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524A -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524A
KR20160037524A KR1020140130199A KR20140130199A KR20160037524A KR 20160037524 A KR20160037524 A KR 20160037524A KR 1020140130199 A KR1020140130199 A KR 1020140130199A KR 20140130199 A KR20140130199 A KR 20140130199A KR 20160037524 A KR20160037524 A KR 20160037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erminal
mode
display window
wear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3592B1 (en
Inventor
김종곤
김정은
유보미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92B1/en
Publication of KR2016003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on a screen. A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sensor input unit which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ation of a terminal state; a terminal mode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ny one of a terminal gaze mode in which a user gazes at a screen of the wearable terminal, a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 stat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to be a terminal mod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 watch-type display window which varies a pixel array direction of a screen and outputs the screen; and 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a slope of the pixel array in a transverse axis based on the terminal mode, configures a screen having the determined transverse axis of the pixel array, and displays the screen on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Description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0001]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terminal for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on a screen and a method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a screen.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GPS로부터 수신받아 맵 데이터를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는 그 활용 가능 범위에 따라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과, 네비게이션 어플리게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A navigation system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receives a coordinate signal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GPS and applies the map data to guide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s popularized. Such a navigation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car navigation system and a smartphone navigation system in which a navigation application is driven according to the available range.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은 화면이 크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고 접속 케이블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후 차량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용의 네비게이션만의 기능을 사용하기에 성능 대비 가격이 비싸고 사용 빈도나 낮으며 맵 데이터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car navigation system has a good visibility because it has a large screen and the connection cable is not required separately,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neatly arranged after the installation. However, since only the navigation function is used, And the upgrade of the map data is not easy.

반면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은, 별도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점에서 설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모든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대체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표시하여 시인성이 높은 단말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navigation system driven by a naviga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ha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and it does not require installation cost because it utilizes a smart phone carried by an individual. However, in the case of smartphone navigation, since all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mall screen of the smartphon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visibility is ba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rminal device having high visibility by displaying only necessary information in place of a smart phone.

한편, 최근에 스마트폰과 무선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마트 와치와 같은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terminal)가 사용되고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는 몸에 부착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 와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웨어러블 단말기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In recent years, wearable terminals such as SmartWatch, which operate wirelessly with a smartphone, have been used. The wearable terminal may be a smart watch or the like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body. However, although the wearable terminal is popularize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wearable terminal that displays navigation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한국공개특허 10-2014-008446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446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네비게이션 안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한 보행자의 보행 상태를 고려하여 와치형 표시창 또는 밴드형 표시창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terminal for performing navigation guidanc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display method in a walk-behind display window or a band-type display window in consideration of a walking state of a pedestrian wearing a wear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웨어러블 단말기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픽셀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와치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가지는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와치형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input unit for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terminal status;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 terminal mod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e terminal mode; A watch-type display window for outputting a different pixel array direction of the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and constructing a screen having the horizontal axis of the determined pixel array to display the screen through the watch type display window.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웨어러블 단말기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밴드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상기 밴드형 표시창에서의 화면의 표시 지점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input unit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terminal status;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 terminal mod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e terminal mode; A band-type display window for outputting display points of the screen differently;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display point of a screen in the band-type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상기 센서 입력부는,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가속도 측정이 이루어지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각 측정이 이루어지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input unit includes a camera for taking an image;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cceler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And a gyro sensor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wearable terminal.

상기 단말기 모드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Wherein the terminal m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is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when the eye or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rot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is not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And determines the walking mode when move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The gait stop mode can be determined when the eye or face shap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is not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axis, the XY-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and displayed by chang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by the rotation angle.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모드에서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 plane is the screen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axis, in the walking mode, The display screen can be constituted by tilting at any one of angles of 10 °.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plane is the screen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in the walking stop mode, Can be constructed and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isplay a center point of the screen at a reference point of a preset band-shaped display window when the center of the screen is displayed in proportion to an angle of rotation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band- So that the screen can be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shaped display window is D, the control unit shifts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by D / 2 from the reference point when the band-shaped display window is rotated 180 degrees about the band center axis of the band- Can be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되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보행 모드 또는 보행 정지 모드에서는, 상기 기준 지점에서 상기 화면의 중심점을 D/4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enter point of the screen at a reference point of a preset band-shaped display window and a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is D, in the walking mode or the walking stop mode, Can be shifted by D / 4 to display a scree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웨어러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와치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ing information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wearable terminal,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Determining a terminal mode; And an information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the slope of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of the wearable termin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도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웨어러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ing information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wearable terminal,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Determining a terminal mode; And an information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a display point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band-type display window of the wearable termin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상기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은, 상기 이미지에서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이미지에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Wherein the terminal mod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the mobile terminal mode when the eye or face shape is detected in the image and the rot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is not detected and determines the walking mode when mo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is detected, If the eye or face shap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image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wearable mobile terminal is not detected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the mode can be determined as the walking stop mode.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f the watch display window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XY 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 display window and the X 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A screen can be configured and displayed by changing the slope of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by a rotation angle obtained by rotating the XY plane.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 process may include displaying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at a reference point of a preset band-shaped display window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Type display wind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If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is D, the information display process moves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by D / 2 at the reference point when the band-type display window is rotated 180 degrees about the band center axis Screen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정보를 손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를 착용한 보행자의 보행 상태에 따른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화면의 기울기, 화면의 표시 위치를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네비게이션 정보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wearab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navigation information efficiently by displaying the inclination of the screen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cree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according to the walking state of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와치형 표시창을 구비한 웨어러블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밴드형 표시창을 구비한 웨어러블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단말기 응시 상태에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착용 모습의 그림.
도 6은 사용자 보행 상태에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 모습의 그림.
도 7은 사용자 보행 정지 상태에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 모습의 그림.
도 8은 사용자 보행 시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각을 도시한 모습의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와치형 표시창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와치형 표시창이 손목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와치형 표시창이 손목과 시선의 관계를 고려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밴드형 표시창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손목의 회전됨에 따라 밴드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행 또는 정지 중에 밴드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terminal having a watch-type display window.
4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terminal having a band-type display window.
FIG. 5 is a view of a wearing state of a wear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is in a state of being looked at. FIG.
FIG. 6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in the user's walking state. FIG.
7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in the user's walking stop state.
8 is a view showing a rotation angle of the wearable terminal when the user is walkin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avigation screen is displayed on a watch-type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wristwatch type display window worn on a wrist, the navigation screen being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wristwatch-type display window in which a navigation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st and the eyes.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avigation screen is displayed on a band-shaped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navigation screen displayed on a band-shaped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r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navigation screen displayed on a band-type display window during walking or stop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process of a wearable terminal having a watch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information of a wearable terminal having a band-shaped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네비게이션 정보 표시 장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포함한다.The navigatio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navigation terminal 200 for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on a full screen, and a wearable terminal 100 for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20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라 함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거치되어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게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주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주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자신의 현재 위치 주변의 시설물을 표시한 정보이며,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 정보이며,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속도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 카메라의 위치와 제한 속도를 알리는 정보이며,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고속도로 상의 휴게소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말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단말기(100) 간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출고 당시에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구글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웨어러블 단말기(100)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navigation terminal 200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navigation terminal 200 refers to a terminal for outputting navigation information. The navigation terminal 200 may include a vehicle-specific navigation device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outputs navigation information, and a smartphone navigation device in which a navigation application is operated.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200 is a smart phone, a navigation application is loaded on the smart phone to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such as surrounding navigation information, navigation navigation information, intermittent camera navigation information, and resting place navig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wirelessly to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navigation guidance information on the navigation map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facilities around the user's current position on the navigation map. The navigation guidance information is driv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set destination. And the resting place guidance navig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forming the position of the resting place on the highway. Navig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navigation terminal 200 and the wearable terminal 10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For reference, the navigation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smartphone, or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Google market. In addition, when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execut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wearable terminals 100 is automatically performed.

웨어러블 단말기(100)라 함은, 스마트폰 단말기와 연동되어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이 몸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거치대에 부착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소형의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겠으나, 네비게이션 화면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단말기 모드를 결정하며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표시창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을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표시창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입력부(110), 단말기 모드 판단부(120), 정보 출력부(14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The wearable terminal 100 refers to a small terminal that is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terminal and attached to a body such as a smart watch or attached to a separate stand so as to output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earable terminal displays the navigation screen, but various information screens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navigation screen. The wearable terminal 100 determines the terminal mode and display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of the navig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erminal mode or displays the display point of the display window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erminal mode. The wearable terminal 100 includes a sensor input unit 110, a terminal mode determination unit 120, an information output unit 140, and a controller 130, as shown in FIG.

정보 출력부(140)는, LED, OLDE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현되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정보 출력부(14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구성한 네비게이션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screen such as an LED or an OLDE to display navig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200. [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d display a navigation screen constituting navig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

정보 출력부(140)는 와치형 표시창(141)을 가지는 시계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형 표시창(141)을 가지는 시계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와치형 표시창(141)은 시계줄(141a)에 연결되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창으로서, 네비게이션 화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이 시계줄(141a)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clock type having a watch type display window 141,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lock type having a watch type display window 141 as shown in FIG.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is connected to the wrist strap 141a to display a screen. A navigation screen can be separated from the wrist watch display window 141 at the wrist strap 141a.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pixel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navigation scree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또한 정보 출력부(140)는 밴드형 표시창(142)을 가지는 시계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줄 역할을 하는 밴드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밴드형 표시창(142)은 시계줄 역할을 하는 밴드의 전체 영역이 밴드형 표시창으로 역할을 하여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밴드의 전체 길이 중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되는 지점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clock type having a band-type display window 142. As shown in FIG. 4, a band serving as a watch band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module.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can display a navigation screen by serving as a band-type display window as a whole area of a band serving as a watch band. The point at which the navigation screen is displayed may be changed from the entire length of the b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display screen of the navigation scree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센서 입력부(11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다. 센서 입력부(110)는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111)를 구비한다. 또한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112),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113) 등을 포함하는 움직임 측정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정보는 이미지, 움직임량, 회전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가속도 센서(112)는 X축, Y축, Z축 각각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113)는 X축, Y축, Z축 각각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다.The sensor input unit 110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sensor input unit 110 includes a camera 111 for taking an image. An acceleration sensor 112 for sensing an acceleration, a gyro sensor 113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using rotational inertia, and the like. Therefore,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an image, a motion amount, a rotation angle, and the like. For reference, the acceleration sensor 112 can measure the acceleration of each of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and the gyro sensor 113 can measure the rotation angle of each of the X axis, the Y axis, and the Z axis.

단말기 모드 판단부(120)는, 측정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한다.The terminal mode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in a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bbled by a user viewing the wearable terminal 100 on the basis of the sensed sensing information, And a walking mode in a stopped state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is determined as a terminal mode.

즉,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응시되고 있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한다.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보행 정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응시하는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움직이지도 않으며 회전되지도 않기 때문에 가속도 센서(112) 및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아무런 값도 측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행 중에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응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차여진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가속도가 측정될 수는 있지만 손목을 흔들거나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각이 측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각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측정 시에 움직임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되어 평균되는 값이며 또한 허용 범위내의 움직임은 움직임이 없다고 판정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being examin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5,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determined to be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erminal viewing mode when the eyes or the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the rot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not detected through the gyro sensor 113 at the same time. When the user gazes at the wearable terminal 100 in the walking stop state, no value is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and the gyro sensor 113 because the wearable terminal 100 does not move or rotate. In addition, when the user gazes at the wearable terminal 100 while walking, the wearable terminal 100 placed on the wearer's wrist can measure the acceleration, but does not measure the rotation angle because the wrist is not waved or rotated. Therefore, if the eye or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not detected through the gyro sensor 113 at the same time, For referenc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정확한 단말기 응시 모드 판단을 위하여 보행자가 정지 상태에서 단말기를 응시하는 경우에만 응시 모드로 판정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는,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가속도 센서(112) 및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아무런 움직임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에만 단말기 응시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terminal 100 can determine the candidate mode only when the pedestrian stared at the terminal in order to determine the correct terminal viewing mode. In this case, the terminal viewing mode can be determined to be the terminal viewing mode only when the eye shape or the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at the same time no movement is measur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and the gyro sensor 113 have.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보행 움직임에 의하여 흔들리고 있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에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Also, wh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rn by the user's walking motion as worn on the user's wrist as shown in FIG. 6, the wear mode is determined as the walking mode. And determines the walking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의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rn on the user's wrist or the like in an upright state as shown in Fig. 7 and is in a stopped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mode is determined as the walking stop mode. When the eye or face shap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not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is determined as the walking stop mode .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설정된 임계 범위, 즉, 보행 시의 손목 흔들림에 의한 회전각을 벗어나 흔들리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가 아닌 예외 모드로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정보 출력부(140)를 오프시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8, wh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rn on the wearer's wrist and is set in a critical range, that is, wh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shaken off the rotational angle caused by the wrist swing at the time of walking, 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of the navigation apparatus 100 is turned off so that the navigation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제어부(130)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와치형 표시창(141)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밴드형 표시창(142)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130 may display the slant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of the navig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erminal mode or may display the display point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erminal mode Otherwise.

우선, 와치형 표시창(141)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을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n example in which the horizontal axis of pixel arrangement of the navig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is configured differently will be described.

제어부(130)는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결정하고, 결정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가지는 화면을 구성하여 와치형 표시창(141)를 통하여 표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치형 표시창(141)은 XZ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화면상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며, 와치형 표시창(141)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X축은 수평선, Y축은 수직선, Z축은 와치형 표시창(141)의 깊이 두께에 해당할 수 있다. 픽셀이 배열되도록 X축이 픽셀 배열 가로축으로 설정되며, Y축이 픽셀 배열 세로축으로 화면이 구성된다. 픽셀 배열 가로축은 화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가로축의 픽셀 배열 방향을 말하며, 픽셀 세로축은 화면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세로축의 픽셀 배열 방향을 말한다.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and forms a screen having the horizontal axis of the determined pixel array, and displays the screen through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As shown in FIG. 9,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may be a screen of the display window 141 in the XZ plane. Accordingly,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n the scree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n viewing the watch-like display window 141 in front, the X-axis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line, the Y- . The X-axis is set a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so that the pixels are arranged, and the Y-axis is configured as the pixel array vertical axi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refers to the pixel array direction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screen and the pixel vertical axis refers to the pixel array direction of the vertical axis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screen.

도 10과 같이, 와치형 표시창(141)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고 웨어러블 단말기를 올바로 볼 수 있도록 사람의 시선에 맞는 위치에 두고서, X축, Y축, Z축의 기울기를 기준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손목에 웨어러블 단말기의 착용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각 개인별로 초기에 기준축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축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wearable terminal having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is worn on the wearer's wrist, and the wearable terminal is plac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a human's sight so that the wearable terminal can be correctly viewed, . Since the wearing state of the wearable terminal is different for each user on the wrist, the reference axis can be initially set for each individual. These reference axes can be stored in memory and used continuously.

그런데, 도 5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기를 응시하는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목 위치에 따라서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 기울어져 보일 수 있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하게 된다. 이럴 경우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 보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측정된 XY면의 회전각만큼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기준축에서 변화시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기 변화된 픽셀 배열 가로축(X')을 가짐으로써 사람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동일한 화면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5, the screen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can be seen to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wrist during use in the terminal-view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tared. As shown in Fig. 11 (a), when the arm is inclined, the wearable terminal rotates in the XY plane around the Z axi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a), the screen tilts when viewed from the line of sigh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ngement is changed on the reference axis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XY plane measured through the gyro sensor 113, By having the horizontal axis X ',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in the same screen direction at all times without inclining the screen when viewed from the human line of sight.

또한 도 6과 같은 보행 모드에서는 팔이 흔들리는 상황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의 흔들림에 비례하여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기울여서 화면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팔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서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없이 X축 방향으로 하며, 팔의 흔들림 정도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6,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XY 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array, the screen is constructed by tilt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in proportion to the shake of the wearable terminal. Preferably, the screen may be constituted by tilt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as any one of 0 ° to 10 °. In the state where the arm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X-axis direction is set without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and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is inclined at an angle of 0 ° to 10 ° .

또한 도 7과 같은 보행 정지 모드에서는 팔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7,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XY 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 window 141, and the X axis When the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a screen can be configured and displayed in the walking stop mode without chang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한편, 상기에서의 설명은 웨어러블 단말기가 도 3에 도시한 와치형 표시창(141)을 구비한 경우에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을 다르게 구성하여 표시하는 예를 설명한 것이다. 웨어러블 단말기가 도 4에 도시한 밴드형 표시창(142)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30)는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밴드형 표시창(142)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wearable terminal has the watch display window 141 shown in FIG. 3 and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of the navigation screen is configured differently is described. When the wearable terminal is composed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130 can display the display point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erminal mode.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형 표시창(142)을 손목에 착용한 후 다양하게 손목을 위치시켜 밴드형 표시창(142)을 응시할 수 있는데, 손목의 회전 여부와 관련없이 항상 사용자가 밴드형 표시창(142)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 수단을 가진 밴드형 표시창(142)에서, 기준 지점에 화면의 중심점(S)을 위치시켜 네비게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이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변화된 화면의 중심점(S')을 가지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밴드형 표시창의 웨어러블 단말기를 손목에 착용하여 기준 위치를 초기 설정받은 후, 설정된 기준 위치에서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된 회전각만큼 비례하여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응시 모드의 동작 예로서,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기준 지점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이 바라보이는 손등 측의 밴드상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손을 180°뒤집어 손바닥 측이 시선에 보인다 하더라도 손바닥 측의 밴드상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First,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when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displayed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viously set band-type display window 142,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center of the screen is proportional to the angle of rotation about the band center axis of the band- The screen can be displayed by moving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at the reference point in the revers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shaped display window 142. [ The user can wear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on his / her wrist, and then various wrists can be positioned to gaze at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The user can always see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as shown in Fig. 12 (a), when the navigation screen is displayed by placing the center point S of the screen at the reference point in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having the detachment means,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shaped display window 142 in proportion to the angle of rotation as shown in Fig. 12 (b) A screen having a center point S 'of the screen can be display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creen is shifted from the band-shaped display window 142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angle about the band center axis C at the set reference position after the wearable terminal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is worn on the wrist, )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is D and the 180 degree rotation is performed around the band center axis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the center point of the navigation screen at the reference point By D / 2. That is, as shown in FIG. 13, a navigation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band on the back of the user's hand, the hand side of which is visible by 180 degrees, and the navig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palm side band .

또한 보행 모드 또는 정지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되며,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기준 지점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중심점을 D/4만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 또는 정지 중의 손목은 90° 회전되어 있는 만큼 그만큼 네비게이션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In the walking mode or the stop mod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set band-shaped display window 142. When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is D, The center point of the navigation screen can be shifted by D / 4 and displayed. That is, as shown in Fig. 14, since the wrist during walking or stopping is rotated by 90 degrees, the navigation screen can be rotated and displayed accordingly.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치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process of a wearable terminal having a watch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가진다(S1510). 측정을 위한 센서로는 카메라(111), 자이로 센서(113) 및 가속도 센서(112)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정보는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흔들림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움직임 회전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re is a process of measur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S1510). The camera 111, the gyro sensor 113,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12 may be used for the measurement. Accordingly,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1, wobble information for sensing the wobbl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motion rotation angl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센싱 정보의 측정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정보 측정 과정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움직임량이나 회전각을 측정하는 과정을 가진다. 움직임량이나 회전각 측정에 앞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기준 위치를 초기값으로 설정받아 저장한다. 기준 위치에서의 움직임량이나 회전각을 측정한다.The measurement of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measurement process of photographing an image and a process of measuring a motion amount and a rotation angl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is set and stored as an initial value prior to th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motion or the rotation angle. The amount of motion or the rotation angle at the reference position is measured.

센싱 정보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을 가진다(S1520).Whe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terminal viewing mode in which the user is looking at the scree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shak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set to a predetermined setting (Step S1520). In step S1520, the terminal mod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one of the walking mode and the walking mode to be the terminal mode.

즉,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응시되고 있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한다(S1521).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521).That is, i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being examin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S1521). If the eye or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the rot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not detected through the gyro sensor 113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can be determined to be in the staring mode (S1521).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흔들리고 있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S1522).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에 보행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522).I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rn by a user's wrist or the like, as shown in FIG. 6,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determined to be in the walking mode (S1522). And may determine the walking mode when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S1522).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의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S1523).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523).I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in a state where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rn on the wearer's wrist and the lik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shown in Fig. 7, the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walking stop mode (S1523). When the eye or face shap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not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S1523).

단말기 모드 결정이 완료되면,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와치형 표시창(141)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가진다(S1530).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terminal mode is completed, an information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the slope of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of the navig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of the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is displayed differently (S1530).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Z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S1521)에서는, Y축을 중심으로 XZ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1531). 도 5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기를 응시하는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사용 중에 사용자의 손목 위치에 따라서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 기울어져 보일 수 있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이 기울어진 경우에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하게 된다. 이럴 경우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 보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측정된 XY면의 회전각만큼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 시선 기준으로 볼 때 화면이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동일한 화면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Z 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 window 141 and the X 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S1521)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and displayed by changing the slope of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by the rotation angle at which the XZ plane is rotated about the axis (S1531). 5, the screen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may be seen to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wrist during use in the terminal-view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viewed. As shown in Fig. 11 (a), when the arm is inclined, the wearable terminal rotates in the XY plane around the Z axi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a), the screen tilts when viewed from the line of sigh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is changed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XY plane measured through the gyro sensor 113, and as shown in FIG. 11 (b) So tha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same screen direction at all times.

또한 보행 모드(S1522)에서는 팔이 흔들리는 상황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의 흔들림에 비례하여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기울여서 화면을 구성한다(S1522). 바람직하게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팔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에서는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없이 X축 방향으로 하며, 팔의 흔들림 정도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ince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 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 window 141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axis,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ngement is inclined in proportion to the swing of the wearable terminal to configure a screen (S1522). Preferably, the screen may be constituted by tilt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as any one of 0 ° to 10 °. In the state where the arm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X-axis direction is set without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and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is inclined at an angle of 0 ° to 10 ° .

또한 보행 정지 모드(S1523)에서는 팔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와치형 표시창(141)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141)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1533).
Since the arm is stopped in the walking stop mode S1523,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14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 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 If the pixel array is the horizontal axis, the screen can be configured and displayed in the walking stop mode without changing the slope of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S1533).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표시창을 가진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display process of a wearable terminal having a band-shaped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가진다(S1610). 측정을 위한 센서로는 카메라(111), 자이로 센서(113) 및 가속도 센서(112)를 포함한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정보는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흔들림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움직임 회전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measured (S1610).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including the camera 111, the gyro sensor 113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12 may be used as the sensor for the measurement. Accordingly,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1, wobble information for sensing the wobbl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motion rotation angl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센싱 정보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한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을 가진다(S1620).When the sensing information measurement is completed, the terminal viewing mode in which the user is looking at the scree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shak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set to a predetermined setting (Step S1620). In step S1620, the terminal mod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one of the walking mode and the walking mode to be the terminal mode.

즉,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응시되고 있는 경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한다(S1621).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동시에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621).That is, i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being examin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S162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erminal viewing mode when the eyes or the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not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S1621).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흔들리고 있는 경우에는 보행 모드로 결정한다(S1622).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에 보행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622).6,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determined to be in the walking mode (S1622) when it is worn by a user's wrist or the like as shown in FIG. The gyro sensor 113 may determine the gait mode when motion of th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S1622).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의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한다(S1623). 카메라(111)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가속도 센서(112) 또는 자이로 센서(113)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S1623).In addition, when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in a state where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rn on the wearer's wrist and the lik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shown in Fig. 7, the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walking stop mode (S1623). When the eye or face shap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camera 111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not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112 or the gyro sensor 113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S1623).

단말기 모드 결정이 완료되면, 결정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형 표시창(142)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을 가진다(S1630).When the terminal mode determination is completed, an information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the display point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of the wearable termin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erminal mode is performed (S1630).

따라서 정보 표시 과정(S1630)은,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단말기 응시 모드(S1631)에서는,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S1631). 또한 정보 표시 과정(S1630)은,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중심축(C)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을 D/2만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information display process S1630,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displayed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set band-type display window 142. In the terminal-viewing mode S1631,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at the reference point (S1631). In the information display process S1630, if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is D, when 180 degrees are rotated about the band center axis C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142, The display can be displayed by moving the screen by D / 2.

또한 보행 모드(S1632) 또는 정지 모드(S1633)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142)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되며, 밴드형 표시창(142)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기준 지점에서 네비게이션 화면의 중심점을 D/4만큼 이동시켜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 또는 정지 중의 손목은 90° 회전되어 있는 만큼 그만큼 네비게이션 화면을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In the walking mode S1632 or the stop mode S1633,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set band-shaped display window 142 and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 , The navigation screen can be displayed by moving the center point of the navigation screen by D / 4 at the reference point. That is, as shown in Fig. 14, since the wrist during walking or stopping is rotated by 90 degrees, the navigation screen can be rotated and displayed accordingly.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10:센서 입력부 111:카메라
112:가속도 센서 113:자이로 센서
120:단말기 모드 판단부 130:제어부
140:정보 출력부 141:와치형 표시창
142:밴드형 표시창
110: sensor input unit 111: camera
112: acceleration sensor 113: gyro sensor
120: terminal mode determination unit 130:
140: Information output unit 141: Watch-type display window
142: Band-type display window

Claims (16)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픽셀 배열 방향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와치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픽셀 배열 가로축을 가지는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와치형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A sensor input unit for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terminal status;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 terminal mod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e terminal mode;
A watch-type display window for outputting a different pixel array direction of the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and displaying a screen having the horizontal axis of the determined pixel array, through the display window;
.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판단부;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출력하는 밴드형 표시창;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상기 밴드형 표시창에서의 화면의 표시 지점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A sensor input unit for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terminal status;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 terminal mod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e terminal mode;
A band-type display window for outputting display points of the screen differently;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display point of a screen in the band-type display window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입력부는,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가속도 측정이 이루어지는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각 측정이 이루어지는 자이로 센서;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sensor input unit according to claim 1 or 2,
A camera for taking an image;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cceler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And
A gyro sensor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wearable terminal;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드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4. The apparatus of claim 3,
Determining whether the eye or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and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And determines the walking mode when move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is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Wherein the wearabl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in the walking stop mode when the eye or face shap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is not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axis, the XY- And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is changed by a rotation angle to constitute and display a scr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모드에서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0°~ 10°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기울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 plane is the screen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axis, in the walking mode, 10 °, and displays the scr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에는,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 변화없이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plane is the screen of the display window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horizontal axis, in the walking stop mode, Wherein the wearable terminal compris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apparatus of claim 2,
When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displayed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set band-type display window,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shif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in proportion to the angle of rotation about the band center axis of the band- The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band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is D, when the 180-degree rotation is performed around the band central axis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the wearable terminal displays the screen by moving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by D /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되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보행 모드 또는 보행 정지 모드에서는, 상기 기준 지점에서 상기 화면의 중심점을 D/4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apparatus of claim 2,
When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displayed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set band-type display window and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type display window is D, in the walking mode or the walking stop mode, To display the screen.
웨어러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와치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A sensing inform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wearable terminal;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Determining a terminal mode; And
An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ngement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watch display window of the wearab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terminal mode;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wearable terminal.
웨어러블 단말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측정하는 센싱 정보 측정 과정;
상기 센싱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의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단말기 응시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흔들리고 있는 보행 모드, 웨어러블 단말기가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 있는 보행 정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단말기 모드로 결정하는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 및
상기 단말기 모드에 따라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형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의 표시 지점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정보 표시 과정;
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A sensing inform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sens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wearable terminal;
A worn-out walking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shaken, and a walking stop mode in which the wearable terminal is in a stopped state for a set tim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Determining a terminal mode; And
An information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display point of a screen displayed on a band-type display window of the wearab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terminal mode;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wearable terminal.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모드 결정 과정은,
상기 이미지에서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회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로 결정하며,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보행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이미지에 통하여 눈 형상 또는 얼굴 형상이 검출되지 않고 웨어러블 단말기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시간이 정해진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보행 정지 모드로 결정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Determining whether the eye or face shape is detected in the image and the rot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is not detected,
Determines the walking mode when a move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is detected,
Wherein the walking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walking mode when no eye or face shape is detected through the image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wearable mobile terminal is not detected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와치형 표시창의 X축, Y축, Z축이 서로 직각되고 XY면이 와치형 표시창의 화면이며 X축 방향이 픽셀 배열 가로축인 경우,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Z축을 중심으로 XY면이 회전한 회전각만큼 상기 픽셀 배열 가로축의 기울기를 변화시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n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XY-plane is the screen of the watch-type display window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pixel array axis, the XY- And displaying a screen by changing the slope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pixel array by a rotation angl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미리 설정된 밴드형 표시창의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이 디스플레이된다고 할 때, 상기 단말기 응시 모드에서는,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각도에 비례하여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밴드형 표시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In the terminal viewing mode,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at the reference point is set to a band type display window in proportion to the angle of rotation about the band center axis of the band type display window, when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is displayed at the reference point of the preset band- And displaying the screen on the display uni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 과정은,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전체 길이를 D라고 할 때, 상기 밴드형 표시창의 밴드 중심축을 중심으로 180°회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기준 지점에서 화면의 중심점을 D/2만큼 이동시켜 화면을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total band length of the band-shaped display window is D, when the 180-degree rotation is performed around the band central axis of the band-shaped display window, the wearable terminal displays the screen by moving the center point of the screen by D / / RTI >
KR1020140130199A 2014-09-29 2014-09-29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22735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99A KR102273592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99A KR102273592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24A true KR20160037524A (en) 2016-04-06
KR102273592B1 KR102273592B1 (en) 2021-07-06

Family

ID=55790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199A KR102273592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41B1 (en) * 2016-05-30 2018-07-11 주식회사 카카오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edge area,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590A (en)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User interfacing method for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thereof
JP2013061176A (en) * 2011-09-12 2013-04-04 Seiko Epson Corp Wrist wearing type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30066657A (en) * 2010-09-13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13191210A (en) * 2012-03-12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that senses bend of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s therefor
KR20140084461A (en)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Car Navigation and Smart Phone linkag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590A (en)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User interfacing method for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thereof
KR20130066657A (en) * 2010-09-13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13061176A (en) * 2011-09-12 2013-04-04 Seiko Epson Corp Wrist wearing type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3191210A (en) * 2012-03-12 201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that senses bend of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s therefor
KR20140084461A (en)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Car Navigation and Smart Phone linkag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541B1 (en) * 2016-05-30 2018-07-11 주식회사 카카오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edge area,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592B1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8994B (en) Wearable watch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5209959B (en) User interface for head mounted display
JP5838676B2 (en) Arm-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579165A (en) Computerized binoculars
WO2016035571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for same,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4108939A (en) Remote control system of survey airplane
US20170255262A1 (en) Smart sports eyewear
US11506793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650597B (en)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same
KR101479745B1 (en) A corrective apparatus for forward head posture
CN105125160B (en) Oral cavity endoscope detecting system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KR20180135395A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386440A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49096B2 (en) Wearable terminal for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navig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for
US20160091717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285368B2 (en) Address direction guiding apparatus and method
RU2017102028A (en)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KR20160037524A (en)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10635189B2 (en) Head mounted display curser maneuvering
JP7056172B2 (en) Electronic clock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clock
ES2896704T3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program,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60037525A (en) Apparatus for wearable terminal and navig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EP4155878A1 (en) Survey system
EP3213673A1 (en) Smart sports eyewear
EP4155666A1 (en) Surve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