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228A -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 Google Patents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228A
KR20160043228A KR1020140136978A KR20140136978A KR20160043228A KR 20160043228 A KR20160043228 A KR 20160043228A KR 1020140136978 A KR1020140136978 A KR 1020140136978A KR 20140136978 A KR20140136978 A KR 20140136978A KR 20160043228 A KR20160043228 A KR 20160043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oving part
magnetic body
rotary shaf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전창남
이종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3228A/ko
Publication of KR2016004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부 및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1 센싱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모듈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가동부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2 센싱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자성체 및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위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SHIFTING-RANGE ROTARY SENSOR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 내지 센서로서, 차량의 변속 레인지 감지 등 차량의 상태 감지를 이루는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는 로터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스위치는 회전수 내지 회전 속도 등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소정의 출력부로 해당 감지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동작을 출력부에서 실행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중의 하나로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로터리 스위치는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의도를 출력부로 정확하게 전달함에 있어 중요한 스위칭 기구로 사용되는데, 특히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로터리 스위치도 단순한 회동 상태의 감지를 넘어 감성적 품질에 대한 많은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로터리 스위치가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보다 정확한 감지와 상당한 작동 신뢰성이 요구된다. 근래 스위치의 경우 접촉식에서 비접촉식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근래 비접촉식 인히비터 스위치의 경우 해당 변속 레인지에 상응하는 개수의 마그네트를 배치시켜 정확한 레인지 출력을 이루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위치의 경우 컴팩트한 구성을 어렵게 하고, 자석 간의 배치 위치가 근접화되어 상호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발생 가능성이 증대되는 등 작동 신뢰성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이루되 비접촉 방식의 스위치 내지 센서로서 감지 정확도와 더불어 작동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부 및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1 센싱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모듈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가동부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2 센싱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자성체 및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위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와,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장을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에 전달하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단부면에 N극 및 S극 중의 하나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를 수용하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고정 위치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와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의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를 향한 일면에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와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윈도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를 수용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와 결합되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단일의 자성체 블록일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복수 개의 자성체 플레이트가 적층 배치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플레이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축 방향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ㄷ'자 형상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와,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의 단부에서 수직 연장 되어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버티컬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단부면에 N극 및 S극 중의 하나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일단은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의 N극과 마주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타단은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의 S극과 마주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자력 변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차량의 P(주차), D(주행), R(후진), N(중립)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에 대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위치는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되고,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의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레인지의 사이에 버퍼 레인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버퍼 레인지에 대응하는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의 길이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수용 배치되는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상기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에 의하여 탄성 지되어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과 함께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의 대응 위치로 상기 하우징 측에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일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바디를 향한 일면에는 커버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의 상기 커버 가이드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커버 가이드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 가이드와 맞물림 상대 가동 가능한 샤프트 윙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 윙 가이드보다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 측에 배치되는 오링부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을 제한하는 하우징 스톱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접촉 방식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에 있어 감지 정확도를 증대시키는 구조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는, 영구 자석 및 자성체를 무빙 요소로 배치하여 실질적으로 자성체를 통한 자기 감지 구조를 형성하여 조립성을 개선하여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감지 범위 확대 내지 감도 개성 등의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센싱 가동 자성체 및 센싱 가동 마그네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센싱 가동 자성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제 2 센싱 가동부의 센싱 가동부 자성체 및 이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의 제 2 센싱 가동부의 센싱 가동부 자성체에 대한 변속 레인지와의 대응 상태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10)는 특히 차량의 각종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 장치나 차량의 각종 기능 선택을 위한 스위치 장치, 예를 들어,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니트로서 회전 조작을 통하여 다양한 차량 상태의 감지 가능하도록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스티어링 휠 센서 등과 더불어, 다양한 조작 상태 구현을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 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 것과 같은 차량의 다양한 선택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회전 동작을 감지하고 소정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동작을 이루는 과정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 선택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변속 레버 측에 연동하는 변속 레인지 감지 스위치 및/또는 변속기의 스풀(미도시)와 연결되는 인히비터 스위치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기판(200)과 로터리 샤프트(300)와, 센싱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는 각각 측부에 하우징 커버 체결부 및 하우징 바디 체결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 체결부와 하우징 바디 체결부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 체결부 및 하우징 바디 체결부는 외주에 형성되는 요홈 내지 관통구로 구현되고, 별도의 체결 부재(101)를 통하여 관통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가 내부 공간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 사이에는 실링 부재(600)가 배치되어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가 이루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기밀 차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는 본 실시예에서 하기되는 센싱부의 제 1 센싱 고정부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구조의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현되는데, 경우에 따라 별도의 메인 기판이 더 구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바디(110)는 기판(200)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리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바디(110)에는 하우징 바디 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120)의 일면으로 하우징 바디 관통구(11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21)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바디 관통구(111)와 하우징 커버 관통구(121)에는 로터리 샤프트(300)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센싱부(400)의 제 2 센싱 모듈(402)이 배치된다. 기판(200)은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기판은 센싱부의 제 1 센싱 모듈과 연결되는 별도의 메인 기판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기판에는 제 2 센싱 모듈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한다.
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10)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제 1 센싱 모듈의 배치 영역과의 간섭을 방지하나, 이는 일예로서 기판이 기판 관통구를 구비하여 로터리 샤프트(30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로터리 샤프트(300)는 중앙에 샤프트 관통구(301)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로터리 샤프트(300)의 샤프트 관통구(301)에는 외부 대상체(미도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변속 레버와 연동하는 로드(샤프트, 미도시) 내지 별도의 액츄에이터 등을 통한 관통 배치를 이루고 축회동을 이룸으로써 로터리 샤프트(300)의 회전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 및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 연장 형성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이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120) 및 하우징 바디(110) 사이의 공간 내에서 안정적인 장착 가동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는 원통형 구조를 취하고,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샤프트 관통구(301)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요홈이 형성되어 외부 대상체와의 상대 회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는 원통형 구조를 이루되,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에서의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형성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은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서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은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로터리 샤프트 윙(320)은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사이각을 갖는 복수 개의 배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하기되는 센싱부(400)의 제 1 센싱 모듈(401)의 제 1 센싱 가동부(420)가 배치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샤프트 윙 가동부 장착부(321)가 구비되고, 샤프트 윙 가동부 장착부(321)에 제 1 센싱 가동부(420)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샤프트 윙 가동부 장착부(321) 및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본 실시예에서 한 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와 하우징(100)에는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커버 가이드(122, 도 5 참조)를 구비하고, 로터리 샤프트(300)는 샤프트 윙 가이드(3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하우징 커버(120)의 로터리 샤프트(300)의 로터리 샤프트 윙(320)을 향한 일면에는 커버 가이드(122)가 배치되는데, 커버 가이드(122)와 샤프트 윙 가이드(322)는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등반경 위치에 배치되고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가이드(122)는 요홈 구조를 이루고 샤프트 윙 가이드(322)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취하여 커버 가이드(122)에 샤프트 윙 가이드(322)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수용 맞물림 구조를 통하여 로터리 샤프트의 안정적인 회동 상태 유지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로터리 샤프트의 로터리 샤프트 바디와 하우징의 회동 장착시 구성요소의 간극으로 인한 습기 내지 이물 유입으로 인하여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기판(200) 내지 기판 상의 회로소자의 손상 내지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는 오링부(500)가 더 구비되는데,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는 샤프트 바디 오링 안착부(313)가 구비되고, 샤프트 바디 오링 장착부(313)에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커버(120)에는 커버 오링 가압부(123)가 구비되는데, 샤프트 바디 오링 장착부(313)에 오링부(500)이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의 장착 결합시 오링부(500)가 가압되어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 바디(110)의 간극을 밀폐시키고 커버 오링 가압부(123)가 비교적 긴 구성을 취하여 습기 경로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중앙부위로부터 습기 또는 이물이 기판(20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센싱부(400)는 제 1 센싱 모듈(401)과 제 2 센싱 모듈(402)을 포함하는데, 제 1 센싱 모듈(401)은 제 1 센싱 가동부(420)와 제 1 센싱 고정부(410)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모듈(402)은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제 2 센싱 고정부(430)를 포함한다.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 배치되어 회동하고, 제 1 센싱 고정부(410)는 제 1 센싱 가동부(420)에 대응하여 제 1 센싱 가동부(420)의 회동을 감지한다. 즉, 제 1 센싱 고정부는 위치 고정되어 하우징 측에 배치되고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 배치되어 로터리 샤프트 윙(320)과 함께 회동하며 위치 고정된 제 1 센싱 고정부(410)와의 상호 연동에 의하여 회동 감지가 이루어진다. 제 1 센싱 고정부 및 제 1 센싱 가동부는 소정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센싱 모듈(401)은 접촉식 스위칭 구조를 취한다. 즉 제 1 센싱 가동부(420)는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포함한다.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샤프트 윙 장착부(321)가 구비되고,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는 샤프트 윙 장착부(321)에 수용 배치된다.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는 일단이 샤프트 윙 장착부(321)의 내측에 접촉하고 타단은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와 접촉하여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탄성 지지한다.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는 'ㄷ'자 형상을 취하는데, 이는 일예로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의 일단은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와 접하여 탄성 지지되고 타단은 대응하여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제 1 센싱 고정부(410)와 접촉 가능하고, 접촉 위치 변화로 전기적 신호의 변동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센싱 모듈은 한 개가 구비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하나의 로터리 샤프트 윙 및 대응 위치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로터리 샤프트 윙 및 대응 위치에 단수 내지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센싱 고정부(410)는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의 대응되는 위치, 즉 가동 범위 내로 하우징 측에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으로 구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10)에 인서트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별도의 기판이 구비되고 이에 형성되는 기판 도전성 라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제 1 센싱 가동부(420)의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와의 접촉 단속을 통한 소정의 위치 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센싱 모듈(401)은 차량의 변속 레인지 중 P(주차) 및 N(중립) 상태의 여부만을 감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제 1 센싱 고정부(410)는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 영역 중 차량의 변속 레인지 중 특정 변속 레인지, 예를 들어 P(주차) 및 N(중립) 상태에 대한 영역에만 제 1 센싱 가동부(420)와의 접촉 유지 내지 접촉 해제 상태가 발생하는 구조를 취하여 다른 변속 레인지와의 신호 차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시 P,N 변속 레인지 이외의 상태에서 시동을 방지하여 차량의 급출발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제 2 센싱 모듈(402)은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제 2 센싱 고정부(430)를 포함하고,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 배치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제 2 센싱 가동부(440)와 이격 배치되어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회동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자성체 및 자석을 포함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제 2 센싱 가동부(440)의 위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이다. 여기서, 재 2 센싱 고정부(430)인 자기 센서는 자성체 및 자석으로 구현되는 가동부 측과 마주하여 홀소자가 배치되는 구조의 패키징화된 홀IC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고, MR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제 2 센싱 가동부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자성체 및 자석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자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자성체 및 자석으로 구현되는데,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와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 및/또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7)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 배치되어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와 함께 회동한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를 형성하는 자성체는 니켈과 철의 합금인 퍼멀로이와 같은 강자성체일 수도 있고 연자성체일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는 소정의 블록으로 형성되는데, 다양한 형상 변화가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회동에 의하여 위치 변동을 제 2 센싱 고정부(430)가 원활하게 감지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는 직접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를 통하여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 연결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중 p형성되어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를 수용하고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외주에 고정 위치한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는 별개로 형성되어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의 사출시 함께 일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장착구(444)를 포함하는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장착구(444)를 통하여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 내부 공간으로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가 삽입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장착구(444)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장착구(444)의 측면에 형성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윈도우(444a)를 구비하는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윈도우(444a)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의 개방된 영역으로 제 2 센싱 고정부(430)를 향하여 형성됨으로써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가 제 2 센싱 고정부(430)와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제 2 센싱 고정부(430)를 통한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위치 변동에 의한 소정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도록 한다.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단부에 배치되고 센싱 가동부자성체(441)에 자기장을 전달한다.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단부면에 N극 및 S극 중 하나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는 본 실시에에서 복수 개가 구비되되,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일단에는 N극 및 S극 중 하나가, 그리고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타단에는 다른 하나의 극이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제 2 센싱 고정부(430)는 양단에 배치되는 상이한 극성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의 이루는 N극 및 S 극의 자속에 대하여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상대 위치 변화에 따라 대응되는 자력 변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센싱부(400)는 차량의 P(주차), D(주행), R(후진), N(중립) 등과 같은 복수 개의 변속 레인지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 2 센싱 고정부(430)에 대한 센싱가동부 자성체(411)의 위치는 차량의 P(주차), D(주행), R(후진), N(중립) 등과 같은 복수 개의 변속 레인지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되고,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의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레인지 사이에 버퍼 레인지(P-R, R-N, N-D)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부(400)의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차량의 변속 레인지, 즉 차량의 P(주차), R(후진), N(중립), D(주행)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데, 각각의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은 차량의 P(주차), R(후진), N(중립), D(주행)의 변속 레인지에 대응한다(도 12 참조).
이와 같이 자성체로 구현되는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과 제 2 센싱 고정부(430) 간의 상대 위치 변화를 통하여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제 2 센싱 고정부(430)가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활용하여 현재 변속 레인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신호의 오작동 내지 불필요한 빈번한 변속 레인지 변화를 방지하여 원치 않는 변속 충격 내지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의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레인지 사이에 버퍼 레인지(P-R, R-N, N-D)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제 2 센싱 가동부(440)는 버퍼 레인지에 대응하는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440P-R, 440R-N, 440N-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는 센싱 가동 영역 사이에 중간 영역으로서의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변속 감지 및 감지 신뢰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440P-R, 440R-N, 440N-D)과 제 2 센싱 고정부(430) 간의 상대 위치 변화로 인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소정의 변속 레인지를 확인하고 이전 단계에서의 변속 레인지 및 기타 주변 환경 감지 신호를 활용하여 소정의 중간 영역에서의 변속 출력값을 선정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440P-R, 440R-N, 440N-D)의 길이는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 방향, 즉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 차이를 형성하여 제 2 센싱 가동 영역(440P,440R,440N,440D)의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의 각각의 단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각 단부에 배치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들은 동일 극성 방향을 향하도록 일렬 배치되어 자기력을 강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는 센싱 가동부 가동부 자성체(441)가 배치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에 직접 부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를 수용 장착하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7)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7)에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가 배치된다.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7)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의 단부로 본 실시예서는 양단에 배치된다.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7)의 단부에는 마그네트 홀더 장착부(448)가 구비되고, 마그네트 홀더 장착부(448)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의 단부에 형성되는 자성체 홀더 장착부(442)와 맞물리어 상호 체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7)의 중앙에는 마그네트 홀더 수용부(449)가 구비되어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를 수용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 및센싱 가동부 자성체(441)를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 및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5)에 수용 배치시키는 구조가 도시되고, 도 8에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443) 및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445)의 부분 사시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 및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45)의 삽입되어 위치고정시키는 구조를 통하여 제 2 센싱 고정부(430)에 대한 안정적인 상대적 위치 변동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 도 9 참조)는 단일의 자성체 블록으로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A,441B)가 도시되는데, 먼저 도면 부호 441A로 지시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A)는 복수 개의 적층되는 구조의 자성체 플레이트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소정의 형상, 즉 호상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자성체 플레이트를 적층시켜 단위체 구조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A)를 이룰 수 있는데, 이는 조립성을 개선시키고 원가 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A)의 플레이트 적층 방향은 본 실시예에서 양단에 배치되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을 잇는 선분에 수직한 방햐응로 적층되는 배치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자기장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면 부호 441B로 지시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441B)는 ㄷ자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센싱 가동 자성체(411B)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441-1B)와 센싱 가동부 자성체 버티컬(441-2B)를 포함한다.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441-1B)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310)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센싱 가동부 자성체 버티컬(441-2B)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441-1B)의 단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25)와 마주하는데, 센싱 가동부 자성체 버티컬(441-2B)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양단에 배치되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425)로부터의 자기장을 전달받아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441-1B)를 통하여 반대편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441-1B) 측으로 자기장을 전달하여 소정의 원활한 자장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되 자성체의 재료 원가를 최소화하여 제조 원가 대비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로터리 샤프트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 바디(110)와 로터리 샤프트 윙(320)에는 양자의 맞닿음을 통한 회동 저지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되는데, 하우징 바디(110)는 바디 스톱퍼(117, 도 2 참조)이 구비되어 로터리 샤프트 윙(320)과의 제한 접촉을 통하여 로터리 샤프트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회동방향에 따른 변속 레인지의 추가적 변화 방지 구조는 소정의 스톱핑 기능을 구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10)의 하우징(100)은 차량에 배치되고, 기판(200)이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며, 하우징(100)에 차량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300)와, 센싱부(400)를 구비하여, 차량의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는 인히비터 스위치로서의 차량 변속 레인지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과 같이 제 2 센싱 고정부가 자성체 및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가동부와의 상대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위치 변화를 도출하는 구조의 제 2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센서 내지 스위치로 구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00..하우징 110...하우징 바디
120...하우징 커버 200...기판
300..로터리 샤프트 400...센싱부

Claims (2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바디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로터리 샤프트 윙을 포함하는 로터리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배치되어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부 및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1 센싱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 1 센싱 모듈 및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센싱 가동부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회동을 감지하는 제 2 센싱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 2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자성체 및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의 위치 변동에 따라 변화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인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와 함께 회동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와,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자기장을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에 전달하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단부면에 N극 및 S극 중의 하나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를 수용하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외주에 고정 위치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의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를 향한 일면에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와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 윈도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를 수용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홀더와 결합되는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단일의 자성체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복수 개의 자성체 플레이트가 적층 배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플레이트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ㄷ'자 형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와,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 라운드의 단부에서 수직 연장 되어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와 마주하는 센싱 가동부 자성체 버티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단부면에 N극 및 S극 중의 하나가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일단은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의 N극과 마주하고,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타단은 상기 센싱 가동부 마그네트의 S극과 마주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는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자력 변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차량의 P(주차), D(주행), R(후진), N(중립)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싱 고정부에 대한 상기 센싱 가동부 자성체의 위치는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되고,
    상기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 중의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레인지의 사이에 버퍼 레인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센싱 가동부는 상기 버퍼 레인지에 대응하는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싱 가동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 2 센싱 가동 버퍼 영역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싱 가동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에 수용 배치되는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와,
    상기 제 1 센싱 가동 탄성부(421)에 의하여 탄성 지되어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과 함께 회동하는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42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센싱 고정부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의 대응 위치로 상기 하우징 측에는 상기 제 1 센싱 가동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고정 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판이 배치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바디를 향한 일면에는 커버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 윙의 상기 커버 가이드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커버 가이드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 가이드와 맞물림 상대 가동 가능한 샤프트 윙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 윙 가이드보다 상기 로터리 샤프트 바디의 회동 중심 측에 배치되는 오링부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의 회동을 제한하는 하우징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1020140136978A 2014-10-10 2014-10-10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20160043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78A KR20160043228A (ko) 2014-10-10 2014-10-10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978A KR20160043228A (ko) 2014-10-10 2014-10-10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228A true KR20160043228A (ko) 2016-04-21

Family

ID=5591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978A KR20160043228A (ko) 2014-10-10 2014-10-10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3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661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661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883B2 (en) Torque detec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519927B2 (ja) 回転角検出装置
US7321230B2 (en) Rotation angle-detecting device
US7932716B2 (en) Rotation angle sensor and rotation angle sensor system
KR20100070593A (ko) 비접촉 변속 감지 유니트
JP3850199B2 (ja) インヒビタスイッチ
KR101653444B1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WO2012063599A1 (ja) 非接触式角度センサ
KR102103536B1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101591320B1 (ko) 센서 장착 회전 커넥터
JP2012103185A5 (ko)
KR101629088B1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KR20160043228A (ko) 레인지 로터리 센서 유니트
JP6129276B1 (ja) 非接触式回転角度検出装置
US8674686B2 (en) Angular position sensor for a rotating shaft
WO2021020541A1 (ja) 回転角度検出センサ
JP6825405B2 (ja) バルブ装置
US10539430B2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JP6282010B2 (ja) 位置検出装置
KR20100080979A (ko) 센서
US20200318729A1 (en) Detecting device
US10008901B2 (en) Step motor
KR20180085494A (ko) 로터 위치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2194144A (ja) トルクセンサ
JP2009063316A (ja) 回転角度検出装置及び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