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135A - 야채가위 - Google Patents

야채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135A
KR20160047135A KR1020140143128A KR20140143128A KR20160047135A KR 20160047135 A KR20160047135 A KR 20160047135A KR 1020140143128 A KR1020140143128 A KR 1020140143128A KR 20140143128 A KR20140143128 A KR 20140143128A KR 20160047135 A KR20160047135 A KR 2016004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utting
compaction
blade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808B1 (ko
Inventor
김경은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이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우 filed Critical 이장우
Priority to KR102014014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8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야채가위는 한 쌍의 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절단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밀어주며 육면체형상으로 절단하는 깍둑썰기부를 형성하여 식재료를 육면체형상으로 손쉽게 손질하고, 다수의 톱니부가 형성된 다지기부를 형성하여 야채를 손쉽게 다지며, 가위몸체의 일측면에 길이표시부를 형성하여 야채의 절단시 그 크기를 정확하게 절단하며 가위손잡이의 일측에 한 쌍의 행거구멍을 형성하여 주방용가위를 똑바로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채가위 { Vegetable Scissors }
본 발명은 야채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적이 있는 야채 즉, 당근, 감자, 마늘등의 뿌리 채소 및, 아스파라가스, 샐러리등의 줄기채소, 애호박, 오이, 고추등의 열매채소를 손질하는 것으로 깍둑썰기, 일반썰기, 다지기를 손쉽게 하는 야채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리를 하기 위해서 식재료를 손질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적은 양의 식재료를 손질할 경우에는 믹서기나 도마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번거롭고, 적은 양의 손질후 도구를 세척하는 작업 또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출원인은 국내등록특허 제10-1145242호에서와 같이 마늘다지기부가 설치된 야채가위를 선출원하여 제시한 바 있었다.
여기서, 선출원된 야채가위에 형성된 마늘다지기부는 돌출부와 스토퍼를 가지는 제2가위날과 톱니가 형성된 제1가위날로 구성되는데 마늘을 상기 제1가위날과 제2가위날의 사이에 넣은 후 가위손잡이를 닫으면 상기 톱니와 제2가위날의 일면이 상기 마늘을 압착하여 으깨고, 이후 으깨진 마늘이 상기 돌출부의 사이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것으로 마늘 또는 생강등을 손쉽게 다질 수 있는 기술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야채가위는 카레나 볶음밥등을 만들때 손질되는 입자가 비교적 크고 육면체형상 즉, 깍두기 형상으로 손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야채가위는 대파등과 같이 외표면에 질긴 껍질이 있는 식재료를 절단할 경우에는 도6(a) 와 같이 껍질을 제외한 부분(5)만이 절단되고, 상기 껍질(6)은 하부방향으로 휘어져 끝내 절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음식전문가들이 많이 생기는 최근에 들어 요리의 맛 뿐만아니라 데코레이션 즉, 조리된 음식을 먹음직스럽게 접시에 장식하는 것이 일반화됨으로써, 재료의 손질시 정밀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보편화된 반면, 종래의 야채가위는 기존 칼과 도마를 이용한 손질에 비하여 정밀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절단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밀어주며 육면체형상으로 하는 깍둑썰기부를 형성하여 식재료를 육면체형상으로 손쉽게 손질하고, 다수의 톱니부가 형성된 다지기부를 형성하여 야채를 손쉽게 다지며, 야채의 절단시 그 크기를 정확하게 절단하고, 가위손잡이의 중심부에 행거구멍을 형성하여 가위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야채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야채가위는 상부가위몸체와 하부가위몸체가 상하로 교차되어 야채를 손질하는 야채가위로서 상기 상부가위몸체와 하부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깍둑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깍둑썰기부는 상기 상부가위몸체에 형성된 깍둑상부가위날과, 상기 깍둑상부가위날의 하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절단가압면으로 이루어진 깍둑썰기상부와; 상기 하부가위몸체에 형성된 깍둑하부가위날과, 상기 깍둑하부가위날의 일측면에 봉형태로 돌출된 깍둑돌출부와, 상기 깍둑돌출부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깍둑멈춤부로 이루어진 깍둑썰기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위몸체와 하부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다지기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다지기부는 상기 상부가위몸체에 형성된 다짐상부가위날과, 상기 다짐상부가위날의 하부에 요철형상의 톱니부로 이루어진 다지기상부와; 상기 하부가위몸체에 형성된 다짐하부가위날과, 상기 다짐하부가위날의 일측면에 봉형태로 돌출된 다짐돌출부와, 상기 다짐돌출부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다짐멈춤부로 이루어진 다지기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위몸체와 하부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절단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상부가위몸체에 형성된 절단상부날과 하부가위몸체의 형성된 절단하부날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가위몸체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깍둑썰기부와 절단부가 구분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절단부안내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깍둑멈춤부와 다짐멈춤부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깍둑멈춤부 또는 다짐멈춤부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봉형태의 연결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상부날은 상기 깍둑상부가위날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하부날의 일측면에는 숫자가 표기된 측정부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가위날안내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위몸체와 하부가위몸체의 중심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위몸체의 일단부에는 하부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위몸체의 일단부에는 상부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과 하부손잡이의 사이에 상기 하부가위몸체의 두께만큼 일측으로 절곡된 하부절곡부와, 상기 힌지축과 상부손잡이의 사이에 상기 상부가위몸체의 두께만큼 타측으로 절곡되는 상부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손잡이와 하부손잡이에는 야채가위가 행거고리에 걸려질 경우 수직으로 직립되게 걸려지도록 상호 연통하는 행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야채가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한 쌍의 가위몸체가 상호 교차 회전되는 것으로 야채를 손질하는 야채가위에 있어서 한 쌍의 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절단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밀어주며 육면체형상으로 절단하는 깍둑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카레나 볶음밥등을 만들때 손질되는 입자가 비교적 크고 육면체형상 즉, 깍두기 형상으로 손쉽게 손질할 수 있고,
둘째, 한 쌍의 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다수의 톱니부가 형성된 다지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마늘 및 생강등의 다지는 손질이 필요한 야채를 손쉽게 손질할 수 있으며,
셋째, 한 쌍의 가위몸체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보다 얇게 형성된 상부절단날이 형성된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야채의 절단면을 칼로 써는것과 같은 절단면을 가질 수 있게 하고,
넷째, 가위몸체의 일측면에 숫자가 표기된 측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야채의 절단시 그 크기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은행잎썰기와 같은 정밀한 손질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섯째, 가위손잡이의 중앙부에 행거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주방용가위의 보관시 삐뚤어지지 않고 똑바로 걸어 수 있어 보관시 미관상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채가위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채가위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채가위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지기부의 작용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a-a단면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깍둑썰기부의 작용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b-b단면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작용도면으로 (a)는 도 2에 도시된 c-c단면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b)는 종래의 야채가위가 대파를 절단할 경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야채가위가 보관되는 것을 나타내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야채가위는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상하로 교차되어 야채(2)를 손질하는 야채가위(1)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깍둑썰기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깍둑썰기부(100)는 상기 상부가위몸체(20)에 형성된 깍둑상부가위날(111)과,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의 하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절단가압면(112)으로 이루어진 깍둑썰기상부(110)와; 상기 하부가위몸체(30)에 형성된 깍둑하부가위날(121)과, 상기 깍둑하부가위날(121)의 일측면에 봉형태로 돌출된 깍둑돌출부(122)와, 상기 깍둑돌출부(122)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깍둑멈춤부(123)로 이루어진 깍둑썰기하부(1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깍둑돌출부(122)와 깍둑멈춤부(123)의 연결부는 상기 절단가압면(112)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가압면(112)의 하부에는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이 하부방향으로 완전히 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깍둑돌출부(122)가 삽입되도록 요입된 다수의 요입홈(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다지기부(2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다지기부(200)는 상기 상부가위몸체(20)에 형성된 다짐상부가위날(211)과, 상기 다짐상부가위날(211)의 하부에 요철형상의 톱니부(212)로 이루어진 다지기상부(210)와; 상기 하부가위몸체(30)에 형성된 다짐하부가위날(221)과, 상기 다짐하부가위날(221)의 일측면에 봉형태로 돌출된 다짐돌출부(222)와, 상기 다짐돌출부(222)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다짐멈춤부(223)로 이루어진 다지기하부(2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절단부(3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상부가위몸체(20)에 형성된 절단상부날(310)과 하부가위몸체(30)의 형성된 절단하부날(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가위몸체(30)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깍둑썰기부(100)와 절단부(300)가 구분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절단부안내편(3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깍둑멈춤부(123)와 다짐멈춤부(22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깍둑멈춤부(123) 또는 다짐멈춤부(223)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봉형태의 연결봉(40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깍둑멈춤부(123)와 다짐멈춤부(223)에 형성된 연결봉(400)은 상기 야채가위(1)의 작동시에 상기 깍둑멈춤부(123)와 다짐멈춤부(223)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일체로 깍둑멈춤부(123) 또는 다짐멈춤부(223)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깍둑돌출부(122)와, 깍둑멈춤부(123), 다짐돌출부(222), 다짐멈춤부(223) 및 상기 연결봉(400)은 봉의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되 그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상부날(310)은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하부날(320)의 일측면에는 숫자가 표기된 측정부(340)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가위날안내봉(35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단상부날(310)은 상기 다짐상부가위날(211)의 두께보다 얇은 뚜께(T)로 형성되도록 상기 다짐상부가위날(211)의 일단부에서 단턱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위날안내봉(350)은 상기 절단하부날(320)의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절단돌출부(351)와, 상기 절단돌출부(351)의 일단부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절단멈춤부(352)와, 상기 다수개의 절단멈춤부(352)를 연결하는 절단연결봉(3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깍둑멈춤부(133)과, 다짐멈춤부(223), 절단멈춤부(352)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형상은 직선 또는 대각선 곡선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의 중심부에는 힌지축(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위몸체(20)의 일단부에는 하부손잡이(2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위몸체(30)의 일단부에는 상부손잡이(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3)과 하부손잡이(21)의 사이에 상기 하부가위몸체(30)의 두께만큼 일측으로 절곡된 하부절곡부(510)와, 상기 힌지축(3)과 상부손잡이(31)의 사이에 상기 상부가위몸체(20)의 두께만큼 타측으로 절곡되는 상부절곡부(5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절곡부(510)와 상부절곡부(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X"형상으로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손잡이(31)와 하부손잡이(2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채가위(1)가 행거고리(4)에 걸려질 경우 수직으로 직립되게 걸려지도록 상호 연통하는 행거구멍(6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행거구멍(600)은 상기 상부손잡이(31)와 하부손잡이(21)에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되 그 상하면에 상호 교차될 수 있도록 단턱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힌지축(3)에 의하여 상호 교차되는 일반가위 및 U형상의 탄성편으로 구성되는 쪽가위등 통상의 가위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야채가위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야채가위(1)에 형성된 상기 깍둑썰기부(100)의 작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야채가위(1)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야채(2)를 투입할 경우 정해진 길이 만큼 돌출된 깍둑돌출부(122)와 상기 깍둑돌출부(122)의 일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깍둑멈춤부(123)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야채(2)가 정해진 깊이만큼 즉 일정한 길이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를 상하로 교차시키면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이 하강하면서 상기 야채(2)를 절단하는 동시에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에 형성된 상기 절단가압면(112)에 의하여 절단된 야채(2)가 외측방 즉, 상기 깍둑멈춤부(123)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절단된 야채(2)는 절단 블레이드 역활을 하는 상기 깍둑멈춤부(123)에 의하여 세로로 절단되고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이 완전히 하강하면서 상기 야채(2)를 육면체형상으로 절단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깍둑멈춤부(123) 사이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지기부(200)의 작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야채가위(1)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야채(2)를 투입할 경우 정해진 길이 만큼 돌출된 다짐돌출부(222)와 상기 다짐돌출부(222)의 일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된 다짐멈춤부(223)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야채(2)가 정해진 깊이만큼 즉 일정한 길이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를 상하로 교차시키면 상기 다짐상부가위날(211)이 하강하면서 상기 톱니(212)에 의하여 상기 야채(2)가 1차적으로 으깨지며 으깨진 야채(2)는 상기 다짐돌출부(222)의 사이를 통과하며 2차로 으깨어 사용하기 적당한 크기로 다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300)의 작용은 상기 절단상부날(310)이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됨으로써, 당근과 같은 단단한 야채를 절단할 경우 상기 절단상부날(310)로 인하여 상기 야채(2)가 칼로 썬 것처럼 절단면이 깔끔하게 절단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3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야채(2)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며 써는 원형썰기, 상기 야채(2)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회전시키며 써는 꺽둑썰기, 상기 야채(2)를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가위집을 넣고 가로지르며 써는 반달썰기, 상기 야채(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위집을 넣고 가로지르며 써는 은행잎썰기 등을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절단상부날(310)로써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하부날(320)의 일측면에는 숫자가 표기된 측정부(34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야채(2)에 가위집을 넣을 경우 가위집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어야채(2)를 보다 정밀하게 손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하부날(320)의 타측면에 가위날안내봉(350)이 형성됨으로써, 공급된 야채(2) 중 휘어지는 대파와 같은 재료의 절단시 상기 절단상부날(310)에 의하여 상기 재료가 상기 절단하부날(320)의 하부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재료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깍둑멈춤부(123)와 다짐멈춤부(22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깍둑멈춤부(123) 또는 다짐멈춤부(223)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봉형태의 연결봉(40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야채가위(1)의 작동시에 상기 깍둑멈춤부(123)와 다짐멈춤부(223)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세척시 수세미등이 걸려 찢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3)과 하부손잡이(21) 및 상부손잡이(31)의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X"형상으로 교차 즉, 상기 하부가위몸체(30) 또는 상부가위몸체(20)의 두께만큼 일측과 타측으로 절곡된 절곡부(510, 5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깍둑썰기부(100)의 깍둑돌출부(122)와 상기 다지기부(200)의 다짐돌출부(222)의 위치를 좌우방향 중 한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야채(2)를 한 방향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손잡이(31)와 하부손잡이(2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채가위(1)가 행거고리(4)에 걸려질 경우 수직으로 직립되게 걸려지도록 상호 연통하는 행거구멍(600)이 형성됨으로써, 기존 손잡이의 파지홀을 통하여 걸려질 경우 삐딱하게 걸려지는 것을 개선하여 보관시 미관상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야채가위 2 : 야채
3 : 힌지축 4 : 행거고리
20 : 상부가위몸체 21 : 하부손잡이
30 : 하부가위몸체 31 : 상부손잡이
100 : 깍둑썰기부 110 : 깍둑썰기상부
111 : 깍둑상부가위날 112 : 절단가압면
120 : 깍둑썰기하부 121 : 깍둑하부가위날
122 : 깍둑돌출부 123 : 깍둑멈춤부
200 : 다지기부 210 : 다지기상부
211 : 다짐상부가위날 212 : 톱니부
220 : 다지기하부 221 : 다짐하부가위날
222 : 다짐돌출부 223 : 다짐멈춤부
300 : 절단부 310 : 절단상부날
320 : 절단하부날 330 : 절단부안내편
340 : 측정부 350 : 가위날안내봉
400 : 연결봉 510 : 하부절곡부
520 : 상부절곡부 600 : 행거구멍

Claims (7)

  1.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상하로 교차되어 야채(2)를 손질하는 야채가위(1)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깍둑썰기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깍둑썰기부(100)는 상기 상부가위몸체(20)에 형성된 깍둑상부가위날(111)과,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의 하부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절단가압면(112)으로 이루어진 깍둑썰기상부(110)와;
    상기 하부가위몸체(30)에 형성된 깍둑하부가위날(121)과, 상기 깍둑하부가위날(121)의 일측면에 봉형태로 돌출된 깍둑돌출부(122)와, 상기 깍둑돌출부(122)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깍둑멈춤부(123)로 이루어진 깍둑썰기하부(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가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다지기부(2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다지기부(200)는 상기 상부가위몸체(20)에 형성된 다짐상부가위날(211)과, 상기 다짐상부가위날(211)의 하부에 요철형상의 톱니부(212)로 이루어진 다지기상부(210)와;
    상기 하부가위몸체(30)에 형성된 다짐하부가위날(221)과, 상기 다짐하부가위날(221)의 일측면에 봉형태로 돌출된 다짐돌출부(222)와, 상기 다짐돌출부(222)의 일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다짐멈춤부(223)로 이루어진 다지기하부(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가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가 접촉되는 어느 한 지점에 절단부(3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상부가위몸체(20)에 형성된 절단상부날(310)과 하부가위몸체(30)의 형성된 절단하부날(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가위몸체(30)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깍둑썰기부(100)와 절단부(300)가 구분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절단부안내편(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가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깍둑멈춤부(123)와 다짐멈춤부(223)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깍둑멈춤부(123) 또는 다짐멈춤부(223)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봉형태의 연결봉(4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가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상부날(310)은 상기 깍둑상부가위날(11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절단하부날(320)의 일측면에는 숫자가 표기된 측정부(340)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가위날안내봉(3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가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위몸체(20)와 하부가위몸체(30)의 중심부에는 힌지축(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위몸체(20)의 일단부에는 하부손잡이(2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위몸체(30)의 일단부에는 상부손잡이(3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3)과 하부손잡이(21)의 사이에 상기 하부가위몸체(30)의 두께만큼 일측으로 절곡된 하부절곡부(510)와, 상기 힌지축(3)과 상부손잡이(31)의 사이에 상기 상부가위몸체(20)의 두께만큼 타측으로 절곡되는 상부절곡부(5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가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손잡이(31)와 하부손잡이(21)에는 야채가위(1)가 행거고리(4)에 걸려질 경우 수직으로 직립되게 걸려지도록 상호 연통하는 행거구멍(6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가위.
KR1020140143128A 2014-10-22 2014-10-22 야채가위 KR101747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128A KR101747808B1 (ko) 2014-10-22 2014-10-22 야채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128A KR101747808B1 (ko) 2014-10-22 2014-10-22 야채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135A true KR20160047135A (ko) 2016-05-02
KR101747808B1 KR101747808B1 (ko) 2017-06-15

Family

ID=5602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128A KR101747808B1 (ko) 2014-10-22 2014-10-22 야채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8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3635A (zh) * 2016-06-15 2016-10-12 李红光 一种葡萄剪
KR20170004137U (ko) 2016-05-31 2017-12-11 (주)대한솔루션 재단과 절단할 수 있는 가위
CN110539338A (zh) * 2019-10-11 2019-12-06 陈品观 一种安全剪刀
WO2020004969A1 (ko) * 2018-06-29 2020-01-02 박재익 다용도 가위
KR102078636B1 (ko) * 2018-11-19 2020-02-19 남윤주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260B2 (ja) * 1999-09-02 2001-05-28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他機能付き鋏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37U (ko) 2016-05-31 2017-12-11 (주)대한솔루션 재단과 절단할 수 있는 가위
CN105993635A (zh) * 2016-06-15 2016-10-12 李红光 一种葡萄剪
WO2020004969A1 (ko) * 2018-06-29 2020-01-02 박재익 다용도 가위
JP2020000865A (ja) * 2018-06-29 2020-01-09 イク パク,ジェ 多用途ハサミ
KR102078636B1 (ko) * 2018-11-19 2020-02-19 남윤주 걸이가 가능한 기능성 가위
CN110539338A (zh) * 2019-10-11 2019-12-06 陈品观 一种安全剪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808B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08B1 (ko) 야채가위
EP2114638B1 (en) Vegetable and fruit slicer and method for slicing
US20160193744A1 (en) Onion cutter device with specialist cutting blades for various vegetable and fruit finishes
US20110283549A1 (en) Work Holder
KR20090007796U (ko) 다용도 칼
KR20080114632A (ko) 식재료 절단용 가위
JP2006239818A (ja) 食材切断具
US10736454B1 (en) Nopal-cactus thorns removal hand tool and method
US9630329B2 (en) Kitchen scissors with a curved blade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100726583B1 (ko) 절곡가위
US20200047359A1 (en) Strawberry knife
WO2015121965A1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US6968624B1 (en) Carrot scoop
US20130031790A1 (en) Multi-Blade Hand Held Knife for Kitchen Use
CN204658466U (zh) 阻滑柄弯口式切菜刀
RU2567411C1 (ru) Ручная шинковка /варианты/ и разделочная доска для нее /варианты/
JP2005074619A (ja) 食材加工器
KR200350202Y1 (ko) 기능형 식칼
KR200443620Y1 (ko) 구근류 국수가락 제조용 커터기
JP6209701B2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6174062B2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20160079225A (ko) 칼 가이드가 달린 도마
CN206105913U (zh) 一种菜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