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413A -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413A
KR20160038413A KR1020140131469A KR20140131469A KR20160038413A KR 20160038413 A KR20160038413 A KR 20160038413A KR 1020140131469 A KR1020140131469 A KR 1020140131469A KR 20140131469 A KR20140131469 A KR 20140131469A KR 20160038413 A KR20160038413 A KR 20160038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ircumference
circular object
mapped
dra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혜
김정근
소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8413A/ko
Priority to US14/807,481 priority patent/US20160092098A1/en
Priority to EP15182814.2A priority patent/EP3002670B1/en
Priority to CN201510633326.2A priority patent/CN105468254B/zh
Publication of KR2016003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콘텐츠 탐색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방법은, 원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단계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CONTENTS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탐색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터치 입력에 따라 콘텐츠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가 등장하면서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을 장착한 모바일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은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구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디렉토리 명칭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상위 디렉토리나 하위 디렉토리에 저장된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으로 전자 장치 내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를 자동으로 검색해서 제공해주기도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콘텐츠를 탐색할 필요가 없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러나, 이처럼 전자 장치에 저장된 모든 음악 콘텐츠를 검색해서 보여주는 경우 콘텐츠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검색된 콘텐츠에서 재생을 원하는 콘텐츠를 찾아내는 것을 도리어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검색된 콘텐츠를 일목 요연하게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재생되는 음악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를 찾고 싶은 경우, 직접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에서 검색어 쿼리를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검색된 콘텐츠를 일목 요연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검색된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된 콘텐츠를 일목 요연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검색된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방법은, 원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 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핑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제3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테츠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아티스트 명이 동일한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콘텐츠는 콘텐츠의 제작 연대 순으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이전 단계에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었던 콘텐츠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유사한 장르의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상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고,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탭(tab)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오브젝트는,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및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동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트 탐색 장치는, 콘텐츠 탐색 장치에 있어서, 원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원형 오브젝트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변경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제3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테츠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아티스트 명이 동일한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콘텐츠는 콘텐츠의 제작 연대 순으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이전 단계에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었던 콘텐츠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유사한 장르의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상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고,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탭(tab)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오브젝트는,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및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동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검색된 콘텐츠를 일목 요연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검색된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1 메뉴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콘텐츠 탐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2 메뉴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콘텐츠 탐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터치 스크린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써, 예를 들면,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 액자,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및 키오스크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오브젝트란,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특정한 기능 또는 콘텐츠 탐색 장치(100)가 표시하는 콘텐츠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하나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즉, 오브젝트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콘텐츠 아이콘,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 폴더 아이콘, 위젯, 리스트 아이템, 메뉴 및 콘텐츠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선택되는 경우 콘텐츠 탐색 장치(100)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아이콘이다. 콘텐츠 아이콘은 선택되는 경우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아이콘이다. 썸네일 이미지는 이미지를 작은 사이즈로 축소하여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표시한 이미지이고, 폴더 아이콘은 선택되는 경우 폴더 내의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아이콘이다. 위젯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여러 단계의 메뉴 선택 없이 곧바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아이콘이고, 리스트 아이템은, 파일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구성이고, 메뉴 이미지는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원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원형 오브젝트는 휠(wheel) 모양일 수 있다. 후술하는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원형 오브젝트를 터치한 상태에서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후술하는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의 각 위치에 매핑된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선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스케일러(미도시),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미도시) 및 비디오 인헨서(video enhancer)(미도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스케일러는 영상의 화면비를 조정한다. 비디오 인헨서는 영상의 열화나 잡음을 제거하여,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다.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는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하며,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프레임 버퍼의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영상을 출력하는 회로구성으로서,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 데이터 드라이버(미도시), 전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는 게이트 제어신호(주사 제어신호), 데이터 제어신호(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받은 R, G, B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미도시)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는 타이밍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게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구동부로부터 제공받은 게이트 온/오프 전압(Vgh/Vgl)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미도시)는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케일링이 완료되고 영상 프레임의 RGB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한다. 전압 구동부(미도시)는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패널 등에 각각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인가된 구동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표시 패널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 다이오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등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주로 발광형으로 이루어질 것이지만, 반사형 디스플레이(E-ink, P-ink, Photonic Crystal)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등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구성이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미도시)을 포함하고, 터치 패널은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10)와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 사용자 터치가 있는 경우 터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 터치의 위치(좌표)와 세기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의 지속 시간, 연속된 터치 입력 여부 등을 통해 터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시작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터치가 종료되는 경우를 그냥 터치 입력이라고 정의하고,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시작되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터치 시작 지점의 인접 위치에 순차적으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드래그 입력이라고 정의한다. 드래그 입력은 터치를 동반하므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정전 방식 및 압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식 예를 들어, 이미지 센싱 방식과 같은 기술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부(12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원형 오브젝트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부(120)는 원형 오브젝트를 터치한 상태에서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제어부(130)로 센싱값을 전달한다.
콘텐츠 탐색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부(120) 대신에 터치 패드(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과 유사한 기능을 갖으나, 터치 스크린부(120)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와 분리되어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스크린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의 위치에 직접 터치를 수행할 수 있는 반면, 터치 패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에서 객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를 수행하여 입력한다. 터치 패드는 직관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콘텐츠 탐색 장치(100)와 떨어져서 조작이 가능하며 포터블한 이점이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한다. 구체적으로,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의 각 영역에 상이한 콘텐츠를 매핑한다. 이때,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는 콘텐츠는 복수 개이며, 각 콘텐츠는 기 설정된 순서(예를 들어, 콘텐츠가 제작된 연대 순)로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될 수 있다. 원형 오브젝트의 어느 영역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대응되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선택한다. 터치 입력은 사용자 객체(2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객체(200)는 스타일러스 펜, 손가락, 등 터치 스크린부(120)가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물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130)는 화면(111)에 원형 오브젝트(2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크롤바(22), 컨트롤 버튼(24)를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크롤바(22)는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는 수단이다. 즉, 스크롤바(22)에 대해 터치한 상태에서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를 따라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스크롤바(22)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를 움직인다. 이와 달리, 상기 스크롤바(22)가 없는 원형 오브젝트(20)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20) 상에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매핑된 콘텐츠를 선택 또는 재생한다. 컨트롤 버튼(24)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시점을 탐색하거나 재생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콘텐츠가 음악 콘텐츠인 경우,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콘텐츠의 제목, 아티스트 이름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 2의 오른쪽 그림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26)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26)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제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제목의 첫 번째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첫 번째 캐릭터는 기 설정된 순서(예를 들어, 알파벳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형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이미지, 문자, 아이콘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가 속한 카테고리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가 속한 카테고리의 글자 크기가 확대되거나 다른 오브젝트와 다른 색깔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와 달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26)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26)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터치 및 드래그 입력(또는 터치 입력만으로)에 의해 어느 콘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테츠의 이미지(28)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가 음악 콘텐츠인 경우 음악의 앨범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터치 및 이어지는 드래그 입력이 상기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를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30)는 터치 위치에 대응되게 콘테츠의 이미지(28)를 바꾸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는 현재 재생 중이거나 선택된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동일한 폴더, 카테고리 또는 앨범에 속하는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 오브젝트(20)의 중심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원형 오브젝트(20)의 바깥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가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매핑이 이루어지면, 매핑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26)를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사용자 터치 또는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터치가 있는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 위치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선택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28)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 전후의 콘텐츠들의 상호간에는 상하위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변경 전의 콘텐츠는 변경 후의 콘텐츠의 상위 계층 또는 하위 계층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음악 콘텐츠를 카테고리, 앨범 또는 폴더로 변경할 수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반대 방향(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또는 바깥 방향)으로 드래드 입력을 수행하여 상기 변경을 취소할 수도 있다. 콘텐츠가 속하는 폴더 명 또는 앨범 명 대신에 변경 후, 폴더 또는 앨범에 속하는 콘텐츠가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될 수 있다.
원형 오브젝트에 콘텐츠가 매핑되지 않고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카테고리, 폴더 또는 앨범이 매핑되는 경우 터치를 종료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카테고리, 폴더 또는 앨범을 선택하고 상기 카테고리, 폴더 또는 앨범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재생한다.
제어부(130)는 도 4와 같이 콘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앨범 또는 폴더의 정보(27)를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원주에 표시되는 앨범, 카테고리, 또는 폴더의 정보는 콘텐츠가 제작된 연대 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카테고리, 앨범 또는 폴더가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상위 카테고리, 앨범 집합(동일한 아티스트의 앨범), 또는 상위 폴더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앨범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음악 카테고리, 영화 카테고리, 게임 카테고리 등을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매핑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어부(13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120)를 통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재생시키거나 선택한다.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에 대한 정보를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에 한해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제목 정보가 될 수 있다. 표시 형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이미지, 문자, 아이콘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 또는 중심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이전 단계에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었던 콘텐츠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었던 콘텐츠가 변경되기 이전 단계에서 수행한 터치에 의한 드래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것을 이전 단계로 되돌린다. 예를 들어,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수행한 경우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가 포함되는 앨범을 포함하는 복수의 앨범을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시킬 수 있다. 이때,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에 앨범들을 매핑하는 대신에 이전 단계에서 매핑되었던 콘텐츠를 다시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드래그 입력이 수행된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대응되는 앨범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를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시킬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앨범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전 단계와 반대 방향인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었고,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상기 바깥 방향의 드래그 입력이 이루어진 앨범의 음악 콘텐츠를 매핑시켰다.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에 대한 정보(26)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에 대한 정보(26)를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에 한해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에 대한 정보(26)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또는 카테고리, 폴더, 앨범)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제목 정보가 될 수 있다. 표시 형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이미지, 문자, 아이콘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 오브젝트(20)의 중심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원형 오브젝트(20)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아티스트 명이 동일한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형 오브젝트(20)에 대한 간단한 터치 조작만으로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의 아티스트의 다른 콘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 오브젝트(20)의 바깥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유사한 장르의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형 오브젝트(20)에 대한 간단한 터치 조작만으로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유사한 장르의 다른 콘텐츠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6 및 7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와 유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형 오브젝트(20)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장치(100)는, 터치에 의한 탭(Tab)입력이 터치 스크린부(120)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객체(200)에 의한 탭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제1 메뉴 아이템(31), 제2 메뉴 아이템(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메뉴 아이템(31)은,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동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이고, 제2 메뉴 아이템(30)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이다.
도 9는 제1 메뉴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콘텐츠 탐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2 메뉴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콘텐츠 탐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메뉴 아이템(31)이 선택되면,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동영상을 인터넷 상에서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동영상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인터넷에서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특정 외부 장치나 콘텐트 탐색 장치(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저장부(미도시)는 모든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다른 콘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메뉴 아이템(30)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현재 재생 중이 콘텐츠의 정보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하여 외부 장치(300)를 통해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 또는 이와 동일한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의 정보를 외부 장치(300)로 전송하는 경우, 외부 장치(300)는 상기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갖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재생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는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 탐색 장치(100) 내부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뉴 아이템(31)을 선택하여 외부 장치(300)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외부 장치(300)를 통해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130)는 CPU, 캐쉬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구성과,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시스템 클럭에 따라 콘텐츠 탐색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명령이 메모리에서 읽혀지며, 읽혀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킨다.
한편, 외부 장치와 콘텐츠를 송수신하거나 콘텐츠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 콘텐츠 탐색 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근거리 또는 장거리 유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장치 또는 서버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지그비, 3세대 또는 4세대 셀룰러 통신 기술, 적외선 통신,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콘텐츠 탐색 장치(100)는 이미지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영상 프레임을 구성한다. 신호 처리부는 A/V디코더(미도시), 스케일러(미도시),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미도시) 및 비디오 인헨서(video enhancer)(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V디코더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를 분리하여 디코딩하고, 스케일러는 오브젝트가 표시된 이미지의 화면비를 맞춘다. 그리고, 비디오 인헨서는 영상의 열화나 잡음을 제거하여,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표시부로 전달된다.
저장부(미도시)는 전술한 제어부(130)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콘텐츠를 매핑하여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계산 값 등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는 콘텐츠 파일 외에도 콘텐츠 탐색 장치(100)가 저장하고 있는 모든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탐색 방법은, 원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110),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 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단계(S1120),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S1130-Y),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변경하는 단계(S1140),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S1150-Y),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S11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핑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제3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테츠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아티스트 명이 동일한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콘텐츠는 콘텐츠의 제작 연대 순으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이전 단계에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었던 콘텐츠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유사한 장르의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상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고,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탐색 방법은, 탭(tab)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오브젝트는,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및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동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콘텐츠 탐색 장치의 콘텐츠 탐색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콘텐츠 탐색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터치 스크린부
130 : 제어부

Claims (20)

  1. 콘텐츠 탐색 방법에 있어서,
    원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변경하는 단계;및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제3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테츠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아티스트 명이 동일한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텐츠는 콘텐츠의 제작 연대 순으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이전 단계에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었던 콘텐츠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유사한 장르의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상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고,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하위 계층에 속하는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탭(tab)입력이 수신되면,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메뉴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오브젝트는,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외부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및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와 관련된 동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메뉴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방법.
  13. 콘텐츠 탐색 장치에 있어서,
    원형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원형 오브젝트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 또는 바깥 방향으로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변경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부를 통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제3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드래그 입력에 의한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콘테츠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변경되는 경우, 새롭게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아티스트 명이 동일한 다른 콘텐츠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콘텐츠는 콘텐츠의 제작 연대 순으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바깥 방향으로 상기 제1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이전 단계에서 상기 원형 오브젝트의 원주에 매핑되었던 콘텐츠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탐색 장치.
KR1020140131469A 2014-09-30 2014-09-30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 KR20160038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69A KR20160038413A (ko) 2014-09-30 2014-09-30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
US14/807,481 US20160092098A1 (en) 2014-09-30 2015-07-23 Content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
EP15182814.2A EP3002670B1 (en) 2014-09-30 2015-08-27 Content search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
CN201510633326.2A CN105468254B (zh) 2014-09-30 2015-09-29 内容搜索设备和用于搜索内容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69A KR20160038413A (ko) 2014-09-30 2014-09-30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13A true KR20160038413A (ko) 2016-04-07

Family

ID=5414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469A KR20160038413A (ko) 2014-09-30 2014-09-30 콘텐츠 탐색 장치 및 콘텐츠 탐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92098A1 (ko)
EP (1) EP3002670B1 (ko)
KR (1) KR20160038413A (ko)
CN (1) CN1054682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78B1 (ko) * 2019-04-09 2020-05-29 김효준 명령 메뉴 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6900B1 (en) * 2017-02-24 2022-08-16 Eugene E. Haba, Jr. Dynamically generated items for user generated graphic user storytelling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4040A1 (en) * 2000-02-18 2002-05-09 Moshal David Clive System for graphical representation of real-time data
KR101496451B1 (ko) * 2007-01-19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롤 바의 표시방법
CN101587416A (zh) * 2008-05-22 2009-11-2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使用者界面的产生方法
KR20100081577A (ko) * 2009-01-06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오브젝트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US20100229088A1 (en) * 2009-03-04 2010-09-09 Apple Inc.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music using varying levels of detail
KR101626621B1 (ko) * 2009-12-30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01719375B (zh) * 2010-01-12 2012-01-11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音乐播放位置的方法及音乐播放器
CN102075709B (zh) * 2010-05-20 2013-04-24 曾瑋 一种触控板电视遥控器及其触控方法
US9582187B2 (en) * 2011-07-14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context based menus
KR20140036576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테고리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78B1 (ko) * 2019-04-09 2020-05-29 김효준 명령 메뉴 출력 방법
WO2020209520A1 (ko) * 2019-04-09 2020-10-15 김효준 명령 메뉴 출력 방법
CN113678097A (zh) * 2019-04-09 2021-11-19 金孝俊 命令菜单输出方法
US11513662B2 (en) 2019-04-09 2022-11-29 Hyo June Kim Method for outputting comm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68254A (zh) 2016-04-06
US20160092098A1 (en) 2016-03-31
CN105468254B (zh) 2019-04-05
EP3002670A1 (en) 2016-04-06
EP3002670B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355B1 (ko) 리스트 항목 속성에 기반한 리스트 탐색에 관한 동적 제어
KR101683356B1 (ko) 브라우저 내의 콘텐츠 아이템들 사이에서의 어레이 모드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US9535600B2 (e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based folder control method thereof
CN102754352B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CN102695097B (zh) 显示装置及控制其操作的方法
US9092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sual information
KR102126292B1 (ko) 이동 단말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703227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30318437A1 (en)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98047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playlist thereof
EP27201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US95424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searching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00318939A1 (en) Method for providing list of contents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1001018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26535B1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200598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contents
KR20130100586A (ko) 녹음 기능이 연동된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AU2013263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rocessing
KR102337157B1 (ko)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227269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2746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069927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002670B1 (en) Content search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
US20140003610A1 (en) Method of reproducing sound source of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