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424A -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424A
KR20160039424A KR1020140132458A KR20140132458A KR20160039424A KR 20160039424 A KR20160039424 A KR 20160039424A KR 1020140132458 A KR1020140132458 A KR 1020140132458A KR 20140132458 A KR20140132458 A KR 20140132458A KR 20160039424 A KR20160039424 A KR 20160039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phone
mode
music
hol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192B1 (ko
Inventor
안수호
박준수
김미란
이자영
우아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3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 접속 모듈을 탑재하여 헤드폰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LTE 모듈과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송수신부와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외부 소음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LTE 모듈, 상기 서비스 송수신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헤드폰. 이때, 상기 인증정보는 LTE 네트워크에서 헤드폰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헤드폰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는 음악 곡 정보 및/또는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A Headphon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by using the Headphon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헤드폰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제공하기 위한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기기들에 이동 통신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최근에는 헤드폰에도 블루투스(BT: Blue Tooth), WIFI 등 근거리 통신 모듈이 도입되어, 사용자의 기기와 헤드폰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헤드폰 자체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에 도덕적 또는 물리적으로 어려움을 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헤드폰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헤드폰의 구조적 특성으로 사용자의 귀를 모두 가리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변 소음의 고저 등을 확인하기 어렵다. 만약, 사용자가 헤드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조용한 도서관이나 지하철 안에서 갑자기 큰 소리로 통화를 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의도치 않은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헤드폰은 근거리 통신 모듈만이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휴대폰이나 기타 광대역 무선 접속망과 접속할 수 있는 수단(예를 들어, 동글, 휴대용 AP 등)이 없으면 독자적으로 광대역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최근 다양한 기기들의 기능이 융합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헤드폰 이외에 다른 수단을 반드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해서, 기존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12-0122934호의 경우 외부 생활 소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음향 청취 헤드폰을 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헤드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없고, 헤드폰 하우징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9-0020264호의 경우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소음의 크기에 따라 마이크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헤드폰 및 그에 따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출원의 경우 외부 소음을 제거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 외부 소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청취 또는 통화 환경을 제공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2-0122934호: 외부 음향 청취 헤드폰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20264호: 소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통화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나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악 청취 모드 및 통화모드에 따라 외부 소음의 유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모드에서 외부 소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들을 지원하는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광대역 접속 모듈을 탑재하여 헤드폰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헤드폰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LTE 모듈;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외부 소음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LTE 모듈,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통화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헤드폰 주위의 외부 소음을 통화의 상대방의 소리와 함께 믹싱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대방의 소리는 LTE 모듈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통화모드에서 헤드폰의 사용자의 목소리를 외부 소음 및 상대방의 소리와 함께 믹싱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대방의 소리에 가중치를 주어 더 높은 소리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음악감상모드에서 마이크를 오프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음악감상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에 따라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헤드폰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LTE 모듈;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외부 소음을 유입시키기 위한 홀; 홀을 개폐시키기 위한 홀 커버; 및 LTE 모듈, 스피커 및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고, 홀 커버의 동작을 제어하여 홀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음악감상모드에서 홀 커버를 제어하여 홀을 폐쇄하고, 통화모드에서 홀 커버를 제어하여 홀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홀 커버의 제어는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헤드폰은 홀 커버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예로서 헤드폰을 제어하는 방법은, 헤드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와 헤드폰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헤드폰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현재 모드가 음악감상모드이면,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제어 단계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을 제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만약, 현재 모드가 음악감상모드이면,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에 따라 스피커로 출력되는 볼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음악감상모드에서, 헤드폰의 사용자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음악감상모드는 통화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만약, 현재 모드가 통화모드이면,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과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LTE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소리를 믹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통화모드에서 헤드폰의 사용자의 목소리를 외부 소음 및 상대방의 소리와 함께 믹싱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상대방의 소리에 가중치를 주어 더 높은 소리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홀 및 홀 커버를 구비하는 헤드폰을 제어하는 방법은, 헤드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와 헤드폰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홀 및 홀 커버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폰은 음악감상모드에서 홀 커버를 제어하여 홀을 폐쇄하고, 통화모드에서 홀 커버를 제어하여 홀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홀 커버의 제어는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헤드폰은 홀 커버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광대역 통신을 수행하는 헤드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에서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음악감상모드 및 통화모드에 따라 외부 소음의 유입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최상의 음악 감상 환경 및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 목적,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또는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예측치 않은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헤드폰을 착용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회로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회로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장치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홀 및 홀 커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홀 및 홀 커버의 동작을 하우징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홀 및 홀 커버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장치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대역 접속 모듈을 탑재한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서든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헤드폰 및 이를 지원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폰(100)은 네트워크에 대한 광대역 무선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로서 LTE 모듈(10), 음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 송수신부(20),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30), 헤드폰 사용자에게 현재 제공될 음원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문자음성 자동변환(TTS: Text To Speech) 엔진(40), 인증 관련 정보, 음악 정보 및/또는 음원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0), 헤드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과 연결되어 해당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60), 음원을 사용자에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70), 사용자의 음성, 외부 소리 및/또는 외부 소음을 인식(또는,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80), 헤드폰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베터리(90) 및 베터리와 연결되어 헤드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9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100)은 헤드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홀(5) 및 하나 이상의 홀을 커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 커버(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LTE 모듈(10)은 LTE 네트워크 및/또는 LTE-A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광대역 무선 접속 모듈의 하나이다. 헤드폰용 LTE 모듈(10)은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LTE 안테나 모듈 및 LTE 안테나 모듈과 연동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LTE 안테나 모듈은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 송신부, 이러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수신부 및 상이한 주파수 대역간 LTE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상호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주파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을 지원하는 무선 기기들은 등록된 통신사가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다. 따라서, 등록된 통신사 이외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는 동일한 LTE 네트워크에도 접속 및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폰은 주파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LTE 주파수 대역이 다른 통신사들을 통해서도 LTE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과 같은 구성의 헤드폰을 착용함으로써, LTE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광대역 무선 접속 망인 LTE 망을 통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주위 환경이 근거리 통신망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폰은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지원한다. 음악감상모드는 사용자가 헤드폰에 구비된 LTE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받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을 플레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통화모드는 사용자가 LTE 통신 모듈을 통해 광대역 무선 접속망에 접속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드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통화모드에서 다른 사용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헤드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홀(5) 및 하나 이상의 홀을 커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 커버(7)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음악감상모드 및 통화모드에 따라서 홀 커버가 조작되어 홀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화모드에서 홀(5)은 개방되며, 개방된 홀(5)을 통해서 헤드폰 주위의 생활 소음이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음악감상모드에서 홀은 홀 커버(7)에 의해 폐쇄되어 외부 소음이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음악 감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헤드폰을 착용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1에서 설명한 헤드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리를 돌아다니거니 전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음악을 감상하거나 다른 사람과 통화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악감상모드에서 음악을 감상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소음이 사용자에게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음악 감상시 최적의 음질로 음악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헤드폰의 데크 구조로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화모드에서 외부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목소리가 얼마나 큰지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용한 전철안이나 도서관 등에서 큰 소리로 통화를 함으로써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통화시 외부 소음을 그대로 들을 수 있는 일반 휴대폰과 달리, 헤드폰을 이용한 통화의 경우 상대방 목소리만 들리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도 자연스럽지 못한 통화감으로 불편함 또는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폰은 회로적 구조 또는 하드웨어적 구조로 음악감상모드에서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최적의 음악 감상 환경을 제공하며, 통화모드에서는 상대방의 소리(예를 들어, 상대방 목소리 및 배경 소리), 사용자의 목소리 및/또는 주변 소음을 적절히 믹싱(mixing)하여 헤드폰의 스피커에 출력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연스러운 통화감이란 사용자가 일반 휴대폰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대화를 하는 경우에 느끼는 통화감을 의미한다.
도 3은 회로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헤드폰의 입력부는 LTE 통신 모듈(10), 근거리 통신 모듈(30) 및 마이크 (80) 등이 될 수 있다. LTE 통신 모듈(10)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30)을 통해서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받거나, 상대방과 통신시 상대방의 목소리 등이 입력될 수 있다. 마이크(80)를 통해서는 상대방과 통화시 사용자의 목소리 및/또는 주변 소음이 입력될 수 있고, 음악감상모드에서는 외부 소음 제거를 위한 외부 소음이 입력될 수 있다.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현재 헤드폰의 청취 상태가 음악감상모드인지 또는 통화모드인지에 따라서 마이크(8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거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마이크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의 목소리, 주변 소음 및 상대방 목소리를 믹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기존의 헤드폰에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목소리와 주변 소음을 상대방의 목소리와 독립적으로 신호처리 함으로써, 상대방과 통화시 밀실에서 통화하는 것과 같은 이질감을 주는데 반하여,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헤드폰은 상대방 목소리를 사용자의 외부 소음과 함께 믹싱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을 이용한 통화의 경우 외부와 차단된 구조로 통화를 하더라도 사용자의 주변음이 사용자에게 미세하게 들리도록 함으로써, 일반 휴대폰과 같이 열린 구조로 통화는 것과 같은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목소리와 주변음과 상대방 소리에 대해서 가중치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소리에 사용자의 목소리와 주변음 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줌으로써, 상대방 소리가 더 크게 들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휴대폰 음성 통화에 유사한 기술 방식이다. 그러나, 휴대폰은 오직 사용자의 목소리를 루프 백(Loop-Back)하여 미세한 배경음으로 처리하여 통화감을 개선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헤드폰은 주변음을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들리게 함으로써 통화시 주변음도 같이 들리게 하여 자연스러운 통화감 개선뿐 아니라 헤드폰 통화로 인한 주변음 차단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는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경우에, 마이크를 통해 외부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외부 소음이 큰 경우에는 이에 따라 스피커의 볼륨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음악 감상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외부 소음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스피커의 볼륨을 낮출 수 있다.
물론,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음악감상모드에서는 마이크를 오프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회로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헤드폰은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에 따라 외부 소음(즉, 주변음)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악 감상 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 헤드폰(100)의 전원을 온(on)한다 (S400).
S400 단계에서, 전원이 온되는 상황은 사용자가 음악 감상을 위해 오프된 전원을 온하도록 전원부를 조작하는 경우 또는 오프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전원이 온이 될 수 있다.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현재 헤드폰의 모드가 어떠한 것인지 판단을 한다 (S4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헤드폰의 전원이 온 된 경우에 최초 상태는 항상 음악감상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가정한다. 헤드폰이 통화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헤드폰의 본래 목적이 음악을 감상하는 것이므로, 헤드폰 전원이 온 된 경우 헤드폰의 최초 상태는 항상 음악감상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헤드폰이 오프(off)될 때 저장된 상태로 온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모드에서 통화 종료 후 헤드폰 전원을 오프한 경우에, 이후 헤드폰을 온하면 통화모드에서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음악감상모드에서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음악감상모드가 최초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상대방의 통화 요청으로 인해 전원이 온이 되는 경우에는 헤드폰의 모드는 통화모드로 시작될 수 있다.
만약, 현재 모드가 음악감상모드인 경우에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S411).
S411 단계에서, 프로세서(60)는 마이크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측정하여 외부 소음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0)는 음악감상모드에서는 마이크(80)를 차단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음악감상모드에서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의 통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13).
만약, 상대방의 통화 요청, 사용자의 통화 요청 또는 기지국의 호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통화모드로 진입하고, 통화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계속 음악감상모드로 동작한다 (S415).
S401 단계에서 헤드폰의 모드가 통화모드거나, S413 단계와 같이 음악감상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이 될 수 있다. 통화모드에서 프로세서(6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소리 마이크(80)를 통한 사용자의 주변음 및 상대방 소리를 믹싱하여 헤드폰의 스피커(70)로 출력한다 (S421).
즉,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구현하기 위해, 헤드폰은 상대방의 소리뿐 아니라 사용자 주변의 외부 소음 및/또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함께 믹싱하여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대방과 대화를 마친 후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S423).
사용자는 통화 종료 이후, 다시 음악감상모드로 돌아가 음악을 감상하거나 통화 이후 음악 감상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근거로 음악감상모드로 전이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25).
예를 들어, 통화 종료 후 사용자가 헤드폰에 대한 아무런 조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이전 상태인 음악감상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헤드폰의 재생 버튼이나, 음악 플레이 버튼을 조작한 경우에 음악감상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S427).
또한, 사용자가 전원부의 전원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을 끄거나, 헤드폰의 이전 상태가 음악감상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전원을 오프하여 헤드폰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S429).
도 5는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도 5에서 도시된 회로 구성을 기반으로 음악감상모드 및 통화모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음악감상모드에서 최적의 음악 감상 환경 및 통화모드에서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도 5의 회로 구성을 통해 마이크(80)로 유입되는 외부 소음을 헤드폰의 출력부, 즉 스피커(70)로 바로 우회(bypass)하도록 마이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8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이 기존에는 CODEC 모듈로 입력 및 처리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부 소음이 CODEC 모듈이 아닌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L-OUT 모듈 및 H.P UNIT로 바로 입력되어, 통화 모드에 따른 상대방 음성 등을 함께 사용자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장치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위해, 도 1의 헤드폰 구조는 홀(5) 및 홀 커버(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헤드폰의 하우징 데크 내에 하나 이상의 작은 홀들 및 하나 이상의 홀 커버(7)를 구성함으로써, 통화모드에서는 홀 커버가 열려 외부 소음이 홀(5)로 유입되므로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제공할 수 있고, 음악감상모드에서는 홀 커버가 닫혀 외부 소음이 홀(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최적의 음악 감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헤드폰의 데크 내 홀을 만들어 헤드폰 통화모드 시 홀이 개방되도록 하여, 해당 홀을 통해 직접 외부 소음 및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홀 및 홀 커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헤드폰 하우징은 홀을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둘 이상의 자석부(3), 하나 이상의 홀(5), 하나 이상의 홀 커버(7)를 구비할 수 있다. 통화모드 및 음악감상모드 시 홀을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해 프로세서(60)는 자석부(3)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자석부(3) 주위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홀 커버(7)를 움직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자석부(3)는 자력을 띈 금속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자석부(3)는 전류가 인가되기 전에는 단순 도체 물질이나 전류가 인가된 경우에 자성을 띄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홀 개방 시에는 전류를 도면의 아래쪽 방향으로 인가하여 홀 커버를 왼쪽 자석부(3)에 밀착시키고, 홀 폐쇄 시에는 전류를 도면의 위쪽 방향으로 인가하여 홀 커버를 홀 쪽인 오른쪽 자석부(3)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현재 모드에 따라 전류의 인가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홀 커버를 조작하여 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홀 및 홀 커버의 동작을 하우징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시, 하우징에 형성되는 홀의 배치 형태의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홀이 열린 경우 홀 커버(7)가 홀(5)로부터 이격되어 홀이 개방되는 모습과, 홀이 닫힌 경우 홀 커버(7)가 홀(5)에 밀착되어 홀이 폐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홀 및 홀 커버 구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홀(5)의 배치는 도 8과 동일한 것을 가정한다. 다만, 홀 커버(7)의 형태는 바람개비 형태로 구성하여, 전류 인가시 홀 커버(7)가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함으로써 홀 커버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 홀 커버가 동작하는 원리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프로세서(60)가 자석부(3)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홀 커버(7)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가 자동으로 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가 자신이 원할 때 홀의 개폐를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에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홀을 개폐하고자 할 때 해당 버튼을 조작하여 홀의 개폐를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홀의 개폐는 음악감상모드 및 통화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되, 해당 모드에서 사용자가 홀의 개폐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헤드폰에는 홀 개폐를 위한 버튼 또는 터치 인터페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장치적 관점에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폰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헤드폰은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에 따라 외부 소음(즉, 주변음)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악 감상 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 헤드폰(100)의 전원을 온(on)한다 (S1000).
S900 단계에서, 전원이 온되는 상황은 사용자가 음악 감상을 위해 오프된 전원을 온하도록 전원부를 조작하는 경우 또는 오프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의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전원이 온이 될 수 있다.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현재 헤드폰의 모드가 어떠한 것인지 판단을 한다 (S10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헤드폰이 전원이 온 된 경우에 최초 상태는 항상 음악감상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가정한다. 헤드폰이 통화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헤드폰의 본래 목적이 음악을 감상하는 것이므로, 헤드폰 전원이 온 된 경우 헤드폰의 최초 상태는 항상 음악감상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헤드폰이 오프(off)될 때 저장된 상태로 온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화모드에서 통화 종료 후 헤드폰 전원을 오프한 경우에, 이후 헤드폰을 온하면 통화모드에서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음악감상모드에서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음악감상모드가 최초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상대방의 통화 요청 또는 사용자의 통화 요청으로 인해 전원이 온이 되는 경우에는 헤드폰의 모드는 통화모드로 시작될 수 있다.
만약, 현재 모드가 음악감상모드인 경우에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홀커버를 조작함으로써 홀을 폐쇄한다 (S1011).
음악감상모드에서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013).
만약, 상대방의 통화 요청 또는 기지국의 호 설정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헤드폰의 프로세서(60)는 통화모드로 진입하고, 통화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계속 음악감상모드로 동작한다 (S1015).
S901 단계에서 헤드폰의 모드가 통화모드거나, S913 단계와 같이 음악감상모드에서 통화모드로 전이 될 수 있다. 통화모드에서 프로세서(60)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홀 커버를 조작하여 홀을 개방한다 (S1021).
즉, 홀이 개방되면 헤드폰 사용자 주변의 외부 소음 및 공기가 홀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자연스러운 통화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대방과 대화를 마친 후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S1023).
사용자는 통화 종료 이후, 다시 음악감상모드로 돌아가 음악을 감상하거나 통화 이후 음악 감상도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근거로 음악감상모드로 전이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025).
예를 들어, 통화 종료 후 사용자가 헤드폰에 대한 아무런 조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이전 상태인 음악감상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 (S1027).
만약, 이전 상태가 음악감상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전원을 오프하여 헤드폰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S1029).
상술한 도 3 내지 도 5는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회로적 관점에서 제어하는 방법 및 헤드폰에 관한 것이며, 도 6 내지 도 10은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를 장치적 관점에서 제어하는 방법 및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음악감상모드와 통화모드는 회로적 관점 및 장치적 관점에서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모드에서 홀 및 홀 커버를 구비하는 헤드폰의 경우에도 회로적 관점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을 홀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대방의 소리와 함께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음악감상모드에서 홀 및 홀커버를 구비하는 헤드폰의 경우에, 마이크를 오프함으로써 외부 소음을 차단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소음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3: 자석부
5: 홀
7: 홀 커버
10: LTE 모듈
20: 서비스 송수신부
30: 근거리 통신 모듈
40: TTS 엔진
50: 메모리
60: 프로세서
70: 스피커
80: 마이크
90: 베터리
95: 전원부

Claims (21)

  1.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LTE 모듈;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외부 소음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LTE 모듈,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헤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헤드폰 주위의 외부 소음을 통화의 상대방의 소리와 함께 믹싱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되,
    상기 상대방의 소리는 상기 LTE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헤드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헤드폰의 사용자의 목소리를 상기 외부 소음 및 상기 상대방의 소리와 함께 믹싱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헤드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의 소리에 가중치를 주어 더 높은 소리로 출력되도록 하는, 헤드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감상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오프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헤드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감상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에 따라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헤드폰.
  7.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LTE 모듈;
    음성 및/또는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외부 소음을 유입시키기 위한 홀;
    상기 홀을 개폐시키기 위한 홀 커버; 및
    상기 LTE 모듈,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헤드폰의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홀 커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홀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상기 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헤드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악감상모드에서 상기 홀 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홀을 폐쇄하고,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홀 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홀을 개방하는, 헤드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 커버의 제어는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되는, 헤드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은 상기 홀 커버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버튼을 더 구비하는, 헤드폰.
  11. 헤드폰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헤드폰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상기 헤드폰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음악감상모드이면,
    상기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을 제거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가 상기 음악감상모드이면,
    상기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에 따라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볼륨의 크기를 조절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감상모드에서,
    상기 헤드폰의 사용자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음악감상모드는 상기 통화모드로 전환되는, 헤드폰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가 통화모드이면,
    상기 헤드폰의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소음과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LTE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 소리를 믹싱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헤드폰의 사용자의 목소리를 상기 외부 소음 및 상기 상대방의 소리와 함께 믹싱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대방의 소리에 가중치를 주어 더 높은 소리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18. 홀 및 홀 커버를 구비하는 헤드폰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헤드폰의 현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감상모드 및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모드에 따라 상기 홀 및 상기 홀 커버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은 상기 음악감상모드에서 상기 홀 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홀을 폐쇄하고, 상기 통화모드에서 상기 홀 커버를 제어하여 상기 홀을 개방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홀 커버의 제어는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되는, 헤드폰 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폰은 상기 홀 커버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버튼을 더 구비하는, 헤드폰 제어방법.
KR1020140132458A 2014-10-01 2014-10-01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3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458A KR101631192B1 (ko) 2014-10-01 2014-10-01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458A KR101631192B1 (ko) 2014-10-01 2014-10-01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424A true KR20160039424A (ko) 2016-04-11
KR101631192B1 KR101631192B1 (ko) 2016-06-16

Family

ID=5580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458A KR101631192B1 (ko) 2014-10-01 2014-10-01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66B1 (ko) * 2017-10-16 2019-03-04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인-이어 마이크로폰을 갖는 이어셋의 음향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7574B2 (en) 2021-02-01 202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013A (ja) * 1989-10-18 1991-06-06 Ngk Insulators Ltd 碍子洗浄装置の異常診断装置
KR20090020264A (ko) 2007-08-23 2009-02-26 (주)이지서티 파일 정보 맵핑을 통한 처리 성능 가속화 기술
KR20090034224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음 청취가 가능한 음원출력장치 및 휴대용 전자기기그리고 그 방법
KR20120122934A (ko) 2011-04-28 2012-11-07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스 씨엠피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화학 기계적 연마 조성물 및 게르마늄-안티모니-텔루륨 합금의 연마 방법
KR101381289B1 (ko) * 2012-10-25 2014-04-04 신두식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KR20140055716A (ko) * 2012-11-01 2014-05-09 이경수 외부음향 청취 헤드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013B2 (ja) * 1997-03-31 2001-02-05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超伝導量子干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破壊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013A (ja) * 1989-10-18 1991-06-06 Ngk Insulators Ltd 碍子洗浄装置の異常診断装置
KR20090020264A (ko) 2007-08-23 2009-02-26 (주)이지서티 파일 정보 맵핑을 통한 처리 성능 가속화 기술
KR20090034224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음 청취가 가능한 음원출력장치 및 휴대용 전자기기그리고 그 방법
KR20120122934A (ko) 2011-04-28 2012-11-07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스 씨엠피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화학 기계적 연마 조성물 및 게르마늄-안티모니-텔루륨 합금의 연마 방법
KR101381289B1 (ko) * 2012-10-25 2014-04-04 신두식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셋
KR20140055716A (ko) * 2012-11-01 2014-05-09 이경수 외부음향 청취 헤드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66B1 (ko) * 2017-10-16 2019-03-04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인-이어 마이크로폰을 갖는 이어셋의 음향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92B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3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sharing
US8295505B2 (en) Earphone with controllable leakage of surrounding sound and device therefor
US7689248B2 (en) Listening assistance function in phone terminals
TWI508056B (zh) 攜帶型音訊設備
US9654858B2 (en)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CN107659551A (zh) 用于利用lte进行音频通信的***与方法
CN102972043B (zh) 耳麦
KR101092957B1 (ko) 마이크로폰
KR101592422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1192B1 (ko) 헤드폰 및 헤드폰을 통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01396U (ko) 통신 기능이 구비된 지능형 헬멧
KR101672951B1 (ko)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KR20160111748A (ko) 히어링 디바이스의 청력 향상 기능 설정 방법 및 청력 향상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KR20060004042A (ko) 핸즈 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