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094A -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094A
KR20160051094A KR1020140150528A KR20140150528A KR20160051094A KR 20160051094 A KR20160051094 A KR 20160051094A KR 1020140150528 A KR1020140150528 A KR 1020140150528A KR 20140150528 A KR20140150528 A KR 20140150528A KR 20160051094 A KR20160051094 A KR 20160051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ir
humidity
dehumidify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호원
박정민
전하민
김희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1094A/en
Publication of KR2016005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ction body having an air inlet; a dehumidification unit where air sucked to the air inlet passes to be dehumidified; a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controll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unit; a blower sucking the air to the air inlet to be blown to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fter the air passes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setting an order of dehumidifying priority from a high-humidity region to a low-humidity region in an indoor space and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device and the blower to enable the air to be preferentially discharged to the high-humidity reg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ferentially dehumidifies the indoor high-humidity region without moving the dehumidifier to the high-humidity region.

Description

제습기 및 그 운전방법{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제습기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의 복수 영역을 순차적으로 제습할 수 있는 제습기 및 그 운전방법 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ier that can dehumidify a plurality of areas in a roo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ehumidifier.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기기이다. Generally, a dehumidifier is a device for dehumidifying the humid air in the room.

제습기는 실내 공기가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The dehumidifier can reduce the humidity of indoor air by letting indoor air pass through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then discharging the dehumidified air back into the room.

제습기는 흡습재(데시컨트)로 공기를 통과시켜 습도를 낮춘 후, 실내로 이 제습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것도 가능하다.The dehumidifier can lower the humidity by letting the air pass through the desiccant (desiccant), and then discharging the dehumidified air into the room.

KR 10-2005-0080878 A (2005년08월18일 공개)KR 10-2005-0080878 A (published Aug. 18, 2005) KR 특1994-0009609 A (1994년05월20일 공개)KR 1994-0009609 A (published May 20, 1994)

본 발명은 실내의 고습도 영역부터 신속하게 제습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er capable of dehumidifying quickly from the high humidity region of the room.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제습유닛과; 상기 제습유닛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유닛을 통과시킨 후 상기 풍향조절기구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실내 중 습도가 높은 영역부터 습도가 낮은 영역의 순서로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습도가 높은 영역으로 공기가 우선 토출되게 상기 풍향조절기구와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body having an air inlet formed therein;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take port;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the dehumidifying unit; A blower for sucking air into the air inlet and passing the air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ing mechanism and the blower so as to set the dehumidification priority order in the order from the high humidity region to the low humidity region and to discharge the air to the high humidity region first.

상기 제어부는 습도가 높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하로 낮아지면,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상기 풍향조절기구와 송풍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irflow adjusting mechanism and the blower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to a region where the humidity is relatively low, when the humidity of the high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humidity.

상기 실내 중 제1영역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1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중 제2영역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습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습도센서와 제2습도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A first humidity sensor for sensing a humidity of air sucked in the first area of the room; The second humidity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 the second area of the room.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humidity sensor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according to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humidity sensor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The dehumidification priority of the second area can be se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순차적으로 우선제습한 후 상기 풍향조절기구를 스윙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humidify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sequentially, and then control the airflow adjusting mechanism to the swing discharging mode.

본 발명은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제습유닛과; 상기 제습유닛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유닛을 통과시킨 후 상기 풍향조절기구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실내 중 습도가 상이한 복수영역을 감지하는 센서모듈와;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된 복수영역 중 우선 제습영역을 설정하고, 우선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상기 풍향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body having an air inlet formed therein;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take port;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the dehumidifying unit; A blower for sucking air into the air inlet and passing the air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air conditioner; A sensor module for sensing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humidity in the room; A controller for setting a dehumidifying region first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sensed by the sensor module and controlling the airflow control mechanism so that air is first discharged to the dehumidifying region.

상기 센서모듈은 공간에 위치하는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와; 상기 물체의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 거리 센서를 포함한다. The sensor module includes an infrared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an object located in the space; And an ultrasonic distance sensor for sensing the distance of the object.

상기 제어부는 원거리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송풍기를 강풍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근거리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송풍기를 상기 강풍모드 보다 약한 송풍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lower to be in a strong wind mode when air is discharged to a remote area, and may control the blower to be in a weaker blowing mode than the strong wind mode when air is discharged in a close range.

본 발명은 제습기가 설치된 실내 중 습도가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와; 습도가 높은 영역과 습도가 낮은 영역의 순서로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제습유닛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상기 습도가 높은 영역으로 풍향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cting a high humidity region and a low humidity region in a room provided with a dehumidifier. Setting a dehumidification priority in the order of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and adjusting the air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high humidity region.

상기 습도가 높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제습유닛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상기 습도가 낮은 영역으로 풍향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djusting the air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low humidity region if the humidity of the high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value.

본 발명은 제습기를 습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 시킬 필요 없이, 실내의 고습도 영역부터 우선하여 제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the dehumidifier in preference to the high humidity region of the room without moving the dehumidifier to a place with a high humid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실내에 설치되었을 때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제1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제2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운전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에 설치되었을 때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의 제1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의 제2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ir is discharged toward a first region of a room,
FIG. 3 is a plan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ir is discharged toward a second area of a room;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in a room,
FIG. 7 is a sid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ir is discharged toward a first region of a room;
8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second area of the room,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실내에 설치되었을 때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제1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가 실내의 제2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ir is discharged toward a first area of a room,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습기(H)는 실내(S)를 제습하기 위해 실내(S)에 위치할 수 있다. 제습기(H)는 공기흡입구(2)가 형성된 흡입바디(4)와; 공기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제습유닛(10)과; 제습유닛(10)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20)와; 공기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유닛(10)을 통과시킨 후 풍향조절기구(20)로 송풍하는 송풍기(30)를 포함한다. 제습기는 풍향조절기구(20)와 송풍기(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The dehumidifier H may be located in the room S to dehumidify the room S. The dehumidifier H includes a suction body 4 having an air inlet 2 formed therein; A dehumidifying unit (10) for dehumidifying air while passing air sucked into the air inlet (2); A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for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0); And an air blower 30 that sucks air through the air inlet 2 and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0 and blows air to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 The dehumidifier includes a control section (40)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and the blower (30).

제습기(H)는 공기토출구(6)가 형성된 토출바디(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송풍기(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공기토출구(6)를 통과해 제습기(H)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습유닛(10)을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는 공기토출구(6)를 통과할 때, 풍향조절기구(20)에 의해 그 풍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제습기(H)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케이스는 내부에 제습유닛(10)과 송풍기(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바디(4)와 토출바디(8)는 제습기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dehumidifier H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body 8 having an air discharge port 6 formed therein and the air blown by the blower 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humidifier H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6 . When the dehumidified air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0) and passes through the air outlet (6), the wind direction can be adjusted by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The dehumidifier H may include a cas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the case may have a space therein in which the dehumidifying unit 10 and the blower 30 are accommodated. The suction body (4) and the discharge body (8) can constitute a part of the dehumidifier.

제습유닛(10)은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어 증발되는 증발기(11)와, 냉매가 증발기(11)와 열교환된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되는 응축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는 증발기(11)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2)로 공급하는 압축기(13)와, 응축기(1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나 캐필러리 튜브 등의 팽창기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11)로 유입될 수 있다. 제습기는 압축기(13)와, 응축기(12)와, 팽창기구와, 증발기(11)로 구성된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압축기(13)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dehumidifying unit 10 may include an evaporator 11 in which refrigerant is evaporated by heat exchange with air and a condenser 12 in which the refrigerant is heat-exchanged with the air exchanged with the evaporator 11 to be condensed. The dehumidifier includes a compressor 13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vaporized in the evaporator 11 and supplying the compressed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12,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or a capillary tub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12, (Not shown), and the refrigerant expanded by the expansion mechanism can be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11. [0033] The dehumidifier can dehumidify air using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omposed of a compressor (13), a condenser (12),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11). The compressor (13)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

제습유닛(10)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수분이 흡착되는 데시컨트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humidifying unit 10 may be constituted by a secant in which moisture is adsorbed while air passes.

풍향조절기구(20)는 공기토출구(6)에 위치되게 토출바디(8)에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20)는 공기토출구(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풍향조절부재(22)와,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body 8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air discharge opening 6.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may include at least on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rotatably disposed in the air outlet 6 and a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for rotat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have.

제습기(H)는 실내(S)의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실내는 제습기(H)의 중앙에서 연장되는 연장선(C)을 기준으로 제습기(H)의 좌측 영역이 제1영역일 수 있고, 제습기(H)의 우측 영역이 제2영역(R)일 수 있다. The dehumidifier H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om S. The room may have a left area of the dehumidifier H as a first area based on an extension line C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dehumidifier H And the right region of the dehumidifier H may be the second region R. [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는 공기가 제1영역(L)으로 안내되는 방향으로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킬 수 있고, 공기가 제2영역(R)으로 안내되는 방향으로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는 풍향조절부재(22)에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원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좌우 방향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우 풍향조절부재일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는 좌우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풍향조절기구(20)의 제어시 모터인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를 제어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can rotat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guided to the first area L and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can rotat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guided to the second area R (22) can be rotated.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may include a motor serving as a driving source 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may be a left and right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may include a wind direction adjusting motor for rotating the left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which is a motor in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좌우 풍향조절부재(22)는 복수개가 공기토출구(6)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22)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 링크로 연결될 수 있으며,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는 복수개의 좌우 풍향조절부재(22) 중 하나 또는 연결 링크(25)에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left and right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22 can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at the air outlet 6 and the plurality of left and right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22 can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link to be rotated integrally, 24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left and right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s 22 or the connecting link 25.

풍향조절기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부재(22)가 제1영역(L)을 향하는 방향으로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키는 제1영역 토출모드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부재(22)가 제2영역(R)을 향하는 방향으로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키는 제2영역 토출모드와, 풍향조절부재(22)가 제1영역(L)과 제2영역(R)을 교대로 향하는 방향으로 풍향조절부재(22)를 왕복 회전 동작시키는 스윙 토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includes a first area discharging mod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rotates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area L, A second region discharge mod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adjustment member 22 rotates the wind direction adjustment member 22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region R and a second region discharge mod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adjustment member 22 is in the first region L) and the second region (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rotates alternately.

제1영역(L)과 제2영역(R)은 실내(S)의 환경에 의해 습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1영역(L)과 제2영역(R) 중 어느 하나에는 빨래건조대와 같이 고습도 물체(O)가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고습도 물체(O)가 위치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고습도 영역일 수 있고, 고습도 물체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저습도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region L and the second region R may have different humidit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room S. A high humidity object O such as a clothes dryer can be placed in either the first area L or the second area R. In this case, the area where the high humidity object O is located may be a relatively high humidity area And the region where the high humidity object is not located may be a relatively low humidity region.

제1영역(L)과 제2영역(R) 중 어느 하나에는 빨래건조대와 같이 제고습도 물체(O)가 위치될 수 있고, 제1영역과 제2영역 중 다른 하나에 도어와 같이 제1고습도 물체(O) 보다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을 수 있는 저습도 물체(P)가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고습도 물체(O)가 위치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고습도 영역일 수 있고, 저습도 물체(P)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저습도 영역일 수 있다. A raised humidity object (O) such as a clothes dryer can be positioned in either the first area (L) or the second area (R), and the first and second areas It is possible to place the object P having a relatively low humidity relative to the object O. In this case, the region where the high humidity object O is located may be a relatively high humidity region, May be a relatively low-humidity region.

제어부(40)는 제습기(H)가 위치하는 실내(S) 중 습도가 높은 영역부터 낮은 영역의 순서로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습도가 높은 영역으로 공기가 우선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와 송풍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sets the dehumidification priority order in the order of the high humidity area to the low humidity area of the room S in which the dehumidifier H is located and sets the dehumidification priority order in the high humidity area, And the blower 30 can be controlled.

제어부(40)는 습도가 높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하로 낮아지면,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와 송풍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airflow adjusting mechanism 20 and the blower 30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a region where the humidity is relatively low when the humidity in the high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humidity.

제습기는 고습도 영역과 저습도 영역을 순차 제습하는 자동모드를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는 자동모드 입력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모드 입력부(46)를 통해 자동모드를 입력하면, 제어부(40)는 실내(S) 중 고습도 영역을 먼저 제습한 후 이후 저습도 영역을 제습하도록 풍향조절기구(20)와 송풍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mode input unit 46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ively input an automatic mode for dehumidifying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in sequence. When the user inputs the automatic mode through the automatic mode input unit 46, the controller 40 first dehumidifies the high humidity region of the room S and then dehumidifies the low humidity region, Can be controlled.

제습기(H)는 실내(S) 중 제1영역(L)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1습도센서(50)와, 실내(S) 중 제2영역(R)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습도센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ehumidifier H includes a first humidity sensor 50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 the first region L of the room S and a second humidity sensor 50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 the second region R of the room S. [ And a second humidity sensor 52 for sensing humidity.

제1습도센서(50)와 제2습도센서(50)는 제습기(H)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제1습도센서(50)와 제2습도센서(52)는 흡입바디(4)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습도센서(50)는 공기흡입구(2)의 좌측단과 우측단 중 일측단과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2습도센서(52)는 공기흡입구(2)의 좌측단과 우측단 중 타측단과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습도센서(50)는 공기흡입구(2) 중 좌측 영역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고, 실내(S) 중 제1영역(L)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습도센서(52)는 공기흡입구(2)의 우측 영역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실내(S) 중 제2영역(R)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습도센서(50)와, 제2습도센서(52)는 주기적으로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50 may be installed apart from the dehumidifier H and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may be disposed on the suction body 4 And can b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may be installed close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air inlet 2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air inlet 2, .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can sense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left area of the air inlet 2 and can sense the humidity of the first area L of the room S. [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can sense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right area of the air inlet 2 and can sense the humidity of the second area R of the room S. [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periodically sense the humidity and output the humidity to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제1습도센서(50)와 제2습도센서(52)의 감지값에 따라 제1영역(L)과 제2영역(R)의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an set the dehumidification priority order of the first area L and the second area R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s of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

제어부(40)는 제1습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제1영역(L)의 습도를 제2습도센서(52)에 의해 감지된 제2영역(R)의 습도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습도가 더 높게 감지된 영역을 고습도 영역으로 결정하고, 습도가 더 낮게 감지된 영역을 저습도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 may compare the humidity of the first area L sensed by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with the humidity of the second area R sens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 The control unit 40 may determine the high humidity region as a region where the humidity is higher and determine the low humidity region as the low humidity region.

제어부(40)는 제1영역(L)과 제2영역(R) 중 제1영역(L)의 습도가 더 높은 경우, 제1영역(L)을 우선 제습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영역(R)을 제1영역(L) 이후에 제습되는 차기 제습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제1영역(L)과 제2영역(R)의 순서로 제1영역(L)과 제2영역(R)을 제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first determines the first region L as the dehumidifying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L when the humidity of the first region L among the first region L and the second region R is higher, R) can be determined as a dehumidification region to be dehumidified after the first region (L).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 can dehumidify the first area L and the second area R in the order of the first area L and the second area R. [

반대로, 제어부(40)는 제1영역(L)과 제2영역(R) 중 제2영역(R)의 습도가 더 높은 경우, 제2영역(R)을 우선 제습영역으로 결정하고, 제1영역(L)을 제2영역(R) 이후에 제습되는 차기 제습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제2영역(R)과 제1영역(L)의 순서로 제2영역(R)과 제1영역(L)을 제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umidity of the second region R of the first region L and the second region R is higher, the control section 40 first determines the second region R as a dehumidifying region first, The region L can be determined as the dehumidification region to be dehumidified after the second region R.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 can dehumidify the second region R and the first region L in the order of the second region R and the first region L. [

제어부(40)는 제1영역(L)과 제2영역(R)을 순차적으로 우선 제습한 후 풍향조절기구(20)를 스윙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may dehumidify the first region L and the second region R in order and then control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to the swing ejection mo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운전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습기의 운전방법은 제습기(H)가 설치된 실내(S) 중 습도가 높은 영역과 습도가 낮은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S1)(S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operating the dehumidifier may include steps S1 and S2 of sensing a high humidity region and a low humidity region of the room S in which the dehumidifier H is installed.

제습기의 운전방법은, 자동모드 입력부(46)로 자동모드가 입력되면, 제1습도센서(50)와 제2습도센서(52)가 습도가 높은 영역(고습도 영역)과, 습도가 낮은 영역(저습도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automatic mode is input to the automatic mode input unit 46,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operate in a high humidity region (high humidity region) and a low humidity region (low humidity region) Low humidity region).

제1습도센서(50)는 제1영역(L)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습도센서(52)는 제2영역(R)의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senses the humidity of the first area L and outputs the sensed humidity to the controller 40.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senses the humidity of the second region R and outputs the sensed humidity to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제1습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제1영역(L)의 습도를 제2습도센서(52)에 의해 감지된 제2영역(R)의 습도와 비교할 수 있고, 습도가 더 높은 영역과, 습도가 더 낮은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an compare the humidity of the first region L sensed by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with the humidity of the second region R sens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Can detect a higher area and a lower humidity area.

제습기의 운전방법은 습도가 높은 영역과 습도가 낮은 영역의 순서로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제습유닛(10)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습도가 높은 영역으로 풍향 조절하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ehumidifier includes a step (S3) of setting the dehumidifying priority in the order of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and adjusting the air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10 to the high humidity region .

제어부(40)는 습도가 높은 영역을 우선 제습영역으로 설정하고, 습도가 낮은 영역을 차기 제습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section 40 can set the high humidity region to the dehumidifying region first and the low humidity region to the next dehumidifying region.

제어부(40)는 습도가 높은 영역 즉, 우선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so that air is discharged into a high humidity region, that is, a dehumidifying region.

예를 들어, 제1영역(L)이 우선 제습영역으로 설정되고, 제2영역(R)이 차기 제습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L)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제1영역 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20)의 제1영역 토출모드시, 제습유닛(10)을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는 풍향조절기구(20)에 안내되어 제1영역(L)을 향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제습된 공기는 주로 제1영역(L)으로 퍼지면서 제1영역(L)을 집중적으로 제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area L is first set as the dehumidifying area and the second area R is set as the next dehumidifying area,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first area L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mechanism 20 can control the first region discharge mode so as to discharge the air.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0 in the first region discharging mode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can be guided by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and discharg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region L, The dehumidified air can be mainly dehumidified in the first region L while spreading mainly in the first region L. [

제1습도센서(50)는 우선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제1영역(L)의 습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periodically senses the humidity of the first region L while air is being discharged to the dehumidifying region, and outputs the humidity to the control unit 40.

제습기의 운전방법은 습도가 높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제습유닛(10)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습도가 낮은 영역으로 풍향 조절하는 단계(S4)(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ehumidifi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S4) (S5) of controlling the dehumidified air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10) to a low humidity region if the humidity in the high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value.

제어부(30)는 제1습도센서(50)에서 감지된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제1영역(L)의 집중 제습을 완료하고, 이때부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L)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제2영역 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20)의 제2영역 토출모드시, 제습유닛(10)을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는 풍향조절기구(20)에 안내되어 제2영역(R)을 향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제습된 공기는 주로 제2영역(R)으로 퍼지면서 제2영역(R)을 집중적으로 제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completes the centralized dehumidification of the first area L when the humidity detected by the first humidity sensor 50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mechanism 20 can control the second region discharging mode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region discharging mode.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0 in the second region discharging mode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can be guided by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and discharg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region R, The dehumidified air can be mainly dehumidified in the second region R while spreading mainly in the second region R. [

공기조화기는 습도가 낮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습도가 높은 영역 및 습도가 낮은 영역으로 모두로 풍향 조절하는 단계(S6)(S7)를 더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S6) (S7) of adjusting the air flow direction to both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if the humidity in the low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value.

제2습도센서(52)는 차기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제2영역(R)의 습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periodically senses the humidity of the second region R while air is being discharged to the next dehumidifying region and outputs the humidity to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제2습도센서(52)에서 감지된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제2영역(R)의 집중 제습을 완료하고, 이때부터 제1영역(L)과 제2영역(R) 모두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스윙 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ompletes the centralized dehumidification of the second region R when the humidity detected by the second humidity sensor 52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set valu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in the swing ejection mode so as to discharge the air toward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풍향조절기구(20)는 스윙 토출모드과 좌우회전을 반복하면서 제1영역(L)과 제2영역(R) 모두에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선 제습영역과 차기 제습영역은 함께 제습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can discharge the dehumidified air in both the first region L and the second region R while repeating the swing ejection mode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First, the dehumidifying region and the next dehumidifying region are dehumidified together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에 설치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의 제1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실시예가 실내의 제2영역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때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 다른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7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discharges air toward the first region of the room, an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습기(H)가 설치된 실내(S) 중 습도가 상이한 복수영역(N)(F)을 감지하는 센서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40)는 센서모듈(60)에 의해 감지된 복수영역 중 우선 제습영역을 설정하고, 우선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module 60 for sensing a plurality of regions N (F) having different humidity in the room S provided with the dehumidifier H, and the controller 4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60 The dehumidifying region is first set among the plurality of regions detected by the dehumidifying region, and the airflow control mechanism 20 'is controlled so as to discharge the air to the dehumidifying region.

풍향조절기구(20')는 공기토출구(6)에 위치되게 토출바디(8)에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20')는 공기토출구(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풍향조절부재(22')와,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body 8 so as to be located at the air discharge opening 6.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includes at least on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rotatably disposed in the air outlet 6, a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for rotat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 ≪ / RTI >

제습기(H)는 실내(S)의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실내는 제습기(H)와 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내인 근거리 영역이 제1영역(N)과, 제습기(H)와 거리가 제1설정거리를 초과하는 원거리 영역이 제2영역(F)으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내는 제습기(H)와 거리가 제1설정거리 이내인 근거리 영역이 제1영역(N)과, 제습기(H)와 거리가 제1설정거리 보다 긴 제2설정거리를 초과하는 원거리 영역이 제2영역(F)과, 제습기(H)와 거리가 제1설정거리 보다 멀고 제2설정거리보다 가까운 중간 영역인 제3영역으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내(S)가 제1영역(N)과, 제2영역(F)로 구분되는 예로 설명한다. The dehumidifier H can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om S. The near room where the distance from the dehumidifier H is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N, a dehumidifier H,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ng distance range in which the distance exceeds the first set distance is divided into the second area F. [ The indoor area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dehumidifier H and the dehumidifier H is within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area where the distance from the dehumidifier H is long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region F and the third region which is an intermediate region that is closer to the dehumidifier H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and closer to the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room S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N and a second area F. [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는 공기가 제1영역(N)으로 안내되는 방향으로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킬 수 있고, 공기가 제2영역(F)으로 안내되는 방향으로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는 풍향조절부재(22')에 회전축이 연결된 구동원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상하 방향의 풍향을 조절하는 상하 풍향조절부재일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 회전기구(24')는 상하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키는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can rotat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air is guided to the first area N, The adjusting member 22 'can be rotated.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may include a motor as a driving source 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may be a vertical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vertical wind direction and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rotating mechanism 24' may include a wind direction adjusting motor for rotating the vertical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 .

풍향조절기구(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부재(22')가 공기를 주로 근거리 영역으로 안내되는 각도로 회전되는 제1영역 토출모드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조절부재(22')가 공기를 원거리 영역까지 도달될 수 있는 각도로 회전되는 제2영역 토출모드를 갖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includes a first region discharging mod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is rotated at an angle to guide air mainly to a near region, , And the second region discharging mode in which the airflow regulating member 22 'is rotated at an angle at which the air can reach the remote region.

예를 들어, 풍향조절부재(22')이 수평선(X)에서 소정각도를 초과하는 범위로 회전될 경우, 공기는 수직 방향과 가까운 경사 방향(Y)으로 토출될 수 있고, 이 경우, 풍향조절기구(20')는 제1영역 토출모드시 풍향조절부재(22')를 소정각도 초과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풍향조절부재(22')이 수평선에서 소정각도 이내의 범위로 회전될 경우, 공기는 수평 방향과 가까운 경사 방향(Z)으로 토출될 수 있고, 이 경우, 풍향조절기구(20')는 제2영역 토출모드시 풍향조절부재(22')를 소정각도 이내로 회전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is rotated in a range exceeding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horizontal line X, the air can be discharged in an oblique direction Y close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mechanism 20 'can rotat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beyond the predetermined angle in the first region discharging mode. When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is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horizontal line, the air can be discharged in an oblique direction Z clos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In the second region discharging mod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22 'can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센서모듈(60)는 제습기에 설치되어 제습기 주변 공기의 습도 또는 제습기 주변 물체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원거리습도센서일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60 may be a remote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dehumidifier to sense the humidity of the air around the dehumidifier or the humidity of the object around the dehumidifier.

센서모듈(60)은 공간(S)에 위치하는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온도센서(62)와; 물체와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60) includes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62)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an object located in the space (S); And a distance sensor 64 for sensing an object and a distance.

비접촉식 온도센서(62)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나 광 온도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접촉식 온도센서(62)는 적외선 센서일 경우, 실내의 물체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검출소자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복수 영역(N)(F) 중 어느 한 영역에 다습한 세탁물과 같은 저온의 물체가 위치할 경우, 다습한 세탁물 주변의 습도는 높을 수 있고, 비접촉식 온도센서(62)는 이러한 다습한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다습한 물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The noncontact type temperature sensor 62 may be composed of an infrared sensor or an optical temperature sensor. When the noncontact type temperature sensor 62 is an infrared ray sensor, the infrared ray radiant energy emit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in the room can be detected using the detecting element. For example, when a low-temperature object such as a high-humidity laundry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reas N (F) in the room, the humidity around the highly humid laundry may be high, and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62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such a humid object, it is possible to sense the area where the humid object is located.

거리 센서(64)는 적외선 거리센서나 초음파 거리 센서(Ultrasonic distance met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거리 센서(64)는 초음파 거리 센서일 경우, 초음파 펄스를 실내의 물체로 방사하여 물체에서 반사되어 오는 반사파를 받을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 온도센서(62)에 의해 다습한 물체가 감지될 경우, 거리 센서(64)는 다습한 물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or 64 may be an infrared distance sensor, an ultrasonic distance meter, or the like. In the case of the ultrasonic distance sensor, the distance sensor 64 can radiate an ultrasonic pulse into an object in the room and measure the time until the reflected wave reflected from the object is received to measure the distance. For example, when a humid object is detected by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62, the distance sensor 64 can sense the area where the humid object is located.

센서모듈(60)은 실내 중 제습기(H)와 원거리인 영역 또는 제습기(H)와 이격되는 물체의 정보를 획득힐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for the sensor module 60 to include a camera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on an object in the room, which is distant from the dehumidifier H and the remote zone or the dehumidifier H in the room.

센서모듈(60)은 복수영역(N)(F)의 습도와 관련된 감지값을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40)는 센서모듈(60)의 감지값에 따라 고습도 영역과 저습도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고습도 영역과 저습도 영역을 순차적으로 제습한 후 고습도 영역과 저습도 영역을 함께 제습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60 may output the sensed values related to the humidity of the plurality of regions N and F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rol unit 40 may control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the high-humidity region and the low-humidity region sequentially, and dehumidify the high-humidity region and the low-humidity region simultaneously,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제어부(40)는 원거리 영역(F)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송풍기를 강풍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근거리 영역(N)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송풍기를 강풍모드 보다 약한 송풍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거리 영역(F)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송풍기(30)가 강풍모드일 경우, 근거리 영역(N)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송풍기(30)는 중풍모드 또는 약풍모드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blower in the strong wind mode when the air is discharged in the long range F.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blower in a weaker air blowing mode than the strong air blowing mode when air is discharged into the near region N. [ For example, when air is discharged in the long-distance region F, and the air blower 30 is in the strong wind mode, when the air is discharged into the near region N, the blower 30 may be in the neutral- have.

본 발명은 센서모듈(60)을 이용해 고습도 영역과 저습도 영역을 감지하는 구성과, 풍향조절기구(2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detect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using the sensor module 60 and other structures and operations other than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nfiguration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자동모드 입력부(46)로 자동모드가 입력되면, 센서모듈(60)은 실내(R)를 감지하여 제어부(40)으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40)는 센서모듈(60)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습도가 높은 영역(고습도 영역)과, 습도가 낮은 영역(저습도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automatic mode is input to the automatic mode input unit 46, the sensor module 60 senses the room R and outputs the sensed room R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rol unit 40 outputs (High humidity region) and a low humidity region (low humidity region) can be sensed according to a signal that is generated by the sensor.

제어부(40)는 습도가 높은 물체가 위치하는 영역을 고습도 영역으로 감지하고, 타 영역을 저습도 영역으로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an detect a region where a high humidity object is located as a high humidity region and another region as a low humidity region.

제어부(40)는 습도가 높은 영역을 우선 제습영역으로 설정하고, 습도가 낮은 영역을 차기 제습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section 40 can set the high humidity region to the dehumidifying region first and the low humidity region to the next dehumidifying region.

제어부(40)는 습도가 높은 영역 즉, 우선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mechanism 20 'so that air is discharged into a high humidity region, that is, a dehumidifying region.

예를 들어, 원거리 영역(F)이 우선 제습영역으로 설정되고, 근거리 영역(N)이 차기 제습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 영역(F)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제2영역 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강풍모드로 송풍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풍향조절기구(20')의 제2영역 토출모드시 제습유닛(10)을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는 풍향조절기구(20')에 안내되어 제2영역(F)을 향하는 방향으로 강하게 토출될 수 있고, 제습된 공기는 제2영역(F)에 도달되어 제2영역(F)을 제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remote zone F is first set as the dehumidification zone and the near zone N is set as the next dehumidification zone, the control unit 40 sets the air zone A in the remote zone F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to the second region discharging mode. Then,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blower 30 in the strong wind mode.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0 in the second region discharging mode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is guided by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and can be strongly discharg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cond region F , And the dehumidified air reaches the second area (F) and can dehumidify the second area (F).

센서모듈(60)은 우선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복수영역(N)(F)의 습도에 관한 감지값을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40)는 우선 제습되던 영역의 감지값이 설정치 이하이면, 제2영역(F)의 집중 제습을 완료하고, 이때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N)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제1영역 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중풍모드 또는 약풍모드로 송풍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60 may first output a sensing value relating to the humidity of the plurality of regions N and F to the control unit 40 while air is being discharged to the dehumidifying region, If the detection value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centralized dehumidification of the second area F is completed. From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air conditioning control unit 20 ' 1 area discharge mode.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blower 30 in the neutral wind mode or the weak wind mode.

풍향조절기구(20')의 제1영역 토출모드시, 제습유닛(10)을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는 풍향조절기구(20')에 안내되어 근거리 영역(N)으로 토출될 수 있고, 제습된 공기는 제2영역(F)에 도달되어 제1영역(N)을 제습할 수 있다.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0 in the first region discharging mode of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can be guided by the airflow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to be discharged in the near region N, The air can reach the second area F and dehumidify the first area N. [

센서모듈(60)은 차기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동안 복수영역(N)(F)의 습도에 관한 감지값을 제어부(4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40)는 차기 제습되던 영역의 감지값이 설정치 이하이면, 제1영역(N)의 집중 제습을 완료하고, 이때부터 제1영역(N)과 제2영역(F) 모두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게 풍향조절기구(20')를 스윙 토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60 may output a sensed value relating to the humidity of the plurality of areas N and F to the controller 40 while air is being discharged to the next dehumidifying area, When the sensed value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central dehumidification of the first region N is completed, and the air conditioning mechanism 20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air toward both the first region N and the second region F It can be controlled by the swing ejection mode.

풍향조절기구(20')는 스윙 토출모드과 좌우회전을 반복하면서 제1영역(N)과 제2영역(F) 모두에 제습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선 제습영역과 차기 제습영역은 함께 제습될 수 있다.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20 'can discharge dehumidified air in both the first area N and the second area F while repeating the swing ejection mode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First, the dehumidifying area and the next dehumidifying area are dehumidified .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공기흡입구 4: 흡입바디
10: 제습유닛 20: 풍향조절기구
30: 송풍기 40: 제어부
60: 센서모듈
2: air inlet 4: suction body
10: dehumidifying unit 20: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30: blower 40:
60: Sensor module

Claims (10)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제습유닛과;
상기 제습유닛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유닛을 통과시킨 후 상기 풍향조절기구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실내 중 습도가 높은 영역부터 낮은 영역의 순서로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습도가 높은 영역으로 공기가 우선 토출되게 상기 풍향조절기구와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A suction body having an air inlet formed therein;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take port;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the dehumidifying unit;
A blower for sucking air into the air inlet and passing the air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and the blower so that the air is firstly discharged to a region having a high humidity, the dehumidifying priority being set in the order from the high humidity region to the low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습도가 높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 습도 이하로 낮아지면,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상기 풍향조절기구와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irflow adjusting mechanism and the blower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to a region where the humidity is relatively low when the humidity of the high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humid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중 제1영역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1습도센서와,
상기 실내 중 제2영역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습도센서와 제2습도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 the first area of the room;
Further comprising a second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he humidity of the air sucked in the second area of the room,
Wherein the controller sets a dehumidification priority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n accordance with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humidity sensor and the second humidity sen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순차적으로 우선제습한 후 상기 풍향조절기구를 스윙토출모드로 제어하는 제습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dehumidifies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equentially, and then controls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chanism to the swing ejection mode.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제습유닛과;
상기 제습유닛을 통과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기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유닛을 통과시킨 후 상기 풍향조절기구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실내 중 습도가 상이한 복수영역을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된 복수영역 중 우선 제습영역을 설정하고, 우선 제습영역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상기 풍향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A suction body having an air inlet formed therein;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air passing through the air intake port;
A dehumidifying unit for dehumidifying the dehumidifying unit;
A blower for sucking air into the air inlet and passing the air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air conditioner;
A sensor module for sensing a plurality of areas having different humidity in the room;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setting a dehumidifying area first among a plurality of areas sensed by the sensor module and controlling the airflow adjusting mechanism so that air is firstly discharged to the dehumidifying are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공간에 위치하는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비접촉식온도센서와;
물체와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제습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or module
A non-contact type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an object located in the space;
A dehumidifier comprising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objects and distanc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거리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송풍기를 강풍모드로 제어하고,
근거리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할 때 상기 송풍기를 상기 강풍모드 보다 약한 송풍모드로 제어하는 제습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The air blower is controlled to be in a strong wind mode when air is discharged to a remote area,
And controls the blower to be in a blowing mode that is weaker than the strong wind mode when air is discharged to a near region.
제습기가 설치된 실내 중 습도가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와;
습도가 높은 영역과 습도가 낮은 영역의 순서로 제습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제습유닛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상기 습도가 높은 영역으로 풍향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Detecting a high humidity region and a low humidity region of the room in which the dehumidifier is installed;
And setting the dehumidifying priority order in the order of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and adjusting the air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high humidity reg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가 높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제습유닛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상기 습도가 낮은 영역으로 풍향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nd controlling the air dehumidified by the dehumidifying unit to the low humidity region if the humidity in the high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valu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가 낮은 영역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습도가 높은 영역 및 습도가 낮은 영역 모두로 풍향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to both the high humidity region and the low humidity region if the humidity in the low humidity region is lower than the set value.
KR1020140150528A 2014-10-31 2014-10-31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600510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28A KR20160051094A (en) 2014-10-31 2014-10-31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528A KR20160051094A (en) 2014-10-31 2014-10-31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94A true KR20160051094A (en) 2016-05-11

Family

ID=5602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528A KR20160051094A (en) 2014-10-31 2014-10-31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09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6016A (en) * 2020-04-30 2020-07-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895791A (en) * 2021-10-26 2022-01-07 湖南正业科技有限公司 Lithium battery storage device with dampproofing function
WO2023185022A1 (en) * 2022-03-28 2023-10-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humidifier, and dehumidifier and storage mediu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6016A (en) * 2020-04-30 2020-07-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895791A (en) * 2021-10-26 2022-01-07 湖南正业科技有限公司 Lithium battery storage device with dampproofing function
WO2023185022A1 (en) * 2022-03-28 2023-10-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humidifier, and dehumidifier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8303B2 (en) Room air conditioning system
JP6739218B2 (en) Air conditioner
EP1985936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032623B (en) Dehumidifier
JP6386945B2 (en) Air conditioner
JP6071626B2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JP2007240100A (en) Dehumidifier
JP2014020670A5 (en)
KR101556974B1 (en) Air condition
CN106461264B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5799932B2 (en) Air conditioner
JP572511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90128546A1 (en) Air conditioner units and methods of operation
CN107062534B (en) Anti-condensation control system, air conditioner and condensation prevention control method
KR20160051094A (en) De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4685913B2 (en) Dehumidifier
KR20090116299A (en) Dehumidification controlling method for air conditioner
JP5056409B2 (en) Air conditioner
JP5382056B2 (en) Dehumidifier
JP5316473B2 (en) Air conditioner
US20200080746A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7145347A1 (en) Air conditioner
JP2002333185A (en) Air conditioner having dehumidifying operational function
KR101368187B1 (en) Fan coil unit
US20230160597A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