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695A - 전복치패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전복치패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695A
KR20160027695A KR1020140116092A KR20140116092A KR20160027695A KR 20160027695 A KR20160027695 A KR 20160027695A KR 1020140116092 A KR1020140116092 A KR 1020140116092A KR 20140116092 A KR20140116092 A KR 20140116092A KR 20160027695 A KR20160027695 A KR 20160027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main body
unit
water
fl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626B1 (ko
Inventor
배창민
Original Assignee
배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창민 filed Critical 배창민
Priority to KR102014011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6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치패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채집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레일봉이 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레일부와, 상기 경사레일부에 지지되어 상기 채집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판면에는 다수의 선별공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봉을 따라 전후진되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선별공보다 작은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는 선별공을 통해 하측의 채집공간으로 낙하시키고 선별공보다 큰 정상규격의 전복치패는 전방쪽으로 이송하는 선별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부에 왕복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부의 경사진 왕복운동을 통하여 전복치패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복치패를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복치패 선별장치 {Sorting device for young abalone}
본 발명은 성장하는 전복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전복치패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복의 종류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약 100여종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연안에는 참전복을 비롯하여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기 및, 마대오분자기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전복의 채취는 종래 해녀나 잠수부의 작업에 의하여 수확되는 자연산에 의존하였으나 수급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는 바, 양식에 의한 전복 생산량이 해다마 증가되는 추세이다.
전복은 보통 7㎝ 정도까지 성장하는데 평균 2년 반이 소요되며, 9㎝까지 성장하는데 대략 3년 정도가 소요되는데, 전복양식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어린 전복치패를 그대로 일반 양식장에 방류하는 경우 생존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생존율을 높여주기 위하여 양식종묘장에서 전복치패를 어느 정도 성장시키게 된다.
상기 양식종묘장에서는 양식조에서 전복의 알이 부화되고 나면 전복치패를 일정기간동안 성장시킨 후 일반 전복양식장에 분양 판매하게 되는데, 전복치패의 성장기간동안 일정시기마다 전복치패의 크기를 체크하여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규격미달의 전복치패와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전복치패를 선별하게 된다.
이렇게 전복치패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것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바, 전복을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장치들이 개시되어 왔으며, 일 예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893호, 등록특허 제10-1378922호에 전복 선별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개시된 종래의 선별장치들은 대부분 원통형의 드럼스크린을 회전시키면서 전복을 선별하는 구조로서, 드럼스크린의 전체적인 크기에 비하여 하단쪽 선별공으로만 전복이 선별될 수 있으므로 선별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음과 함께, 드럼스크린 내부에서 전복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서로 계속적으로 충돌되므로 껍대기가 깨지거나 손상되어 상품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8922호 (공고일자: 2014년 03월 28일) : 전복 선별장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893호 (공개일자: 2014년 02월 10일) : 전복치패 채집 선별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부의 경사진 왕복운동을 통하여 전복치패를 크기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전복치패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채집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레일봉이 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레일부와, 상기 경사레일부에 지지되어 상기 채집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판면에는 다수의 선별공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봉을 따라 전후진되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선별공보다 작은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는 선별공을 통해 하측의 채집공간으로 낙하시키고 선별공보다 큰 정상규격의 전복치패는 전방쪽으로 이송하는 선별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부에 왕복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복치패 선별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선별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선별부의 상측에 착탈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좌우 한쌍의 메인공급관과, 상기 한쌍의 메인공급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과 함께 메인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되, 물의 분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쌍의 메인공급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수납됨과 함께, 상기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를 채집공간에서 꺼낼때는 본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전방쪽이 위쪽으로 들려진 선별부의 전단과 본체부의 전단 사이에 끼움 거치됨으로써, 선별부의 들려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선별부거치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내측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를 가지며, 전단에는 낙하안내판이 구비됨과 함께 후단에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유동프레임과, 상기 유동프레임의 내측부에 교체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며, 평평한 판면을 따라 다수의 선별공이 형성된 선별스크린과, 상기 유동프레임의 양측단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레일봉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시 상기 유동프레임이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서 일정거리 편심된 위치에 일단이 링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프레임의 후단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유동프레임을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장치에 의하면,
선별부의 경사진 왕복운동을 통하여 전복치패 상호 간에 충돌을 최소화하면서 고르게 퍼진 상태에서 전복치패가 원활하게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송과정에서 규격미달의 전복치패가 다량으로 선별되므로 전복치패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복치패를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복치패의 성장에 따라 일정시기마다 적정 선별공을 갖는 선별스크린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선별부거치봉을 통해 채집된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를 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선별과정에서 물분사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므로 전복치패의 수분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과 함께 물분사각도를 조정하여 이송속도를 조절하거나 고르게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경사레일부와 이동가이더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장치의 작동을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선별부를 들어올려 선별부거치봉으로 거치한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결합, 또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장치를 예시한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치패 선별장치(이하, “선별장치”라 약칭함.)는 기본적으로 본체부(100)와, 경사레일부(200)와, 선별부(300)와,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도 1과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좌우의 폭보다는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그 내부에는 선별대상인 규격미달의 전복치패가 채집될 수 있도록 일정한 채집공간(S)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채집공간에는 채집된 전복치패를 보다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규격미달용 수거통(도면 미도시)이 나란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전후좌우 4곳에는 본체부(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퀴(110)가 구비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시에는 위치를 고정시키면서 본체부(100)의 설치높이 또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사레일부(200)는 후술하는 상기 선별부(300)가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경사레일부(200)는 도 1과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부(10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본체부(100)의 좌우 양측면에서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방쪽과 후방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경사레일부(200)는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레일부(200)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봉(210)을 포함하며, 상기 선별부(300)는 이러한 레일봉(210)의 경사각도에 따른 경사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선별부(300)는 규격미달의 전복치패와 정상규격의 전복치패를 선별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경사레일부(200)에 지지되어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선별부(300)는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유동프레임(310)과, 선별스크린(320)과, 이동가이더(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프레임(310)은 내측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면 하단에는 안착되는 상기 선별스크린(320)을 받쳐주는 받침단(311)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프레임(310)의 전단에는 이송된 정상규격의 전복치패가 전방쪽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낙하안내판(312)이 구비될 수 있으며, 후단에는 유동프레임(310)에 왕복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후술하는 구동부(400)가 결합된다.
상기 선별스크린(320)은 상기 유동프레임(310)의 개방된 내측부에 안착될 수 있는 사각 형태의 판재이며, 양측면은 상향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선별스크린(320)에는 평평한 판면을 따라 다수의 선별공(3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선별공(321)은 선별하고자 하는 전복치패의 규격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복치패의 성장에 따라 일정기간마다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를 선별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스크린(32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선별스크린(320)에 형성된 선별공(321)은 예컨대 5㎜, 7.5㎜, 10㎜ 등과 같이 다양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선별스크린(320)은 상기 유동프레임(310)의 개방된 내측부에 삽입되어 받침단(311)에 받쳐지게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프레임(310)에 결합이 된다.
여기서, 상기한 것처럼 선별스크린(320)은 전복치패의 성장에 대응하여 적절한 직경의 선별공(321)을 갖는 것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유동프레임(31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일 예로서, U자형 클램프(도면 미도시)에 의해 유동프레임(310)에 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더(330)는 상기 유동프레임(310)이 경사레일부(200)의 레일봉(210)을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이동가이더(330)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일단이 상기 유동프레임(310)의 측단에 결합되면서 경사레일부(200)로 연장되고, 연장된 타단에는 상기 레일봉(21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롤러(331)가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가이더(330)는 경사레일부(200)에 대응하여 유동프레임(310)의 양측면과 전후방에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별부(300)는 후술하는 구동부(400)가 작동되면 이동가이더(330)의 회전롤러(331)가 경사레일부(200)의 레일봉(210)을 따라 경사지게 전후진되고, 그에 따라 이동가이더(300)에 지지된 유동프레임(310) 및 유동프레임(310)에 결합된 선별스크린(320) 또한 동일하게 경사진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면서 선별공(321)보다 작은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는 선별공(321)을 통해 본체부(100)의 채집공간(S)으로 낙하시키고 선별공(321)보다 큰 정상규격의 전복치패는 전방의 낙하안내판(312)쪽으로 이송을 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상술한 선별부(300)에 왕복운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으로서, 상기 선별부(300)와 결합되어 본체부(100)의 후방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400)는 도 1과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구동모터(410)와, 회전판(420)과, 커넥팅로드(4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0)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되어 회전동력을 생성한다.
상기 회전판(42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410)에 축 결합되어 구동모터(410)의 작동에 따라 회전이 된다.
이러한 회전판(420)은 구동모터(410)의 작동제어를 통해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로드(430)는 상기 회전판(420)의 회전중심, 즉 구동모터(410)의 축에서 일정거리 편심된 위치에 일단이 링크 결합되고, 타단은 선별부(300)의 유동프레임(310) 후단에 링크 결합이 된다.
이렇게 양단이 회전판(420)과 유동프레임(310)에 각각 링크 결합된 커넥팅로드(430)는 구동모터(410)가 작동되어 회전판(420)이 회전되면 그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유동프레임(310)에 제공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동프레임(310)은 경사레일부(200)를 따라 경사진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1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물분사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분사부(500)는 상기 선별부(300)의 상측에서 선별부(300)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이송되는 전복치패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함께 전복치패의 이송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물분사부(500)는 도 1과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좌우 한쌍의 메인공급관(510)과, 다수의 분사관(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메인공급관(510)은 전단과 후단이 연결관(530)에 의해 상호 결합되며, 한쌍의 메인공급관(510) 중 어느 하나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물공급구(511)가 형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메인공급관(510)은 선별부(300)의 상측에 착탈되는데, 이를 위해 선별부(300)의 이동가이더(330) 상면에는 한쌍의 메인공급관(510)이 이탈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관착탈구(33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사관(520)은 상기 한쌍의 메인공급관(510)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통되게 결합이 되며, 이에 따라 메인공급관(510)으로부터 각각 물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분사관(520)에는 공급된 물을 선별부(300)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공(521)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분사관(520)은 메인공급관(510)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분사관(520)에서 분사되는 물이 선별부(300)에서 이송되는 전복치패의 이송속도에 영향을 주므로, 전복치패의 양이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물의 분사각도를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1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선별부거치봉(6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선별부거치봉(600)은 상기 본체부(100)의 채집공간(S)에 채집된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를 외부로 꺼낼 때, 그러한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단에는 끼움핀(610)이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선별부거치봉(600)은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평상시에는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수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체부(100)의 외측면에는 수납용 봉지지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별부거치봉(600)은 본체부(100)의 채집공간(S)으로부터 채집된 전복치패를 꺼낼 때는 수납된 본체부(100)로부터 인출된 후,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전방쪽이 위쪽으로 들려진 선별부(300)의 전단과 본체부(100)의 전단 사이에 끼워져 거치됨으로써 들려진 선별부(300)를 지지하게 되며, 이를 위해 선별부(300)의 낙하안내판(312)에는 선별부거치봉(600)의 끼움핀(610)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31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의 전단 중앙에는 선별부거치봉(600)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는 봉끼움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과정으로서, 선별대상인 전복치패의 크기규격(예컨대, 5㎜)에 대응하는 선별공(321)이 형성된 선별스크린(320)을 선정한 후, 선정된 선별스크린(320)을 선별부(300)의 유동프레임(310)에 안착 결합시킨다.
그리고 물공급부(500)를 선별부(300)의 이동가이더(330) 위에 결합시키고, 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메인공급관(510)의 물공급구(511)에 별도의 물호스를 연결시켜준다.
이렇게 준비과정이 완료되면, 구동부(400)의 구동모터(4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선별부(300)를 왕복 작동시키게 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모터(410)에 의한 회전판(420)의 회전에 따라 커넥팅로드(430)와 링크 결합된 유동프레임(310)에 왕복운동력이 제공되고, 그에 따라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이동가이더(330)의 회전롤러(331)가 경사레일부(200)의 레일봉(210)을 따라 전후진되면서 선별스크린(320)이 결합된 유동프레임(310)이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물공급부(50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다수의 분사관(520)에서 선별부(300)를 향해 물이 분사되도록 해준다.
이렇게 선별부(300)가 왕복작동되고 물의 분사가 시작되면, 선별대상 전복치패가 수용된 별도의 전복치패 공급장치(도면 미도시)를 통해 전복치패를 선별부(300)의 후단측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공급된 전복치패는 선별부(300)의 경사진 왕복운동에 의해 유동하면서 선별스크린(320)을 따라 전방쪽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전복치패는 물공급부(500)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지속적인 수분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유동되면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선별공(321)의 직경(예컨대, 5㎜)보다 작은 크기의 전복치패, 즉 정상적으로 성장되지 않은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는 선별공(321)을 통과하여 낙하됨으로써 본체부(100)의 채집공간(S)으로 선별 채집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선별공(321)의 직경보다 큰 전복치패, 즉 정상적으로 성장된 정상규격의 전복치패는 선별공(321)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그대로 전방쪽으로 이송된 후 낙하안내판(312)을 통해 본체부(100)의 전방으로 낙하됨으로써 별도로 선별 수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는 정상규격의 전복치패를 수거하는 별도의 수거통이 또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한 과정을 통해 전복치패의 선별이 완료되면, 본체부(100)의 채집공간(S)에 채집된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를 꺼내게 된다.
이 때는 먼저 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수납된 선별부거치봉(600)을 인출한 후, 선별부(300)의 전방쪽을 잡고 위쪽으로 들어올려준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선별부거치봉(600)을 끼워 선별부(300)의 들려진 상태를 유지시킨 후, 본체부(100)의 채집공간(S)으로부터 채집된 전복치패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발명의 대상물로 전복치패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전복 이외의 다른 조개류의 치패를 선별하는 것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본체부 200: 경사레일부
210: 레일봉 300: 선별부
310: 유동프레임 320: 선별스크린
321: 선별공 330: 이동가이더
331: 회전롤러 400: 구동부
410: 구동모터 420: 회전판
430: 커넥팅로드 500: 물분사부
510: 메인공급관 520: 분사관
600: 선별부거치봉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채집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레일봉이 전방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레일부;
    상기 경사레일부에 지지되어 상기 채집공간의 상측에 구비되면서 판면에는 다수의 선별공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봉을 따라 전후진되면서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선별공보다 작은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는 선별공을 통해 하측의 채집공간으로 낙하시키고 선별공보다 큰 정상규격의 전복치패는 전방쪽으로 이송하는 선별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방쪽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부에 왕복운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복치패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선별부의 상측에 착탈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좌우 한쌍의 메인공급관;
    상기 한쌍의 메인공급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과 함께 메인공급관에서 공급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되, 물의 분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쌍의 메인공급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하는 전복치패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수납됨과 함께, 상기 규격미달의 전복치패를 채집공간에서 꺼낼때는 본체부로부터 인출되어, 전방쪽이 위쪽으로 들려진 선별부의 전단과 본체부의 전단 사이에 끼움 거치됨으로써, 선별부의 들려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선별부거치봉;을 더 포함하는 전복치패 선별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내측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를 가지며, 전단에는 낙하안내판이 구비됨과 함께 후단에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유동프레임;
    상기 유동프레임의 내측부에 교체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며, 평평한 판면을 따라 다수의 선별공이 형성된 선별스크린;
    상기 유동프레임의 양측단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레일봉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시 상기 유동프레임이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가이더;를 포함하는 전복치패 선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에서 일정거리 편심된 위치에 일단이 링크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동프레임의 후단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유동프레임을 전후진 왕복운동시키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전복치패 선별장치.
KR1020140116092A 2014-09-02 2014-09-02 전복치패 선별장치 KR10165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92A KR101650626B1 (ko) 2014-09-02 2014-09-02 전복치패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092A KR101650626B1 (ko) 2014-09-02 2014-09-02 전복치패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695A true KR20160027695A (ko) 2016-03-10
KR101650626B1 KR101650626B1 (ko) 2016-08-23

Family

ID=5553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092A KR101650626B1 (ko) 2014-09-02 2014-09-02 전복치패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6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416B1 (ko) * 2017-03-06 2018-04-02 박동수 패류 선별기
CN109105344A (zh) * 2018-09-05 2019-01-01 卢乐 一种海瓜子收获机
CN110465482A (zh) * 2019-08-08 2019-11-19 蔡义伟 一种改变筛动幅度的药品制备筛选设备
KR20200032574A (ko) * 2018-09-18 2020-03-26 (주)스케일트론 전복 공급 및 선별장치
KR20200106313A (ko) * 2019-03-04 2020-09-14 조경빈 굼벵이 선별장치
CN112317302A (zh) * 2020-09-29 2021-02-05 王兴刚 一种便于筛选的矿砂筛分装置
CN113458001A (zh) * 2021-08-03 2021-10-01 深圳市宝安湾建筑废弃物循环利用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资源化处置分拣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6733B (zh) * 2018-06-15 2021-01-26 广州臻太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混凝土砂石分离机
CN109433583B (zh) * 2018-09-30 2020-05-29 连云港临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煅后石油焦的输送分级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3B1 (ko) * 2010-06-14 2012-12-12 신옥이 홍합의 수염 제거 및 세척장치
KR20130004418A (ko) * 2011-07-02 2013-01-10 김정명 간격조절이 가능한 멍게 선별기
KR20140003699A (ko) * 2012-06-23 2014-01-10 이용철 전복 선별장치
KR20140000893U (ko) 2012-07-25 2014-02-10 서상호 전복치패 채집 선별기
KR101448419B1 (ko) * 2014-02-11 2014-10-07 김미정 치패 선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3B1 (ko) * 2010-06-14 2012-12-12 신옥이 홍합의 수염 제거 및 세척장치
KR20130004418A (ko) * 2011-07-02 2013-01-10 김정명 간격조절이 가능한 멍게 선별기
KR20140003699A (ko) * 2012-06-23 2014-01-10 이용철 전복 선별장치
KR101378922B1 (ko) 2012-06-23 2014-03-28 이용철 전복 선별장치
KR20140000893U (ko) 2012-07-25 2014-02-10 서상호 전복치패 채집 선별기
KR101448419B1 (ko) * 2014-02-11 2014-10-07 김미정 치패 선별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416B1 (ko) * 2017-03-06 2018-04-02 박동수 패류 선별기
CN109105344A (zh) * 2018-09-05 2019-01-01 卢乐 一种海瓜子收获机
KR20200032574A (ko) * 2018-09-18 2020-03-26 (주)스케일트론 전복 공급 및 선별장치
KR20200106313A (ko) * 2019-03-04 2020-09-14 조경빈 굼벵이 선별장치
CN110465482A (zh) * 2019-08-08 2019-11-19 蔡义伟 一种改变筛动幅度的药品制备筛选设备
CN112317302A (zh) * 2020-09-29 2021-02-05 王兴刚 一种便于筛选的矿砂筛分装置
CN113458001A (zh) * 2021-08-03 2021-10-01 深圳市宝安湾建筑废弃物循环利用有限公司 一种建筑废弃物资源化处置分拣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626B1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626B1 (ko) 전복치패 선별장치
US7748205B2 (en) Harvesting machine and method of harvesting pomegranates and citrus
KR101527750B1 (ko) 홍합의 족사제거 및 분리수거장치
CN107836166B (zh) 一种火龙果扦插覆土种植装置
CN108076757A (zh) 新型夹片式秧苗移栽机
KR101888654B1 (ko) 공용성이 확보된 꽃무지 풍뎅이 사육용 선별 분리장치
KR101228886B1 (ko) 마늘 수확기
JP2019180329A (ja) 莢付き作物収穫機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CN113207559A (zh) 一种香菇养殖的快速采摘装置
US20030037649A1 (en) High pressure seed potato cutter
JP4795710B2 (ja) 根菜収穫機
CN207869684U (zh) 新型夹片式秧苗移栽机
CN108925202A (zh) 一种大蒜收获机
JP5793959B2 (ja) 移植機
CN211322094U (zh) 一种果树自动采摘装置
US2776633A (en) Plant setter
CN208353956U (zh) 籽瓜收瓜台
JP2006304696A (ja) 苗移植機
CN115500211B (zh) 一种用于菌菇种植的培养装置
KR102492355B1 (ko) 구형 농산물의 수집 선별 포장 시스템
CN207204717U (zh) 一种水稻种子清洗装置
CA2414829A1 (en) High pressure seed potato cutter
KR20160145401A (ko) 패류 양식장치
CN108925203A (zh) 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