 790 having a regular pattern, a buckling process or the like is use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can be arranged regularly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convex portion of the overcoat layer is form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기판
120: 박막 트랜지스터
121: 게이트 전극
122: 액티브층
123: 소스 전극
124: 드레인 전극
131: 게이트 절연층
132: 에치 스타퍼
133: 패시베이션층
136: 뱅크층
140, 440, 540: 유기 발광 소자
141, 541: 애노드
142, 442, 542: 유기 발광층
143, 543: 캐소드
450: 컬러 필터
160, 560: 오버 코팅층
161, 561: 제1 볼록부
162, 562: 제2 볼록부
163, 563: 볼록부
169: 오목부
770: 포토레지스트
771: 노광 부분
790: 노광 마스크
791: 제1 차단부
792: 제2 차단부
793: 개구부
100, 400, 5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A: 발광 영역
110: substrate
120: thin film transistor
121: gate electrode
122: active layer
123: source electrode
124: drain electrode
131: gate insulating layer
132: Etch Starper
133: Passivation layer
136: bank layer
140, 440, 540: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41, 541: anode
142, 442, 542: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3, 543: cathode
450: Color filter
160, 560: overcoat layer
161, 561: first convex portion
162, 562: second convex portion
163, 563:
169:
770: Photoresist
771: exposed portion
790: Exposure mask
791:
792:
793: opening
100, 400, 5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EA: light emitting region

Claims (1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상에 배치된 애노드, 상기 애노드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캐소드를 갖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Board;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overcoat layer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an anod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anode, and a cathode arrang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include a first convex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convex portion having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는 상기 제2 볼록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is arranged to surround the second convex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코팅층은,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vercoat lay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오버 코팅층 사이에 배치된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및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컬러 필터와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lor filter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overcoat layer,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verlaps the color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는 첨단(尖端)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has a shape of a ti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의 두께는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제1 높이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제2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node is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코팅층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캐소드까지의 최소 거리는 상기 제1 볼록부의 상기 제1 높이 및 상기 제2 볼록부의 상기 제2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to the cathode is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convex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are regularly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캐소드는 상기 오버 코팅층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cathode are disposed along a shape of an upper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버퍼층, 게이트 절연층, 층간 절연층 및 패시베이션층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s one of a buffer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a passivation layer.
기판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노광 마스크를 이용하여 부분 노광하는 단계;
상기 부분 노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하여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 코팅층 상에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Forming an insulating layer on the substrate;
Applying a photoresist on the insulating layer;
Partially exposing the photoresist using an exposure mask;
Developing the partially exposed photoresist to form an overcoat lay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sequentially laminating an an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cathode on the overcoat layer,
Wherei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comprise a first convex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and a second convex portion having a second height smaller than the first heigh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는 포지티브(positive) 타입의 포토레지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hotoresist is a positive type photoresist. ≪ RTI ID = 0.0 > 21. < / RTI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마스크는 복수의 제1 차단부, 상기 복수의 제1 차단부 각각을 둘러싸는 복수의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exposure mask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ortions, a plurality of openings surrou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ortions,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차단부는 원형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제1 차단부를 둘러싸는 링(ring)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blocking portions have a circular shape,
Wherein the plurality of openings are in the form of a ring surrounding the first blocking portions.
KR1020140192346A 2014-12-29 2014-12-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5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46A KR102345872B1 (en) 2014-12-29 2014-12-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46A KR102345872B1 (en) 2014-12-29 2014-12-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34A true KR20160080834A (en) 2016-07-08
KR102345872B1 KR102345872B1 (en) 2021-12-30

Family

ID=5650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346A KR102345872B1 (en) 2014-12-29 2014-12-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872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987A (en) * 2016-09-29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80073793A (en) * 2016-12-22 201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446626B2 (en) 2016-12-07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588572A1 (en) * 2018-06-26 2020-01-01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1613651A (en) * 2017-02-27 2020-09-01 乐金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916607B2 (en) 2017-01-12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EP3343659B1 (en) * 2016-12-29 2021-06-16 LG Display Co., Ltd.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EP3367457B1 (en) * 2017-02-24 2022-07-2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11613651B (en) * 2017-02-27 2024-06-07 乐金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661A (en) * 2002-02-28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image forming device using it, portable terminal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ch electroluminescence element
JP2004335470A (en) * 2003-05-07 2004-11-25 Lg Electron Inc Organic e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40136840A (en) * 2013-05-21 2014-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661A (en) * 2002-02-28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image forming device using it, portable terminal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ch electroluminescence element
JP2004335470A (en) * 2003-05-07 2004-11-25 Lg Electron Inc Organic el ele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40136840A (en) * 2013-05-21 2014-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5059B2 (en) 2016-09-29 2024-03-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electrode disposed over convex portions of insulating layer
KR20180035987A (en) * 2016-09-29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446626B2 (en) 2016-12-07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73793A (en) * 2016-12-22 201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P3343659B1 (en) * 2016-12-29 2021-06-16 LG Display Co., Ltd.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916607B2 (en) 2017-01-12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EP3367457B1 (en) * 2017-02-24 2022-07-2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P4099418A1 (en) * 2017-02-24 2022-12-0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11613651A (en) * 2017-02-27 2020-09-01 乐金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11613651B (en) * 2017-02-27 2024-06-07 乐金显示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991914B2 (en) 2018-06-26 2021-04-27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0649174A (en) * 2018-06-26 2020-01-03 乐金显示有限公司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4203650A1 (en) * 2018-06-26 2023-06-28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3588572A1 (en) * 2018-06-26 2020-01-01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872B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38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6486525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09524568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0875438B (en)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109585672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66682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2016008083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34289B2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958373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N111129270A (en) Miniature LED display device
JP2018081815A (en) Display device
US2015012395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400751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107403819B (en) Display device
CN112397547A (en) Display device
KR20230004383A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7002726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0854126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2746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0396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9728187B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80277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9856719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6004380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40186307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