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874A - 온수히터 및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온수히터 및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874A
KR20160033874A KR1020140124526A KR20140124526A KR20160033874A KR 20160033874 A KR20160033874 A KR 20160033874A KR 1020140124526 A KR1020140124526 A KR 1020140124526A KR 20140124526 A KR20140124526 A KR 20140124526A KR 20160033874 A KR20160033874 A KR 20160033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luid
heating
printing
wat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274B1 (ko
Inventor
조영택
Original Assignee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인하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2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2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combined with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24H9/0021Sleeves surrounding heating elements or heating pipes, e.g. pipes filled with heat transfer fluid, for guiding heat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수히터는, 하우징과,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이 형성되며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에 연결되고 제1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설치되며,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제1 몸체와 제1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몸체가 유체의 유동 공간을 형성하고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설치된 발열부가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가열면적이 넓어 빠르게 많은 양의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수히터 및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WARM WATER HEATER AND PROCESSING DEVICE THEREOF AND PROCESS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온수히터 및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를 급속으로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며 제작 공정이 간편한 온수히터 및 이러한 온수히터를 가공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 세정장치(비데) 또는 정수기에는 온수를 생산하는 온수히터가 구비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온수히터는 일정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온수히터는, 냉수를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온도까지 가열하는 가열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온수 저장탱크 내의 저장된 물을 발열부로 일정 온도까지 예비 가열한 후, 저장된 온수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여부와 관계없이 온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온수를 발열부가 지속적으로 가열한다.
따라서 이러한 온수히터는, 온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온수를 사용여부와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가열해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전력이 많이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온수히터는, 온수 저장탱크가 필수적으로 수반되므로 제품 설계 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충분한 량의 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온수 저장탱크의 용량을 크게 하면 온수히터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고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해 온수 저장탱크의 저장용량을 작게 하면 온수 사용 중 냉수가 공급되어 소비자의 불만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온수 저장탱크에 온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냉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의 온수히터 및 이러한 온수히터를 빠르고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온수히터 가공장치 및 온수히터 가공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014호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2014.04.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동되는 냉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면적이 넓은 온수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온수히터의 제작 공정을 단순할 수 있는 온수히터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온수히터의 제작 공정이 간단한 온수히터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이 형성되며,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온수히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몸체는, 단면이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몸체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한 쌍의 제2 몸체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 내벽의 면적은, 상기 제2 몸체 내벽의 면적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를 차폐하며, 상기 유동 공간에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몸체부의 사이로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을 갖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체부 이동유닛;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몸체부 회전유닛; 및 상기 몸체부 회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외벽에 발열부를 인쇄하는 프린팅유닛을 포함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몸체부 회전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축 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제2 몸체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이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을 가지며 회전축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성형하는 몸체부 성형단계;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외벽에 발열부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발열부 인쇄단계; 및 상기 걸림턱을 제거하는 걸림턱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 인쇄단계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고, 상기 몸체부가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상기 발열부가 인쇄되는 제1 몸체 인쇄단계; 및 상기 제2 몸체에 마련된 상기 걸림턱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제2 몸체에 상기 발열부가 인쇄되는 제2 몸체 인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몸체와 제1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몸체가 유체의 유동 공간을 형성하고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설치된 발열부가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가열면적이 넓어 빠르게 많은 양의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온수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몸체에 발열부를 인쇄하기 위해 몸체부 이동유닛이 몸체부를 프린팅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제2 몸체에 발열부를 인쇄하기 위해 몸체부 회전유닛이 몸체부를 프린팅유닛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발열부를 연속적으로 인쇄할 수 있어 발열부의 인쇄 공정이 간단하고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온수히터 가공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몸체를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걸림턱이 발열부 인쇄단계 전에 제2 몸체에 성형되고 발열부 인쇄단계 후 걸림턱이 제거됨으로써, 발열부 인쇄단계에서 몸체부를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시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발열부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며 인쇄 작업 후에는 걸림턱을 제거하여 몸체부의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온수히터 가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되고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의 외벽에 발열부를 인쇄하는 발열부 인쇄단계; 및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에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온수히터 가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의 몸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몸체부에 케이부가 결합된 온수히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몸체부에 발열부를 인쇄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장치의 동작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온수히터 가공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온수히터 가공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제1축은 도면에서 X축을 의미하고, 제2축 도면에서 Y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의 몸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몸체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몸체부에 케이부가 결합된 온수히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몸체부에 발열부를 인쇄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6 내지 9는 도 5의 온수히터 가공장치의 동작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는,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G)이 형성되며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111)와 제1 몸체(111)에 연결되고 제1 몸체(1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몸체(112)를 구비하는 몸체부(110)와,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설치되며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발열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온수히터는, 종래의 온수히터와 달리 별도의 온수 저장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몸체부(110)가 형성하는 유체의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냉수를 발열부(120)가 순간적으로 급속 가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몸체부(110)는,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를 통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G)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는 일체로 제작되며,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마련된다.
제1 몸체(111)는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 몸체(112)는, 제1 몸체(111)에 연결되고, 제1 몸체(1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몸체(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렇게 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몸체(112)에 의해 발열부(120)를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성형하는 인쇄공정에서 발열부(120)가 제 1몸체 및 제2 몸체(112)에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이러한 발열부(120) 및 발열부(120)를 인쇄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몸체부(110)는, 제2 몸체(112)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도 5 참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함, 1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13)은 발열부(120)의 인쇄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후술할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의한 발열부(120)의 인쇄공정이 완료된 뒤에는 제2 몸체(112)에서 제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대향되게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1)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제2 몸체(112) 역시 한 쌍으로 마련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한 쌍의 제1 몸체(111) 사이의 이격거리가 한 쌍의 제2 몸체(112)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따른 온수히터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 몸체(111) 사이의 이격거리가 제2 몸체(112)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발열부(120)가 구비됨으로써,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의 체적 대비 가열면적이 넓고(몸체부(110)가 원통 형상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것에 비하여), 그에 따라 적은 시간에 많은 량의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몸체(111)는, 내벽의 면적이 제2 몸체(112) 내벽의 면적 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의 몸체부(110)는, 평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몸체(111)의 내벽의 면적이 아크 형상을 갖는 제2 몸체(112)의 내벽의 면적 보다 크게 마련됨으로써,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몸체부(110)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발열부(120)의 열량을 효율적으로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는, 제1 몸체(111)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부(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114)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을 안내함으로써, 유체의 유동 과정에서 와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동 공간(G)에서 와류가 발생되며, 유동 공간(G)으로 유입되는 유체(냉수)와 유동 공간(G)에서 가열된 유체(온수)가 급작스럽게 혼입됨으로써, 온수히터에서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부(114)는, 유동 공간(G)에서 유체가 안정적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유동 공간(G)으로 유입되는 유체(냉수)가 유동 공간(G)에서 가열된 유체(온수)와 급작스럽게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유동 공간(G)을 통과하며 가열된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발열부(120)는,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설치되며,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부(120)는, 내열 및 내식성이 우수한 도전성 재료인 백금(Pt), 은(Ag), 텅스텐(W) 등의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발열부(120)는, 백금(Pt), 은(Ag), 텅스텐(W) 재질의 페이스트(paste)를 소정의 패턴으로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의 외벽에 스크린 인쇄하는 인쇄 공정과 건조공정 및 소결(sintering)공정 등을 거쳐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부(120)는, 후술할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의해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를 따라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본 실시예의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는, 몸체부(110)를 차폐하며 유동 공간(G)에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131)와 유체 유출구(132)가 형성되는 케이스부(130)와, 케이스부(130)와 몸체부(110)에 연결되며 케이스부(130)와 몸체부(110)의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부(140)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부(130)는 단열 및 안전을 위해 몸체부(110)를 차폐한다. 이러한 케이스부(130)는, 몸체부(110)가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133)와 케이스 본체(1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용 덮개(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스부(130)에는, 유동 공간(G)에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131)와 유체 유출구(13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 유입구(131)는 케이스 본체(133)에 마련되고 유체 유출구(132)는 개폐용 덮개(134)에 마련된다.
수밀부(140)는, 케이스부(130)와 몸체부(110)에 연결되며, 케이스부(130)와 몸체부(110)의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밀부(140)에는 내열 가스켓이 사용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열성 및 수밀성이 높은 다양한 수밀부재가 본 실시예의 수밀부(14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30)에는, 유동 공간(G)에 연통되며, 유동 공간(G)에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증기 배출구(13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구(135)는 개폐용 덮개(134)에 마련되고 유체 유출구(13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는, 몸체부(110)에 결합되며 전원부(미도시) 및 바이메탈과 같은 온도 제어기(미도시) 등이 연결되는 커넥터(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150)는 발열부(120)를 전원부(미도시) 및 온도 제어기(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부(110)는,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의해 몸체부(110)에 발열부(120)가 인쇄된다.
이러한 온수히터 가공장치는, 몸체부(110)를 지지하며 몸체부(110)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체부 이동유닛(미도시)과, 몸체부(110)에 연결되며 몸체부(110)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몸체부 회전유닛(220)과, 몸체부 회전유닛(22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의 외벽에 발열부(120)를 인쇄하는 프린팅유닛(230)을 포함한다.
몸체부 이동유닛(미도시)은, 몸체부(110)를 지지하며, 몸체부(110)를 프린팅유닛(230)에 대하여 제1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킨다.
프린팅유닛(230)은, 몸체부(110)에 대향되며, 몸체부(110)에 발열부(120)의 패턴을 스크린 인쇄하는 헤드부(231)를 포함한다.
몸체부 회전유닛(220)은, 몸체부(110)에 연결되며, 몸체부(110)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이러한 몸체부 회전유닛(220)은, 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축 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축(221)과, 회전축(221)에 연결되며 회전축(221)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회전축(221)은, 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축 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축(221)은,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시 몸체부(110)를 제2축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회전축(221)과 몸체부(110)의 결합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221)에는, 제2 몸체(112)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113)이 삽입되도록 외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222)이 형성된다.
제2 몸체(112)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113)은, 온수히터 가공장치의 인쇄 공정 완료 후에는 별도의 제거 공정에 의해 제2 몸체(112)에서 제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장치는, 회전축(221)에 연결되며, 회전축(221)을 제2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축 이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온수히터 가공방법 및 온수히터 가공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를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유체 유입부를 통해 유동 공간(G)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설치된 발열부(120)에 의해 가열된다.
본 실시에서 평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제1 몸체(111) 사이의 이격거리는 아크 형상을 갖는 제2 몸체(112)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작게 마련되고 제1 몸체(111)의 내벽의 면적은 제2 몸체(112)의 내벽의 면적보다 넓게 마련됨으로써,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면적이 넓어 유체가 빠른 시간에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는, 제1 몸체(111)와 제1 몸체(1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몸체(112)가 유체의 유동 공간(G)을 형성하고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설치된 발열부(120)가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가열면적이 넓어 빠르게 많은 양의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이와 같은 온수히터의 가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방법은,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111)와 제1 몸체(111)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을 가지며 회전축(221)에 형성된 걸림홈(222)에 삽입되는 걸림턱(113)이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어 회전축(2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112)를 구비하는 몸체부(110)를 성형하는 몸체부 성형단계(S1)와, 제1 몸체(111) 및 몸체(112)의 외벽에 발열부(120)를 인쇄하는 발열부 인쇄단계(S2)와, 걸림턱(113)을 제거하는 걸림턱 제거단계(S3)를 포함한다.
발열부 인쇄단계(S2)는, 제2 몸체(112)에 마련된 걸림턱(113)이 회전축(221)에 형성된 걸림홈(222)에서 이탈되고 몸체부(110)가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몸체(111)에 발열부(120)가 인쇄되는 제1 몸체 인쇄단계(도 6의 (a),(b),(d),(e) 참조)와, 제2 몸체(112)에 마련된 걸림턱(113)이 회전축(221)에 형성된 걸림홈(222)에 삽입되고 몸체부(110)가 회전축(221)에 의해 제2축 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제2 몸체(112)에 발열부(120)가 인쇄되는 제2 몸체 인쇄단계(도 6의 (c),(f),(g)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발열부 인쇄단계(S2)에서 발열부(120)는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발열부 인쇄는 앞서 설명한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온수히터 가공장치에 의한 연속적인 발열부 인쇄공정을 도 6을 위주로 살펴보면, 몸체부 이동유닛(미도시)이 몸체부(110)를 프린팅유닛(230)의 헤드부(2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헤드부(231)는 몸체부(110)의 이동에 따라 제1 몸체(111)에 발열부(120)를 인쇄한다.(제1 인쇄, 도 6의 (a),(b) 참조)
이때 몸체부(110)의 이동에 의해 제2 몸체(112)의 걸림턱(113)은 회전축(221)의 걸림홈(222)에 삽입된다.
이후 회전축(221)이 회전되어 몸체부(110)를 헤드부(23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시키고, 몸체부(110)의 회동과정에서 헤드부(231)는 제2 몸체(112)에 발열부(120)를 인쇄한다.(제2 인쇄, 도 6의 (c) 참조)
이후 몸체부 이동유닛(미도시)이 몸체부(110)를 제1 인쇄 시와 동일하게 이동시켜 제1 몸체(111)에 발열부(120)를 인쇄한다.(제3 인쇄, 도 6의 (d),(e) 참조)
이후 제2 인쇄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10)가 회동되고, 몸체부(110)의 회동과정에서 헤드부(231)가 제2 몸체(112)에 발열부(120)를 인쇄한다.(제4 인쇄, 도 6의 (f),(g) 참조)
이렇게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인쇄된 발열부(120)는, 이후 건조 공정과 소결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장치는, 제1 몸체(111)에 발열부(120)를 인쇄하기 위해 몸체부 이동유닛(미도시)이 몸체부(110)를 프린팅유닛(2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제2 몸체(112)에 발열부(120)를 인쇄하기 위해 몸체부 회전유닛(220)이 몸체부(110)를 프린팅유닛(2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몸체(111) 및 제2 몸체(112)에 발열부(120)를 연속적으로 인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발열부(120)의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에 발열부(120)가 설치된 후 걸림턱 제거단계(S3)를 거쳐 몸체부(110)에서 걸림턱(113)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방법은, 제2 몸체(112)를 회전축(2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걸림턱(113)이 발열부 인쇄단계(S2) 전에 제2 몸체(112)에 성형되고 발열부 인쇄단계(S2) 후 걸림턱(113)이 제거됨으로써, 발열부 인쇄단계(S2)에서 몸체부(110)를 회전축(221)의 회전에 연동시켜 제1 몸체 및 제2 몸체에 발열부(120)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며 인쇄 작업 후에는 걸림턱(113)을 제거하여 몸체부(110)의 유동 공간(G)을 통과하는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온수히터 가공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방법은, 내부가 중공되고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310)의 외벽에 발열부(320)를 인쇄하는 발열부 인쇄단계와, 몸체부(310)를 가압하여 몸체부(310)에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311)와 제1 몸체(311)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몸체(312)를 형성하는 몸체부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발열부 인쇄단계에서는, 프린팅유닛(미도시)이 원통 형상의 몸체부(310)의 외벽에 발열부(320)를 인쇄한다.
몸체부 성형단계에서는, 프레스유닛(미도시)이 원통 형상의 몸체부(310)를 가압하여 몸체부(310)에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311)와 제1 몸체(311)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몸체(3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수히터 가공방법은,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310)의 외벽에 발열부(320)를 인쇄한 후 몸체부(310)를 가압하여 몸체부(310)에 평면 플레이트 형상의 제1 몸체(311)와 단면이 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몸체(312)를 형성함으로써, 온수히터의 가공방법이 간편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310: 몸체부 111, 311: 제1 몸체
112, 312: 제2 몸체 113: 걸림턱
114: 유동 가이드부 120, 320: 발열부
130: 케이스부 131: 유체 유입구
132: 유체 유출구 133: 케이스 본체
134: 개폐용 덮개 135: 증기 배출구
140: 수밀부 150: 커넥터
220: 몸체부 회전유닛 221: 회전축
222: 걸림홈 230: 프린팅유닛
231: 헤드부 G: 유동 공간

Claims (13)

  1.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유동 공간이 형성되며,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온수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단면이 아크(arc) 형상으로 마련되는 온수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는 온수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몸체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한 쌍의 제2 몸체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 작게 마련되는 온수히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내벽의 면적은, 상기 제2 몸체 내벽의 면적 보다 크게 마련되는 온수히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몸체의 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유동 공간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온수히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차폐하며, 상기 유동 공간에 연통되는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몸체부의 사이로 상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부를 더 포함하는 온수히터.
  8.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을 갖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를 제1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체부 이동유닛;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를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몸체부 회전유닛; 및
    상기 몸체부 회전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외벽에 발열부를 인쇄하는 프린팅유닛을 포함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회전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축 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제2 몸체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걸림턱이 삽입되도록 상기 외주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이 마련되는 온수히터 가공장치.
  11.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을 가지며 회전축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턱이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성형하는 몸체부 성형단계;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외벽에 발열부를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발열부 인쇄단계; 및
    상기 걸림턱을 제거하는 걸림턱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온수히터 가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 인쇄단계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되고, 상기 몸체부가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상기 발열부가 인쇄되는 제1 몸체 인쇄단계; 및
    상기 제2 몸체에 마련된 상기 걸림턱이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축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상기 제2 몸체에 상기 발열부가 인쇄되는 제2 몸체 인쇄단계를 포함하는 온수히터 가공방법.
  13. 내부가 중공되고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부의 외벽에 발열부를 인쇄하는 발열부 인쇄단계; 및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에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고 단면이 아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온수히터 가공방법.
KR1020140124526A 2014-09-18 2014-09-18 온수히터 가공장치 KR101678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526A KR101678274B1 (ko) 2014-09-18 2014-09-18 온수히터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526A KR101678274B1 (ko) 2014-09-18 2014-09-18 온수히터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874A true KR20160033874A (ko) 2016-03-29
KR101678274B1 KR101678274B1 (ko) 2016-11-22

Family

ID=5566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526A KR101678274B1 (ko) 2014-09-18 2014-09-18 온수히터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2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824Y1 (ko) * 2004-07-28 2004-10-15 박광식 순간온수장치
KR100624568B1 (ko) * 2006-01-02 2006-09-15 주식회사 노비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KR20110104407A (ko) * 2010-03-16 2011-09-22 하이디산업개발 주식회사 유체 및 기체용 연속히터장치
KR200472014Y1 (ko) 2012-12-12 2014-04-04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KR20140073244A (ko) * 2012-12-06 2014-06-16 리빙케어소재기술(주) 순간 온수용 히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824Y1 (ko) * 2004-07-28 2004-10-15 박광식 순간온수장치
KR100624568B1 (ko) * 2006-01-02 2006-09-15 주식회사 노비타 세정기용 순간 온수장치
KR20110104407A (ko) * 2010-03-16 2011-09-22 하이디산업개발 주식회사 유체 및 기체용 연속히터장치
KR20140073244A (ko) * 2012-12-06 2014-06-16 리빙케어소재기술(주) 순간 온수용 히팅장치
KR200472014Y1 (ko) 2012-12-12 2014-04-04 주식회사 지노아이앤티 정수기용 순간온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274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8799B (zh) 使用水的清洁器
RU2475173C2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для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их напитков
EP2855111B1 (en) Stirrer for stabilizing liquid binding unfinished products intended to form ceramic items
RU201212788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рева потока
PT1774884E (pt) Gerador de água quente e/ou vapor
JP6276493B2 (ja) 熱交換装置
KR101678274B1 (ko) 온수히터 가공장치
KR20170112870A (ko) 살균수 분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KR102604676B1 (ko) 상판 청소가 가능한 전기레인지
CN106345380B (zh) 一种化学反应装置及其温度控制方法
KR101806194B1 (ko) 비누 제조장치
KR101785979B1 (ko) 멀티 히터봉 착탈식 간접 가열형 가마솥 장치
KR101091076B1 (ko) 비데 세정용 순간 온수장치
CN203508302U (zh) 注胶头及具有其的注胶机
KR20100037897A (ko) 비데 세정용 순간 온수장치
CN202590798U (zh) 合成树脂用外盘管反应釜
KR101683011B1 (ko) 플렉시블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수모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
CN211275758U (zh) 一种粘度控制器壳体自动清洗装置
KR20180127143A (ko) 고중점도 물질용 복합 건조 장치
KR101561927B1 (ko) 비데의 온수장치
JP3878142B2 (ja) 流体加熱装置
CN104746313A (zh) 洗衣机和洗衣机的加热装置
FI123987B (fi) Suurtalouskattila
RU83588U1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со свинцовым теплоносителем или его сплавами
KR101099737B1 (ko) 고온의 약액을 공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