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282A -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282A
KR20160012282A KR1020140093145A KR20140093145A KR20160012282A KR 20160012282 A KR20160012282 A KR 20160012282A KR 1020140093145 A KR1020140093145 A KR 1020140093145A KR 20140093145 A KR20140093145 A KR 20140093145A KR 20160012282 A KR20160012282 A KR 2016001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ower
unit
sens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8188B1 (en
Inventor
주대현
송정훈
계광현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188B1/en
Publication of KR2016001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1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extinguish system for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tonator having an inflammable filled therein and igniting the inflammable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be injected in a gasified state; a fire-extinguisher having the detonator therein, wherein a fire-extinguishing agent injected to the outside by the inflammable injected in the gasified state in the detonator is filled; a power providing unit providing power to the detonator; a sensor unit having a sensor for sensing a fire of a vehicle to transmit a sensed fire sensing signal; and a fire-extinguisher control unit applying the power of the power providing unit to the detonator in accordance with the fir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operate the fire-extinguis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fire-extinguisher through the fir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Description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detects a fire in a vehicle and evolves the fire.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재를 대비하여 트렁크나 객실에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화재시 소화기를 조작하여 화재를 진압한다.Generally, vehicles have fire extinguishers in their trunks or rooms in preparation for a fire. Therefore, the driver operates the fire extinguisher and extinguishes the fire when the vehicle is in a fire.

이러한 소화기는 내부의 기폭장치가 기폭됨에 따라 소화약제를 분사한다. 이때, 기폭장치는 화약과 같이 외부의 충격이나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부피가 커지는 기폭제가 내장되어 있고, 기폭제가 열이나 충격으로 점화되어 기폭됨에 따라 소화기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시킨다. These fire extinguishers fire extinguishing agents as their internal detonators explode. At this time, the detonator has a built-in initiator such as a gunpowder that instantly becomes bulky due to external impact or heat, and injects the extinguishing agent filled in the extinguisher as the initiator is ignited by heat or impact.

여기서, 전술한 소화기는 최근 들어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내부에 분말형의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가 전술한 기폭장치와 함께 내장되며, 작동버튼이나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기폭장치가 작동할 경우 소화약제가 연소되면서 소화성분이 생성된다. 그리고,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소화성분의 생성시 함께 생성되는 가스의 압력으로 소화성분이 노즐을 통해 분사된다.Herein, the above-mentioned fire extinguisher has recently been filled with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Such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has a powder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incorporated therein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detonating device. When the detonator is operated by operating buttons or operating levers, the extinguishing agent is burned and extinguishing components are generated. And, in the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the extinguishing component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by the pressure of the gas which is generated together with the extinguishing component.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연소시 발생되는 소화성분의 입자가 매우 작기 때문에 소화 효율이 다른 소화기에 비해 훨씬 뛰어나다. 따라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공장이나 미술관, 도서실, 전산실, 이동통신설비, 선박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차량에도 설치되고 있다.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is much better than other fire extinguishers because the particles of the fire extinguisher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re very small. Therefore,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s ar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factories, art museums, libraries, computer rooms, mobile communication facilities, ships and the like, and they are installed in vehicles in recent years.

한편, 전술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8618호(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용 기동부)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폭장치가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기폭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화약제(3)가 투입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일단부에 관통공(5a)이 형성된 하우징(5) 및 하우징(5)의 관통공(5a)에 장착되어 소화약제를 가열하는 히팅부(7)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is mainly equipped with an explosion devic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18618 (an activating part for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device). 1, the detonator has a housing 5 in which a space into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3 is inserted is provided and a through hole 5a is formed at one end and a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housing 5 5a to heat the extinguishing agent.

상기 히팅부(7)는 상기 관통공(5a)에 안착되는 원기둥 구조의 절연체(7a)와, 이 절연체(7a)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자(7b)와, 이 단자(7b)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가열되는 히팅코일(7c)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heating unit 7 includes a cylindrical insulator 7a that is seated in the through hole 5a and a terminal 7b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ulator 7a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7b And a heating coil 7c heated by a power supply.

이러한 히팅부(7)는 외부에서 단자(7b)로 전원이 공급되면 단자(7b)의 히팅코일(7c)이 가열되면서 하우징(5) 내부의 소화약제(3)를 가열시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킨다.In the heating unit 7,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terminal 7b, the heating coil 7c of the terminal 7b is heated to heat the extinguishing agent 3 inside the housing 5, .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히팅부는 원기둥 구조의 절연재가 하우징의 관통구멍에 끼워져 형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히팅코일에 대한 발열량을 증대시키기가 어렵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 기술의 히팅부는 히팅코일의 크기 변경시 절연재도 함께 그 크기를 변경시켜야 하는데 그럴 경우 하우징의 관통구멍 크기도 변경시켜야 하는 등 전반적으로 기폭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heating part of this prior art is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the insulating material of a cylindrical structure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housing,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ing coil is basically difficult to increase. 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in the conventional heating unit, when the size of the heating coil is changed, the size of the insulating material must be changed along with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of the housing.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또한, 히팅코일이 절연재의 일단면에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히팅코일과 하우징 내부의 소화약제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면서 그 만큼 발열 기능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coil is disposed on one end 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eating coil and the extinguishing agent inside the housing is minimized, and the heat generating function is lowered accordingly.

한편, 전술한 기폭장치는 미도시된 배터리(충전식 포함)의 전원에 의해 히팅부(7)가 가열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폭장치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밀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등가직렬저항 방식으로 히팅부(7)에 배터리가 연결되므로 출력이 제한적이다. 즉, 전술한 기폭장치는 고밀도의 전력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기폭장치는 전원의 공급량이 한정적이므로 히팅부(7)를 단시간에 가열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소화약제(3)를 신속하게 점화시킬 수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onator described above, the heating portion 7 is heated by the power source of a battery (including a rechargeable type) not shown. However, such an explosive device has a low power density stored in the battery, and the output is limited because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heating portion 7 by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method. That is, the detonator described above can not provide high-density power.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detonator can not heat the heating unit 7 in a short time because the supply amount of the power source is limited,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3 can not be ignited quickly.

또한, 등가직렬저항 방식으로 히팅부(7)에 배터리가 연결되어 보관되므로 장기간 보관시 배터리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배터리의 전력이 약화됨에 따라 필요시 미작동되는 경우도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7 by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method,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in the battery during long-term storage, and the battery power is weakened.

다른 한편, 전술한 소화기는 화재감지센서와 함께 차량에 설치되어 화재감지센서의 작동에 따라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기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특허 1999-53352호(소화장치를 갖는 차량)에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fire extinguisher is installed in a vehicle together with a fire detection sensor and can fire fire extinguishing ag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Such a fire extinguish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999-53352 (vehicle having a fire extinguisher).

이러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료를 담는 연료탱크부의 연료주입구나 엔진이 장착된 엔진룸 근처에 온도상승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를 연결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전자제어부가 화재의 위험을 판단하였을 경우에 모터를 구동시켜 펌프가 소화액저장부의 소화액을 화재부위를 분사하여 소화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in claim 1, a fi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rise is connected to a fuel injection port of a fuel tank portion for storing fuel or an engine room equipped with an engine,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Whe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judges the danger of fire, the motor is driven so that the pump injects the digestive juice in the digestive juice storage part to fire and extinguish the fire part.

그러나, 이러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단순히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판단하므로 화재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없다.However, thi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can not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e is caused by simply determining the fire using the fire detection senso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8618호Korean Patent No. 10-111861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53352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9-5335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기폭장치의 기폭제가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로 구성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operating 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 fire detection sig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volutionary system.

또, 인화물질로 이루어진 기폭제가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고, 이에 더하여 기폭제가 발열체와 면접촉하면서 가열되어 기폭되며, 더 나아가 면상발열체를 갖는 기폭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In order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n explosive device having a planar heating element, the initiator made of a combustible material is heated by the heating element, and further the initiator is heated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to be.

또한, 기폭시 기체화되는 기폭제를 고압으로 토출시킬 수 있고, 기폭시 인화물질로 이루어진 기폭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장품을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기폭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having a detonator capable of discharging a detonating vaporizer at a high pressure, preventing a detonator made of an ignition-ignition material from leaking out,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아울러, 기폭장치에 차량의 상시전원이나 이와 별개의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축전된 고밀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전원을 축전하는 소자가 구비된 회로를 보호할 수도 있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a constant power source of the vehicle or a separate auxiliary power source to the detonator, in addition to it, to supply a high-density power source that is stored, and further to protect the circuit provided with the device for storing power,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n evolutionary system.

게다가, 불꽃이나 연기 및/또는 외기온도나 연료온도를 감지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영상을 통해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detecting a fire or flame and / or an outside temperature or a fuel temperatur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더욱이, 화재시 음향이나 조명으로 화재를 경고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소화기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기폭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통전선의 단선을 사전에 확인할 수도 있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Furthermore,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vehicles that can warn of fire by sound or lighting in the event of a fire, in addition to which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operated manually, and which can further confirm the disconnection of the power line providing power to the detonator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은, 내부에 인화물질이 충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인화물질을 점화시켜서 기체화 상태로 분출하는 기폭장치; 상기 기폭장치가 내장되고, 상기 기폭장치에서 기체화 상태로 분출되는 인화물질에 의해 외부로 분사되는 소화약제가 충전된 소화기; 상기 기폭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제공부; 차량의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센싱되는 화재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제공부의 전원을 상기 기폭장치로 인가하여 상기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소화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폭장치는, 상기 인화물질이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n explosion device which is filled with a flammable substance therein, and ignites a flammable substanc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o inject the flammable substance into a gasified state; A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installed therein and filled with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o the outside by the fire material spray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in a gasified state;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power to the detonator; A sensor unit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a fire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be sensed; And a fire extinguisher controller for applying the power of the power providing unit to the detonator according to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fire extinguish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material is composed of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

상기 기폭장치는 예컨대, 상기 전원제공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전원단자의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인화물질이 밀봉상태로 내장되고, 상기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면서 기체화 상태로 점화되는 인화물질을 일측으로 분출시키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detonator may include a heating element that is provided with a power terminal to which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and generates heat by a power source of the power terminal; And a casing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and the flammable material are embedded in a sealed state and the flammable material which is ignited in a gasified state while being heated by the heating element is ejected to one side.

상기 발열체는 예컨대, 판상으로 형성되고, 발열이 가능한 전열재로 이루어진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표면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전원단자의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의 발열부;를 포함한다.The heating element is, for example, a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composed of a heat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d a heating uni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heater being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generating heat by a power source of the power terminal.

상기 발열체는, 상기 베이스판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 표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인쇄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열패턴으로 구성된다.The heating element is constituted by a conductive pattern of a conductive material in which the base plate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s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plate.

상기 케이싱은 케이블이 고정되어 케이블을 통해 발열체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사방이 밀봉상태로 차폐되어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인화물질을 외부와 격리시키며, 상기 인화물질이 내장된 일측에 오리피스가 마련되어 오리피스를 통해 기체화된 상기 인화물질을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able is fixed to the casing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through the cable. The casing is shielded in a sealed state at four sides to isolate the heating element and the flammable material from the outside, and an orifice is provided at one side where the flammable material is embedded, and the flammable material vaporized through the orifice is ejected to the outside .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인화물질의 입자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인화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기체화된 상기 인화물질의 배출을 허용하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The casing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med with a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articles of the flammable material to allow discharge of the flammable material while preventing outflow of the flammable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 인화물질이 내장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발열체를 지지하여 상기 발열체를 정위치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astener installed inside the casing in which the phosphor material is embedded, and a fastener supporting the heating element to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cable to fix the heating elemen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어 상기 발열체의 측방을 지지하는 중공형의 슬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er may include, for example, a hollow sleeve which is embedded in the casing and supports the side of the heating element.

상기 슬리브는,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탄성재의 봉이나 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체가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됨에 따라 중공형으로 형성된다.The sleeve is formed of a rod or a block of elastic material formed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and is formed in a hollow shape by forming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heating element penetrates.

상기 케이블은 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The cable may be splined to an end of the sleeve at an end.

상기 케이싱은, 상기 인화물질과 대향하는 상기 슬리브의 일측면을 차폐하여 기체화되는 상기 인화물질의 열을 차단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The casing further includes a stopper shielding one side of the sleeve facing the print material to block heat of the print material vaporized.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이 내부의 일측 및 타측에 제각기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이 위치하는 타측이 코깅으로 밀폐되는 중공관; 및 상기 발열체가 위치하는 상기 중공관의 일측을 밀폐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Wherein the casing is a hollow tube in which a part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cable are respectively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and the other side where the cable is positioned is sealed by cogging; And a cap for sealing one side of the hollow tube where the heating element is located.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블의 진입을 제한하는 단턱안착부; 및 상기 단턱안착부에 설치되고, 신축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중공관의 코깅에 의해 가압되면서 신축하는 와셔;를 더 포함할 필요도 있다.The casing includes: a step seating portion for restricting entry of the cable; And a washer which is installed in the step seating portion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expanded and contract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cogging of the hollow tube.

상기 전원제공부는, 상기 기폭장치에 차량의 전원을 제공하는 차량배터리나 상기 차량배터리와 별개로 구비되어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vehicle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detonator, or an auxiliary power supply tha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hicle battery and supplies a separate power source.

상기 전원제공부는, 상기 차량배터리 및 상기 보조전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배터리 또는 상기 보조전원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통전량에 따라 스위칭되면서 상기 차량배터리나 상기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는 전원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by the vehicle battery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selectively supplies power of either the vehicle battery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while being switch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a power supply selection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상기 보조전원은, 예비배터리 및/또는 에너지 축전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원선택 스위치는 상기 차량배터리나 상기 예비배터리 또는 상기 에너지 축전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도록 구성된다.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spare battery and / or an energy storage device. In this case, the power source selection switch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either the vehicle battery, the spare battery,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상기 전원제공부는, 상기 에너지 축전장치에 축전되는 전원의 축전용량에 따라 상기 발열체로 인가되는 축전된 전원의 통전을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의 과열을 방지하면서 상기 에너지 축전장치가 구비된 회로를 보호하는 통전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controls the energization of the stored power source a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storage capacity of the power source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prevent overheat of the heating element, And control means.

상기 통전제어수단은 예컨대, 상기 에너지 축전장치에 축전되는 전원이 설정된 전압으로 축전되면 축전된 전원을 상기 발열체로 인가시키고, 축전된 전원의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낮아지면 축전된 전원이 상기 발열체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MOSFET;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power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stored at a predetermined voltage, the energization control means applies the stored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When the stored power is lower than the set voltage, the stored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And a MOSFET for blocking off the on-off state.

상기 센서부는 예컨대, 상기 차량에서 발생되는 불꽃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소화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센서통신부;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sensor that detects flame or smoke generated in the vehicle; And a sensor communication unit for applying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or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통신부에 제공하는 제2 센서 또는 상기 차량의 연료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통신부에 제공하는 제3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or a third sensor for sensing the fuel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상기 센서부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음향이나 조명으로 화재를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한다.And a warning unit for warning a fire by sound or illumination according to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상기 소화기 제어부에 화재감지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소화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수동스위치;를 더 포함한다.And a manual switch for apply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er through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상기 전원제공부에서 상기 기폭장치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제공부의 전원을 상기 기폭장치로 인가하는 통전선의 통전량을 확인하여 상기 통전선의 단선을 감지하는 단선감지부;를 더 포함한다.And a step detector for detecting a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power line by check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of the electric power line connected to the detonator and apply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detonator in the power supply unit.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소화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nitoring unit that detects a fir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at least a part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상기 모니터링부는 예컨대, 상기 차량의 화재를 촬영하여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 상기 이미지 제공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소화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The monitor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n image providing unit for photographing a fire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captured image as an image; 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an image of the image provid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 fire is present; And a signal output unit for apply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unit.

여기서, 상기 이미지 제공부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되, 특히 차량의 후방카메라와 같이 소형으로 제조된 카메라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열화상 카메라 또는 블랙박스 카메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imag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camera that captures an image, and may be a camera modul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uch as a rear camera of a vehicle, or may be a thermal camera or a black box camera.

본 발명은, 상기 소화기에 상기 소화약제를 충전시키는 소화약제 충전부;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상기 소화약제 충전부는 예컨대, 상기 소화약제가 저장된 약제탱크; 상기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상기 소화기에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펌핑하여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소화기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The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medicine tank in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is stored;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extinguishing agent of the chemical tank to the extinguisher; And a pump for pump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 the chemical tank and supplying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extinguisher through the supply pip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은, 센서부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소화기 제어부가 기폭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므로 화재시 소화기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기폭장치의 기폭제가 위험성이 내포된 화약이 아니라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로 구성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In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applies power to the detonator in accordance with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upon a fire, Because the initiator is composed of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rather than a hazardous gunpowder,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그리고, 발열체의 열에 의해 인화물질로 이루어진 기폭제가 가열되면서 기폭되므로 기폭제를 용이하게 기폭시킬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기폭제가 발열체와 면접촉하면서 가열되어 기폭되므로 단시간에 기폭제를 기폭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베이스판의 표면에 동일체로 마련된 발열체의 발열부가 면상발열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전원단자의 전원에 의해 면상 발열하므로 인화물질로 이루어진 기폭제와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됨에 따라 기폭제에 대한 전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온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itiator made of a flammable material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heating element, the initiator can be easily exploded. Further, since the initiator is heated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the initiator can be ignited in a short time, Since the heat generating part of the heating elemen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surface heating element and is heated on the surface by the power source terminal, the thermal efficiency for the initiator can be increased as the contact area with the ignition material made of the phosphor material is maximize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raising rate can be shortened and the structure can be made compact.

특히, 발열체를 구성하는 판상의 베이스판가 세라믹으로 제조되므로 고열로 발열이 가능하고, 발열부가 전열패턴으로 구성되어 베이스판에 패턴으로 형성되므로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선의 우려가 없으며, 단시간에 베이스판를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발열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plate-lik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heating element is made of ceramic, heat can be generated with high heat and the heat-generating portion is formed as a pattern on the base plate so as to be easy to manufacture and there is no fear of disconnection, The plate can be easily heated as a whole.

또, 베이스판의 브레이징부에 전원단자가 용가제로 브레이징되므로 전원단자가 베이스판에 용이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terminal is brazed to the brazing portion of the base plate, the power terminal is easily fixed to the base plate.

또한, 복수의 발열체가 중첩상태로 구성될 경우 발열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체의 수량을 조절하여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싱의 오리피스를 통해 기체화된 인화물질이 분출되므로 기체화된 인화물질을 고압으로 분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are formed in the overlapping state, not only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doubled, but also the heat generation amount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heating elements. Since gasified burned material is ejected through the orifice of the casing, The material can be ejected at a high pressure.

아울러, 케이싱에 설치된 필터가 기체화된 인화물질만을 배출시키므로 기폭시 압력에 의해 인화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패스너가 구비됨에 따라 발열체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패스너가 슬리브로 구성되므로 발열체를 보호하면서 케이싱 내부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installed in the casing discharges only the vaporized flammabl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mmable material from flowing out due to the pressure during the explosion, and the heating element can be easily fixed to the fixed position with the fastener being provided. Since it is composed of a sleeve, it can be easily fixed in the inside of the casing while protecting the heating element.

게다가, 슬리브가 발열체가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탄성재의 봉이나 블럭으로 구성되므로 발열체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싱의 내부에 슬리브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발열체를 수밀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 절연시킬 수 있다. 케이블의 단부가 슬리브의 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되므로 슬리브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leeve is composed of the rod or the block of the elastic material formed with the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heating element penetrates, the heating element can be easily protected, the sleev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asing, and the heating element can be easily So that the heat generating element can be protected from the impact while being insulated. Since the end of the cable is splined to the end of the sleeve, the sleeve can be easily secured in place.

이에 더하여, 슬리브의 일측면을 차폐하여 열을 차단하는 스톱퍼가 케이싱에 구비됨에 따라 슬리브의 발화나 용융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싱이 중공관 및 캡으로 구성되므로 인화물질 및 발열체를 용이하게 밀봉상태로 내장할 수 있으며, 케이싱에 단턱안착부가 구비되므로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 와셔에 의해 케이블의 고정부위를 실링하면서 케이싱의 내부에 내장되는 부품들의 조립공차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sing is provided with the stopper for shielding one side of the sleeve to block heat, ignition or melting of the sleeve can be prevented, and the casing is composed of the hollow tube and the cap, And since the casing has a step seating portion, the cable can be easily fix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assembling tolerance of parts embedded in the casing can be adjusted while sealing the fixed portion of the cable by the elastic washer .

또, 전원제공부가 차량배터리나 이와 별개로 구비된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므로 차량배터리의 방전시 보조전원을 통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보조전원이 에너지 축전장치로 구성될 경우 고밀도의 전원을 기폭장치의 발열체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발열체를 가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신속하게 인화물질을 점화하여 기폭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unit is composed of either the vehicle battery or the auxiliary power separately provided, the power can be stably supplied through the auxiliary power source when the vehicle battery is discharged.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power source is configured as the energy storage device, The heating element can be heated in a short time since the power of the ignition device can be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of the explosion device.

또한, 입출력특성 및 축전성능(용량)이 우수한 슈퍼커패시터나 슈퍼콘덴서와 같은 에너지 축전장치에 배터리(축전식 포함)의 전원을 축전시킨 후 수동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축전된 전원을 순간적 또는 연속적으로 발열체에 방전하므로 고밀도의 전원을 안정적으로 발열체에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설전류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에너지 축전장치의 특성으로 인하여 장기간 보관되어도 고밀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절연스위치가 구비될 경우 필요시에만 배터리가 에너지 축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장기간 보관시 배터리에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a power source of a battery (including a storage battery) is stored in an energy storage device such as a super capacitor or a super capacitor having excellent input / output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erformance (capacity),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is instantaneously or continuously supplied It is possible to supply a high-density power source stably to the heating element, and also it is possible to supply a high-density power source even if it is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w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n which leakage current is hardly generated. The battery supplies power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only when necessary, so that leakage current from the battery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during long-term storage.

아울러, 통전제어수단이 에너지 축전장치에 축전되는 전원의 축전용량에 따라 축전된 전원의 통전을 제어하므로 발열체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의 발생시 과전류를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nergization control means controls the energization of the stored power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the power source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the overheat of the heating element can be prevented, and the overcurrent can be prevented when the short is generated, .

게다가, 불꽃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또는 외기온도나 연료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나 제3 센서를 통해 화재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차량의 화재를 좀더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소화기의 오작동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모니터링부의 영상을 통해 차량의 화재를 감지할 수도 있으므로 더욱더 소화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ensor for detecting flame or smoke and / or the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outside temperature or the fuel temperature, or the third sensor,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detect the fire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fire of the vehicle can be detected through the video of the monitoring unit, malfunc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further prevented.

더욱이, 화재시 음향이나 조명으로 화재를 경고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수동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소화기를 작동시킬 수도 있으므로 화재시 소화기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단선감지부를 통해 기폭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통전선의 단선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소화기가 단선에 의해 미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Furthermore, since fire can be warned by sound or illumination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a fire, and 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a manual switch, so that a fire extinguisher can be easily operated by a driver,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disconnection of the power line which provides power to the detonator through the disconnection detection unit,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rated by disconnection.

덧붙여, 소화약제 충전부를 통해 소화약제를 소화기에 충전할 수 있으므로 소화약제를 용이하게 충전 또는 재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charged into the extinguishing agent through the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section, the extinguishing agent can be easily charged or recharg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화기의 기폭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니터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폭장치의 발열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기폭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폭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기폭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기폭장치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소화기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에너지 축전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에너지 축전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및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에너지 축전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of a fire extinguisher;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e fight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unit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unit shown in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element of the detonator shown in FIG. 2;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tonator shown in Figure 2;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tonator shown in FIG. 6; FIG.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detonator shown in FIG. 6 cut away; FIG.
Figure 9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etonator shown in Figure 6;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xtinguisher shown in Fig. 2; Fig.
1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And
Fig. 1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shown in Fig. 2;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압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fire suppre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압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폭장치(EG), 소화기(100), 전원제공부(220), 센서부(210) 및 소화기 제어부(200)를 포함한다.2, the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losion device EG, a fire extinguisher 100, a power supply unit 220, a sensor unit 210 and a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do.

기폭장치(EG)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인화물질(F)이 충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인화물질(F)을 점화시켜서 기체화 상태로 분출한다. 즉, 기폭장치(EG)는 인화물질(F)이 순간적으로 부피가 팽창되도록 인화물질(F)을 연소시켜서 화염 내지는 고온 고압의 가스와 같은 기체를 분출한다. 이러한 기폭장치(EG)는 인화물질(F)이 화약이나 숯분말 등의 다양한 인화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후술되는 소화기(100)에 충전된 소화약제(101)와 동일한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형의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나 이러한 분말을 케이크형태로 고형화한 고형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는 통상의 소화약제이므로 가열시 기폭되면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켜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소화기(100)를 작동시킨다.As shown in FIG. 9, the detonator EG is filled with a flammable substance F therein, and the flammable substance F is igni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eject the flammable substance E in a gasified state. That is, the detonator EG burns the flammable substance F so that the flammable substance F is instantaneously expanded in volume, and ejects a gas such as a flame or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Such an explosive device EG may be composed of various flammable substances such as explosives or charcoal powder, but it may be made of the same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101 as the extinguishing agent 101 filled in the extinguisher 100, And it is most preferable to prepare powdered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or solid such as powder in the form of cake. Since the solid aerosol extinguishing agent is a conventional extinguishing agent, it generates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while being ignited upon heating, and operates the extinguisher 100 as described later.

소화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에 기폭장치(EG)가 내장상태로 설치되고, 통상의 소화약제(101)가 충전되어 기폭장치(EG)에서 기체화 상태로 분출되는 인화물질(F)에 의해 소화약제(101)가 미도시된 통상의 노즐(케이스에 구멍이나 파이프 형태로 설치됨)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소화기(100)는 소화약제(101)가 전술한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형의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나 이러한 분말을 케이크형태로 고형화한 고형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소화기(10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수평상태로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10, the fire extinguisher EG is installed in the case C as shown in FIG. 10, and the general fire extinguishing agent 101 is charged and discharged from the detonator EG into the gasified state The extinguishing agent 101 is e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ventional nozzle (not shown in the form of a hole or a pipe in the case) by a flammable substance F as shown in Fig. The fire extinguisher 100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101, and it is most preferable to prepare a powdered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or solid such as powder in the form of a cake. The fire extinguishe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in a horizontal state, unlike the illustrated case.

전원제공부(220)는 기폭장치(EG)의 기폭을 위해 기폭장치(EG)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제공부(220)는 차량의 상시전원에 대응하도록 대략 12V 내지 24V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원제공부(220)는 공급전원이 전술한 전압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폭장치(EG)를 기폭시킬 수 있는 전압이라면 어떠한 범위의 전원도 공급이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220 provides power to the detonator EG for detonating the detonator EG. The power supply unit 220 preferably supplies a power of approximately 12V to 24V to correspond to a constant power source of the vehicle. However, the power supply unit 2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ower supply, and any range of power supply can be supplied if the voltage is capable of igniting the detonator EG.

센서부(210)는 차량의 화재를 감지하는 후술되는 센서(211~217)가 구비되며, 화재시 센싱되는 센서(211~217)의 화재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The sensor unit 210 is provided with sensors 211 to 217 for detecting a fire in the vehicle and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s 211 to 217 sensed in a fire to the outside.

소화기 제어부(200)는 센서부(210)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을 기폭장치(EG)로 인가하여 소화기(100)를 작동시킨다. 즉, 소화기 제어부(200)는 전원을 차단 또는 인가하는 일종의 스위치와 같이 작동한다. 소화기 제어부(200)는 스위칭작동이 가능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개로 구성된 스위칭부(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을 기폭장치(EG)로 인가할 수도 있다. 이때, 스위칭부는 전원제공부(200) 및 기폭장치(EG)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소화기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소화기 제어부(200)는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을 전술한 센서부(210)에 인가하여 센서부(210)를 작동시킨다.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ppli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the detonator EG in accordance with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210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er 100. That is,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operates as a kind of switch that cuts off or applies power.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may be configured as a circuit capable of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Alternatively,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may be applied to the detonator EG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switching unit (not shown) It is possible.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ower supply unit 200 and the detonator EG, and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ppli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the sensor unit 210 to operate the sensor unit 210.

한편, 전술한 기폭장치(EG)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열체(10) 및 후술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detonating device (EG) can include a heating element 10 as shown in FIG. 7 and a casing described later.

발열체(10)는 전술한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한다. 발열체(10)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 발열부(12) 및 전원단자(13)로 구성될 수 있다.The heating element 10 generates heat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is supplied. The heating element 1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base plate 11, a heating portion 12 and a power supply terminal 13 as shown in Fig.

베이스판(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고, 발열이 가능한 전열재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판(11)은 예컨대, 고열전도성을 갖는 박판형의 세라믹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판(11)은 전열성능이 우수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알루미나 90% 이상의 세라믹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late 1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 5 and is made of a heat transfer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heat. The base plate 11 can be made of, for example, a thin plate ceramic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late 11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of 90% or more of alumina so that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the weight can be reduced.

발열부(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의 표면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발열한다. 발열부(12)는 예컨대, 베이스판(11)의 양측 표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인쇄되고,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전열패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열부(12)는 차량의 유리창에 패턴으로 인쇄된 통상의 열선과 같은 전열패턴으로 구성된다. 특히, 발열부(12)는 발열효율이 극대화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12)는 전열성능이 우수하면서 고열에 대한 내열성을 갖도록 텅스텐 또는 텅스텐 및 몰리브덴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 통상의 부식방지제가 도포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in the same body as shown in Fig. 5 and generates hea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be formed of a heat transfer pattern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plate 11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at is,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is constituted by a heat transfer pattern such as a normal heat line printed in a pattern on a window of a vehicl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is formed in a zigzag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so as to maximize the heating efficiency.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is preferably made of tungsten or a mixture of tungsten and molybdenum so as to have excellent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heat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a conventional corrosion inhibitor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발열부(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의 표면에 성형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발열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에 후술되는 홈형태의 브레이징부(11a)가 형성될 경우 단부가 브레이징부(11a)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nd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t generating part 12 is preferably positioned at an inner side of the brazing part 11a when a groove-shaped brazing part 11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base plate 11.

전원단자(13)는 전술한 전원제공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열부(12)에 인가하여 발열부(12)를 발열시킨다. 전원단자(13)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선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미도시된 통상의 리드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또 달리 전선 또는 리드선이 솔더링으로 접속되는 금속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금속박은 전술한 유리창용 열선의 단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금속재 동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단자(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솔더링 또는 후술되는 브레이징에 의해 발열부(12)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된다. 전원단자(13)는 후술되는 점화전원 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power supply terminal 13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20 and applies the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unit 12 to heat the heat generating unit 12. [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electric wire as shown in FIG. 5, or alternatively may be formed of a common lead wire not shown.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may be formed of a metal foil having a wire or a lead wire connected by soldering You may. The metal foil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foil usually used for applying power to the end of the heat ray for a window. The power supply terminals 13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terminals 13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ing unit 12 by soldering or brazing described later.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ignition power supply means described later.

베이스판(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단자(13)가 전선으로 구성될 경우 전원단자(13)의 단부가 용이하게 브레이징되도록, 도 5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홈형태의 브레이징부(11a)가 구비된다. 브레이징부(1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12)의 단부가 위치한다. 브레이징부(11a)는 발열부(12)의 양단부가 제각기 위치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징부(11a)는 은이나 동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용가제가 수용되고, 전원단자(13)의 단부가 안착된 상태로 브레이징된다. 따라서, 전원단자(13)는 용가제가 브레이징에 의해 용융된 후 경화되므로 단부가 브레이징부(11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전원단자(13)는 용가제에 의해 발열부(12)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된다.As shown in FIG. 5, the base plate 11 is formed in a shape of a groove on the surface, as shown in the upper side of FIG. 5, so that the end of the power terminal 13 is easily brazed when the power terminal 13 is composed of an electric wire, The brazing portion 11a of the brazing portion 11a is provided. In the brazing portion 11a, the end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is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zing part 11a is constituted of a plurality of parts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both ends of the heating part 12 are positioned separately. The brazing portion 11a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silver or copper and is brazed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power source terminal 13 is seated. Accordingly, the power terminal 13 is hardened after the melting of the usable agent by the brazing, so that the end portion is firmly fixed to the brazing portion 11a.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by the use agent.

브레이징부(11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전원단자(13)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대략 '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레이징부(11a)들은 베이스판(11)에서의 점유면적이 최소화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에 교호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the brazing part 11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so that the end of the power source terminal 13 is seated on the end part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zing portions 11a are formed alternately in the base plate 11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occupied area in the base plate 11 is minimized.

여기서, 전술한 베이스판(11)은 전원단자(13)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에 따라 크기(길이, 폭 및 두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판(11)은 전원단자(13)를 통해 대략 24V의 전원이 인가될 경우,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에 의해 고열로 발열되도록 길이 12.0mm±0.5mm, 폭 3.0mm±0.2mm, 두께 0.42mm±0.03mm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베이스판(11)은 전원단자(13)를 통해 대략 12V의 전원이 인가될 경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고열로 발열되도록 길이 7.0mm±0.5mm, 폭 5.0mm±0.3mm, 두께 0.42mm±0.03mm로 제조될 수도 있다. 베이스판(11)은 전술한 크기보다 크거나 작을 경우 발열이 미흡하거나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판(11)은 전술한 바와 같은 크기로 제조되므로 대략 24V의 전원을 사용하는 중대 용량의 소화기 또는 대략 12V의 전원을 사용하는 소용량의 소화기에 적용이 가능하다.Here, the siz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e base plate 1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terminal 13. For example, when a power of approximately 24 V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the base plate 11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12.0 mm ± 0.5 mm and a width of 3.0 mm ± 0.2 mm , And a thickness of 0.42 mm ± 0.03 mm. Alternatively, the base plate 11 may have a length of 7.0 mm ± 0.5 mm, a width of 5.0 mm ± 0.3 mm, and a thickness of 0.42 mm so as to generate heat in a high temperature by an applied power source when a power of about 12 V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terminal 13 mm < / RTI > 0.03 mm. If the base plate 11 is larger than or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size, the heat generation may be insufficient or overheated. Therefore, since the base plate 11 i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applied to a large capacity fire extinguisher using a power source of about 24V or a small-capacity fire extinguisher using a power source of about 12V.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열체(10)는 전기적 안정성 및 응답성 개선을 위해 발열부(12)의 표면노출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열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2층 구조로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발열체(10)는 2층 구조로 구성될 경우 24V와 같은 고전압의 인가를 위해 전원단자(13)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12V와 같은 저전압의 인가를 위해 전원단자(13)가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발열체(10)는 복층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발열시 발열량을 배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고열로 발열될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인화물질(F)과 같은 기폭제를 단시간에 고열로 가열하여 기폭시킬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stabil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eat can be concentrated while minimizing the exposed surface area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2, So that a two-layer structure can be produced. When the heating element 10 has a two-layer structure, the power terminal 13 may be connected in series for application of a high voltage such as 24V. In order to apply a low voltage such as 12V, the power terminal 13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Lt; / RTI > Since the heating elements 10 are constructed in a multi-layer structure, the heating area can be doubled while minimizing the installation area. 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generate heat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also to ignite the initiator such as a flammable substance (F) to be described later by heating it to a high temperature in a short time.

다른 한편, 전술한 기폭장치(EG)의 케이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발열체(10) 및 인화물질(F)이 밀봉상태로 내장된다. 케이싱은 발열체(10)에 의해 가열되면서 기체화 상태로 점화되는 인화물질(F)을 도 9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분출시킨다. 케이싱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60)이 연결되며, 케이블(60)의 케이블단자(63)를 통해 전술한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열체(10)의 전술한 전원단자(13)에 인가한다. 따라서, 발열체(10)는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에 의해 가열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casing of the detonator (EG) has the above-described heating element 10 and the print material F sealed in a sealed state as shown in Fig. The casing ejects the flammable material F, which is ignited in the gasified state while being heated by the heating element 10, to one side as shown in FIG. The casing is connected to the cable 60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receives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through the cable terminal 63 of the cable 60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unit 10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heating element 10 is heated by the power source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케이싱은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0) 및 캡(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공관(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 및 케이블(60)의 일부분이 내부의 일측 및 타측에 제각기 위치하고, 케이블(60)이 위치하는 타측이 코깅으로 밀폐되며, 발열체(10)가 내장된 일측에 인화물질(F)이 충전된다. 캡(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가 위치하는 중공관(20)의 일측을 밀폐한다. 이때, 캡(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중공관(2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중공관(20)에 충전된 분말형의 인화물질(F)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케이싱은 캡(40) 및 케이블(60)에 의해 사방이 밀봉되어 발열체(10) 및 인화물질(F)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킨다.The casing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hollow tube 20 and a cap 40 as shown in Figs. 7 and 8. 9, the hollow tube 20 is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heating element 10 and the cable 60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the other side where the cable 60 is located is sealed by cogging, 10) is embedded in one side thereof. The cap 40 seals one side of the hollow tube 20 where the heating element 10 is located,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 40 is convexly formed inside the hollow tube 20, thereby compressing the powdery fluorescent material F filled in the hollow tube 20. Therefore, the casing is sealed in all directions by the cap 40 and the cable 60 to isolate the heating element 10 and the print material F from the outside.

중공관(2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 및 인화물질(F)이 내장된 일측에 오리피스(21)가 마련된다. 오리피스(21)는 발열체(10)의 가열에 의해 인화물질(F)이 기폭될 경우 기체화되는 인화물질(F), 즉 인화물질(F)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도 9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분출시킨다. 이때, 중공관(20)은 기체화되는 인화물질(F)을 오리피스(21)로만 분출하므로 기체화된 인화물질(F)을 고압으로 분출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hollow tube 20 is provided with an orifice 21 on one side where the heating element 10 and the phosphor material F are embedded. The orifice 21 expands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lammable substance F, that is, the flammable substance F, which is gasified when the flammable substance F is ignited by the heating of the heating element 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hollow tube 20 ejects the flammable substance F to be vaporized only to the orifice 21, the vaporized flammable substance F can be ejected at a high pressure.

중공관(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25)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관(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용 다각면(26)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공관(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10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The hollow tube 20 may be provided with a thread 25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The hollow tube 20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olygonal surface 26 as shown in FIG. Thus, the hollow tube 20 can be screwed into the fire extinguisher 100 as shown in FIG.

한편, 전술한 케이블(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커넥터(90)와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블(60)은 커넥터(90)를 통해 후술되는 전원제공부(220)나 소화기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케이블(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65), 케이블단자(63) 및 케이블전선(62)으로 구성된다. 몰드(6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단턱부(65a, 65b)를 갖는다. 케이블단자(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65)의 단부로 돌출되어 전술한 발열체(10)의 전원단자(13)와 연결된다. 케이블전선(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90)와 연결되어 커넥터(90)의 전원을 케이블단자(63)로 인가한다. 이때, 케이블전선(6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내선(61)을 통해 전원을 인가한다. 따라서, 케이블(60)은 케이블전선(62) 및 케이블단자(63)를 통해 커넥터(90)의 전원을 발열체(10)의 전원단자(13)에 전송한다.Meanwhile, the cable 60 is connected to a connector 90 to which external power is supplied as shown in FIG. The cable 60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220 or a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through a connector 90 to be supplied with power. The cable 60 is composed of a mold 65, a cable terminal 63 and a cable cable 62 as shown. The mold 65 has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7, and has first and second step portions 65a and 65b. The cable terminal 63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mold 65 as shown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3 of the heating element 10 described above. The cable cable 62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90 as shown to apply the power of the connector 90 to the cable terminal 63. At this time, the cable wire 62 applies power through the inner wire 61 as shown in FIG. The cable 60 transmits the power of the connector 90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of the heating element 10 through the cable cable 62 and the cable terminal 63. [

케이블(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65)가 케이싱의 중공관(20)에 내장된다. 케이블(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0)의 타단이 코깅되면서 걸림턱(22)이 형성됨에 따라 몰드(65)가 중공관(20)의 타단에 고정된다. 이때, 몰드(65)는 원활하게 코깅되면서 조립공차가 조절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턱부(65a, 65b) 사이의 홈에 의해 약간 신축된다. 몰드(6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깅에 의해 중공관(20)의 타단을 밀봉하여 발열체(10)가 중공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able 60 is embedded in the hollow tube 20 of the casing in the mold 65 as shown in Fig. The cable 6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20 as the mold 65 is formed as the hooking jaw 22 is formed while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20 is cogged as shown i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mold 65 is slightly stretched by the groov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ep portions 65a and 65b as shown, so that the mold 65 is smoothly cogged and the assembly tolerance is adjusted. The mold 65 seals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20 by cogging to prevent the heating body 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llow tube 20.

케이블(6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단턱안착부(23)에 몰드(65)가 걸림에 따라 중공관(20)의 내부로 설정된 깊이 만큼만 삽입된다. 즉, 케이블(60)은 단턱안착부(23)에 의해 중공관(20)의 내부측 진입이 제한된다.8 and 9, the cable 60 is attached to the stepped seating portion 2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20 at a depth set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20 as the mold 65 is caught, . That is, the entry of the cable 60 to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tube 20 is restricted by the step seating portion 23.

한편, 케이싱의 중공관(20)은 내부의 발열체(10)를 지지하여 발열체(10)를 정위치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한다. 패스너는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의 측방을 지지하는 중공형의 슬리브(30)로 구성할 수 있다. 슬리브(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가 관통되는 가이드공(31)이 형성됨에 따라 중공형을 이루고, 중공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봉이나 블럭으로 이루어진 탄성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슬리브(30)는 가이드공(31)이 형성된 봉이나 블럭 형태의 패킹으로 구성된다. 특히, 슬리브(30)는 가이드공(31)으로 발열체(10)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발열체(10)를 수밀할 수 있도록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30)는 길게 형성됨에 따라 중공관(20)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가이드공(31)에 끼워진 발열체(10)를 용이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슬리브(30)는 패킹으로 구성됨에 따라 가이드공(31)에 끼워진 발열체(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외부와 절연시킬 뿐만 아니라 수밀시킨다. 또한, 슬리브(30)는 탄성재로 구성될 경우 조립시 신축되면서 조립산포를 감소시킨다.Meanwhile, the hollow tube 20 of the casing further includes a fastener that supports the heating element 10 inside and fixes the heating element 10 in place. The fastener can be constituted by a hollow sleeve 30 supporting the sid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the figure, the sleeve 3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rod or a block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tube 20, as a guide hole 31 through which the heating element 10 passes, Can be configured. That is, the sleeve 30 is formed of a rod or a block type packing in which a guide hole 31 is formed. Particularly, the sleeve 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urethane so that the heating element 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 and the heating element 10 can be water tight. As the sleeve 30 is formed to be long, the sleeve 3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20 and easily supports the heating element 10 fitted in the guide hole 31. The sleeve 30 is made of a packing so that the heat emitting body 10 fitted to the guide hole 31 is protected from impact while being insulated from the outside as well as water tight. In addition, when the sleeve 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sleeve 30 is expanded and contracted during assembly to reduce the assembled scattering.

슬리브(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31)에 발열체(10)가 끼워진 상태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0)에 삽입된다. 이때, 슬리브(30)는 발열체(10)가 중공관(20)의 내주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열체(10)를 보호한다.The sleeve 3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20 as shown in FIG. 9 in a state where the heating body 10 is fitted in the guide hole 3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leeve 30 prevents the heating element 10 from rubbing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tube 20 to protect the heating element 10.

슬리브(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내부단턱(24)에 단부가 걸린다. 따라서, 슬리브(30)는 중공관(20)의 내측으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고,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8 and 9, an end portion of the sleeve 30 is hooked to an inner step 24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tube 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leeve 30 can no longer enter the hollow tube 20 and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슬리브(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60)의 몰드(65)에 형성된 걸림돌기(64)와 스플라인 결합된다. 따라서, 슬리브(30)는 회전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정위치에 용이하게 고정된다.The sleeve 30 is splined to the locking protrusion 64 formed in the mold 65 of the cable 60 as shown in Figs. Thus, the sleeve 30 is not only prevented from rotating, but is also easily fixed in place.

슬리브(3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80)가 구비될 경우 인화물질(F)과 대향하는 일측면이 스톱퍼(80)에 의해 보호된다. 스톱퍼(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톱퍼(80)는 인화물질(F)의 기폭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슬리브(30)의 일측면을 보호한다.7 and 9, when the stopper 80 is provided, the sleeve 30 is protected by the stopper 80 at one side thereof facing the print material F. As shown in FIG. The stopper 8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leeve 30 as shown,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stopper 80 protects the one side of the sleeve 30 by intercepting the heat generated when the flammable substance F is ignited.

한편, 케이싱의 중공관(20)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5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50)는 중공관(20)에 충전되는 분말형 인화물질(F)의 입자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의 망으로 구성된다. 필터(50)는 중공관(20)에 충전된 분말형 인화물질(F)이 중공관(20)의 오리피스(2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필터(50)는 인화물질(F)의 기폭시 기체화된 인화물질(F)의 배출을 허용한다. 따라서, 중공관(20)은 기체화된 인화물질(F)만을 오리피스(21)로 분사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llow tube 20 of the casing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50 as shown in FIGS. 7 and 9. The filter 5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net having holes smaller than the particles of the powdery flammable substance F to be filled in the hollow tube 20. The filter 50 prevents the powdery fluorescent material F filled in the hollow tube 20 from flowing out to the orifice 21 of the hollow tube 20. However, the filter 50 permits the evacuation of the gaseousized burned substance F of the burning substance F. [ Thus, the hollow tube 20 can jet only the gasified phosphor material F to the orifice 21. [

또한, 중공관(20)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 와셔(7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와셔(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60)의 몰드(65)에 안착되어 중공관(20)의 코깅시 중공관(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단턱안착부(23)에 가압된다. 이때, 와셔(70)는 신축하면서 코깅시의 압력을 댐핑하여 중공관(20)의 내부에 내장된 슬리브(30)와 몰드(65) 등의 부품들을 과도한 압력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차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와셔(70)는 신축되는 두께에 따라 조립공차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7 and 9, the hollow tube 20 may be provided with a flexible washer 70. [ The washer 70 is seated on the mold 65 of the cable 60 as shown in Fig. 6 and is pressed against the step seating portion 2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llow tube 20 during cogging of the hollow tube 20 do. At this time, the washer 70 is configured to damp the pressure at the time of cogging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to protect the components such as the sleeve 30 and the mold 65 built in the hollow tube 20 from excessive pressure, . Of course, the washer 70 can adjust the assembly tolerance according to the thickness to be stretch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폭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101)가 충전된 소화기(100)의 소화기 케이스(C)에 발열체(10)가 내장된 케이싱의 중공관(20)이 나사결합되며, 전술한 소화기 제어부(200)나 후술되는 수동스위치(S)의 작동시 케이블(60)을 통해 커넥터(90)의 전원이 공급(커넥터는 전술한 전원제공부로부터 공급받음)됨에 따라 발열체(10)가 발열한다. 이때, 발열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60)의 전원이 전원단자(13)를 통해 인가되므로 전열패턴으로 이루어진 발열부(12)가 발열하면서 세라믹재 베이스판(11)을 가열한다. 따라서, 발열체(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50)의 내측에 충전된 인화물질(F)을 가열하여 연소시키면서 화염이나 고온 고압의 가스와 같은 기체로 변환시킨다.10, the explos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case (C) of the fire extinguisher (100) filled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101) And the power of the connector 90 is supplied through the cable 60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or the manual switch S described later (the connecto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described above) The heating element 10 generates heat. 5, since the power source of the cable 60 is applied through the power source terminal 13, the heat generating part 12 of the heating pattern generates heat and the ceramic material base plate 11 is heated Heat it. 9, the heating element 10 heats and burns the flammable material F filled inside the filter 50 as shown in FIG. 9, and converts it into a gas such as a flame or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

필터(50)는 도 9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화된 인화물질(F)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케이싱의 중공관(20)은 오리피스(21)를 통해 기체화된 인화물질(F)을 분사한다. 이때, 중공관(20)은 인화물질(F)이 기체화되어 부피가 팽창하므로 고압으로 기체화된 인화물질(F)을 분사한다. 따라서, 소화기(100)는 기체화된 인화물질(F)이 내부에 분사되면서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101)를 고온 고압으로 가열하여 소화 기체로 변환시키므로 소화약제(101)를 분출한다. 즉, 소화기(100)는 기체화된 인화물질(F)에 의해 소화약제(101)가 연소됨에 따라 미도시된 케이스(C)의 노즐을 통해 소화약제(101)를 분사한다.The filter 50 discharges the gasified burned substance F to the outside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Thus, the hollow tube 20 of the casing injects the vaporized photoresist F through the orifice 21. [ At this time, the hollow tube 20 injects the pyrophoric material F gasified at a high pressure because the pyrophoric material F is vaporized and expanded in volume. Accordingly, the extinguisher 100 ejects the extinguishing agent 101 since the extinguishing agent 101 filled in the inside of the extinguisher 100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is converted into the extinguishing gas. That is, the extinguisher 100 injects the extinguishing agent 101 through the nozzle of the case C (not shown) as the extinguishing agent 101 is burned by the gasified burning substance F.

한편, 발열체(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0)에 의해 중공관(2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슬리브(30)는 인화물질(F)의 기폭시 스톱퍼(80)가 일단부를 차폐함에 따라 기폭시의 열로부터 보호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element 10 is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tube 20 by the sleeve 30 as shown in FIG. Then, the sleeve 30 is protected from the heat of explosion as the stopper 80 of the ignition of the flammable substance F shields one end portion.

다른 한편, 전술한 전원제공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폭장치(EG)에 차량의 전원을 제공하는 차량배터리(CP) 및/또는 차량배터리(CP)와 별개로 구비되어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배터리(CP)의 방전을 백업할 수 있도록 차량배터리(CP) 및 보조전원이 함께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unit 22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hicle battery CP and / or the vehicle battery CP that supplies power to the detonator EG as shown in FIG. 2, And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battery CP. Most preferably, the vehicle battery CP and the auxiliary power source are configured together to back up the discharge of the vehicle battery CP.

여기서, 전술한 보조전원은 도 2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배터리(B) 및/또는 에너지 축전장치(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bove-described auxiliary power source is preferably constituted by the spare battery B and /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s shown in Figs. 2 and 11 to 13.

전원제공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배터리(CP)와 전술한 예비배터리(B) 및/또는 에너지 축전장치(E)로 보조전원이 구성될 경우, 차량배터리(CP) 또는 보조전원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통전량에 따라 스위칭되면서 차량배터리(CP)나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는 전원선택 스위치(222)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원선택 스위치(222)는 도시된 바와 같은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레이는 평상시 차량배터리(CP)의 전원을 통전시킨다. 하지만, 릴레이는 차량배터리(CP)가 방전되거나 단선되어 전원이 통전되지 않을 경우, 내부의 솔레노이드의 자력이 상실되어 스위칭 작동되면서 보조전원의 예비배터리(B)나 에너지 축전장치(E)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킨다.The power supply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battery CP or the vehicle battery CP when the auxiliary power is constituted by the vehicle battery CP, the spare battery B and /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nd a power selection switch 222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either the vehicle battery CP or the auxiliary power source while being switch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power source. The power selection switch 222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relay as shown. The relay normally energizes the vehicle battery (CP). However, when the vehicle battery CP is discharged or disconnected and the power source is not energized, the relay is turned off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inside, so that the relay is switched to either the spare battery B of the auxiliary power source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s shown in Fig.

한편, 전술한 예비배터리(B)는 대략 차량의 상시전원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통상의 건전지나 충전지(차량배터리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함)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비배터리(B)는 구비되는 수량에 의해 차량의 상시전원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spare battery B can be constituted by a normal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preferably charged with a vehicle battery) that applies a voltage corresponding to a constant power source of the vehicle. The spare battery B can apply a voltage corresponding to a constant power sour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ovided quantity.

다른 한편, 전술한 에너지 축전장치(E)는 기폭장치(EG)에 구비된 발열체(10)의 전원단자(13)에 축전된 전원을 점화전원으로서 공급한다. 이러한 에너지 축전장치(E)는 기폭장치(EG)의 일부로 구성되어 기폭장치(EG)의 구성요소와 함께 소화기(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소화기(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E described above supplies power stor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13 of the heating element 10 provided in the detonator EG as an ignition power supply. The energy storage device E may be a part of the detonator EG and may be embedded in the extinguisher 100 together with the components of the detonator EG o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extinguisher 100 .

에너지 축전장치(E)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예비배터리(B)에 연결되어 예비배터리(B)의 전원을 축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차량배터리(CP)에 연결되어 차량배터리(CP)의 전원을 축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 예배터리(B)나 차량배터리(CP)의 양극(+)은 에너지 축전장치(E)의 일단 및 후술되는 수동스위치(S)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예비배터리(B)나 차량배터리(CP)의 음극(-)은 에너지 축전장치의(E) 타단 및 발열체(10)에 마련된 전원단자(13)의 일단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수동스위치(S)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에너지 축전장치(E)는 평상시 예비배터리(B)나 차량배터리(CP)의 전원을 축전한다. 그리고, 에너지 축전장치(E)는 수동스위치(S)의 조작에 의한 스위칭시 축전된 에너지를 발열체(10)로 공급하여 발열체(10)를 발열시킨다. 이때, 발열체(10)는 전술한 기폭장치(EG)에 내장된 인화물질(F)을 점화시켜서 소화기(100)를 작동시킨다.11 to 13, the energy storage device E can be connected to, for example, a spare battery B to store the power of the spare battery B, or alternatively to the vehicle battery CP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battery CP may be charged. At this time, the anode (+) of the battery B or the vehicle battery CP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nd one end of the manual switch S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The negative electrode (-) of the spare battery B or the vehicle battery CP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wer terminal 13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nd the heating element 1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anual switch S is connected to the heating element 10 as shown. Therefore, the energy storage device E normally stores the power of the spare battery B and the vehicle battery CP. The energy storage device E supplies energy accumulated during switching by the operation of the manual switch S to the heating body 10 to generate heat. At this time, the heating element 10 ignites the flammable substance F contained in the detonator EG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er 100.

여기서, 전술한 에너지 축전장치(E)는 전기 에너지가 완전 축전되거나 발열체(10)를 통해 점화가 일어나기 충분한 정도의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어야 함은 자명하다.Here, it is obvious that the energy storage device E described above must store enough electric energy to accumulate electric energy or ignite through the heating element 10.

한편, 전원제공부(220)는 수동스위치(S)가 off(오프) 상태이고 예비배터리(B)나 차량배터리(CP)의 전압과 에너지 축전장치(E)의 전압 간 전압차가 존재하면 전류가 배터리(B)와 에너지 축전장치(E) 사이에서 흐른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배터리(B)나 차량배터리(CP)의 전압이 에너지 축전장치(E)의 전압보다 높으면 전류는 예비배터리(B)나 차량배터리(CP)로부터 에너지 축전장치(E)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에너지 축전장치(E)에 전기에너지가 축전된다.When the manual switch S is off and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spare battery B or the vehicle battery CP and the voltag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is present, And flows between the battery B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E. 11 (a), when the voltage of the spare battery B or the vehicle battery CP is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the current flows from the spare battery B or the vehicle battery CP And flows to the electric storage device (E), whereby electric energy is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E).

전술한 예비배터리(B)나 차량배터리(CP), 에너지 축전장치(E) 및 수동스위치(S)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수동스위치(S)가 on(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B) 또는 에너지 축전장치(E)로부터의 전류가 on 상태의 수동스위치(S)를 통해 발열체(10)로 흐르게 되며 발열체(10)에서 열이 발생함에 따라 점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에너지 축전장치(E)는 수동스위치(S)의 작동시 전술한 케이블(60)을 통해 발열체(10)로 전류를 인가한다.The spare battery B, the vehicle battery CP,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nd the manual switch 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in a circuit as shown in Fig. 11 (b). Therefore, when the manual switch S is turned on, the current from the battery B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flows into the heating element 10 through the manual switch S in the ON state, 10), the igni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pplies a current to the heating element 10 through the cable 60 when the manual switch S is operated.

이러한 에너지 축전장치(E)는 예컨대, 슈퍼 커패시터나 슈퍼 콘덴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슈퍼 커패시터나 슈퍼 콘덴서는 미세한 누설전류값을 가지므로 장시간 축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내부저항이 매우 낮으면서 파워밀도가 높으므로 수동스위치(S)가 on된 후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를 발열체(10)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동스위치(S)가 on된 시점부터 점화가 일어나기까지의 시간을 종래보다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 supercapacitor or a super capacitor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E. Since the super capacitor or the super capacitor has a minute leakage current value, it can maintain the long-term power storage state, and the internal resistance is very low and the power density is high, so that the instantaneous high current is instantaneously a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after the manual switch S is turned on. So that the time from when the manual switch S is turned on until the ignition is started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so that quick ignition can be performed.

여기서, 전술한 에너지 축전장치(E)는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에너지 축전장치(E)는 요구되는 축전용량에 따라 수량이 결정된다.Here, the above-described energy storage device E may be constituted by one unit, but may alternativel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units. In this energy storage device E, the quant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quired power storage capacity.

한편, 전원제공부(220)는 전술한 에너지 축전장치(E)에 축전되는 전원의 축전용량에 따라 발열체(10)로 인가되는 축전된 전원의 통전을 제어하는 통전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energiza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nergization of the stored power source a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in accordance with the storage capacity of the power source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E .

통전제어수단은 예컨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0)와 에너지 축전장치(E)의 사이에 배치되어, 게이트단이 배터리(B, CP)의 양극(+) 및 에너지 축전장치(E)의 일단과 연결되고 드레인단이 발열체(10)와 연결되며 소스단이 배터리(B, CP)의 음극(-) 및 에너지 축전장치(E)의 타단과 연결되는 MOSFET(P)로 구현될 수 있다.The energization control means is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 10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s shown in Fig. 12, for example. The energization control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 of the batteries B and CP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E (P)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 dr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heating element 10, and a source terminal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B and CP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have.

수동스위치(S)가 off(오프) 상태이면 전류는 배터리(B, CP)와 에너지 축전장치(E) 사이에서 흐를 수 있다. 이때 MOSFET(P)의 게이트와 소스간 문턱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양단에 인가되는 경우 드레인과 소스간 채널이 형성되어 MOSFET(P)이 도통될 수 있다. 그러나 수동스위치(S)가 오프상태이므로 발열체(10)로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When the manual switch S is in an off state, a current can flow between the batteries B and CP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E. [ At this time,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gate-to-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MOSFET (P) is applied to both ends, a drain-source channel is formed and the MOSFET (P) can be conducted. However, since the manual switch S is in the OFF state, no current is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배터리(B, CP) 또는 에너지 축전장치(E)로부터 충분한 전압이 MOSFET(P)에 인가되는 경우 MOSFET(P)는 도통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동스위치(S)가 온 상태가 되면 배터리(B, CP) 또는 배터리(B, CP)에 의해 축전된 에너지 축전장치(E)로부터의 전류가 수동스위치(S)를 통해 발열체(10)로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화가 일어나게 된다.The MOSFET P maintains the conduction state when a sufficient voltage is applied from the batteries B and CP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to the MOSFET P so that when the manual switch S is turned on, The electric current from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ccumulated by the batteries CP and CP or the batteries B and CP can be a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through the manual switch S and thus ignition occurs.

배터리(B, CP) 또는 에너지 축전장치(E)로부터 전기에너지가 발열체(10)로 공급됨에 따라 배터리(B, CP) 또는 에너지 축전장치(E)는 점차 방전하며, 배터리(B, CP) 또는 에너지 축전장치(E)의 전압이 MOSFET(P)의 게이트-소스간 문턱전압보다 낮아지면 드레인-소스간 채널이 차단되므로 수동스위치(S)가 온상태이더라도 발열체(10)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고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As the electric energy is supplied from the batteries B and CP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to the heating element 10, the batteries B and CP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re gradually discharged and the batteries B and CP or When the voltag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becomes lower than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MOSFET P, the drain-source channel is cut off so that the electric energy is not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even if the manual switch S is in the ON state Ignition is not performed.

따라서, 발열체(10)로 지나치게 많은 전기 에너지가 공급됨에 따라 점화 후 추가적인 폭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점화전원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회로의 쇼트시 과전류를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한다.Accordingly, since excessive electric energy is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further explosion after ignition, a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shutting off an overcurrent in a short circuit of a circuit constituting the ignition power supply means.

결론적으로, MOSFET(P)은 에너지 축전장치(E)에 축전되는 전원이 설정된 전압으로 축전되면 축전된 전원을 발열체(10)로 인가시켜서 발열체(10)를 발열시키거나, 축전된 전원의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낮아지면 축전된 전원이 발열체(10)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여 발열체(10)의 과열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회로의 쇼트시 과전류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한다.As a result, when the power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E is stored at a predetermined voltage, the MOSFET P generates a heat by heating the heating element 10 by applying the stored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10, When the voltage is lower than the set voltage, the power source is blocked from being a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heating element 10, and also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shutting off an overcurrent in a short circuit.

한편, 배터리(B, CP)나 에너지 축전장치(E), 특히 슈퍼커패시터는 축전되어 있으면 내부저항 또는 물리적인 작용에 의해 자연방전이 일어나며 따라서 발열체(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축전되어 있는 전기에너지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B or CP or the energy storage device E, particularly the super capacitor, is charged, a natural discharge occurs due to an internal resistance or a physical action. Therefore, even if the electric energy is not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Electrical energy is gradually reduced.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열체(1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 배터리(B, CP)와 에너지 축전장치(E)로서 에너지 축전장치(E)에서의 물리적 방전을 배터리(B, CP)가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배터리(B, CP)에서도 자연방전이 일어나며 회로적으로 연결된 에너지 축전장치(E)에 지속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에 따른 방전으로 인하여 배터리(B, CP)가 더이상 에너지 축전장치(E)에서의 전력손실을 보상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eans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to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0 are the batteries B and CP and the energy discharge device E is the physical discharge device for the batteries B and CP But the battery B and the CP are no longer discharged due to the discharge due to the continuous discharge of electric energy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E connected in a circuit where the natural discharge occurs in the batteries B and CP, The power loss in the device E may not be compensated.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제어수단으로서 상술한 MOSFET(P) 뿐만 아니라 절연스위치(S')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overcome this, the fire fight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solation switch S 'as well as the MOSFET P described above as the energization control means as shown in FIG. 10 have.

통상적으로 소화기(100)의 작동을 위해 사용자는 수동스위치(S)를 누르기 전 미도시된 소화기의 안전핀을 제거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안전핀 측과 절연스위치(S')가 연동되도록 구성하여 안전핀이 제거되면 절연스위치(S')가 on상태가 된다. 이러한 절연스위치(S')는 회로로 구성하여 전자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연스위치(S')는 전술한 소화기 제어부(200)에 의해 전자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ormally, for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100, the user must remove the safety pin of the fire extinguisher which is not shown before the manual switch S is pres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pin side and the insulation switch S ' When the safety pin is removed, the isolation switch S 'is turned 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solation switch S 'is constituted by a circuit so as to be electronically opera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on switch S 'is configured to be electronically operated by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described above.

이렇게 구성된 경우, 절연스위치(S')가 off 상태인 때는 배터리(B, CP)와 에너지 축전장치(E) 간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므로 전원제공부(220)에서 어떤 전류 흐름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절연스위치(S')가 on 상태가 되면 배터리(B, CP)가 에너지 축전장치(E)를 축전하며, 에너지 축전장치(E)가 급속 축전되어 빠른 시간내에 점화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축전이 되고 수동스위치(S)가 on 상태가 되면 에너지 축전장치(E)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발열체(10)로 공급되면서 점화가 일어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isolation switch S 'i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ies B and CP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E is cut off, so that no current flows in the power supply unit 220. However, when the insulation switch S 'is turned on, the batteries B and CP store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nd the storage battery E is charged to a sufficient level When the manual switch S is turned on, the electric energy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E is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0 and ignition occurs.

한편, 에너지 축전장치(E)는 수동스위치(S)가 작동될 경우 단시간에 충분한 축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에너지 축전장치(E), 예를 들면 슈퍼 커패시터의 경우 전원제공부(220)의 회로에서의 합성저항과 슈퍼 커패시터의 정전용량 및 배터리(B, CP)의 전류용량에 따라 슈퍼 커패시터에 축전되는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E, sufficient power storage must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when the manual switch S is operated.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upercapacitor, Depending on the composite resistance and the capacitance of the supercapacitor and the current capacity of the battery (B, CP), the rate at which the supercapacitor is charged can be adjusted.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제공부(220)는 에너지 축전장치(E)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MOSFET의 게이스-소스 문턱전압 이하)이면 점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폭장치(EG)의 전기적 연결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점화가 필요한 경우에만 배터리(B, CP)에서 에너지 축전장치(E)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하여 배터리(B, CP)의 수명을 종래보다 더 늘릴 수 있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ignition if the voltag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E is below a certain voltage (below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MOSFE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detonator EG and to supply the electric energy from the batteries B and CP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E only when the ignition is required, I can increase it further.

한편, 전술한 에너지 축전장치(E)는 소화기 제어부(2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10)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을 기폭장치(EG)로 인가하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수동스위치(S) 대신 소화기 제어부(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에너지 축전장치(E)는 소화기 제어부(200)가 전원을 인가하도록 작동할 경우 축전된 전원을 발열체(10)로 인가한다.The energy storage device 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ppli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the detonator EG in accordance with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2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instead of the manual switch 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energy storage device E applies the stored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10 when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part 200 operates to apply power.

다른 한편, 전술한 센서부(21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서 발생되는 불꽃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제1 센서(215, 217) 및 제1 센서(215, 217)의 화재감지신호를 소화기 제어부(200)에 인가하는 센서통신부(21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센서(215, 2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불꽃을 감지하는 자외선센서(215)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217)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10)는 제1 센서(215, 217)에서 불꽃이나 연기가 센싱될 경우 센서통신부(219)를 통해 화재감지신호를 소화기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따라서, 소화기 제어부(200)는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을 기폭장치(EG)에 인가하여 기폭장치(EG)를 기폭시켜서 소화기(100)를 작동시킨다.3,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sensor 215 and a second sensor 217 for detecting flame or smoke generated in the vehicle, and a second sensor 215 and 217 for detecting a fire of the first sensor 215 and 217, And a sensor communication unit 219 for applying a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The first sensors 215 and 217 may include an ultraviolet sensor 215 for detecting a flame or a smoke sensor 217 for detecting a smoke. The sensor unit 210 applie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through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219 when the first sensor 215 or 217 senses flame or smoke. Accordingly, th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ppli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the detonator EG to operate the extinguisher 100 by detonating the detonator EG.

센서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외기온도 및 화재온도를 감지하여 전술한 센서통신부(219)에 제공하는 제2 센서(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차량의 연료온도를 감지하여 센서통신부(219)에 제공하는 제3 센서(21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센서(213)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온도센서 및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엔진룸의 화재온도를 감지하는 통상의 화재온도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센서(211)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연료온도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or 213 for sensing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fire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219 as shown in FIG. The sensor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nsor 211 for sensing the fuel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219. The second sensor 213 may be, for example,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as shown in FIG. 3 and a conventional fir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to detect a fire temperature of the engine room. The third sensor 211 may be constituted by a normal fuel temperature sens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이렇게 구성될 경우, 소화기 제어부(200)는 제2 센서(213)의 외기온도센서에서 인가되는 외기온도 및 화재온도센서의 화재온도를 비교하여 화재온도센서에서 인가되는 온도가 화재온도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소화기 제어부(200)는 차량이 여름철 또는 열대지방에서 운행되어 외기온도센서의 외기온도가 약 50℃이고, 화재온도센서에서 측정된 화재온도가 약 50-60℃일 경우, 그리고 전술한 제1 센서(215, 217)로부터 불꽃이나 연기가 감지된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측정된 화재온도가 고온일지라도 화재가 아닌 것으로 판별한다. 하지만, 소화기 제어부(200)는 외기온도가 약 30℃인 반면, 화재온도가 약 50-60℃이면서 제1 센서(215, 217)로부터 불꽃이나 연기가 감지되었을 경우 화재로 판별하여 소화기(100)를 작동시킨다. 이와 달리, 소화기 제어부(200)는 제3 센서(211)의 연료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급변할 경우, 화재로 판별하여 소화기(10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소화기 제어부(200)는 후술되는 경고부(AL)를 통해 운전자에게 화재경고를 진행한 후 소화기(100)를 전술한 방법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전술한 수동스위치(S)의 조작에 따라 소화기(100)를 전술한 방법으로 작동시킨다.In this case,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outside temperature sensor of the second sensor 213 and the fire temperature of the fire temperatur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applied by the fire temperature sensor corresponds to the fire temperature do. 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may be used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in summer or in the tropics and the outdoor temperature of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is about 50 ° C, the fir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fire temperature sensor is about 50-60 ° C, If a signal indicating that flame or smoke is not applied from one of the first sensors 215 and 217 is determined to be not a fire even if the measured fire temperature is high. However,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is about 30 ° C, when the fire temperature is about 50-60 ° C and the flame or smoke is detected from the first sensor 215 or 217, . Alternatively,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fuel temperature sensor of the third sensor 211 rapidly changes,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fire is a fire, and operates the fire extinguisher 100.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fire extinguisher 100 to operate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fter a fire warning is given to the driver through a warning unit (AL) Thus, the fire extinguisher 100 is opera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소화기 제어부(200)는 전술한 화재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급변할 경우에도 화재로 판단하여 외기온도나 제1 센서(215, 217)의 화재감지신호를 확인한다. 그리고, 소화기 제어부(200)는 외기온도와 화재온도센의 측정온도가 너무 과도하게 차이가 나거나, 제1 센서(215, 217)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인가되었을 경우 소화기(100)를 전술한 방법으로 작동시킨다.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fire is suddenly changed even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fire temperature sensor changes rapidly and confirms the outside temperature or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215 and 217.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ler 200 operates the fire extinguisher 100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fire temperature sensor are excessively different or when a fire detec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first sensors 215 and 217 .

여기서, 전술한 경고부(AL)는 센서부(210)의 화재감지신호나 이에 따른 소화기 제어부(200)의 작동에 따라 음향이나 조명으로 화재를 경고한다. 경고부(AL)는 예컨대, 통상의 부저나 엘이디 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warning unit (AL) warns of fire by sound or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210 and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ccordingly. The alarm unit AL can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normal buzzer or an LED lamp.

한편, 전술한 수동스위치(S)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센터페시아 또는 운전대에 버튼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수동스위치(S)는 소화기 제어부(200)에 화재감지신호를 인가하여 소화기 제어부(200)를 통해 전술한 방법으로 소화기(100)를 작동시킨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anual switch S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button on a dashboard, a center fascia or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manual switch S applie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nd operates the fire extinguisher 100 through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선감지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단선감지부(221)는 전원제공부(220)에서 기폭장치(EG)로 연결되어 전원제공부(220)의 전원을 기폭장치로 인가하는 미도시된 통전선의 통전량을 확인하여 통전선의 단선을 감지한다. 이러한 단선감지부는 예컨대, 미도시된 통전선의 외측에 자성체로 구성된 자화링(미도시) 및 홀센서(미도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단선감지부(221)는 통전선의 통전시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자화링이 자화될 경우 홀센서가 자화링의 자력을 감지하여 소화기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이때, 소화기 제어부(200)는 홀센서에서 인가되는 자력의 세기를 통해 통전량을 확인하여 단선을 감지한 후 전술한 경고부(AL)를 통해 단선을 경고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단선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통전선을 교체하거나 점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ingle lead detection unit 221 as shown in FIG. The single wire guide portion 221 is connected to the detonator EG in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check the amount of power of the unillustrated power line to apply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the detonator, Detects disconnection. The disconnection detecting section may be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magnetizing ring (not shown) and a hall sensor (not shown)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unshow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line. When the magnetizing ring is magnetized by the current generated when the electric wire is energized, the hall sensor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zing ring and applies the sensed magnetic force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t this time,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check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hrough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applied by the hall sensor, detects a disconnection, and warns the disconnection through the warning unit (AL). Therefore, the driver can confirm the disconnection, so the electric wire can be replaced or checked quickly.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2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부(230)는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소화기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즉, 모니터링부(230)는 영상을 통해 변화여부를 판단하는 통상의 비전시스템이다. 따라서, 소화기 제어부(200)는 모니터링부(230)의 판단에 따른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전술한 방법으로 소화기(100)를 작동시켜서 화재를 진화한다.On the other hand, a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230 as shown in FIG. The monitoring unit 230 detects a fir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at least a part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That is, the monitoring unit 230 is a conventional vision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mage changes. Accordingly,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ctivates the fire extinguisher 100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response to a fire detection signal determined by the monitoring unit 230, thereby evolving the fire.

모니터링부(230)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제공부(231), 이미지 분석부(235) 및 신호출력부(23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230 may include an image providing unit 231, an image analyzing unit 235, and a signal output unit 237 as shown in FIG.

이미지 제공부(231)는 차량의 화재를 촬영하여 이미지로 제공한다. 이러한 이미지 제공부(231)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되, 특히 차량의 후방카메라와 같이 소형으로 구성된 카메라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열화상 카메라나 블랙박스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image providing unit 231 photographs the fire of the vehicle and provides it as an image. The image providing unit 231 may be implemented by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in particular a camera module such as a rear camera of a vehicle, or alternatively by a thermal camera or a black box camera.

이미지 분석부(235)는 이미지 제공부(231)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한다. 이미지 분석부(235)는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의 경우 색온도를 통해 화재여부를 분석한다. 이와 달리, 이미지 분석부(235)는 전술한 카메라모듈이나 블랙박스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화재여부를 진단한다. 이때, 이미지 분석부(235)는 화소의 원래값이나 위치에 기반한 화소값을 변경하는 포인트처리, 화소의 원래값과 이웃하는 화소의 값을 기반으로 하여 최소값을 변경하는 영역처리, 화소들의 위치나 배열을 변화시키는 기하학처리 또는 두개 이상의 영상들에 대한 연산을 기반으로 하여 화소값들을 생성하는 프레임처리 중 어느 하나의 영상처리방법을 통해 화재여부를 진단한다. 이러한 영상처리방법은 통상의 비전시스템 구동방법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image analyzing unit 235 analyzes the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231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mera is in a fire state. The image analyzing unit 235 analyzes the fire through the color temperature in the case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thermal imaging camera.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module or the black box camera described above, the image analyzing unit 235 processes the image to diagnose whether or not it is a fire. The image analyzer 235 may perform a point process for changing a pixel value based on an original value or a position of a pixel, an area process for changing a minimum value based on a value of a neighboring pixel and an original value of the pixel, A fire process is diagnosed through any one of image processing methods such as a geometry process for changing an arrangement or a frame process for generating pixel values based on an operation for two or more images. Since the image processing method is a normal vision system driving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신호출력부(237)는 이미지 분석부(235)의 판단결과에 따라 화재감지신호를 소화기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신호출력부는 곧바로 화재감지신호를 소화기 제어부(200)에 인가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33)를 통해 화재감지신호를 소화기 제어부(200)에 인가할 수도 있다.The signal output unit 237 applie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unit 235. The signal output unit may directly apply the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lternatively, the fire alarm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3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 충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소화약제 충전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100)에 전술한 소화약제를 자동으로 충전시킨다. Meanwhile,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as shown in FIG. The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automatically charges the extinguisher 100 as shown in the figure.

소화약제 충전부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가 저장된 약제탱크(T), 약제탱크(T)의 소화약제를 소화기(100)에 공급하는 공급관(L) 및 약제탱크(T)의 소화약제를 펌핑하여 공급관(L)을 통해 소화기(100)에 공급하는 펌프(PP)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약제 충전부는 미도시된 실내의 충전버튼이나 소화기 제어부(200)에서 송출되는 충전신호에 의해 작동한다. 이때, 소화약제 충전부는 펌프(PP)를 작동시켜서 약제탱크(T)의 소화약제를 공급관(L)을 통해 소화기(100)에 공급한다. 따라서, 소화기(100)는 소화약제가 최초로 충전되거나 소화약제의 방출 후 소화약제가 재충전된다.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the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includes a chemical tank T in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is stored, a supply pipe L for supplying the extinguishing agent of the chemical tank T to the extinguisher 100, And a pump PP for pumping an extinguishing agent and supplying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extinguisher 100 through a supply pipe L. [ The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is operated by a charging button (not shown) or a charg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inguisher control unit 200. At this time, the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operates the pump PP to supply the extinguishing agent of the chemical tank T to the extinguisher 100 through the supply pipe L. Thus, the extinguisher 100 is recharged after the extinguishing agent is first charged or after extinguishing the extinguishing agent.

여기서, 전술한 공급관(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라인(L1) 및 메인라인(L)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라인(L2)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관(L)은 분기라인(L2)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공급경로가 다양화됨에 따라 더욱 신속하게 소화약제를 소화기(100)에 충전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supply pipe 1 is constituted by a main line L1 and a plurality of branch lines L2 branched from the main line L as shown in Fig. When the branch line L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ranch lines L2, the supply line L is diversified in the supply route so that the extinguishing agent 100 can be charged more rapidly.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 partial omission, or supplement).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combine some or many of the features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s or combination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and combinations of these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발열체
11 : 베이스판 11a : 브레이징부
12 : 발열부 13 : 전원단자
20 : 중공관 21 : 오리피스
22 : 걸림턱 23 : 단턱안착부
24 : 내부단턱 25 : 나사산
26 : 다각면 30 : 슬리브
31 : 가이드공 40 : 캡
50 : 필터 60 : 케이블
61 : 내선 62 : 케이블전선
63 : 케이블단자 64 : 걸림돌기
65 : 몰드 65a : 제1단턱부
65b : 제2단턱부 70 : 와셔
80 : 스톱퍼 90 : 커넥터
100 : 소화기 101 : 소화약제
200 : 소화기 제어부
210 : 센서부 220 : 전원제공부
221 : 단선감지부 222 : 전원선택 스위치
230 : 모니터링부
B : 예비배터리 E : 에너지 축전장치
P : MOSFET S : 수동스위치
S' : 절연스위치 CP : 차량배터리
EG : 기폭장치 PP : 펌프
T : 약제탱크 AL : 경고부
L : 공급관
10: Heating element
11: Base plate 11a: Brazing part
12: heating part 13: power terminal
20: hollow tube 21: orifice
22: hanging jaw 23:
24: inner step 25: threaded
26: polygonal surface 30: sleeve
31: guide ball 40: cap
50: filter 60: cable
61: Extension 62: Cable cable
63: Cable terminal 64:
65: mold 65a: first stage jaw
65b: second stage jaw 70: washer
80: Stopper 90: Connector
100: Fire extinguisher 101: Fire extinguisher
200: Fire extinguisher controller
210: a sensor unit 220:
221: Single line sensor section 222: Power selection switch
230: Monitoring section
B: spare battery E: energy storage device
P: MOSFET S: Manual switch
S ': Insulation switch CP: Vehicle battery
EG: Explosive device PP: Pump
T: Chemical tank AL: Warning part
L: Supply pipe

Claims (10)

내부에 인화물질이 충전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인화물질을 점화시켜서 기체화 상태로 분출하는 기폭장치;
상기 기폭장치가 내장되고, 상기 기폭장치에서 기체화 상태로 분출되는 인화물질에 의해 외부로 분사되는 소화약제가 충전된 소화기;
상기 기폭장치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제공부;
차량의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센싱되는 화재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제공부의 전원을 상기 기폭장치로 인가하여 상기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소화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폭장치는,
상기 인화물질이 고체에어로졸 소화약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An explosion device in which a flammable substance is filled in the flammable substance, and a flammable substance is igni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jet the flammable substance in a gasified state;
A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fire extinguisher installed therein and filled with fir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o the outside by the fire material sprayed from the fire extinguisher in a gasified state;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power to the detonator;
A sensor unit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a fire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be sensed; And
And a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er by applying power of the power providing unit to the detonator in accordance with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Wherein the detonator furthe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said flammable material is comprised of a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ing ag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장치는,
상기 전원제공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가 구비되고, 전원단자의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인화물질이 밀봉상태로 내장되고, 상기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면서 기체화 상태로 점화되는 인화물질을 일측으로 분출시키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heating element provided with a pow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generating heat by a power source of the power terminal; And
And a casing which encloses the heating element and the flammable material in a sealed state and discharges the flammable material ignited in a gasified state while being heated by the heat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발열이 가능한 전열재로 이루어진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표면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전원단자의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의 발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heat sink according to claim 2,
A base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de of a heat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heat; And
And a heating uni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n identical form and generating heat by a power source of the power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베이스판이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 표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인쇄되는 전도성 재질의 전열패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heat sink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ase plate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Where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conductive pattern of a conductive material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공부는,
상기 기폭장치에 차량의 전원을 제공하는 차량배터리나 상기 차량배터리와 별개로 구비되어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tonator, and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supplying a separate power source to the detonator, the igniter being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hicle batter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공부는,
상기 차량배터리 및 상기 보조전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배터리 또는 상기 보조전원에서 제공되는 전원의 통전량에 따라 스위칭되면서 상기 차량배터리나 상기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시키는 전원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The vehicle battery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And a power selection switch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either the vehicle battery or the auxiliary power source while being switch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or the auxiliary po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에서 발생되는 불꽃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소화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센서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통신부에 제공하는 제2 센서 또는 상기 차량의 연료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센서통신부에 제공하는 제3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flame or smoke generated in the vehicle; And
And a sensor communication unit for applying a fire detection signal of the first sensor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The sensor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n outside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or a third sensor for sensing a fuel temperature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공부에서 상기 기폭장치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제공부의 전원을 상기 기폭장치로 인가하는 통전선의 통전량을 확인하여 상기 통전선의 단선을 감지하는 단선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p of detecting a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power line by checking the electric power amount of the electric power line connected to the detonator and apply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detonator in the power supply uni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소화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차량의 화재를 촬영하여 이미지로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부;
상기 이미지 제공부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화재감지신호를 상기 소화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nitoring unit for detecting a fir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at least a part of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The monitoring unit,
An image providing unit for photographing a fire of the vehicle and providing the image as an image;
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an image of the image provid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 fire is present; And
And a signal output unit for apply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extinguisher control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image analysis unit.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에 상기 소화약제를 충전시키는 소화약제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화약제 충전부는,
상기 소화약제가 저장된 약제탱크;
상기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상기 소화기에 공급하는 공급관; 및
상기 약제탱크의 소화약제를 펌핑하여 상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소화기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화재진화 시스템.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n extinguishing agent charging unit charging the extinguishing agent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The extinguishing agent-
A chemical tank in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is stored;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extinguishing agent of the chemical tank to the extinguisher; And
And a pump for pump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 the chemical tank and supplying the extinguishing agent to the extinguisher through the supply pipe.
KR1020140093145A 2014-07-23 2014-07-23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KR1016281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45A KR101628188B1 (en) 2014-07-23 2014-07-23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45A KR101628188B1 (en) 2014-07-23 2014-07-23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282A true KR20160012282A (en) 2016-02-03
KR101628188B1 KR101628188B1 (en) 2016-06-09

Family

ID=5535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145A KR101628188B1 (en) 2014-07-23 2014-07-23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1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8429B2 (en) 2020-03-11 2023-05-16 Hyundai Motor Company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ire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815B1 (en) * 2021-06-01 2024-02-23 김박미 Fire extinguisher with improved fun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613A (en) 1999-11-27 2001-06-15 이여균 Assembly half pipe for roller-skate and skateboard exercise with protection system
KR200385989Y1 (en) * 2005-03-04 2005-06-07 김장섭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ship
US20070246229A1 (en) * 2006-04-10 2007-10-25 Gross Marc V Aerosol fire-retarding delivery device
KR100857387B1 (en) * 2008-02-14 2008-09-05 정경욱 Ceramic flat-typed heater
KR100932097B1 (en) * 2009-06-23 2009-12-16 고려화공 주식회사 Electrically-operating solid-aerosol automatic extinguisher including lateral outlet
KR101118618B1 (en) 2011-06-07 2012-03-06 윤종원 Activator for solid-aerosol automatic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613A (en) 1999-11-27 2001-06-15 이여균 Assembly half pipe for roller-skate and skateboard exercise with protection system
KR200385989Y1 (en) * 2005-03-04 2005-06-07 김장섭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ship
US20070246229A1 (en) * 2006-04-10 2007-10-25 Gross Marc V Aerosol fire-retarding delivery device
KR100857387B1 (en) * 2008-02-14 2008-09-05 정경욱 Ceramic flat-typed heater
KR100932097B1 (en) * 2009-06-23 2009-12-16 고려화공 주식회사 Electrically-operating solid-aerosol automatic extinguisher including lateral outlet
KR101118618B1 (en) 2011-06-07 2012-03-06 윤종원 Activator for solid-aerosol automatic extinguis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8429B2 (en) 2020-03-11 2023-05-16 Hyundai Motor Company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ir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188B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2734B2 (en) Fire extinguisher
KR100932097B1 (en) Electrically-operating solid-aerosol automatic extinguisher including lateral outlet
JP6103887B2 (en) Power storage system
JP3038722U (en) Starting devic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unction
JP3028182U (en) Combined low pressure switch / squib or initiator / gas generator device for compressed gas airbag inflators
KR101628188B1 (en) Fire-extinguish system for vehicle
US20190193658A1 (en) Modular safety kit
JP4828857B2 (en) Portable restraint net deployment device and portable restraint mesh deployment device
KR101292512B1 (en) Actuator of a condensed aerosol fire extinguisher
KR101214303B1 (en) Condensed aerosol fire extinguisher of multi actuators type
JP4823638B2 (en) Portable restraint net deployment device
KR20210029352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ire of vehicle
KR200447025Y1 (en) Electric Solid Aerosol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N216022876U (en) Fuse starting drive and fire extinguisher
KR102439182B1 (en) Switchgear (high-voltage panel, low-voltage panel, motor control panel, distribution panel) Equipped with an Initial Fire Extinguishing Device
KR101583681B1 (en) Fire extinguisher
KR101623337B1 (en) Heater for ignition and ignitio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er thereby
CN216022875U (en) Electric initiator starting drive and fire extinguisher
CN113633918A (en) Fuse starting drive and fire extinguisher
KR101216135B1 (en) Operating the device with the battery fire extinguisher
KR101593393B1 (en) Ignitio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er and fire extinguisher thereby
JP5364354B2 (en) Portable restraint net deployment device
CN216022832U (en) Fire extinguisher and starting mechanism thereof
KR100932099B1 (en) Electrically solid-aerosol automatic extinguisher including lateral outlet
JP6316563B2 (en) Fire extinguishing gas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