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156A - 안테나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테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156A
KR20160063156A KR1020140166814A KR20140166814A KR20160063156A KR 20160063156 A KR20160063156 A KR 20160063156A KR 1020140166814 A KR1020140166814 A KR 1020140166814A KR 20140166814 A KR20140166814 A KR 20140166814A KR 20160063156 A KR20160063156 A KR 20160063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attern
antenna
terminal
base structure
connec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928B1 (ko
Inventor
전찬익
정해영
김청수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4016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체는 베이스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Antenna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테나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패턴을 용이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 안테나 구조체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97414(공개일자 2011년08월31일)에는 안테나 패턴을 이루는 방사체가 전자 장치 케이스에 몰드 사출 성형되어 매립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75813(공개일자 2009년07월09일)에는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활성화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미감의 향상을 위해 점차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경향에 있다. 그리고 안테나 구조체는 종래보다 향상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 및 박형화된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고,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구현하는 것은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전자 장치라 할지라도 사용되는 지역 및 연동되는 통신망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안테나 구조체가 탑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나의 종류의 전자 장치에서도 안테나가 다양한 패턴과 형태를 가지도록 수정 및 변경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테나 구조체는 안테나 패턴의 수정 및 변경이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소형화되고 박형화된 전자 장치에 탑재되어도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전자 장치의 접지면과 최대한의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송수신 성능이 우수한 안테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간소한 방법으로 안테나 패턴 및 형상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안테나 패턴 및 형상을 가지면서도 안테나 패턴의 일부가 형성된 전자 장치의 케이스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체는, 베이스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제1 안테나 페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연결단은 솔더 또는 도전성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솔더 또는 도전성 접착제 주변에서 형성된 비도전성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는 베이스 구조물의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제1 면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제2 면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단은 상기 제2 면의 표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상기 연결단 주변은 비전도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내부에 부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단은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내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딩 단자 또는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과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2 면의 내부면에서 외부면까지 연장되는 금속부재의 양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과 상기 단자부는 비전도성 수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내부에 부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면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직교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를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는 연성 필름 상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성 필름은 상기 연성 필름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트레이스가 형성되지 않은 예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은, 제1 면의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을 마련하는 단계,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다른 형상의 제3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 중 하나의 제2 면에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 중 다른 하나의 제2 면에 상기 제3 안테나 패턴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3 안테나 패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2 안테나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내부에 부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를 결합시키는 것은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상기 연결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단자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제2 면의 내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딩 단자 또는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는 연성 필름 상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연성 필름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는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소형화되고 박형화된 전자 장치에 탑재되어도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는 전자 장치의 접지면과 최대한의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송수신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는 간소한 방법으로 안테나 패턴 및 형상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는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안테나 패턴 및 형상을 가지면서도 안테나 패턴의 일부가 형성된 전자 장치의 케이스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을 마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제2 안테나 패턴을 마련하는 단계 및 연결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제3 안테나 패턴을 마련하는 단계 및 연결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 및 제2 안테나 패턴부(20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부(100, 20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안테나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부(100, 200)가 형성하는 안테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구조일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 구조, 모노폴 안테나 구조, 헬리컬 안테나 구조, 스트립 안테나 구조, 역 F 안테나 구조, 평면 역 F 안테나 구조, 패치 안테나 구조, 루프 안테나 구조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안테나 구조를 갖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구조체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구조체는 850MHz, 900MHz, 1800MHz, 1900MHz 및 2100MHz와 같은 셀룰러 전화 대역과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통신 대역, 2.4Ghz 및 5GHz와 같은 통신을 위한 대역, 2.4GHz와 같은 통신을 위한 대역, 1575MHz와 같은 전지구 위치확인 시스템(GPS) 통신을 위한 대역 및 13.56MHz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또는 안테나 구조체가 특정 주파수 대역을 커버한다는 것은 안테나 또는 안테나 구조체가 상기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안테나 또는 안테나 구조체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요구하는 송수신 성능을 만족시키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송수신 성능은 주파수에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또는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통상적으로 요구하는 송수신 성능은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압정재파비가 2:1이하를 요구하는 것일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는 전자 장치에 탑재되어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전자 장치는 핸드-헬드(hand-held)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셀룰러 전화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헤드폰 장치, 착용가능한(wearable) 형태의 전자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적어도 일 형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자동차, 가전 제품, 전기 제품, 기계 장치, 가구 제품 등이 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구조물(150)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150)은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케이스 부분과 결합하여 부품, 소자 및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150)에 있어서 수용 공간(S)과 맞닿는 부분을 내부면(151)으로, 그 반대면을 외부면(152)으로 정할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150)의 외부면(152)은 전자 장치의 최외측을 이룰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구조물(150)은 전자 장치의 배면(rear) 케이스일 수 있고, 베이스 구조물(150)의 외부면(152)은 전자 장치의 배면 최외측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베이스 구조물(150)의 외부면(152)은 그 외측에 추가적으로 덮이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구조물(150)은 탈착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배면(rear) 케이스이고, 베이스 구조물(150)에 배터리를 덮을 수 있도록 추가적인 배터리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구조물(150)의 외부면(152)은 배터리 커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 구조물(150)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하여 부품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80) 부분인 전자 장치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베이스 구조물(150)이 전자 장치의 측면과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150)은 제1 면(160)과 제2 면(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170)은 제1 면(16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면(160)과 제2 면(170)은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1 면(160)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고, 제2 면(170)은 전자 장치 케이스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1 면(160)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제1 안테나 패턴부(100) 주변의 베이스 구조물(150)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1 안테나 패턴부(100)를 주변의 다른 베이스 구조물(150)로부터 전기적으로 고립시킬 수 있다. 다만, 후술할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제외한다.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 주변의 베이스 구조물(150)의 일부로 형성되고,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도전성 재질은 플라스틱, 유리 또는 세라믹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는 구리,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주석, 니켈, 금, 은 등의 도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테나 패턴부(100) 제2 안테나 패턴부(200)와 결합하여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하도록 소정의 길이 및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1 안테나 패턴부(10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베이스 구조물(150) 상에 형성되는데, 베이스 구조물(150)의 일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단(110)에 연결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 및 단자부(120)에 연결되는 연결 단자(193)가 베이스 구조물(150)의 일 표면 상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단(110)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단(110)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외부면(152)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단(110)은 제1 안테나 패턴부(100) 중 제2 면(170)과 맞닿는 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단(110)에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결합되어,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와 연결단(110)은 솔더(111) 또는 도전성 접착제(11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111)는 예를 들어, ACA, ACF가 사용될 수 있다.
단자부(12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2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내부면(151)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자부(12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 중 제2 면(170)과 맞닿는 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12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안테나의 피딩 단자 또는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자부(120)가 둘 이상 형성되어,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연결단(110)과 단자부(120)는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과 단자부(12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내부면(151)에서 외부면(152)까지 연장되는 금속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 부재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외부면(152)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연결단(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 부재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내부면(151)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단자부(120)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과 단자부(120)와 인접한 주변은 제1 안테나 패턴부(10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도전성 재질은 플라스틱, 유리 또는 세라믹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결합하여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하도록 소정의 길이 및 형태를 가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연성 필름(201)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2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연성 필름(201)은 폴리이미드 또는 PET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트레이스는 연성 필름(201)의 표면 또는 내부에 형성된 구리,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주석, 니켈, 금, 은 등의 도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성 트레이스(200)는 연성 필름(201)의 일부의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고, 연성 필름(201)의 일단측에는 도전성 트레이스(200)가 형성되지 않은 예비 영역(202)이 존재할 수 있다. 예비 영역(202)은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연결단(110)과 결합되는 경우, 연결단(110)과 결합되는 단자(21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비 영역(202)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3 안테나 패턴부(300)가 제2 안테나 패턴부(200)와 동일한 형태의 연성 필름(301) 상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300)이면서, 제2 안테나 패턴부(200)보다 더 긴 길이의 패턴을 가지는 경우 제3 안테나 패턴부(300)가 형성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테나 패턴부(200)에서는 예비 영역(202)이 확보되어 있고, 제2 안테나 패턴부(200)보다 더 긴 패턴의 길이를 가지는 제3 안테나 패턴부(300)에서는 제2 안테나 패턴의 예비 영역(202)에 대응되는 부분에도 도전성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외부면(15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단자(210)가 제2 면(170)의 외부면(152)으로 노출된 연결단(110)과 결합되고, 단자 외의 나머지 부분도 연결단(110) 주변의 제2 면(170)의 외부면(15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결합되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은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결합되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 부분이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경우,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방사 성능을 떨어뜨려 안테나의 송수신 성능을 저해할 수 있다.
통상적인 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의 송수신 성능 확보를 위해서 안테나의 방사 패턴과 접지면 또는 도전성면은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최근의 전자 장치는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부품 및 소자들이 집적화되어 수용 공간(S)에 수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안테나 패턴과 전자 장치의 접지면 및 다른 부품, 소자 사이에서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난해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전자 장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외부면(152)에 결합되는 것은 베이스 구조물(150)의 내부면(151)에 결합되는 것보다 베이스 구조물(150)의 두께(h)만큼의 이격 거리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커버부(400)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커버부(400)는 베이스 구조물(150) 외부면(152)에 결합된 제2 안테나 패턴부(200)를 덮도록 형성되어,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400)는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연결단(110)과 결합하는 단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는 연결단(110)과 맞닿으며 결합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와 연결단(110)은 솔더(111) 또는 도전성 접착제(1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와 연결단(110)이 솔더(111)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와 연결단(110) 사이에 응고된 고체 상태의 솔더(111)가 위치하고,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와 연결단(110)이 맞닿도록 결합되고, 외부에서 고체 상태의 솔더(111)에 열이 가해 솔더(111)를 액체 상태로 융해시켜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 및 연결단(110)과 결합키시고, 다시 솔더(111)를 고체 상태로 응고시키는 과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체 상태의 솔더(111)에 열이 가해 액체 상태로 융해시키는 것은 열풍,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가해 융해시킬 수 있다. 레이저가 가해지는 경우, 레이저가 연결단(110)과 결합된 제2 안테나 패턴부(200) 부분에 조사되어 그 열이 솔더(111)까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단(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 주변은 연결단(110) 주변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 주변은 연결단(110) 주변의 결합은 비도전성 접착제(11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비도전성 접착제(113)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비도전성 접착제(113)는 도전성 접착제보다 결합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솔더(111) 또는 도전성 접착제 등을 통해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단자(210)와 연결단(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주변부가 비도전성 접착제(113)로 결합되어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1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안테나 패턴부(100)의 전기적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고, 제1 안테나가 특정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안테나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안테나는 상술한 단자부(120)를 통해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는 단자부(120)를 통해 전자 장치가 포함하는 신호처리 장치(190), 무선통신 장치(190), 제어 장치(190) 및 접지면(191)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첨부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 및 제3 안테나 패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안테나 패턴부(300)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와 패턴의 형상만 다르고, 다른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안테나 패턴부(300)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와 마찬가지로 연성 필름(301)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300)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패턴부(300)의 도전성 트레이스(300)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도전성 트레이스(200)보다 전기적 길이가 더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형성된 연성 필름(201)과 제3 안테나 패턴부(300)가 형성된 연성 필름(301)은 그 형태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안테나 패턴부(300)에 있어서,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도전성 트레이스(200)보다 추가되는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2 안테나 패턴부(200)의 연성 필름(201)의 예비 영역(202)에 해당하는 부분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구조물(150)에 있어서,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200, 300)가 형성된 연성 필름(201)과 부착되는 부분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3 안테나 패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2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안테나는 제1 및 제2 안테나 패턴부(100, 200)가 형성하는 제1 안테나보다 전기적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테나는 제1 안테나와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테나는 제1 안테나가 커버하는 주파수 대역보다 주파수가 낮은 대역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형태의 제1 안테나 패턴부(100)를 포함하는 베이스 구조물(150)에 있어서, 안테나 패턴이 다른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200, 30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적 길이가 다르고, 커버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른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 구조물(150)에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부(100)보다 상대적으로 수정 및 변경이 쉬운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200, 300)만을 변경하여 전체적인 안테나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안테나는 주변의 장치, 부품, 소자, 기구 또는 환경 등에 의해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안테나는 전자 장치의 개발 및 설계 과정에서 다른 부분의 변경에 따라 지속적으로 패턴 및 형상의 수정 및 변경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수정 및 변경이 쉬운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200, 300)만을 변경하여, 안테나의 패턴 및 형상의 수정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형태의 전자 장치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전자 장치라 하더라도 사용되는 지역 또는 연동되는 통신망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에 탑재되는 안테나의 패턴 및 형상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수정 및 변경이 쉬운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200, 300)만을 변경하여, 안테나의 패턴 및 형상의 수정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구조물(150)을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전자 장치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하, 첨부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안테나 패턴부(25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 강은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가진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1 안테나 패턴부(10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는 베이스 구조물(150) 상에 형성되는데, 베이스 구조물(150)의 일 표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단(110)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외부면(152)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12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120)는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내부면(151)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과 단자부(120)는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과 단자부(120)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단(110)과 단자부(120) 사이는 비전도성 수지재가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와 주변의 비전도성 수지재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구조물(150)에 있어서, 제1 안테나 패턴부(100), 연결단(110) 및 단자부(120) 등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부분과 주변의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부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을 마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제2 안테나 패턴을 마련하는 단계 및 연결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의 제3 안테나 패턴을 마련하는 단계 및 연결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안테나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안테나 구조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 중 일부는 생략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을 마련하는 단계(S100), 제2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S200), 제3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S300), 제2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S400) 및 제3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각 단계는 반드시 나열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특별한 인과관계가 없으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선호에 의해서 각 단계의 수행되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을 마련하는 단계(S100)는 제1 면(160)의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부(100)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면(160)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면(170)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150)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150)이 포함하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된다. 도 9에는 베이스 구조물(150)이 2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이상일 수 있다.
베이스 구조물(150)은 내부에 부품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구조물(150)은 제1 안테나 패턴부(10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제2 면(170)의 외부면(152)으로 노출되는 연결단(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구조물(150)은 단자부(120)와 대향하는 위치의 제2 면(170)의 내부면(151)으로 노출되고,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딩 단자 또는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하는 단자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S20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도 10에는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연성 필름(201)에 형성된 도체 트레이스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된 평판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S400)는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150) 중 하나의 제2 면(170)에 제2 안테나 패턴부(200)를 결합시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1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를 연결시키는 것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외부면(152)에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200)를 연결시키는 것은 제2 면(170)의 외부면(152)으로 노출되는 연결단(110)을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S400)를 제3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S300)보다 먼저 설명했지만, 제2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S400)가 제3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S300)보다 반드시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S30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되, 제2 안테나 패턴부(200)와 다른 형상의 제3 안테나 패턴부(300)를 마련하는 단계 이다. 도 11에는 제3 안테나 패턴부(300)가 연성 필름(201)에 형성된 도체 트레이스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안테나 패턴부(200)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된 평판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안테나 패턴부를 연결시키는 단계(S500)는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150) 중 다른 하나의 제2 면(170)에 제3 안테나 패턴부(300)를 결합시켜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3 안테나 패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1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안테나 패턴부(300)를 연결시키는 것은 베이스 구조물(150)의 제2 면(170)의 외부면(152)에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3 안테나 패턴부(300)를 연결시키는 것은 제2 면(170)의 외부면(152)으로 노출되는 연결단(110)을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2 안테나 패턴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안테나는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제3 안테나 패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2 안테나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테나가 형성된 베이스 구조물(150)은 제1 안테나가 커버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전자 장치로 형성되고, 제2 안테나가 형성된 베이스 구조물(150)은 제2 안테나가 커버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되는 전자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200, 300)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4, 제5 안테나 패턴부 등이 마련될 수 있고, 제4, 제5 안테나 패턴부 등이 제1 안테나 패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또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안테나 패턴부 110: 연결단
120: 단자부 150: 베이스 구조물
200: 제2 안테나 패턴부 300: 제3 안테나 패턴부
400: 커버부

Claims (24)

  1. 베이스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부; 및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연결단은 솔더 또는 도전성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합되는 안테나 구조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또는 도전성 접착제 주변에서 형성된 비도전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는 베이스 구조물의 제1 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는 상기 제1 면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 구조물의 제2 면과 결합되는 안테나 구조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단은 상기 제2 면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안테나 구조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상기 연결단 주변은 비전도성 수지재로 형성된 안테나 구조체.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내부에 부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안테나 구조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결합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단은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안테나 구조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의 내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딩 단자 또는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과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2 면의 내부면에서 외부면까지 연장되는 금속부재의 양단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구조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과 상기 단자부는 비전도성 수지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안테나 구조체.
  13.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안테나 구조체.
  1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내부에 부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면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직교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 구조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를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는 연성 필름 상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로 형성되는 안테나 구조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필름은 상기 연성 필름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트레이스가 형성되지 않은 예비 영역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구조체.
  19. 제1 면의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안테나 패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을 마련하는 단계;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와 다른 형상의 제3 안테나 패턴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 중 하나의 제2 면에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 구조물 중 다른 하나의 제2 면에 상기 제3 안테나 패턴부를 결합시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2 안테나 패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3 안테나 패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2 안테나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내부에 부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를 결합시키는 것은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에 결합시키는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면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연결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상기 연결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시키는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단자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제2 면의 내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딩 단자 또는 접지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 기능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24.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는 연성 필름 상에 형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로 형성되되,
    상기 제2 및 제3 안테나 패턴부가 형성되는 연성 필름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140166814A 2014-11-26 2014-11-26 안테나 구조체 KR10164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14A KR101643928B1 (ko) 2014-11-26 2014-11-26 안테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14A KR101643928B1 (ko) 2014-11-26 2014-11-26 안테나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995A Division KR101651902B1 (ko) 2015-12-29 2015-12-29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156A true KR20160063156A (ko) 2016-06-03
KR101643928B1 KR101643928B1 (ko) 2016-07-29

Family

ID=5619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814A KR101643928B1 (ko) 2014-11-26 2014-11-26 안테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413B1 (ko) 2018-08-24 2020-03-25 (주)파트론 전자 기기
KR102085251B1 (ko) 2018-08-24 2020-03-05 (주)파트론 전자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94A (ko) * 2005-04-07 2006-10-1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다중 대역 모노폴 안테나
KR20110030906A (ko) * 2009-09-18 2011-03-24 (주)파트론 내장형 안테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92054B1 (ko) * 2010-01-07 2012-10-1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이중 급전 이중 대역 안테나 어셈블리 및 연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94A (ko) * 2005-04-07 2006-10-1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다중 대역 모노폴 안테나
KR20110030906A (ko) * 2009-09-18 2011-03-24 (주)파트론 내장형 안테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92054B1 (ko) * 2010-01-07 2012-10-1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이중 급전 이중 대역 안테나 어셈블리 및 연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928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7434B2 (en) Built-in antenna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9263799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1887934B1 (ko)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5996808B2 (ja) 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マルチレイヤ3次元アンテナキャリア構成
TWI518984B (zh) 用於電子裝置之同軸纜線天線模組
CN103488076A (zh) 智能手表表带、智能手表及柔性电路板天线的装配方法
US9362611B2 (en) Internal antenna of mobile terminal
WO2003071629A1 (en) Built-i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I403021B (zh) 載具和裝置
KR100666047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루투스용 방사체를 갖는 내장형안테나 모듈
US20170033438A1 (en) Mobile terminal device
US85817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module
CN108736131B (zh) 天线组件以及电子装置
KR101643928B1 (ko) 안테나 구조체
KR20130033091A (ko) 무선통신기기에 설치되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1902B1 (ko)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630126B1 (ko)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643926B1 (ko) 안테나 구조물
KR101305283B1 (ko)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TWI573322B (zh) 天線組件及具有該天線組件之無線通訊裝置
KR101608438B1 (ko) 메탈 케이싱을 갖는 휴대용 단말 장치
KR101681902B1 (ko) 안테나 구조체
KR101651903B1 (ko) 안테나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389904B1 (ko) 전자 장치
CN112886212B (zh) 穿戴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