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529U -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529U
KR20160003529U KR2020150002121U KR20150002121U KR20160003529U KR 20160003529 U KR20160003529 U KR 20160003529U KR 2020150002121 U KR2020150002121 U KR 2020150002121U KR 20150002121 U KR20150002121 U KR 20150002121U KR 20160003529 U KR20160003529 U KR 201600035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loop
support tube
suture
tro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498Y1 (ko
Inventor
정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메디칼
Priority to KR2020150002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9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는, 일단부에 매듭에 의한 고리를 형성하는 봉합사; 및 일단부에 봉합사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봉합사가 안내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매듭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형성된 지지관을 포함하고, 트로카를 통한 삽입시 고리에 마찰력이 작용하더라도 매듭 유동의 구속에 의해 고리의 크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트로카 내부에서 수술 부위로 진행하는 동안 고리의 크기 및 매듭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복강 내부에서 고리의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술부위를 용이하게 감싸 결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LOOP ASSEMBLY FOR PREVENTING KNOT DEVIATING}
본 고안은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 수술부위에 진입시켜 혈관이나 장기 등 수술부위에 미리 형성된 고리를 걸고 봉합사를 잡아당겨 수술부위를 결속하도록 이루어지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개복수술과는 달리 피부의 절개부분을 최소부위로 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복강경 수술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은 트로카(Trocar)라는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로 통하는 관을 만들고 내시경 등의 수술기구를 복강 내의 수술부위에 진입시킴으로써 복강의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시행하는 수술 방식으로서, 담낭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충수 돌기 절제술, 일반외과 수술 등에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강경 수술에서 수술부위의 봉합은 복강 내를 촬영하는 내시경 화면을 통한 제한적인 시각적 조건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분야이며, 이와 같은 제한적인 조건하에서도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루프(loop)와 같은 봉합용 수술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루프는 복강경 수술시 수술부위를 봉합하는데 사용되는 수술기구로서, 체외에서 봉합사에 매듭에 의한 고리를 형성한 후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 수술부위에 진입시켜 혈관이나 장기 등 수술부위에 미리 형성된 고리를 걸고 봉합사를 잡아당김으로써 수술부위를 결속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603633호에는 내시경 수술용 엔도루프(루프와 동일한 수술기구를 지칭하는 용어)가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603633호는 봉합사에 의한 수술부위의 봉합수단을 그 선단부에 구비하는 인서트로드의 후방측으로 봉합사가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도록 한 다음, 인서트로드의 후단부에 봉합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봉합사고정구를 인서트로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된 봉합사를 실패에 감아둘 수 있도록 함으로서, 1회의 내시경 수술에 사용되는 엔도루프의 개수를 최소화시켜 의료용 원자재의 낭비와 폐자재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여러 가지 종류의 엔도루프를 시술부위마다 교체 사용함에 따른 번거러움과 이로 인한 내시경 수술과정에서의 혼선을 방지하여 내시경 수술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루프의 봉합사에 형성된 매듭은 봉합사를 잡아당길 때 매듭 내부에서 봉합사가 이동하여 고리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느슨한 상태로 형성되며, 인서트로드의 선단과 밀착하게 되면 봉합사의 장력에 의해 매듭이 조여질 수 있으므로, 등록특허공보 제603633호의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부위의 결속 전까지 매듭의 느슨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인서트로드의 선단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등록특허공보 제603633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루프는 트로카를 통한 복강 내 진입시 바로 트로카에 삽입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보통 루프의 진행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을 먼저 트로카에 삽입한 상태에서 루프를 안내관에 삽입함으로써 사용되고 있다.(본 고안의 도 5 참조)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603633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은 루프가 트로카 내부에서 수술 부위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고리와 안내관 내벽(또는 트로카 내벽) 간 마찰에 의해 고리가 안내관 내벽과 인서트로드 사이에 끼이게(본 고안의 도 3(b) 참조) 되고, 루프의 진행방향과 반대쪽으로 고리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매듭까지 안내관 내벽과 인서트로드 사이에 끼이게 되며, 결국 봉합사에 형성된 장력에 의해 매듭이 인서트로드 선단으로부터 점점 멀어져 고리가 작아지거나 없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603633호 (등록일:2006.07.13)
본 고안의 목적은, 트로카 내부에서 수술 부위로 진행하는 동안 고리의 크기 및 매듭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복강 내부에서 고리의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술부위를 용이하게 감싸 결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복강경 수술시 트로카를 통해 복강에 삽입되어 수술부위를 결속하고, 일단부에 매듭에 의한 고리를 형성하는 봉합사; 및 일단부에 상기 봉합사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봉합사가 안내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매듭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형성된 지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지지관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트로카를 통한 삽입시 상기 고리에 마찰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매듭 유동의 구속에 의해 상기 고리의 크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구속부에는, 상기 통로와 연결되되 상기 매듭이 상기 트로카를 통한 상기 구속부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로카를 통한 삽입시 상기 고리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상기 매듭이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지관과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통로와 상기 오목홈을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통로는 상기 오목홈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매듭을 가압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목홈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관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지지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매듭에 인가되는 상기 돌출부의 가압력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관은, 일체로 형성되되 전단력 인가시 서로 분리되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관 사이에 둘레를 따라 파단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관의 단부에 매듭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형성됨으로써, 트로카 내부에서 수술 부위로 진행하는 동안 고리의 크기 및 매듭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복강 내부에서 고리의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술부위를 용이하게 감싸 결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구속부의 분리단면도.
도 3은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구속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결합부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구속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는, 트로카 내부에서 수술 부위로 진행하는 동안 고리의 크기 및 매듭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복강 내부에서 고리의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술부위를 용이하게 감싸 결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구속부의 분리단면도, 도 3은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구속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결합부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에서 지지관 및 구속부의 단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1)는, 트로카(T)를 통해 복강 내 수술부위에 진입시켜 혈관이나 장기 등 수술부위에 미리 형성된 고리(10b)를 걸고 봉합사(10)를 잡아당겨 수술부위를 결속하도록 이루어지며, 봉합사(10) 및 지지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루프 조립체(1)에서 고리(10b)가 형성된 부분을 선단부, 결합부(21)가 형성된 부분을 후단부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후단부에서 선단부로의 방향을 전방으로, 선단부에서 후단부로의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0)는 복강 내에서 용종이나 제거되는 인체 조직의 말단 부위를 결속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정기간 묶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도로 이루어진다. 봉합사(10)는 복강경 수술 후 봉합사(10) 제거 수술이 필요 없도록 일정기간 후 인체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체분해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된 도면부호 S는 피부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0)의 선단부에는 매듭(10a)에 의한 고리(10b)가 형성된다. 매듭(10a)은 봉합사(10)에 인가되는 인장력에 의해 고리(10b)의 크기가 쉽게 작아질 수 있도록 형성시 꽉 조여지지 않는다. 봉합사(10)에 매듭(10a)을 형성하는 방법 및 매듭(10a)의 형태는 복강경 수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20)은 고리(10b)를 복강 내 수술부위로 이동시키고 봉합사(10)에 매듭을 조이는 인장력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봉합사(10)가 안내되는 통로(20a)가 형성된다.
지지관(20)은 긴 튜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장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복강 내 장기 사이를 유연하게 통과하여 고리(10b)를 수술부위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휨 변형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봉합사(10)는 통로(20a)를 통해 지지관(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통로(20a)는 수술부위 결속시 인장력이 걸린 봉합사(10)가 마찰 없이 이동하도록 봉합사(10)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0)의 후단부는 결합부(21)에 결합된다. 결합부(21)는 봉합사(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관(20)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21)는 지지관(20)의 후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결합부(21)의 내부에는 지지관(20)의 통로(20a)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1)와 지지관(20) 사이에는 둘레를 따라 파단홈(21h)이 형성된다. 파단홈(21h)은 지지관(20)으로부터 결합부(21)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파단홈(21h) 주변에 전단력 인가시 인가된 전단력이 집중되도록 안쪽에 모서리를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된다.
파단홈(21h) 주변에 인가되는 전단력은 복강경 수술을 집도하는 의료인에 의해 형성된다. 즉, 의료인이 지지관(20)의 유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결합부(21)에 파단홈(21h)의 반경방향으로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파단홈(21h) 안쪽에 형성된 모서리에 전단력이 집중됨으로써 파열이 시발되며, 모서리에서 시발된 찢김은 주변보다 두께가 얇은 파단홈(21h)을 따라 진행하여 결국 결합부(2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2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조립체(1)는, 안내관(Y)이 트로카(T)를 통해 복강 내부에 삽입된 후 안내관(Y)에 삽입되어 복강 내 수술부위에 진입되고, 의료인은 내시경 화면을 확인하면서 안내관(Y) 및 지지관(20)을 이동 및 회전시켜 혈관이나 장기 등 수술부위에 고리(10b)를 걸게 된다.
혈관이나 장기 등 수술부위에 고리(10b)를 건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인은 결합부(21)를 지지관(2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결합부(21)를 이동시킴으로써 봉합사(10)를 잡아당겨 고리(10b)의 수축을 통해 수술부위를 결속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22)는 매듭(10a)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관(20)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22)의 후단부에는 삽입부(22f)가 형성되고, 지지관(20)의 선단부에는 삽입부(22f)가 삽입되는 삽입홈(20h)이 형성된다. 구속부(22)는 삽입부(22f)와 삽입홈(20h)의 결합구조에 의해 지지관(2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22)의 선단부에는 매듭(10a)이 삽입되는 오목홈(22h)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통로(20a)와 오목홈(22h)을 연결하는 연결통로(22a)가 형성된다.
오목홈(22h)은 매듭(10a)이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매듭(10a)이 구속부(22)의 안내관(Y) 내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게 형성됨으로써, 투관침을 통한 루프 조립체(1) 삽입시 매듭(10a)의 유동을 구속하게 된다.
루프 조립체(1)는 트로카(T)를 통한 복강 내 진입시 바로 트로카(T)에 삽입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루프 조립체(1)의 진행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Y)을 먼저 트로카(T)에 삽입한 상태에서 루프 조립체(1)를 안내관(Y)에 삽입함으로써 복강 내로 진입된다. 아래에서는 루프 조립체(1)가 안내관(Y)에 삽입되어 복강 내에 진입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루프는 안내관을 통해 수술 부위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고리와 안내관(트로카에 직접 삽입되는 경우 트로카 내벽)의 마찰에 의해 고리가 안내관과 지지관 사이에 끼이게(본 고안의 도 3(b) 참조) 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루프의 진행방향과 반대쪽으로 고리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매듭까지 안내관과 지지관 사이에 끼이게 되며, 결국 봉합사에 형성된 장력에 의해 매듭이 안내관 선단으로부터 점점 멀어져 고리가 작아지거나 유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1)는, 매듭(10a)이 안내관(Y) 내부에서 구속부(22)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는 오목홈(22h)을 구속부(22)의 선단부에 형성하여, 투관침을 통한 루프 조립체(1) 삽입시 매듭(10a)의 유동을 구속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오목홈(22h)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오목홈(22h)의 직경은 고리(10b)가 수술부위를 결속하기 이전 즉, 매듭(10a)이 조여지기 전 매듭(10a)의 최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또는 매듭(10a)이 살짝 끼워지도록 매듭(10a)의 최대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된다.
매듭(10a) 형성시 매듭(10a)은 봉합사(10)에 인가되는 장력이 클수록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봉합사(10)에 인가되는 장력은 봉합사(10)로 매듭(10a)을 만드는 의료인 각각의 악력이나 숙련도에 좌우된다.
본 고안의 출원인이 루프에 봉합사(10)로서 주로 사용되는 직경 0.3 밀리미터의 봉합사(10)를 사용하여 매듭(10a)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매듭(10a)의 직경은 봉합사(10)에 인가되는 장력에 따라 대략 1.6 밀리미터에서 2.0 밀리미터 이내로 분포하였으며, 봉합사(10)를 당겨 매듭(10a)을 조였을 때 매듭(10a)의 직경은 최대 1.7 밀리미터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봉합사(10)를 당겨 매듭(10a)을 조였을 때 매듭(10a)의 봉합사(10) 방향 길이는 최소 1.5 밀리미터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오목홈(22h)의 깊이는 1.5 밀리미터로 고정하고 오목홈(22h)의 직경을 1.6 밀리미터, 1.7 밀리미터, 1.8 밀리미터, 1.9 밀리미터 및 2.0 밀리미터로 달리 형성한 구속부(22)를 각각 제작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조립체(1)를 안내관(Y) 내부에 삽입하는 실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결과, 직경 2.0 밀리미터의 오목홈(22h)을 제외하고는 안내관(Y)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고리(10b)가 작아지거나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루프 조립체(1)가 안내관(Y)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0b)가 안내관(Y)과 지지관(20) 사이에 끼어 고리(10b)에 구속부(22)의 삽입방향과 반대반향의 마찰력이 형성되더라도, 매듭(10a)이 구속부(22)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오목홈(22h)에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홈(22h)을 둘러싸는 구속부(22)의 선단부에 의해 고리(10b)의 마찰력에 의한 안내관(Y)과 지지관(20) 사이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매듭(10a)의 이탈 및 유동이 방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직경 0.3 밀리미터의 봉합사(10) 사용시 오목홈(22h)의 직경을 1.6 밀리미터에서 1.9 밀리미터 이내(바람직하게는 1.7 밀리미터에서 1.8 밀리미터 이내)로 형성하면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됨을 알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로(22a)는, 결합부(21)의 분리 후 봉합사(10)를 당기더라도 매듭(10a)이 연결통로(22a) 내부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오목홈(22h)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1)는, 오목홈(22h)의 내주면에 매듭(10a)을 가압하는 돌출부(22p)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듭(10a)의 직경은 봉합사(10)에 인가되는 장력에 따라 표준편차 범위 이내에 분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에 봉합사(10)로서 주로 사용되는 직경 0.3 밀리미터의 봉합사(10)를 사용한 경우, 매듭(10a)의 직경은 봉합사(10)에 인가되는 장력에 따라 대략 1.6 밀리미터에서 2.0 밀리미터 이내로 분포되었으며, 출원인은 오목홈(22h)의 직경을 1.7 밀리미터에서 1.8 밀리미터 이내로 형성하면 안내관(Y) 삽입시 직경 0.3 밀리미터의 봉합사(10)가 빠지지 않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매듭(10a)이 표준편차 범위의 가장자리나 범위 밖의 직경 예를 들면, 0.3 밀리미터의 봉합사(10)에 의한 매듭(10a)이 1.5 밀리미터의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 확률적으로 안내관(Y) 삽입시 오목홈(22h)으로부터 매듭(10a)이 빠질 확률이 존재한다.
그러나 매듭(10a)이 표준편차 범위의 가장자리나 범위 바깥의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를 고려하여 오목홈(22h)의 직경을 형성하게 되면 표준편차의 평균이 이동하게 되므로 안내관(Y) 삽입시 오목홈(22h)으로부터 매듭(10a)이 빠질 확률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1)는, 오목홈(22h)의 내주면에 매듭(10a)을 가압하는 돌출부(22p)를 형성함으로써, 매듭(10a)이 표준편차 범위의 가장자리나 범위 바깥의 직경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안내관(Y) 삽입시 오목홈(22h)으로부터 매듭(10a)이 빠질 확률을 거의 0에 수렴하게 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p)는 삽입된 매듭(10a)을 향해 돌출되며, 매듭(10a)의 봉합사(10) 사이에 위치하여 매듭(10a)의 유동을 구속함으로써, 매듭(10a)의 직경이 표준편차 범위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라도 안내관(Y) 삽입시 매듭(10a)이 빠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돌출부(22p)는 삽입된 매듭(10a)의 봉합사(10) 사이 즉, 매듭(10a)의 직경보다 작은 부분으로 돌출됨에 따라, 매듭(10a)이 표준편차 범위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에도 느슨하게 조여진 매듭(10a)의 반지름 방향 탄력적인 변형에 의해 매듭(10a)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리(10b)가 수술부위를 결속하게 되면 매듭(10a)은 조여져 표준편차 범위 이내로 수축되므로 매듭(10a)이 표준편차 범위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라도 고리(10b)가 수술부위를 결속한 후 매듭(10a)의 이탈은 원활하게 진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p)는 오목홈(22h)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p)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면, 매듭(10a)이 표준편차 범위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 마치 나사결합과 같이 매듭(10a)의 회전을 통해 나선형의 돌출부(22p)를 따라 매듭(10a)을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수술부위를 결속한 후 오목홈(22h) 내로 침투한 이물질에 의해 매듭(10a)이 쉽게 안 빠지는 경우에는 지지관(20)을 회전시켜 매듭(10a)에 인가되는 돌출부(22p)의 가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매듭(10a)의 이탈을 유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관(20)의 단부에 매듭(10a)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22)가 형성됨으로써, 트로카(T) 내부에서 수술 부위로 진행하는 동안 고리(10b)의 크기 및 매듭(10a)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고,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복강 내부에서 고리(10b)의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술부위를 용이하게 감싸 결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루프 조립체 10 : 봉합사
20 : 지지관 10a : 매듭
20a : 통로 10b : 고리
20h : 삽입홈 T : 트로카
21 : 결합부 Y : 안내관
21h : 파단홈 S : 피부
22 : 구속부
22h : 오목홈
22p : 돌출부
22a : 연결통로
22f : 삽입부

Claims (6)

  1. 복강경 수술시 트로카를 통해 복강에 삽입되어 수술부위를 결속하고,
    일단부에 매듭에 의한 고리를 형성하는 봉합사; 및
    일단부에 상기 봉합사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봉합사가 안내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매듭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형성된 지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상기 지지관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트로카를 통한 삽입시 상기 고리에 마찰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매듭 유동의 구속에 의해 상기 고리의 크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에는, 상기 통로와 연결되되 상기 매듭이 상기 트로카를 통한 상기 구속부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로카를 통한 삽입시 상기 고리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상기 매듭이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지관과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통로와 상기 오목홈을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통로는 상기 오목홈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매듭을 가압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지지관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지지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매듭에 인가되는 상기 돌출부의 가압력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관은, 일체로 형성되되 전단력 인가시 서로 분리되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관 사이에 둘레를 따라 파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KR2020150002121U 2015-04-03 2015-04-03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KR200483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21U KR200483498Y1 (ko) 2015-04-03 2015-04-03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21U KR200483498Y1 (ko) 2015-04-03 2015-04-03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529U true KR20160003529U (ko) 2016-10-12
KR200483498Y1 KR200483498Y1 (ko) 2017-05-25

Family

ID=5713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121U KR200483498Y1 (ko) 2015-04-03 2015-04-03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8590A (zh) * 2019-01-31 2021-10-19 Mvrx公司 缝线管理装置和方法
KR20220042762A (ko) * 2020-09-28 2022-04-05 (의료)길의료재단 복수 개의 루프 설치가 가능한 루프 설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419B1 (ko) 2019-10-14 2021-11-0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루프를 구비한 엔도 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78A (ko) * 1999-02-09 1999-05-25 김응국 결속이용이한수술용봉합사구조
KR100603633B1 (ko) 2004-04-30 2006-07-24 문화숙 내시경 수술용 엔도루프
KR20100005500A (ko) * 2008-07-07 2010-01-15 김대곤 복강경용 자궁 지혈 루프, 복강경용 관통형 자궁 지혈루프, 및 복강경용 관통형 자궁 지혈 루프의 매듭 형성방법
KR20130124792A (ko) * 2012-05-07 2013-11-15 정창욱 결찰 장치
KR20140004885A (ko) * 2012-07-03 2014-01-14 주식회사 무한기업 수술용 피넛 겸용 엔도 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78A (ko) * 1999-02-09 1999-05-25 김응국 결속이용이한수술용봉합사구조
KR100603633B1 (ko) 2004-04-30 2006-07-24 문화숙 내시경 수술용 엔도루프
KR20100005500A (ko) * 2008-07-07 2010-01-15 김대곤 복강경용 자궁 지혈 루프, 복강경용 관통형 자궁 지혈루프, 및 복강경용 관통형 자궁 지혈 루프의 매듭 형성방법
KR20130124792A (ko) * 2012-05-07 2013-11-15 정창욱 결찰 장치
KR20140004885A (ko) * 2012-07-03 2014-01-14 주식회사 무한기업 수술용 피넛 겸용 엔도 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8590A (zh) * 2019-01-31 2021-10-19 Mvrx公司 缝线管理装置和方法
KR20220042762A (ko) * 2020-09-28 2022-04-05 (의료)길의료재단 복수 개의 루프 설치가 가능한 루프 설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498Y1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7279A (en) Device and method employing adhesive for sealing blood vessels and the like
JP3164532B2 (ja) 血管等の縫合装置及び方法
US5814056A (en) Seal
EP2152171B1 (en) Loader and threader for knotting element
US7261725B2 (en) Endoscopic device with independently actuated legs
CN205322397U (zh) 轴推式可紧固缝合线
US6387114B2 (en) Gastrointestinal compression clips
US5836956A (en) Wound closure apparatus and method
JP5085199B2 (ja)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US9788831B2 (en) Endoscopic suture cinch system with replaceable cinch
JP4204791B2 (ja) 外科手術用結び目プッシャ装置
JP5746200B2 (ja) 吻合用の平らなクランプ
US10448946B2 (en) Endoscopic suture cinch
JP2007090062A (ja) 縫合具
JP2010017542A (ja) 組織締付具
WO2006082810A1 (ja) 医療用縫合結紮装置及び医療用縫合結紮具
EP1786310A2 (en) Endoscopic device with independently actuated legs
EP3192452B1 (en) Medical needle
KR200483498Y1 (ko)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JP5226905B1 (ja) 縫合糸押し込み装置、および縫合糸押し込みシステム
JP4594953B2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縫縮器具
EP3146907A1 (en) Thread affixation system
CN110248623A (zh) 锚固件递送***和方法
US20120101507A1 (en) Anvil Placement System
KR200228438Y1 (ko)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