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872A - 휴대용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872A
KR20160014872A KR1020140096757A KR20140096757A KR20160014872A KR 20160014872 A KR20160014872 A KR 20160014872A KR 1020140096757 A KR1020140096757 A KR 1020140096757A KR 20140096757 A KR20140096757 A KR 20140096757A KR 20160014872 A KR20160014872 A KR 20160014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display panel
area
patterned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292B1 (ko
Inventor
김훈식
박혜은
서동우
정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292B1/ko
Priority to US14/656,561 priority patent/US9977468B2/en
Publication of KR2016001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872A/ko
Priority to US15/985,651 priority patent/US102548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면서도 벤딩에 따른 불량 발생이 방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위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면 상부에 위치한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기능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기능판 사이 또는 상기 기능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며 패터닝된 제1접착층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장치{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면서도 벤딩(bending)에 따른 불량 발생이 방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장치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비롯한 각종 정보, 전자장치의 상태나 작동 정보, 전자장치의 조작 용이성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최근 이러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휴대용 전자장치가 플렉서블 특성을 갖도록 하여, 휴대성 및 이용 편의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에는, 플렉서블 특성에 따라 벤딩이 이루어질 시 각종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박리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면서도 벤딩에 따른 불량 발생이 방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면 상부에 위치한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기능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기능판 사이 또는 상기 기능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며 패터닝된 제1접착층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보다 넓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의 패턴 사이를 채우는 보조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이 상기 보조접착층의 접착력보다 높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 사이에 대응하는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는 사전설정된 벤딩영역을 가져 상기 벤딩영역에서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벤딩영역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과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벤딩영역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보다 넓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착층은 서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기능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기능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며 패터닝된 제2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이 상기 제2접착층의 접착력보다 높을 수 있다. 또는,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기준면적당 상기 제2접착층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제2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을 갖고, 상기 제2접착층은 스트라이프 형상만으로 패터닝되거나 아일랜드 형상만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기능판은 편광판, 위상지연판 또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면서도 벤딩에 따른 불량 발생이 방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휴대용 전자장치가 벤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 윈도우(510), 기능판(300) 및 제1접착층(410, 도 1에서는 편의상 미도시, 도 2 참조)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접착층(410)은 예컨대 감압접착층(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그러한 감압접착층의 예로는 투명접착층(OCA; 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투명접착레진(OCR; optically clear resin)을 들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가기능판(200)을 더 구비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예컨대 폴리이미드(PI)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기판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5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5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생성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과한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투광창이다. 이러한 윈도우(5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도 있고, 반사방지필름(anti-reflection film)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윈도우(510)는 폴리이미드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유기물로 형성된 필름 타입일 수도 있고, 박형의 글라스, 사아피어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우니도우(510)는 유무기 하이브리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능판(3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윈도우(5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기능판(300)은 예컨대 편광판, 위상지연판 또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윈도우(510) 및 기능판(300)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5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 윈도우(510) 및 기능판(300)들 사이나 그 후방 또는 전방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위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기능판(300)은 편광판이고 추가기능판(200)은 터치패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윈도우(510) 및 기능판(300)에 있어서,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 또는 기능판(300)과 윈도우(510) 사이에 개재된다. 도 2에서는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100), 윈도우(510) 및 기능판(300)과 같은 다층구조를 가질 경우, 필요에 따라 그 중 적어도 일부를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킬 필요가 있다. 도 2에서는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 개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을 접착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만일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와 달리 패터닝되지 않은 접착층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이 전면(全面)을 통해 접착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을 접착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체적인 벤딩 강성(bending stiffness)이 급격히 높아지게 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이 접착되지 않았을 시의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만을 고려한 벤딩 강성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강성과 기능판(300)의 벤딩 강성의 합으로 나타나지만, 접착층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이 접착된 경우의 벤딩 강성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강성과 기능판(300)의 벤딩 강성의 합에 그치지 않고 이들의 커플링에 의한 벤딩 강성까지 더해지기 때문이다.
만일 패터닝되지 않은 접착층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이 전면을 통해 접착되면,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체적인 벤딩 강성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특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아울러 휴대용 전자장치가 굽혀질 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와 기능판(3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 개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을 접착시킨다. 제1접착층(410)이 패터닝되어 있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의 커플링에 의한 벤딩 강성을 접착층이 패터닝되지 않은 경우의 커플링에 의한 벤딩 강성보다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에 의해 접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전체의 벤딩 강성을 낮춤으로써, 휴대용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이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접착층(410)은 다양한 형태로 패터닝될 수 있는데, 서로 이격된 아일랜드들의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고,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1접착층(410)은 서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또는, 제1접착층(410)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을 갖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넓다. 여기서 기준면적이라 함은, 예컨대 제1접착층(410)이 상호 이격된 아일랜드들의 형태로 패터닝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시 (xy평면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아일랜드의 면적보다 더 넓은, 고정된 특정 수치의 면적일 수 있다.
이는, 만일 제1접착층(410)이 상호 이격된 아일랜드들의 형태로 패터닝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시의 (xy평면에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면적은 동일하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아일랜드들 사이의 중심간격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아일랜드들 사이의 중심감격보다 좁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만일 제1접착층(410)이 상호 이격된 아일랜드들의 형태로 패터닝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시의 (xy평면에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면적이 상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아일랜드들의 면적은 넓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아일랜드들의 면적이 좁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이 접착된 상태에서 굽혀지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의 접착에 의한 스트레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더 크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넓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의 박리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리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제1접착층(410)이 패터닝되어 있기에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체적인 벤딩 강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넓은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특정한 사전설정된 부분에서 접힐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or bendable) 휴대용 전자장치일 수 있다. 그러한 특정한 사전설정된 부분은 벤딩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영역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의 면적과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영역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의 면적보다 넓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만일 제1접착층(410)이 상호 이격된 아일랜드들의 형태로 패터닝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시의 (xy평면에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면적은 동일하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영역에서의 아일랜드들 사이의 중심간격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아일랜드들 사이의 중심감격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만일 제1접착층(410)이 상호 이격된 아일랜드들의 형태로 패터닝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시의 (xy평면에서의) 아일랜드들 각각의 면적이 상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영역에서의 아일랜드들의 면적은 좁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아일랜드들의 면적이 넓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벤더블 특성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가 특정한 사전설정된 부분인 벤딩영역에서 접힐 경우, 휴대용 전자장치의 벤딩영역 이외의 부분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의 접착에 의한 스트레스가 그다지 발생하지 않지만, 벤딩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큰 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영역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넓다. 제1접착층(410)의 면적이 넓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의 접착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의 박리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제1접착층(410)의 패턴 사이를 채우는 보조접착층(410A)을 더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기능판(300) 및 윈도우(510) 등을 통해 외부의 관찰자가 인식하게 된다. 이때 제1접착층(410)이 패터닝되어 있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일부는 제1접착층(410), 기능판(300) 및 윈도우(510)를 통해 외부의 관찰자에 의해 인식되고, 이미지의 다른 일부는 제1접착층(410)을 거치지 않고 기능판(300)과 윈도우(510)를 통해 외부의 관찰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의 관찰자의 눈에 도달하기까지 거치는 층들이 상이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그대로가 아니라 왜곡된 이미지를 관찰자가 인식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제1접착층(410)의 패턴 사이를 채우는 보조접착층(410A)을 구비하기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외부의 관찰자의 눈에 도달하기까지 거치는 층들의 상이성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 특히 이미지의 왜곡은 광이 통과하는 층들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서 주로 발생하는바, 제1접착층(410)과 보조접착층(410A)의 성분이 상이하더라도 굴절율만 유사하다면, 이미지 왜곡의 정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접착층(410)의 접착력이 보조접착층(410A)의 접착력보다 높도록 할 수 있다. 즉, 보조접착층(410A)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관찰자에 의해 인식될 시의 왜곡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에, 그 접착력이 제1접착층(410)의 접착력만큼 높도록 할 필요가 없다. 특히 전술한 것과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체적인 벤딩 강성을 낮추기 위해, 보조접착층(410A)의 접착력은 제1접착층(410)의 접착력보다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도, 보조접착층(미도시)이 제1접착층(410)의 패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기준면적당 보조접착층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기준면적당 보조접착층의 면적보다 좁게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가 벤딩영역을 갖는 경우에도, 제1접착층(410)의 패턴 사이에 보조접착층이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100R, 100G, 100B) 사이에 대응하는 블랙매트릭스(100BM)를 포함한다. 그리고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은 이러한 블랙매트릭스(100BM)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블랙매트릭스(100BM)가 부화소들(100R, 100G, 100B) 사이를 모두 채우고 있고, 제1접착층(410)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블랙매트릭스(100BM)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의 가장자리가 부화소들(100R, 100G, 100B)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위치할 경우, 제1접착층(410)이 투광성을 갖는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를 관찰하는 사용자에 의해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의 가장자리가 일부분 인식될 수도 있다. 이는 결국 휴대용 전자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의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제1접착층(410)이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블랙매트릭스(100BM)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바, 이에 따라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의 가장자리가 관찰자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제1접착층(4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 개념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라이프 형상, 구체적으로 서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되면서 블랙매트릭스(100BM)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 개념도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접착층(410)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을 갖는 하이브리드 형상을 가지면서도 블랙매트릭스(100BM)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이 개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윈도우(510)와 기능판(300) 사이에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에 패터닝된 제1접착층(410)이 개재되고, 윈도우(510)와 기능판(300) 사이에도 패터닝된 제2접착층(420)이 개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 윈도우(510) 및 기능판(300)이 상호 접착되도록 하면서도,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체적인 벤딩 강성을 낮춤으로써, 휴대용 전자장치의 플렉서블 특성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도,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넓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C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2접착층(420)의 면적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부(EP)에서의 기준면적당 제2접착층(420)의 면적보다 넓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제1접착층(410)의 패턴 사이를 채우는 보조접착층을 가질 수도 있고, 또한 제2접착층(420)의 패턴 사이를 채우는 추가적인 보조접착층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접착층(410) 및/또는 제2접착층(4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블랙매트릭스(100BM)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접착층(410)의 다양한 패턴을, 제2접착층(420) 역시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휴대용 전자장치가 벤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편의상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기능판(300) 사이의 제1접착층(410), 그리고 기능판(300)과 윈도우(510) 사이의 제2접착층(420)은 도시하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윈도우(510)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두께나 기능판(300)의 두께보다 얇다. 이에 따라 윈도우(510)의 플렉서블 특성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플렉서블 특성이나 기능판(300)의 플렉서블 특성보다 우수하다. 그러므로 휴대용 전자장치가 벤딩되는 등의 사용과정에 있어서, 윈도우(510)와 기능판(300) 사이의 제2접착층(420)의 접착력이 기능판(3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제1접착층(410)의 접착력보다 낮더라도, 기능판(300)으로부터 윈도우(510)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기준면적당 제2접착층(420)의 면적이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좁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이유로, 기준면적당 제2접착층(420)의 면적이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좁아지도록 하더라도, 윈도우(510)의 플렉서블 특성 상 기능판(300)으로부터 윈도우(510)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기준면적당 제2접착층(420)의 면적이 기준면적당 제1접착층(410)의 면적보다 좁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휴대용 전자장치의 전체적인 벤딩 강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접착층(410)의 물질과 제2접착층(420)의 물질의 기본적인 접착력은 동일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접착층(41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되고, 제2접착층(42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접착층(410)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을 갖고, 제2접착층(42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스트라이프 형상만으로 패터닝되거나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아일랜드 형상만으로 패터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휴대용 전자장치가 +y 방향의 끝단과 -y 방향의 끝단이 -z 방향으로 향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가 +z 방향을 향하도록 벤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ㄹ" 형태로 벤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추가 기능판
300: 기능판 410: 제1접착층
420: 제2접착층 510: 윈도우
520: 하우징

Claims (17)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면 상부에 위치한 윈도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된 기능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기능판 사이 또는 상기 기능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며 패터닝된 제1접착층;
    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보다 넓은, 휴대용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의 패턴 사이를 채우는 보조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이 상기 보조접착층의 접착력보다 높은, 휴대용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 사이에 대응하는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에 대응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폴딩영역을 가져 상기 폴딩영역에서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폴딩영역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과 상이한, 휴대용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폴딩영역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부에서의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보다 넓은, 휴대용 전자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휴대용 전자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휴대용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서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휴대용 전자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기능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기능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며 패터닝된 제2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의 접착력이 상기 제2접착층의 접착력보다 높은, 휴대용 전자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기준면적당 상기 제1접착층의 면적이 기준면적당 상기 제2접착층의 면적보다 넓은, 휴대용 전자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되고, 상기 제2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휴대용 전자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패터닝된 부분을 갖고, 상기 제2접착층은 스트라이프 형상만으로 패터닝되거나 아일랜드 형상만으로 패터닝된, 휴대용 전자장치.
  17.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판은 편광판, 위상지연판 또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1020140096757A 2014-07-29 2014-07-29 휴대용 전자장치 KR10224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57A KR102246292B1 (ko) 2014-07-29 2014-07-29 휴대용 전자장치
US14/656,561 US9977468B2 (en) 2014-07-29 2015-03-12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15/985,651 US10254800B2 (en) 2014-07-29 2018-05-21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57A KR102246292B1 (ko) 2014-07-29 2014-07-29 휴대용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872A true KR20160014872A (ko) 2016-02-12
KR102246292B1 KR102246292B1 (ko) 2021-04-30

Family

ID=5518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757A KR102246292B1 (ko) 2014-07-29 2014-07-29 휴대용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977468B2 (ko)
KR (1) KR1022462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599A (ko) * 2016-03-11 2017-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7305906A (zh) * 2016-04-21 2017-10-31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WO2019039822A1 (ko) * 2017-08-21 2019-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537A1 (ja) * 2015-04-10 2016-10-13 株式会社カネカ グラファイト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放熱部品
US9578768B1 (en) 2015-09-10 2017-02-21 Apple Inc. Laser-colored sapphire material
KR102069286B1 (ko) * 2015-11-20 2020-01-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46150B1 (ko) * 2016-10-03 2020-08-19 김영수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TWI627777B (zh) * 2017-07-26 2018-06-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光學補償結構
US10903435B2 (en) * 2017-10-18 2021-01-26 Dongwoo Fine-Chem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08251B1 (ko) * 2017-11-28 2023-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241293B1 (ko) * 2018-05-14 2021-04-16 김영수 점착조절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CN111866232A (zh) * 2019-04-29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模组及电子设备
CN210514868U (zh) * 2019-11-18 2020-05-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3539094A (zh) * 2021-07-14 2021-10-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2225A (ja) * 1988-10-24 1990-11-19 Ricoh Co Ltd 液晶表示素子
KR20140055685A (ko) * 2012-11-01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946A (en) * 1995-09-21 1998-04-14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device
KR101303816B1 (ko) * 2006-06-30 2013-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모기판,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8116880A (ja) 2006-11-08 2008-05-22 Toppa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ーへのスペーサービーズ形成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4978997B2 (ja) 2006-12-25 2012-07-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283944B2 (ja) * 2008-03-25 2013-09-04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KR101870185B1 (ko) 2011-12-09 2018-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880114B1 (ko) * 2012-02-08 2018-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78831B1 (ko) * 2013-03-12 2020-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40123735A (ko) * 2013-04-15 2014-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캡슐을 갖는 점착제 및 상기 점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점착층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135453B1 (ko) * 2013-05-24 2020-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필름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51916B1 (ko) * 2013-09-27 2019-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강화기판이 부착된 표시소자
KR20150084257A (ko)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2225A (ja) * 1988-10-24 1990-11-19 Ricoh Co Ltd 液晶表示素子
KR20140055685A (ko) * 2012-11-01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599A (ko) * 2016-03-11 2017-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7305906A (zh) * 2016-04-21 2017-10-31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170120731A (ko) * 2016-04-21 2017-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7305906B (zh) * 2016-04-21 2023-08-15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WO2019039822A1 (ko) * 2017-08-21 2019-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69490B2 (en) 2017-08-21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4800B2 (en) 2019-04-09
US9977468B2 (en) 2018-05-22
KR102246292B1 (ko) 2021-04-30
US20160037656A1 (en) 2016-02-04
US20180267576A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4872A (ko) 휴대용 전자장치
CN107801299B (zh) 柔性印刷电路和显示装置
US8884889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27939B2 (en) Touch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146277A1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10096251A1 (en) Stere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61563A (ko)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1484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20130004085A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70088749A1 (en) Adhesive member,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bonded member
JP5718889B2 (ja) タッチパネル
JP2008009189A (ja) 表示装置
WO2019047591A1 (zh) 可折弯盖板、可折弯显示模组及可折弯终端设备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KR20140101601A (ko) 영상 표시 장치
US2021002839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224081A (ja) 表示装置
KR10255796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74336A (ko) 입력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5152946A (ja) タッチパネル用電極基板、及びタッチパネル、ならびに表示装置
JP2008009553A (ja) 電極基板
US11668983B2 (en) Display apparatus
KR102611476B1 (ko)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CN111047984A (zh) 用于显示装置的窗膜和显示装置
JP2010262199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