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728A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728A
KR20160031728A KR1020140121756A KR20140121756A KR20160031728A KR 20160031728 A KR20160031728 A KR 20160031728A KR 1020140121756 A KR1020140121756 A KR 1020140121756A KR 20140121756 A KR20140121756 A KR 20140121756A KR 20160031728 A KR20160031728 A KR 20160031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plate
housing
weight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오화영
장건희
남자현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2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1728A/ko
Priority to US14/637,600 priority patent/US9833812B2/en
Publication of KR2016003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02N2/04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 H02N2/046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stroke amplification for conversion into rotary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7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multipl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 H01H3/304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spring motor using a torsion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specially adapted for damping motor oscillations, e.g. for reducing h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압전소자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압전소자와,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증폭부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or}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음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진동발생장치는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변위를 발생시키는 역압전효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발생된 변위로 진동자의 중량체를 움직이도록 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장치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압전소자는 길이가 폭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경우 압전소자의 길이가 길어야 변위 및 진동확보가 가능하므로, 진동발생장치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압전소자가 낙하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진동발생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므로, 전체 부피가 증가되어 부품의 소형화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000894호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압전소자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압전소자와,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증폭부를 포함한다.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베이스부재(120), 제1 플레이트(130), 제1 압전소자(140), 연결부재(150), 제2 압전소자(160), 제2 플레이트(170), 진동증폭부(180) 및 회로기판(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진동발생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하우징(110)은 도 2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개방된 케이스(112)와, 케이스(112)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밀폐공산을 형성하는 브라켓(114)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케이스(112)는 하단부가 개방된 원형의 박스 형상을 가지며, 브라켓(114)은 케이스(112)에 조립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10) 내에 상기한 베이스부재(120), 제1 플레이트(130), 제1 압전소자(140), 연결부재(150), 제2 압전소자(160), 제2 플레이트(170) 및 진동증폭부(180)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이 코인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반경 방향이라 함은 도 1에서 좌,우 방향, 즉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또는 하우징(110)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 방향은 하우징(110)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하는 방향과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방향 하우징(1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베이스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베이스부재(120)는 브라켓(114)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부재(120)는 코인 형상을 가지며, 제1 플레이트(130)가 브라켓(114)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플레이트(130)는 베이스부재(120)의 상면에 설치되어 브라켓(114)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2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플레이트(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플레이트(130)는 변형 후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130)는 제1 압전소자(14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전소자(140)는 제1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된다. 또한, 제1 압전소자(140)는 원형의 코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제1 플레이트(130)는 제1 압전소자(140)와 연동하여 변형된다.
즉, 제1 플레이트(130)는 중앙부가 베이스부재(120)에 고정 설치되므로, 제1 압전소자(140)의 변형 시 제1 플레이트(130)는 중앙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가장자리가 상,하부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제1 플레이트(130)는 중앙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볼록한 형상 및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연결부재(150)는 제1 압전소자(140)와 제2 압전소자(160)가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연결부재(150)는 제1,2 압전소자(140,160)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50)는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며,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한 변형량 감소를 억제하는 동시에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 시에도 제1,2 압전소자(140,160)가 자유롭게 변형되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압전소자(160)는 원형의 코인 형상을 가지며, 제1 압전소자(140)의 변형 시 제1 압전소자(140)의 변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형된다. 즉, 제1 압전소자(140)의 가장자리가 상부 측으로 이동되어 제1 압전소자(140)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되는 경우 제2 압전소자(160)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제1 압전소자(140)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되는 경우 제2 압전소자(160)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한편, 제2 압전소자(160)는 연결부재(150)에 의해 가장자리가 제1 압전소자(14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압전소자(160)의 가장자리는 제1 압전소자(140)에 구속되고, 중앙부가 이동되어 변형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70)는 제2 압전소자(160)에 설치되며,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170)도 제2 압전소자(160)와 연동하여 변형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170)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플레이트(170)는 제2 압전소자(16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진동증폭부(180)는 제2 플레이트(17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진동증폭부(180)는 탄성부재(200),요크(210) 및 중량체(22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00)는 중앙부가 제2 플레이트(17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가장자리가 요크(2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200)는 제2 플레이트(17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접합설치부(202)와, 접합설치부(202)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고리부(204), 및 접합설치부(202)와 고리부(204)를 연결하는 탄성변형부(206)를 구비한다.
한편, 탄성변형부(206)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해 제1,2 플레이트(130,170)가 변형되는 경우 탄성부재(220)의 접합설치부(202)가 제2 플레이트(170)와 함께 이동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200)의 탄성변형부(206)가 변형되어 고리부(204)에 설치되는 중량체(22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요크(210)는 저면이 고리부(204)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중량체(22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요크(210)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00)와 중량체(220)가 요크(210)를 통해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부재(200)가 직접 중량체(22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중량체(220)는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중량체(220)도 코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해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체(220)는 텅스텐, 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일한 체적 내에서 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여 진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량체(220)는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170)의 상면에는 중량체(220)와의 접촉을 방지토록 댐퍼부재(23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댐퍼부재(230)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량체(220)와 제2 플레이트(170)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및 파손을 방지토록 댐퍼부재(230)는 탄성을 가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2 압전소자(140,16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제1,2 압전소자(140,160)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는 진동증폭부(180)의 공진주파수의 일치하는 주파수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2 압전소자(140,15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증폭부(180)가 진동되면서 제1,2 압전소자(140,150)의 변형에 의한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는 것이다.
회로기판(190)은 제1 압전소자(140)에 연결되며 일단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노출 배치된다. 회로기판(190)은 브라켓(114)에 안착 설치되며, 하우징(110)으로부터 노출 배치되는 전원연결부(192)에는 전원연결전극(192a)이 형성된다.
한편, 회로기판(190)은 제2 압전소자(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해 제1,2 플레이트(130,170)이 변형되므로, 탄성부재(200)에 전달되는 힘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진동발생장치와 비교하여 동작속도가 향상되어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전소자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1,2 압전소자(140,160)가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동발생장치(10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2 압전소자(140,160)가 원형의 코인 형상을 가지며, 탄성부재(200)가 구비됨으로써 진동발생장치(100)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진동증폭부가 상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진동증폭부가 하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90, 도 3 참조)을 통해 제1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압전소자(140)가 변형된다. 이때, 베이스부재(120)에 중앙부가 고정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130)는 제1 압전소자(140)와 함께 변형된다.
즉, 제1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제1 플레이트(130)의 중앙부가 베이스부재(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130)는 가장자리가 상부측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 제1 압전소자(140)와 제1 플레이트(130)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이때, 제2 압전소자(160)는 제1 압전소자(140)와 반대 방향으로 변형된다. 즉, 제1 압전소자(140)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되는 경우 제2 압전소자(160)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한편, 제2 압전소자(160)는 연결부재(150)를 통해 제1 압전소자(140)에 대향 배치되며 제1 압전소자(140)와 이격 배치된다. 나아가 연결부재(150)는 통해 제2 압전소자(160)는 제1 압전소자(1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50)는 제1,2 압전소자(140,16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압전소자(160)의 변형 시 제2 압전소자(160)의 가장자리가 연결부재(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앙부가 변형되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전소자(160)의 변형에 의해 제2 플레이트(170)도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해 탄성부재(200)의 탄성변형부(206)가 변형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90, 도 3 참조)을 통해 제1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압전소자(140)가 변형된다. 이때, 베이스부재(120)에 중앙부가 고정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130)는 제1 압전소자(140)와 함께 변형된다.
즉, 제1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제1 플레이트(130)의 중앙부가 베이스부재(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130)는 가장자리가 상부측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해, 제1 압전소자(140)와 제1 플레이트(130)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이때, 제2 압전소자(160)는 제1 압전소자(140)와 반대 방향으로 변형된다. 즉, 제1 압전소자(140)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되는 경우 제2 압전소자(160)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한편, 제2 압전소자(160)는 연결부재(150)를 통해 제1 압전소자(140)에 대향 배치되며 제1 압전소자(140)와 이격 배치된다. 나아가 연결부재(150)는 통해 제2 압전소자(160)는 제1 압전소자(140)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50)는 제1,2 압전소자(140,16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압전소자(160)의 변형 시 제2 압전소자(160)의 가장자리가 연결부재(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앙부가 변형되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전소자(160)의 변형에 의해 제2 플레이트(170)도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된다.
이와 같이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해 탄성부재(200)의 탄성변형부(206)가 변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 압전소자(140,160)의 변형에 의해 제1,2 플레이트(130,170)이 변형되므로, 탄성부재(200)에 전달되는 힘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진동발생장치와 비교하여 동작속도가 향상되어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300)는 제1,2 접촉방지부재(440,450)를 더 포함한다.
제1 접촉방지부재(440)는 중량체(220)의 상면과 하우징(110)의 천정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하우징(110)과 중량체(220)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나아가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110)과 중량체(220)가 접촉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파손을 방지한다.
한편, 제2 접촉방지부재(450)는 중량체(220)의 외주면과 하우징(110)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중량체(220)의 틸팅 시 발생되는 하우징(110)과 중량체(220)의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나아가, 제2 접촉방지부재(450)도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110)과 중량체(220)가 접촉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진동발생장치
110 : 하우징
120 : 베이스부재
130 : 제1 플레이트
140 : 제1 압전소자
150 : 연결부재
160 : 제2 압전소자
170 : 제2 플레이트
180 : 진동 증폭부
190 : 회로기판
200 : 탄성부재
210 : 요크
220 : 중량체

Claims (11)

  1.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압전소자;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압전소자;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진동증폭부;
    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증폭부는 중앙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량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증폭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가장자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중량체의 고정 설치를 위한 요크를 더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중량체와의 접촉을 방지토록 댐퍼부재가 설치되는 진동발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접합설치부와, 상기 접합설치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고리부 및 상기 접합설치부와 상기 고리부를 연결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소자에 연결되며 일단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압전소자 및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진동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압전소자는 변형 시 상호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는 진동발생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천정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접촉방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중량체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중량체의 틸팅 시 발생되는 하우징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접촉부재가 설치되는 진동발생장치.
  11.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브라켓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압전소자;
    상기 제1 압전소자에 연결부재를 통해 대향 배치되는 제2 압전소자;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중량체;
    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KR1020140121756A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KR20160031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56A KR20160031728A (ko)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US14/637,600 US9833812B2 (en) 2014-09-15 2015-03-04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756A KR20160031728A (ko)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28A true KR20160031728A (ko) 2016-03-23

Family

ID=5545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756A KR20160031728A (ko) 2014-09-15 2014-09-15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33812B2 (ko)
KR (1) KR201600317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3982A (zh) * 2022-04-07 2023-12-08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振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997A (ja) 1994-02-09 1995-08-15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圧電振動装置
KR100639024B1 (ko) 2004-06-30 2006-10-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기
JP4395052B2 (ja) * 2004-11-10 2010-01-06 太陽誘電株式会社 駆動装置
CN102106160B (zh) 2009-05-25 2014-12-3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压电式音响变换器
KR101250798B1 (ko) * 2009-10-27 2013-04-04 주식회사 로브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GB2496070B (en) * 2010-08-24 2017-03-01 Murata Manufacturing Co Ultrasonic generator
KR101184502B1 (ko) * 2010-12-10 2012-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388726B1 (ko) 2011-09-30 2014-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KR101438477B1 (ko) 2012-12-05 2014-09-12 주식회사 하이소닉 햅틱 액추에이터
KR20140139216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진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33812B2 (en) 2017-12-05
US20160074906A1 (en)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805B2 (en) Piezoelectric ceramic dual-frequency earphone structure
KR101783423B1 (ko) 편진동 방지 기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598584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40137722A (ko) 진동발생장치
KR101004907B1 (ko) 선형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JP5843371B2 (ja) 振動発生装置
KR101514677B1 (ko) 골전도 출력장치
KR102138335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39373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133415B1 (ko) 선형 진동자
US9954425B2 (en) Linear vibrating motor
KR101629170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079416B1 (ko) 선형 진동자
KR20140139249A (ko) 진동발생장치
KR101607949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60031728A (ko) 진동발생장치
KR20140115235A (ko) 진동발생장치
KR20080052797A (ko) 선형 진동 엑츄에이터
KR102183882B1 (ko)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KR20160102658A (ko) 선형 진동모터
KR10200336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03372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53641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367950B1 (ko) 선형진동자
KR101645551B1 (ko) 진동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