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418A -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418A
KR20160023418A KR1020140109811A KR20140109811A KR20160023418A KR 20160023418 A KR20160023418 A KR 20160023418A KR 1020140109811 A KR1020140109811 A KR 1020140109811A KR 20140109811 A KR20140109811 A KR 20140109811A KR 20160023418 A KR20160023418 A KR 20160023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elf
data
diagnosi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433B1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433B1/ko
Priority to PCT/KR2015/008444 priority patent/WO2016028025A1/en
Priority to US14/830,088 priority patent/US9990877B2/en
Publication of KR2016002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스크린 자가진단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통신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 센싱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에 대해 센싱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각 컬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출력한 각 컬러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대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자가진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자가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자가진단시스템 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RGB 센서를 활용하여 자가진단하고 서버와 통신하여 이를 처리하는 내용에 관한 것이다.
마트, 백화점, 공항 등 여러 사람에게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필요한 장소에는 종이 전단지나 기계식 디스플레이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사용자의 불편에 따라 최근에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라 정보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고 빠른 처리가 가능하여 많은 사람에게 다양한 정보를 종래 방식에 비해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 전달 방식은 원격지의 관리 pc에서 넓은 장소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디지털 사이니지들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인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환경에 따라 고장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힘들고 상기 고장 경우에 이를 실시간으로 인지하기 어려워 즉각적인 처리가 힘들다. 또한, 간단한 고장에도 불구하고 고장 정도와 종류를 사람이 직접 확인하기 전에는 쉽게 알 수 없어 시스템 운영 효율도 상당히 떨어진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 예컨대, 광고주의 입장에서 사소한 고장 등에 의해 광고를 하지 못하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람이 모인 장소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는 긴급 상황에서 긴급 메시지 전달이 원활하지 못하여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GB 센서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의 고장 여부 내지 품질을 자가진단하고, 상기 자가진단 결과를 원격의 서버(remote server)와 통신하여 처리하는 자가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소형 RGB 센서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소정 영역에 부착하고 측정된 RGB 값을 대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패널(panel) 이상 유무, 케이블 불량 등에 대한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원격의 서버에서 모니터링(monitering)이 가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컨텐트 재생 중에 이상 발생시 즉각적으로 인지 및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신호 유무에 관계없이 패널의 이상 유무 등을 자가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을 위해 소프트웨어 코딩 방식(software coding method)을 이용하여 상기 자가진단을 위한 검사 영역 및 검사 위치 등의 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스크린 자가진단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통신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 센싱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에 대해 센싱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각 컬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출력한 각 컬러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대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자가진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은,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 센싱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에 대해 센싱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각 컬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출력한 각 컬러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대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RGB 센서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고장 여부 내지 품질을 자가진단하고, 상기 자가진단 결과를 원격의 서버와 통신하여 처리하는 자가진단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소형 RGB 센서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소정 영역에 부착하고 측정된 RGB 값을 대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패널 이상 유무, 케이블 불량 등에 대한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원격의 서버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컨텐트 재생 중에 이상 발생시 즉각적으로 인지 및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신호 유무에 관계없이 패널의 이상 유무 등을 자가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을 위해 소프트웨어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자가진단을 위한 검사 영역 및 검사 위치 등의 임의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자가진단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센서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현된 RGB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 내지 5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센서부가 포함된 영역을 실제보다 확대하고 3D로 구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착된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상기 자가진단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정의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설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결과 출력 및 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스크린 자가진단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라 함은 예를 들어, 데이터(data), 컨텐트(content), 서비스(service),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송신, 수신, 처리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모든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wire/wireless network)를 통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부 서버(external server) 등과 페어링 또는 연결(pairing or connecting)(이하 '페어링')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그 송/수신 전에 필요에 따라 변환(converting)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스마트워치(smart watch)나 글래스(glass)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상 후술하는 도 2에서는 디지털 TV(Digital TV)를 그리고, 도 3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패널(panel)만을 가진 구성일 수도 있고, 셋톱박스(STB: Set-Top Box) 등과 같은 구성, 디바이스, 시스템 등과 하나의 세트(SET) 구성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유/무선 네트워크”라 함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외부 서버 사이에서 페어링 또는/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규격(standard)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에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단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명명하여 설명하는 경우, 문맥 등에 따라 그 의미는 고정형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미하거나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 컴퓨터 기능 내지 지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등을 지원하는 지능형 디바이스로서, 상술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뱅킹(banking), 게임(game),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후술하는 도 6에 도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 또는 제어 수단(이하 ‘입력 수단’)들을 지원 및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 웹OS(Web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범용의 OS 커널(OS kernel) 또는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상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입력 디바이스와 페어링 가능하며, 상기 페어링 이후에 상호 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외부 입력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이나 엑스-박스(X-Box) 등과 같은 게임 디바이스(game device), 스마트 폰, 태블릿 PC, 포켓 포토(pocket photo) 등과 같은 프린터기(printing device), 스마트 TV, 블루-레이(Blu-ray device) 디바이스 등을 모두 포함한다.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서버(server)”라 함은,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즉, 클라이언트(client)로 데이터를 공급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혹은 시스템을 의미하며, 프로세서(processor)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서버는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는 자가진단 데이터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서버에는 예컨대, 웹 페이지(web page), 웹 컨텐트 또는 웹 서비스(web content or web service)를 제공하는 포털 서버(portal server), 광고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advertising server),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서버(CP: content server),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 서버, 제조업체(manufacturer)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자가진단시스템(Self-diagnosis system)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와 통신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 센싱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에 대해 센싱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각 컬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출력한 각 컬러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대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자가진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각 컬러 단위로 순차로 비교 판단하고, 상기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 출력시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과 같거나 작으면,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해당 컬러에 대한 자가진단 결과는 오류(false)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컬러에 대해서는 에러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자가진단 결과는 정상(True)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되는 자가진단 데이터는, 모든 컬러에 대한 자가진단 결과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서버로 자가진단 결과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순차로 각 컬러에 대해 자가진단 결과 어느 하나의 컬러에 대해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든 컬러 또는 해당 컬러에 대해 재센싱하도록 제어한다. 그 밖에,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한 횟수 동안 모든 컬러에 대해 정상일 때까지 재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미리 정한 횟수 동안 모든 컬러에 대해 정상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자가진단 결과를 오류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 시스템은 크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서버(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가진단 시스템은, 경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자가진단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단말기(120)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단말기(120) 또는/및 서버(140)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중계기(relay)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셋톱박스(STB)까지 포함한 하나의 세트일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만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소스로부터 전송되는 컨텐트를 수신하여 이를 스크린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는, 상기 단말기(120), 중계기(130), 서버(140)뿐만 아니라 외부의 다양한 서버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트는, 방송 컨텐트, 웹 페이지, 광고 데이터, 긴급 메시지, 안내 데이터 등 다양한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컨텐트가 다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상기 서버(140)와 동일한 OS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웹OS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서버(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컨텐트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버(140)는 상기 컨텐트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서 재생, 정지 등 모든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14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자가진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40)는 상기 수신한 자가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 또는 근처의 관리자 또는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자가진단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자가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동작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20)일 수 있다. 상기 서버(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서 지원 가능한 OS 플랫폼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OS 플랫폼은 웹OS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장치를 통칭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91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용 제어 디바이스 등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단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20)는, 상기 서버(140)와도 통신 가능하며, 상기 서버(14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의 자가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단말의 스크린상에 수신된 자가진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20)는, 상기 자가진단 결과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에 대응되는 동작에 대한 지시, 매뉴얼 등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단말기(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및 상기 서버(140) 중 적어도 하나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웹OS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은 웹OS 플랫폼을 지원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가진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40)는 관련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인스톨(install)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단말기(120) 및 서버(140) 사이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필요에 따라 변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술한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역다중화부(demux or demultiplexer)(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213), UI 매니저(214) 등을 포함한다. 다만,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에 필요한 일부 구성요소들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필요한 데이터는 서버(140)에서 처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텐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 (IP) packet(s)) 또는 IP 데이터그램(들)(IP datagram(s))(이하 IP 패킷(들)이라 한다)을 송/수신한다. 일 예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도 1의 서버(140)로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CP/IP 매니저(20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packet delivery)에 관여한다. 상기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들)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상기 분류된 패킷(들)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역다중화부(205)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feedback)한다.
역다중화부(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SI 디코더(204)에 전송한다.
SI 디코더(204)는, 역다중화된 SI 데이터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DTMB/CMMB(Digital Television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Cod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한, SI 디코더(2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자가진단 결과 데이터가 수집되면 이를 서버(140)로 전송하거나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상기 자가진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문제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상기 자가진단 결과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UI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2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생성하고 UI 매니저(2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등을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역다중화부(2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2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PID or section filtering) 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25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250)는, IMS 기반의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2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면, 도 3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 예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도 도 3과 달리, 필수적인 구성요소들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무선 통신부(310), A/V(Audio/Video) 입력부(320), 사용자 입력부(330), 센싱부(340), 출력부(350), 메모리(360), 인터페이스부(370), 제어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부(31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및 위치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3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수신모듈(3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수신 모듈(3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3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RS-232, RS-4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315)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
A/V 입력부(3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3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34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개폐 상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위,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진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3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2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51), 음향 출력 모듈(352), 알람부(353), 및 햅틱 모듈(3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3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3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3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3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3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3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3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2)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53)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3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51)나 음성 출력 모듈(3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351,352)은 알람부(3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3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3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3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354)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3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37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디바이스(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3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7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3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3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81)은, 제어부(3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3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software code)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GB 센서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장비, 제품 등의 고장 유무, 품질 등을 자가진단하고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RGB 센서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RGB 센서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에서 특히, RGB 센서가 부착된 부분(41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RGB 센서(4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좌측 상단에 부착되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 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7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는, 최외곽에 미들 캐비닛(middle cabinet)(420), 상기 미들 캐비닛(420) 안쪽에 모듈 케이스 탑(module case top)(430), 상기 모듈 케이스 탑(430) 안쪽에 스크린(screen)(4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440)은, 실제 데이터가 출력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4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영역(445)은 상기 스크린(440) 사이즈와 같거나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450)는, 지지부(460)와 RGB 센서부(4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6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의 일 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RGB 센서부(470)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460)는, 상기 RGB 센서부(470)를 지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b에서는, 상기 지지부(460)가 상기 RGB 센서부(470)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 상의 모듈 케이스 탑(430)의 일면에 부착된 형태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부(460)는, RGB 센서부(470)를 지지할 수 있으면 어떤 형태로 구현되어도 관계없다.
상기 RGB 센서부(470)는, 지지부와 RGB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RGB 센서가 부착되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RGB 센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실제 데이터가 출력되는 액티브 영역(445)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즉, 도 4b를 참조하면, RGB 센서부(470)는, 지지부(460)로부터 스크린(440)을 거쳐 액티브 영역(445)의 일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된 형태로 구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RGB 센서부(470) 중 RGB 센서는 특히, 액티브 영역(445)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크린(440)이 아닌 액티브 영역(445)에서만 RGB 센서에서 실제 RGB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에서, RGB 센서부(470)의 너비(또는 폭)는, 상기 지지부(460)의 너비보다 작은 형태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현된 RGB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점선은 예컨대, 액티브 영역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는, 전술한 도 4b에서 개시한 센서부(450)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510)는 RGB 센서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구현되며, 상기 RGB 센서(530)는 지지부(520)에 부착되되 상기 부착 위치는 액티브 영역 내이다.
도 5b와 5c는 전술한 도 5a와 다르게 상기 지지부(540,570)와 지지부(550, 580)의 너비가 동일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도 5b를 참조하면, RGB 센서(560)가 도 5a와 다르게 지지부(550) 내 정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도 5a에서 상기 RGB 센서(530)는, 지지부(520) 내 우측 하단에 위치하였다.
한편, 도 5c를 참조하면, RGB 센서가 상술한 도 4, 도 5a 및 도 5b와 다르게, 복수 개의 RGB 센서들(592,594,596)이 구비되었다. 이와 같이, 복수의 RGB 센서들이 구비되면, 하나의 RGB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보정하여 더욱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각 RGB 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싱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8 또는 10을 참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 내 지지부가 반드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원형, 삼각형, 마름모 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은 도 4 내지 5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센서부가 포함된 영역을 실제보다 확대하고 3D로 구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도 4 내지 5에서는 예컨대, 센서부가 단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듈 케이스 탑(430) 상에 부착된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언급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굴곡들을 가지며 그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면 일 영역에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의 디바이스 내 고정을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 탑(430) 상에 접촉되어 부착되는 형태에 비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RGB 센서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는 제1 지지부(610), 제2 지지부(620) 및 제3 지지부(6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의 구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지지부(6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면부와 대응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면부의 일 영역에 부착 또는 고정되기 위한 체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6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부면에 대응된다.
한편, 상기 제3 지지부(630)는, 전술한 도 4 내지 5의 지지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부에 대응된다.
도 6b에서는 제3 지지부(630, 640)와 센서부(650) 만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제3 지지부(630,640)의 일 단과 상기 센서부(650)가 이어지는 이음부(645)는 예컨대, 힌지(hing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 형태로 이음부(645)를 구현하면, 상기 센서부(650)를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음부(655)가 힌지 형태로 구현되고 만약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면, 제3 지지부(630,640)에는 상기 센서부(65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체결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부착된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에서 설명의 편의상 지지부와 센서부의 형태를 간략화하였으나, 전술한 도 6과 같이 지지부의 구조가 도시된 바와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지지부(712)는 전술한 도 4 내지 6과 다르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 영역 내에서만 존재한다. 또한, 센서부(714)는 상기 스크린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지부(712) 내에서 액티브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서만 존재한다. 즉, 상기 지지부(712)는 상기 모듈 케이스 탑 상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모듈 케이스 탑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도 7a의 구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조 당시에 미리 구현된 형태일 수 있다.
도 7b는 전술한 도 7a와 유사하나, 지지부(720)가 상기 도 7a와 같이, 상기 모듈 케이스 탑의 일 단의 연장 형태가 아니라 상기 모듈 케이스 탑 상의 일 영역과 접촉되는 형태로 구현된 것이다.
또한, 도 7c는 도 7b에서 지지부(730)가 더욱 확장되어, 지지부의 각 단이 상기 모듈 케이스 탑의 각 단과 맞닿는 형태로 구현된 것이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듈 케이스 탑의 너비에 따라 지지부의 너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730)의 너비가 확장된 경우에는 예컨대, 제조사 로고(ex, LG)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d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가 단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좌측 상단에만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좌측 하단, 우측 상단 우측 하단 등 다양하게 위치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각 센서부는 예컨대, 도 7a 내지 7c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7에서 지지부는, 단지 RGB 센서를 지지하는 역할 이외에 RGB 센서를 통한 센싱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 빛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술한 센서부 내 지지부의 너비 또는 폭은, 더 크게 또는/및 RGB 센서는 액티브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빛에 의한 간섭 등의 영향을 되도록 덜 받게 배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알고리즘(self-diagnostic algorithm)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상기 자가진단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정의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 알고리즘은, 패널 또는 LVDS 케이블 등의 불량을 원격에서 자가진단하여 처리하기 위함으로, 불량 발생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광고나 기타 컨텐트 재생 중지 등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종래 패널 고장이나 LVDS 케이블 불량 등의 경우 주로 카메라 등 추가적인 장비나 하드웨어적인 감지장치를 이용함에 반하여, 소프트웨어 코딩 방식으로 RGB 색상 대비를 통해 자가진단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은,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 센싱 커맨드를 전송하며,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에 대해 센싱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각 컬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출력한 각 컬러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대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자가진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RGB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된 RGB 센서에서는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값들을 측정하는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펌웨어(firmware)를 통해 RGB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OSD RGB 값들을 센싱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상기 센싱된 RGB 값들을 대비하여 불량 내지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RGB 센서는 주기 또는 비주기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센싱하여 자가 진단을 하는데 이때, 상기 RGB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자가 진단을 위한 센싱을 미리 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지를 위해, 도 9와 같이, RGB 센서는 자가 진단을 위한 체크 스크린을 의미하는 데이터('0x10')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RGB 센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서버에서 RGB 센서 또는/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자가 진단을 요청 또는 지시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RGB 센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출력하는 OSD를 해당 위치에서 상기 OSD의 OSD RGB 값들을 센싱한다(S802).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RGB 센서에서 출력되는 OSD에 대해 센싱한 OSD RGB 값들을 수신하여, 출력한 OSD의 RGB 값들과 대비하여 오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간편하게 소프트웨어 코딩만으로 자가진단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센서에서 레드 OSD가 나타난 경우에 센싱한 레드 값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의도한 출력 OSD의 그린 값 또는/및 블루 값보다 큰지 판단한다(S804).
상기 S804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레드 OSD에서 센싱된 레드 값이 그린 및 블루 값들 중 적어도 하나와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레드 값에 대해 에러 카운트가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것이 판단한다(S806).
여기서, 상기 S806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센싱된 레드 값에 대해 에러 카운트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다음 S812 단계로 넘어간다. 그러나, 만약 상기 S806 단계 판단 결과, 센싱된 레드 값에 대한 에러 카운트 값이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레드 체크 결과를 오류(False)로 기록하고 상기 레드 OSD에 대해 다시 센싱하도록 상기 RGB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S808).
상기 S804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레드 OSD에 대해 센싱된 레드 값이 그린 및 블루 값들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기 설정된 에러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레드에 대해 판단 결과 정상(True)임을 기록한다(S810).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그린 또는 블루에 대해 전술한 레드에 대한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그린에 대해 자가진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센서에서 그린 OSD가 나타난 경우에 센싱한 그린 값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의도한 출력 OSD의 레드 값 또는/및 블루 값보다 큰지 판단한다(S812).
상기 S812 단계 판단 결과, 만약 그린 OSD에서 센싱된 그린 값이 레드 및 블루 값들 중 적어도 하나와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그린 값에 대해 에러 카운트가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것이 판단한다(S814).
여기서, 상기 S814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센싱된 그린 값에 대해 에러 카운트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다음 S820 단계로 넘어간다. 그러나, 만약 상기 S814 단계 판단 결과, 센싱된 그린 값에 대한 에러 카운트 값이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그린 체크 결과를 오류(False)로 기록하고 상기 그린 OSD에 대해 다시 센싱하도록 상기 RGB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S816).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그린이 아니라 처음부터 즉, 레드부터 다시 자가진단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S812 단계 판단 결과, 만약 그린 OSD에 대해 센싱된 그린 값이 레드 및 블루 값들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기 설정된 에러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그린에 대해 판단 결과 정상(True)임을 기록한다(S818).
마지막으로, 블루에 대해 자가진단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센서에서 블루 OSD가 나타난 경우에 센싱한 블루 값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의도한 출력 OSD의 레드 값 또는/및 그린 값보다 큰지 판단한다(S820).
상기 S82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블루 OSD에서 센싱된 블루 값이 레드 및 그린 값들 중 적어도 하나와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블루 값에 대해 에러 카운트가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것이 판단한다(S822).
여기서, 상기 S822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센싱된 블루 값에 대해 에러 카운트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처음으로 돌아가 자가 진단을 대기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S822 단계 판단 결과, 센싱된 블루 값에 대한 에러 카운트 값이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블루 체크 결과를 오류(False)로 기록하고 상기 블루 OSD에 대해 다시 센싱하도록 상기 RGB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S824).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블루가 아니라 그린 또는 레드부터 다시 자가진단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S82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블루 OSD에 대해 센싱된 블루 값이 레드 및 그린 값들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기 설정된 에러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블루 에 대해 판단 결과 정상(True)임을 기록한다(S826).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중 어느 하나의 컬러에 대해 자가진단 결과 문제가 있더라도 다음 컬러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RGB 데이터에 대해 자가진단 결과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에 전송되는 자가진단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레드, 그린 및 블루 모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00’, 레드만 정상이고 나머지는 모두 오류인 경우에는 ’01’, 그린만 정상이고 나머지는 모두 오류인 경우에는 ‘02’, 블루만 정상이고 나머지는 모두 오류인 경우에는 ‘03’, 레드와 그린은 정상이나 블루만 오류인 경우에는 ’04, 레드와 와 블루는 정상이나 그린만 오류인 경우에는 ‘05’, 레드만 오류이고 그린과 블루는 정상인 경우에는 ‘06’, 그리고 레드, 그린 및 블루 모두 정상인 경우에는 ‘07’로 정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상기 서버로 해당 값을 포함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값들은 각각 패널 고장, LVDS 케이블 불량, 연결 불량, 접촉 불량 등에 맵핑(mapping)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맵핑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전송시에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서버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값이 ‘07’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컬러 또는 자가진단 전체를 재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예를 들어, 도 5c와 같이, RGB 센서가 복수 개인 경우에 자가진단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 10에서는 3개의 RGB 센서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각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전술한 도 8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이 시작되면(S10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각 센서로부터 제1 센싱 데이터(S1004), 제2 센싱 데이터(S1006), 및 제3 센싱 데이터(S1008)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된 각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9와 같이 전송 데이터 생성을 위한 비교 과정을 수행한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수신된 각 센싱 데이터가 모두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010).
상기 S101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수신된 모든 센싱 데이터가 일치하면, 그에 기초하여, 도 9와 같은 전송 데이터를 생성(S1012)하고, 생성된 전송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면 된다(S1014).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S1014 전송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여 그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S1016).
다만, 상기 S101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수신된 모든 센싱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그 처리가 문제된다.
상기 문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S1010 단계 판단 결과 모든 센싱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모든 센서들에 재센싱을 명령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S1010 단계에서 비교 판단 결과, 만약 센싱 데이터가 전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센서 단위, 컬러 단위 등으로 구분하여 비교 판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해당 센서, 해당 컬러 등에 대해 재센싱 등을 요청할 수 있다.
3개의 RGB 센서들 중 만약 2개의 RGB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 값은 일치하나 나머지 1개의 RGB 센서의 센싱 데이터 값이 상이한 경우에는, 모든 센서 또는 해당 센서에 대해 재센싱을 명령할 수 있다.
3개의 RGB 센서들 중 만약 2개의 RGB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 값은 일치하나 나머지 1개의 RGB 센서의 센싱 데이터 값이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센서에서 컬러 단위로 다른 센서들과의 데이터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만약 컬러 단위로 다른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와 상이한 컬러에 대해서만 재센싱을 명령할 수 있다.
또는, 처음부터 각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컬러 단위로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각 센서의 센싱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컬러에 대해서는 모든 센서 또는 해당 센서에 대해서만 재센싱을 명령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서버 사이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서버(112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10)는 예컨대, 서로 서버-클라이언트 관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10)는 하나 또느 그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서버-클라이언트는 도 11a 내지 11b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의 경우, 두 개의 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하는데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과 그 밖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여기서, 제1 통신 프로토콜은, TCP/IP, 유선 케이블, Wi-fi, LTE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이외의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RS232 프로토콜이나 TCP/IP 통신 프로토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자가진단 데이터는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제2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버(112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10) 간에 송/수신된다.
도 11b의 경우, 전술한 도 11a와 달리, 서버(112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10) 사이에 오디오/비디오 재생을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1130)와 네트워크(1140)가 존재한다.
도 11a가 그 자체로 오디오/비디오를 디코딩하여 처리할 수 있는 구성 블록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예시한 것이라면, 도 11b는 단지 디코딩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와 같은 디지털 사이니지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미디어 데이터 즉,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는 미디어 플레이어(1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110)와 미디어 플레이어(1130) 사이에는 전술한 도 11a와 같이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1130)와 네트워크(1140) 사이에는 TCP/IP 통신 프로토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설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등에 의해 상기 자가진단 설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는 예컨대, 설치 메뉴인데 이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설정, 화이트 밸런드 조정, 패쓰워드 변경, 컨피규레이션 클로닝 등의 메뉴가 존재한다.
도 12a에서, 만약 사용자가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도 12b와 같은 설정 화면이 제공된다.
도 12b의 설정 화면에는, 화면 비(aspect ratio), 인텔리전스 오토(intelligence auto), 팩토리 리셋(factory reset), 싱크 모드(sync mode), 팬 모드(fan mode), 시스템 스탠드-바이 모드(system stand-by mode), 및 자가진단(check screen) 항목들 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자가진단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자가진단 항목을 체크하면 족하다. 상기 자가진단이 설정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RGB 센서(들)을 통해 자가진단을 주기/비주기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가진단 결과 출력 및 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진단 결과를 출력한 화면 구성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진단 결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하여, 호스트 정보(1310), 메모리 정보(1320), 호스트 릴리즈 버전(1330), TV 링크 정보(1340), 사용 시간(1350), 팬 상태(1360), MAC 어드레스(1370), 및 DVI/HDMI 상태 정보(1380) 등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진단 정보는 팬 상태 정보(1360)에 포함되어 체크 스크린 항목(1365)으로 제공된다.
도 14는 진단 결과를 출력한 화면 구성의 다른 예이다.
전술한 도 13이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며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한 것이라면, 도 14는 자가진단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어 정보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14는 하나의 서버와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일괄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도 13에 비해 더욱 직관적이다.
도 14에서는 서버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12개로 가정하고,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자가진단 결과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꺼번에 제공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에 연결된 총 12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6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자가진단 결과 오류(Error)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오류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해당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항목을 컬러를 변경하거나 외곽선을 달리하거나 하이라이트, 플리커링 등을 통해 정상인 디바이스로부터 구분이 쉽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3의 경우 해당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그룹 모두를 오류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는 그룹의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로케이션에 따라 디바이스들을 그룹화하는 경우에는 그룹 내에 하나의 디바이스라도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그룹 내의 다른 디바이스도 오류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다른 그룹에 비하여 높을 수 있기 때문에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이다. 한편, 상기 그룹은 전술한 로케이션뿐만 아니라, 컨텐트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하단 또는 도 15에서는, 상세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데 이는 도 14에서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 진단 결과일 수 있다. 특히, 도 15에서는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해 도시된 바와 다르게 도 13과 같은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5의 화면 구성은 관리자의 단말기의 화면일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도 12 내지 15의 유저 인터페이스, 자가진단 결과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서버, 관리자의 단말기 등에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RGB 센서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고장 여부 내지 품질을 자가진단하고, 상기 자가진단 결과를 원격의 서버와 통신하여 처리하는 자가진단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소형 RGB 센서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소정 영역에 부착하고 측정된 RGB 값을 대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패널 이상 유무, 케이블 불량 등에 대한 자가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의 서버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컨텐트 재생 중에 이상 발생시 즉각적으로 인지 및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신호 유무에 관계없이 패널의 이상 유무 등을 자가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을 위해 소프트웨어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자가진단을 위한 검사 영역 및 검사 위치 등의 임의 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디바이스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역다중화부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에 있어서,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 센싱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에 대해 센싱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각 컬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출력한 각 컬러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대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 단계는,
    상기 획득된 각 컬러 단위로 순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 단계는,
    상기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 출력시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 단계는,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과 같거나 작으면,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해당 컬러에 대한 자가진단 결과는 오류(false)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 단계는,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컬러에 대해서는 에러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자가진단 결과는 정상(True)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생성되는 자가진단 데이터는, 모든 컬러에 대한 자가진단 결과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서버로 자가진단 결과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 단계는,
    순차로 각 컬러에 대해 자가진단 결과 어느 하나의 컬러에 대해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든 컬러 또는 해당 컬러에 대해 재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센싱은 미리 정한 횟수 동안 모든 컬러에 대해 정상일 때까지 수행하고, 상기 미리 정한 횟수 동안 모든 컬러에 대해 정상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자가진단 결과를 오류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가진단 방법.
  11. 서버와 통신하여 자가진단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를 스크린에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 센싱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스크린에 출력되는 RGB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에 대해 센싱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각 컬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에서 출력한 각 컬러에 대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린에 대한 자가진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자가진단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각 컬러 단위로 순차로 비교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컬러에 대한 OSD 데이터 출력시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지 비교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과 같거나 작으면,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면 해당 컬러에 대한 자가진단 결과는 오류(false)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한 에러 카운트가 미리 정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해당 컬러에 대해 센싱된 컬러 데이터 값이 다른 컬러들에 대한 OSD 데이터 값보다 큰 경우에는, 해당 컬러에 대해서는 에러 카운트를 초기화하고 자가진단 결과는 정상(True)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되는 자가진단 데이터는, 모든 컬러에 대한 자가진단 결과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서버로 자가진단 결과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순차로 각 컬러에 대해 자가진단 결과 어느 하나의 컬러에 대해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든 컬러 또는 해당 컬러에 대해 재센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한 횟수 동안 모든 컬러에 대해 정상일 때까지 재센싱을 수행하고, 상기 미리 정한 횟수 동안 모든 컬러에 대해 정상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자가진단 결과를 오류로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40109811A 2014-08-22 2014-08-22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KR10227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11A KR102271433B1 (ko) 2014-08-22 2014-08-22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PCT/KR2015/008444 WO2016028025A1 (en) 2014-08-22 2015-08-12 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US14/830,088 US9990877B2 (en) 2014-08-22 2015-08-19 Self-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self-diagnosing of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11A KR102271433B1 (ko) 2014-08-22 2014-08-22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418A true KR20160023418A (ko) 2016-03-03
KR102271433B1 KR102271433B1 (ko) 2021-07-01

Family

ID=5534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11A KR102271433B1 (ko) 2014-08-22 2014-08-22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90877B2 (ko)
KR (1) KR102271433B1 (ko)
WO (1) WO20160280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646A1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64924A (ko) * 2017-12-01 2019-06-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분 방전에 대한 자가 진단이 가능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2809D0 (en) * 2015-02-19 2015-04-08 Oxford Nanopore Tech Ltd Mutant pore
ES2912577T3 (es) * 2016-03-07 2022-05-26 Assurant Inc Detección de daños en la pantalla para dispositivos
WO2018037525A1 (ja) * 2016-08-25 2018-03-01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自己画像診断方法、自己画像診断プログラム、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自己画像診断システム
KR20180024616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수행 방법
CN108264479B (zh) * 2016-12-30 2023-10-2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KR20200109315A (ko) 2018-01-16 2020-09-22 퍼시픽 라이트 앤드 홀로그램 인크. 전자기 필드 컴퓨팅들을 이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들
TWI675590B (zh) * 2018-04-09 2019-10-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影像播放證明系統與方法
CN110581904B (zh) * 2018-06-11 2021-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0010044A (zh) * 2019-04-02 2019-07-12 上海帆声图像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的显示检测方法、装置及***
US11704887B2 (en) 2019-09-16 2023-07-18 Assurant, Inc.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tilizing machine learning to process an image of a mobile device to determine a mobile device integrity status
CN110677642A (zh) * 2019-11-15 2020-01-10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基于led指示灯的电视故障在线检测方法及其装置
US11360430B2 (en) 2020-09-17 2022-06-14 Pacific Light & Hologram, Inc. Reconstructing objects with display zero order light suppression
CN114339413A (zh) * 2020-09-27 2022-04-12 北京海逸风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播放内容的监测方法及***
CN112614459A (zh) * 2020-10-30 2021-04-06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led显示屏的osd显示方法及其装置和显示控制卡
US11900842B1 (en) 2023-05-12 2024-02-13 Pacific Light & Hologram, Inc. Irregular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334A (ja) * 2007-02-28 2008-09-18 Nippon Signal Co Ltd:The 画面表示故障の検知方法と検知装置
US20090087090A1 (en) * 2007-10-01 2009-04-02 Gregory Jr H Scott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The Capability And Quality Of A color Reproduction System
KR20130064953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22B1 (ko) * 2009-07-29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영상 정보 에러 검색 장치 및 방법
TW201110694A (en) * 2009-09-03 2011-03-16 Amtran Technology Co Ltd Color adjusting method for display
JPWO2012117492A1 (ja) * 2011-02-28 2014-07-07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140354697A1 (en) * 2013-05-30 2014-12-0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nalog interferometric modulator color calib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6334A (ja) * 2007-02-28 2008-09-18 Nippon Signal Co Ltd:The 画面表示故障の検知方法と検知装置
US20090087090A1 (en) * 2007-10-01 2009-04-02 Gregory Jr H Scott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The Capability And Quality Of A color Reproduction System
KR20130064953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646A1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48425A (ko) * 2017-10-31 2019-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서비스 시스템
US11445171B2 (en) 2017-10-31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64924A (ko) * 2017-12-01 2019-06-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분 방전에 대한 자가 진단이 가능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8025A1 (en) 2016-02-25
KR102271433B1 (ko) 2021-07-01
US9990877B2 (en) 2018-06-05
US20160055778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433B1 (ko) 자가진단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자가진단 방법
KR102381140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운전자 모니터링 방법
US11949955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KR10178806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ES2919948T3 (es) Aparato, sistema y método para promocionar aplicaciones en dispositivos inteligentes
KR102245366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6268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KR1023811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5362B1 (ko)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간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34895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196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0814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컬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6382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4443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843537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무선연결 설정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30062477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KR201700318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456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4961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컬러 영상 획득 방법
KR102426404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83709B1 (ko) 디지털 디바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01970A (ko)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설정 방법
KR201700373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5153A (ko) 디지털 기기 및 그의 다중 채널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