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056A -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056A
KR20160016056A KR1020140099266A KR20140099266A KR20160016056A KR 20160016056 A KR20160016056 A KR 20160016056A KR 1020140099266 A KR1020140099266 A KR 1020140099266A KR 20140099266 A KR20140099266 A KR 20140099266A KR 20160016056 A KR20160016056 A KR 20160016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el
pedestal
combustion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1511B1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닝크래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닝크래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닝크래프트
Priority to KR102014009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511B1/en
Publication of KR2016001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which enables the continuous combustion of pellets without power.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bustion case which has a fuel inlet having a top coupled to a fuel supply part; a fire control part which has a fuel support supporting the pellets falling through the fuel inlet and moving inside the combustion cas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inclined support which is composed of multiple combustion rods installed inside the combustion case to be inclined from the fuel inlet to the fuel support; and an air control part which is installed in an air inlet formed on the inclined rear surface of the combustion case in the rear of the inclined support.

Description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0001]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

본 발명은 펠릿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동력 없이도 자연대류를 이용해 역화(Back Draft)와 막힘 없는 지속적인 펠릿 연소를 구현할 수 있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combus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device capable of realizing back drafting and continuous pellet combustion without clogging by using natural convection without any additional power.

우드 펠릿(wood pellet)은 목재의 부산물을 압축 성형하여 연료화한 것으로, 최근 석유고갈로 인한 에너지 문제와 탄소배출 증가에 의한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유, 등유, 가솔린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연료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를 연료로 하는 다양한 연소시스템이 이미 알려져 있다.Wood pellets are produced by compression molding wood byproducts. Recently, due to energy problems caused by oil depletion and global warming due to increased carbon emission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has increased, and diesel, kerosene, Gasoline, and the like, and various combustion systems using this fuel have already been known.

그 중 펠릿을 이용한 난로 및 보일러 장치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연소실을 구비하여 펠릿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캠핑장이나 작업장 등에서 펠릿이 중력에 의하여 공급되고 자연대류를 통해 연소시켜 난방을 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Among them, stove and boiler devices using pellets are mainly used, and most of them are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so that combustion is performed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pellets. Recently, the demand for non-powered pellet stoves which are heated by natural convection and heating by pellets is supplied by gravity in camping fields or work places.

무연탄과 유사한 발열량을 내면서 발화점이 낮아 사용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연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펠릿의 장점에 더하여, 별도의 전기장치 없이도 연속적인 펠릿의 연소가 가능하다는 무동력 펠릿 난로의 경제적인 장점으로 인하여,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의 수요가 점차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pellets that can be easily used because they have a low calorific value similar to anthracite coal and can be used very easily and at a low cost, the pellet can be economically reduced. In addition, the economical advantage of a non-powered pellet stove is that continuous pellets can be burned without a separate electric device Due to its advantage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heaters that use pellets as fuel without using power.

그러나 종래 알려진 펠릿을 연료로 이용하는 무동력 펠릿 난로는 점화 초기 또는 연소 중 펠릿의 연소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연소 가스의 역류, 불완전 연소로 숯이 많이 생기거나 연료가 공급되는 부분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연소실을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on-powered pellet furnace using known pellets as a fuel has a problem in that the pellets are not completely burned during the ignition or combustion, and accordingly, the backflow of the combustion gas, incomplete combus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combustion chamber periodically due to the clogging phenomenon.

또한, 펠릿의 공급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화력 조절 및 연소시간의 조절이 어렵고,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짐에 있어 공기가 원활히 흐르지 못하고 한 곳에 정체됨으로써 연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연료의 미연분이 다량 발생해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ly amount of the pellets can not be arbitrarily adjuste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heating power and the combustion time, and the continuous combustion is carried out using the natural convection, the air can not flow smoothly, , So that a large amount of unburned fuel is generated, thereby lowering the heating efficiency.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0254호(공개일 2012. 03. 28)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30254 (published on March 28,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소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의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moothly circulating air introduced into a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화력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연소시간 조절이 가능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thermal power and controlling the combustion time through the thermal power control.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없이 펠릿의 연속적인 연소를 구현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로서, 상부에 연료공급부가 결합되는 연료투입구를 구비한 연소케이스; 상기 연료투입구를 통해 투하되는 펠릿을 받치는 연소케이스 내부의 연료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받침대를 진퇴시켜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구; 상기 연소케이스 내부에 상기 연료투입구에서 연료받침대를 향해 경사 설치되는 다수의 연소봉으로 구성된 경사받침대; 및 상기 경사받침대 후방 연소케이스의 경사진 후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는 공기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ving means, there is provided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for realizing continuous combustion of pellets without power, comprising: a combustion case having a fuel inlet to which a fuel supply unit is coupled at an upper portion; A thermal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hermal power by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fuel pedestal; An inclined pedestal including a plurality of burning rods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case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uel pedestal from the fuel inlet; And an air inlet formed at an inclined rear surface of the inclined support rear combustion case and installed at the air inlet.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연소케이스는, 펠릿이 투입되는 연료투입구를 상부에 구비하며, 상기 연료투입구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에 화염배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연료투입구에서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경사 형성된 연소실을 구비한 구성일 수 있다. The combustion cas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el inlet for injecting pellets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lame outlet at a lower portion diagonally spaced from the fuel inlet, and a fuel outlet formed at an inner portion of the fuel inlet, And a combustion chamber.

이때 상기 연소케이스 전면(前面) 모서리에 경사 설치된 점검창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검창은 투명한 내열유리를 소재로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inspection window which is inclined at the front edge of the combustion case. In this case, the inspection window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heat-resistant glass.

또한 상기 연료투입구 측부의 연소케이스 상판에 점화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점화구에 점화구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n ignition port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ase at the side of the fuel inlet, and an ignition lid can be installed in the ignition port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그리고 상기 연료받침대 주변의 연소케이스에 통기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mbustion case around the fuel pedestal.

또한, 상기 경사받침대와 공기조절구 사이에 경사진 보조통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통로 하단에 보조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n inclined auxiliary passage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inclined pedestal and the air control opening, and an auxiliary outlet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ass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화력조절구는, 상기 연소케이스 양 측벽의 슬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소케이스 내에서 진퇴 운동하는 상기 연료받침대와; 연소케이스 외측에서 상기 연료받침대를 지지하는 좌, 우측 지지대와; 상기 좌, 우측 지지대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ermal power regulator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uel pedestal slidably engaged with a slit of both side walls of the combustion cas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combustion cas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supporting the fuel pedestal outside the combustion case; And a handle connecting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그리고, 상기 연료받침대는 전후 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연소된 펠릿의 재와 연소 중 발생한 화염의 하방토출을 위한 타공이 다수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uel pedestal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re bent upwar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nd a plurality of pores for discharging downward the flame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nd the ash of the burned pellets.

또한, 상기 공기조절구는 상기 공기유입구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구를 형성한 원판형의 공기조절판과 공기조절판 일측의 회전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조절판의 중심이 공기유입구 주변 경사진 후면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회전형 공기조절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disc-shaped air-conditioner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and a rotary knob at one side of the air-conditioner. The center of the air- And may be a hinged rotary air regulator.

또한, 상기 경사받침대를 구성하는 연소봉은, 상기 연소케이스 상판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 각각의 조립구멍을 통해 연소케이스 외측에서 연소케이스 내측으로 경사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rods constituting the inclined pedestal may be inclined and assembl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ase from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ase through respective assembly holes forme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case top plate.

그리고, 상기 연소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연소봉 하단을 고정시켜주는 하부 지지브라켓이 연료받침대 일측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A lower support bracket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rod extending into the combustion case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uel support.

이때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은, 상기 연소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연소봉 하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연소봉에 대응되는 개수로 고정구멍을 형성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 수직부와 직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받침대 상부 일부를 가리는 차단판 역할을 하는 수평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bracket includes a vertical portion having a number of fix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rods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combustion rods extending into the combustion case can be respectively fitted and fixed, And a horizontal portion serving as a blocking plate for covering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pedestal.

이때, 상기 연소봉은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막대형 구조이며 텅스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urning rod may have a rod-like structure having a circular or square cross-section and may be formed of tungste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송풍기와 같이 전기를 사용하는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연소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연소실 내부가 하향 경사진 구조로서 연소실 내부에 연료가 적체되거나 공기가 정체됨이 없어 역류(Back Draft) 없는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연속적인 연소를 통해 높은 연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bustion state continuously without any separate power device using electricity such as a blower, and it is economical, and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inclined downwardly so that fuel is accumul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r the air stagnates ,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 combustion efficiency through safe, stable, and continuous combustion without Back Draft.

또한, 공기조절구 회전조작을 통한 공기유입량 조절과 화력조절구의 진퇴 조작(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연료 소모량과 화력 조절이 가능해 만족도 높은 난방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연소봉을 교체하거나 연소봉의 설치 개수를 증감시키는 조절이 가능하여 펠릿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난방장치 구현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fuel and the thermal power by adjusting the air inflow amoun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dvance / retreat operation (slide operation) of the fire conditioner,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eating device capable of exhibiting optimal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type and type of pelle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정면도.
도 3과 도 1에 도시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연소케이스에 설치된 화력조절구의 사시도.
도 7은 연소케이스 내에 경사 설치된 경사받침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가 적용되는 난방장치의 조립 구성도.
도 9는 난방장치 조립 후 연소장치 내 펠릿에 불을 붙이는 초기 점화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rear view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al power regulator provided in the combustion cas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clined pedestal that is inclined in the combustion case.
FIG. 8 is an assembled view of a heating device to which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9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ignition in which a pellet is ignited in a combustion apparatus after a heating device is assembled;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측면도와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GS. 3 and 4 are respectively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1)는 장치 외형을 구성하며 투입된 연료(이하, '펠릿(20)'이라 함)의 실질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케이스(10)를 구비한다. 연소케이스(10)의 재질은 고온에서 기계적 성질을 잃지 않고 산화 등 화학작용에 잘 견디는 강철, 예컨대, 텅스텐이나 스테인레스, 티타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to 5,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bustion case 10 constituting an outer shape of the apparatus and in which substantial combustion of injected fu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llet 20") is carried out, Respectively. The material of the combustion case 10 may be steel, such as tungsten, stainless steel, or titanium, which does not lose its mechanical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s and can withstand chemical reactions such as oxid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연소케이스(10)는 상부에 연료를 저장한 연료공급부(2, 도 3 참조)가 결합되는 연료투입구(102)를 구비한다. 상기 연료투입구(102)를 통해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연료인 펠릿(20)이 투하되며, 연소케이스(10) 내부에서 펠릿(20)이 연소하면서 발생된 화염은 상기 연료투입구(102)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된 연소케이스(10) 하부의 화염배출구(104)를 통해 하향 방사된다. The combustion case 10 has a fuel inlet 102 to which a fuel supply unit 2 (see Fig. 3) storing fuel is coupled. The pellets 20 are discharged into the combustion case 10 through the fuel inlet 102 and the flames generated while the pellets 20 are burned in the combustion case 10 are discharged from the fuel inlet 102 And is radiated downward through the flame outlet 104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ase 10 which is diagonally spaced.

연료공급부(2)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각추상(角錐狀) 또는 원추상(圓錐狀)의 통 모양을 하는 호퍼(Hopper)일 수 있으며, 상기 연료공급부(2) 하단의 연료투출부(25)가 상기 연료투입구(102)에 끼워 맞춤 조립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연소케이스(10) 상부에 상기 연료공급부(2)가 안정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fuel supply unit 2 may be a hopper having an angular cone shape or a circular cone shape whose diameter becomes narrower as it goes down. The fuel supply unit 2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ase 10 by being connected to the fuel inlet 102 in a fitting manner.

연소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연료투입구(102)에서 화염배출구(104)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펠릿(20)이 연소되는 연소실(101)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투입구(102)를 통해 연소실(101)로 투하된 펠릿(20)은 상기 연소실(101)에서 연소되고, 이때 발생된 화염은 상기 화염배출구(104)를 통해 하향 방사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연소장치(1)가 탑재되는 난로(3, 도 10 참조) 내부로 방사된다.A combustion chamber 101 is formed inside the combustion case 10 so as to be sloped in the direction of the flame outlet 104 from the fuel inlet 102 to substantially burn the pellet 20. The pellets 20 dropp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1 through the fuel inlet 102 are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1 and the generated flame is emitted downward through the flame outlet 104. Preferably, it is radiated into the furnace 3 (see Fig. 10) in which the combus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연소케이스(10) 전면(前面) 모서리에는 점검창(105)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점검창(105)은 투명하여 내부를 볼 수 있는 내열유리 소재로 제작된 것일 수 있으나 고온에서 기계적 성질을 잃지 않고 광투과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즉 특정 형태나 크기,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펠릿(20)의 연소상태나 펠릿(20) 잔량 등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만 있으면 된다. An inspection window 105 may be installed at an angle to the front edge of the combustion case 10. The inspection window 105 may be made of a heat-resistant glass material which is transparent and inwardly visible, bu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without losing its mechanical properties at a high temperatur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hape, size, and material, but merely requires a visual confirmation of the combustion state of the pellet 20,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ellet 20, and the like.

연료투입구(102) 측부의 상기 연소케이스(10) 상판에는 점화구(1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점화구(106)에는 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점화구 덮개(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연소실(101)에 투입된 펠릿(20)의 초기 점화에 있어서는, 상기 점화구 덮개(11)를 열고 점화구(106)를 통해 점화수단 예컨대, 토치(Torch)를 연소실(101) 측으로 진입시켜 펠릿(20)에 불을 붙일 수 있다.An ignition hole (106)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combustion case (10) on the side of the fuel inlet (102). In addition, an ignition lid 11 is provided in the ignition port 106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ignition lid 11 is opened and an ignition means such as a torch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1 through the ignition port 106 to pelletize the pellet 20 20).

연소케이스(10) 내부에는 연료받침대(120)를 구비하는 화력조절구(12)가 구비된다. 연료받침대(120) 위로 상기 연료투입구(102)를 통해 투하된 펠릿(20)이 쌓이며 이 상태에서 연소가 이루어진다. 연료받침대(120)는 상기 연소케이스(10)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진퇴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료받침대(120)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통해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A thermal power regulator (12) having a fuel support (120) is provided in the combustion case (10). The pellets 20 dropped through the fuel inlet 102 are stacked on the fuel pedestal 120 and burned in this state. The fuel pedestal 120 is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ase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ermal power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uel pedestal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연료받침대(120)의 슬라이드 진퇴 조작을 통한 상기 화력조절은, 연료받침대(120) 진퇴 조작 시 상기 연료받침대(120) 상부에 설치되어 펠릿(20)의 투입을 가로막는 후술할 하부 지지브라켓(19)에 의해 가려지는 연료받침대(120)의 면적 변화에 따라 상기 연료받침대(120) 상에 담겨 연소되는 펠릿(20)의 양이 조절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The thermal power control through the sliding and retreating operation of the fuel pedestal 120 may be performed by a lower support bracket 1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fuel pedestal 120 when the fuel pedestal 120 is retracted, The amount of the pellets 20 buried in the fuel pedestal 12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rea of the fuel pedestal 120 covered by the fuel pedestal 120. [

즉 하부 지지브라켓(19)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연료받침대(120)가 이동하면 연료받침대(120) 상에 쌓이는 펠릿(20)의 양이 줄어들어 화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반대로 하부 지지브라켓(19)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연료받침대(120)가 이동하면 연료받침대(120) 상에 쌓이는 펠릿(20)의 양이 그 만큼 늘어 화력의 세기가 증대된다.The amount of pellets 20 accumulated on the fuel pedestal 120 may be reduced and the thermal power may be weakened when the fuel pedestal 120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rea covered by the lower support bracket 19 is increased. When the fuel pedestal 12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rea covered by the support bracket 19 is reduced, the amount of the pellets 20 accumulated on the fuel pedestal 120 is increased by that much so that the strength of the thermal power is increased.

도 6은 연소케이스에 진퇴 운동, 즉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화력조절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Fig.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thermal power regulator which is slidably and retractably moved to the combustion case.

도 6과 같이 화력조절구는 구체적으로, 상기 연소케이스(10) 양 측벽의 슬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소케이스(10) 내에서 진퇴 운동하는 상기 연료받침대(120)와, 연소케이스(10) 외측에서 연료받침대(120)를 진퇴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 우측 지지대(124a)(124b)를 포함하며, 연소케이스(10) 외측에서 상기 좌, 우측 지지대(124a)(124b)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126)를 구비한다.6, the thermal power regulator specifically includes the fuel pedestal 120 slidably engaged with slits on both side walls of the combustion case 10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combustion case 10,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124a and 124b support the fuel pedestal 120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124a and 124b outside the combustion case 10, (126).

연료받침대(120)는 펠릿(20)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평판상의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판상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후 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용기모양일 수 있으며, 연소받침대 상에서 연소된 후 발생한 펠릿(20)의 재와 연소 중 발생한 화염이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타공(122)을 다수 구비한다. The fuel pedestal 120 may be a flat plate-like structure capable of stably accommodating the pellet 20. Preferably,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ellet 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vessel bent upwards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at plate. The pellet 20 generated after the combustion is burned on the combustion pedestal and the perforations 122 .

타공(122)의 형태는 도 6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슬릿형태의 구멍이 연료받침대(120) 길이 또는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삼각 이상의 다각형 모양의 구멍이 격자형 배열(바둑판식 배열)로 형성된 구성을 포함해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erforations 122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elongated slit-shaped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uel pedestal 12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ircular or triangular-shaped polygonal hole is formed in a lattice-like arrangement (tiled).

연료받침대(120) 주변의 상기 연소케이스(10)에는 통기홀(107)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홀(107)의 크기나 모양, 개수는 연소케이스(1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정 크기나 모양, 개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통기홀(107)을 통해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연소를 위한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순환되며, 따라서 연소받침대 상에서 펠릿(20)이 원활하게 연소될 수 있다.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07 may be formed in the combustion case 10 around the fuel pedestal 120. The size, shape, and number of the vent holes 107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bustion case 10, and thu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sizes, shapes, and numbers. External air for combustion is introduced and circulated into the combustion case 10 through the vent hole 107 and thus the pellet 20 can be burned smoothly on the combustion pedestal.

연소케이스(10) 내부에는 상기 연료투입구(102)에서 연료받침대(120)를 향해 경사 설치되는 경사받침대(14)가 구비된다. 경사받침대(14)는 연소케이스(10) 내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연소봉(140)으로 구성된다. 연소봉(14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진 가늘고 긴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막대형 구조일 수 있으며 텅스텐 재질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 inclined pedestal 14 is installed inside the combustion case 10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uel pedestal 120 from the fuel inlet 102. The inclined pedestal 14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combustion rods 140 disposed in the combustion case 1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mbustion rod 140 may have a rod-lik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n elongated or elongated section having a circular or square shape, and is preferably made of tungst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연소봉의 설치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7을 참조한다.Refer to Fig. 7 fo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urning rods.

도 7은 연소케이스 내에 경사 설치된 경사받침대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clined pedestal that is inclined in the combustion case.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경사받침대(14)를 구성하는 상기 연소봉(140)은 연소케이스(10) 상판에 연소봉(140)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 각각의 조립구멍(109)을 통해 연소케이스(10) 외측에서 연소케이스(10) 내측으로 경사 조립된다. 그리고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연장된 연소봉(140) 하단은 상기 연료받침대(120) 일측 상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브라켓(19)에 고정된다.5 and 7, the combustion rods 140 constituting the inclined pedestal 14 ar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of the combustion case 10 with respective assembly holes 109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rods 140 And is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ase 10 from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ase 10 through th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rod 140 extending into the combustion case 10 is fixed to a lower support bracket 19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uel support 120.

하부 지지브라켓(19)은 바람직하게, 상기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연장된 연소봉(140) 하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연소봉(140)에 대응되는 개수로 고정구멍(192)을 형성한 수직부(190)와, 상기 수직부(190) 하단에 수직부(190)에 대해 직각으로 일체 형성되며 전술한 연료받침대(120) 상부 일부를 가리는 차단판 역할을 하는 수평부(194)로 구성된 L형 브라켓일 수 있다.The lower support bracket 19 preferably has a number of fixing holes 192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rods 140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combustion rods 140 extending into the combustion case 10 can be respectively fitted and fixed A vertical portion 190 and a horizontal portion 194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9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ortion 190 and serving as a blocking plate covering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pedestal 120 Type L-shaped bracket.

전술한 연료투입구(102)를 통해 투입된 펠릿(20)은 경사받침대(14)를 거쳐 상기 연료받침대(120) 상으로 하향 이동되며, 연료받침대(120)에 일정량의 펠릿(20)이 쌓이면 상기 경사받침대(14)에 까지 펠릿(20)이 쌓이게 된다. 즉 상기 경사받침대(14)는 연소케이스(10) 내부로 투입된 펠릿(20)의 연료받침대(120)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펠릿 받침대 역할을 겸한다.The pellet 20 introduced through the fuel inlet 102 is moved downward on the fuel pedestal 120 via the inclined pedestal 14 and when the pellet 20 is accumulated in the fuel pedestal 120, The pellets 20 are piled up to the pedestal 14. That is, the inclined pedestal 14 guides the movement of the fuel pedestal 120 of the pellet 20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ase 10, and also serves as a pellet pedestal.

경사받침대(14)를 구성하는 상기 연소봉(140)은 일부가 연소케이스(10) 상판 상부로 노출토록 조립된다. 따라서 펠릿(20)의 크기나 연소 특성 등에 따라 두께가 다른 연소봉(140)으로 쉽게 교체 조합할 수 있다. 즉 연소봉(140)의 직경 및 그에 따른 연소봉(140) 사이의 간격, 설치 개수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펠릿(20)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 된 두께와 간격, 그리고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The combustion rods 140 constituting the inclined pedestal 14 are partially assembled so as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ase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pellet 20 with the combustion rods 140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pellet 20. That is, the diameter of the combustion rods 140 an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combustion rods 140 and the number of the mounting rods 140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value and may be changed to a thickness, an interval, and a number optim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ellet 20 .

도 3 내지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경사받침대(14) 후방 연소케이스(10)의 경사진 후면에는 공기유입구(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구(103)에 공기조절구(16)가 설치된다. 공기조절구(16)의 조절 조작을 통해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4 and 5, an air inlet 103 is formed at an oblique rear surface of the rear combustion case 10 of the inclined pedestal 14. The air inlet (103)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16).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ase 10 can be controlled as desired through th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6 and the thermal power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공기조절구(16)는 연소케이스(10)의 경사진 후면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구(103)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구(162)를 형성한 원판형의 공기조절판(160)과 이러한 공기조절판(160) 일측 외연부에 마련된 회전손잡이(164)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조절판(160)의 중심이 공기유입구(103) 주변 경사진 후면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회전형 공기조절구일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6 includes a disk-shaped air conditioner 160 having an opening 162 sized to correspond to the air inlet 103 formed on the oblique rear surface of the combustion case 10, And a rotary knob 164 provided on one outer side of the air inlet 103. The center of the air control plate 160 may be a rotary type air conditioner rotatably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side inclined around the air inlet 103. [

즉 회전손잡이(164)를 잡고 공기조절판(160)을 돌려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공기유입구(103)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물론 공기유입구(103)의 크기 및 형상, 그리고 공기조절구(16)의 크기 및 형상, 그리고 개구의 형태는 도시된 반원형 및 원판형 구조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ase 1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air inlet 103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flows into the air regulating plate 160 by holding the rotary knob 164, . Of course, the size and shape of the air inlet 103, the size and shape of the air conditioner 16,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emicircular and disk-like structures.

공기조절구(16)의 회전 조작에 따른 공기유입구(103) 개방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경사받침대(14)를 구성하는 상기 연소봉(140) 사이 사이의 틈새를 통해 펠릿(20) 사이로 원활히 침투 공급되고, 연소 중에 있는 펠릿(20) 숯을 통과하여 가열됨으로써 높은 온도로 펠릿(20)의 지속적인 연소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3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air inlet 103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air control valve 16 is guided to the gap between the combustion rods 140 constituting the inclined support 14 So that the continuous combustion of the pellet 20 can be realized at a high temperature by being heated by passing through the char of the pellet 20 in the combustion.

도 5의 경사받침대(14)와 공기조절구(16) 사이에는 경사진 보조통로(18)가 형성된다. 보조통로(18)는 난로(3)와 결합 시 상기 난로(3) 내부공간과 연통(4)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구(103)를 통해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보조통로(18)와 경사받침대(14)를 거쳐 연소실(101) 내 펠릿(20) 사이로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보조통로(18) 하단의 보조배출구(180)를 통해 난로(3)(도 10 참조) 내부로 유입된다.An inclined auxiliary passage 18 is formed between the inclined pedestal 14 and the air adjuster 16 in Fig. The auxiliary passage 18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ve 3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stove 3. [ A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ase 10 through the air inlet 103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pellets 20 in the combustion chamber 101 through the auxiliary passage 18 and the inclined support 14, Is introduced into the furnace 3 (see FIG. 10) through the auxiliary outlet 180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assage 18.

경사받침대(14) 상에 쌓인 펠릿(20) 중 연소과정에서 연소봉(140)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연소봉(140) 뒷편으로 떨어진 일부 펠릿(20) 또한 상기 보조통로(18)와 보조배출구(180)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20) 연소장치(1)가 조립되는 상기 난로(3) 내부로 투하된다, 그리고 제트기류 형태로 화염배출구(104)를 통해 하향 방사되는 화염에 의해 난로(3) 내에서 재연소된다. Some of the pellets 20 stacked on the inclined pedestal 14 and separated from the combustion rods 14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mbustion rods 140 in the course of the combustion are also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passages 18, (3) through which the pellet (20) combus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via the flame outlet (180), and the flame And is re-burned in the hearth (3).

도 1 내지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20) 연소장치(1)를 난로(3)에 결합시킴에 있어 상기 난로(3) 상판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 형태의 상판덮개를 가리키며, 112는 경사받침대(14)를 구성하는 연소봉(140)을 연소케이스(10) 내에서 조립함에 있어 정확한 각도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판이다.1 to 5, reference numeral 110 denotes a non-powered pellet 20 for connecting the combustion apparatus 1 to the furnace 3 so as to be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late of the furnace 3, And reference numeral 112 denotes a guide plate for guiding the assembly of the combustion rods 140 constituting the inclined support 14 in the combustion case 10 so as to be assembled at an accurate angle.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를 통해 행해지는 펠릿의 연소 및 그에 따른 화염의 발생과 고열의 흐름을 본 발명의 작동에 연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bustion of the pellets through the non-powered pellet bu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of flames and the flow of high temperature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가 적용된 난방장치의 조립 구성도이며, 도 9는 난방장치 조립 후 연소장치 내 펠릿에 불을 붙이는 초기 점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펠릿 연소 시 공기의 흐름 및 그에 따른 화염의 토출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8 is an assembled view of a heating apparatus to which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9 is a view showing initial ignition in which a pellet is ignited in a combustion apparatus after a heating apparatus is assembled. FIG.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non-powered pellet bur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flow of air and the discharge state of the flame in burning pellets.

도 8을 먼저 참조하면, 난로(3)에 연통(4)을 연결하고 난로(3) 상판 일측에 개방형 조립부(30)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20) 연소장치(1)의 화염 배출구가 난로(3) 내부에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펠릿(20) 연소장치(1)를 구성하는 연소케이스(10) 상부의 연료투입구(102) 측에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통 모양의 연료공급부(2)를 결합한다.8, a communication 4 is connected to a hearth 3 and a pellet 20 combus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a hearth 3 via an open- So that the flame outlet of the burner (3) is located inside the hearth (3). A fuel supply portion 2 having a smaller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fuel inlet 102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ase 10 constituting the pellet 20 combustion device 1.

다음 도 9와 같이, 연료받침대(120)와 경사받침대(14)에 소정량의 펠릿(20)을 얹고(연료공급부(2) 조립 전 연료투입구(102)를 통하거나 연료공급부(2) 조립 후 점화구 덮개(11)를 개방하여 초기점화에 필요한 만큼의 펠릿(20)을 투입), 점화구(106)를 통해 점화수단 예컨대, 토치(Torch)를 연소실(101) 측으로 진입시켜 점화용 펠릿(20)에 불을 붙인다.9, a predetermined amount of pellet 20 is placed on the fuel pedestal 120 and the inclined pedestal 14 (after passing through the fuel inlet 102 before assembling the fuel supply unit 2 or after assembling the fuel supply unit 2) A torch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1 through the ignition port 106 and the combustion pellet 20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1 through the ignition port 106. The combustion chamber 101 is opened by opening the ignition lid 11 to feed the pellets 20 necessary for initial ignition, .

펠릿(20) 초기 점화에 앞서 난로에 연결된 연통(4) 입구부분에 소정 시간 동안 열을 가해 달구는 예열이 요구된다. 이는 연통(4) 내부에 상승기류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펠릿(20) 연소 시 발생된 열기 및 연기가 연통(4)을 내부를 따라 상승 이동해 외부로 용이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전 작업에 해당하며 1 ~ 2분 정도면 적당하다.Prior to the initial ignition of the pellet 20, heat is applied to the inlet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4 connected to the st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require preheating. This is for the purpose of forming an ascending air flow inside the communication pipe 4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and the smoke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pellet 20 from rising and traveling along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pipe 4, It should be about 1 ~ 2 minutes.

연료받침대(120) 및 경사받침대(14) 상에 얹혀진 펠릿(20)에 불을 붙이는 초기 점화에 있어서는, 외부 공기가 연소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조절구(16)를 개방한 상태에서 초기 점화를 수행하며, 초기 점화를 통해 펠릿(20)에 적당히 불이 붙고 나면 연통(4) 내부의 상승기류에 의한 자연대류에 의해 불길은 위로 향하지 않고 아래의 난로(3)를 향하게 된다.In the initial ignition in which the pellet 20 placed on the fuel pedestal 120 and the slant pedestal 14 is ignited, the air control opening 16 is opened so that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ase 10 And after the pellet 20 is appropriately fired through the initial ignition, the natural convection by the upward airflow in the communication pipe 4 directs the flame toward the stove 3 without facing upward .

만약 펠릿(20)에 붙은 불길이 연소실(101) 내에서 위쪽을 향한다면 상승기류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것이며, 이런 경우 연통(4)을 가볍게 다시 한번 달궈 주면 된다. 즉 뜨거운 곳에 차가운 곳으로 이동하려는 공기의 특성을 이용한 연통(4) 내부의 상승기류와 그에 따른 난로(3)와 연소장치(1) 사이의 압력차를 통해 연소장치(1) 내 공기 및 불길이 난로(3)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If the flame attached to the pellet 20 is directed upwar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1, the upward flow is not sufficiently forme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ipe 4 may be lightly rewarmed once again. The air and flames in the combustion device 1 are supplied to the combustion device 1 through a rising air flow in the communication pipe 4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 to be moved to a hot place in the hot place, To the stove (3).

펠릿(20)에 불이 붙어 자연 연소가 가능할 정도의 초기 점화가 이루어지면, 도 10의 도시와 같이 펠릿(20) 연소장치(1) 상부에 결합된 연료공급부(2)의 연료투출구(25) 측에 마련된 연료차단판(22)을 탈거하여 연료공급부(2)에 수용된 펠릿(20)이 연소장치(1) 내부의 연료받침대(120) 및 경사받침대(14) 상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uel injection port 25 of the fuel supply unit 2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apparatus 1 of the pellet 20 as shown in Fig. 10, when the pellet 20 is ignited to such an extent that natural combustion is possible, The pellet 20 accommodated in the fuel supply unit 2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onto the fuel pedestal 120 and the inclined pedestal 14 inside the combustion apparatus 1 .

공기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자연대류에 의해 난로(3) 측으로 유동되며, 펠릿(20) 연소로 인한 화염 역시도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화염배출구(104) 측으로 집중되고 난로(3)를 향하여 토출된다. 이때 연소장치(1) 내부의 연소실(101)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연소장치(1)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은 적체됨이 없이 도 10과 같은(화살표 방향 참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3 flows to the side of the hearth 3 by natural convection and the flame due to the combustion of the pellets 20 is also concentrated to the side of the flame outlet 104 by the flow of the air,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ombustion chamber 101 inside the combustion apparatus 1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air flow inside the combustion apparatus 1 forms a flow as shown in FIG. 10 (see arrow direction) without being accumulated.

즉 펠릿(20) 연소 시 공기유입구(103)를 통해 연소실(10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경사받침대(14)를 통해 펠릿(20) 사이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연소실(101) 내부에서 플라즈마화 된 연소가스는 연료에 의한 막힘 없이 대각선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려가게 되며, 따라서 연료의 적체 및 공기 흐름 적체에 의한 역류(Back Draft) 현상 없이 연소가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That is, air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1 through the air inlet 103 during combustion of the pellet 20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pellets 20 through the inclined support 14, The combustion gas flows smoothly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out clogging by the fuel, so combus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back dribbling due to the accumulation of fuel and the accumulation of airflow.

펠릿(20) 연소 중 공기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거나 화력조절구(12)를 진퇴 조작 해 연료의 소모량을 조절하여 화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연소장치(1)를 구성하는 연소케이스(10) 전방 모서리에 부착된 점검창(105)을 통해 외부에서 펠릿(20)의 연소상태 및 화력의 세기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3 during combustion of the pellet 20 or adjust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power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uel consumption by moving the thermal power regulator 12 forward and backward, The combustion state of the pellet 20 and the intensity of the thermal power can be visually confirmed directl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spection window 105 attached to the front edge of the combustion case 10 constituting the combustion chamber 10.

한편, 경사받침대(14) 상에서 연소되는 펠릿(20) 중 산화되고 부피가 줄어들어 경사받침대(14)를 구성하는 연소봉(14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연소봉(140) 뒤쪽으로 떨어진 펠릿(20)은 중력에 의해 경사받침대(14)와 공기조절구(16) 사이의 보조통로(18)를 구획하는 경사진 후면과 보조배출구(180)를 거쳐 난로(3) 내부로 투하되고, 화염배출구(104)에서 하향 방사되는 화염에 의해 난로(3) 내부에서 재연소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pellets 20 burned on the inclined pedestal 14, the pellets 20, which are oxidized and reduced in volume and fallen behind the burning rods 140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burning rods 140 constituting the inclined pedestal 14, Is dropped into the stove (3) through the inclined rear surface and the auxiliary outlet (180) dividing the auxiliary passage (18) between the inclined pedestal (14) and the air conditioner (16) by gravity, ) Is re-burned in the furnace (3) by the flame which is radiated downward in the furnace (3).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송풍기와 같이 전기를 사용하는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도 연소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연소실 내부가 하향 경사진 구조로서 연소실 내부에 연료가 적체되거나 공기가 정체되는 일이 없어 역류(Back Draft) 없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연속적인 연소를 통해 높은 연소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bustion state continuously without any separate power device using electric power such as a blower, and it is economical. Since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inclined downward, So that high combustion efficiency can be achieved by continuous and stable combustion without backflow.

또한, 공기조절구 회전조작을 통한 공기유입량 조절과 화력조절구의 진퇴 조작(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연료 소모량과 화력 조절이 가능해 만족도 높은 난방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연소봉을 교체하거나 연소봉의 설치 개수를 증감시키는 조절이 가능하여 펠릿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난방장치 구현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fuel and the thermal power by adjusting the air inflow amoun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advance / retreat operation (slide operation) of the fire conditioner, It is possible to realize a heating device capable of exhibiting optimal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type and type of pellets.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 : 연소장치 2 : 연료공급부
3 : 난로 4 : 연통
10 : 연소케이스 12 : 화력조절구
14 : 경사받침대 16 : 공기조절구
18 : 보조통로 19 : 하부 지지브라켓
101 : 연소실 102 : 연료투입구
103 : 공기유입구 104 : 화염배출구
105 : 점검창 106 : 점화구
107 : 통기홀 108 : 슬릿
109 : 조립구멍 120 : 연료받침대
122 : 타공 124a, 124b : 좌, 우측 지지대
126 : 손잡이 140 : 연소봉
160 : 공기조절판 164 : 회전손잡이
180 : 보조배출구 190 : 수직부
192 : 고정구멍 194 : 수평부
1: Combustion device 2: fuel supply part
3: stove 4: communication
10: Combustion case 12: Thermal power regulator
14: slope pedestal 16:
18: auxiliary passage 19: lower support bracket
101: combustion chamber 102: fuel inlet
103: Air inlet 104: Flame outlet
105: Check window 106:
107: vent hole 108: slit
109: assembly hole 120: fuel holder
122: perforation 124a, 124b: left and right supports
126: Handle 140: Combustion rod
160: air regulating plate 164: rotation handle
180: auxiliary outlet 190: vertical portion
192: fixing hole 194: horizontal part

Claims (13)

동력 없이 펠릿의 연속적인 연소를 구현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로서,
상부에 연료공급부가 결합되는 연료투입구를 구비한 연소케이스;
상기 연료투입구를 통해 투하되는 펠릿을 받치는 연소케이스 내부의 연료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받침대를 진퇴시켜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구;
상기 연소케이스 내부에 상기 연료투입구에서 연료받침대를 향해 경사 설치되는 다수의 연소봉으로 구성된 경사받침대; 및
상기 경사받침대 후방 연소케이스의 경사진 후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는 공기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1. A non-powered pellet combustion apparatus for effecting continuous combustion of pellets without power,
A combustion case having a fuel inlet to which a fuel supply unit is coupl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thermal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hermal power by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fuel pedestal;
An inclined pedestal including a plurality of burning rods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case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uel pedestal from the fuel inlet; And
And an air inlet formed at an inclined rear surface of the inclined pedestal rear combustion case and installed at the air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케이스는,
펠릿이 투입되는 연료투입구를 상부에 구비하며,
상기 연료투입구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격된 하부에 화염배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연료투입구에서 화염배출구 방향으로 경사 형성된 연소실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case
A fuel injection port through which pellets are injected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flame outlet at a lower portion diagonally spaced from the fuel inlet,
Wherein the combustion chamber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which is formed inside the fuel inlet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direction of the flame outl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케이스 전면(前面) 모서리에 경사 설치된 점검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spection window installed at an edge of a front surface of the combustion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구 측부의 연소케이스 상판에 점화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점화구에 점화구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 ignition port is further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ase at the fuel inlet side,
Wherein an ignition lid is openably and closably mounted on the ignition po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받침대 주변의 연소케이스에 통기홀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a combustion case around the fuel pedes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받침대와 공기조절구 사이에 경사진 보조통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통로 하단에 보조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clined auxiliary passage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inclined pedestal and the air conditioner,
And an auxiliary outl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조절구는,
상기 연소케이스 양 측벽의 슬릿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소케이스 내에서 진퇴 운동하는 상기 연료받침대와;
연소케이스 외측에서 상기 연료받침대를 지지하는 좌, 우측 지지대와;
상기 좌, 우측 지지대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The fuel pedestal be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slit of both side walls of the combustion case and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combustion cas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supporting the fuel pedestal outside the combustion case;
And a handle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rod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받침대는 전후 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연소된 펠릿의 재와 연소 중 발생한 화염의 하방토출을 위한 타공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uel pedestal include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 rearwardly discharging a flame generated during burning and the ash of the burned pellet, wherein the front and rear ends are bent upward to be inclined up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구는 상기 공기유입구에 대응되는 크기로 개구를 형성한 원판형의 공기조절판과 공기조절판 일측의 회전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조절판의 중심이 공기유입구 주변 경사진 후면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disk-shaped air-conditioning plat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and a rotary knob at one side of the air-
And the center of the air control plate is rotatably hing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air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받침대를 구성하는 연소봉은, 상기 연소케이스 상판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 각각의 조립구멍을 통해 연소케이스 외측에서 연소케이스 내측으로 경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ustion rods constituting the inclined pedestal are inclinedly assembled from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ase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ase through respective assembly holes formed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case upper plate.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각각의 연소봉 하단을 고정시켜주는 하부 지지브라켓이 연료받침대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And a lower support bracket for fixing the respective lower ends of the combustion rods extending into the combustion case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uel pedest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은,
상기 연소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연소봉 하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연소봉에 대응되는 개수로 고정구멍을 형성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하단에 수직부와 직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료받침대 상부 일부를 가리는 차단판 역할을 하는 수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wer support bracket
A vertical portion having a number of fix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mbustion rods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combustion rods extending into the combustion case can be respectively fitted and fixed;
And a horizontal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portion and serving as a blocking plate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pedestal.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봉은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막대형 구조이며 텅스텐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Wherein the combustion rod has a rod-like structure having a circular or square cross-section and is formed of a tungsten material.
KR1020140099266A 2014-08-01 2014-08-01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KR101621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66A KR101621511B1 (en) 2014-08-01 2014-08-01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266A KR101621511B1 (en) 2014-08-01 2014-08-01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056A true KR20160016056A (en) 2016-02-15
KR101621511B1 KR101621511B1 (en) 2016-05-17

Family

ID=5535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266A KR101621511B1 (en) 2014-08-01 2014-08-01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5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00A (en) * 2015-03-18 2016-09-28 이정호 Pellet combusion apparatus
KR20230064835A (en) 2021-11-04 2023-05-11 임준일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pellet sto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00A (en) * 2015-03-18 2016-09-28 이정호 Pellet combusion apparatus
KR20230064835A (en) 2021-11-04 2023-05-11 임준일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pellet st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511B1 (en)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050B1 (en) Pellet stove
KR101291402B1 (en) Wood pellet stove
US10508814B2 (en) Biomass pellet stove
KR101847726B1 (en) Portable Burner
KR20150060137A (en) Stove air circulation system
KR101565556B1 (en) Combustion apparatus for pellet
KR20190068335A (en) Camping stove
KR200486674Y1 (en) Stove
KR101621511B1 (en) Non-Powered Pellit Combustion Apparatus
KR101579258B1 (en) Pellet stove type heating
KR20120006929A (en) Heater with pellet of fule
KR101554842B1 (en) Non-Powerd Pallet Stove
CN207907286U (en) A kind of outdoor heating stove
JP2014115068A (en) Indoor installation type biomass cooking stove
KR200484682Y1 (en) a nozzle of a pellet stove
KR101622270B1 (en) a portable korean underfloor heating boiler
EP2098780A1 (en) A burner assembly
KR102023110B1 (en) Stove capable for using both firewood and pellet
KR101346870B1 (en) Gun type burner for pellet boiler
KR20160067328A (en) Wood pellet stove
KR20140005597U (en) Pellet stove
KR101861205B1 (en) Heater for solid fuel
KR20170081346A (en) Wood pellet stove
CN108180505A (en) A kind of outdoor heating stove
PT2775201E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