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608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608A
KR20160047608A KR1020140143082A KR20140143082A KR20160047608A KR 20160047608 A KR20160047608 A KR 20160047608A KR 1020140143082 A KR1020140143082 A KR 1020140143082A KR 20140143082 A KR20140143082 A KR 20140143082A KR 20160047608 A KR20160047608 A KR 20160047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tool
sealing
makeup tool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4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608A/ko
Publication of KR2016004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씰링부; 및 상기 씰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을 퍼내기 위한 화장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씰링부로부터 절취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A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을 떠서 사용하기 위한 화장도구가 용기 본체를 밀폐하는 씰링부에 일체로 마련되도록 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목적이나 용도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질로 제작된다. 이때 화장품의 형질에 따라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화장도구의 형태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이 고체의 분말이 압착된 형태로 제작된 화장품의 경우, 사용자는 퍼프 또는 브러시 등과 같은 화장도구로 찍어 발라 화장을 하게 된다.
반면 젤 형태의 수딩젤이나 로션, 크림 등과 같은 화장품의 경우, 사용자는 스푼 형태의 화장도구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떠서 피부에 전달한 뒤, 손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고르게 펴발라 화장을 수행한다.
스푼 형태의 화장도구가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화장품 용기와 포장 박스 사이에 화장도구가 보관된 상태에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경우 화장도구가 포장박스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오염될 수 있고, 사용자가 오염된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을 함에 따라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포장박스는 완전한 밀폐를 구현하지 못하므로, 얇은 스푼 형태인 화장도구의 경우 포장박스에 형성되어 있는 작은 틈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바, 분실의 우려가 있어 사용자들의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화장도구를 별도로 제작하여 포장박스에 집어넣어야 하므로, 화장도구를 만들기 위한 제작비와 화장도구를 포장박스에 넣는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가격이 부득이하게 인상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에 구비되는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일체로 마련되도록 하여,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어 보호하며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위치되는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화장도구를 별도로 포장하기 위한 공간이나 비용이 필요하지 않아 판매비용 절감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화장품을 이용하고자 할 때, 씰링부에 구비된 화장도구를 씰링부로부터 분리한 뒤 사용하도록 하여, 화장도구가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 용기 본체로부터 씰링부가 제거되는데, 씰링부로부터 분리된 화장도구가 뚜껑에 간편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씰링부의 제거 이후에도 화장도구의 분실 우려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씰링부; 및 상기 씰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을 퍼내기 위한 화장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씰링부로부터 절취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는,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화장도구의 안착을 위한 안착부; 상기 화장도구의 일단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취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타단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는,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화장도구의 적어도 일측이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취부; 및 상기 절취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절취부와 상기 화장도구 사이의 절취 부분을 커버하며 상기 화장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도구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씰링부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도구는, 폭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접힌 상태로 상기 씰링부에 마련되고, 상기 씰링부로부터 분리된 후 적어도 일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접혀서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내측에 상기 화장도구의 보관을 위한 주머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머니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씰링부와 화장도구를 일체로 제작하되, 화장도구가 씰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제조 단가를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도구가 붙어있는 씰링부를 용기 본체에 부착한 뒤, 씰링부를 덮도록 뚜껑을 용기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화장도구가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화장도구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공간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화장도구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뒤 씰링부를 용기 본체로부터 벗겨내고 씰링부에 마련된 화장도구를 떼어내면 되므로, 화장도구의 분실 우려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씰링부가 제거된 이후 화장도구가 뚜껑의 내부에 간편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사용자가 화장도구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화장도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씰링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로부터 화장도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화장도구가 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로부터 화장도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씰링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로부터 화장도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화장도구가 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 씰링부(20), 화장도구(30), 뚜껑(40)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을 수용한다. 이때 용기 본체(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젤 상태의 화장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화장도구(30)를 이용하여 퍼내질 수 있는 다양한 형질의 화장품을 의미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 등과 같이 외부 공기의 유입을 단절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용기 본체(10)의 상단에는 화장품의 유출입을 허용하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개구부(11)를 갖는 원통 형태이거나 또는 항아리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물론 본 발명은 용기 본체(10)의 형태를 상기로 한정하지 않는다. 용기 본체(10)의 형태는 화장품이 안정적으로 담길 수 있는 모든 형태가 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직사광선이 화장품으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품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화장품이 직사광선을 받아도 문제되지 않는 성분이거나, 또는 화장품 용기(1)가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곳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용기 본체(10)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화장품의 잔류량을 외부로 보여줄 수 있다.
용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주변에는 뚜껑(4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뚜껑(40)에는 용기 본체(1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뚜껑(40)과 용기 본체(10)가 나사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뚜껑(40)이 용기 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1)는 밀폐될 수 있고,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은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씰링부(20)는, 개구부(11)에 결합된다.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1)는 개방된 형태를 가지므로, 뚜껑(40)이 결합되기 전에는 용기 본체(10)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뚜껑(40)을 결합하더라도 용기 본체(10)에 저장된 화장품이 예측하지 못한 원인으로 인하여 개구부(11)를 통해 배출될 경우 뚜껑(40)의 내측에 화장품이 묻게 됨에 따라, 상품성이 떨어지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씰링부(20)를 이용하여 개구부(11)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씰링부(20)는 일회성으로 사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용기 본체(10)로부터 제거된 이후 다시 결합되지 않고 버려질 수 있다.
즉 씰링부(20)는 화장품이 용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화장품 용기(1)의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씰링부(20)에는 후술할 화장도구(30)가 마련될 수 있다.
씰링부(20)는 용기 본체(10)로부터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종이 또는 금속 박막 재질이나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씰링부(20)는 휘어지거나 접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1) 둘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씰링부(20)는 용기 본체(10)에서 제거가 간편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용기 본체(10)와 씰링부(20) 사이의 결합력은 뚜껑(40)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1) 둘레에 씰링부(20)가 안착되고, 뚜껑(40)이 용기 본체(10)에 결합되면서 씰링부(20)를 가압하여, 뚜껑(40)의 분리가 없으면 씰링부(20)가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뚜껑(40)이 분리된 후에는, 씰링부(20)는 용기 본체(1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씰링부(20)는, 안착부(21), 절취부(22a), 결합부(23), 고정부(24a)를 포함한다. 안착부(21)는, 개구부(11)를 커버한다. 따라서 안착부(21)는 개구부(11)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소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21)에는 화장도구(30)가 안착될 수 있다. 화장도구(30)는 씰링부(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화장도구(30)의 하면은 안착부(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부(21)는 화장도구(30)가 놓일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절취부(22a)는, 화장도구(30)의 일단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된다. 절취부(22a)는 씰링부(20)를 구성하는 일 부분으로서, 화장도구(30)에 연결되어 화장도구(30)와 씰링부(20)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절취부(22a)는 화장도구(3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절취선(221)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절취부(22a)로부터 화장도구(30)가 찢어져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절취부(22a)는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화장 도구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례로 절취선(221)과 유사하게 복수 개의 타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단순히 절취되어야 하는 부분을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표시하고, 절취부(22a)와 화장도구(30)의 연결 부분이 쉽게 찢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뤄지도록 하여, 화장도구(30)의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절취부(22a)는 안착부(21)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고, 절취부(22a)와 화장도구(30)가 연결됨에 따라 절취부(22a) 및 화장도구(30)는 안착부(21)의 상면에 함께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취부(22a)에는 화장도구(30)의 일단이 연결되므로, 화장도구(30)의 일단은 고정단이 되고 타단은 자유단이 된다. 다만 화장도구(30)의 타단은 후술할 고정부(24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23)는, 안착부(21)의 외측에 구비된다. 결합부(23)는 용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와 씰링부(20)의 결합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결합부(23)는 안착부(21)의 외측을 둘러 형성되며 개구부(11)의 형태와 동일/유사하게 다각형이나 원, 타원 등의 폐곡선 형태일 수 있다.
결합부(23)는 용기 본체(10)의 개구부(11)의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개구부(11)의 둘레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결합부(23)는 다양한 형태로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3)는 용기 본체(10)에 압착되거나 접착될 수 있으며, 다만 결합 강도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씰링부(20)를 제거할 때 결합부(23)와 용기 본체(10) 간의 분리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합부(23)가 개구부(11)의 둘레 부분을 덮을 경우, 결합부(23)는 뚜껑(4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즉 결합부(23)는 뚜껑(40)이 분리되지 않는 한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다. 또한 결합부(23)가 개구부(11)의 내측에 끼워지더라도, 결합부(23)의 상면이 뚜껑(40)에 의해 커버되므로, 뚜껑(40)이 분리되지 않는 한 결합부(23)는 용기 본체(10)와의 결합을 문제없이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24a)는, 화장도구(30)의 타단을 고정한다. 고정부(24a)는 안착부(2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절취부(22a)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절취부(22a)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4a)는, 화장도구(30)의 타단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절취부(22a)와 고정부(24a)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경우, 일단이 절취부(22a)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부(24a)에 의해 가압되는 화장도구(30)는 경사지게 보관될 것이며, 고정부(24a)와 안착부(21) 사이에 화장도구(30)의 타단이 위치될 수 있도록 안착부(21)는 고정부(24a)와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절취부(22a)와 안착부(21) 역시 이격될 수 있다.
반면 절취부(22a)보다 고정부(24a)가 상방에 위치하면, 화장도구(30)는 경사지지 않은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취부(22a)와 안착부(21)는 밀착될 수 있으며, 화장도구(30) 역시 안착부(21)에 밀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화장도구(30)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화장도구(30)를 절취부(22a)로부터 절취하기 전에, 화장도구(30)의 타단을 고정부(24a)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화장도구(30)의 중앙 부분이나 또는 절취부(22a)에 근접한 부분을 손으로 잡고 화장도구(30)의 타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화장도구(30)가 휘어지면서 고정부(24a)로부터 벗어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절취부(22a)에서 화장도구(30)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절취부(22a)로부터 화장도구(30)를 먼저 절취한 이후에 화장도구(30)의 타단을 고정부(24a)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화장도구(30)의 분리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 중에서 절취부(22a)가 안착부(2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화장도구(30)가 경사지게 보관되어 있는 경우가, 사용자로 하여금 화장도구(30)의 타단을 고정부(24a)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고 안착부(21)와 화장도구(30) 사이에 형성된 틈을 이용해 화장도구(3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화장도구(30)는, 화장품을 퍼내기 위한 구성으로, 씰링부(20)에 일체로 마련된다. 화장도구(30)는 사용자가 화장품을 쉽게 퍼낼 수 있도록 스푼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막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화장도구(30)는 막대 형태로 마련되면서, Y자로 절곡선(31)이 형성되어 스푼 형태로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장도구(30)에서 I자로 마련되는 절곡선(31)을 접어 손잡이로 활용하고, V자로 마련되는 절곡선(31)을 접어 화장품을 퍼낼 수 있는 부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화장도구(30)는, 씰링부(20)로부터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장도구(30)가 씰링부(20)의 절취부(22a)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화장도구(30)는 절취부(22a)의 절취선(221) 등을 따라 일정한 형태로 절취될 수 있다.
화장도구(30)는 절취부(22a)로부터 절취되고 고정부(24a)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휘어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씰링부(20)와 동일/유사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도구(30)와 씰링부(2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전체적인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다만 화장도구(30)는 안착부(21)의 크기에 따라 최대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안착부(21)가 원형일 경우 화장도구(30)의 최대 길이는 안착부(21)의 직경보다 클 수 없다. 이 경우 화장도구(30)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퍼내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10)의 깊이가 화장도구(30)의 최대 길이보다 작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도구(30)가 폭 방향으로 1회 이상 접힘이 가능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폭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씰링부(20)에 마련될 수 있다.
화장도구(30)는 씰링부(20)로부터 분리된 후 적어도 일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1회 이상 접힐 수 있는데, 이때 길이 방향으로 접히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Y자 절곡선(31) 중 I자 절곡선(3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접힌 부분은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도구(30)가 씰링부(20)에 일체로 마련된다고 하더라도, 화장도구(30)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서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 잔류하는 화장품까지 모두 퍼내어 사용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뚜껑(40)은, 용기 본체(10)에 결합되어 개구부(11)를 개폐한다. 뚜껑(40)은 개구부(11)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례로 원통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뚜껑(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1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뚜껑(40)에는, 내측에 주머니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주머니부(41)는, 화장도구(30)의 보관을 위한 구성이다. 화장도구(30)는 씰링부(20)로부터 절취된 뒤, 씰링부(20)가 용기 본체(10)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보관될 위치를 상실한다. 따라서 이때 사용자는 화장도구(30)를 마땅히 보관하지 못하고 화장품 용기(1)와 별도로 보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분실되거나 또는 다른 화장품에 사용되는 화장도구(30)와 혼용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뚜껑(40)의 내측에 주머니부(41)를 형성하고, 주머니부(41)에 화장도구(30)가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씰링부(20)로부터 제거된 화장도구(30)가 뚜껑(40)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주머니부(41)는 뚜껑(40)의 내측면 중 일부분을 덮는 주머니 형태로 마련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머니부(41)의 입구는 어느 정도 확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씰링부(20)로부터 화장도구(30)를 분리하고, 씰링부(2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한 뒤 버리게 될 때, 화장도구(30)를 뚜껑(40)의 주머니부(41)에 보관함으로써 화장도구(30)를 분실하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화장도구(30)는 휘어지는 재질일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타단은 뚜껑(4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휘어지면서 주머니부(41)의 입구를 통해 주머니부(41)로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주머니부(41)에 인입되는 화장도구(30)의 타단은 화장품이 접촉하는 끝단일 수 있다. 화장품이 접촉하지 않는 일단을 주머니부(41)에 인입하게 되면, 사용자가 화장품이 접촉한 화장도구(30)의 끝단을 잡고 주머니부(41)로부터 화장도구(30)를 인출해야 하므로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주머니부(41)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늘어날 수 있으므로, 화장도구(30)에 묻어있던 화장품이 주머니부(41)의 내부로 옮겨묻을 때, 사용자는 휴지 등을 주머니부(41)에 넣어 주머니부(41)의 내부를 닦아냄으로써 주머니부(41)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한 화장도구(30)를 씰링부(20)에 일체로 구성하여 제조 단가를 낮추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화장도구(30)의 분실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로부터 화장도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고정부(24b)에서 차이가 있으며, 나머지 구성들은 제1 실시예와 동일/유사하다. 따라서 고정부(24b) 외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고정부(24b)는, 화장도구(30)의 측면을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24b)는 안착부(21)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부(24b)에 의하여 안착부(21)에서 화장도구(30)가 안착될 수 있는 면적이 축소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4b)는 화장도구(30)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24b)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화장도구(30)는 한 쌍의 고정부(24b) 사이에 억지로 끼워져서 고정부(24b)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도구(30)는 안착부(21)에 안착되는 동시에 고정부(24b)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장도구(30)에서 절취부(22a)가 연결되지 않은 타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화장도구(30)가 고정부(24b)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는 절취부(22a)를 통해 화장도구(30)를 절취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도구(30)는 휘어지는 재질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안착부(21)에 안착되고 안착부(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화장도구(30)의 재질 선택이 보다 자유롭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화장도구(30)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24b)를 통해서 화장도구(30)를 안착부(21)에 고정하고, 사용자가 화장도구(30)를 들어올린 뒤 절취함에 따라 화장도구(30)를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씰링부에 화장도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1, 2 실시예와 대비할 때 씰링부(20)의 형상이 다소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2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씰링부(20)는, 절취부(22b)와 결합부(23), 커버부(25)를 포함한다. 절취부(22b)는 앞서 설명한 제1, 2 실시예에서의 절취부(22a)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갖지만, 본 실시예의 절취부(22b)는 안착부(21)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절취부(22b)는, 개구부(11)를 커버한다. 절취부(22b)는 개구부(11)를 커버하기 위한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화장도구(30)의 적어도 일측이 절취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취부(22b)와 절취부(22b)에 붙은 화장도구(30)에 의해 개구부(11)가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취부(22b)와 화장도구(30) 사이에 형성되는 절취선(221) 등에 의해 개구부(11)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지만, 절취선(221)이나 타공 등이 형성하는 구멍(251)을 매우 작게 하여 실질적으로 용기 본체(10)의 내부가 밀폐된 것으로 취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할 커버부(25)를 구비함으로써 절취선(221) 등이 커버되어 용기 본체(10)가 명확하게 밀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절취선(221) 등은 화장도구(30)의 둘레를 모두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화장도구(3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분에만 절취선(221)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절개된 상태로 놓여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결합부(23)는, 절취부(22b)의 외측에 구비되어 용기 본체(10)에 결합된다. 결합부(23)는 제1, 2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부(25)는, 절취부(22b)와 화장도구(30) 사이의 절취 부분, 즉 절취선(221)을 커버하며 화장도구(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커버부(25)는 절취부(22b)의 단면적보다 같거나 작고, 화장도구(30)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는 화장도구(30)와 절취부(22b) 사이의 절취선(221) 등을 모두 커버하기 위함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취부(22b)에는 절취선(221)이나 타공이 형성되어 화장도구(30)의 분리를 보조하는데, 이 경우 절취선(221) 등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커버부(25)를 절취부(22b)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구비하여, 커버부(25)를 통해 화장품이 완전히 외부와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커버부(25)는 화장도구(30)의 절취선(221)을 커버하면서, 화장도구(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커버부(25)에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화장도구(30)의 일부분을 눌러서 절취부(22b)로부터 화장도구(30)가 절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커버부(25)는 도넛 형태이거나 또는 가운데 구멍(251)이 형성된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커버부(2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22b)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절취부(22b)의 하면에 구비되거나, 절취부(22b)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25)를 절취부(22b)의 하면에 구비할 경우 화장도구(30)에 화장품이 묻는 것이 커버부(25)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씰링부(20)를 우선 용기 본체(10)로부터 제거한 뒤, 씰링부(20)의 절취부(22b)에서 화장도구(30)를 떼어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절취선(221)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화장도구(30)가 분리된 씰링부(20)는 버려질 수 있고, 화장도구(30)는 화장품을 사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화장도구(30)는 앞서 설명한 뚜껑(40)의 주머니부(41)에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씰링부(20)에 화장도구(30)가 절취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화장도구(30)를 보관하는 별도의 공간이나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단가를 낮추는 동시에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 본체
11: 개구부 20: 씰링부
21: 안착부 22a, 22b: 절취부
221: 절취선 23: 결합부
24a, 24b: 고정부 25: 커버부
251: 구멍 30: 화장도구
31: 절곡선 40: 뚜껑
41: 주머니부

Claims (14)

  1. 화장품을 수용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씰링부; 및
    상기 씰링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을 퍼내기 위한 화장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씰링부로부터 절취되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화장도구의 안착을 위한 안착부;
    상기 화장도구의 일단에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취부; 및
    상기 안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타단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측면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화장도구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화장도구의 적어도 일측이 절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취부; 및
    상기 절취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절취부와 상기 화장도구 사이의 절취 부분을 커버하며 상기 화장도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도구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씰링부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도구는,
    폭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접힌 상태로 상기 씰링부에 마련되고, 상기 씰링부로부터 분리된 후 적어도 일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접혀서 손잡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측에 상기 화장도구의 보관을 위한 주머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40143082A 2014-10-22 2014-10-22 화장품 용기 KR20160047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82A KR20160047608A (ko) 2014-10-22 2014-10-2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82A KR20160047608A (ko) 2014-10-22 2014-10-2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08A true KR20160047608A (ko) 2016-05-03

Family

ID=5602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082A KR20160047608A (ko) 2014-10-22 2014-10-2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6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73B1 (ko) * 2017-11-21 2019-02-19 (주)아모레퍼시픽 용기 커버
KR102479637B1 (ko) * 2022-08-09 2022-12-21 주식회사 신우 스파출러 일체형 덮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273B1 (ko) * 2017-11-21 2019-02-19 (주)아모레퍼시픽 용기 커버
WO2019103418A1 (ko) * 2017-11-21 2019-05-31 (주)아모레퍼시픽 용기 커버
CN111212793A (zh) * 2017-11-21 2020-05-2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容器罩
KR102479637B1 (ko) * 2022-08-09 2022-12-21 주식회사 신우 스파출러 일체형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84005U1 (ru) Упаковка
RU2007137861A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родуктов, приготавливаемых для немедле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особенно лекарственны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подобных продуктов
KR20160047608A (ko) 화장품 용기
CN110278708B (zh) 容器盖及具有盖的包装
US2620085A (en) Packaging device and cap-stopper closure
KR200485810Y1 (ko)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
CN211002648U (zh) 自动吸液滴管装置
KR20100045288A (ko) 튜브형 용기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KR20210017283A (ko) 외부 뚜껑 개폐 및 기밀성이 향상된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20170047891A (ko) 다용도 팝콘 용기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US20070199831A1 (en) Contact Lens Package and Applicator With Method For Its Use
EP2848155B1 (en) Container of single-dose cosmetic products
KR200474542Y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KR200457672Y1 (ko) 티슈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85444Y1 (ko) 용기 뚜껑
KR200474475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KR20150002401U (ko) 젤 타입의 화장품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콤팩트케이스
KR20210108810A (ko) 점안제 용기
KR200421382Y1 (ko) 튜브타입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212221079U (zh) 一种易开酒盒
JP7383877B2 (ja) チューブ容器
CN202170090U (zh) 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