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398A -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398A
KR20160016398A KR1020140100475A KR20140100475A KR20160016398A KR 20160016398 A KR20160016398 A KR 20160016398A KR 1020140100475 A KR1020140100475 A KR 1020140100475A KR 20140100475 A KR20140100475 A KR 20140100475A KR 20160016398 A KR20160016398 A KR 2016001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reactor
sewage
auxiliary
line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중
한석원
권오성
최우승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398A/ko
Publication of KR2016001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하수 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하수 처리 시스템은 ⅰ)하수를 유입하는 주 생물반응조와, ⅱ)강우 시, 주 생물반응조에 하수와 우수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이 처리하는 보조 생물반응조와, ⅲ)주 생물반응조 및 보조 생물반응조와 연결되며, 이들 생물반응조로부터 배출된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침적하며 처리수를 방류하는 침전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 시 대응 가능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산업현장이나 가정으로부터 하수나 폐수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하수나 폐수에는 다량의 중금속이나 각종 유기물 등이 포함되어 있어 하천이나 토양, 해양 등의 환경과 생태계가 파괴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수나 폐수를 하수 처리장에서 집수한 후 정화하여 하천 등으로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수를 처리하는 공법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공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혐기, 무산소 및 호기 조건의 생물반응조를 조합하여 구성해야 한다. 혐기 및 무산소 조건에서는 인방출 및 탈질을 위한 충분한 탄소원이 필요하며, 과잉의 인을 섭취한 슬러지의 일정량을 배출시켜야 한다.
한편, 하수는 하수 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장에 집수되는데, 국내 하수 관거는 우수와 하수가 섞이는 합류식 관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강우 시 우수가 섞이면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통상의 하수처리 시설은 설계 유량을 초과한 유입수를 월류시키도록 설계되므로, 월류된 우수와 하수가 하천으로 곧바로 방류되어 수질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부에서는 최근에 강우 시 처리시설의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하수를 간이 처리하도록 하수도법에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시설기준 및 방류수 수질 기준안을 추가하고, 평상 시 하수 처리량 기준 3배의 하수까지 간이 처리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의 유량 증가로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단한 구성으로서 간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은, ⅰ)하수를 유입하는 주 생물반응조와, ⅱ)강우 시, 상기 주 생물반응조에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이 처리하는 보조 생물반응조와, ⅲ)상기 주 생물반응조 및 보조 생물반응조와 연결되며, 이들 생물반응조로부터 배출된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침적하며 처리수를 방류하는 침전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시스템은, 상기 주 생물반응조로부터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과, 상기 슬러지를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부터 상기 주 생물반응조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에는 제1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회수라인에는 제2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 생물반응조는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는 상기 제1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침전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라인에는 분기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라인과 분기라인의 연결 지점에 제3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는 상기 분기라인을 통해 고액 분리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방법은, 하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주 생물반응조, 보조 생물반응조 및 침전조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강우 시 상기 주 생물반응조에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 유입하고, 상기 주 생물반응조 및 보조 생물반응조로부터 활성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를 상기 침전조로 유입하며,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활성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침적하고 처리수를 방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주 생물반응조의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공급라인의 제1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주 생물반응조와 보조 생물반응조를 연결하는 회수라인의 제2 개폐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주 생물반응조의 하수를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침전조로 유입하고,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의 하수를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라인으로 유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된 분기라인을 그 제2 연결라인과 분기라인의 연결 지점에 설치된 제3 개폐밸브를 통해 폐쇄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을 상기 제3 개폐밸브를 통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된 분기라인을 그 제2 연결라인과 분기라인의 연결 지점에 설치된 제3 개폐밸브를 통해 개방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을 상기 제3 개폐밸브를 통해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분기라인을 통해 활성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를 고액 분리기로 공급하고, 상기 고액 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처리수를 방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의 운영 종류 후, 상기 제1 개폐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폐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방법은,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의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상기 회수라인을 통해 상기 주 생물반응조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강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의 유량 증가로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보조 생물반응조를 통해 간단한 구성으로서 간이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잡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성의 보조 생물반응조를 통해 강우 시 우수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이 처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운영비로서 하수도법에 의한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시설기준 및 방류수 수질 기준안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하수, 오/폐수, 산업 폐수 등의 처리 대상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처리 대상수로서 하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하수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인 생물학적인 공법으로 슬러지 내의 미생물군이 혐기성 조건에서 인을 용출하고, 호기성 조건하에서 슬러지 내의 유기성 물질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축적 미생물이 인을 과잉 섭취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소모하고, 최종적으로 고농도의 인을 함유한 잉여 슬러지를 폐기함으로써 폐수 내의 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주 생물반응조(10)와 침전조(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 생물반응조(10)는 하수 관거 등을 통해 하수를 유입하며, 하수에 폭기 및 비폭기를 실시하여 침전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주 생물반응조(10)에서는 하수에 폭기 구간 및 비폭기 구간의 운전을 실시하여하수 내 유기물 및 질소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50)는 주 생물반응조(10)로부터 배출된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중력침전에 의해 침적하여 처리수로서의 상등수를 방류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50)는 제1 연결라인(51)을 통해 주 생물반응조(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생물반응조 및 침전조의 구성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생물학적 활성슬러지공법의 생물반응조 및 침전조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강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의 유량 증가로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단한 구성으로서 간이 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강우 시 주 생물반응조(10)에 하수와 우수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이 처리하기 위한 보조 생물반응조(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연결라인(51)과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52)을 통해 침전조(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는 주 생물반응조(10)와 마찬가지로 하수 즉, 하수와 우수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에 폭기 및 비폭기를 실시하여 침전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에서 생물학적처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활성슬러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한 흡착 및 산화효과로써 강우시 초과 유입되는 하수 내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 생물반응조(10)로부터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보조 생물반응조(3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31)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는 공급라인(31)을 통해 주 생물반응조(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의 운영 종료 시, 보조 생물반응조(30)로부터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주 생물반응조(10)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라인(33)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는 회수라인(33)을 통해 주 생물반응조(1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라인(31)에는 그 라인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밸브(35)가 설치되고, 상기 회수라인(33)에는 그 라인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밸브(37)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개폐밸브(35, 37)는 2-웨이 밸브로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의 운영 시, 제1 개폐밸브(35)를 개방하고, 제2 개폐밸브(37)를 폐쇄하여, 주 생물반응조(10)로부터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공급라인(31)을 통해 보조 생물반응조(3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의 운영 종료 시, 제1 개폐밸브(35)를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37)를 개방하여, 보조 생물반응조(30)로부터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회수라인(33)을 통해 주 생물반응조(10)로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2 연결라인(52)에 분기라인(53)이 연결되는데, 제2 연결라인(52)과 분기라인(53)의 연결 지점에는 3-웨이 밸브로서의 제3 개폐밸브(5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3 개폐밸브(55)는 보조 생물반응조(30)의 운영 시, 제2 연결라인(52)을 개방하고 분기라인(53)을 폐쇄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라인(52)을 폐쇄하고 분기라인(53)을 개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기라인(53)에는 고액 분리기(70)가 설치되는 바, 보조 생물반응조(30)는 분기라인(53)을 통해 고액 분리기(7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액 분리기(70)는 보조 생물반응조(30)의 운영 시, 침전조(50)의 운영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액 분리기(70)는 하수의 입자성 물질을 분리하는 것으로, 입자성 물질이 분리된 처리수를 방류할 수 있다. 이러한 고액 분리기(70)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고액 분리장치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하수 처리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평상 시, 하수 관거를 통해 하수를 주 생물반응조(10)로 유입한다. 그러면 상기 주 생물반응조(10)에서는 하수에 호기 및 무산소 조건을 부여하여 유기물 및 질소를 처리하여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주 생물반응조(10)로부터 배출되는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배출수는 제1 연결라인(51)을 통해 침전조(50)로 유입된다. 이에, 상기 침전조(50)에서는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중력침전에 의해 침적하여 처리수로서의 상등수를 방류한다.
여기서, 상기 주 생물반응조(10)와 보조 생물반응조(30)를 연결하는 공급라인(31) 및 회수라인(33) 각각은 제1 및 제2 개폐밸브(35, 37)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제2 연결라인(52) 및 분기라인(53)은 제3 개폐밸브(55)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한편, 강우 시와 같은 비상 발생 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생물반응조(10)와 침전조(50)를 통해 하수를 정화 처리 하는 과정에, 도 3에서와 같이 주 생물반응조(10)에 하수와 우수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보조 생물반응조(30)로 공급한다.
이러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개폐밸브(35)를 개방하여 상기 주 생물반응조(10)로부터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공급라인(31)을 통해 보조 생물반응조(30)로 공급한다. 이 때 상기 주 생물반응조(10)와 보조 생물반응조(30)를 연결하는 회수라인(33)은 제2 개폐밸브(37)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그러면,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에서는 주 생물반응조(10)와 마찬가지로 하수와 우수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에 폭기 및 비폭기를 실시하여 생물학적인 처리와 더불어 활성슬러지 플럭(floc)의 물리화학적 특성인 흡착 및 산화효과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와 제1 연결라인(51)을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52)은 제3 개폐밸브(55)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 있으며, 제2 연결라인(52)에서 분기된 분기라인(53)은 제3 개폐밸브(55)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활성슬러지가 포함된 하수)는 제2 연결라인(52)을 통해 제1 연결라인(51)으로 합류되며, 그 제1 연결라인(51)을 통해 침전조(50)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침전조(50)에서는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중력침전에 의해 침적하여 처리수로서의 상등수를 방류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강우 시 보조 생물반응조(30)를 운영하는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분기라인(53)을 제3 개폐밸브(55)를 통해 개방하고, 제2 연결라인(52)을 제3 개폐밸브(55)를 통해 폐쇄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분기라인(53)을 통해 고액 분리기(7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고액 분리기(70)에서는 배출수(하수)를 입자성 물질과 처리수로 분리하고 그 처리수를 방류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보조 생물반응조(30)의 운영이 종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개폐밸브(35)를 통해 공급라인(31)을 폐쇄하고, 제2 개폐밸브(37)를 개방하여 보조 생물반응조(30)의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회수라인(33)을 통해 주 생물반응조(10)로 회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30)의 운영 종류 후, 도 2에서와 같은 주 생물반응조(10)와 침전조(50)를 통한 일련의 평상 시 과정으로서 하수를 정화 처리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100)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처리 방법에 의하면, 강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의 유량 증가로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보조 생물반응조(30)를 통해 간단한 구성으로서 간이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잡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성의 보조 생물반응조(30)를 통해 강우 시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이 처리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운영비로서 하수도법에 의한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시설기준 및 방류수 수질 기준안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주 생물반응조
30… 보조 생물반응조
31… 공급라인
33… 회수라인
35… 제1 개폐밸브
37… 제2 개폐밸브
50… 침전조
51… 제1 연결라인
52… 제2 연결라인
53… 분기라인
55… 제3 개폐밸브
70… 고액 분리기

Claims (12)

  1. 하수를 유입하는 주 생물반응조;
    강우 시, 상기 주 생물반응조에 하수와 우수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간이 처리하는 보조 생물반응조; 및
    상기 주 생물반응조 및 보조 생물반응조와 연결되며, 이들 생물반응조로부터 배출된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침적하며 처리수를 방류하는 침전조;
    를 포함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생물반응조로부터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과,
    상기 슬러지를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부터 상기 주 생물반응조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라인
    을 포함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에는 제1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회수라인에는 제2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생물반응조는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는 상기 제1 연결라인과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에는 분기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라인과 분기라인의 연결 지점에 제3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는 상기 분기라인을 통해 고액 분리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6. 하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주 생물반응조, 보조 생물반응조 및 침전조를 포함하는 청구항 1의 하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강우 시, 상기 주 생물반응조에 하수와 우수가 섞여 초과 유입되는 하수를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 유입하고;
    상기 주 생물반응조 및 보조 생물반응조로부터 활성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를 상기 침전조로 유입하며;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활성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의 부유물을 침적하고 처리수를 방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하수 처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생물반응조의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의 제1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주 생물반응조와 보조 생물반응조를 연결하는 회수라인의 제2 개폐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주 생물반응조의 하수를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침전조로 유입하고,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의 하수를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라인으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된 분기라인을 그 제2 연결라인과 분기라인의 연결 지점에 설치된 제3 개폐밸브를 통해 폐쇄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을 상기 제3 개폐밸브를 통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된 분기라인을 그 제2 연결라인과 분기라인의 연결 지점에 설치된 제3 개폐밸브를 통해 개방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을 상기 제3 개폐밸브를 통해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라인을 통해 활성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를 고액 분리기로 공급하고, 상기 고액 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처리수를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의 운영 종류 후, 상기 제1 개폐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폐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보조 생물반응조의 미생물이 포함된 슬러지를 상기 회수라인을 통해 상기 주 생물반응조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방법.
KR1020140100475A 2014-08-05 2014-08-05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6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75A KR20160016398A (ko) 2014-08-05 2014-08-05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75A KR20160016398A (ko) 2014-08-05 2014-08-05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783A Division KR20160016731A (ko) 2015-12-18 2015-12-18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398A true KR20160016398A (ko) 2016-02-15

Family

ID=5535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475A KR20160016398A (ko) 2014-08-05 2014-08-05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3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farinejad et al. Current technologies and future directions for treating petroleum refineries and petrochemical plants (PRPP) wastewaters
Oleszkiewicz et al. Nutrient removal technology in North America and the European Union: A review
El-Sheikh et al. Biological tannery wastewater treatment using two stage UASB reactors
KR100906395B1 (ko) 축산폐수처리를 위한 고효율 축산 폐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804555B1 (ko) 고농도 유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폐수 고도 처리방법.
KR100960015B1 (ko) 초기우수 유출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03819049B (zh) 一种污水处理方法及***
Barnar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Where we have been, where we are going?
CN104310712A (zh) 一种煤化工废水的处理方法
CN202519137U (zh) 一种垃圾焚烧场渗滤液的组合处理装置
KR20050075948A (ko) 침출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CN104703927A (zh) 废水溢流***和方法
CN106745744B (zh) 污水处理方法及污水处理***
KR200450243Y1 (ko) 가용화장치를 갖춘 폐수처리시설에 있어서의 마을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잉여슬러지 감량설비
KR100917267B1 (ko) 강우 유출수를 이용한 재사용 수도 장치
CN100369835C (zh) 一种污水回用于循环冷却水处理工艺
KR20150124970A (ko) 폐수 처리에서의 cod 전환 및 마이크로-체 분리
CN212102500U (zh) 一种智能污水处理***
KR100653676B1 (ko) 단위공정들을 조합한 하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그처리방법
KR20160016398A (ko)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249624B (zh) 基于活性炭滤膜技术的水处理方法
Zaharia Comparative overview of primary sedimentation-based mechanical stage in some Romanian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KR20160016731A (ko)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edrova et al.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of small towns
KR100340098B1 (ko) 매립지 침출수의 고도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5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218

Effective date: 2016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