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05A -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05A
KR20160071605A KR1020140178927A KR20140178927A KR20160071605A KR 20160071605 A KR20160071605 A KR 20160071605A KR 1020140178927 A KR1020140178927 A KR 1020140178927A KR 20140178927 A KR20140178927 A KR 20140178927A KR 20160071605 A KR20160071605 A KR 2016007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information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676B1 (ko
Inventor
조선남
김창옥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조선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남 filed Critical 조선남
Priority to KR102014017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676B1/ko
Priority to PCT/KR2015/006426 priority patent/WO2016093452A1/ko
Publication of KR2016007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를 따라 배치되며 배관부에 관련된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배관정보모듈; 상기 배관정보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리더부; 상기 배관부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추출하는 중앙서버; 상기 리더부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여 배관의 매설위치 및 배관의 상세한 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용이하게 파악해낼 수 있으며, 배관정보모듈이 지상에서 일정한 깊이에 매설되어 배관이 지중에 깊게 매설된 경우에도 리더부의 매설배관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MONITORING SYSTEM FOR PIPE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설배관의 매설 날짜, 매설 기관, 매설 깊이, 매설 위치, 매설 방향, 재질, 직경, 생산 정보 등 주요 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또는 상수도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배관은 금속소재로 제작되고, 지상에서 별도의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매설된 위치의 파악이 가능하다.
더 자세하게는, 배관은 전도체인 금속소재로 제작되어 고주파를 발신하는 발신기가 연결되고, 탐지장치에는 고주파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구비되어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고주파를 측정함으로써, 배관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도성의 금속소재로 제작된 배관은 관 내부를 흐르는 가스 또는 수돗물에 의해 산화되어 부식되거나, 유기물의 흡착에 의해 내부에 침전물이 쌓여 그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할 뿐 아니라, 수돗물이 오염될 수 있으며, 금속소재로 제작되어 자체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관에 비해 내식성과 내화학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된 배관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제작된 배관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서, 상술한 탐지장치를 이용한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배관의 매설 시, 배관의 상측에 금속 성질을 띠는 동선을 별도로 매설하여, 탐지장치를 통해 현재 배관이 매설된 위치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은 배관의 매설 후, 다시 동선을 매설해야하므로 작업이 복잡해지고, 매설된 동선이 외부요인에 의해 훼손되거나, 습기 등에 의해 산화되어 정확한 관로의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배관 매설시 배관에 RFID테그를 일정간격으로 장착하고 지상에서 RFID리더기를 통해 매설된 배관의 위치를 확인하기도 하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매설 배관이 일정깊이 이상 묻히게 되면 리더기를 통한 매설배관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8934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된 배관의 매설위치 및 배관의 상세한 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용이하게 파악해낼 수 있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배관이 지중에 깊게 매설된 경우에도 리더기를 통한 매설배관의 인식률이 향상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은 지중에 매설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를 따라 배치되며 배관부에 관련된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배관정보모듈; 상기 배관정보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리더부; 상기 배관부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선별하는 중앙서버; 상기 리더부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상기 배관부를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부; 상기 와이어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보호용하우징; 상기 보호용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부에 결속되는 한 쌍의 고정클립을 구비하는 와이어고정부;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용하우징에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해당 배관부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RFID칩 및 해당 배관부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GPS칩이 내재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보호용하우징에 고정되고 상호 이격되어 대칭구조를 갖으며 마주보는 면에 각각 와이어수용홈이 형성되고 그 끝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클립; 상기 한 쌍의 고정클립을 상호 가압하여 마감하는 가압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 끝단의 폭은 상기 와이어수용홈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가압커버는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수용홈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써,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상기 배관부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부와 지면 중 지면에 가깝게 매설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상기 배관부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부가 지중에 더 깊게 매설되더라도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지면과의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RFID칩에는 배관부의 관리정보가 저장되되,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배관부의 매설 날짜, 매설 기관, 매설 깊이, 매설 위치, 매설 방향, 재질, 직경, 생산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도록 구성되는 GPS수신부; 상기 촬영부의 광축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리더부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중앙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관리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응용프로그램;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증강현실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폰, 넷패드, 넷북, 노트북, 데스크탑 PC 중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리더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리더부로부터 인식된 식별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직접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은 배관부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배관정보모듈로부터 리더부를 통해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이와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중앙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말기를 통해 증강현실로 구현토록하여 배관의 매설위치 및 배관의 상세한 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용이하게 파악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정보모듈이 지상에서 일정한 깊이에 매설되어 배관이 지중에 깊게 매설된 경우에도 리더부의 매설배관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관정보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계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관정보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100), 배관정보모듈(200), 리더부(300), 중앙서버(500) 및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는 배관부(100)가 지중에 매설되고 해당 배관부(100)를 따라 그 상측에 매설되는 배관정보모듈(200)에는 그 하측의 배관부(100)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리더부(300)를 통해 상기 배관정보모듈(20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인식하게 되며, 상기 단말기(400)는 리더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하여 인식된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500)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중앙서버(500)에서는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배관부(100)의 관리정보를 추출하여 다시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다시 단말기(400)에서는 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별정보라 함은 배관부(100)에 부여되는 고유 코드의 개념으로써 배관부(100)의 시리얼넘버 등과 같은 단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고, 또한 관리정보라 함은 해당 배관부(100)의 상세정보로써, 일례로 배관부(100)의 매설 날짜, 매설 기관, 매설 깊이, 매설 위치, 매설 방향, 재질, 직경, 생산 정보 등 추후에 배관부(100)의 유지보수시 필요한 배관부(100)에 관한 주요정보 및 위치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에 있어서 배관부(10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 배관부(100)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을 포함함과 아울러 각종 건축물 상에 매설되는 배관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바이다.
이어, 상기 단말기(400)에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구성들에 의해 상기 배관부(100)의 관리정보들을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관한 주요 구성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관부(100)는 지중에 매설되는 각종 배관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배관부(100)의 재질은 금속재질을 포함함과 아울러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등의 합성수지소재를 고온/고압의 압출과정을 통해 내측이 관통된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배관부(100)는 내부로 상수, 하수, 가스 등과 같은 유체 및 전기 케이블 등과 같은 배전 선로가 지날 수 있고, 배관부(100)의 외면에는 필요에 따라 금속탐지장치를 통해 식별 가능한 금속탐지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의 형상은 사용상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관정보모듈(200)은 상기 배관부(100)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배관부(100)에 관련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리더부(300)를 통해 해당 배관부(100)에 관한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관정보모듈(20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100)의 상측으로 이격되며 배관부(10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보호용하우징(240)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용하우징(240)에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해당 배관부(1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RFID칩(210) 및 해당 배관부(1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GPS칩(220)이 내재된다.
상기 보호용하우징(240)은 내재된 RFID칩(210)과 GPS칩(220)에 작용하는 토압 및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경질의 박스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용하우징(240)에는 배관정보모듈(200)이 배관부(100) 상 위치에서 유실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부(260)가 보호용하우징(240)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부(260)와 보호용하우징(240)을 체결하도록 보호용하우징(240)에는 와이어고정부(250)가 일체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부(260)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 없으나 금속, 섬유, 합성수지 재질의 와이어가 적용가능한데 이때, 와이어는 강성이 개선되도록 여러 가닥이 꼬아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표면에는 방청코팅 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부(260)는 상기 배관부(100)를 따라 그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배관부(100)를 매설한 후 배관부(100)에 일정깊이로 1차 복토를 한 후, 상기 와이어부(260)를 배치시킨 후 와이어고정부(250)를 통해 보호용하우징(240)에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고정부(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용하우징(24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클립(2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클립(251) 간 사이에 와이어부(26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보호용하우징(240)과 와이어부(260) 간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한 결합관계를 갖도록 구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클립(251)은 탄성재질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고정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251)과 가압커버(25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클립(251)은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한 쌍의 고정클립(251)이 보호용하우징(240)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클립(251)은 한 쌍이 상호 이격되는 대칭구조로 고정되고 그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와이어부(260)가 체결되도록 와이어수용홈(252)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수용홈(252)으로부터 그 끝단을 향해 폭이 확장되는 가이드홈(25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253)은 끝단은 넓고 그 중심인 내측으로 좁아지는 경사면(254)을 형성함으로써 깔때기와 같은 원리로 와이어부(260)와 와이어고정부(250) 간의 결합시 상기 경사면(254)을 따라 와이어부(260)가 가이드되어 상기 와이어수용홈(252)까지 원활히 안내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커버(255)는 상기 한 쌍의 고정클립(251)을 상호 가압하여 마감하도록 구성하여 내측에 와이어부(260)가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부(260)와 보호용하우징(240) 간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보호용하우징(240)이 이탈 및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커버(255)는 상기 고정클립(251)과 나사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정보모듈(200)은 상기 배관부(100)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정보모듈(200)과 지면 간의 거리를 'a'라 정의하고, 상기 배관부(100)와 배관정보모듈(200) 간 거리를 'b'라 정의하였을때 a가 b 보다 작게 구성하여, 즉 배관정보모듈(200)의 매설위치는 배관부(100) 보다 지면에 가깝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관의 상측에 배치되는 배관정보모듈(200)의 깊이가 소정깊이 이상 깊어질 경우 상기 리더부(300)와 배관정보모듈(200) 간에 통신이 어려워 식별정보를 파악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게 되는 상기와 같이 배관정보모듈(200)이 지면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여 리더부(300)와 배관정보모듈(200) 간의 통신 환경이 항상 원활토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 및 환경의 특성에 따라 배관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 바, 이렇게 배관부(100)가 지중에 더 깊게 매설되더라도 상기 배관정보모듈(200)은 지면과의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도록, 즉 상기 배관부(100)와 배관정보모듈(200) 간 거리 'a' 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어 리더부(300)와 배관정보모듈(200) 간 원활한 통신환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부(100)를 매설하여 1차 복토가 이루어진 후 상기 실시 예와 같이 배관정보모듈(200)을 설치한 후 2차 복토 및 지면 마감 등을 시공하여 배관정보모듈(200)도 지중에 매립되게 된다.
한편, 다시 도 1에 도시된 상기 리더부(300)는 지상에서 근거리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정보모듈(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수단으로써, 그 통신 방법으로는 RFID, 블루투스, 지그비 통신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그 일례로써 상기 리더부(300)로는 RFID리더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정보모듈(200)에는 상기 배관부(100)에 관련된 식별정보를 리더부(3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RFID칩(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500)는 상기 배관부(1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400)는 상기 리더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리더부(3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버(500)로 전송하고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서버(500)로부터 해당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말기(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410), GPS수신부(420), 자이로센서(430), 응용프로그램(450), 통신부(440) 및 표시부(4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중앙서버(500)로부터 수신된 관리정보를 토대로 하여 배관부(100)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460)에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배관부(100)의 매설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 기술은 단말기(400)의 표시부(460)로 실세계와 생생한 사이버 세계를 혼합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불가능한 영상표현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증강현실 기술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로서 실세계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하는데, 이때 실세계와의 상호작용을 배제하고 오직 미리 구축해 놓은 가상공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실시간 처리를 바탕으로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이를 증강정보라 함)가 단말기(4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450)을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되고, 실제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실세계 관찰 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2D/3D의 가상 이미지의 가상현실과 현실의 실제 환경 영상 이미지(이하, 실사 영상이라 한다.)의 결합된 가시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술을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접목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는 단말기(400)에 구비된 촬영부(410)를 이용하여 촬영한 실사 영상에 중앙서버(500)에서 생성한 배관부(100)에 관한 정보를 합성하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실사 영상과 함께 실사 영상에 포함된 배관부(100)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부(460) 상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한다.
상기 촬영부(410)는 영상을 촬영하는 수단인 것으로, 이러한 촬영부(41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센서(미도시)와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GPS수신부(420)는 안테나를 통하여 GPS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단말기(400)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즉, 단말기(400)는 내장된 GPS수신부(420)를 통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측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400)는 자세 측위 장치로서 상기 자이로센서(4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자이로센서(430)는 단말기(400)의 자세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촬영부(410)의 광축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하여 촬영부(4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관리정보가 정확히 표시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배관부(100)의 유지보수 등을 위한 굴착시 오차 없이 정확한 위치를 굴착하여 시공에 효율성을 배가시킨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측위 정보와 자이로 센서의 자세 정보는 이미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통신부(440)는 상기 리더부(30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중앙서버(500)와 통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전송받는 수단이 된다.
상기 응용프로그램(450)은 단말기(400) 상에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450)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촬영부(4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상기 중앙서버(500)로부터 전송받은 관리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게 되는데, 이는 미리 구축된 실세계 정보(이를 증강정보라 함)가 단말기(4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450)을 통해 실제로 관찰되는 실세계의 영상에 겹쳐서 표현되고, 실제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실세계 관찰 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편리한 상황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46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450)을 통해 구현되는 증강현실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400)는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폰, 넷패드, 넷북, 노트북, 데스크탑 PC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리더부(300)로부터 인식된 식별정보는 상기 표시부(460)에 직접 표시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은 새로 매설되는 배관부(100)에 있어서 그 해당 관리정보를 중앙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단말기(400) 상에 증강현실로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 매설된 각종 배관에 대해서도 단말기(400) 상에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구성시킴이 타당하다.
이때, 상기 중앙서버(500)에는 GIS 기반의 기 매설된 배관의 경로정보(미도시)가 추가로 저장되며 또한 저장된 배관의 경로정보는 일정기간별로 업데이트 등의 관리가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 경로정보는 기 매설된 배관의 시작점 및 끝점을 연결하는 등의 방식으로 지중의 배관 경로가 선으로써 표시되는 정보를 뜻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500)는 상기 단말기(400)의 요청시 상기 배관 경로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응용프로그램(450)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된 배관 경로정보를 증강현실에 매칭하여 상기 표시부(46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기 매설된 배관의 경로정보가 단말기(400)로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배관부 200 : 배관정보모듈
300 : 리더부 400 : 단말기
500 : 중앙서버

Claims (12)

  1. 지중에 매설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를 따라 배치되며 배관부에 관련된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배관정보모듈;
    상기 배관정보모듈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리더부;
    상기 배관부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추출하는 중앙서버;
    상기 리더부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로부터 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상기 배관부의 상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배관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호용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용하우징에는 그 하부에 배치되는 해당 배관부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RFID칩 및 해당 배관부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GPS칩이 내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하우징에는 와이어고정부가 구성되고,
    상기 보호용하우징을 따라 와이어부를 배치시키되,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와이어고정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보호용하우징에 상호 이격되는 대칭구조로 고정되고 그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상기 와이어부가 체결되도록 와이어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수용홈으로부터 그 끝단을 향해 폭이 확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클립;
    상기 한 쌍의 고정클립을 상호 가압하면서 체결되는 가압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와이어수용홈과 인접하는 내측 폭이 상기 와이어수용홈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가압커버는 상기 고정클립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수용홈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상기 배관부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부와 지면 중 지면에 가깝게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상기 배관부를 따라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부의 깊이가 변하더라도 상기 배관정보모듈은 지면과의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FID칩에는 배관부의 관리정보가 저장되되,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배관부의 매설 날짜, 매설 기관, 매설 깊이, 매설 위치, 매설 방향, 재질, 직경, 생산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위하도록 구성되는 GPS수신부;
    상기 촬영부의 광축방향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리더부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중앙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관리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관리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응용프로그램;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증강현실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폰, 넷패드, 넷북, 노트북, 데스크탑 PC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리더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부로부터 인식된 식별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직접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GIS기반의 배관 경로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배관 경로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된 배관 경로정보를 증강현실에 매칭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KR1020140178927A 2014-12-12 2014-12-12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KR10169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27A KR101696676B1 (ko) 2014-12-12 2014-12-12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PCT/KR2015/006426 WO2016093452A1 (ko) 2014-12-12 2015-06-24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27A KR101696676B1 (ko) 2014-12-12 2014-12-12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05A true KR20160071605A (ko) 2016-06-22
KR101696676B1 KR101696676B1 (ko) 2017-01-19

Family

ID=5636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927A KR101696676B1 (ko) 2014-12-12 2014-12-12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6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56B1 (ko) * 2016-09-13 2018-07-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지 보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76956B1 (ko) * 2016-12-31 2018-08-09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로 누수감지를 인지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
KR20190059120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아이엠알 사물인터넷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494B1 (ko) 2020-11-26 2023-07-05 주식회사 아이지아이에스 드론을 활용한 상수도관로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34Y1 (ko) 2002-03-16 2002-06-21 안영진 와이어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매설관
KR100992619B1 (ko) * 2010-06-21 2010-11-05 (주)안세기술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상에서 모바일단말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KR20130010067A (ko) * 2012-12-24 2013-01-25 중앙항업(주) 전자인식표시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435997B1 (ko) * 2014-01-16 2014-11-04 조선남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34Y1 (ko) 2002-03-16 2002-06-21 안영진 와이어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매설관
KR100992619B1 (ko) * 2010-06-21 2010-11-05 (주)안세기술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상에서 모바일단말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정보제공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
KR20130010067A (ko) * 2012-12-24 2013-01-25 중앙항업(주) 전자인식표시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KR101435997B1 (ko) * 2014-01-16 2014-11-04 조선남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856B1 (ko) * 2016-09-13 2018-07-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지 보수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76956B1 (ko) * 2016-12-31 2018-08-09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증강현실로 누수감지를 인지할 수 있는 증강현실 시스템
KR20190059120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아이엠알 사물인터넷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676B1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676B1 (ko) 증강현실을 통해 매설배관의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US1147427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ty locating in a multi-utility environment
US11333786B1 (en) Buried utility mark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686878B1 (en) Electromagnetic marker devices for buried or hidden use
KR101435997B1 (ko) 매설위치 및 관로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매설배관
US10777919B1 (en) Multifunction buried utility locating clips
WO2016093452A1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96675B1 (ko) 매설 배관의 누수 검지 시스템
WO2011044068A3 (en) System for and method of network asset identification
US20170343678A1 (en) Magnetic locator for gnss device
WO2016115305A3 (en) Ocean sensor system
AU2012250766A1 (en) Mark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including optical flow-based dead reckoning features
WO2015069523A3 (en) Granular asset tracking using landmark tags
KR101496446B1 (ko) 무선주파수 인식 방식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337722B1 (ko) 전자인식표시기를 이용한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WO2017171281A3 (ko) Lpwa(low-power wide-area) 네트워크 기반의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맨홀 커버
KR101597723B1 (ko) 맨홀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WO2017142483A3 (en) Optoelectronic systems
JP2014075714A (ja) 測位方法、測位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689735B1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중선로 표지기 및 상기 지중선로 표지기의 관리시스템
KR101550855B1 (ko) 자기마커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197246A (zh) 一种地下管线电子地图管理***
Li et al. On intelligent earth observation systems
CN104090304A (zh) 直接对非金属管线远距离探测的方法及***
KR20240085912A (ko)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