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778A -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778A
KR20160056778A KR1020150111208A KR20150111208A KR20160056778A KR 20160056778 A KR20160056778 A KR 20160056778A KR 1020150111208 A KR1020150111208 A KR 1020150111208A KR 20150111208 A KR20150111208 A KR 20150111208A KR 20160056778 A KR20160056778 A KR 20160056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mobile device
displayed
interfa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웨이 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37,43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49652B2/en
Publication of KR2016005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이 제공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화 상태에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잠금 상태일 때,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에 따라, 제 2 영역에 상기 통화 상태와 관련되는 복수의 동작 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METHOD FOR USER INTERFACE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본 개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TS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키패드의 키 입력을 통한 사용자 입력 방법에 비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화통화 중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의 처리를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얼굴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촉되더라도, 입력이 제한된다. 따라서, 전화통화 중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메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이 여러 구역으로 나눠져 있더라도 전화통화 중에 메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든 터치스크린을 활성화해야 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커버를 열고 정보를 입력해야만 했다.
따라서, 전화 통화 중 터치 스크린의 각 영역에 다른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필요가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시킬 필요가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이 두 영역으로 구분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화 통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의 두 영역 모두 잠금 상태일 때, 사용자로부터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영역에 통화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통화 상태인 경우, 제 2 영역에는 복수의 메뉴에 대응되는 문자들 및 서비스 컨텐츠가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화 상태에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잠금 상태일 때,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에 따라, 제 2 영역에 통화 상태와 관련되는 복수의 동작 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때, 제 1 영역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 2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콘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작 키는, 한 개 이상의 기능 키와 한 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고,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한 개 이상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제 1 윈도우와 한 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는 제 2 윈도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제 2 영역의 크기, 제 2 영역의 모양,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제 2 영역이 가지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한 손 조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 2 영역에는 복수의 동작 키들 중 자주 사용되는 동작 키들이 구별되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수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기 입력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로 또는 세로로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방향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상태가,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통화인 경우,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응되는 문자들 및 서비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에는, 소정의 시퀀스 키가 표시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소정의 시퀀스 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소정의 시퀀스 키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화 상태에 있는 상대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서비스 컨텐츠의 이름이 한번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 서비스 컨텐츠의 이름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윈도우와 상기 제 2 윈도우는 서로 겹쳐져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동작 키와 관련되는 축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축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동작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 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윈도우 및 제 2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한 개 이상의 기능 키 및 상기 한 개 이상의 문자 키 이외의 새로운 기능 키 또는 새로운 문자 키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화 상태에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잠금 상태일 때,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감지하고,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제 1 영역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2 영역에 통화 상태와 관련되는 복수의 동작 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로 다른 터치 스크린이거나, 물리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가 있는 경우, 제 2 영역은, 터치 스크린이 커버에 의해 닫힐 때,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화 통화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화 통화 중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영역(120)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손 조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 2 영역(120)에 자주 사용되는 동작 키들이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수기 조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 2 영역(120)에 수기 입력 영역(410)이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로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제 2 영역(12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방향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통화 중인 경우, 제 2 영역(120)에 복수의 메뉴에 대응되는 문자들 및 서비스 컨텐츠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시퀀스가 저장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시퀀스를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영역(120)내 제 1 윈도우(810)와 제 2 윈도우(820)가 확장이 가능하여 서로 겹쳐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영역(12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축 숨김 동작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영역(120)에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키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 2 영역(120)이 되는 경우, 제 2 영역(120)에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도 1a 또는 도 1b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랩톱 컴퓨터, 타블렛 컴퓨터, POS, 온보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장치, 전자책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두 영역의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멀티 스크린 슬라이드폰, 멀티 스크린 플립폰, 커브 스크린 핸드폰, 구부릴 수 있는 핸드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은, 평면 스크린 또는 커브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flexible) 스크린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영역(110)은 보통 제 2 영역(120)보다 큰 영역이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10)은 터치 스크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메인 스크린일 수 있다. 반면에, 제 2 영역(120)은 터치 스크린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부차적인 스크린일 수 있다. 이때 작은 영역에서 부차적인 스크린을 동작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전체 전력 소비는 크게 감소되고, 사용자 정보는 더욱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2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는 제 1 영역(11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와 다를 수 있다. 제 2 영역(12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는 제 1 영역(110)의 인터페이스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10)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은 보통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이고, 제 2 영역(120)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반사에 영향 받지 않고 밝은 곳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e-ink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디바이스(100)의 터치 스크린을 덮음으로써 디바이스(100)의 터치 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한 물체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커버는 터치 스크린에 전기적 또는 비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의 윈도우는 커버가 닫혔을 때,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을 말한다.
본 개시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입력 모드가 변경된다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 및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모드가 변경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센서들 중 일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 모드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 입력을 상이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입력 모드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축 인터페이스”란, 전화통화 중에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통화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화 통화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를 포함한다.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은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10)은 사용자가 대부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스크린이 될 수 있고, 제 2 영역(120)은 제 1 영역(110)과 새로운 메세지 통지와 같은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이드 스크린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10)과 상기 제 2 영역(120)은 물리적으로 통합된 스크린 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영역(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 2 영역(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 2 영역(12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오른쪽 가장자리에 표시되어 있지만, 제 2 영역(120)은 왼쪽, 위, 아래 가장자리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여러 가장자리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영역(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인 스크린일 수 있고, 제 2 영역(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커버가 닫혔을 때, 커버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메인 스크린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인 스크린일 수 있고, 제 2 영역(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뒷면에 e-ink 스크린을 가진다면, 제 1 영역(11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인 스크린일 수 있고, 제 2 영역(120)은 e-ink 스크린일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화 중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 스크린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의 제 1 영역(110) 및 제 2 영역(120)을 잠금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영역(120)에는 도 1b와 같이 복수의 동작 키를 포함한 통화와 관련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복수의 동작 키는 한 개 이상의 기능 키와 한 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키는 스피커 키, 통화 종료 키, 녹음 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자 키는 숫자, 문자 및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를 의미한다.
또한, 제 2 영역(120)에 표시되는 통화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는, 한 개 이상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제 1 윈도우와 한 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는 제 2 윈도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이 멀어질 때, 기 설정된 동작 또는 제스쳐가 수행될 때, 이어폰을 삽입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커버를 열 때, 이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거리 센서, IR 센서, 조도 센서 및 터치 스크린의 정전기 감지를 기초한 얼굴 접근 감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 설정된 동작 또는 제스쳐를 수행하는 것은, 전원 버튼 및 볼륨 버튼을 오래 누르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쓰지 않고 통화를 하고 있을 때,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기 설정된 버튼을 눌러 제 2 영역(12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야 하는데, 이때 제 1 영역(110)을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동작 또는 제스쳐를 수행하는 것은 제 2 영역(120) 상에서 손으로 스위핑을 하는 동작,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흔드는 동작 또는, 제 2 영역(120)을 여러 번 두드리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전화 통화 중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영역(120)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통화 상태에서 제 1 영역(110) 및 제 2 영역(120)이 잠금 상태일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수신된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 2 영역(120)에 통화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는, 통화와 관련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영역(120)에서 통화와 관련된 인터페이스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제 1 영역(11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정보를 입력하거나 통화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영역(120)의 면적이 제 1 영역(110)의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 2 영역(120)만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체 전력 소비는 크게 감소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영역(120)의 단축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면, 제 2 영역(120)은 사용자의 기 설정된 동작에 기초하여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메모를 쓰기 위해 제 1 영역(110)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면, 사용자는 제 2 영역(120)이 잠금 상태가 되도록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된 동작은 버튼을 누르는 동작, 제스처 명령, 음성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통화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표시는 사용자의 동작 모드, 제 2 영역(120)의 모양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 2 영역(120)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인터페이스 조정은 표시된 컨텐츠의 조정과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동작 모드는 한 손 조작 모드, 수기 모드, 세로 모드, 가로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120)의 크기에 기초한 인터페이스 조정은 제 2 영역(120)의 각 영역에 기초하거나 각 영역의 동작 키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120)은 터치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동등하게 10 내지 12 분할될 수 있다. 만약, 표시해야 하는 동작 키의 수보다 표시할 수 있는 동작 키의 수가 적은 경우, 표시하지 못한 동작 키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 2 영역(120)의 문자 키 영역을 10 부분으로 동등하게 분할하여 10개 문자 키를 표시한 경우, 숫자 0 내지 9는 기본적으로 표시되고, *, #키 등은 다른 문자 키를 슬라이딩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 2 영역(120)의 모양에 기초한 인터페이스 조정은, 제 2 영역(120)의 모양에 따라 컨텐츠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120)은 상하로 긴 모양, 좌우로 긴 모양, 모바일 디바이스 커버의 윈도우에 기초한 사각형 모양 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영역(120)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영역(120)의 모양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제 2 영역(120)의 위치에 기초한 인터페이스 조정은,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자주 사용되는 동작 키들을 제 2 영역(120)의 위치에 따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손 조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 2 영역(120)에 자주 사용되는 동작 키들이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한 손 조작 모드를 설정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한 손 모드임을 인식한 경우, 제 2 영역(120)에 한 손 조작 모드의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축 인터페이스의 자주 사용되는 동작 키들은 제 2 영역(120) 중,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한 손으로 조작하기 쉬운 영역에 배치된다. 한 손으로 조작하기 쉬운 영역의 위치는 제 2 영역(120)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제 2 영역(120)이 세로 모드일 경우, 제 2 영역(120)의 상단(310)에는 기능 키들이 배치되고, 중간 부분(320)에는 문자 키들이 배치되고, 하단(330)에는 입력 컨텐츠 표시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20)을 충분하게 사용하기 위해, 문자 키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키가 숫자 0-9, *, #와 같은 열 두 문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세 가지 문자 키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문자 키는 숫자 0-4와 관련될 수 있고, 두 번째 문자 키는 숫자 5-9와 관련될 수 있고, 세 번째 문자 키는 *, # 또는 다른 보통의 문자들과 관련될 수 있다. 문자 키의 구성은 사용자가 소정의 문자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문자 키(340)에 숫자 5가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가 숫자 6을 입력하기 위해 해당 문자 키에서 슬라이딩 입력을 한다면, 도 3b와 같이 문자 키(350)는 숫자 6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영역(120)의 하단(330)에는 터치 불가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 컨텐츠 표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수기 조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 2 영역(120)에 수기 입력 영역(410)이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수기 조작 모드를 설정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수기 조작 모드임을 인식한 경우, 제 2 영역(120)에 수기 조작 모드의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전화통화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펜(430)을 뽑는 것에 기초하여, 수기 조작 모드를 인식 할 수 있다.
수기 조작 모드의 인터페이스는 제 2 영역(120)에 수기 입력 영역(41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 2 영역(120)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120)의 상단에는 수기 입력 영역(410)이 배치되고, 하단에는 기능 키(4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로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제 2 영역(12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방향이 변경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전화통화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 2 영역의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가로로 방향이 전환된 경우, 제 2 영역(510)의 문자 키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가로 방향으로 표시된다. 가로 모드에서 사용자가 제 2 영역(510)에 슬라이딩 입력할 경우, 제 2 영역(510)의 문자 키는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문자 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510)에는 문자 키와 기능 키가 함께 표시될 수 있는데, 문자 키와 기능 키는 같은 슬라이딩 영역에 있거나, 다른 슬라이딩 영역에 있을 수 있다.
만약 제 2 영역 자체가 터치 스크린의 상단 부분 또는 하단 부분과 같이 가로로 배치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로로 방향 전환이 되지 않아도 제 2 영역은 가로 모드로 조정된다.
제 2 영역은 가로모드로 조정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방향이 세로로 변경되거나, 터치 스크린상 제 2 영역(120)의 위치에 기초하여, 세로로 방향 전환이 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통화 중인 경우, 제 2 영역(120)에 복수의 메뉴에 대응되는 문자들 및 서비스 컨텐츠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통화 중임을 설정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서비스 통화 중임을 인식한 경우, 제 2 영역(120)에 서비스 통화 관련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서비스 통화의 경우(예를 들어, ARS 통화 등), 각 숫자와 기호는 고정된 서비스 메뉴를 의미한다. 따라서, 만약 서비스 통화 전에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각 숫자와 기호에 대응되는 서비스 내용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면, 숫자 및 기호 대신 숫자 및 기호에 대응하는 서비스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내용이 길어서 한 번에 표시될 수 없다면, 해당 키 영역에서 서비스 내용이 자동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RS를 이용하여 은행 고객센터에 접속하여 문의를 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제 2 영역(120)의 문자 키 영역(610)은 숫자 1 대신 ‘개인 고객’(611), 숫자 2 대신 ‘가맹점’(613), 숫자 3 대신 ‘단순문의’(615)가 표시될 수 있다. 만약 도6a와 같이 ‘상담원 연결’(617)이 한 영역에 한 번에 표시될 수 없으면, 도6b와 같이 글자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담원 연결’(618) 이라는 글자가 반복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표시된 서비스 내용 중 하나를 선택하면, 제 2 영역(120)의 문자 키 영역(610)에 표시된 서비스 내용은 선택된 서비스의 하위 서비스 내용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개인고객’(611) 메뉴를 선택한 경우, 문자 키 영역(610)의 각 서비스 내용은 ‘개인고객’ 메뉴의 하위 메뉴의 서비스 내용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키 영역(610)은 ‘개인고객’ 대신 ’계좌정보’(612), ‘가맹점’ 대신 ‘송금’(614), ‘단순문의’ 대신 ‘카드문의’(616)로 변경된다.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시퀀스가 저장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시퀀스를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화통화 중일 때, 제 2 영역(120)은 통화와 관련된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제 2 영역(120)에는 문자 키 영역(710)과 기능 키 영역(720)이 포함될 수 있는데, 기능 키 영역(720)은 ‘스피커 키’, ‘녹음 키’ 그리고 ‘통화 종료 키’뿐만 아니라, ‘신용카드번호’와 같은 기 저장된 시퀀스 키(730)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영역(120)은 단축 인터페이스의 컨텐츠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컨텐츠는 다양한 방법으로 뚜렷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능 키 영역의 ‘신용카드번호’ 키(730)를 누른 경우, ‘신용카드번호’ 키(730)는 색상이 변경되거나, 굵은 글씨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 저장된 시퀀스 키는, 시퀀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입력하기 위한 키를 의미한다. 시퀀스는 하나 이상의 문자가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만약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소정의 시퀀스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필요 시 해당 시퀀스를 매번 입력하지 않고 간단히 시퀀스 키를 입력해도, 해당 시퀀스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시퀀스는 신용카드 번호, 은행 계좌 번호 또는 비밀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용카드 번호를 미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해 두고, 신용카드 번호 시퀀스에 대응하는 시퀀스 키를 ‘신용카드번호’로 저장했다면, 전화통화 중에 통화 상대방에게 신용카드 번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 신용카드 번호를 모두 입력할 필요 없이, 기능 키 영역(720)에 표시된 ‘신용카드번호’ 키(730)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통화 상대방에게 신용카드 번호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용카드번호’ 키(730)를 입력하는 방법은, ‘신용카드번호’를 길게 누르거나, 두 번 터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전화통화 전에 저장되지 않았던 시퀀스를 전화통화 중에 입력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화 종료 후, 사용자가 시퀀스를 저장할 수 있도록 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저장이 필요한 시퀀스의 길이를 미리 설정하고, 전화통화 중에 입력된 시퀀스와 기 설정된 시퀀스의 길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통화 중에 입력된 시퀀스의 길이가 여섯 글자이고, 이는 기 설정된 시퀀스 길이를 초과한 것이라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기 시퀀스를 저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8a 및 도 8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영역(120)내 제 1 윈도우(810)와 제 2 윈도우(820)가 확장이 가능하여 서로 겹쳐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확장 가능한 인터페이스는, 제 2 영역(120)내 소정의 윈도우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확장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윈도우는 문자 키와 기능 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문자 키가 제 1 윈도우(810)에 배치되고, 기능 키가 제 2 윈도우(820)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가 제 2 윈도우(820)의 확장 키(830)를 누르면, 도 8b와 같이 제 2 윈도우(820)는 제 1 윈도우(810)와 겹쳐지고, 더 많은 기능 키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문자 키와 기능 키는 하나의 윈도우에 배치될 수 있고, 입력된 내용을 표시하는 영역이 하나의 윈도우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윈도우가 겹치면서 제 2 영역(120)에 빈 영역이 생길 경우, 빈 영역은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문자들이 표시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영역(12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축 숨김 동작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축 숨김 인터페이스란, 제 2 영역(120)에 복수의 동작 키와 관련된 축(910)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축(910)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동작 키가 대응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축(910)은 복수의 동작 키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터치, 슬라이딩, 연속 터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a를 참조하면, 축 숨김 인터페이스가 설정된 경우 제 2 영역(120)은 축(910)과 기능 키(940)가 표시되고, 문자 키 영역(950)은 빈 영역으로 표시된다. 만약 사용자가 축(910) 상에서 소정의 위치를 터치하면, 도 9b와 같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 키가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문자는,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강조하는 방법은 색상 변경, 굵은 글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b를 참조하면, 축(910)의 소정의 위치를 터치하여,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 키가 입력된 경우, 각 입력된 문자들은 빈 영역(120)에 차례대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영역(120)에 표시된 숫자 ‘2’ 와 ‘1’(930)은 지금 입력된 숫자’4’(920) 이전에 입력된 문자를 표시한 것이나, 입력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a 및 도 10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영역(120)에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키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슬라이딩 가능한 동작 인터페이스는, 제 2 영역(120)내 소정의 윈도우가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가 동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윈도우는 문자 키와 기능 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윈도우에 문자 키와 기능 키가 모두 배치될 수 있고, 두 윈도우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1’ 내지 ‘9’는 제 1 윈도우(1010)에 표시되고, ‘스피커 키’, ‘녹음 키’, ‘통화 종료 키’는 제 2 윈도우(1020)에 표시된다. 제 1 윈도우(1010)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도10b와 같이 표시된다. 도 10a 및 도10b의 경우, 문자 키와 기능 키가 각각 다른 윈도우에 배치되었기 때문에, 제 1 윈도우(1010)에 배치된 문자 키만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따라 변경되고, 제 2 윈도우(1020)의 기능 키들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 2 영역(120)이 되는 경우, 제 2 영역(120)에서 키패드가 디스플레이 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뿐 아니라, 커버를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제 2 영역(120)은 커버가 닫혔을 때 대응되는 윈도우(1120)일 수 있다.
또한 도 11a를 참조하면, 작은 키패드 아이콘(1130)은 항상 커버에 닫혔을 때 대응되는 윈도우(11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b와 같이, 윈도우에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확장된 키패드 아이콘(1150)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통화 중인 경우, 기능 키는 커버가 닫혔을 때 대응되는 윈도우(1120)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전화통화 중이 아닌 경우, 윈도우(1120)에는 전화번호를 누르기 쉽도록 문자 키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커버를 열 필요 없이 통화와 관련된 기능들을 수행 할 수 있다.
도 1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터치스크린(1210)과 제어부(1220)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210)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 1 영역(110)과 제 2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전화통화 중에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감지하고, 터치스크린의 제 1 영역(11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 2 영역(120)에 통화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화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잠금 상태일 때,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통화 상태와 관련되는 복수의 동작 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때, 상기 제1 영역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한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콘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작 키는 한 개 이상의 기능 키와 한 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한 개 이상의 기능 키를 포함하는 제 1 윈도우와 상기 한 개 이상의 문자 키를 포함하는 제 2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영역의 크기, 상기 제 2 영역의 모양,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 2 영역이 가지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한 손 조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동작 키들 중 자주 사용되는 동작 키들이 구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수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기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로 또는 세로로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방향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상태가,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통화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복수의 메뉴에 대응되는 문자들 및 서비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소정의 시퀀스 키가 표시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소정의 시퀀스 키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퀀스 키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화 상태에 있는 상대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서비스 컨텐츠의 이름이 한번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서비스 컨텐츠의 이름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윈도우와 상기 제 2 윈도우는 서로 겹쳐져서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동작 키와 관련되는 축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축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동작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 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윈도우 및 상기 제 2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한 개 이상의 기능 키 및 상기 한 개 이상의 문자 키 이외의 새로운 기능 키 또는 새로운 문자 키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화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이 잠금 상태일 때,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 기능 활성화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통화 상태와 관련되는 복수의 동작 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로 다른 터치 스크린이거나, 물리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커버에 의해 닫힐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0.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50111208A 2014-11-12 2015-08-06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20160056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37,434 US10649652B2 (en) 2014-11-12 2015-11-10 Method of displaying interface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635844.3 2014-11-12
CN201410635844.3A CN104348978A (zh) 2014-11-12 2014-11-12 移动终端的通话处理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78A true KR20160056778A (ko) 2016-05-20

Family

ID=5250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208A KR20160056778A (ko) 2014-11-12 2015-08-06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56778A (ko)
CN (1) CN1043489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4187A (zh) * 2017-09-05 2018-02-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通知消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8322569A (zh) * 2018-02-24 2018-07-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屏幕显示方法、折叠式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5725B (zh) * 2015-04-23 2016-07-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利用虚拟边框区域实现功能调节的方法
CN105824450B (zh) * 2015-07-23 2019-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的防误触方法和移动通信终端
CN106445271A (zh) * 2015-08-06 2017-02-22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终端中快速共享内容的方法和设备
CN105162982A (zh) * 2015-09-17 2015-12-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接听扩展功能显示方法及装置
CN105554194B (zh) * 2015-12-29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具有侧屏的移动终端
CN113867661A (zh) 2016-01-15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的方法及终端
CN113687758B (zh) * 2016-06-07 2024-04-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辅助显示区域的操作方法及终端设备
CN105930702B (zh) * 2016-06-29 2018-06-1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06210289A (zh) * 2016-06-30 2016-12-0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231083B (zh) * 2016-07-25 2019-09-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装置及方法
CN107132880A (zh) * 2017-04-27 2017-09-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可穿戴装置
CN108989900A (zh) * 2017-06-02 2018-12-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终端
CN110505334B (zh) * 2018-05-16 2021-08-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及通话界面显示方法
CN108762835A (zh) * 2018-05-17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运行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8733299A (zh) * 2018-05-17 2018-11-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分屏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769114B (zh) * 2018-07-26 2021-03-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话界面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0955373A (zh) * 2019-10-30 2020-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要素的显示方法和电子设备
CN111124245B (zh) * 2019-12-24 2022-06-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3704714B (zh) * 2020-05-20 2024-06-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密码验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64366B (zh) * 2005-11-10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屏移动装置及其显示方法
CN201063675Y (zh) * 2007-03-04 2008-05-21 路新学 一种双屏直板手机
CN101853120A (zh) * 2010-02-26 2010-10-0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控制菜单的呈现方法、***及移动终端
CN102346621B (zh) * 2010-07-30 2017-02-0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终端及其触摸控制方法
CN102830926B (zh) * 2012-08-10 2016-12-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CN103067570A (zh) * 2012-12-12 2013-04-2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及基于手机的通话悬浮窗显示处理方法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4187A (zh) * 2017-09-05 2018-02-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通知消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7704187B (zh) * 2017-09-05 2020-0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知消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8322569A (zh) * 2018-02-24 2018-07-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屏幕显示方法、折叠式移动终端
CN108322569B (zh) * 2018-02-24 2019-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屏幕显示方法、折叠式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8978A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6778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US10649652B2 (en) Method of displaying interface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927470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76180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5762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931099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1015219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2865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및 디바이스
KR201000386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20100030968A (ko)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075845A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메모 방법 및 장치
US9690391B2 (en) Keyboard and touch screen gesture system
WO2014175395A1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54820B1 (ko)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KR1018181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4116801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46380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6080401B2 (ja) 装置
KR201100495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14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718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ne-handed operation
KR201000399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무선 통신 채널 변경 방법
WO2013128512A1 (ja)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3853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