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412U - Iron rack cabinet assembly - Google Patents

Iron rack cabine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412U
KR20160003412U KR2020150001896U KR20150001896U KR20160003412U KR 20160003412 U KR20160003412 U KR 20160003412U KR 2020150001896 U KR2020150001896 U KR 2020150001896U KR 20150001896 U KR20150001896 U KR 20150001896U KR 20160003412 U KR20160003412 U KR 201600034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s
pair
bar
shaf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4504Y1 (en
Inventor
김근우
김충연
Original Assignee
대신정밀 주식회사
김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정밀 주식회사, 김충연 filed Critical 대신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04Y1/en
Publication of KR20160003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1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1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box-type draw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리어포스트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 사이에 조립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를 포함하는 랙 캐비넷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는 개방부를 갖는 제1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제1프론트포스트에 접합되는 제2프론트포스트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posts,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post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post at intervals, a top cover fixed to each upper end of the front and rear posts, A bottom bas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osts, a pair of side plates provid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sts, a rear door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ear posts, A rack cabinet assembly comprising a cabinet door assembled between front post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Wherein the pair of front posts are divided into a first front post having an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front post joined to the first front post while sealing the opening portion.

Description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IRON RACK CABINET ASSEMBL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rack cabinet assembly,

본 고안은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이 걸리는 랙프레임을 포스트에 일체로 구현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제조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공간상 제약을 받지 않도록 개선된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ck cabinet assembly for a cabinet which is capable of freely changing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a cabinet door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a structure by integrating a rack frame, So as not to be limited by installation space.

일반적으로 랙 캐비넷은, 음향 기기,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복수 분할된 쉘프 내에 장착하는 서브 랙(Sub-Rack) 다수 개가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나의 단일 시스템으로 운용되는 수납장치이다.In general, a rack cabinet is a rack cabine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PCBs (Printed Circuit Boards) that perform respective functions such as audio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network, telephone exchange exchange equipment or Internet server (Subseries) A plurality of sub-racks to be mounted are installed in and out so as to be operated as a single system.

특히, 최근에 들어서는 네트워크 환경이 넓어지고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화망, 인터넷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통신기기가 점점 다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지국 및 단말국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통합관리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용 장비를 수납 및 보관하는 통신장비용 랙을 적재하기 위한 캐비넷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due to the wider network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 variety of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diversified to provide services such as a telephone network,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necessary to use a cabinet for storing racks for communication equipment for storing and stor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and maintain each of these services efficiently in one place.

여기서, 상기 음향기기 및 통신장비용 랙은 IEC 규격(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 297 Part 1,2,3), EIA 규격(The Electrcal Industries Association)에 따라 19", 21", 23" 등의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일반 음향기기 및 통신용 장비 뿐만 아니라 계측기, 방송장비, LAN 전용장비, 전자 장비 등으로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수장비가 아닐 경우 대부분의 장비에는 19"의 랙을 주로 사용되고 있다.Here, the racks for audio equipmen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such as 19 ", 21" and 23 "according to IEC standards (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 297 Part 1, 2, 3) and EIA standards (The Electrcal Industries Association)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asuring instruments, broadcasting equipment, LAN dedicated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as well as general sound equipmen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In most cases, 19 "rack is mainly used when it is not special equipment.

한편, 상술된 랙의 국제규격은 좌우폭(X축 길이)이 일정한 것이지 높이(Y축길이) 및 전후폭(Z축 길이)은 사용장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the rack described above has a constant width (X axis length), a height (Y axis length) and a front / rear width (Z axis length)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랙 캐비넷을 설명하면, 상기 캐비넷(10)은 수평프레임(14)과 수직프레임(15)들이 조립되어 직육각형의 기본 골조를 갖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5) 사이로 고정프레임(16)이 고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하부에 상판(11)과 하판(12)을 고정시키며, 그 전,후면에는 도어를 설치하고, 그 좌,우측면으로는 측면판(13)을 각각 고정시켜 캐비넷(10)을 형성하게 된다.1, the cabinet 10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4 and vertical frames 15 which are assembled to form a main frame having a hexagonal basic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15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 and 12 are fix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frame. Door doors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 and 12, So that the cabinet 10 is formed.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우측의 수평프레임(1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6)은 수평단면이 직각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홀(16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frame 16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s 1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frame has a horizontal cross section formed at a right angle and a plurality of screw holes 16a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그리고, 서브랙(20)은 각종 장비가 내장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21)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6)에 형성된 나사홀(16a)과 동일한 간격으로 나사홀(22)이 형성되어 있다.The sub rack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in which various kinds of equipments are installed and a flange 2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b rack 20. The flange 21 is formed with the same screw hole 16a formed in the fixed frame 16 And screw holes 22 are formed at intervals.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서브랙(20)은 상기 캐비넷(10)의 양측 수직프레임(15) 사이로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서브랙(2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21)의 나사홀(22)과 고정프레임(16)의 나사홀(16a)을 동일 선상에 놓이게 한 후 체결 나사(17)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6)에 체결되어, 대개 하나의 캐비넷(10)에 다수개의 서브랙(20)이 적재되게 된다.The sub rack 20 thus formed is fixed to the screw holes 22 of the flange 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 rack 2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frames 15 on both sides of the cabinet 10 The screw holes 16a of the frame 16 are placed on the same line and then are fastened to the fixed frame 16 by the fastening screws 17 so that a plurality of sub racks 20 are installed in one cabinet 10 It is loaded.

이때, 상기의 서브랙(20)은 국제규격에 맞추어 좌우폭(X축 길이)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므로 상기 서브랙(20)을 보관하는 캐비넷(10)의 너비(W)도 서브랙(20)의 국제규격에 맞추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고 그 깊이와 높이는 사용장비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갖고 제작된다.The width W of the cabinet 10 for storing the sub rack 20 is also set to the width of the sub rack 20 because the width of the sub rack 20 is made to have a constant width (X axis length) It is manufactured to a certain siz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the product. The depth and height are manufactured with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equipment used.

또한, 이러한 랙 캐비넷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실용 제1999-007888호(1999.02.25) '랙 캐비넷의 프레임 결합구조", 공개실용 제2011-0008632호(2011.09.09) "조립식 철재 캐비넷", 공개실용 제2012-0003802호(2012.06.01) "방송장비 보관용 랙", 등록특허 제1162534호(2012.06.28) "랙 캐비넷"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Prior art relating to such rack cabinet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999-007888 (Feb. 25, 1999), "frame coupling structure of rack cabinets", "public kitchen cabinets 2011-0008632 (September 09, 2011) A public rack system 2012-0003802 (2012.06.01) "a rack for storing broadcast equipment", a registered rack system (registered trademark) No. 1162534 (June 28, 2012) "rack cabinet", etc. are disclosed.

그런데, 종래 랙 캐비넷은 캐비넷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힌지 구조 및 잠금 구조가 특정방향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위치상 도어 개방방향이 반대일 경우에는 설치곤란의 문제가 생겨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hinge structure and the locking structure for opening the cabinet door in the conventional rack cabinet are determined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the door opening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space, there arises a problem of difficulty in installation, There are disadvantages.

또한, 랙 설치를 위해 랙 걸이대, 즉 랙 프레임을 별도로 만들어 장착해야 하므로 작업공수는 물론 별도 성형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ck frame, that is, the rack frame, must be mounted separately for the rack install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costly and time-consuming to perform the oper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뿐만 아니라, 랙 캐비넷을 위치고정하는 수단과 랙 캐비넷을 이동시키는 수단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고 설치작업시에도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ack cabinet and the means for moving the rack cabinet are moun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pparatus is inconvenient to use and requires a lot of air for installation work.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랙 캐비넷의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도어의 개방방향을 사용자가 임의로 쉽고 빠르게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킨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inet which can easily and quickly change the opening direction of a door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rack cabinet, There is a main purpose of providing an increased steel rack cabinet assembly.

또한, 본 고안은 랙 프레임을 별도 가공하지 않고 포스트와 일체로 구성하여 조립 설치상의 편리성, 제조상의 용이성, 비용상 저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that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ost without separately machining a rack frame, thereby achieving convenience in assembly installation, ease of manufacture, and cost effectiveness. have.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리어포스트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 사이에 조립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를 포함하는 랙 캐비넷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는 개방부를 갖는 제1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제1프론트포스트에 접합되는 제2프론트포스트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posts,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post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posts, A pair of side plates provid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awls, and a pair of side plate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ear pawls, wherein the pair of side plates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awls, And a cabinet door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front posts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rack cabinet assembly comprising: Wherein the pair of front posts are divided into a first front post having an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front post joined to the first front post while sealing the opening portion.

이때,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밀폐편이 수직절곡 또는 별도의 편으로 용접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ont post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piece to which the top cover is fastened by being bent perpendicularly or welded to another side.

또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일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 shaped plat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front post to receive one end of the side plate.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프론트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록킹홀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hole having the same shape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manner on the surfaces of the pair of first front post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cabinet door can be arbitrarily changed.

또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는 'ㄷ'형상을 갖는 제1,2리어포스트가 서로 접합되게 분할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air of rear posts may be dividedly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ar posts having a 'C' shape are join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2리어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탭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tab plate to which the top cover is fastened may be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posts.

또한, 상기 제1,2리어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타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C' -shaped plate-fitt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posts to hold the other end of the side plate.

또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절곡연장편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air of rear posts may be formed to have symmetrical bent protruding pieces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rear door can be arbitrarily changed.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리어바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리어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n upper front bar for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front posts to each other is fixed to each other, an upper rear bar for fix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rear posts to each other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front posts to each other A front bar, and a lower rear bar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rear post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탑 커버는 상부프론트바 혹은 상부리어바와 각각 분리형, 일체형 혹은 탑커버 단독으로 결합되게 조립할 수 있다.Also, the top cover may be assembled such that the upper front bar or the upper rear bar is separately detachable, integral or top cover alone.

또한, 상기 바텀베이스의 일부에는 배선공이 천공되어 다수의 전선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iring hol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bottom base so that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에는 캐스터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캐스터유닛은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 체결고정되는 캐스터고정판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 상에 고정된 캐스터프레임과, 상기 캐스터프레임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aster unit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base, and the caster unit may include a caster fixing plate to which the bottom base is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a caster fixed to the caster fixing plate rotatably on the fixing shaft, And a rod-shaped position fix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at a position not interfering with the caster and is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have.

또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일측면에는 록킹홀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도어 상에는 잠금수단인 키뭉치와 힌지가 마련되되, 상기 키뭉치에는 록커가 구비되고, 상기 록커는 키뭉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 속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hol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st, a key bundle and a hinge serving as lock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cabinet door, the key bundle may be provided with a locker, It can be drawn into the locking groove.

또한, 상기 힌지는 일단과 상,하면 중 일면 막힌 'ㄷ'형 부재와, 'ㄷ'형 부재의 상,하면 중 막힌 면 상에 일체로 돌출된 힌지축으로 이루어져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의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The hinge includes a hinge shaft integrally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U' -shaped member and a hinge shaft integrally projecting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cabinet door, And the bottom edge.

또한, 상기 힌지축과 대응되는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에는 회전축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ront bar and the lower front bar corresponding to the hinge axis may be formed with rotary shaft holes.

또한, 상기 캐비넷도어의 표면과 힌지를 구성하는 'ㄷ'형 부재 사이에는 완충재가 개재될 수 있다.A cushioning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cabinet door and the 'C' -shaped member constituting the hinge.

또한,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 회전축은 그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축턱을 포함한 채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 용접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rotation shaft is provid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rear door, and an upper rotation shaft is provided on an upper end surface. The lower rotation shaft is weld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ar door including a cylindrical shaft having a larger radius .

또한, 상기 하부 회전축이 고정되는 지점에는 축부싱이 끼워지며, 상기 축턱은 상기 축부싱에 끼워지지 않고 걸림되어 후면도어의 하단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bushing may be fitted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rotary shaft is fixed, and the shaft may be engag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shaft bushing to form a space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door.

또한,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 회전축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도어의 내부에는 'ㄱ' 형상의 축안내브라켓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의 상단은 상기 축안내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스프링, 체결구가 순차로 조립된 다음 상기 후면도어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부 회전축의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rotation shaft is provid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rear door, and an upper rotation shaft is provided on an upper end surface thereof. The upper rotation shaft is formed in an 'a' shape, and a '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rotation shaft passes through the shaft guide bracket so that the spring and the fastener are assembled sequentially and then the upper rotation shaft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door and a part of the upper rotation shaft is exposed .

또한, 상기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과 대응되는 상부리어바 및 하부리어바에는 회전축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rear bar and the lower rear bar corresponding to the upper rotation shaft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may have a rotation shaft groove.

또한, 상기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는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ㄴ' 혹은 'ㄱ' 형태로 맞춤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나사 또는 용접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ront bar and the lower front bar may be screwed or wel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post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front post in an 'a' or 'a' form.

본 고안에 따르면, 랙이 걸리는 랙프레임을 포스트에 일체로 구현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제조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공간상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cabinet door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by integrating the rack frame with the rack in the post, Can be obtain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랙 캐비넷의 예시도이다.
도 2a,b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외관을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예시적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예시적인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의 예시적인 평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캐비넷도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후면도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탑 커버의 설치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정면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를 구성하는 서브랙 걸이대의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n illustration of a rack cabin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S. 2A, 2B and 3 are exemplary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exploded view of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side view and partial enlarged view of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flat cross-sectional view and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a cabinet door constituting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of a rear door constituting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top cover constituting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dification of the subrack rack constituting the steel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s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limiting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herein.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이 설명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는 철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철의 특성상 탄소함량이 높아 전성과 연성이 거의 없어 특별한 합금강이 아닌 이상 압출성형이 어려우므로 각 구성부품, 특히 포스트(Post)를 통형상으로 제작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본 고안에서도 기존과 동일하게 나사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 포스트와 같은 부재 성형시 종방향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재를 서로 접속시켜 체결하는 형태를 따르기로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rack cabinet assembly described in this invention is made of iron, so the carbon content is hi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ron, so there is no malleability and ductility.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respective components, especially the posts, in a cylindrical shap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a member such as a post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e sake of ease of screw fastening, and the divided members are connec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도 2a,b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는 캐비넷도어(D)가 설치된 쪽을 프론트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와 간격을 두고 이와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프론트바(300)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리어바(400)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프론트바(500)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리어바(6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7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800)와, 상기 프론트포스트(100)와 리어포스트(200)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판(S1,S2)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 사이에 결합되는 후면도어(B)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 사이에 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A, 2B and 4, the iron rack cabine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posts 100,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posts 200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posts 100 at intervals and an upper front bar 30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ront posts 100 to each other An upper rear bar 400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rear posts 200 to each other, a lower front bar 500 connecting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front posts 100 to each other, A lower rear bar 600 connecting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rear posts 200 to each other and a top cover 700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front posts 100 and the rear posts 200, A bottom base 800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post 100 and the rear post 200, A pair of side plates S1 and S2 coup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sts 100 and 200 and a rear door B coupled between the pair of rear posts 200, And a cabinet door (D) connected to the front post (100) of the cabinet (1)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이때, 상기 후면도어(B)는 개폐가능한 구조이지만, 단순한 판상으로 끼움결합되게 하여 밀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후면도어(B)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At this time, although the rear door B i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rear door B may be configured to be hermetically closed by being fitted in a simple plate shape. However, the rear door B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이때, 상기 후판도어(B)는 개폐가능한 도어 외에도 판상으로 끼움결합되어 밀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후면도어(B)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rear plate door B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shape to be hermetically closed in addition to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door B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즉, 본 고안에 따른 도어는 도 2b에서와 같이, 랙 캐비넷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도어인 캐비넷도어(D)와, 랙 캐비넷 후방에 설치되는 후면도어(B)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시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엇갈려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2B,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door D, which is a front door installed in front of the rack cabinet, and two rear doors B, which are installed behind the rack cabinet.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opened and closed in the same direction, and in some cases, they may be alternately opened and closed.

뿐만 아니라, 상기 캐비넷도어(D)와 후면도어(B)는 상하로 뒤집어 달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특히 방열구멍(RD)이 형성된 후면도어(B)의 경우에는 뒤집어 다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상기 방열구멍(RD)이 상하 양쪽에 모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binet door D and the rear door B may be turned upside down. For this purpos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ar door B having the heat dissipation hole RD formed therein, (RD) are form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랙 프레임(미도시)이 수직하게 세워 설치되고, 다수의 랙(미도시)이 상기 랙 프레임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음향 기기, 통신용 장비, 네트워크, 전화국의 교환유통장비 또는 인터넷 서버(Internet Suber), 전자 장비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steel rack cabin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mpty rectangular box shape, and a rack frame (not shown) is vertically installed therein. A plurality of racks (not shown) , It will guide users to install audio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network, exchange and distribution equipment of a telephone office, Internet server (Subseries), and electronic equipment.

특히, 상기 바텀베이스(800)의 하면에는 직접 혹은 별도의 지지판을 통해 다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캐스터유닛(900)이 설치됨으로써 랙 캐비넷 조립체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특정위치에서 유동되지 않게 위치고정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the bottom of the bottom base 8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eferably four, caster units 900 directly or through a separate support plate, thereby freely moving the rack cabinet assembly, The position can also be fixed.

이를 위해, 상기 캐스터유닛(9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베이스(800)의 하면 혹은 이 하면에 별도 고정된 지지판 상에 체결되는 캐스터고정판(910)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고정판(9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920)에 고정된 캐스터프레임(930)과, 상기 캐스터프레임(930)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940)와, 상기 캐스터(94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고정축(920) 상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caster unit 900 includes a caster fixing plate 910 faste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ase 800 or on a support plate separate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ase 800, A caster frame 930 rotatably fixed to the caster fixing plate 910 and fixed to the fixed shaft 920; a caster 940 axially installed inside the caster frame 930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And a rod-shaped position fixing member 950 fastened on the fixed shaft 920 at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ositioning member 940 and can be vertically adjusted in height.

즉,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유닛(900)은 기존과 달리 캐스터(940)와 위치고정부재(940)가 한 몸체에 함께 설치되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In other words, the caster unit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aster unit 940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940 are installed together in one body,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in use, facilitating assembly and installation, and improving workability .

예컨대, 종래의 경우에는 캐스터와 위치고정부재가 별개로 구비된 채 간격을 두고 따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조립할 때 그 만큼 조립공수가 증대되고, 체결에 따른 부자재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caster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are separately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number of assembling work is increased correspondingly when assembling the caster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들을 하나의 몸체에 함께 구비하여 하나의 캐스터유닛(900)을 구성하게 함으로써 조립공수를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부자재를 줄여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caster unit 900 is provided in a single body to reduce the number of assemblie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contributing to cost reduction by reducing auxiliary materials.

한편,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프론트바(300)와 하부프론트바(500)가 체결될 수 있다.4 to 6, the upper and lower front posts 300 and 50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front posts 1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프론트포스트(100)는 제1프론트포스트(100a)와 제2프론트포스트(100b)가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프론트포스트(10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post 100 is configured to form one front post 100 by assembling the first front post 100a and the second front post 100b.

이것은 무거운 하중을 지탱하는 프론트포스트(100)의 강도를 강화시키며, 측판(S1,S2)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1프론트포스트(100a)에 측판(S1,S2)의 일측단면이 끼워진 상태에서 측판(S1,S2) 쪽에서 상기 측판(S1,S2)의 일측단면을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에 뚫려 있는 나사홀에 나사가 침입하여 고정된 후 그 상태에서 제2프론트포스트(100b)와 조립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측판(S1,S2)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This is to enhance the strength of the front post 100 supporting the heavy load and to facilitate fixing of the side plates S1 and S2 so that one end face of the side plates S1 and S2 is fitted to the first front post 100a One end surface of each of the side plates S1 and S2 is fixed to the side plate S1 and S2 by screwing into a screw hole formed in the first front post 100a and then the second front post 100b So as to facilitate the fastening of the side plates S1 and S2.

다시 말해, 측판(S1,S2)이 고정된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개방된 부위를 제2프론트포스트(100b)가 밀폐함으로써 측판(S1,S2)을 고정한 나사가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외관품질 및 강도를 향상시킨 하나의 프론트포스트(100)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econd front posts 100b seal the opened portions of the first front posts 100a to which the side plates S1 and S2 are fixed, thereby preventing the screws fixing the side plates S1 and S2 from being seen Therefore, one front post 100 having improved appearance quality and strength is realized.

여기에서, 본 고안은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 제작시 서브랙이 걸릴 수 있는 서브랙 걸이대 기능을 갖도록 연장편(102, 도 5 참조)을 형성하여 서브랙 고정용 탭홀(Tab Hole)을 필요한 수량만큼 직접 가공함으로써 서브랙 걸이대를 별도로 만들 필요가 없어 매우 효율적인 조립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되며, 원가절감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piece 102 (see FIG. 5) is formed to have a sub rack racking function in which the sub rack can be engaged when the second front post 100b is manufactured, By directly processing the required quantity, there is no need to make a separate subrack rack, which makes it possible to have a highly efficient assembly structure, and to reduce costs and improve productivity.

아울러,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단면 형상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의 일측 모서리가 'ㄱ' 형상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이며, 일부가 터진 개방부(104)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rst front post 100a has a substantially square rectangular shape bent in a 'A' shape and has a partially opened opening 104 .

이때, 'ㄱ' 형상으로 절곡된 부위를 갖는 면은 고정면(106a)을 이루고, 'ㄱ' 형상으로 절곡된 면은 끼움접지면(106b)을 이루며, 상기 고정면(106a)의 단부로부터 수직절곡된 후 연장되어 제1걸림면(106c)을 이루고, 상기 끼움접지면(106b)으로부터 수직절곡된 후 연장되어 전방면(106e)을 이루며, 상기 전방면(106e)으로부터 수직절곡된 후 연장되어 상기 고정면(106a)과 평행하게 외측면(106f)을 이룬다.In this case, the surface having the bent portion in the 'a' shape forms the fixing surface 106a, and the surface bent in the 'a' shape forms the fitting ground surface 106b. Extends from the front face 106e and extends from the front face 106e to form a first engaging face 106c which is perpendicularly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tting ground face 106b to form a front face 106e, And forms an outer surface 106f in parallel with the fixing surface 106a.

그리고, 상기 핀삽입홈(110)에는 측판(S1,S2)의 일측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제2프론트포스트(100b)와 나사체결된다.One end of the side plates S1 and S2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slot 110 and is screwed into the second front post 100b in the inserted state.

또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일측단, 더 정확하게는 상기 연장편(102)과 대향되는 단부에는 'ㄱ' 형상으로 절곡된 제2걸림면(106d)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걸림면(106d)의 바깥쪽에는 상기 외측면(106f)의 단부가 배치되게 하여 외관품질을 높이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접합은 용접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second engagement surface 106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front post 100b, more precisely at an end opposite to the extension piece 102, The end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106f is disposed outside the surface 106d so as to increase the strength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ppearance. The joining is performed by welding.

덧붙여, 상기 끼움접지면(106b)을 두는 이유는 나사 조립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은 후술하는 프론트밀폐편(108)까지 일체로 구비한 형태이므로 분할을 최소화하여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itting ground surface 106b is provided to smoothly assemble the screw,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tegrally up to the front sealing member 10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division is minimized,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assembly.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상단에는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개방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프론트밀폐편(108)이 형성되는데, 상기 프론트밀폐편(108)에는 상술한 탑커버(700)가 볼트 혹은 나사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밀폐편(108)은 제2프론트포스트(100b)와 일체로 형성하여 절곡할 수도 있고, 별도의 편을 용접 또는 조립 체결하는 구조로 변경할 수도 있다.The front sealing member 108 is vertical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ont post 100b to seal the opened upper end of the first front post 100a. The above-described top cover 700 is bolted or screwed. Here, the front sealing member 10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front post 100b and bent or may be changed to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piece is welded or assembled.

특히,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외측면에는 'ㄷ' 형상의 판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S1,S2)의 일단이 상기 판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구조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우수하고 조립하기 편리한 장점이 크다.In particular, a plate insertion groove 1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post 100b, and an end of the side plates S1 and S2 is inserted into the plate insertion groove 110 It has a great advantage of being easy to assemble.

아울러,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프론트바(300)의 양단은 상기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고정면(106a)과 끼움접지면(106b)이 형성하고 있는 절곡 형상과 대응되게 상부프론트바(300)의 길이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프론트끼움단(310)과 프론트접지면(320)을 구성하게 된다. 4, both ends of the upper front bar 300 are connected to the upper front bar 100a so as to correspond to the bent shape formed by the fixing surface 106a of the first front post 100a and the fitting ground surface 106b, The front end portion 310 and the front ground surface 320 are formed with a ste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300.

그리하여, 상기 프론트끼움단(310)은 상기 끼움접지면(106b) 상에 접촉지지되고, 상기 프론트접지면(320)은 상기 고정면(106b) 상에 접지된 상태에서 스크류 혹은 볼트를 통해 체결 고정되며, 또한 용접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The front end surface 310 is contacted and supported on the fitting ground surface 106b and the front ground surface 320 is fixed to the fixing surface 106b through a screw or a bolt And may also be fastened by welding.

여기에서, 하부프론트바(500)의 고정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상부프론트바(300)와 동일한 고정구조를 갖기 때문에 생략한 것이다.Here, the fixing structure of the lower front bar 500 is not described, but is omitted because it has the same fixing structure as the upper front bar 300.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프론트포스트(100a)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의 끼움접지면(106b) 상에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일정크기의 록킹홀(120)이 직사각 모양으로 대칭되게 천공 형성되고, 상기 록킹홀(120)에는 록커(L)가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 혹은 언록킹되도록 구성된다.1 and 6, a locking hole 12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erforated in a rectangular shap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tting ground surface 106b at the mid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first front posts 100a , And the locker (L) is configured to be locked or unlocked in the locking hole (120)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이때, 상기 록커(L)는 키뭉치(K)에 연결되어 키의 회전방향에 따라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주로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D)의 잠금수단인 키뭉치(K)와 힌지(H)의 위치를 바꾸더라도 동일한 잠금구조를 갖추어 캐비넷도어(D)의 개폐방향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상기 록킹홀(120)이 한 쌍의 제1프론트포스트(100a) 상에 대칭 형성된다.The locker L is connected to the key bundle K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key rotation direction. The key lock K and the hinge H The locking holes 120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pair of first front posts 100a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cabinet doors D are not restricted.

이에 따라, 랙 캐비넷 조립체가 주로 설치공간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관계로 캐비넷도어(D)의 개폐방향이 제약을 받을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캐비넷도어(D)를 뒤집어 설치하면되는데, 이때에는 키뭉치(K)와 힌지(H)의 위치만 서로 바꾸어주면 개폐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어 궁극적으로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rack cabinet assembly is mainly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installation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cabinet door D may be restri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door D may be turned upside down, (K) and the hinge (H)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e direction of opening / closing can be easily changed, which ultimately has the advantage of being freely install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아울러, 상기 힌지(H)는 키뭉치(K)와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넷도어(D)의 회전중심이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힌지(H)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사시도에서와 같이, 일단과 상,하면 중 일면 막힌 'ㄷ'형 부재(H1)와, 'ㄷ'형 부재(H1)의 상,하면 중 막힌 면 상에 일체로 돌출된 힌지축(H2)으로 이루어져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D)의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에 끼우게 되면 'ㄷ'형 부재(H1)와 캐비넷도어(D)의 끝단면이 만나는 모서리 지점의 일단이 막혀 있으므로 자동으로 설치위치가 특정되어 설치하기 쉽도록 구성된다.6 and 7, the hinge H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key bundle K and serves as a rotation center of the cabinet door D. In this case, Shaped member H1 and a hinge shaft H2 integrally project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 U-shaped member H1 " When the cabinet door (D) is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ne end of the corner point where the end faces of the 'D' member (H1) and the cabinet door (D) meet is blocked. .

그리고, 'ㄷ'형 부재(H1)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공(H3)을 통해 캐비넷도어(D)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체결하게 되면 쉽고 빠르게 힌지(H)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abinet door D is bolted to the cabinet door D through the hinge holes H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 -shaped member H1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hinge H can be easily and quickly formed.

이 경우, 상기 힌지(H)가 유리인 캐비넷도어(D)와 직접 접촉하게 되면 깨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리인 캐비넷도어(D)의 표면과 힌지(H)를 구성하는 'ㄷ'형 부재(H1)의 홈에는 신축성 소재, 바람직하기로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 신축성 소재로 된 완충재(H4)가 개재될 수 있는데 캐비넷도어(D)를 기준으로 양측 모두에 개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일측에만 개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양면접착제가 부착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if the hinge 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lass cabinet door D, the cabinet door D may be broken. A cushioning material H4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plastic can be interposed in the groove of the member H1. The cushioning member H4 can be interposed on both sides of the cabinet door D, It may be interposed, or a double-sided adhesive may be adhered thereto.

이에 더하여, 상기 힌지축(H2)은 부싱(H5)을 통해 회전지지될 수 있으며, 부싱(H5)은 하부프론트바(500)에 형성된 회전축홀(ZR1)에 끼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axis H2 can be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bushing H5, and the bushing H5 can be fitted in the rotation axis hole ZR1 formed in the lower front bar 500. [

물론, 상기 하부프론트바(5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홀(ZR1)이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텀베이스(800)에 형성되면 된다.Of course, when the lower front bar 500 is not used, the rotation shaft hole ZR1 may be formed in the bottom base 800, though not shown.

또한, 캐비넷도어(D)의 상측에 형성된 힌지축(H2)은 상부프론트바(300)에 형성된 회전축홀(ZR2)에 끼워지며, 만약 상부프론트바(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탑 커버(700)에 상기 회전축홀(ZR2)이 형성되면 된다.The hinge shaft H2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door D is fitted in the rotary shaft hole ZR2 formed in the upper front bar 300. If the upper front bar 300 is not used, And the rotation shaft hole ZR2 may be formed in the shaft 700.

다른 한편,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리어바(400)와 하부리어바(600)가 나사체결이나 혹은 용접방식으로 체결된다.4 to 6, the upper rear bar 400 and the lower rear bar 600 are screwed or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r of rear posts 200, respectively, Respectively.

이 경우에도, 상부리어바(400)와 하부리어바(600)는 조립구조가 동일하므로 어느 하나만 설명하기로 한다.Also in this case, since the upper rear bar 400 and the lower rear bar 600 have the same assembling structure, only one will be described.

그리고, 상기 리어포스트(200)는 대략 'ㄷ'형 단면을 갖는 제1,2리어포스트(200a,200b) 2개로 분할형성되고, 이들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하나의 리어포스트(200)를 구성하게 된다.The rear posts 200 are divided into two first and second rear posts 200a and 200b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d cross section. The rear posts 200 are joined together by welding or the like to form a single rear post 2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1리어포스트(200a)는 'ㄷ' 형상으로 절곡된 양단중 어느 일단이 바깥쪽으로 수직절곡되어 절곡연장편(210)을 구성하며, 절곡연장편(210)에는 상부리어바(400)의 일단에 마련된 리어접속편(41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나사 혹은 볼트 체결되거나 혹은 용접체결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rear post 200a is vertically bent outward at one end of both ends bent in a 'C' shape to form a bending extension piece 210, and the upper rear bar 400 Is screwed or bolted or welde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nnecting piece 4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ar connecting piece 410 is butted.

특히, 상기 절곡연장편(210)은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후면도어(B)의 잠금부재(220)와 힌지축(230a,230b)의 위치를 바꾸더라도 동일한 잠금구조를 갖추어 후면도어(B)의 개폐방향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쌍의 제1리어포스트(200a)에 대칭되게 형성된다.6, even if the position of the lock member 220 and the hinge shafts 230a and 230b of the rear door B are changed, the same locking structure is provided to the rear door (B) B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irst rear posts 200a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posts 200a and 200b are not restricted.

아울러, 상기 잠금부재(220)에는 잠금자(222)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자(222)는 상기 잠금부재(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절곡연장편(210)에 걸리거나 혹은 걸리지 않게 되어 록킹 혹은 언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lock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 locker 222 and the locker 222 is hooked or not engaged with the bending extension 21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 member 220 Locking or unlocking state.

또한, 상기 힌지축(230a,230b)은 잠금부재(220)와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 후면도어(B)의 회전중심이 된다.The hinge shafts 230a and 230b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lock member 220 to serve as rotation centers of the rear door B. [

이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230a,230b)은 앞서 설명한 힌지(H)와 달리, 하부 회전축(230a)과 상부 회전축(230b)으로 분할되며, 이들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rotary shafts 230a and 230b are divided into a lower rotary shaft 230a and an upper rotary shaft 230b, unlike the hinge H described above, and they have different structures.

예컨대, 하부 회전축(230a)은 그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축턱(232)을 포함한 채 상기 후면도어(B)의 하단면에 용접고정된다.For example, the lower rotation shaft 230a is weld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ar door B, including a cylindrical projection 232 having a larger radius.

물론, 축부싱(234)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간격이 유지되므로 축턱(232)이 없어도 된다. 따라서, 하부 회전축(230a)의 축턱(232)과 축부싱(234)은 둘 중 그 역할에 따라 한가지만 사용할 수도 있고,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Of course, because the axial bushing 234 is present, the basal spacing is maintained, so that the projections 232 need not be provided. Therefore, the upper boss 232 and the lower bushing 234 of the lower rotary shaft 230a may be used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depending on their roles.

그리고, 상기 하부리어바(600) 상에는 회전축홈(YB1)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홈(YB1)에는 축부싱(234)이 끼워지며, 상기 하부 회전축(230a)은 상기 축부싱(234)에 끼워져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축부싱(234)은 필요에 따라 삭제될 수도 있다. 즉, 축부싱(234)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회전축(230a)이 상기 회전축홈(YB1)에 직접 끼워지는 것이다.A rotary shaft groove YB1 is formed on the lower rear bar 600. A shaft bushing 234 is inserted into the rotary shaft groove YB1 and the lower rotary shaft 230a is inserted into the shaft bushing 234 And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rotatable. Here, the axial bushing 234 may be omitted as needed. That is, when the shaft bushing 234 is not provided, the lower rotary shaft 230a is directly fitted into the rotary shaft groove YB1.

이때, 상기 축턱(232)은 상기 축부싱(234)에 끼워지지 않고 걸림됨으로써 상기 하부리어바(600)의 상면과 상기 후면도어(B)의 하단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후면도어(B)가 하부리어바(600)의 상단면과 마찰접촉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232 is retain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shaft bushing 234, thereby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ar bar 600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door B, So that it can smoothly rotate without being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lower rear bar 600.

아울러, 만약 하부리어바(6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홈(YB1)은 바텀베이스(800)에 형성되면 된다.In addition, if the lower rear bar 600 is not used, the rotation axis groove YB1 may be formed in the bottom base 800. [

반면, 상부 회전축(230b)은 대략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한 부분의 길이 일부, 즉 상단으로부터 일정길이 떨어진 지점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를 갖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rotation shaft 230b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and may have a threaded structure although not shown at a part of the length of the vertical part, that is,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upper part.

또한, 상기 상부 회전축(230b)이 끼워질 위치의 후면도어(B) 상단면에는 후면도어축공(236a)이 관통형성되고, 후면도어(B)의 내부에는 'ㄱ' 형상의 축안내브라켓(236b)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A rear door shaft hole 236a is formed i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ear door B at a position where the upper rotation shaft 230b is to be inserted and a shaft guide bracket 236b Are fixed by welding or screwing.

아울러, 상기 후면도어축공(236a)과 일치되는 수직직선상의 축안내브라켓(236b)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회전축(230b)의 수직부 상단이 끼워지고, 그 상태에서 스프링(236c)이 끼워지며, 스프링(236c) 상부로 체결구(236d)가 끼워진 다음 상기 체결구(236d)는 상부 회전축(230b)의 나사산에 나사체결되거나 용접 또는 압입체결될 수도 있다.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upper rotation shaft 230b is inserted through a shaft guide bracket 236b in a vertical straight line coinciding with the rear door shaft hole 236a and the spring 236c is fitted in the state, The fastening hole 236d may be screwed onto the thread of the upper rotary shaft 230b or may be welded or press-fitted after the fastening hole 236d is fitted on the upper rotary shaft 236c.

이 상태에서,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을 누르면 스프링(236c)이 압축되면서 상부 회전축(230b)은 하향이동하게 되므로 이때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을 후면도어축공(236a)에 일치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upper end of the upper rotary shaft 230b is pressed, the spring 236c is compressed and the upper rotary shaft 230b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rotary shaft 230b is aligned with the rear door shaft hole 236a.

그러면, 스프링(236c)의 탄성복귀력 때문에 체결구(236d)가 밀려 올라가면서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이 후면도어축공(236a)을 관통하여 노출됨으로써 후면도어(B)의 상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rotary shaft 230b is exposed through the rear door shaft hole 236a while the fastening hole 236d is pushed up due to the elastic returning force of the spring 236c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rear door B can be rotated So that it can be supported.

그리고, 상기 상부 회전축(230b)은 상부리어바(400)에 형성된 회전축홈(YB2)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만약 상부리어바(4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탑 커버(700) 상에 상기 회전축홈(YB2)을 형성하면 된다.When the upper rear bar 400 is not used, the upper rotation bar 230b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top cover 700. The upper rotation bar 230b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groove YB2 formed on the upper rear bar 400. [ The rotation axis groove YB2 may be formed.

이 경우, 상기 스프링(236c)의 일단은 상기 축안내브라켓(236b)의 상단에 걸려 있고, 타단은 상기 체결구(236d)의 하단에 걸려 있으므로 고정된 상태인 축안내브라켓(236b)에 반해 유동가능한 상태인 체결구(236d)는 스프링(236c)의 힘에 밀려 올라가면서 상부 회전축(230b) 자체를 끌어 올리게 되며, 최종적으로 끌려 올라간 상태가 도시와 같이 상부 회전축(230b)의 상단이 후면도어(B)의 상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형태이다.In this case, since one end of the spring 236c is hook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guide bracket 236b and the other end is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hole 236d, The upper rotation shaft 230b is pulled up by the force of the spring 236c and the upper rotation shaft 230b is pulled up by the force of the spring 236c. B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face of a certain length.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부 회전축(230b)은 후면도어(B)의 개폐방향 제약으로 인해 뒤집어 설치할 경우, 하부 회전축(230a)에 있는 축턱(232)이 없음으로 인해 상기 하부리어바(600)의 상면과 상기 후면도어(B)의 하단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The upper rotary shaft 230b having such a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lower rear bar 600 due to the absence of the projections 232 in the lower rotary shaft 230a when the upper rotary shaft 230b is turned upside down due to restriction of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rear door B. [ A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door B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door B can not be maintained.

이것은 하부 회전축(230a)과 달리 축턱(232)이 없는 구조이기 때문인데, 따라서 후면도어(B)를 뒤집어 설치할 때에는 하부 회전축(230a)에 조립된 축부싱(234)과 같은 역할을 하는 별도의 부싱(미도시)을 상부 회전축(230b)에 끼운 다음 하측에 설치하게 되면 부싱은 상기 축턱(232)의 역할을 그대로 담당하기 때문에 후면도어(B)를 열고 닫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This is because the lower bushing 230a has no projections 232. Therefore, when the rear door B is turned upside down, a separate bushing 234 acting as a shaft bushing 234 assembled to the lower rotation shaft 230a,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upper rotation shaft 230b and then installed on the lower side, the bushing maintains the role of the protrusion 232, so that it does not hinde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ar door B.

그리고, 상기 리어포스트(200)의 개방된 상부는 탭 플레이트(420)에 의해 밀폐된다.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rear post 200 is sealed by the tab plate 420.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리어포스트(200b)의 비절곡면에는 바깥방향으로 'ㄷ' 형상의 판끼움홈(240)이 형성되며, 상기 판끼움홈(240)에는 측판(S1,S2)의 일단이 각각 끼워진다.In addition, a 'C' shaped plate fitting groove 240 is formed on the non-curved surface of the second rear post 200b in an outward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side plates S1 and S2 is inserted into the plate fitting groove 240 Respectively.

또다른 한편, 상기 탑커버(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의 상단에서 밀폐편(108) 및 탭플레이트(420) 각각에 나사체결됨으로서 견고히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top cover 700 is fixed to each of the sealing piece 108 and the tab plate 420 a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osts 100 and 200,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바텀베이스(800)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천공되어 배선공(8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선공(810)은 다수의 전선이 인출 배선되기 위한 구멍이다.6, a part of the bottom base 800 is perforated to form a wiring hole 810. The wiring hole 810 is a hol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are drawn out and wir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4개의 포스트를 기준으로 측판(S1,S2)을 끼우고 탑커버(700) 및 바텀베이스(800)를 얹은 후 나사체결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easily and quickly construct an assembly by simply screwing the top cover 700 and the bottom base 800 with the side plates S1 and S2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basis of four posts .

무엇보다도, 캐비넷도어(D) 혹은 후면도어(B)의 개폐방향을 사용자가 필요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떼고 붙이기 쉬워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Above all,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cabinet door (D) or the rear door (B)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so that the user can freely set the opening direction.

특히, 캐스터(940)와 위치고정부재(950)를 일체화시켜 하나의 캐스터유닛(900)에 포함시킴으로써 제조공수를 줄이고, 작업효율화를 증대시키는 장점도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caster 940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950 are integrated into one caster unit 9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and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뿐만 아니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커버(700)는 상부프론트바(300) 혹은 상부리어바(400)와 각각 분리형, 일체형 혹은 탑커버(700) 단독으로 결합될 수 있다.9, the top cover 7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front bar 300 or the upper rear bar 400, or may be combined with the top cover 700 alone.

이것은 사양에 따라 탑 커버(700) 만을 직접 프론트포스트(100) 및 리어포스트(20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상부프론트바(300)와 상부리어바(400)를 갖춘 상태에서 탑 커버(700)를 체결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이들 바(300,400)가 탑 커버(700)와 일체로 구성된 상태에서 한번에 조립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the top cover 700 by directly fastening it to the front post 100 and the rear post 200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r by using the top cover 700 with the upper front bar 300 and the upper rear bar 400 700 may be fastened together or the bars 300 and 400 may be integrally fastened together with the top cover 700.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연장편(102)은 곧, 서브랙을 고정하기 위한 서브랙 걸이대로 활용되기 때문에 기존처럼 서브랙 걸이를 위해 별도의 브라켓 등 부재를 갖출 필요가 없어 매우 효율적이다.Also, as shown in FIG. 10, since the extension piece 102 is used as a sub rack rack for fixing the sub rack, it is very efficient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bracket or the like for the sub rack rack.

한편, 도 10 및 11에서와 같이, 서브랙 고정을 위한 상기 연장편(102)은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extension piece 102 for securing the sub rack can be deformed in shape.

이것은 연장편(102)에 서브랙걸이구멍(GV)을 뚫고 탭(TAP)을 가공할 때 탭을 잘못 뚫게 되어 나사가 망가지거나 도 1에서 처럼 서브랙(20)을 고정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나사(17, 도 1 참고)를 여러번 풀었다 조였다 할 경우 탭이 망가지게 되면 제2프론트포스트(100b) 전체를 버리고 다시 가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This causes the tabs to be erroneously formed when the tabs (TAP) are drilled through the subrack hatching holes (GV) in the elongate pieces 102, so that when the screws are broken or the subracks 20 are fixed or separated as shown in Fig. (See FIG. 1) is loosened several times, when the tab is broken, the entire second front post 100b is discarded and a problem arises that the second front post 100b must be reworked.

더구나, 서브랙걸이구멍(GV)은 랙 캐비넷의 높이에 따라 그 수량이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33U(1U=44.45mm) 높이의 랙 캐비넷을 기준으로 하면 서브랙걸이구멍(GV)이 보통 99개에 이르는데, 실수로 탭을 한 개라도 잘못 뚫을 경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원자재를 버리고 재작업을 해야 하므로 재료 낭비가 심하고 작업부하가 급증하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the number of sub rack hatches (GV)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rack cabinet. For example, when referring to a 33U (1U = 44.45mm) rack cabinet, the sub rack hatch holes (GV) If one of the tabs is accidentally pierced by mistake, the material of the second front post 100b should be discarded and reworked. This causes a serious waste of material and an increase in workload.

이에, 본 고안에서는 연장편(102)에 탭(나사구멍)을 뚫을 때 작업불량이나 오류가 나면 절취선(TR)을 따라 연장편(102)을 절단하고, 연장편(102)이 잘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단부에 서브랙가고정구(PTA)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제2프론트포스트(100b)를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 work error or an error occurs when a tab (screw hole) is drilled in the extended piece 102, the extended piece 102 is cut along the perforated line TR and the extended piece 102 is cut The second front posts 100b can be reused without disposing the sub-racks PTA at the ends of the posts 100b, which is very advantageous in view of cost and time.

이때, 상기 서브랙가고정구(PTA)는 내부에 슬라이드홈(SUM)이 형성된 브라켓 형태로서, 외부 일측에는 에이치 형상의 조립슬라이드홈(hom)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ubrack fixing tool PTA has a bracket shape in which a slide groove SUM is formed, and an H-shaped assembly slide groove hom is formed on the outer side.

그리고, 상기 조립슬라이드홈(hom)은 연장편(102)이 잘린 제2프론트포스트(100b)의 단부에 끼워지고, 고정구체결볼트(BLT)를 이용하여 포스트체결공(bb)과 고정구체결공(aa)에 끼워 체결하게 된다.The assembly slide groove hom is fitted to the end of the second front post 100b where the extension piece 102 is cut and is fastened to the post fastening hole bb and the fastener fastening hole aa.

그런 다음, 서브랙걸이구멍(GV)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서브랙걸이편(CTA)을 상기 슬라이드홈(SUM)에 여러개 끼워 넣어 절단되기전 연장편(102)과 동일한 상태를 만들어 서브랙걸이편(CTA)에 뚫려 있는 서브랙걸이구멍(GV)에 서브랙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n, a plurality of sub rack hanger pieces (CTA) in which a plurality of sub rack hanger holes (GV) are formed are fitted into the slide grooves (SUM) to form the same state as the extending pieces (102) And serves to fix the sub rack to the sub rack slot GV that is opened in the cassette CTA.

여기에서, 상기 서브랙걸이편(CTA)는 일정길이를 갖는 다수의 편을 수직으로 일직선을 유지한 채 슬라이드홈(SUM)에 필요한 수량만큼 일렬로 끼워 넣어 적층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Here, the sub rack hanger pieces CTA can be assembl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line by a required number in a slide groove SUM while maintaining a straight line.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작업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제2프론트포스트(100b)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a job error occurs, the second front post 100b can be reused without being discarded, which is very efficient.

100: 프론트포스트 200: 리어포스트
300: 상부프론트바 400: 상부리어바
500: 하부프론트바 600: 하부리어바
700: 탑커버 800: 바텀베이스
900: 캐스터유닛
100: Front post 200: Rear post
300: Upper front bar 400: Upper rear bar
500: lower front bar 600: lower rear bar
700: Top cover 800: Bottom base
900: Caster unit

Claims (21)

좌,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좌,우 한 쌍의 리어포스트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상단에 고정되는 탑커버와, 상기 프론트포스트 및 리어포스트의 각 하단에 고정되는 바텀베이스와,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리어포스트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후면도어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 사이에 조립되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비넷도어를 포함하는 랙 캐비넷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는 개방부를 갖는 제1프론트포스트와, 상기 개방부를 밀폐하면서 제1프론트포스트에 접합되는 제2프론트포스트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posts,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post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posts at intervals, a top cover fixed to each upper end of the front posts and the rear posts, A pair of side plates provid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osts, a rear door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ear posts, and a pair of side plate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ront posts, And a cabinet door which is assembled to be openable and closable, the rack cabinet assembly comprising:
Wherein the pair of front posts are divided into a first front post having an opening portion and a second front post joined to the first front post while sealing the open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밀폐편이 수직절곡 또는 별도의 편으로 용접된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top end of the second front post is provided with a closed piece to which the top cover is fastened is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or welded in a separate pie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론트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일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 shaped plat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front post to receive one end of the side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프론트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록킹홀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캐비넷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locking hole having the same shape is perfora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front post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cabinet door can be arbitrarily chan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는 'ㄷ'형상을 갖는 제1,2리어포스트가 서로 접합되게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rear posts are divided and formed so that first and second rear posts having a 'C' shape are joined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리어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탑커버가 체결되는 탭플레이트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ab plate to which the top cover is fastened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rear pos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리어포스트의 배면에는 상기 측판의 타단이 끼워지는 'ㄷ'형상의 판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 -shaped plate-fitting groove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post to receive the other end of the side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의 절곡연장편이 형성되어 상기 후면도어의 개폐방향을 임의 변경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folding extension piece having the same shape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rfaces of the pair of rear post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of the rear door can be arbitrarily chan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부리어바와, 상기 한 쌍의 프론트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프론트바와, 상기 한 쌍의 리어포스트의 하단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하부리어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n upper front bar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ront posts to each other, an upper rear bar for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rear posts to each other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front posts to each other, And a lower rear bar connecting and fix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rear posts to each other.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는 상부프론트바 혹은 상부리어바와 각각 분리형, 일체형 혹은 탑커버 단독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op cover is coupled to the upper front bar or the upper rear bar in a detachable, integral, or top cover,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텀베이스의 일부에는 배선공이 천공되어 다수의 전선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wiring hole is formed in a part of the bottom base so that a plurality of electric wires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에는 캐스터유닛을 설치하되, 상기 캐스터유닛은 상기 바텀베이스의 저면 체결고정되는 캐스터고정판과,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캐스터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축 상에 고정된 캐스터프레임과, 상기 캐스터프레임 내부에 축설되어 설치면과 구름접촉하는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고정축에 체결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가능한 봉 형상의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ter unit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base, and the caster unit includes a caster fixing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base, a castor frame having a shape of '∩' and fixed on the fixed shaft, A castor that is installed in the castor frame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and a rod-shaped position fix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at a position not interfering with the caster and is vertically adjustable in height. Steel rack cabinet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일측면에는 록킹홀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넷도어 상에는 잠금수단인 키뭉치와 힌지가 마련되되, 상기 키뭉치에는 록커가 구비되고, 상기 록커는 키뭉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 속으로 인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 lock ba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st, and a key bar and a hinge are provided on the cabinet door as a locking means. The key bar is provided with a lock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hel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일단과 상,하면 중 일면 막힌 'ㄷ'형 부재와, 'ㄷ'형 부재의 상,하면 중 막힌 면 상에 일체로 돌출된 힌지축으로 이루어져 유리로 된 캐비넷도어의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에 끼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inge includes a hinge shaft integrally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binet door, And is fitted and fixed to the corne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도어의 표면과 힌지를 구성하는 'ㄷ'형 부재 사이에는 완충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cushioning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a surface of the cabinet door and a 'C' -shaped member constituting a hing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과 대응되는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에는 회전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rotary shaft hol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bar and the lower front bar corresponding to the hinge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 회전축은 그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축턱을 포함한 채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 용접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door includes a lower rotary shaft at its lower end and an upper rotary shaft at its upper end. The lower rotary shaft is fixedly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door including a cylindrical shaft having a larger radius than the lower rotary shaft. Wherein the rack cabinet assembly comprises: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축이 고정되는 지점에는 축부싱이 끼워지며, 상기 축턱은 상기 축부싱에 끼워지지 않고 걸림되어 후면도어의 하단에 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 shaft bushing is fitted to a position where the lower rotation shaft is fixed and the shaft is engaged without being caught by the shaft bushing to form a space at a lower end of the rear do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의 하단면에는 하부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단면에는 상부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상부 회전축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도어의 내부에는 'ㄱ' 형상의 축안내브라켓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고, 상기 상부 회전축의 상단은 상기 축안내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스프링, 체결구가 순차로 조립된 다음 상기 후면도어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부 회전축의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door has a lower rotation axis, and an upper rotation axis is provided on an upper end surface thereof. The upper rotation axis is formed in an 'a' shape, and a 'A' shaped shaft guide bracket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rear door And the upper rotation shaft passes through the shaft guide bracket and a spring and a fastener are sequentially assembled and then a part of the upper rotation shaft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door. To-metal rack cabinet assembly.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과 대응되는 상부리어바 및 하부리어바에는 회전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9,
And a rotary shaft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rear bar and the lower rear bar corresponding to the upper rotation shaft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론트바 및 하부프론트바는 상기 프론트포스트와 'ㄴ' 혹은 'ㄱ' 형태로 맞춤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포스트의 상단과 하단에서 나사 또는 용접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랙 캐비넷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pper front bar and the lower front bar are screwed or weld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front post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front bar and the lower front bar are fitted into the front post in a form of 'b' or 'a'.
KR2020150001896U 2015-03-25 2015-03-25 Iron rack cabinet assembly KR2004845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96U KR200484504Y1 (en) 2015-03-25 2015-03-25 Iron rack cabine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96U KR200484504Y1 (en) 2015-03-25 2015-03-25 Iron rack cabine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12U true KR20160003412U (en) 2016-10-06
KR200484504Y1 KR200484504Y1 (en) 2017-09-13

Family

ID=5713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96U KR200484504Y1 (en) 2015-03-25 2015-03-25 Iron rack cabine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0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285U (en) * 2018-12-10 2020-06-18 대신정밀 주식회사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KR102249548B1 (en) * 2020-11-12 2021-05-07 (주)인터클러스터시스템 It sytem equipment
KR102491695B1 (en) * 2022-10-11 2023-01-27 주식회사 사미텍 Data process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819B1 (en) * 1993-10-23 2000-02-01 뮬러 노베르트 Rack for switching cabinets
KR200210876Y1 (en) * 2000-07-20 2001-01-15 동해기전산업주식회사 Rack equipped with interceptor
KR200219409Y1 (en) * 2000-10-10 2001-04-02 박우희 Multipurpose prefabricated storage case
JP2002130924A (en) * 2000-10-31 2002-05-09 Sharp Corp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JP2002271044A (en) * 2001-03-13 2002-09-20 Ricoh Co Ltd Business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819B1 (en) * 1993-10-23 2000-02-01 뮬러 노베르트 Rack for switching cabinets
KR200210876Y1 (en) * 2000-07-20 2001-01-15 동해기전산업주식회사 Rack equipped with interceptor
KR200219409Y1 (en) * 2000-10-10 2001-04-02 박우희 Multipurpose prefabricated storage case
JP2002130924A (en) * 2000-10-31 2002-05-09 Sharp Corp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JP2002271044A (en) * 2001-03-13 2002-09-20 Ricoh Co Ltd Business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285U (en) * 2018-12-10 2020-06-18 대신정밀 주식회사 Rack for communication equipment
KR102249548B1 (en) * 2020-11-12 2021-05-07 (주)인터클러스터시스템 It sytem equipment
KR102491695B1 (en) * 2022-10-11 2023-01-27 주식회사 사미텍 Data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04Y1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7073C2 (en) Perfected metal structure of electric distributing cabinets/boards
US6123203A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computer system component within a housing
US7364243B2 (en) Rack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8668283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assembly
US9635776B2 (en) Cabinet
KR200484505Y1 (en) Aluminum rack cabinet assembly
US20130214654A1 (en) Server cabinet and server cabinet assembly
KR200484504Y1 (en) Iron rack cabinet assembly
US20150282349A1 (en) Equipment rack bracing
US8848378B2 (en) Securing structure for mounting server to server cabinet
US20110316402A1 (en) Server cabinet
US20020153814A1 (en) Storage cabinet for electronic components
EP3075939B1 (en) Corner connection device of shower door track,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EP0574560A4 (en)
EP1508190A2 (en) A cabine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0488120Y1 (en) Rack cabinet assembly
KR101823046B1 (en) Steel rack cabinet and production method
US10051758B2 (en) Chassis with low-cost, tool-less fastening mechanisms for rack mount systems
US20030056321A1 (en) Door hinge with positioning feature and method
CN110381693B (en) Sliding rail installation accessory assembly for rack
US9946044B1 (en) Equipment cabinet with movable stile
US20160037919A1 (en) Secure Rack-Based Storage Enclosure
EP1956692A1 (en) Upright for electrical switchboard
JPH0220099A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mounting frame of electronic device
JP2002319778A (en) Frame of cabinet for accommodating electric/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