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599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599A
KR20160019599A KR1020140103792A KR20140103792A KR20160019599A KR 20160019599 A KR20160019599 A KR 20160019599A KR 1020140103792 A KR1020140103792 A KR 1020140103792A KR 20140103792 A KR20140103792 A KR 20140103792A KR 20160019599 A KR20160019599 A KR 2016001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extending portion
display unit
draw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선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599A/ko
Publication of KR2016001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연결된 수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감겨지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감겨진 롤러부는 상기 수납부에 체결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APP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의성을 증대시킨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휨 특성을 갖고 편의성이 증대된 다양한 플렉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시블 표시 장치로서 특정 곡률을 갖는 상태로 고정된 커브드 표시 장치(CURVED DISPLAY APPARATUS), 특정 곡률 반경 이상으로 휘거나 폴딩축을 기준으로 구부릴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및 특정 곡률 반경으로 말수 있는 롤러블 표시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 롤러블 표시 장치는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 및 우수한 휴대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의성을 증대시킨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연결된 수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감겨지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감겨진 롤러부는 상기 수납부에 체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은 상기 수납부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된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경통,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경통의 일측에 연결된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경통의 타측에 연결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경통의 외측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감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스타일러스 펜 및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경통의 양측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경통에 인입 및 상기 경통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경통은 상기 경통의 내부에 스타일러스 펜과 상기 고정부를 격리시키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 및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경통에 인입될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 및 상기 고정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가변되어 상기 격벽부까지 인입된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제1 돌기부에 연결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에 인입 및 인출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펜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은 상기 제1 돌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은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측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타측은 상기 펜촉부에 연결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경통에 인입될 경우, 상기 펜촉부가 상기 격벽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경통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돌기부와 연결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에 연결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에 연결된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2 돌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2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3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에 인입 및 인출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경통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제3 연장부 및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경통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격벽부에 접촉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경통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경통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된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는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수납부의 양 측면에 배치된 측면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각 측면부의 일측에 배치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경통의 양 끝단의 소정의 영역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측면부들의 상기 홈들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디스플레이부가 롤러부에 말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수납부에 롤러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스타일러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200), 수납부(300) 및 롤러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방향(D1)으로 장변을 가지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단변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 말림 상태 및 펼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수납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말릴 수 있고, 말리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풀리면서 펼쳐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 표시부(210) 및 절연 기판(220)을 포함한다. 영상 표시부(210)는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부(210)는 말림 상태 및 펼침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영상 표시부(210)는 광을 발광하거나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210)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채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영상 표시부(210)는 전기 영동 표시 소자, 전기 습윤 표시 소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소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영상 표시부(210)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표시부(210)는 절연기판(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기판(220)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갖는 기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연기판(220)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200)는 편광필름, 보호필름, 터치패널 및 윈도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필름은 영상 표시부(210)를 사이에 두고 절연기판(220)과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편광필름은 복수의 투명 플렉시블 필름들을 포함함으로써 투명하고 가요성을 갖는다. 편광 필름은 외광 반사를 억제하고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필름은 절연 기판(220)을 사이에 두고 영상 표시부(210)와 대향하게 배치된다. 보호필름은 절연기판(220)을 하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터치 패널은 편광필름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윈도우 부재는 터치패널 상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가 발생한 지점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윈도우 부재는 터치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납부(300)는 하우징(310), 회로기판(320), 배터리(330), 연성회로기판(340) 및 측면부들(360)을 포함한다. 하우징(310)에는 디스플레이부(200), 회로기판(320), 배터리(330), 연성회로기판(340) 및 롤러부(400)가 수납될 수 있다.
배터리(330)는 표시 장치(100)의 각 구성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생성한다. 회로기판(320)은 연성회로기판(34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320)은 수납부(3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340) 제1 방향(D1)에서 영상 표시부(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영상 표시부(210) 및 회로기판(320)을 연결한다. 연성회로기판(340) 상에 구동 IC(350)가 실장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영상 표시부(2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화소들은 제공받은 구동 신호들에 의해 구동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측면부들(360) 각각은 제2 방향(D2)에서 수납부(30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부(400)를 향하는 각 측면부(360)의 일측에는 홈(360a)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부(400)는 경통(410), 제1 돌기부(430) 및 제2 돌기부(450)을 포함한다. 경통(410)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경통(410)의 외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감길 수 있다. 경통(410)은 내부에 스타일러스 펜 및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 및 고정부에 대하여 이하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돌기부(430) 및 제2 돌기부(450)는 제2 방향(D2)에서 경통(410)의 양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기부(430)는 제2 방향(D2)에서 경통(4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돌기부(450)는 제2 방향(D2)에서 경통(4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30) 및 제2 돌기부(45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돌기부(430) 및 제2 돌기부(450)는 반원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디스플레이부가 롤러부에 말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디스플레이부가 경통에 시계방향으로 감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디스플레이부가 경통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경통(410)의 외측면에 디스플레이부(200)가 권취될 수 있다. 즉, 경통(410)은 말리는 디스플레이부(200)의 권취심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수납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권취되며, 권취될수록 디스플레이부(200)의 곡률 반경이 증가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어느 한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통(410)은 제2 방향(D2)을 향하는 경통(4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부(200)가 경통(410)에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 표시부(210)는 경통(41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하우징(310)을 향해 말려질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 표시부(210)가 경통(410)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하우징(310)을 향해 말려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수납부에 롤러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의 권취가 완료되면, 롤러부(400)는 수납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경통(410)의 양 끝단은 각각 대응하는 측면부들(360)의 홈들(360a)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경통(410)은 홈들(360a)에 의해 체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수납부(3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스타일러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롤러부(400)의 경통(410)의 내부에 스타일러스 펜(420)과 고정부(440)가 실장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420)과 고정부(440)는 길이가 가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 펜(420)은 경통(410)의 내부에 수납된다. 구체적으로, 스타일러스 펜(420)은 제1 돌기부(430)에 연결되어 경통(4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420)의 반경은 경통(410)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경통(410)의 제2 방향(D2)으로부터 일측에 스타일러스 펜(420)를 삽입함으로써 경통(410)의 내부에 스타일러스 펜(420)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 펜(420)은 경통(4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제1 돌기부(430)는 스타일러스 펜(420)과 함께 경통(4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돌기부(430)는 제2 방향(D2)에서 스타일러스 펜(420)의 제2 방향(D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2)에서 스타일러스 펜(420)의 타측에는 스타일러스 펜(420)의 펜촉부(420c)가 배치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420)은 제1 부분(420a) 및 제2 부분(420b)를 포함한다. 제2 방향(D2)에서 제1 부분(420a) 의 일측은 제1 돌기부(4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부분(420b)에 연결된다. 제2 부분(420b)는 제1 부분(420a)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방향(D1)에서 제2 부분(420b)의 일측은 제1 부분(420a)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2 부분(420b)의 타측에는 스타일러스 펜(420)의 펜촉부(420c)가 배치된다.
경통(410)의 내부에는 격벽부(410a)가 배치될 수 있다. 격벽부(410a)는 경통(410) 내부에 실장된 스타일러스 펜(420)과 고정부(440)을 격리시킨다.
스타일러스 펜(420)이 경통(410)에 삽입되고, 제2 부분(420b)의 타측에 연결된 펜촉부(420c)이 격벽부(410a)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력에 의해 제2 부분(420b)가 제1 부분(420a)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420)의 길이가 줄어들어 경통(410)에 삽입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420)이 경통(410)에서 인출될 경우, 제2 부분(420b)는 제1 부분(420a)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즉, 스타일러스 펜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440)는 경통(410)의 내부에 수납된다. 고정부(440)의 곡률반경은 경통(410)의 곡률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경통(410)의 타측에 고정부(440)를 삽입함으로써 경통(410)의 내부에 고정부(440)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경통(410)에 수납된 고정부(440)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이 가능하다. 이 때, 제2 돌기부(450)는 제2 방향(D2)에서 고정부(440)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부(440)와 함께 연장될 수 있다.
제2 방향(D2)에서 고정부(440)의 타측에는 회전 부재(46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440)의 타측은 회전 부재(460)를 통하여 제2 방향(D2)에서 경통(41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440)는 제1 연장부(440a), 제2 연장부(440b) 및 제3 연장부(4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장부(440c)의 곡률반경은 경통(410)의 곡률 반경보다 작고, 제2 연장부(440b)의 곡률반경은 제3 연장부(420c)의 곡률 반경보다 작으며, 제1 연장부(440a)의 곡률반경은 제2 부분(420b)의 곡률 반경보다 작다.
제2 방향(D2)에서 제1 연장부(440a)의 일측은 제2 돌기부(45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연장부(440b)에 연결된다. 제1 연장부(440a)는 제2 연장부(440b)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방향(D2)에서 제2 연장부(440b)의 일측은 제1 연장부(440a)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3 연장부(440c)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440b)는 제3 연장부(440c)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방향(D2)에서 제3 연장부(440c)의 일측은 제2 연장부(440b)에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 부재(460)에 연결된다. 제3 연장부(440c)는 경통(4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고정부(440)가 경통(410)에 삽입되면서, 제3 연장부(440c)의 타측에 연결된 회전 부재(460)가 격벽부(410a)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력에 의해 제1 연장부(440c)가 제2 연장부(440b)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제2 연장부(440b)가 제3 연장부(440c)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440)의 길이가 줄어들어 경통(410)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 부재(46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부재(460)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고정부(440)의 방향을 수납부(300)를 향하는 제1 방향(D1)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00)의 제1 방향(D1)에 대한 길이에 대응하여 고정부(440)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고정부(440)의 일측에 연결된 제2 돌기부(450)는 제1 방향(D1)에서 수납부(30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돌기부(450)와 수납부(300)의 접촉에 의하여 고정부(44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0)가 제1 방향(D1)으로 펼쳐져 있을 때, 디스플레이부(200)는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수납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되감길 수 있다. 고정부(44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수납부(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되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200: 디스플레이부
210: 영상 표시부 220: 절연 기판
300: 수납부 310: 하우징
320: 회로 기판 330: 배터리
340: 연성회로기판 350: 구동 IC
360: 측면부 360a: 홈
400: 롤러부 410: 경통
410a: 격벽부 420: 스타일러스 펜
430: 제1 돌기부 440: 고정부
450: 제2 돌기부 460: 회전 부재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Claims (12)

  1. 가요성을 갖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연결된 수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감겨지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감겨진 롤러부는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방향으로 장변을 갖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며,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은 상기 수납부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은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경통;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경통의 일측에 연결된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경통의 타측에 연결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경통의 외측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감기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스타일러스 펜 및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경통의 양측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경통에 인입 및 상기 경통으로부터 인출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은 상기 경통의 내부에 스타일러스 펜과 상기 고정부를 격리시키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 및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경통에 인입될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 및 상기 고정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가변되어 상기 격벽부까지 인입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제1 돌기부에 연결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에 인입 및 인출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펜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측은 상기 제1 돌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의 타측은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일측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타측은 상기 펜촉부에 연결된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경통에 인입될 경우, 상기 펜촉부가 상기 격벽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경통에 삽입되는 표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돌기부와 연결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에 연결되는 제3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에 연결된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2 돌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2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제3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일측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연장부의 타측은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에 인입 및 인출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경통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제3 연장부 및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경통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격벽부에 접촉되는 표시 장치.
  10.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경통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3 연장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경통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되는 표시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 IC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IC는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수납부의 양 측면에 배치된 측면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각 측면부의 일측에 배치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경통의 양 끝단의 소정의 영역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측면부들의 상기 홈들로 삽입되는 표시 장치.
KR1020140103792A 2014-08-11 2014-08-11 표시 장치 KR20160019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92A KR20160019599A (ko) 2014-08-11 2014-08-11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792A KR20160019599A (ko) 2014-08-11 2014-08-1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599A true KR20160019599A (ko) 2016-02-22

Family

ID=5544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792A KR20160019599A (ko) 2014-08-11 2014-08-1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95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6574A (zh) * 2016-07-06 2018-01-2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装置
CN108062913A (zh) * 2016-11-07 2018-05-2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卷曲显示设备
US11940847B2 (en) 2020-11-06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6574A (zh) * 2016-07-06 2018-01-2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装置
CN108062913A (zh) * 2016-11-07 2018-05-2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卷曲显示设备
US11940847B2 (en) 2020-11-06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571B2 (en) Electronic device
KR102304310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11353926B2 (en) Rollable display apparatus
KR101870889B1 (ko) 표시 장치
KR102305923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US9870029B2 (en) Rollable display apparatus
US10128458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have many variations in shape and form
KR102299026B1 (ko) 표시 장치
US9747822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1649097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EP3322160B1 (en) Mobile terminal
WO2020135085A1 (zh) 一种电子设备
KR20170050270A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8971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01124A (ko)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3851182U (zh) 一种移动终端
KR20160019599A (ko) 표시 장치
KR20160097033A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US20170310798A1 (en) Mobile terminal
US11153982B2 (en) Rollab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15152816A (ja) 電子機器
CN111381630B (zh) 电子设备
KR2021013799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25073A (ko)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빔 프로젝터
KR2022007783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