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711A - multicopter - Google Patents

multicop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711A
KR20160010711A KR1020140090373A KR20140090373A KR20160010711A KR 20160010711 A KR20160010711 A KR 20160010711A KR 1020140090373 A KR1020140090373 A KR 1020140090373A KR 20140090373 A KR20140090373 A KR 20140090373A KR 20160010711 A KR20160010711 A KR 2016001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ter
propeller
body portion
present
th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4899B1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99B1/en
Publication of KR2016001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7/00Aircraft stabilis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pter which is able to move 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a pitching control and enables a yawing control without the control of the rotation speed of a propeller. The multicopter comprises: multiple propellers (130) which are supported to a body part (110) to be rotated; and a thrust control unit (140) which is installed under the body part (110) and comprises a variable blade (143) having a controllable rotation angle to guide the wind generated by the propellers (130) to the side, thereby generating thrust for all direction movement or a yawing control.

Description

멀티콥터{multicopter}Multicopter {multicopter}

본 발명은 피칭 제어가 필요 없이 수평 자세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의 조정 없이 요잉 제어가 가능한 멀티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pter capable of moving in a horizontal posture without requiring pitching control and capable of controlling yawing without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a propeller.

멀티콥터(multicopter) 또는 멀티로터(multirotor)는 고정익 비행체와 대비되어 두 개 이상의 로터(rotor)를 이용하여 부양력을 얻는 비행체를 의미하며, 비행체의 운동은 각 로터의 상대적인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이루어진다.A multicopter or multirotor means a flying body that gains floating capacity by using two or more rotors in contrast to a fixed-wing flight, and the movement of the flying body is achieved by adjusting the relative rotation speed of each rotor.

최근 멀티콥터는 주로 군사무기로만 활용되던 무인항공기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물류 배송수단으로 부각이 되는가하면, 농업, 재난 구조, 방송, 레저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면서 무한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Recently, multi-copter has attracted attention in various fields as unmanned airplane, which was mainly used as a military weapon. For example, it is recognized as a next-generation logistics delivery method, and it is recognized as being infinite possibilit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agriculture, disaster relief, broadcasting, and leisure.

이러한 멀티콥터는 로터의 숫자에 따라서 4-, 6-, 8-로터 헬리콥터(helicopter)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Such a multi-copter may be called a 4-, 6-, or 8-rotor helicopt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rotors.

도 1은 일반적인 쿼드콥터의 평면 구성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general quadruple copter.

도 1을 참고하면, 쿼드콥터(10)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서 방사형으로 고정되는 4개의 암(20)과, 각 암(20)에 마련된 모터(40)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4개의 프로펠러(30)로 구성된다.1, the quad-copter 10 includes a body 10, four arms 20 fixed radially from the body 10, and a motor 40 provided to each arm 20 And four propellers 30 that are rotationally driven.

이와 같이 구성된 쿼드콥터(10)는 각 프로펠러(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비행에 필요한 추력과 자세제어가 이루어진다.The quadcopte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each propeller 30 to perform thrust and attitude control necessary for the flight.

도 2의 (a)(b)(c)는 일반적인 쿼드콥터의 작동 원리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각 프로펠러의 화살표는 회전 방향과 속도의 크기를 나타낸다.FIGS. 2 (a), 2 (b) and 2 (c) illustrate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general quadrupole coperator. Arrows of the respective propellers represent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velocity.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프로펠러(31) 및 제3프로펠러(33)와, 제2프로펠러(32) 및 제4프로펠러(3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회전 속도의 크기에 따라서 쿼드콥터는 평행한 자세로 높이 조정이 이루어지거나 호버링(hovering)이 이루어진다(a).2, the first propeller 31 and the third propeller 33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ropeller 32 and the fourth propeller 34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In case of rotating at a speed, the quadcopter is height-adjusted or hovered in a parallel postur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al speed (a).

또한 4개의 프로펠러 중의 특정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 요잉(yawing),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Yawing, rolling and pitching can also be done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of a particular propeller in the four propellers.

예를 들어, 제1프로펠러(31) 및 제3프로펠러(33)와, 제2프로펠러(32) 및 제4프로펠러(34)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비행체의 요잉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b), 4개의 프로펠러 중에서 특정 프로펠러만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제어하여 비행체의 피칭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propeller 31 and the third propeller 33, the second propeller 32 and the fourth propeller 34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yaw control of the air vehicle can be performed b), the pitching control of the airplane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only a specific propeller among the four propellers.

이와 같이 작동이 이루어지는 쿼드콥터는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칭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프로펠러의 숫자와 무관하게 멀티콥터에서는 기본적인 작동 원리에 해당한다.The quad-copter that operates in this way is controlled through pitch control when it wants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ch is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 in multi-copte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ropellers.

그러나 이와 같이 피칭 제어를 통한 멀티콥터의 추력 발생은 비행체가 진행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멀티콥터의 활용에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가 있다.However, the generation of the thrust of the multi-copter by the pitching control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lying body is inclined toward the traveling direction, which can be a limiting factor for the utilization of the multi-copter.

예를 들어 카메라가 장착되어 영상 촬영을 목적으로 하는 멀티콥터에서는 비행체의 자세에 따라서 카메라 앵글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필요한 영상을 얻기 위하여 비행체의 이동에 따른 피칭각(pitching angle)이 같이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in a multi-copter equipped with a camera, the angle of the camer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vehicle, and therefore, the pitching ang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obtain the necessary image There is a problem.

등록특허 제10-1366310호(공고일자: 2014.02.21)Registration No. 10-1366310 (Publication Date: Feb. 21, 2014)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0116호(공개일자: 2013.12.02)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30116 (Publication date: 2013.12.02) 미국 공개특허 US2010/0243794(공개일자: 2010.09.30)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US2010 / 0243794 (published on September 30, 2010) 미국 공개특허 US2013/0287577(공개일자: 2013.10.13)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US2013 / 0287577 (published on October 13, 201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비행체의 피칭 제어가 필요 없이 수평 자세에서 비행체의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의 조정 없이 요잉 제어가 가능한 멀티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copter capable of moving a flying object in a horizontal posture without requiring pitch control of a flying object and capable of controlling yawing without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

또한 본 발명은 멀티콥터의 하강 시에 비행체의 자세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멀티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copter capable of improving posture stability of a flying body when the multi-copter is lower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콥터는, 몸체부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되는 복수의 프로펠러와; 상기 몸체부 아래에 설치되어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가변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측방으로 유도하여 전후 좌우 이동 또는 요잉 제어를 위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력조절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opt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rotatably supported by a body; And a thrust force adjusting unit that is installed below the body and includes a variable blad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ngle of rotation to generate a thrust for guid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propeller sideways to perform forward, backward, leftward, rightward, or yawing control.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력조절수단은, 상기 몸체부 하단에서 수직하게 마련되는 로드와; 상기 가변날개가 수평축 상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최소한 두 개 이상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로드 하단에 마련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날개는 상기 제2몸체부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ust adjusting means includes: a rod verticall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And a second body pa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wherein the variable wing is provided in at least two or more radial types so that the variable wing can be rotationally driven on a horizontal axis. More preferably, And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연결하는 로드는 상기 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랙과 피니언 기어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is adjustable, and more preferably, the rod connecting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is formed of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rack and the pinion gear.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콥터는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복수의 프로펠러 하부에 풍향을 조정하게 되는 추력조절수단이 마련됨으로써, 프로펠러의 회전 구동을 통한 비행체의 피칭 제어가 필요 없이 수평 자세에서 추력조절수단의 회전각 조작만으로 비행체의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의 조정 없이 요잉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multi-cop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rus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wind to a lower portion of a plurality of propellers for generating lift, so that the pitching control of the airplane through rotation driving of the propeller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airplane only by each operation, and the yawing control can be effected without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콥터는 추력조절수단의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비행체의 자세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multi-cop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thrust adjusting means, thereby improving the posture stability of the ai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쿼드콥터의 평면 구성도,
도 2의 (a)(b)(c)는 일반적인 쿼드콥터의 작동 원리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정면 구성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정면 구성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저면도 및 정면도.
FIG. 1 is a plan view of a general quadruplector,
FIGS. 2 (a), 2 (b) and 2 (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general quadrupole coil,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and 5 (b) illustrate an operation example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are a bottom view and a front view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ta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also be interpre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쿼드콥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quad-copter will be exemplified.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100)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에서 방사형으로 고정되는 4개의 로터암(120)과, 각각의 로터암(120)의 수직축 상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로펠러(130)와, 몸체부(110) 하단에 배치되어 수평축 상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프로펠러(130)에 의해 발생되는 풍향을 가변하게 되는 추력조절수단(140)을 포함한다.
3, the quad-cop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110, four rotor arms 120 radially fixed in the body portion 110, A propeller 130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nd rotatably driven on a horizontal axis to adjust a thrust force to vary the direction of the wind generated by the propeller 130, (140).

몸체부(110)는 비행체의 원격 조작을 위한 송수신 장치와, 가속도 센서, 자이로센서와 같은 자세 제어를 위한 각종 센서류, 및 콘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장 부품들을 고정 수납하게 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10 may include a transceiver for remote control of a flying object, various sensors for controlling the posture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 controller, and the like. can do.

몸체부(110) 하단에는 지면에 착지 시에 몸체부(1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랜딩스키드(landing skid)와 같은 지지수단이 부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수단은 추력조절수단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A supporting means such as a landing skid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body 110 at the time of landing on the ground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occur.

바람직하게는, 쿼드콥터의 무게 중심은 몸체부(110)의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비행체의 제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quad-copt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10, so that the control of the flying body can be performed easily.

로터암(120)은 몸체부(110)의 중심으로부터 회전 대칭되게 방사형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각 로터암(120)의 자유단에는 프로펠러(1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제1구동원이 마련되며, 제1구동원은 전동식의 구동모터(131)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로터암(120)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The rotor arm 120 is provided to extend radially and symme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ody 110. A free end of each rotor arm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sour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ropeller 130, The first drive source may be provided by an electric drive motor 131 and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rotor arm 120.

본 실시예에서 각 프로펠러는 구동모터(131)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구동모터와 프로펠러는 일렬의 기어 군을 매개로 하여 프로펠러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며, 이때 구동모터는 로터암의 자유단이 아닌 몸체부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propeller is illustrat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31.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opeller can be rotationally driven through a series of gears of the drive motor and the propeller, The motor may be disposed in the body portion rather than the free end of the rotor arm.

각 구동모터(131)는 콘트롤러에 의해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며, 각 구동모터(131)에 의한 프로펠러(130)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의 제어를 통하여 비행체의 비행이 이루어진다.Each of the drive motors 131 is driven and controlled by a controller, and the flight of the airplane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130 by the respective drive motors 131.

특히 본 발명에서 몸체부(110) 하단에는 수평축 상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여 회전각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추력조절수단(140)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ust adjusting means 14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to enable rotational driving on a horizontal axis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구체적으로 추력조절수단(140)은 몸체부(110) 하단에서 수직하게 고정되는 로드(141)와, 이 로드(141) 하단에 지지되는 제2몸체부(142)와, 제2몸체부(142)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수평축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가변날개(143)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thrust adjusting means 140 includes a rod 141 vertically fix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110, a second body 142 supported at a lower end of the rod 141, a second body 142 And at least two or more variable vanes 143 arranged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axis.

로드(141) 상단은 몸체부(110)의 중심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가변날개(143)는 제2구동원에 의해 회전각 제어가 이루어지며, 제2구동원으로는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RC servo)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rod 141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body 110. The variable vane 143 is controlled by the second driving source and the second driving source is a servo motor RC servo).

본 실시예에서 가변날개(143)는 프로펠러와 동일하게 4개로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으나, 회전 대칭되게 방사형으로 배치된 구조의 범위 내에서 2개 이상이면 족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riable vanes 143 are shown to be composed of four as in the case of the propeller, but two or more of the variable vanes 143 may be sufficient within the range of the structure that is rotationally symmetrically arranged radially.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쿼드콥터의 용도에 따라서는 제2몸체부(142) 하부에는 카메라 등의 부가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부가 구조물은 제2몸체부과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depending on the use of the quad-copter, an additional structure such as a camera may be provided under the second body portion 142, and the additional structure may be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도 4를 참고하면, 프로펠러(130)에 의해 발생된 수직 방향의 풍력은 가변날개(143)의 회전각에 따라서 그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바꿀 수가 있으며, 이러한 수평 방향의 풍력은 쿼드콥터(100)의 자세를 수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쿼드콥터(100)의 이동에 필요한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정지 상태에서 요잉 제어(자전)가 이루어질 수 있다.4, the wind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generated by the propeller 130 can be ch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variable blade 143, and the wind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quad- The thrust necessary to move the quad-copter 100 can be generated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quad-copter 100 horizontally, or the yawing control (rot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stopped state.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작동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a) and 5 (b)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 5의 (a)를 참고하면, 호버링이 이루어지도록 4개의 프로펠러가 동일 속도로 회전 구동하는 상태에서 제1,3가변날개(143a)(143c)는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제2,4가변날개(143b)(143d)만이 특정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회전하는 경우에 쿼드콥터는 수평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경사를 갖는 가변날개의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a), in a state in which four propellers are rotationally driven at the same speed so as to perform hovering, the first and third variable vanes 143a and 143c maintain a vertical state, In the case where only the two opposing second and fourth variable vanes 143b and 143d are rotated so as to have inclin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the quad-copter advances or reverses in the direction of the variable vane having the inclined state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attitude There is a number.

한편, 도 5의 (b)를 참고하면, 호버링이 이루어지도록 4개의 프로펠러가 구동하는 상태에서 네 개의 가변날개(143a)(143b)(143c)(143d)가 회전 방향으로 동일 각도만큼 경사를 갖도록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가변날개에 의해 발생된 수평한 방향의 풍력에 의해 요잉 모멘트가 발생되어 회전(자전)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four variable vanes 143a, 143b, 143c, and 143d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in the rotat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four propellers are driven so that hovering is performed. When the rotation is performed, a yawing moment is generated by the wind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generated by the variable blade, and rotation (rotation) can be performed.

특히 이와 같이 가변날개를 이용한 쿼드콥터(100)의 이동이나 요잉 제어는 쿼드콥터의 호버링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가변날개의 회전각 조작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프로펠러만의 회전 속도 제어를 통한 종래의 쿼드콥터와 경우와 비교하여 빠른 동작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Particularly, the movement or yawing control of the quadrupole coperator 100 using the variable wing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rotation angle manipulation of the variable vane without chang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in the hovering state of the quadrupole copter, Speed operation respons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quad-copter based on the conventional cas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정면 구성도로써, 앞서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IG. 6 is a front view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6을 참고하면, 로드(241) 하단에 마련되는 제2몸체부(242)는 로드(241)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로드(241) 하단에는 랙기어(242a)가 형성되고 제2몸체부(242)는 랙기어(242a)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243)가 마련된다.6, the second body portion 24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241 is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rod 241, and a rack gear 242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241, 2 body portion 242 is provided with a pinion gear 243 which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242a.

피니언기어(243)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모터(244)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모터(244)의 회전에 의해 제2몸체부(242)는 상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nion gear 243 is rotationally driven by a motor 244 capable of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so that the rotation of the motor 244 allows the second body 242 to be adjusted up and down .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241)와 제2몸체부(242)가 랙과 피니언 기어로 결합되어 몸체부(110)와 제2몸체부(242) 사이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짐을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써 몸체부와 로드가 랙과 피니언 기어로 결합이 이루어져 몸체부에 대해 로드가 상하 이동하여 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rod 24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42 are coupled with the rack and pinion gear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42.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body and the ro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ack and the pinion gear so that the rod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d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and the second body.

이와 같이 몸체부(110)와 제2몸체부(242) 사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함으로써 쿼드콥터(200)의 자세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다.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242 can be adjusted, the posture stability of the quadcopter 200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몸체부(242)는 앞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카메라와 같은 부가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쿼드콥터의 무게 중심은 몸체부(110)와 함께 제2몸체부(242) 및 부가 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결정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quad-copt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42 and / or the second body 244 together with the body 110.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by the load of the auxiliary structure.

한편 쿼드콥터(200)의 하강 중에는 프로펠러(130)의 회전 속도의 감속이 이루어지므로 풍속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어 불안정한 비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deceleration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130 is performed during the descent of the quad-copter 200, so that the unstable flight can be achieved because the speed is affected by the wind speed.

이와 같은 비행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241)와 제2몸체부(242) 사이의 간격을 멀게 하여 제2몸체부(242)가 무게중심에서 멀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멘트를 발생시켜 회전력을 만들어 자세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의 감속이 이루어지는 하강 비행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쿼드콥터의 불안정한 자세를 개선할 수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241 and the second body 242 is distanced so that the second body 242 is positioned far away from the center of gravity, By improving the stabil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nstable attitude of the quad-copter which can be generated during the descending flight in which the rotation speed of the propeller is reduced.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콥터의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앞서 실시예들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7 (a) and 7 (b) are a bottom view and a front view of a multi-co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쿼드콥터(300)는 몸체부(310)에 직접 프로펠러(320)가 마련되는 형태로써, 몸체부(310)는 디스크 형태로써 프로펠러(320)가 설치될 위치에 로터홀(311)이 형성되며, 각 로터홀(311) 내에 프로펠러(320)가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7, the quad-copt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ropeller 320 directly mounted on the body 310. The body 310 has a disk shape and a propeller 320 is installed A rotor hole 311 is formed in the rotor hole 311, and a propeller 320 is provided in each rotor hole 311.

각 로터홀(311)은 몸체부(310)에서 연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로드(312)가 마련되며, 로드(312)에 의해 프로펠러(3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321)가 고정된다.Each rotor hole 311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ods 312 extending from the body 310 and a drive motor 321 for driving the propeller 320 is fixed by a rod 312.

추력조절수단(140)은 몸체부(310) 하단에 배치되어 프로펠러에서 발생되는 풍향을 수평 방향으로 변경이 가능함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또한 추력조절수단은 몸체부에 대해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rust adjusting means 14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310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ind generated by the propeller can be ch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rust adjusting means can adjust the vertical height of the body portion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몸체부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몸체부의 구조에 따라서 복수의 프로펠러는 몸체부에 직접 또는 별도의 암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추력조절수단은 프로펠러에서 발생되는 풍향을 변경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propellers can be supported directly on the body part or can be supported by separate arms. In this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프로펠러로 구성되는 쿼드콥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프로펠러의 구성에 따라서 Tri-copter, Hex-copter, Octo-copter와 같이 2개 이상의 프로펠러에 의해 비행이 이루어지는 멀티콥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quadcopter composed of four propellers is exemplified. 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a propeller, a multi-propeller such as a tri-copter, a hex-copter, The same applies to the copter.

100, 200, 300 : 쿼드콥터 110, 310 : 몸체부
120 : 로터암 130, 320 : 프로펠러
140 : 추력조절수단 141, 241 : 로드
142, 242 : 제2몸체부 143 : 가변날개
242a : 랙기어 243 : 피니언기어
100, 200, 300: quad-copter 110, 310:
120: rotor arm 130, 320: propeller
140: thrust adjusting means 141, 241: load
142, 242: second body part 143: variable blade
242a: Rack gear 243: Pinion gear

Claims (5)

몸체부에 지지되어 회전 구동되는 복수의 프로펠러와;
상기 몸체부 아래에 설치되어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가변날개를 포함하여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측방으로 유도하여 전후 좌우 이동 또는 요잉 제어를 위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멀티콥터.
A plurality of propeller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And a thrust adjusting means for guid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propeller to the side to generate a thrust for controlling th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movement or yawing, including a variable vane provided below the body portion and capable of controlling the angle of rota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조절수단은,
상기 몸체부 하단에서 수직하게 마련되는 로드와;
상기 가변날개가 수평축 상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최소한 두 개 이상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로드 하단에 마련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멀티콥터.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ust-
A rod verticall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a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wherein the variable wing is provided at least two or more radially so as to be rotatable on a horizontal axi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날개는 상기 제2몸체부에 대해 회전 대칭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콥터.3. The multi-copter of claim 2, wherein the variable vane is rotation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par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 사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콥터.The multicopo- 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gap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is adjustab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연결하는 로드는 상기 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와 랙과 피니언 기어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콥터.The multi-copier of claim 4, wherein the rod connec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or the second body portion, the rack and the pinion gear.
KR1020140090373A 2014-07-17 2014-07-17 multicopter KR101664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73A KR101664899B1 (en) 2014-07-17 2014-07-17 multicop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73A KR101664899B1 (en) 2014-07-17 2014-07-17 multicop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711A true KR20160010711A (en) 2016-01-28
KR101664899B1 KR101664899B1 (en) 2016-10-13

Family

ID=5530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73A KR101664899B1 (en) 2014-07-17 2014-07-17 multicop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89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1830A (en) * 2017-05-12 2017-08-11 西华酷农无人机产业园运营有限公司 It is a kind of can be according to the unmanned plane of wind direction self-adjusting balance
WO2019172700A1 (en) * 2018-03-09 2019-09-12 이해곤 Drone for cleaning window glass of high-rise building
KR102123653B1 (en) * 2018-12-12 2020-06-18 배진식 Mobile vehicle available for clean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50044A (en) 2020-10-15 2022-04-22 (주)이지시스템 Engine Propulsion Type Unmanned Multicopter Thrust Transmission Device
KR20220134832A (en) * 2021-03-26 2022-10-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ircraft with hollow type coaxial rotor structur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699A (en) * 1989-08-09 1991-03-26 Hitachi Zosen Corp Flight control method for vertical take-of and landing flying vehicle
US20100243794A1 (en) 2009-03-24 2010-09-30 Alien Technologies Ltd Flying apparatus
JP2012228944A (en) * 2011-04-26 2012-11-22 Chiba Inst Of Technology Cross-wind stabilizing device of multi-rotor helicopter and multi-rotor helicopter having the same
US20130287577A1 (en) 2012-04-11 2013-10-31 Singapore Technologies Aerospace Ltd. Rotor-arm assembly and a multi-rotorcraft
KR20130130116A (en)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rotor aircraft
KR101366310B1 (en) 2012-09-03 2014-02-2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cop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699A (en) * 1989-08-09 1991-03-26 Hitachi Zosen Corp Flight control method for vertical take-of and landing flying vehicle
US20100243794A1 (en) 2009-03-24 2010-09-30 Alien Technologies Ltd Flying apparatus
JP2012228944A (en) * 2011-04-26 2012-11-22 Chiba Inst Of Technology Cross-wind stabilizing device of multi-rotor helicopter and multi-rotor helicopter having the same
KR20130130116A (en)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rotor aircraft
US20130287577A1 (en) 2012-04-11 2013-10-31 Singapore Technologies Aerospace Ltd. Rotor-arm assembly and a multi-rotorcraft
KR101366310B1 (en) 2012-09-03 2014-02-2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cop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1830A (en) * 2017-05-12 2017-08-11 西华酷农无人机产业园运营有限公司 It is a kind of can be according to the unmanned plane of wind direction self-adjusting balance
WO2019172700A1 (en) * 2018-03-09 2019-09-12 이해곤 Drone for cleaning window glass of high-rise building
KR102123653B1 (en) * 2018-12-12 2020-06-18 배진식 Mobile vehicle available for clean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050044A (en) 2020-10-15 2022-04-22 (주)이지시스템 Engine Propulsion Type Unmanned Multicopter Thrust Transmission Device
KR20220134832A (en) * 2021-03-26 2022-10-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ircraft with hollow type coaxial rot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899B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4509B2 (en) High performance VTOL aircraft
EP3299282B1 (en) Rotorcraft
CN106184739B (en) Flying equipment capable of vertically taking off
KR101767943B1 (en) Multirotor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Available for Adjusting Direction of Thrust
RU2018143878A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WING TILT CONFIGURATIONS
KR101664899B1 (en) multicopter
US20050178879A1 (en) VTOL tailsitter flying wing
WO2016028358A2 (en) High Performance VTOL Aircraft
KR20170012543A (en) Fixed rotor thrust vectoring
US10814972B2 (en) Air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thereof
JP7120645B2 (en) rotorcraft
JP6618000B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flying object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attached
US113724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altitude control of an autogyro
JP2018127218A (en) Rotary-wing airplane
WO2021124573A1 (en) Takeoff/landing system
EP3730404A1 (e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related control method
JP2017190091A (en) Tray type multi-copter
WO2020035900A1 (en) Rotary-wing aircraft
JP2018127215A (en) Rotary-wing airplane
EP3162708A1 (en) Air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thereof
JP6550561B2 (en) Rotorcraft
JP6803602B2 (en) Attitude control method of the aircraft
JP2019089548A (en) Rotary wing aircraft
JP7240050B2 (en) rotorcraft
JP3236741U (en) Tail sitter type fly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